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363A -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363A
KR20110131363A KR1020100050763A KR20100050763A KR20110131363A KR 20110131363 A KR20110131363 A KR 20110131363A KR 1020100050763 A KR1020100050763 A KR 1020100050763A KR 20100050763 A KR20100050763 A KR 20100050763A KR 20110131363 A KR20110131363 A KR 2011013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index
disease
communication termin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승일
박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경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경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경헬스
Priority to KR1020100050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363A/en
Publication of KR2011013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3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servicing the health index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receives health index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d/wireless terminal in desired timing. CONSTITUTION: A user inputs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searches the location information(32c) of a base station. The wire/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searches health index information by region and disease(22a) of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If a region coincides,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generates a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SMS(Short Message Service) or a webpage. The wire/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transmits the short message or the webpage to a navigation terminal in the region. The navigation terminal displays the local-disease health index informa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건강에 관심이 있는 이용자가 구비한 통신단말, 특히 GPS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의 이동통신 단말에 주변 환경에 따른 건강지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by the user interested in health, in particula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navigation, etc. that can receive GP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ealth index service method to provide.

일반적으로, 날씨정보의 제공은 온오프라인의 텔레비전, 라디오나 인터넷 및 신문과 같은 언론 매체를 통해 제공되거나 통신업체의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날씨정보의 이용은 온오프라인의 상기 텔레비전 또는 신문을 보거나 라디오를 듣고, 음성사서함으로 전화를 거는 등의 매체 접속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weather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media such as on-offline television, radio, the Internet, and newspapers, or through a voice mail service of a carrier. In addition, the use of weather information is made through a media connection such as watching the television or newspaper on-offline, listening to the radio, or calling a voicemail.

하지만, 이러한 날씨 정보의 전달 방식은 정보 제공자 및 이용자 모두에 있어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일기를 정확히 원하는 타이밍에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delivery method of the weather information is not only troublesome for both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user,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diary which changes in real time cannot be delivered exactly at a desired timing.

한편, 이용자가 상기와 같은 날씨 정보를 얻으려는 목적 중 하나는 자신이나 주변 사람이 관심 있어 하는 질환에 대한 날씨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purposes for the user to obtain such weather information is because of the large impact of the weather on the disease of interest to yourself or those around you.

또한, 건강한 사람이라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그날의 일기나 혹은 계절의 영향을 직간접으로 받고 있으며, 더욱이 이와 같은 기상환경 변화는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며, 병자에게는 그 경향이 더욱 크게 나타나 증상이 악화 되기도 한다.In addition, even a healthy person mentally and physically i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weather or the seasons of the day. Furthermore, such changes in the weather environment cause various diseases. do.

따라서, 정보 이용자는, 원하는 타이밍에 날씨 정보뿐 아니라 날씨와 연관된 질환정보도 알고 싶어하며, 그 정보를 실외 활동에 활용하고 싶어한다.
Therefore, the information user wants to know not only the weather information but also the diseas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weather at a desired timing, and wants to use the information for outdoor activities.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정보 전달방식으로는, 원하는 타이밍에 질환에 대한 날씨의 영향을 파악하는 일, 또는 날씨에 따른 실외 활동 가능 여부의 판단, 또는 해당 질환에 대한 관심 정보를 취득하는 일 등의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받을 수 없다.
However, a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grasping the influence of the weather on the disease at a desired timing, determining whether outdoor activitie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weather, acquiring information of interest about the disease, and the like. You cannot receive all of the servic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현재 유무선 통신 환경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음에 따라, 유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건강에 관심이 있는 이용자에게 주변 환경에 따른 건강지수 정보와 함께 관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타이밍에 자신이 원하는 지역의 환경 상태를 파악하며, 그 지역에서의 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rapidly developing,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provided to the user who is interested in health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the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it is to provide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ble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status of the desired area at a desired timing, and determine whether the activity in the ar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내장된 지리정보와 상기 GPS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한 지역의 환경정보와 복수의 질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관관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연관관계를 건강지수로서 수치화하여 설정하고, 상기 건강지수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건강지수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지역 입력에 따라, 해당 지역의 건강지수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질환과 관련된 관련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matching the built-in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n the display window;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calculating a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ed regions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eases, and digitizing the calculated relation as a health index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health index from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the health index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a service area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diseases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ogether with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은,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내장된 지리정보와 상기 GPS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한 지역의 환경정보와 복수의 질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관관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연관관계를 건강지수로서 수치화하여 설정하고, 상기 건강지수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건강지수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지역, 질환 및, 연령 입력에 따라, 해당 지역의 상기 질환에 대한 건강지수와, 건강지수 등급과, 실외 활동 가능 여부에 관한 메시지 정보와 함께, 상기 질환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관련정보 항목은, 해당 질환과 관련된 질환정보, 예방법, 주의사항, 좋은음식, 병원정보, 연령별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정보 항목이 해당 질환과 관련된 해당 지역의 좋은음식 및 병원정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질환과 관련된 음식점 및 병원의 지리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matching the embedd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n the display window;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calculating a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ed regions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eases, and digitizing the calculated relation as a health index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health index from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health index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area, a disease, and an age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ease, together with the health index for the disease, the health index level, and message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of outdoor activities in the region;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includes at least one of disease information, prophylaxis, precautions, good food, hospital information, age information, and items related to the disease; If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includes any one of good food and hospital information items of the region related to the disease, the health index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and the hospital associated with the disease is transmitted together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내장된 지리정보와 상기 GPS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한 지역의 환경정보와 복수의 질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관관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연관관계를 건강지수로서 수치화하여 설정하고, 상기 건강지수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건강지수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된 지역을 통신사업자 서버의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와 상기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의 지역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지역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단문 또는 웹페이지 형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matching the embedd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n the display window;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calculating a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ed regions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eases, and digitizing the calculated relation as a health index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health index from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the health index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regio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s selected from a base station of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Search using location information; Searching for health index information for each region-disease stored in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gion of the region-by-diseas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regions match, it provides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for each region-specific disease of the region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or a web pag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반 이용자 또는 특정 질환을 갖는 서비스 이용자가, 유무선의 통신단말(특히, 내비게이션 단말)을 통해 전달되는 건강지수 정보를 원하는 타이밍에 수신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수신하여, 실외활동에 활용할 수 있음에 따라, 실생활을 보다 만족스럽게 영유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general user or a service user having a specific disease receives or automatically receives health index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specially a navigation terminal) at a desired timing, As it can be used, it will be possible to enjoy real life more satisfactor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웹페이지 형태로 이용자의 통신단말(예를 들면, 컴퓨터) 상에 환경정보와 함께 상기 건강지수가 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SMS 또는 MMS 형태의 건강지수 서비스를 통신단말에 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건강지수 단문 서비스 이용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의 (b)는 건강지수 웹페이지 서비스 이용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의 (a)는 통신단말(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통신사업자 서버 또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에 의한 서비스 제공 상황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 순서도,
도 6의 (a)는 통신단말(내비게이션 단말)에 대한 통신사업자 서버 또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에 의한 서비스 제공 상황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b)은 내비게이션 단말에서의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 순서도,
도 7은 매개체 관련 질병전파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을 나타낸 말라리아 전염병 발생 예측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for providing a health index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lth index is provided along with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computer) in the form of a web pag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providing a health index service of the SMS or MMS form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4 (a) is a view showing a health index short service using method,
Figure 4 (b)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using the health index web page service,
FIG. 5 (a)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situation by a service provider server or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5 (b) shows health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dex service flow chart,
6 (a)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situation by a service provider server or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and FIG. 6 (b) shows a health index service in a navigation terminal. Offer flow chart,
FIG. 7 is a graph for predicting malaria epidemic incidence of climate factors on mediator-related disease spread.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란에서는 주요 기능부만 설명하고 있으며, 그 밖의 전송 및 처리를 위한 기능부는 기억, 연산, 처리, 인터페이스, 통신 수단을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 수단의 연동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Hereinafter,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nly the main functional units are described, and other functional units for transmission and processing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interworking with ordinary computer means including storage, arithmetic, processing, interface, and communication means. Therefore, the description is omitted.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for providing a health index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환경정보 수집] - DB화[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DBization

본 발명에 따른 환경정보는, 대기환경정보, 수질환경정보 등을 포함하며, 전국을 복수의 지역(지역 1,2,3....지역 N)으로 구획하며, 각각의 구획으로부터 감지 수단(11)에 의해 수집된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water quality information, etc., and divides the whole country into a plurality of regions (regions 1,2,3 ... region N), and means for detecting from each compartment ( 11) collected by.

상기와 같은 감지에 의해 수집된 환경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환경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공기관(예를 들면, 국토해양부, 기상청) 또는, 날씨정보 서비스 제공사 등의 환경정보 제공서버(10)로 전송된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ing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 such as a public institution (for example,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a weather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through a network. Is sent.

구체적으로는, 환경정보는 상기 감지 수단(11)을 통해 수집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온도계, 풍향계, 풍속계, 습도계, 먼지 포집기 등의 감지 수단(11)으로 측정된 대기환경정보와;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계, 염분을 측정하는 Salinometer, 투명도를 측정하는 Secci disc, pH 농도를 측정하는 pH Meter, 영양염류를 측정하는 Spectrophotometer 등의 감지 수단(11)으로 측정된 수질환경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환경정보 제공서버(1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감지 수단(11)은, 통상의 PDA, 또는 노트북 등과 통합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Specifically,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detection means 11, for example, atmospheric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etection means 11, such as a thermometer, wind vane, anemometer, hygrometer, dust collector;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sensing means (11) such as thermometers for measuring water temperature, Salinometer for measuring salinity, Secci disc for measuring transparency, pH meter for measuring pH concentration, and Spectrophotometer for measuring nutrients, etc. Send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means 1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integrating with a normal PDA or a notebook.

상기 환경정보 제공서버(10)는, 상기 감지 수단(11)으로부터 전송된 각종 환경인자에 따른 측정값을 정보 테이블 형태로 생성하는 환경정보 생성부(13)를 구비하며, 상기 생성부(13)에 의해 생성된 환경정보가 저장되는 DB(12)에는 각 지역별 환경정보 E가, 예를 들면 이하의 표 1과 같은 형태로 저장된다. 한편, 이하의 표 1에 있어서는, 복수의 지역(예를 들면, 경기도 부천, 인천 송도 등)마다, 환경인자(예를 들면, 대기 온도, 대기 습도, 풍속, 풍향, 먼지 농도 등으로 구성)에 따라 분류된 환경정보가 일례로서 나타나고 있으며, 환경인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환경정보는, 지역별-환경인자별-측정값 형태의 테이블로서 저장된다.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 includes an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 for generating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 factors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eans 11 in an information table form, and the generation unit 13. In the DB 12 in whic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generated by is store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E for each region is stored, for example, in the form shown in Table 1 below. On the other hand, in Table 1 below,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e.g., Bucheon, Gyeonggi-do, Songdo, etc.), environmental factors (e.g., composed of air temperature, atmospheric humidity, wind speed, wind direction, dust concentration, etc.) Environmental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bove is shown as an example, and environmental factors may be added in various ways as necessary. That i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stored as a table in the form of region-specific environmental factors-measured values.

지역/환경인자Area / Environment Factor 대기 온도Atmospheric temperature 대기 습도Atmospheric humidity 풍속Wind speed 풍향Wind direction 먼지 농도Dust concentration 수질 Water quality -- 경기도 부천
(지역1)
Bucheon, Gyeonggi-do
(Region 1)
23℃ 23 40%40% 2m/sec2 m / sec 북동풍Northeastern wind 0.32%0.32% -- --
인천 송도
(지역2)
Incheon Songdo
(Region 2)
-20℃-20 ° C 10%10% 1m/sec1 m / sec 남동풍southeaster 0.31%0.31% -- --
-(지역3)-(Region 3) -- -- -- -- -- -- -- -(지역4)-(Region 4) -- -- -- -- -- -- --

[환경(정보)에 영향을 받는 질환정보][Illness Information Affected by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환경인자가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다음과 같다.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health is as follows.

고기압조건에서는 급성 심근경색 발병률이 높고, 1~2월에 뇌출혈로 인한 사망률이 높으며, 7~8월에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 이것은 심한 더위와 추위가 모두 심장과 대뇌를 자극해 혈압을 높이고 나아가서 심장과 대뇌의 부담을 늘이기 때문이다. Under high pressure conditions, the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s high, mortality from cerebral hemorrhage is high in January and February, and mortality from heart disease is high in July and August. This is because severe heat and cold both stimulate the heart and brain, increasing blood pressure and increasing the burden on the heart and brain.

먼지농도 - 석영이나 장석, 규소, 알루미늄이 함유된 0.25~0.5mm정도의 크기를 가진 모래 입자인 황사의 분진은 폐포에 들어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접촉성 결막염 등을 유발한다, 또한 생체기상학에 의하면 황사 현상이 심할 때면 우울증 및 심장질환자가 증가하고 있다.Dust Concentration-Dust of yellow sand, 0.25 ~ 0.5mm in size, contains quartz, feldspar, silicon, and aluminum, enters the alveoli, causes respiratory diseases, and causes contact conjunctivitis. Depression and heart disease are increasing when the yellow dust is severe.

환절기 - 기압의 변화와 기온 일교차도 심한 환절기엔 신체의 감각신경이나 자율신경이 심한 일교차와 건조한 대기 등의 기온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자율신경 증후군, 춘곤증 등이 나타난다. 건조한 날씨와 낮과 밤의 일교차가 10도 이상 나는 날이 지속되면 노약자들의 경우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고, 무균성뇌막염, 코감기를 일으키는 라이노바이러스, 돌 이전의 영아에게 폐렴을 유발하는 RS바이러스 등의 호흡기 질환이 나타나기 쉽다.Seasonal changes-Atmospheric pressure and temperature crossover In severe seasons, autonomic nervous system syndrome and spring disease occur due to the body's sensory or autonomic nervous system failing to adapt to temperature changes such as severe crossover and dry air. When dry weather and day and night crossovers last more than 10 degrees, elderly people are prone to respiratory diseases, aseptic meningitis, rhinoviruses causing colds, and RS viruses that cause pneumonia in pre-dolescent infants. Respiratory disease is likely to appear.

고온 -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불면, 불쾌감, 피로감 증대, 탈진 등의 증상을 초래한다. 이에 대한 인체의 적응 노력은 땀을 분비하고, 말초혈관 확장, 맥박 감소, 소변량 감소 등의 현상이 동반된다. 고온다습하고 통풍이 잘 안 되는 환경에서는 땀띠,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일사병, 무더위로 인한 고온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열사병, 고온환경에서 심한 운동이나 활동, 갑작스러운 자세변화나 장시간 서 있는 것 등이 원인으로 고온에 대한 체온조절 과정에서 혈관계통의 조절에 장애가 있어 발생하는 열탈진, 냉방병 등이 나타난다.High temperature-Blows as the temperature rises, causing symptoms such as discomfort, increased fatigue and exhaustion. The human body's adaptation effort is to secrete sweat, accompanied by phenomena such as peripheral blood vessel expansion, pulse reduction, and urine volume reduction. In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and poorly ventilated environment, heat stroke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sweat bands, direct sunlight, heat radiation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due to heat, severe exercise or activity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sudden changes in posture or long periods of time. It is caused by standing, such as heat exhaustion, cooling disease, etc. caused by impaired control of the vascular system during the body temperature control process for high temperature.

저온 - 기온이 전날보다 섭씨 10도 이상 떨어지면 심장마비 발생 확률이 13% 증가한다. 심장마비가 추운 겨울에 발생하는 이유는 말초혈관이 수축하여 심장박동이 증가하면 관상동맥이 경련을 일으키거나 피딱지 등에 의해 막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녁보다 아침 시간이 더 위험한데 이는 기상과 함께 교감신경이 항진되면서 역시 혈관수축, 심장박동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Low temperatures-If the temperature drops by more than 10 degrees Celsius from the previous day, the chance of a heart attack increases by 13%. Heart attacks occur in cold winters because coronary artery constriction or crusting when peripheral blood vessels contract and increase heart rate. Mornings are more dangerous than evenings because the sympathetic nerves are enhanced with the weather, which also leads to vasoconstriction and an increase in heart rate.

습도 - 건조하면 코나 기관지의 점막이 말라 감기 바이러스가 쉽게 체내로 침투한다. 마르지 않았을 때는 침투하다가 점막에 붙어 버리는데 말라버리면 폐까지 들어오는 것이다. 마른 점막은 작은 자극에도 혈관이 터진다, 그래서 코피가 자주 난다. 또한 건조한 날씨에는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활발하지 않아 피지 분비가 줄어들어 피부 수분함량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등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우며, 건선이나 아토피 피부염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Humidity-Drying causes the mucous membranes of the nose and bronchi to dry, making it easier for cold viruses to penetrate the body. When it's not dry, it penetrates and sticks to the mucous membrane, but when it dries, it's coming to the lungs. Dry mucous membranes burst blood vessels even with small irritations, so nosebleeds often occur. In dry weather,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are not active, so sebum secretion is reduced and skin moisture content drops below 10%, making the skin easier to dry and weakening psoriasis or atopic dermatitis.

그 외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기상과 관련해 증상이 발생하거나 악화, 또는 회복하는 질환군을 기상병(meteorological disease)이라고 하며, 기관지천식, 두드러기, 습진, 좌골신경통, 안면신경마비, 뇌혈전, 장폐색증 및 장중적병, 베젯트증후군 등이 있으며, 기상과의 관련을 검토 중인 것으로는 만성기관지염, 백일 위궤양의 출혈이나 천공, 식중독, 이질, 서혜부(사타구니) 탈장, 각막포진, 류머티즘성 홍채염, 플릭텐(각막염), 수막염, 일본뇌염 등이 있다. A group of diseases that cause, worsen, or recover symptoms related to changing weather is called meteorological disease, and bronchial asthma, urticaria, eczema, sciatica, facial nerve palsy, cerebral thrombosis, intestinal obstruction and enteropathy , Etc., and the relationship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s include chronic bronchitis, bleeding or perforation of gastric ulcers, perforation, food poisoning, dysentery, inguinal hernia, corneal herpes, rheumatoid iris, flictene (keratitis), Meningitis and Japanese encephalitis.

기상병은 기온과 습도의 급격한 변화로 체내에 아세틸콜린이 증가하고 히스타민 혹은 히스타민 비슷한 물질이 동원되어,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고 평활근을 수축시켜서 여러가지 발작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또 이러한 물질은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체내에 수분이 모여서 알레르기성 반응, 염증 반응 등이 증가된다. 기상변화로 유발 혹은 악화하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을 전체적으로 보면 내부 요인으로서 자율신경계나 내분비계의 변화, 또한 이러한 결과로서의 말초혈관의 수축, 감염 저항성 약화, 중추신경계에 대한 큰 성향 등이 공통적인 요인이다.
Meteorological disease is a sudden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increase in acetylcholine in the body and the use of histamine or histamine-like substances, stimulating parasympathetic nerves and contracting smooth muscle, causing a variety of seizures. In addition, since these substances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blood vessels, the body collects moisture, which increases allergic reactions, inflammatory reactions, and the like. Overall, diseases known to be caused or worsened by meteorological changes are common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r endocrine system as internal factors, as well as peripheral blood vessel contraction, weakening of infection resistance, and a large propensity for central nervous system.

상기 환경인자(또는 기후)는 이처럼 사람의 건강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우리들은 자신의 몸을 건강하게 지켜나가기 위해서 이 환경인자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The environmental factors (or climate) are thus affecting a wide range of human health. Therefore, we mus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se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keep our bodies healthy.

[환경정보와 질환과의 연관관계(질환의 발생확률) 산출] - DB화[Calcul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Disease (Probability of Disease)]-DBization

본 발명에 따른 건강지수 서비스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환경정보 제공서버(10)로부터의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건강지수를 산출하며, 이러한 건강지수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전송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health index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health index is calculated by utiliz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 and the health index is transmitted to the consumer terminal. It is made by the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따라서,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는, 상기 환경정보 제공서버(10)로부터의 환경정보와 질환과의 연관관계를 설정하여,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는 정보 가공부(21)를 구비한다. Therefore,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 and the disease, and processing in a form that can be provided to the information user ( 21).

일례로서, 상기 정보 가공부(21)는, 상기 환경정보 E의 각각의 환경인자에 대한 질환과의 연관관계를 설정하여, 정보화하는 건강지수 정보 생성 프로그램(21a)을 구비한다. As an exampl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includes a health index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21a that establishes an association relationship with a disease for each environmental factor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E and makes it information.

이하, 상기 건강지수 정보 생성 프로그램(21a)에 의한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1a)의 생성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환경정보로는, 대기 온도, 대기 습도, 풍속, 풍향, 먼지 농도 등을 환경인자로 해서, 각 지역별로 수집된 측정값 정보를 일례로서 사용하고, 질환으로는 "독감(인플루엔자)"을 예로 든다.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health index information 21a for each region-disease by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generation program 21a will be described. First,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measured value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region is us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using air temperature, air humidity, wind speed, wind direction, dust concentration, etc., and "flu (influenza)" is used as a disease. Take as an example.

통상, "독감"과 같은 질환과 온도와의 연관관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하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임에 따라, 최저 기온을 -40℃로, 최고 기온을 +40℃로 설정하며, 전체 80℃의 범위를 10등분으로 구분하여, -40℃~-32℃의 구간은 10, -31℃~-24℃구간은 9, -23℃~-16℃ 구간은 8, ..... 32℃~40℃ 구간은 1로 지수를 설정한다. 또한, 지수가 클수록 질환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Typ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such as "flu" and temperature is that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incidence increases, and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incidence increases. It is set to + 40 ℃, and the total 80 ℃ range is divided into 10 equal parts, -40 ℃ ~ -32 ℃ section is 10, -31 ℃ ~ -24 ℃ section is 9, -23 ℃ ~ -16 ℃ section Is 8, ..... 32 ℃ ~ 40 ℃ interval is set to 1. It is also assumed that the larger the index,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the disease.

또한, "독감"과 같은 질환과 상기 대기 습도와의 연관관계는, 대기 습도가 20% 이하이면 독감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임에 따라, 최저 습도를 10%로, 최고 습도를 50%로 설정하며, 전체 40%의 범위를 10등분으로 구분하여 10%~13%의 구간은 10, 14%~17%의 구간은 9, 16%~13%의 구간은 8, ....37%~40%의 구간은 1로 지수를 설정한다. 또한, 지수가 클수록 질환(독감)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 such as "flu" and the atmospheric humidity, the incidence of flu increases when the atmospheric humidity is 20% or less, the minimum humidity is set to 10%, the maximum humidity is set to 50%, The entire 40% range is divided into 10 equal parts, with 10% to 13% intervals 10, 14% to 17% intervals 9, 16% to 13% intervals 8, .... 37% to 40% The interval of sets the exponent to 1.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larger the index,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getting a disease (flu).

한편, 상기 풍속, 풍향, 먼지 농도 등의 환경인자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범위를 설정하고, 구획하며, 각 구간마다 건강지수를 설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wind speed, wind direction, dust concentration, and the like are also set in the above ranges and partitioned, and the health index is set for each section.

또한, 실내온도가 5도 일 때 습도가 50%이면 질환의 전파력은 감소하며, 습도가 80% 이상일 때는 습도 0%의 환경에 비해 50% 정도 전파력 감소현상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5 degrees, when the humidity is 50%, the propagation power of the disease is reduced, and when the humidity is 80% or more, the propagation power decreases by about 50% compared to the environment of 0% humidity.

따라서, 독감 발생시, 전파력이 감소하는 적정 온도와 습도는 이하의 표 2와 같다. Therefore,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at which the propagation force decreases when the flu occur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기온Temperatures 습도Humidity 15℃ 이하15 ℃ or less 70%70% 18℃~20℃18 ℃ ~ 20 ℃ 60%60% 21℃~23℃21 ℃ ~ 23 ℃ 50%50% 24℃ 이상24 ℃ or more 40%40%

또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은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특히 기온, 강수량, 습도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바람이나 일조량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라리아는 기온과 강수량, 습도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면역이 미치는 영향만큼이나 관계가 깊다. In addition, mosquito-borne diseases are greatly influenced by climate, especially temperature, precipitation, humidity, etc. are known to have an important effect, and wind and sunshine are also known to affect. Malaria is a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humidity as immunity.

또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은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특히 기온, 강수량, 습도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바람이나 일조량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라리아는 기온과 강수량, 습도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면역이 미치는 영향만큼이나 관계가 깊다. In addition, mosquito-borne diseases are greatly influenced by climate, especially temperature, precipitation, humidity, etc. are known to have an important effect, and wind and sunshine are also known to affect. Malaria is a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humidity as immunity.

기온은 모기가 성충이 되는 시간을 변화시켜 기온이 높아지면서 기간이 단축된다. 알에서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는 기간이 12도에서는 22.8일이 걸리나 29도에서는 7.7일이 걸린다. 즉, 기온이 높아질수록 성충이 되는 기간이 단축되어 모기의 개체수가 증가한다. 또한, 가뭄으로 인한 흉작이 인간의 영양상태를 나쁘게 하여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고, 가뭄으로 말라리아 전염이 줄어들게 되면 인간집단체 집단 면역력이 줄어들게 되어, 결국 사망자수가 증가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Hales et al. 2003).Temperatures change the length of time that mosquitoes become adults, which shortens the period as the temperature rises. It takes about 22.8 days at 12 degrees but it is 7.7 days at 29 degre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shorter the period of adulthood increases the number of mosquitoes. In addition, there is a report that crop failure caused by drought can increase human susceptibility to diseases and increase susceptibility to diseases. If drought reduces malaria transmission, the population immunity of human groups decreases, resulting in increased deaths (Hales). et al. 2003).

또한, 매개체 관련 질병전파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의 2001년도 IPCC 자료는 이하의 표 3 및 도 7과 같다. In addition, the IPCC data for 2001 on the influence of climate factors on mediator-related disease transmission are shown in Table 3 and FIG. 7 below.

기후 요인Climate factor 모기 mosquito 병원균Pathogens 척추동물(쥐)Vertebrate (rat) 기온 증가Increase in temperature - 생존력 감소
- 일부 병원체의 생존력 변화
- 개체수 증가
- 사람과 접촉 증가
-Reduced Survival
-Change in viability of some pathogens
-Increase in population
-Increased contact with people
- 부화율 증가
- 전이계절 증가
- 분포 증가
-Hatching rate increase
-Increased metastasis season
-Increased distribution
- 따뜻해진 겨울은 쥐의 생존에 유리-Warmed winter favors survival of rats
강수량 감소Precipitation reduction - 더러운 물이 고여 있어 모기가 알을 낳을 곳이 증가
- 지속된 가뭄으로 달팽이 수 감소
-Dirty water accumulates, increasing mosquitoes' eggs
-Continued droughts reduce snail count
- 영향 없음.- No influence. - 먹이의 감소로 개체수 감소
- 사람 주변으로 이동하여 접촉 기회 증가
-Reduced population due to reduced food
-Move around people to increase contact opportunities
강수량 증가Precipitation increase - 개체수의 질과 양이 증가
- 습도의 증가로 인한 생존력 증가
- 홍수에 의한 서식지 제거 기능
-Increased quality and quantity
-Increased viability due to increased humidity
-Habitat removal function by flood
- 직접적 영향에 대한 증거 없음.
- 일부 자료에 의하면 말라리아 병원균이 습도와 관계 있음.
No evidence of direct effects.
Some data indicate that malaria pathogens are related to humidity.
- 먹이의 증가로 개체수 증가 가능성이 있음. -There is a possibility of population increase by increase of food.
홍수flood - 홍수는 매개체의 서식지와 전이에 변화를 초래
- 서식지를 쓸어내림.
Floods cause changes in the habitat and transition of the media
-Sweep away habitats.
- 영향 없음. - No influence. - 동물의 배설물에 오염될 수 있음. May be contaminated with animal waste.
해수면 상승sea level rise - 홍수가 소금물에서 알을 낳는 모기가 많아지는 것에 영향을 줌. Flooding affects the growth of mosquitoes that lay eggs in salt water. - 영향 없음. - No influence. - 영향 없음. - No influence.

이와 같이 얻어진 개별 환경정보마다의 건강지수는 평균 처리되며, 질병이 주로 발생하는 시점의 기온을 중심으로 최소 혹은 최대 역치를 산출하고 이후의 기온 영향을 고려하여 기온변화에 따른 질병방생을 예측 수행함으로써, 그 평균 지수가 1~2는 안전, 3~4는 일반, 5~6은 주의, 7~8은 경고, 9~10은 경보의 5단계의 건강지수 등급이 할당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The health index for each individual environmental information thus obtained is averaged, and the minimum or maximum threshold is calcul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when the disease occurs, and the disease occurrence is predic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consideration of the subsequent temperature effects. The average index is assumed to be assigned a safety index of 1 to 2, 5 to 6 for general, 5 to 6 for warning, 7 to 8 for warning, and 9 to 10 for warning.

즉, 상기 표 1에 나타낸 지역1의 환경정보를 참조하면, 온도가 23℃임에 따라 지수는 3이 되고, 습도가 40%임에 따라 지수는 1이 되는 등으로 됨에 따라, 그 평균은 2가 된다. 지역1에 있어서의 "독감"의 건강지수는 2로서, "안전"의 건강지수 등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region 1 shown in Table 1, the index becomes 3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t 23 ° C, the index becomes 1 according to the humidity at 40%, and the average is 2 Becomes The health index of "flu" in area 1 is 2, indicating that it represents a health index rating of "safety".

또한, 상기 표 1에 지역2의 환경정보를 참조하면, 온도가 -20℃임에 따라 지수는 8이 되고, 습도가 10%임에 따라 지수는 10이 되는 등으로 됨에 따라, 그 평균은 9가 된다. 즉, 지역2에 대한 "독감"의 건강지수는 9로서, "경보"의 건강지수 등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region 2 in Table 1, the index becomes 8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20 ° C, the index becomes 10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10%, and the average is 9 Become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ealth index of "flu" for region 2 is 9, indicating a health index rating of "alarm".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정보 가공부(21)에 의해 생성된 환경정보에 따른 각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는, DB(22) 내에 복수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설명의 수치 및 범위는 예로서 설명한 것으로, 실제 적용시에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등급 역시 필요에 따라서 다수의 다른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for each region-diseas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is stor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ables in the DB 2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numerical values and ranges of the above description are described as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ctual application. In addition, the health grade may also be set to a number of other grades as needed.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방법] [How to provide health index service]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에 의해 생성된 각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는 상기 DB(22)에 저장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유무선 통신 사업자 서버(30)를 통해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유무선 통신단말(4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for each region-disease generated by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is stored in the DB 22. In addition, if necessary, it may be provid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30.

여기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유선 통신단말(4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TCP/IP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Notebook), 또는 상기 TCP/IP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단말(예컨대, 셋톱박스 (Set-Top-Box) 등), 또는 TCP/IP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키오스크(KIOSK)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40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is a generic term for all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a TCP /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esktop is connected to the TCP /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 A computer or a notebook, a home appliance terminal (eg, Set-Top-Box) connected to the TCP /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kiosk connected to the TCP /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at least one or more.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Motorola사의 DataTAC 방식 또는 Erricson사의 Mobitex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CDMA 기반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또는 HSDPA 기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통신 단말, 또는 상기 IEEE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 인터넷 단말, 또는 상기 DataTAC/Mobitex 기반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ny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ll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ll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the IEEE 802.16x based portable Internet, or all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Motorola's DataTAC method or Erricson's Mobitex typ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are personal terminals connected to the C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PCS)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erminal or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or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terminal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smartphone ( Smart Phone or Telematics, or HSDPA based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portable Internet terminal connected to the IEEE802.16x-based portable Internet, or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TAC / Mobitex-bas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단말(40)은,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수신기(41a)와, 상기 유무선 통신사업자 서버(30)와 송수신하면서 지리정보 등의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부(41b) 및, 상기 GPS위치정보와 서버(30)로부터 송신되거나 또는 내장된 지리정보를 맵핑(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제어부(41c) 및,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제공 단말(41: 통상 내비게이션 단말이라 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제공 단말(42)은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 또는 사업자 서버(30)로부터의 건강지수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창에 표시하는 건강지수 정보 처리부(41d)를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contents such as geographic information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position receiver 41a capable of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30.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1b for updating,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mapping (match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transmitted or embedded from the server 30 to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on a display window in real time ( 41c)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41 (commonly referred to as a navigation terminal) including 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42 further includes a health index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1d for processing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from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or the operator server 30 to display on the display window. do.

상기와 같은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GIS 및 GPS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무선 통신 사업자서버(30) 또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 자체는 공지된 GPS 및 GIS 정보 사업자의 서버(도시생략)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GIS and GPS system. To this end,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30 or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itself is configured to work with a server (not shown) of known GPS and GIS information providers.

[GIS 시스템][GIS system]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에 수립한 제1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기본계획에 의하여 수치지도 제작사업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완료되었으며, 2001년도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기본계획에 의하여 수치지도 Ver2.0 제작사업 및 기본지리정보 등 국가 기반이 되는 공간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국가 기반 공간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시정보시스템(UIS: Urban Information System), 토지정보시스템(Land Information System), 환경정보시스템(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자원정보시스템(Resources Information System), 지하정보시스템(UndergroundInformation System), 국방정보시스템(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ystem), 재해정보시스템(Disaster Information System), 해양정보시스템(Marine Information System), 지능형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등 국가 모든 산업에 GIS 시스템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In Korea, the digital mapping project was completed in most regions according to the firs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establishment basic plan established in 1995, and the secon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establishment basic in 2001. According to the plan, the government is pursuing a national data-based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ject such as digital map Ver2.0 production and basic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se country-based spatial data, Urban Information System (UIS), Land Information System (Land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Resource) System,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Underground Information System ( GIS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in all industries including Underground Information System,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ystem, Disaster Information System, Marine Information System,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etc. It is utilized.

[GPS 시스템][GPS system]

현재, GPS 수신기로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현 위치의 위치 정보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GPS 시스템이 실생활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위치정보는 위치정보 서비스 사업자에 제공되어, 상기 지리정보 GIS와 연동하여 자동차 및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a GPS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current location by measuring accurate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using a GPS receiver is used in real life. Currently,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with one satellite is wide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is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ar and the ship in conjunction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GIS.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방법(단말간 통신 과정)] [How to use Health Index servic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erminals)]

도 2 및 도 3은 상기 유무선의 통신단말(40) 상에 건강지수 정보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웹페이지 형태로 이용자의 통신단말(40) 상에 환경정보와 함께 상기 건강지수를 제공하는 표시창을 나타내며, 도 3은 SMS 또는 MMS 형태의 건강지수 서비스를 통신단말에 제공하는 표시창을 나타낸다.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of health index information is provid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of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health index together with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of the user in the form of a web page. 3 illustrates a display window for providing a health index service in the form of SMS or MM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유무선 통신단말인 컴퓨터상에서 건강지수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의 (a)의 정보 표시창은, 이용자가 건강지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지역을 입력하는 지역입력 창(1a)과, 복수의 질환명이 표시되는 질환표시부(1b), 상기 건강지수를 수치로 나타낸 건강지수 표시부(1c), 건강지수의 등급을 문자로 나타낸 등급 표시부(1d) 및, 각 질환에 대한 정보, 예방법, 주의사항, 좋은 음식, 질환뉴스, 의료상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관련정보 표시부(1e)가 보인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health index service on a computer which i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of FIG. 2 (a) has numerical values of an area input window 1a for inputting an area where a user wants to receive health index service, a disease display unit 1b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disease names, and the health index. Displayed health index display unit (1c), the grade display unit (1d) showing the level of the health index in text, and related informa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each disease, preventive measures, precautions, good food, disease news, medical consultation, etc. The display section 1e is shown.

먼저, 서비스 이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접속한다. 특히, 날씨환경에 따른 질환정보를 제공받고, 개인마다 다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로그인으로 접속한다. 로그인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20)의 DB(22)에는, 고객의 신상, 특히 현재 질환정보, 가족력, 과거력, 연령, 키, 체중, 거주활동지역 등에 관한 고객정보가 저장된다.First, the service user accesses a site operated by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through the Internet. In particular, to receive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ather environment, to log in to provide individual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For login access, DB 22 of server 20 stores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particularly current disease information, family history, past history, age, height, weight, residential area, and the like.

이어서, 상기 지역입력 창(1a)에 건강지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지역을 입력하고 서비스 요청(1f)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질환표시부(1b)와, 건강지수 표시부(1c), 건강지수의 등급 표시부(1d) 및, 관련정보 표시부(1d)에 해당 정보가 표시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지역 입력과 함께 서비스받고자 하는 질환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질환" 입력창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령" 입력창을 추가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region input window 1a is inputted with the region to which the health index service is to be received, and the service request 1f is performe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ease display unit 1b, the health index display unit 1c, the grade display unit 1d of the health index, and the related information display unit 1d. If necessary, the display window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d input a disease to be served together with the area input. For this purpose, a "disease" input window can be added. In addition, the "age" input window may be added.

상기 "질환" 및 "연령" 입력창의 추가는,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을 위한 신상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때, 자신의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질환" 및 "연령"을 공개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DB(22)에 저장되는 로그인정보(신상정보)는 상기 질환 및 연령 정보를 제외한 정보로써 구성되어야 한다.
The addition of the "disease" and "age" input window is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service user should disclose "disease" and "age" corresponding to his or her privacy when provi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login to the server. will be. Therefore, logi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22 should be configured as information excluding the disease and age information.

한편, 도 2의 (a)에 있어서는, 질환명 "독감"에 대해서, 건강지수가 7이고, 건강지수 등급이 경고이며, 관련정보(1a)로서, 질환정보/예방법/주의사항/좋은음식/병원정보/질환뉴스/의료상담 등의 항목이 표시된 상태가 도시된다. On the other hand, in Fig. 2A, for the disease name "flu", the health index is 7, the health index grade is a warning, and as the related information 1a, disease information / precautions / precautions / good food / The status of hospital information, disease news, medical consultation, etc. is displayed.

여기서, 서비스 이용자는 관련정보를 클릭함으로써, 팝업창 또는 다른 웹페이지 창으로써 제공되는 건강지수 서비스와 관련된 관련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Here, the service user can click on the related information to receive the related information service related to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ed as a pop-up window or another web page window.

예를 들어, 이용자가 상기 관련정보 항목 중 "질환정보" 항목을 클릭하면, 독감에 관한 설명을 포함하는 질환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clicks on a "disease information" item in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disease information including a description of the flu may be provided.

또한, 이용자가 상기 관련정보 중 "예방" 항목을 클릭하면, 독감의 예방법 및 대처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licks on the “preventive” item of the related information, information on how to prevent and cope with the flu may be provided.

또한, 이용자가 상기 관련정보 중 "주의사항" 항목을 클릭하면, 공공기관(예를 들면, 기상청 또는 국토해양부) 또는 연관기관(신문사 또는 방송국 등)에서 발령한 해당 지역과 연관된 주의보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licks on the "Caution" item of the related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advisory related to the relevant area issued by a public institution (for example, the Meteorological Agency or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r a related institution (newspaper company or broadcasting station, etc.) is displayed. Can be provided.

또한, 이용자가 상기 관련정보 중 "좋은 음식" 항목을 클릭하면, 독감과 관련된 좋은 음식 정보 및 해당 지역의 음식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licks on the item “good food” of the related information, good f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u and restaurant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region may be provided.

또한, 이용자가 상기 관련정보 중 "병원정보" 항목을 클릭하면, 독감과 관련된 해당 지역의 병원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licks on the “hospital information” item of the related information, hospital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region related to the flu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관련정보 항목은 GIS시스템과 연동된 지리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질환명 "독감"과 연관된 "좋은음식" 항목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독감에 좋은 추천 음식과 함께, 해당 지역 "서울시/중구/광희동"의 관련 음식점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Meanwhile,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geographic information linked with the GIS system. For example, if a user clicks and selects a "good food" item associated with the disease name "flu," as shown in (b) of FIG. 2, with the recommended food good for the flu, the local "Seoul city / Jung-gu / Related restaurants of "Gwanghui-dong" are displayed on the map and provided to the service user.

상기와 같이 지도서비스와 함께 관련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DB(22)는 각 질환정보와, 해당 질환에 적합한 음식 정보, 해당 지역 음식점 정보 등을 맵핑하여 테이블 형태의 질환-음식-지역 음식점 정보 테이블(22b)로 저장해 두며, 상기 정보 가공부(21)는 상기 GIS 및 GPS 사업자로부터의 지리 및 위치 정보와 상기 DB(22)의 음식 관련 정보를 매핑하는 맵핑 프로그램(21b)을 구비한다. In order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ap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DB 22 maps disease information, food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ease, and local restaurant information by mapping the disease-food-local restaurant information in a table form. Stored in a table 22b,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includes a mapping program 21b for mapping geography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IS and GPS operators and food-related information of the DB 22. FIG.

또한, 이용자가 질환명 "독감"과 연관된 "병원정보" 항목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독감과 관련된 해당 지역 "서울시/중구/광희동"의 독감관련 전문병원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licks and selects the "hospital information" item associated with the disease name "flu", as shown in FIG. Is displayed on the map and provided to the service user.

지도서비스와 함께 병원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DB(22)는 각 질환정보와, 해당 질환에 적합한 전문 병원 정보, 해당 지역 병원 정보 등을 맵핑하여 테이블 형태의 질환-전문병원-지역 병원 정보 테이블(22c)로 저장해 둔다. 이때, 상기 맵핑 프로그램(21b)에 의해 상기 질환에 적합한 전문 병원 정보, 해당 지역 병원 정보 등의 맵핑(매칭)이 수행된다.
In order to provide hospital information with the guidance service, the DB 22 maps the disease information, the specialized hospital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ease, the local hospital information, and the like to form a disease-specialized hospital-regional hospital information table in the form of a table. Save it as (22c). At this time, the mapping program 21b performs mapping (matching) of specialized hospital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disease, local hospital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상기 "관련정보" 항목에는, 서비스 이용자의 연령에 따른 연령별 정보 항목(도시 생략)도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건강지수 등급이 "경고"이고, 상기 DB(22)에 저장된 이용자 개인정보의 연령이 "50세"인 경우, 예를 들면 "실외 활동 금지" 등의 텍스트, 그림 및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외 활동 가능 여부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이용자 단말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may also include an age-specific information item (not show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ervice user. For example, the health index level is "warn", and the user personal stored in the DB 22. When the age of the information is "50 years old",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deliver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ther the outdoor activity consisting of text, pictures, and voice, such as "outdoor activities prohibited".

[무선 통신단말(40)에서의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방법] [How to use health index ser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한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서비스에 가입을 행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the health index service, the application must be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subscribed to the service.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설치시,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현재 질환정보, 가족력, 과거력, 연령, 키, 체중, 거주활동지역 등에 관한 고객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installing such an application, the service user can provide the server with customer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disease information, family history, past history, age, height, weight, residential area, and the like.

도 3의 (a)는 무선의 통신단말(GPS 기능을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 상에서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서비스 이용요청을 한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자가 무선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a)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health index services provid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GPS function), the health index service user who requested the service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ate of receiving information is shown.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의한 건강지수 서비스에 따르면, 이동하는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달하였을 경우 GPS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지역의 환경인자와 건강지수 공식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질환의 건강지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되므로, 사전에 적합한 예방 조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health index service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ving user reaches the destin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GPS, the consumer wants to be provided by us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health index formula of the area Since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of the disease is provided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take appropriate preventive measure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비스에 따르면, 건강지수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여행 또는 이동하려고 하는 목적지의 건강지수를 미리 확인하여, 목적지의 질환 환경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한 여행 및 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subscribed to the health index service can check in advance the health index of the destination to be traveled or mo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properly prepare for the disease environment of the destin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travel and travel safe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비스에 따르면, 건강지수와 함께 보건 당국에 보고되는 지역병원 의무보고 전염병을 도식화하여, 지역에 따른 전염병 확산정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아폴로 눈병과 같이 특정 연령대에 전염률이 높은 전염병에 대해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pping the health hospital with the health hospital reporting the mandatory reporting of the local hospital, by providing a real-time spread of epidemics according to the region, the infection rate for a certain age, such as Apollo eye diseas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prepared for high infectious diseas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비스에 따르면, 소정 연령 이상, 예를 들어 50세 이상의 부모님 또는 특정 질환자의 경우 3시간 간격으로 변화되는 건강지수를 정보를 받아 올바른 헬스케어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ent or a certain disease of a certain age or more, for example, 50 years or older has the advantage of receiving the correct health car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ealth index changes every three hour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비스에 따르면, 목적지에 이동한 후 갑작스런 질병 발생이 의심될 경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서, 근처의 적합한 병원정보와 함께 대처요령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후 발생 된 질병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sudden illness is suspected after moving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the appropriate hospital information, along with appropriate hospital information nearby, after the occurrence There is an advantage to deal with the disease.

한편, 상기 도 3의 (a)의 통신단말의 표시창에는, 건강지수 서비스로서, 질환명, 건강지수 등급 및 건강지수가, "독감지수 : 위험(7)"로서 표시되고 있다. 또한, "주의사항"으로서, 독감에 대한 대처 요령이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이외의 다른 항목을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isplay windo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a), as the health index service, the disease name, health index grade and health index are displayed as "flu index: risk (7)". In addition, as a "precaution", measures for dealing with the flu are indicated in letters. If necessary, items other than the above can be further transmitted.

여기서, 이와 같은 S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유무선 통신 사업자(30)는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의 정보 테이블(22a,b,c)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지역별 건강지수 단문을 형성하는 단문 생성부(31)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능은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에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단문 생성부에서 생성된 단문 정보는 DB(32)에 단문 정보(32a)로서 저장된다.
Here, in order to provide such an SMS servic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30 receives the information tables 22a, b, and c of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to form a health index for each region in real time. And a short sentence generating unit 31 to be provided. Such a func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The shor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hort text generation unit is stored in the DB 32 as the short information 32a.

도 4의 (a)를 참조로 한 건강지수 단문 서비스 이용방법은 이하와 같다. The method of using the health index short service with reference to FIG. 4 (a) is as follows.

상기와 같은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 환경에 무선 통신단말(40)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서비스 이용자는, 먼저 단문 메시지로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를 받고 싶은 지역을 입력한다(S41). A service user who accesses the abov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first inputs an area in which the health index service is desired to be received in a short message (S41).

이러한 입력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20) 또는 상기 통신 사업자서버(30)는 DB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건강지수 단문 정보를 해당 서비스를 요청한 무선 통신단말(40)로 전송한다(S42). According to this input,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 or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30 transmits the health index shor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stored in the DB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S42).

한편, 상기 단계 S41에 따라, 상기 서버(20) 또는 서버(30)는 질환 입력창을 전송할 수 있다(S41a). 서비스 이용자가 서버로부터 전송된 질환 입력창에서 건강지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질환을 선택하면, 이에 따라 상기 서버는 해당 질환에 대한 건강지수 단문 정보(예를 들면, "독감"에 대한 등급, 건강지수를 포함한 단문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42). Meanwhile, according to the step S41, the server 20 or the server 30 may transmit a disease input window (S41a). When the service user selects a disease that he / she wants to receive the health index service from in a disease input window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accordingly selects the health index short information (eg, the “flu” rating or health index for the disease). Short information including a) will be transmitted (S42).

또한, 상기 단계 S41에 따라, 상기 서버(20) 또는 서버(30)는 질환 관련정보 입력창을 전송할 수 있다(S41b). 서비스 이용자가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입력창에서 원하는 관련정보(예를 들면, 질환정보, 예방법, 주의 사항, 좋은 음식 병원 정보, 연령정보)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상기 서버는 해당 질환에 대한 건강지수 단문 정보(예를 들면, "독감"에 대한 등급, 건강지수, 관련정보를 포함한 단문 정보)와, 실외 활동 가능 여부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42).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ep S41, the server 20 or server 30 may transmit a disease-related information input window (S41b). When the service user selects the relevant information (eg, disease information, preventive method, precautions, good food hospital information, age information) from the input window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accordingly, the health index for the disease Short information (for example, short information including a "flu" rating, health index, and related information), and a warning message about the availability of outdoor activities is transmitted (S42).

한편, 상기와 같은 건강지수 단문 정보에는 지도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lth index shor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may also include map information.

또한,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의 통신단말(이동통신 단말) 상에 상기 도 2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웹 페이지 형태로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단문 메시지로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to (d) of FIG. 3, the health index in the form of a web page as shown in (a) to (c) of FIG. 2 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You can also provide services. In addition, the health index ser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웹 페이지 형태로 무선 통신단말에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유무선 통신 사업자(30)는 웹 페이지 생성부(33)를 구비한다. 한편, 이러한 기능(33)은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정보 가공부(21)는 웹페이지 생성 프로그램(21c)을 구비한다. 상기 웹 페이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웹 정보는 DB(32)에 웹페이지 정보(32b)로서 저장된다.
In order to provide the health index servic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 web pag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30 includes a web page generation unit 33. On the other hand, such a function 33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for this purpos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 is provided with a web page generation program (21c). The web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eb page generation unit is stored in the DB 32 as web page information 32b.

도 4의 (b)를 참조로 한 건강지수 웹페이지 서비스 이용방법은 이하와 같다. The health index web page service using method with reference to FIG. 4 (b) is as follows.

먼저,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 환경에 무선 통신단말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서비스 이용자는, 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20)의 사이트에 직접 또는 로그인으로 접속한다(S41'). First, a service user who accesses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s directly to the site of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20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or by logging in (S41 ').

이러한 접속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20)는 건강지수 지역 및/또는 질환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입력창을 서비스를 요청한 무선 통신단말(40)로 전송한다(S42').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 transmits an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selecting a health index region and / or diseas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requesting the service (S42 ').

이어서, 상기 이용자는 지역 및/또는 질환의 정보 입력창을 입력하며, 이에 따라 질환별-건강지수 정보(건강지수 및 등급 포함)가 서버로부터 통신단말(40)로 전송된다(S43'). Subsequently, the user inputs a region and / or disease information input window, and accordingly, disease-specific health index information (including health index and grade)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S43 ').

한편, 상기 단계 S43'에 따른 건강지수 정보 전송과 함께, 관련정보 선택창이 통신단말(40)로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step S43 ', the relevant information selection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이어서, 상기 이용자는 상기 관련정보 선택창을 선택 입력함에 따라, 원하는 관련정보를 서버(20)로부터 전송받는다(S44').Subsequently, as the user selects and inputs the relevant information selection window, the user receives the desired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S44 ′).

한편, 상기 관련정보 입력 창에서, 이용자는, 예를 들면 질환정보, 예방법, 주의 사항, 좋은 음식 병원 정보, 연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related information input window,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of disease information, preventive method, precautions, good food hospital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무선 통신단말에서의 실시간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Real-time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무선 통신단말(40)에 대해서는, 상기 SMS, MMS 및 웹페이지 형태의 건강지수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현재의 통신단말(특히,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 환경에 있어서는, 복수의 셀(cell)로 각 지역이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통신단말(40)이 위치됨에 따라, 해당 셀의 기지국(B)으로부터 통신 사업자의 서버(30)로 통신단말 검지신호(S)가 송신되며, 통신단말(40)이 상기 복수의 셀을 통해 이동할 때마다, 각 셀의 담당 기지국을 통해 검지신호가 서버(30)로 송신되고 있다. 한편, 상기 서버(30)의 DB에는 각 기지국의 위치 정보(32c)를 포함하고 있다.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0 may provide the health index service in the form of SMS, MMS and web page in real time. That i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current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ach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ells.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ion signal S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B of the cell to the server 30 of the communication operator, and each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moves through the plurality of cells, the base station in charge of each cell is transmitted.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 via. The DB of the server 30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32c of each base station.

따라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단말(40)의 이용자가 상기 각 셀(cell 1 내지 4)을 경유해서 이동할 때, 위치되는 해당 기지국으로부터의 검지신호(S)를 수신한 사업자 서버(30)는, 통신단말(40)의 실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셀(cell 1 내지 4)에 해당하는 건강지수 서비스의 단문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moves through each of the cells 1 to 4, the detection signal S from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located is received. The operator server 30 may grasp the actual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in real time, and may provide a short message or a web page of the health index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ells 1 to 4.

즉, 상기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테이블(22a)이 상기 DB(22)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버(3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검지신호(S)에 따라, 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셀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DB(22) 내의 정보테이블(22a) 중에서 상기 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테이블(22a)을 선택하여, 상기 통신단말(40)의 현재 위치에 따른 건강지수 서비스용 단문 및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table 22a for each region-disease is stored in the DB 22, the server 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S) from the base sta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ell Location), and select the region-by-disease health index information table 22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information table 22a in the DB 22, and select the current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Create short text and web pages for health index services based on location.

한편, 통신단말에 실시간으로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DB(32)의 위치 정보(32c)와, 상기 DB(22) 내의 복수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 테이블(22a) 중 해당하는 어느 하나와의 매칭을 위한 정보 매칭부(34)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정보 매칭부(34)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구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vide a health index ser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any of the position information 32c of the DB 32 and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table 22a of each region-disease-specific disease in the DB 22. An information matching unit 34 for matching with one is further provided. The information matching unit 34 may be implemented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자가 지역입력 창(1a)에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현재 위치한 지역의 건강지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the health index service user does not input in the region input window 1a, the health index service of the region where he is currently located can be provided.

필요에 따라서,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는 MMS, SMS메시지 또는 웹페이지는 주기적으로 제공되거나, 각 셀 간을 이동할 때마다 제공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health index service may be provided periodically MMS, SMS messages or web pages, or move between each cell.

도 5의 (b)에 있어서는,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이 위치된 지역을 통신사업자 서버의 기지국 위치 정보(32c)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32c)와 상기 복수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비교하여, 지역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단문(MMS, SMS) 또는 웹페이지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가 도시되고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5, searching for a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32c of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in an area wher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and a plurality of area-specific health indices stored in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Retrieving information 22a, comparing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32c with the plurality of regional-diseas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and determining whether the regions match. In this case, the step of generating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for each region-specific disease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MMS, SMS) or a web p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llustrated.

한편, 상기와 같은 통신단말(40)의 이용자는 상기 전송된 단문메시지 및 웹페이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as described above may fail to check the transmitted short message and the web pag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통신단말(40)은 건강지수 등급에 따라, 시각 또는 음향 신호를 통신단말(40)의 이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서버(30 또는 20)는 상기 단문 또는 웹페이지 전송과 함께 상기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테이블(22a) 내의 건강지수의 등급(안전, 일반, 주의, 경고, 경보 중 어느 하나)을 확인하는 등급 확인부(35)를 더 구비하며, 상기 통신단말(40)은 상기 등급 확인부(35)로부터 등급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구비되는 표시창 또는 진동수단 및 스피커를 통해 팝업 또는, 진동, 음성 등의 경보를 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visual or sound signal to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according to the health index rating. That is, the server 30 or 20 may send the short text or the web page together with the health index in the region-specific disease index information table 22a (any one of safety, general, caution, warning, and alarm). Also provided with a rating check unit 35 to check,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 receives a rating signal from the rating check unit 35, pop-up or vibration, via a display window or vibration means and a speaker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to sound an alarm such as a voice.

[내비게이션(41)에서의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방법][How to use health index service in navigation (41)]

이하, 상기 내비게이션에서의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단말(41)은,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수신기(41a)와, 상기 유무선 통신사업자 서버(30)와 송수신하면서 지도정보 등의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부(41b) 및, 상기 GPS위치정보와 서버(30)로부터 송신되거나 또는 내장된 지리정보를 맵핑(매칭)하여,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지도상에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제어부(41c) 및,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제공 단말(41: 통상, 내비게이션 단말이라 함)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health index service in the navigation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terminal 41 can update contents such as map information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location receiver 41a capable of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s and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30. A display for mapping (match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r embedded in the server 30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n a map in real time on a map. And a control unit 41c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terminal 41 (commonly referred to as a navigation terminal) including a storage device.

따라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41)은, 상기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지리정보 상에 단말의 위치를 맵핑(매칭)함으로써, 지도상의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41)이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단말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도 6의 (a) 참조).
Therefore, the navigation terminal 41 can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by mapping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n the map. . In addition, as the terminal 41 is mounted on the vehicle and mov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at changes in real time can be confirmed on a map (see FIG. 6A).

한편, 상기와 같은 내비게이션 단말(41)은, 송수신부(41b)를 매개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30 또는 20)에 접속되어, 상기 건강지수 정보 및 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navigation terminal 41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server 30 or 2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via the transceiver 41b to receive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건강지수 정보 및 관련정보는 상기 표시제어부(41c)에 의해 처리되어, 표시창 상에 지도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may be process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41c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together with the map or independently.

일례의 표시 방법으로서는,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수단으로 출발지(예를 들면, 지역1: 경기도 부천) 및 목적지(예를 들면, 지역 2: 인천 송도)를 입력함에 따라, 지리정보와 함께 출발지 및/또는 목적지의 건강지수 정보가 상기와 같은 단문 형태 또는 웹페이지 형태로 내비게이션 단말(41)에 제공될 수 있다. As an example display method, as the service user inputs a starting point (for example, region 1: Bucheon, Gyeonggi-do) and a destination (for example, region 2: Songdo, Incheon) by input means not shown in the draw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Together,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 or the destination may be provid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41 in the form of a short page or a web page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송수신부(41b)를 통한 건강지수 정보 및 관련정보의 수신은, 일반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는, 상기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이동 통신단말(40)의 기지국과 연동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reception of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and th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41b, in the case of moving by using a general road, a wireless 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can be implemented using.

한편, 도 6의 (b)에는, 서비스 이용자가 내비게이션 단말에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는 지역 입력단계와, 이 입력 정보가 상기 송수신부(41b)를 통해 상기 서버(30)로 전송됨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이 위치된 지역을 통신사업자 서버의 기지국 위치 정보(32c)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32c)와 상기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의 지역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단문 또는 웹페이지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단문 또는 웹페이지 형태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와 함께, 지리정보 및 GPS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내비게이션 단말에서의 건강지수 서비스 이용방법이 도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b) of FIG. 6, the service user inputs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to a navigation terminal, and as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1b, A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an area where the navigation terminal is located by using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32c of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and searching for a plurality of regional-diseas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stored in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32c and the region of the region-specific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if the regions match, the region-specific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of the corresponding region. )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or a web page, and transmitt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by region-disease in the form of the short text or web page. There is shown a method of using the health index service in the navig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또한,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건강지수 정보 및 관련정보는, 내비게이션 단말을 부착한 차량이 요금소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요금소에 구비된 인식기(예를 들면, 하이패스 또는 교통카드 등의 카드 인식기)를 통해서, 서버로부터 차량의 내비게이션 단말(41)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요금소의 서버는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20 또는 30)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moving on a highway,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by a vehicle equipped with a navigation terminal as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toll booth, such as a card such as a high pass or a traffic card. Via a recognizer, i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navigation terminal 41 of the vehicle. To this end, the server of the toll booth may be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the server 20 or 30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의 GPS 기능은 현재 스마트폰에도 적용되고 있음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도 상기와 같은 각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GPS func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is currently applied to a smart phone, each of the above process can be made even with a smart phone.

10 - 환경정보 제공서버, 20 -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
30 - 통신사업자 서버, 40 - 통신단말,
22a -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테이블,
22b - 질환-음식-지역 음식점 정보 테이블,
22c - 질환-전문병원-지역 병원 정보 테이블,
32a - 단문 정보, 32b - 페이지 정보,
32c - 기지국의 위치 정보.
10-server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20-server for providing health index service,
30-service provider server, 40-communication terminal,
22a-Health index information table by region and disease,
22b-disease-food-local restaurant information table,
22c-disease-specialized hospital-regional hospital information table,
32a-short information, 32b-page information,
32c-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laims (8)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내장된 지리정보와 상기 GPS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한 지역의 환경정보와 복수의 질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관관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연관관계를 건강지수로서 수치화하여 설정하고, 상기 건강지수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건강지수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지역 입력에 따라, 해당 지역의 건강지수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질환과 관련된 관련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matching built-in geographic information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n a display window;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calculating a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ed regions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eases, and digitizing the calculated relation as a health index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health index from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health index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ervice area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urality of diseases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ogether with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of the area.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내장된 지리정보와 상기 GPS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한 지역의 환경정보와 복수의 질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관관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연관관계를 건강지수로서 수치화하여 설정하고, 상기 건강지수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건강지수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지역, 질환 및, 연령 입력에 따라, 해당 지역의 상기 질환에 대한 건강지수와, 건강지수 등급과, 실외 활동 가능 여부에 관한 메시지 정보와 함께, 상기 질환과 관련된 관련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관련정보 항목은, 해당 질환과 관련된 질환정보, 예방법, 주의사항, 좋은음식, 병원정보, 연령별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정보 항목이 해당 질환과 관련된 해당 지역의 좋은음식 및 병원정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질환과 관련된 음식점 및 병원의 지리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matching built-in geographic information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n a display window;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calculating a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ed regions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eases, and digitizing the calculated relation as a health index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health index from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health index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ervice area, the disease and the age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ease, together with the health index, the health index grade, and message information on the outdoor activity availability of the disease in the region; Transmi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includes at least one of disease information, prophylaxis, precautions, good food, hospital information, age information, and items related to the disease; If the related information item includes any one of good food and hospital information items of the region related to the disease, the health index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and the hospital associated with the disease is transmitted together Way.
GPS위성으로부터의 GPS위치정보를 수신하며, 내장된 지리정보와 상기 GPS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위치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지역의 복수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한 지역의 환경정보와 복수의 질환 중 어느 하나와의 연관관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연관관계를 건강지수로서 수치화하여 설정하고, 상기 건강지수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건강지수를 수신하도록 된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된 지역을 통신사업자 서버의 기지국 위치 정보(32c)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상기 건강지수 서비스 제공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검색하며;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32c)와 상기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의 지역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지역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를 단문 또는 웹페이지 형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matching built-in geographic information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on a display window;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calculating a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ed regions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eases, and digitizing the calculated relation as a health index A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health index from a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health index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earching for an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by using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32c of a service provider server;
Retrieving a plurality of regional-diseas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stored in the health index service providing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32c) and the region of the region-specific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coincide with each other;
If the region is matched, the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for each region-specific disease of the region in the form of a short text or a web pag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관계는 환경정보에 따른 질환의 발병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rrelation is an incidence rate of a disease accord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지수와 함께, 안전, 일반, 주의, 경고, 경보의 5단계의 등급으로 이루어지는 건강지수 등급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health index, which is composed of five levels of safety, general, caution, warning, and alarm,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the health index. How Health Index Is Served.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지역 입력은 출발지 및 목적지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area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ource and destination inpu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입력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한 주의보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The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dvisory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area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inp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질환별 건강지수 정보(22a)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건강지수 서비스 방법.


4. The health index servic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lth index information (22a) for each region-disease is transmitted periodically.


KR1020100050763A 2010-05-31 2010-05-31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KR201101313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763A KR20110131363A (en) 2010-05-31 2010-05-31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763A KR20110131363A (en) 2010-05-31 2010-05-31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363A true KR20110131363A (en) 2011-12-07

Family

ID=4549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763A KR20110131363A (en) 2010-05-31 2010-05-31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36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8994A (en) * 2013-11-28 2014-03-05 南京守护宝信息技术有限公司 Positioning warning method based on Bluetooth
KR20170108583A (en)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nalyzing health signal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8994A (en) * 2013-11-28 2014-03-05 南京守护宝信息技术有限公司 Positioning warning method based on Bluetooth
KR20170108583A (en)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nalyzing health signal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 and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Prevalence of pollen‐induced allergic rhinitis with high pollen exposure in grasslands of northern China
US20210120394A1 (en) Social media content for emergency management
KR20110131362A (en) Health index service method
US20190205345A1 (en) Social networking aggregator to track illnesses
Olson et al. Deforestation and malaria in Mancio Lima county, Brazil
US9141918B2 (en) User contribution based mapping system and method
US8036632B1 (en) Access of information using a situational network
Touray et al. Spatial analysis of tuberculosis in an urban west African setting: is there evidence of clustering?
US20070112511A1 (en) Mobile geo-temporal information manager
Liao et al. Spatial-temporal mapping of hand foot and mouth disease and the long-term effects associated with climate and socio-economic variables in Sichuan Province, China from 2009 to 2013
Paul et al. Fatalities caused by hydrometeorological disasters in Texas
Edwards et al. The effect of proximity on park and beach use and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adolescents
Mishra et al. Spatio-temporal drought assessment in Tel river basin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GIS
Qiu et al. Effect modification of greenness on temperature-mortality relationship among older adults: a case-crossover study in China
Earnest et al. Spatial analysis of ambulance response times related to prehospital cardiac arrests in the city-state of Singapore
Ortega Rosas et al. Fungal spores and pollen are correlated with meteorological variables: effects in human health at Hermosillo, Sonora, Mexico
Field et al. Who gets to what?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in two New Zealand cities
Lai et al. The impact of air quality on respiratory admissions during Asian dust storm periods
KR20110131363A (en) Health index service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Pope et al. The relationship of high PM2. 5 days and subsequent asthma-related hospital encounters during the fireplace season in Phoenix, AZ, 2008–2012
Cates et al. Impact of dual-polarization radar technology and Twitter on the Hattiesburg, Mississippi tornado
US202100419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iveability and health index
Laschewski et al. Weather-related human outdoor behavior with respect to solar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 in a changing climate
Ramanpong et al. A retrospective analysis of injury cases for visitor risk management in a nature-based touristic destination
Salehi et al. Spatial modeling of malaria incidence rates in Sistan and Baluchistan province, Islamic Republic of Ir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