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779A -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779A
KR20110131779A KR1020100051398A KR20100051398A KR20110131779A KR 20110131779 A KR20110131779 A KR 20110131779A KR 1020100051398 A KR1020100051398 A KR 1020100051398A KR 20100051398 A KR20100051398 A KR 20100051398A KR 20110131779 A KR20110131779 A KR 2011013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ll
spring
support plate
mobile termin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준
박상화
임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Priority to KR102010005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779A/en
Publication of KR2011013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7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 tilting stand for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open a supporting board form the surface of a terminal by utilizing an elastic force from an elastic member. CONSTITUTION: A supporting plate(20) is extended as a board shape. A bracket(50) is combined with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board. A stopper is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board. The stopper of the supporting board is matched with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board includes a shaft inserting hole(24), an internal elastic member(36), an external elastic member(32), and a holding hole(28) which holds an elastic member ball(40).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는 DMB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고,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DMB 등을 시청하고자 할 때 단말기를 일정 각도만큼 세울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 부응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자동적으로 틸트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terminal such as a recent mobile phone can watch DMB broadcasting, and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DMB through a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ilt in a vertic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need for a stand-alone terminal support.

무선 통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휴대 전화는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러한 휴대 전화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바 타입, 플립형 및, 폴더형 등) 로 제조되고 있다.Mobile phone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have become a necessity of people, and these mobile phon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bar type, flip type, and folding type) to suit people's preferences.

그러나, 바 타입 휴대 전화는 키 패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키 패드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플립형 휴대 전화에서는 플립으로 키 패드를 덮어서 보호함으로써 바 타입 휴대 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만, 이러한 플립형 휴대 전화의 경우 본체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휴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r type mobile phone has a problem in that the keyp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keypad is easily damaged. In the flip type mobile phone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blem of the bar type mobile phone is solved by covering the keypad with a flip. However, the flip type mobile phone has a long length of the main body,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이와 같이 바 타입 및 플립형 휴대 전화가 갖는 긴 본체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제안된 것이 폴더형 휴대 전화인데, 폴더형 휴대 전화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폴더와 하부 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었다.In order to reduce the length of the main body of the bar-type and flip-type cell phones, a clamshell cell phone is proposed. The clamshell cell phone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a folder during a call or a cell phone. Connecting hinge parts are easily damaged.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가 제안되었고,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전화는 액정 화면이 설치되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lamshell cell phone, a sliding cell phone has been proposed. In the conventional sliding cell phone, a liquid crystal screen is installed.

어 있는 수화부와, 키 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통화부 사이에 슬라이딩 모듈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liding module is installed between the open receiving part and the call part provided with the keypad.

최근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는 DMB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DMB 등을 시청하고자 할때 단말기를 일정 각도만큼 세울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Recently,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can watch DMB broadcasts. Therefore, the reality is that the need for a terminal support that can stand the terminal by a certain angle when you want to watch the DMB, such as through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DMB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모바일단말기를 책상 등에 모바일 단말기를 세워놓고 DMB 등의 시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뒷면에 닫고 펼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lace a mobile terminal on a desk or the like for a user to watch a DMB through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closed and unfold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so as to facilitate viewing of the DMB.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ilt type stan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스탠드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 과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과 결합하는 브라켓 (50) 을 포함하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ilt-type mobile phon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20 extending in a plate shape and a bracket 50 coupl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0,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스토퍼는 브라켓 (50) 의 앞부분의 스토퍼와 맞닫는 구성이고, A stopper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stopper of the support plate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at the front of the bracket 50.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44) 가 끼워지는 샤프트삽입홀 (24) 과 내스프링 (36), 외스프링 (32) 및 스프링볼 (40) 이 끼워지는 걸림홀 (28) 이 형성되고,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20 is formed with a shaft insertion hole 24 into which the shaft 44 is fitted and a locking hole 28 into which the inner spring 36, the outer spring 32, and the spring ball 40 are fitted. ,

상기 브라켓 (50) 이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 밑면의 놓여진 상태에서 샤프트 (44)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고,The brackets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rackets 50 can be rotated by the shaft 44 in the laid stat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상기 브라켓 (50) 의 양측면에 형성된 2 개의 스프링볼이동구 (54) 에 내스프링 (36) 과 외스프링 (32) 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볼 (40) 이 안쪽에서 걸리게 되고, 상기 스프링볼이동구 (54) 는 아래에서 윗쪽 방향으로 개방된 폭이 더 길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개방된 폭의 가장 긴 길이는 스프링볼 (40)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걸림홀 (28) 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볼 (40) 이 상기 브라켓 (50) 의 스프링볼이동구 (54) 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고,The spring ball 40, which is elastically applied by the inner spring 36 and the outer spring 32, is caught by two spring ball moving holes 5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50, and the spring ball is The copper ball 54 is configured to have a longer width from the bottom upward direction, the longest length of the open widt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ring ball 4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28 The spring ball 40 is configured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pring ball moving port 54 of the bracket 50,

상기 지지판 (20) 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브라켓 (50) 의 샤프트걸림공 (56) 에 상기 샤프트 (44) 로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 (44) 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support plate 20 is coupled to the shaft engaging hole 56 of the bracket 50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lo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otated about the shaft 44,

상기 브라켓 (50) 의 양 측면에는 상기 스프링볼 (40) 이 걸리는 스프링볼안착구 (58) 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 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볼 (40) 이 상기 스프링볼안착구 (58) 에 걸려져 있고, 상기 지지판 (20) 을 당기면 상기 스프링볼 (40) 이 상기 스프링볼안착구 (58) 를 이탈하여 상기 스프링볼이동구 (54) 와 맞닫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Both sides of the bracket 50 are configured with a spring ball seating port 58 to which the spring ball 40 is caught, and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 plate 20 is folded, the spring ball 40 is connected to the spring ball seating hole ( 58, the spring ball 40 is separated from the spring ball seating port 58 when the support plate 20 is pu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pring ball moving port 54,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는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uto tilt stand for the mobile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의하면,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단말기의 뒷면에 닫혀진 상태로 있는 경우에 지지판을 아래방향으로 당기면, 지지판의 걸림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볼이 브라켓 양측면의 스프링볼 안착구로 이동하고 맞닫게 되어, 단말기의 뒷면과 평행하게 닫혀져 있던 지지판의 스프링볼이 귀모양의 스프링볼 이동구를 따라서 상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고 결국은 지지판이 열리게 된다. According to the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plate is pulled downward when the auto tilt stand is clos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the spring ball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of the support plate and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bracket. It moves to and closes the spring ball seating holes on both sides, and the spring ball of the support plate, which is closed in parallel with the back of the terminal, automatically moves upward along the ear-shaped spring ball moving hole, and eventually the support plate is opened.

이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볼이 스프링볼 안착구의 폭의 길이가 더 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판이 자동으로 단말기의 표면으로부터 열려지는 효과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of the effect that the spring plate is automatically opened from the surface of the terminal while the spring ball is moved upward in the longer direction of the spring ball seat by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서 지지대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서 지지대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지지대가 틸트되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지지대가 틸트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지지대가 완전히 틸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된 단말기가 서있는 모습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된 단말기가 서있는 입체적인 모습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장점 및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1A to 1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d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closed in the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just before the support is tilted by pushing the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auto-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starts to tilt in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is completely tilted to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exemplary views of a terminal in which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of the terminal is installed with an auto-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s, advantages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의 분해사시도이다.1A to 1C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 이 브라켓 (50) 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지판 (20) 의 앞부분은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지지판의 앞부분 스토퍼는 세워진 상태에서 브라켓의 앞부분의 스토퍼에 걸리는 구성이고, 지지판 (2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44) 가 끼워지는 샤프트삽입홀 (24) 과 직경이 작은 내스프링 (36), 직경이 큰 외스프링 (32) 및 스프링볼 (40) 이 끼워지는 걸림홀 (28) 이 형성된다.1A to 1C,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support plate 20 extending in a plate shape can be rotated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with a bracket 50, and a support plate. The front part of the 20 serves as a stopper, and the front part stopper of the support plate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stopper of the front part of the bracket in a standing state, and the shaft insertion hole 24 into which the shaft 44 is fitted in the front part of the support plate 20. And a locking hole 28 into which the inner spring 36 with a small diameter, the outer spring 32 with a large diameter, and the spring ball 40 are fitted.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50) 의 샤프트걸림공 (56) 과 지지판 (20) 앞부분의 샤프트삽입홀 (24) 에 샤프트 (44) 가 끼워지고, 지지판 (20) 이 브라켓 (50) 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브라켓 (20) 에 형성된 좌우로 길이가 연장된 샤프트 걸림공 (56) 에 샤프트 (44) 가 결합되어, 지지판 (20) 이 샤프트걸림공 (56) 을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샤프트 (44) 의 앞부분은 와셔 (48) 가 끼워져 샤프트 (44) 가 샤프트걸림공 (56) 및 샤프트삽입홀 (24) 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shaft 44 is fitted into the shaft engaging hole 56 of the bracket 50 and the shaft insertion hole 24 at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ort plate 20 is coupled to the bracket 5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rotate up and down. The shaft 44 is coupled to the shaft engaging hole 56 extending in length from side to side formed in the bracket 20, so that the support plate 20 can move from side to side along the shaft engaging hole 56. The front part of the shaft 44 is fitted with a washer 48 to prevent the shaft 4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aft catching hole 56 and the shaft insertion hole 24.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 (20) 의 걸림홀 (28) 내에 삽입되는 내스프링 (36) 과 외스프링 (32) 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볼 (40) 은, 지지판 (20) 이 열리는 경우, 귀모양을 가지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옆으로 개방된 공간의 길이가 늘어나는 구성의 스프링볼이동구 (54) 에 걸리게 된다. 스프링볼이동구 (54) 에서 직경이 가장 큰 곳은 스프링볼 (40)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스프링볼 (40) 이 스프링볼이동구 (54)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pring ball 40 subjected to the elastic force by the inner spring 36 and the outer spring 32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28 of the support plat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ar shape when the support plate 20 is opened. The spring ball moving port 54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space opened laterally is increas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The largest diameter in the spring ball moving hole 54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ring ball 40 to prevent the spring ball 40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spring ball moving hole (54).

본 발명의 지지판 (20) 은 브라켓 (50) 과 샤프트 (44) 로 결합되고, 샤프트 (44) 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지판 (20) 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걸림홀 (28) 에 삽입된 외스프링과 내스프링 (32, 36) 에 의해 텐션을 받는 스프링볼 (40) 이 브라켓 (50) 양 측면의 스프링볼이동구 (54) 의 안쪽에 맞닫게 되는 구성을 한다.The support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racket 50 and the shaft 44, is configured to rotate up and down about the shaft 44, the locking plate 28 while the support plate 20 moves up and down The spring ball 40, which is tensioned by the outer springs and the inner springs 32 and 36 inserted into the spring ball 40,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spring ball moving holes 54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50.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는 단말기 (10) 의 뒷면에 길다란 홈으로 형성된 브라켓안착부 (14) 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단말기 (10) 의 브라켓안착부 (14) 에 조립이 완료된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의 브라켓 (50) 부분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리벳, 접착 등의 종래의 방법에 의한다.
The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assemble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racket seat 14 formed with a long groove on the back of the terminal 10. The method of fixing the bracket 50 portion of the autotilt type stand for mobile terminals which has been assembled to the bracket seating portion 14 of the terminal 10 is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riveting and bonding.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서 지지대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2a to 2d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closed in the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 를 참조하면, 단말기 (10) 의 뒷면 안쪽에 본 발명에 따른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 (20) 만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2b, it can be seen that the auto tilt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back of the terminal 10 and only the support plate 20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도 2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서 지지대가 단말기 (10) 에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샤프트 (44) 가 샤프트걸림공 (56) 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고, 스프링볼 (40) 은 스프링볼이동구 (54) 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왼쪽 밑부분에 위치하는 직경이 스프링볼 (40) 보다 매우 작은 원형의 개방구인 스프링볼안착구 (58) 에 위치하는 구성을 한다. 스프링볼안착구 (58) 는 지지대 (20) 가 접힌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열리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2C,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closed on the terminal 10 in the auto tilt stand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44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haft catching hole 56, and the spring ball 40 ) Is not located on the spring ball moving port 54, and is located on the spring ball seating opening 58, which is a circular opening having a diameter located at the bottom left of the spring ball 40,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spring ball 40. The spring ball seat 58 serves as a stopper that prevents the support 20 from opening upward in the folded state.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서 지지대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지지대가 틸트되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3a to 3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just before the support is tilted by pushing the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auto-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 를 참조하면, 지지판 (20) 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샤프트 (44) 가 도 3c 의 샤프트걸림공 (56) 의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스프링볼 (40) 도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볼안착구 (58) 로부터 이탈을 하고 스프링볼이동구 (54) 로 이동하여 맞닫게 된다.
3A to 3D, when the support plate 2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shaft 44 moves to the right side of the shaft catching hole 56 of FIG. 3C, and the spring ball 40 also serves as a stopper. It is disengaged from the seating opening 58 and moves to the spring ball moving opening 54 to close.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지지대가 틸트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4A to 4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starts to tilt in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지대 (20) 를 이동시켜서 지지대 (20) 의 걸림홀 (28) 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볼 (40) 이 브라켓 (50) 에서 스토퍼 역할을 하는 스프링볼안착구 (58) 로부터 이탈을 하고 스프링볼이동구 (54) 에 맞닫게 되고, 스프링볼 이동구 (54) 의 모양이 상방향으로 개방된 폭의 길이가 길어지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외스프링 (32) 및 내스프링 (36) 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볼 (40) 이 폭의 길이가 길어지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볼 (40) 이 삽입되어 있는 지지판 (20) 도 상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4A to 4D, the spring ball 40,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28 of the support 20 by the user by moving the support 20, has a spring ball seated as a stopper in the bracket 50. Outer spring 32 because it is separated from the sphere 58 and closes to the spring ball moving hole 54, and the shape of the spring ball moving hole 54 is extended in the length of the open width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spring ball 4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inner spring 36 is the length of the width, so that the support plate 20 in which the spring ball 40 is inserted also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automatically Done.

도 5a 내지 도 5d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에 지지대가 완전히 틸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5A to 5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is completely tilted to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 를 참조하면, 지지판 (20) 이 브라켓 (50) 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완전히 스탠드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 5c 를 참조하면, 지지판 (20) 의 걸림홀 (28) 에 삽입되어 외스프링 (32) 및 내스프링 (36) 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볼 (40) 이 브라켓 (50) 의 양측면에 형성된 스프링볼 이동구 (54) 의 최고 윗부분에 이동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대 (20) 의 맨 앞부분이 브라켓 (50) 의 앞부분과 맞닫아 서로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지대 (20) 가 더 이상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5A to 5D, the support plate 20 is completely configured to stand upwar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50. Referring to Figure 5c, the spring ball 4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28 of the support plate 20, the spring ball 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outer spring 32 and the inner spring 36 It is moved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moving tool 54. In this case, since the front part of the support 20 closes with the front part of the bracket 50 to serve as stoppers with each other, the support 20 can no longer move upward.

도 5d 를 참조하면, 지지대 (20) 가 단말기 (10) 에 대해 최대한으로 열려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D, it is shown that the support 20 is opened to the maximum exten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0.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된 단말기가 서있는 모습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된 단말기가 서있는 입체적인 모습의 예시도이다.6A to 6C are exemplary views of a terminal in which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of the terminal is installed with an auto-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단말기 (10) 에 설치되어 열려져 있는 모양의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6A and 6B, there is shown a cutaway view of a shape in which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ned in th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단말기 (10) 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 및 단말기 (10) 의 모델들에 따라 도 6a 또는 도 6b 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를 사용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user's convenience of using the terminal 10 and the models of the terminal 10, an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manner of FIG. 6A or 6B.

도 6c 는 단말기 (10) 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모양의 절단면도이다.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ape viewed from above of a state in which the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10.

도 7 을 참조하면, 단말기 (10) 에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가 설치되는 여러가지 예시가 나타나 있다.
Referring to FIG. 7, various examples in which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10 are show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를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DMB 방송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계속해서 단말기를 손 등으로 붙잡지 아니하고도 편하게 DMB 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auto-tilt type stan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user can easily watch the DMB broadcasting without having to hold the terminal with his hand or the like when watching the DMB broadcasting. have.

또한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뒤면과 평행하게 지지판이 접혀진 상태로 있고, 사용자가 오토틸트형 스탠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지지판을 밀면 지지판이 자동으로 열리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ot using the auto tilt stand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pport plate is folded in parallel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support plate to use the auto tilt stand, the support plate opens automatically. There is.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using specific terms, such description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s work.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 단말기
14: 브라켓안착부
20: 지지판
24: 샤프트삽입홀
28: 걸림홀
32: 외스프링
36: 내스프링
40: 스프링볼
50: 브라켓
54: 스프링볼 이동구
56: 샤프트 걸림공
58: 스프링볼안착구
10: terminal
14: Bracket mounting part
20: support plate
24: shaft insertion hole
28: hanging hole
32: spring
36: spring resistant
40: spring ball
50: bracket
54: spring ball moving device
56: shaft engagement hole
58: spring ball seat

Claims (3)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 과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과 결합하는 브라켓 (50)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스토퍼는 브라켓 (50) 의 앞부분의 스토퍼와 맞닫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44) 가 끼워지는 샤프트삽입홀 (24) 과 내스프링 (36), 외스프링 (32) 및 스프링볼 (40) 이 끼워지는 걸림홀 (28) 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50) 이 상기 지지판 (20) 의 앞부분 밑면의 놓여진 상태에서 샤프트 (44)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50) 의 양측면에 형성된 2 개의 스프링볼이동구 (54) 에 내스프링 (36) 과 외스프링 (32) 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볼 (40) 이 안쪽에서 걸리게 되고,
상기 스프링볼이동구 (54) 는 아래에서 윗쪽 방향으로 개방된 폭이 더 길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개방된 폭의 가장 긴 길이는 스프링볼 (40)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걸림홀 (28) 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볼 (40) 이 상기 브라켓 (50) 의 스프링볼이동구 (54) 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 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브라켓 (50) 의 샤프트걸림공 (56) 에 상기 샤프트 (44) 로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 (44) 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Support plate 20 extended in a plate shape and
It includes a bracket 50 for engaging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0,
A stopper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20,
The stopper of the support plate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ket 50,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20 is formed with a shaft insertion hole 24 into which the shaft 44 is fitted and a locking hole 28 into which the inner spring 36, the outer spring 32, and the spring ball 40 are fitted. ,
The brackets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rackets 50 can be rotated by the shaft 44 in the laid stat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Spring balls 40, which are elastically applied by the inner spring 36 and the outer spring 32, are caught by two spring ball moving holes 5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50,
The spring ball moving port 54 is configured to be longer in the width opening from the bottom upward direction, the longest length of the open width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ring ball 40 to the locking hole 28 The spring ball 40 inserted into the spring ball 40 is not separated from the spring ball moving hole 54 of the bracket 50,
The support plate 20 is coupled to the shaft catching hole 56 of the bracket 50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coupled to the shaft 44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shaft 44,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Tilt type st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50) 의 양 측면에는 상기 스프링볼 (40) 이 걸리는 스프링볼안착구 (58) 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 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볼 (40) 이 상기 스프링볼안착구 (58) 에 걸려져 있고, 상기 지지판 (20) 을 당기면 상기 스프링볼 (40) 이 상기 스프링볼안착구 (58) 를 이탈하여 상기 스프링볼이동구 (54) 와 맞닫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1,
Both sides of the bracket 50 are configured with a spring ball seating port 58 to which the spring ball 40 is caught, and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 plate 20 is folded, the spring ball 40 is connected to the spring ball seating hole ( 58,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upport plate 20 is pulled out, the spring ball 40 is separated from the spring ball seating opening 58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g ball movement opening (54). Tilt type st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는 모바일 단말기의 뒷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 tilt stand for the mobile terminal is an auto tilt stan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100051398A 2010-05-31 2010-05-31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KR201101317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98A KR20110131779A (en) 2010-05-31 2010-05-31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98A KR20110131779A (en) 2010-05-31 2010-05-31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79A true KR20110131779A (en) 2011-12-07

Family

ID=4550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98A KR20110131779A (en) 2010-05-31 2010-05-31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77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6869A (en) * 2019-04-23 2019-09-20 天津冬儒工艺品有限公司 A kind of suspension type handset bracket
KR102339012B1 (en) * 2020-06-23 2021-12-14 주식회사 리어스 Sliding kicksta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6869A (en) * 2019-04-23 2019-09-20 天津冬儒工艺品有限公司 A kind of suspension type handset bracket
CN110266869B (en) * 2019-04-23 2020-11-06 义乌市美杰包装制品有限公司 Hanging type mobile phone support
KR102339012B1 (en) * 2020-06-23 2021-12-14 주식회사 리어스 Sliding kick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95B1 (en) Portable cradle
KR100713411B1 (en) Communication portable device
KR100770858B1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US8352000B2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EP1988691A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243430B2 (en) Cradling device of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EP1926291A2 (en) Sliding/sw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KR100891770B1 (en) Push-up type portable charging cradle with stereo speaker system
KR20070013062A (en) Folding type cradle
KR10064045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10131779A (en) Automatically tilt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CN114844964A (en) Shell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00021394A (en) Tilt type terminal holder
US11509756B1 (en) Headset case with smartphone holder
CN212992380U (en) Stealthy support cell-phone shell with clip
KR100633553B1 (en) Cellularphone accessary and combined cellularphone rest and cellularphone accessary
KR20130007167U (en) A folding type Support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101424938B1 (en) Multipurpose Supporter
KR101142364B1 (en)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104401A (en) Sliding device of a mobile phone
KR100810277B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KR20120012359A (en) Sliding Module for Cell Phone
KR20120056580A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100989924B1 (en) cycloide hinge module
KR100855942B1 (en)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