KR20110132039A - 침지식 막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침지식 막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039A
KR20110132039A KR1020100051828A KR20100051828A KR20110132039A KR 20110132039 A KR20110132039 A KR 20110132039A KR 1020100051828 A KR1020100051828 A KR 1020100051828A KR 20100051828 A KR20100051828 A KR 20100051828A KR 20110132039 A KR20110132039 A KR 2011013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embrane module
diffuser
case part
clean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임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2039A/ko
Publication of KR2011013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01D65/04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with movable bodies, e.g. foam b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측면이 개방되며, 디퓨저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스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디퓨저 케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 및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상면과 디퓨저 케이스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세정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격리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폐수처리와 동시에 세정볼에 의한 멤브레인의 세척이 이루어져,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지식 막분리장치{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or Device}
본 발명은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볼을 포함하여 디퓨저로부터 발생하는 기포를 따라 유동하면서 멤브레인에 부유물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Membrane)이란, 기체, 액체, 고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특정한 성분만을 분리해 낼 수 있는 상으로서, 혼합물을 멤브레인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분자 상태의 물질을 분리시키는 원리이다.
수처리 분야에서의 멤브레인은 구조에 따라 다공막, 미세다공막 및 균질막으로 분류되고, 용도에 따라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역삼투막, 기체분리막, 투과증발막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은 분리공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장치화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렇게 멤브레인을 삽입하여 장치화한 설비를 멤브레인 모듈이라 한다. 이러한 멤브레인 모듈은 침지식 막분리장치 내에 수납되어 폭기조 내의 폐수를 처리하게 된다.
한편,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수의 이물질이 멤브레인에 달라붙어 미세공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멤브레인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세척해야 한다. 이 경우 폐수처리 과정을 전면 중단시킨 상태에서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폐수처리가 지연될 수 있으며, 화학적 약품세정으로 인한 오염물질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인 폐수처리를 할 수 있는 침지식 막분리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측면이 개방되며, 디퓨저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스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디퓨저 케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 및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상면과 디퓨저 케이스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세정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격리망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디퓨저가 구비된 디퓨저 케이스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디퓨저 케이스부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디퓨저 케이스부를 감싸는 격리망 및 격리망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볼이 디퓨저로부터 발생하는 기포를 따라 유동함으로써, 폐수처리와 동시에 세정볼에 의한 멤브레인의 세척이 이루어져,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포함되는 멤브레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멤브레인 모듈의 멤브레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침지식 막분리장치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침지식 막분리장치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100)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이 장착될 수 있는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디퓨저(140)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스부(120),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 및 디퓨저 케이스부(120)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160) 및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의 상면과 디퓨저 케이스부(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세정볼(16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격리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는 상부와 하부가 오픈 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의 빈 공간에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각 멤브레인 모듈(200)에는 흡입튜브(190)가 결합되어 멤브레인 모듈(200)에서 막분리를 통해 정수된 물이 흡입튜브(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서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의 하부에는 디퓨저 케이스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디퓨저 케이스부(120)는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와 연결된 일체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하부 및 측면이 오픈된 직사각형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퓨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디퓨저(140)는 외부와 연결된 공기튜브(미도시)와 연결되어 디퓨저 케이스부(120)에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로 공기를 확산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퓨저(140)는 디퓨저 케이스부(120)의 하측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통공(142)을 형성하여, 통공(142)을 통해 기포 형태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퓨저(14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과 나란하고,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멤브레인 모듈(200) 사이로 오염수의 측류흐름을 유도하여 연속적인 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 및 디퓨저 케이스부(120)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160)은 디퓨저(140)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유도되는 오염수의 측류흐름을 따라 선회하며, 멤브레인 모듈(200)과 접촉하며 멤브레인 모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볼(160)은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 간의 이격 거리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볼(160)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 및 디퓨저 케이스부(120) 내에서 디퓨저(140)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상승한 후, 기포가 없는 곳에서는 자체 무게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도록 1.1 내지 1.6의 비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멤브레인 모듈(200)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화학세정에도 잘 견디도록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프론, 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볼(160)이 기포에 따라 상하로 순환하기 위해서는, 디퓨저(140)에 형성되는 통공(142)은 디퓨저(140)의 일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는바,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격리망(150)은 개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의 상면과 디퓨저 케이스부(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세정볼(16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격리망(150)은 메쉬 형태일 수 있으며, 세정볼(160)이 이탈되지 않도록 세정볼(160)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침지식 막분리장치(100)의 폐수 정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격리망(150)이 형성된 디퓨저 케이스(120)의 측면을 통해 폐수가 유입되면, 디퓨저(140)에서 발생하는 공기에 의해 폐수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로 이동한다. 이때 세정볼(160)도 폐수의 흐름을 따라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사이로 상승할 수 있다.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에서는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에 의해 폐수가 막분리되어 정수되며, 정수된 물은 멤브레인 모듈(200)에 결합된 흡입튜브(19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세정볼(160)은 폐수의 흐름을 따라 상하로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각 멤브레인 모듈(200)을 간섭하며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침지식 막분리장치(100)는 폐수처리와 동시에 세정볼(160)에 의한 멤브레인 모듈(200)의 세척이 이루어져,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포함되는 멤브레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멤브레인 모듈의 멤브레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모듈(200)은 멤브레인부(210), 멤브레인부(210)가 고정된 프레임(220) 및 배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20)은 멤브레인 모듈(200)의 테두리를 이루는 것으로, 프레임(220)의 상단에는 배출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250)는 유로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배출부(250)에는 배출펌프와 연결되는 흡입튜브가 결합 될 수 있다.
멤브레인부(210)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멤브레인부(210)는 지지체(211), 지지체(211)의 일면 및 타면에 위치하는 부직포(212) 및 부직포(212) 상에 각각 위치하는 멤브레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211)는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220)에 고정되어, 부직포(212)들과 부직포(212)들 상에 위치하는 멤브레인(213)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직포(212)는 지지체(211)와 멤브레인(213)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부직포(112)가 지지체(211) 상에 위치하면, 지지체(211)의 외측면과 부직포(2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유체가 흐르게 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211)와 부직포(212)의 내부에는 관형태의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211)의 양면에는 다수의 유공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213)과 부직포(212)를 통과한 유체는 유공을 통해 지지체(211) 내의 유로로 유입되며, 이 유체는 유로를 따라 이동되어 배출부(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멤브레인(213)은 부직포(212)들 상에 각각 위치한다. 멤브레인(213)은 액체와 일정 크기 이하의 고체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이 전체에 걸쳐 고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멤브레인(213)은 0.1㎛ 이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은 각각 돌출부(271) 및 홈부(272)를 포함하는 제1 멤브레인 모듈 및 제2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멤브레인 모듈의 홈부(272)에 제2 멤브레인 모듈의 돌출부(271)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71)와 홈부(272)는 형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하여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은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세정볼(160)이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침지식 막분리장치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 및 디퓨저 케이스부(120) 내부에는 세정볼(160)이 존재하며, 디퓨저(140)는 디퓨저 케이스부(12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퓨저(140)는 외부와 연결된 공기튜브(미도시)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통공(142)을 통해 기포 형태로 공급할 수 있다.
통공(142)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폐수의 상승을 야기하며, 세정볼(160)은 폐수의 흐름을 따라 함께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14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과 나란하고,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멤브레인 모듈(200) 사이로 오염수의 측류흐름을 유도하여 세정볼(160)이 멤브레인 모듈(200)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세정볼(160)이 수류에 따라 상승 및 하강을 하면서 멤브레인 모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110) 및 디퓨저 케이스부(120)의 개방된 부분에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격리망(150)이 형성되어 세정볼(16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세정볼(160)이 하강하여 연속적인 와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통공(142)은 디퓨저(140)의 일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침지식 막분리장치(100) 내의 폐수의 순환을 모식화한 도로, 도 4는 통공(142)이 디퓨저(140)의 중앙부분에 형성됨으로써 통공(142)이 형성된 중앙부분에서 세정볼(160)이 상승하며, 통공(142)이 형성되지 않은 양측면에서 하강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5는 도 4와는 반대로 통공(142)이 디퓨저(140)의 양 측면쪽에 형성되어 세정볼(160)은 중앙에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포가 없는 곳에서 세정볼(160)이 자체 무게에 의해 가라앉을 수 있도록 세정볼(160)은 1.1 내지 1.6의 비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표 1은 세정볼(160)의 비중에 따른 수류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비중 0.9 1.0 1.1 1.2 1.3 1.4 1.5 1.6 1.7
수류현상
발생여부
× × ×
즉, 세정볼(160)의 비중이 1.1보다 작은 경우는 통공(14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하강의 속도가 느려 연속적인 순환이 어려우며, 반대로 1.6보다 큰 경우는 기포에 의해 상승 되기 어렵기 때문에 세정볼(160)은 1.1 내지 1.6의 비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볼(160)은 멤브레인 모듈(200)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화학세정에도 잘 견디도록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프론, 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정볼(160)이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200) 사이에서 수류의 흐름에 따라 상하로 순환하며 연속적으로 멤브레인 모듈(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침지식 막분리장치(100)는 폐수처리와 동시에 세정볼(160)에 의한 멤브레인 모듈(200)의 세척이 이루어져,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화학적 세정주기를 늘려주어 약품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세정볼(160)은 상술한 볼 형태뿐 아니라 기포에 의한 원활한 상승 및 멤브레인 모듈(200)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침지식 막분리장치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600)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630)이 장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디퓨저(640)가 구비된 디퓨저 케이스부(620),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 및 디퓨저 케이스부(620)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 및 디퓨저 케이스부(620)를 감싸는 격리망(650) 및 격리망(650) 내의 세정볼(660)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모듈(630),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 디퓨저 케이스부(620) 및 세정볼(66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63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에 장착되며, 디퓨저 케이스부(620)의 하부에 형성된 디퓨저(640)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630)과 나란하고,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630)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리망(650)은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 및 디퓨저 케이스부(620)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고, 디퓨저(640)에 형성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통공(642)은 디퓨저(6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공(642)이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막분리장치(600)는 세정볼(660)이 멤브레인 모듈(630)의 전체 영역에서 상승하고,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610) 및 디퓨저 케이스부(620)의 외부영역에서 하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공(642)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한 수류의 흐름이 강한 상승구간이 멤브레인 모듈(630)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므로, 세정볼(660)에 의한 멤브레인 모듈(630)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 효율은 더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침지식 막분리장치(600)는 폐수처리와 동시에 세정볼(660)에 의한 멤브레인 모듈(630)의 세척이 이루어져, 장기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폐수처리를 할 수 있으며, 화학적 세정주기를 늘려주어 약품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600 : 침지식 막분리장치 200, 630 : 멤브레인 모듈
110, 610 :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120, 620 : 디퓨저 케이스부
140, 640 : 디퓨저 142, 642 : 통공
150, 650 : 격리망 160, 660 : 세정볼

Claims (16)

  1.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측면이 개방되며, 디퓨저를 포함하는 디퓨저 케이스부;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상기 디퓨저 케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 및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상기 상면과 상기 디퓨저 케이스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정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격리망;을 포함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망은 메쉬 형태이며, 상기 세정볼의 크기는 상기 메쉬보다 큰 침지식 막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세정볼의 크기보다 큰 침지식 막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과 나란하고,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침지식 막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상기 디퓨저의 일부에만 형성된 침지식 막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볼의 비중은 1.1 내지 1.6인 침지식 막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볼은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프론, 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침지식 막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은 제1 멤브레인 모듈 및 제2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 및 상기 제2 멤브레인 모듈은 각각 일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 및 상기 제2 멤브레인 모듈은 각각 타면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형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가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제2 멤브레인 모듈이 체결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홈부는 상기 제1 멤브레인 모듈 및 상기 제2 멤브레인 모듈의 프레임에 위치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10.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이 장착된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디퓨저가 구비된 디퓨저 케이스부;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상기 디퓨저 케이스부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 및 상기 디퓨저 케이스부를 감싸는 격리망; 및
    상기 격리망 내에 위치하는 세정볼;을 포함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망은 메쉬 형태이며, 상기 세정볼의 크기는 상기 메쉬보다 큰 침지식 막분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세정볼의 크기보다 큰 침지식 막분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 케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과 나란하고,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침지식 막분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상기 디퓨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된 침지식 막분리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볼의 비중은 1.1 내지 1.6인 침지식 막분리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볼은 폴리에틸렌, 아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프론, 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침지식 막분리장치.
KR1020100051828A 2010-06-01 2010-06-01 침지식 막분리장치 KR20110132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828A KR20110132039A (ko) 2010-06-01 2010-06-01 침지식 막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828A KR20110132039A (ko) 2010-06-01 2010-06-01 침지식 막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039A true KR20110132039A (ko) 2011-12-07

Family

ID=4550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828A KR20110132039A (ko) 2010-06-01 2010-06-01 침지식 막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20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278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부유물 포집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카세트 장치
WO2019031726A1 (ko) * 2017-08-10 2019-02-14 정우이엔티㈜ 적층형 구조와 세정볼을 이용한 상향류식 mbr 하폐수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278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부유물 포집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카세트 장치
WO2019031726A1 (ko) * 2017-08-10 2019-02-14 정우이엔티㈜ 적층형 구조와 세정볼을 이용한 상향류식 mbr 하폐수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772B1 (ko)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KR101479904B1 (ko) 통수능력이 향상된 분리막 모듈
KR101363015B1 (ko) 막유니트 및 막분리장치
KR101810362B1 (ko) 버블 크기를 이용한 무필터 수처리 장치
CN102596374B (zh) 膜模块、膜单元和膜分离装置
JPH1157426A (ja) 浸漬型膜濾過装置
KR101861283B1 (ko) 수족관
JP2008246357A (ja) 膜分離方法および装置
KR101501998B1 (ko) 막 분리장치
KR20110132039A (ko) 침지식 막분리장치
JP3867481B2 (ja) 浸漬平膜分離装置
JP2007061787A (ja) 分離膜モジュール、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処理方法
KR100544383B1 (ko) 산기관 일체형 중공사분리막 모듈
WO2010101152A1 (ja) 膜分離式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KR20130035415A (ko) 산기부 및 그것을 포함한 여과장치
KR100500488B1 (ko) 침지형 평막 모듈
KR20090066023A (ko) 오·폐수처리용 침지형 평막모듈 세정장치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JP2011189308A (ja) 活性汚泥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1047046A (ja) 膜分離式水処理装置
WO2010134175A1 (ja) 汚水処理装置
JP2007268415A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および造水方法
KR101236550B1 (ko)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KR20120044594A (ko) 분리형 산기 프레임과 공기 챔버를 구비하는 산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