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668A -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668A
KR20110131668A KR1020100051225A KR20100051225A KR20110131668A KR 20110131668 A KR20110131668 A KR 20110131668A KR 1020100051225 A KR1020100051225 A KR 1020100051225A KR 20100051225 A KR20100051225 A KR 20100051225A KR 20110131668 A KR20110131668 A KR 2011013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wg
channel
wavelength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569B1 (ko
Inventor
명섭 리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Priority to KR102010005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6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12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41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using an equalising unit, e.g. a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42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using automatic gain control [AG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장별 광 스위치, 동적 채널 등화기 기능을 AWG와 가변광 감쇄기 및 광 결합기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입력단과 출력단의 파장 및 전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채널 모니터링 기능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파장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 할 수 있도록 S/W와 연동되어 사용되며, 재구성 가능한 분기결합 다중화망(ROADM Network: Reconfigurable Optical Add/ Drop Multiplexing Network)에 사용되는 재구성 가능한 광분기결합 다중화 장치(ROADM: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의 구성 및 구조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은 이득제어 입출력의 광증폭기와; AWG를 이용한 분기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를 이용한 삽입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와 가변 광감쇄기를 이용한 동적 채널 등화기와;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와; 상기 광증폭기,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 동적 채널 등화기, 광신호 분석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은 재구성이 가능한 광 채널 삽입 및 분기 기능을 가진 광 증폭기 시스템으로, WSS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AWG와 가변 광감쇄기 1X2 결합기가 사용되었으며, 파장 제거기는 AWG와 가변 광감쇄기를 이용하였기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파장 삽입, 분기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DYNAMIC GAIN CONTROL OPTICAL AMPLIFIER SYSTEM WITH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ING NETWORK BASE ON AWG}
본 발명은 AWG(Arrayed Waveguide Gratin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장별 광 스위치, 동적 채널 등화기 기능을 AWG와 가변광 감쇄기 및 광 결합기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입력단과 출력단의 파장 및 전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채널 모니터링 기능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파장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 할 수 있도록 S/W와 연동되어 사용되며, 재구성 가능한 분기결합 다중화망(ROADM Network: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ing Network)에 사용되는 재구성 가능한 광분기결합 다중화 장치(ROADM)의 구성 및 구조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OADM이란 운용자의 개입없이 소프트웨어 명령만으로 회선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OADM 장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특정노드의 특정 채널을 또다른 특정 노드의 특정채널과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는 OADM 장비를 말한다. ROADM 이전의 OADM 장비들은 이것을 하기 위해 모든 작업을 사람이 직접 해야만 했다.
최근에는 IPTV와 같이 유동적인 데이터 통신량이 급증하며, 또한 고객의 수요에 따라 다양하게 네트워크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많이 있기 때문에, 통신사업자들은 쉽게 재구성 가능한 분기결합 다중화 장치(ROADM)을 요구하고 있다. 이 ROADM은 초기 투자비가 기존의 OADM 장비에 비해 많이 들지만, 운용이나 망을 재구성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서 결과적으로는 기존 OADM 장비에 비해 경제적인 이익을 준다고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ROADM 소자 및 장치 구조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보고되고 있다. ROADM을 크게 구분한다면, 스위치 기반의 ROADM과 파장가변 소자 기반의 ROADM으로 나눌 수 있다. Hongyue Zhu와Biswanath Mukherjee가 저술한 "Online Connection Provisioning in Metro Optical WDM Networks Using Reconfigurable OADMs," J. Lightw. Technol.,vol. 23, no. 10, pp. 2893-2901, Oct. 2005. 에는 이러한 구성을 가진 ROADM 등이 기재되어 있다.
파장가변 소자 기반의 ROADM은 Broadcast and Select 구조라고도 불리며, June-Koo Rhee, Ioannis Tomkos, 그리고 Ming-Jun Li가 공동저술한 "A Broadcast-and-Select OADM Optical Network With Dedicated Optical-Channel Protection," J. Lightw. Technol., vol. 21, no. 1, pp. 25-31, Jan. 2003 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스위치 기반 방식의 ROADM을 예시한 것이다. 동작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광선로(100)를 통해서 N개의 서로 다른 파장 신호가 들어온다. 이 신호들은 AWG(Arrayed Waveguide Grating), FBG(Fiber BraggGrating), 혹은 TFF(Thin Film Filter)와 같은 기술로 만들어진 광역다중화기(Demultiplexer)(102)를 통하여 각 파장별로 분리된다. 분리된 각각의 파장신호들은 2x2 광스위치(104)에 의하여 광다중화기(103)로 가든지 혹은 NxN 광스위치(105)로 연결된다. 만약 분기(drop)할 필요가 없는 파장신호라면 2x2 광스위치(104)는 Bar-state가 되어서 파장신호는 광다중화기로 전달된다. 한편 분기할 필요가 있는 신호라면 2x2 광스위치(104)는 Cross-state가 되어서 파장신호를 NxN 광스위치(105)로 보낸다. NxN 광스위치(105)는 ROADM 장치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그 파장신호를 수신기(107) 중의 하나로 연결시킨다. 예들 들어, 수신기(107)는 2x2 광스위치(104)와 NxN 광스위치(105)의 조합 및 상태에 따라서 광역다중화기의 출력(1, 2, ... , N) 중에서 어느 것 하고도 연결될 수 있다.
파장신호의 결합(add)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파장변환기능을 가진 송신기(106)는 운용자가 명령한 대로 파장을 가변할 수 있다. 특정 파장으로 가변된 후, NxN 광스위치(104)를 통해서 2x2 광스위치(104) 중에서 어느 것 하고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2x2 광스위치(104)의 상태는 Cross-state이다. 이렇게 2x2 광스위치(104)와 2개의 NxN 광스위치(104, 105)를 이용하여 어떤 파장의 신호이든지 연결과 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스위치 기반 방식의 ROADM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ROADM도 근본적으로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장비의 한 부류인데, 일반적으로 WDM 장비들은 처음 설치할 때는 채널을 적게 실장해서 사용하다가 트래픽이 늘게 되면 채널을 점차적으로 늘려가는 식으로 운용한다. 그런데, 도 1에서 제시된 스위치 기반의 ROADM 장비의 경우는 ROADM 장비를 처음 설치할 때부터 향후 채널 증설을 고려하여 모든 노드에 NxN Switch(N = 최대 채널 수)를 미리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NxN 광스위치는 매우 고가이며, 기술적으로도 신뢰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ROADM은 Lena Wosinska, Lars Thylen 그리고 Roger P. Holmstrom가 공동저술한 "Large-Capacity Strictly Nonblocking Optical Cross-Connects Based on Microelectrooptomechanical System(MEOMS) Switch Matrices: Reliability Performance Analysis," J. Lightw. Technol.,vol. 19, no. 8, pp. 1065-1075, Aug. 2001에서 발견할 수 있다.
도 2는 Broadcast and Select구조의 ROADM을 예시한 것이다. 동작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서로 다른 파장 신호들이 광선로(200)를 통해서 들어오면, 광커플러(optical coupler)(202)를 통해서 일부는 파장차단기(Wavelength blocker)(204)로 가고 일부는 WSS(Wavelength Selective Switch)(205)로 간다. WSS(205, 206)의 동작원리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포트(300)로 입력되는 파장신호들은 광역다중화기(302)를 거쳐서 각각의 파장신호로 분리된 후 1xN 광스위치(303)로 입력된다. 각 1xN 광스위치(303)는 입력된 각 파장신호를 원하는 출력포트(305)로 보낼 수 있다. 이것을 위해서 각 1xN 광스위치(303)와 광커플러(304)가 도 3과 같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WSS의 기본 원리를 보여주기 위함이며, 실제로는 도 3과 같이 만들지는 않는다. WSS의 실제구성은 Jui-che Tsai과 Ming C. Wu이 공동저술한 "A High Port-Count Wavelength-Selective Switch Using a Large Scan-Angle, High Fill-Factor, Two-Axis MEMS Scanner Array,"J. Lightw. Technol.,vol. 18, no. 13, pp. 1439-1441, JULY. 2006.에서 볼 수 있다.
WSS가 이런 동작을 하기 때문에 도 2에서 수신기(207)는 운용자가 WSS(205)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어떤 파장 신호이든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파장가변 송신기(208)는 WSS(206)를 통하여 임의의 파장 신호를 광커플러(203)에 더해줄 수 있다. WSS(205, 206)는 입출력이 역전가능한 광소자이기 때문에 입력포트를 출력포트로 혹은 그 반대로도 사용가능한 소자이다. 광커플러(203)는 광커플러(202)에서 파장 차단기(204)를 통해서 넘어온 파장신호들과 파장가변 송신기(208)에서 올라온 신호들을 합쳐서 광선로(201)로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결합(add)되는 신호의 파장과 통과(pass-through)되는 신호의 파장이 일치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과되는 신호를 막아줄 필요가 있는데 이 일은 파장 차단기(204)가 한다. 파장 차단기(204)는 특정 파장신호를 통과시키거나 막는 일을 하는 광소자이다. 파장 차단기(204)의 기본원리는 도 4에 도시되어있다. 입력포트(400)로 들어오는 파장신호들은 광역다중화기(401)에 의하여 각 파장별로 분리된다. 각각의 파장신호들은 광스위치(402)에 의하여 전달될 지 혹은 차단될 지가 결정된다. 전달되는 파장신호들은 광커플러(403)에 의하여 합쳐지고 출력포트(404)로 출력되게 된다.
Broadcast and Select 구조의 ROADM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스위치 기반의 ROADM에 비하여 초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과 아울러 장치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채널 증설이 이어질수록 비용증가가 심각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Broadcast and Select 구조의 핵심 소자인 WSS가 고가이며, 현재 상용화된 것은 1xN(N=8) WSS로서 포트수가 비교적 적다.
이것은 예들 들어 32채널 ROADM을 지원하기 위해선32/8=4개의 WSS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 기반의 ROADM과 Broadcast and Select구조의 ROADM은 모두 고가의 광소자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ROADM의 초기 설치 비용이 크며, 채널을 증설할 때의 비용도 매우 부담이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ROADM 초기 설치 비용이 적게 들며, 채널을 증설할 때도 비용 증가가 크지 않아서 통신사업자가 실제로 수용할 만한 현실적인 ROADM 구조의 개발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ADM 장비에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파장 선택 광스위치 및 파장 차단기와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ROADM 기능을 할 수 있도록 AWG와 VOA 및 광결합기 등을 이용하여 파장 삽입 및 분기 기능을 구현 하였으며, 파장 선택 광스위치 및 파장 차단기 등에서 발생하는 광전력의 보상을 위해 이득제어가 가능한 광증폭기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입력과 출력단의 파장 및 전력을 모니터링을 위하여 측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광 채널의 입출력 및 광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S/W 연동기능을 가진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은 이득제어 입출력의 광증폭기와; AWG를 이용한 분기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를 이용한 삽입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와 가변 광감쇄기를 이용한 동적 채널 등화기와;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와; 상기 광증폭기,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 동적 채널 등화기, 광신호 분석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형 또는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는 채널 분기 및 삽입을 위한 파장 선택 스위치 기능을 행하기 위해 상기 AWG의 파장 채널 역다중화기에 1X2 결합기를 가진 구조이며; 상기 1X2 결합기 후단에 연결된 2개의 AWG 파장 채널 다중화기 및; 상기 내부의 AWG에 각 채널 별로 연결된 가변 광 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적 채널 등화기는 광 채널별 차단 및 감쇄량 제어를 위한 동적 채널 등화기능을 행하며; 상기 역다중화 된 채널에 광 감쇄를 위한 채널별 가변 감쇄기를 가진 구조이며; 상기 AWG를 이용한 파장 채널 역다중화기와; 상기 AWG를 이용한 파장 채널 다중화기와; 상기 광 감쇄 기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동적 채널 등화기능을 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는 입력과 출력의 파장에 따른 광전력을 분석하기 위한 OCM을 이용한 입력, 출력 광전력 분석기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은 재구성이 가능한 광 채널 삽입 및 분기 기능을 가진 광 증폭기 시스템으로, WSS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AWG와 가변 광감쇄기 1X2 결합기가 사용되었으며, 파장 제거기는 AWG와 가변 광감쇄기를 이용하였기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파장 삽입, 분기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 기반의 ROADM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Broadcast and Select 기반의 ROADM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장 선택 스위치의 기본원리 도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장 차단기의 기본원리 도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채널 등화기의 구조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의 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의 구조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차단기의 구조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은 광선로에 전송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에서 임의 파장의 광신호를 분기 및 삽입하여 전송하기 위한 재설정이 가능한 파장 삽입 분기 기능을 가진 광증폭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은 이득제어 입출력의 광증폭기와; AWG를 이용한 분기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를 이용한 삽입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와 가변 광감쇄기를 이용한 동적 채널 등화기와;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와; 상기 광증폭기,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 동적 채널 등화기, 광신호 분석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형 또는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는 채널 분기 및 삽입을 위한 파장 선택 스위치 기능을 행하기 위해 상기 AWG의 파장 채널 역다중화기에 1X2 결합기를 가진 구조이며; 상기 1X2 결합기 후단에 연결된 2개의 AWG 파장 채널 다중화기 및; 상기 내부의 AWG에 각 채널 별로 연결된 가변 광 감쇄기를 포함한다.
상기 동적 채널 등화기는 광 채널별 차단 및 감쇄량 제어를 위한 동적 채널 등화기능을 행하며; 상기 역다중화 된 채널에 광 감쇄를 위한 채널별 가변 감쇄기를 가진 구조이며; 상기 AWG를 이용한 파장 채널 역다중화기와; 상기 AWG를 이용한 파장 채널 다중화기와; 상기 광 감쇄 기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동적 채널 등화기능을 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는 입력과 출력의 파장에 따른 광전력을 분석하기 위한 OCM을 이용한 입력, 출력 광전력 분석기능을 행한다.
여기서 광증폭기의 입력측으로 받은 신호를 1X2 광결합기를 이용하여 광신호 분기 기능 또는 전달 기능을 구현하며, 1X2 광결합기에서는 분기된 신호가 후단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동적 채널 등화기 내의 광감쇄기를 이용하여 채널 차단 기능을 가진다. 또한 채널 삽입을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2X1 광결합기 및 AWG를 이용한 파장 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각 입력과 출력측의 광 파장 및 광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광채널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입력단과 출력단의 광증폭기는 이득을 조절하여 최종출력 광파장의 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AWG는 때로는 1X2 파장 선택 스위치(WSS)로 사용하여, 분기 및 삽입 기능을 가지도록 사용되거나, 동적 파장 등화기(DCE)의 기능을 가진다.
광 채널 모니터(OCM)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광학 스펙트럼 분석기(optical spectrum analyzer)의 기본기능인 파장에 따른 광전력을 분석할 수 있는 장비와 비슷한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광증폭기의 입력부와 출력부의 광전력을 분석기능을 갖게 된다.
파장 채널 선택기는 3개의 AWG, 가변 광 감쇄기, 1X2 광결합기를 이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채널 다중화 장치를 이용하여 파장별로 신호를 분리, 이를 1X2 결합기를 통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경로로 채널을 양분하며, 채널의 선택 여부에 따라서 분기신호를 광신호의 감쇄 또는 통과, 상당한 양의 전력을 감쇄하는 형태로 조절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1, 200: 광선로 102, 103, 302, 401: 광역다중화기
104: 2x2 광스위치 105: NxN 광스위치
106, 208: 송신기 107, 207: 수신기
202, 203, 304, 403: 광커플러 204: 파장 차단기
205, 206: WSS 300, 400: 입력포트
303; 1xN 광스위치 305, 404: 출력포트
402: 광스위치

Claims (4)

  1. 이득제어 입출력의 광증폭기와;
    AWG를 이용한 분기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를 이용한 삽입용 1X2 커플러를 이용한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와;
    상기 AWG와 가변 광감쇄기를 이용한 동적 채널 등화기와;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와;
    상기 광증폭기, 분기형 파장 선택 스위치,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 동적 채널 등화기, 광신호 분석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형 또는 삽입형 파장 선택 스위치는
    채널 분기 및 삽입을 위한 파장 선택 스위치 기능을 행하기 위해 상기 AWG의 파장 채널 역다중화기에 1X2 결합기를 가진 구조이며;
    상기 1X2 결합기 후단에 연결된 2개의 AWG 파장 채널 다중화기 및;
    상기 내부의 AWG에 각 채널 별로 연결된 가변 광 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채널 등화기는 광 채널별 차단 및 감쇄량 제어를 위한 동적 채널 등화기능을 행하며;
    상기 역다중화 된 채널에 광 감쇄를 위한 채널별 가변 감쇄기를 가진 구조이며;
    상기 AWG를 이용한 파장 채널 역다중화기와;
    상기 AWG를 이용한 파장 채널 다중화기와;
    상기 광 감쇄 기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동적 채널 등화기능을 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CM을 이용한 광신호 분석부는 입력과 출력의 파장에 따른 광전력을 분석하기 위한 OCM을 이용한 입력, 출력 광전력 분석기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KR1020100051225A 2010-05-31 2010-05-31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KR10111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225A KR101117569B1 (ko) 2010-05-31 2010-05-31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225A KR101117569B1 (ko) 2010-05-31 2010-05-31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68A true KR20110131668A (ko) 2011-12-07
KR101117569B1 KR101117569B1 (ko) 2012-02-29

Family

ID=4550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225A KR101117569B1 (ko) 2010-05-31 2010-05-31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748B2 (en) * 2007-03-23 2010-11-02 Cien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gain control to compensate OSNR penalty caused by side-lobe of MEMS-based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KR100862358B1 (ko) * 2008-04-28 2008-10-13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재구성 가능한 광 결합 분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69B1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134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large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using parallelism
EP2232747B1 (en) Directionless wavelength addition/subtraction using roadm
EP1324523B1 (en)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861968B2 (en)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ing device for enabling totally inresistant colorless
US9520959B2 (en) Optical drop apparatus, optical add apparatus, and optical add/drop apparatus
US7254336B2 (en) Method of seamless migration from scaleable OADM to a network switching node
US8995832B2 (en) Transponder Aggregator-based optical loopback in a MD-ROADM
JP5614129B2 (ja) 光分岐挿入装置
JP5807338B2 (ja) 光伝送装置および光フィルタ回路
US20060098983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JP4344614B2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ノイズ削減
JP5910750B2 (ja) 光分岐結合装置及び光分岐結合方法
KR100875828B1 (ko) 파장가변 레이저를 이용한 재구성 가능한 분기결합 다중화장치 및 방식
WO2013115905A1 (en) Contentionless add-drop multiplexer
KR101117569B1 (ko) Awg에 기반을 둔 재구성이 가능한 분기 결합 다중화 기능이 있는 광 채널 이득 제어가 가능한 광 증폭기 시스템
US20120183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king wavelengths of different spacings within an optical node
Sharma et al. Next-generation ROADM technologies and architecture
KR100862358B1 (ko) 재구성 가능한 광 결합 분기 장치
Collings et al. Optical node architectures
KR100908239B1 (ko) 채널 통과/결합 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oadm노드에서의 채널 통과/결합 방법
Ji et al.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based on bidirectional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Collings Physical layer components, architectures and trends for agile photonic layer mesh networking
KR20080092897A (ko) 파장가변 레이저를 이용한 재구성 가능한 분기결합 다중화장치 및 방법
KR20150139696A (ko) 가변형 광 분기결합 다중화 시스템
EP2028778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