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000A - A shoes sole - Google Patents

A shoes s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000A
KR20110130000A KR1020100049396A KR20100049396A KR20110130000A KR 20110130000 A KR20110130000 A KR 20110130000A KR 1020100049396 A KR1020100049396 A KR 1020100049396A KR 20100049396 A KR20100049396 A KR 20100049396A KR 20110130000 A KR20110130000 A KR 2011013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foot
spike
sho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주) 경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풍 filed Critical (주) 경풍
Priority to KR102010004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000A/en
Publication of KR2011013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shoe sole having a right and left asymmetry structure is provided to prevent slip on a curve track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 CONSTITUTION: A shoe sole having a right and left asymmetry structure comprises: spike protrusions(10) which are concentratedly arranged in the left of an outsole; and slip prevention protrusions(20) formed through the whole bottom surface. Two to three spik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front of the outsole. Five to seven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left of the outsole. Two to four spik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right of the outsole.

Description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A SHOES SOLE}Shoe sole with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 SHOES SOLE}

본 발명은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밑창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 돌기를 바닥면 전체에 형성함과 아울러 스파이크 돌기는 좌발 및 우발의 각각 동일한 일측지점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신발의 좌발 및 우발 바닥면이 상호 비대칭 상태를 이루도록 한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non-slip protrusio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in the entire bottom surface, and the spik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ame one sid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respectively. It relates to a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oot surface of the shoe is symmetrically arranged so as to be concentrated.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용, 산악용, 신체교정용 및, 각종 스포츠용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에 맞춰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상기 신발은 피혁이나 인조 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바닥면에 접지되면서 미끄럼을 방지함과 아울러 쿠션력을 제공하는 안창(insole)과 중창(midsole) 및 바닥창(outsole)을 포함하는 신발창으로 구성된다.      In general, sho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walking, mountain climbing, body correction, and various sports. The shoes are made of leather or artificial fibers, and are worn on the user's feet. And an insole, a midsole, and an outsole that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grounded on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slippage and provide cushioning power.

한편, 상기 신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신체보호 및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신발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발창의 구조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특히 상기 바닥창에는 해당 신발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미끄럼 방지수단 및 스파이크 등이 형성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hoe structure of the sole to improve the user's body protection and wearing comfort and als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the shoe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particular the outsole to prevent slip of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hoe Means, spikes and the like are formed.

이때, 상기 신발의 바닥창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수단 및 스파이크 등은 좌발 및 우발의 한 벌로 이루어지는 신발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시에 좌우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좌발 및 우발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구성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non-slip means and the spikes formed on the sole of the shoe is formed such that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re symmetrical to balance left and right when the user wea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e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feet. Will be configur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신발창을 구성하는 바닥창의 바닥면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수단 및 스파이크 등이 좌발 및 우발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보행이나 산행, 운동 시에는 원활한 기능성을 나타내지만 육상경기에서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운동장이나 트랙을 달리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피드에 따른 곡선주로에서의 원심력 및 관성 등에 의해 임의적인 미끄러짐 및 속도감소 등에 충분히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hoe so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on-slip means and the spikes and the lik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constituting the sole i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during general walking, walking, exercise In the case of running at a sports field or track in a certain direction, such as in athletics,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rbitrary slippage and speed reduction due to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 in a curved path according to the user's speed. Was d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 밑창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파이크 돌기를 좌발 및 우발의 각각 동일한 일측지점에 집중적으로 배열하고 바닥면 전체에 걸쳐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므로서, 운동장이나 트랙을 일방향으로 달릴 시에 원심력 및 관성에 따른 곡선주로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스파트가 가능해지도록 한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concentrate the spik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sole surface of the sole of the shoe to the same one sid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respectively, and the entire bottom surface It is to provide a shoe sole having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s to form a non-slip protrusion over, to prevent the slip in the curve mainly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 when running the playground or track in one direction to enable a continuous spa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은, 좌발 및 우발의 한 벌로 이루어지는 신발의 밑창에 있어서, 한 벌의 신발을 구성하는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outsole) 바닥면에는 상측에서 볼 때, 각 바닥창의 좌측부분에 스파이크 돌기가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이 상호 비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ole of the shoe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feet, outsole of the left and right feet constituting a pair of shoes )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spike protrusions are concentrated on the left side of each outsole, and the left and right soles are configured to be asymmetric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좌발 및 우발에 비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스파이크 돌기는, 각 바닥창 바닥면의 전단부 측에 2개 내지 3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되고, 상측에서 볼 때 좌측부분에 5개 내지 7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되며, 우측부분에 2개 내지 4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asymmetrically to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two to three spike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each sole bottom surface, and five to seven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above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to four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right portion.

더 바람직하게, 상기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 바닥면에 상측에서 볼 때 좌측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스파이크 돌기는, 좌발의 스파이크 돌기가 우발의 스파이크 돌기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spike protrusions intensively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ole ar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ike protrusion of the left foot. do.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좌발 및 우발의 각 바닥창(outsole) 바닥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돌기가 신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줄 배열되어, 바닥면에 전체적으로 분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preferably, each outsole bottom surface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non-slip projections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and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on the bottom surface as a whol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밑창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파이크 돌기를 좌발 및 우발의 각각 동일한 일측지점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므로서, 운동장이나 트랙 등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달릴 시에 곡선주로에서도 원심력 및 관성 등에 의해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스파트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과 동시에, 신발 바닥창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므로서, 직선주로 및 곡선주로에서 임의적인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spik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sole surface of the sole of the shoe at the same one point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the curve when running counterclockwise on the playground or track, etc.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 etc.,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inuously spartite without reducing the speed,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non-slip protrusion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ver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thus making it straight and curved. There is an effect that random slippage is prevented in the main.

즉, 운동장이나 트랙 등을 일방향으로 달리는 경우, 신발의 바닥면과 지면의 접지 시에 스파이크 돌기 및 미끄럼방지 돌기를 매개로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스파트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각종 육상 경기에서 기록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running the playground or track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anti-slip function and the spat function through the spike and anti-slip projections when grounding the floor of the shoe and the ground. It will also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cord in track and field competi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좌발 및 우발 바닥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우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좌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좌발 및 우발 바닥창에 각각 절개선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및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E-E'선 단면도 및 F-F'선 단면도이다.
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bottom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sole of a shoe sole having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incision line on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sole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and B-B ′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and D-D'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and FI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좌발 및 우발 바닥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우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좌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의 좌발 및 우발 바닥창에 각각 절개선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및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E-E'선 단면도 및 F-F'선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foot and the convex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foot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ut line on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sole of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A-A 'and a line B-B'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C-C 'and a line D-D' of FIG. 4, and FIG. 'Line cross section and F-F' line cross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은, 좌발 및 우발을 포함하여 한 벌로 이루어지는 신발의 밑창 구조에서, 상기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outsole)(100) 바닥면에 상호 비대칭 상태를 이루는 스파이크 돌기(10) 및 바닥면 전체에 분포되도록 미끄럼방지 돌기(20)를 형성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달리는 운동장이나 트랙 등의 곡선주로에서도 미끄러짐 없이 지속적인 스파트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구현된다.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le structure of the shoe consisting of a pair including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spikes to form a mutually asymmetrical st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ole 100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formed to be distributed over the protrusion 10 and the entire bottom surface, so that the continuous spat is possible without slipping even in a curved path such as a playground or a track runn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즉, 이에 따라 좌발 및 우발 한 벌로 구성되는 신발의 신발창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안창(insole)(도시안됨)과 상기 안창 하부에 형성되어 착화 시에 쿠션력을 제공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중창(midsole)(200) 및 신발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고무 및 합성수지 재질의 바닥창(outsole)(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신발의 좌발 및 우발에는 상측에서 볼 때 각 바닥창(100)의 바닥면 좌측부분으로 스파이크 돌기(10)가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100)이 상호 비대칭을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sole of the shoe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foot is insole (not shown) to the sole of the user's sole (not shown) and the midsol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o provide a cushioning force when the insole is formed ) And a sole and an outsole 100 of rubber and synthetic resin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foot and the right sid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utsole ( Spike protrusion 10 is concentrated to the bottom lef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00, the left foot and the right outsole 100 is configured to form a mutually asymmetrical form.

또한, 상기 좌발 및 우발의 각 바닥창(outsole)(100) 바닥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돌기(20)가 신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줄 배열되면서, 바닥면 전체에 걸쳐 미끄럼방지 돌기(20)가 분포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돌기(20)는 가로방향의 폭이 좁고, 세로 방향으로는 길이가 긴 형태로 이루어져 지면에 착지될 시에 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outsole 100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nti-slip projections 2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lin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the non-slip projections throughout the bottom surface ( 20) is distributed, wherein the non-slip projection 2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s a narrow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landing on the ground. It provides a function to make it possible.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20)의 높이는 상기 스파이크 돌기(10) 보다 높지 않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configured not to be higher than the spike protrusion (10).

여기에서, 각 바닥창(100)의 바닥면 좌측부분으로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스파이크 돌기(10)는 소정 직경을 갖는 대략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형상의 돌기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5개의 절개홈(12)이 형성되고, 원의 중심부 측에는 대략 별형상을 갖는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형 돌기 내부에 별문양이 형성된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져 신미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Here, the spike protrusions 10 which are intensively disposed on the bottom left portion of each outsole 10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five incision grooves 12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lar protrusions. ) Is formed, the protruding portion 14 having a substantially star shape is form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ircle, and is configured to have a form in which a star pattern is formed inside the circular protrusion as a whole so as to exhibit a sense of aesthetics.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닥창(100)에 구비되는 스파이크 돌기(10)는 바닥면의 전단부 측에 2개 내지 3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Ⅰ" 영역)되고, 상측에서 볼 때 좌측부분에 5개 내지 7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Ⅲ" 영역)되며, 상측에서 볼 때 우측부분에 2개 내지 4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Ⅱ" 영역)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spike protrusions 10 provided in each of the sole 100, two to three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ttom surface ("I" region), the upper side 5 to 7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III" region)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2 to 4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II" region) when viewed from above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발 및 우발 각 바닥창(100)의 바닥면에는 상측에서 볼 때 좌측부분으로 각각 7개씩의 스파이크 돌기(10)가 배열되어, 특히 곡선주로에서 지면 제동력과 동시에 스파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좌발 및 우발 각 바닥창(100)의 전단부 측에 각각 3개씩의 스파이크 돌기(10)가 배열되어, 직선주로와 곡선주로 모두에 구분없이 지속적인 스파트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foot soles 100, each of the seven spike protrusions 10 are arranged in the left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especially in the curve mainly ground braking force and the spat function at the same time It is to be improved, and each of the three spike projections 10 are arranged on the front end side of each of the sole and left foot sole 100, so that the continuous spat is possible regardless of both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

또, 상기 좌발 및 우발의 좌측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스파이크 돌기(10)는 좌발의 스파이크 돌기가 우발의 스파이크 돌기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육상경기에서 운동장이나 트랙 등을 반시계 방향으로 달릴 시에 좌발 측으로 무게중심이 쏠림에 따른 지면 제동력 및 스파트 기능을 보완할 수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pike protrusions 10 disposed intensively on the left portions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re formed such that the spike protrusion of the left foo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ike protrusion of the right foot. When running, the ground braking force and the spat function can be compensated for b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ft foot.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소정 형태의 스파이크 돌기(10) 및 미끄럼방지 돌기(20)가 구비되는 바닥창(1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측 바닥면에는 공지된 바와 같은 소정 문양이나 돌기 등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가 있으며, 바닥창(100)의 바닥면 전체 형상도 다양한 문양이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end side of the sole 100 is provided with a spike protrusion 10 and the anti-slip projection 20 of a predetermined form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or projections as known The overall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00 may also be configured to form various patterns or shapes.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이 적용된 신발의 좌발 및 우발을 사용자가 모두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장이나 트랙 등을 일방향으로 달림에 따라, 직선주로 및 곡선주로에서 모두 속도의 저감없이 효율적인 달리기를 행할 수가 있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user wears both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of the shoe to which the shoe sole having the left and right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layground or the track in one direction, it is effective without reducing the speed in both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You can run.

즉, 운동장이나 트랙 등을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달리는 경우, 특히 곡선주로에서는 원심력 및 관성에 의해 달리는 사람의 신체가 지속적으로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따라,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100) 좌측부분(상측에서 볼 때)에는 다수 개의 스파이크 돌기(10)가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파이크 돌기(10)들이 자연스럽게 지면에 접촉되면서 속도를 줄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스파트를 행할 수가 있게 된다.      That is, when running continuous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uch as the playground or tracks, especially in the curve mainly the body of the running person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inertia is continuously pushed outward, wherein the shoe sole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eft portion of the sole 100 and left side of the right foot (viewed from the top), since the plurality of spike protrusions 10 are concentrated, the spike protrusions 10 are natural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reduce the speed. Even if it is not, it will be able to continuously perform a spatter.

이때, 상기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100) 전체에 걸쳐 분포된 미끄럼방지 돌기(20)는 좌발 및 우발이 각각 지면에 착지될 시에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anti-slip protrusion 20 distributed over the sole 100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provides braking property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land on the ground, respectively.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트랙이나 운동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적인 달리기를 행하는 경우, 직선주로에서는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100) 바닥면 전체에 걸쳐 분포된 미끄럼방지 돌기(20) 및 일정 지점에 형성된 각각의 스파이크 돌기(10)를 통해 미끄러짐이 없이 지속적인 스파트가 가능함은 물론, 곡선주로에서도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100) 바닥면에 비대칭을 이루도록 일방향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스파이크 돌기(10) 및 미끄럼방지 돌기(20)를 매개로 임의적인 미끄러짐에 따른 속도의 저감없이 지속적인 스파트를 행할 수가 있게 되어 기록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continuous runn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 track or a playground is performed. In a straight line, anti-slip protrusions ar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00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20 and the respective spike protrusions 10 formed at a predetermined point enable continuous spatter without slipping, and intensively arrang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asymmetrical to the sole surface of the sole 100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side even in a curved main road. Through the plurality of spike protrusions 10 and the anti-slip protrusions 20, continuous spats can be performed without reducing the speed due to arbitrary slipping, thereby helping to improve recording.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즉,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 돌기 및 스파이크 돌기의 크기 및 형상, 배치되는 지점 등은 신발이 사용되는 경기종목이나 용도 및 트렉 등의 환경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설계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size and shape of the non-slip protrusion and the spike protrusion provided on the sole of the shoe having the left and right asym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of arrangement and the like are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sporting event in which the shoe is used or the use and the track.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10: 스파이크 돌기, 12: 절개홈,
14: 돌출부, 20: 미끄럼방지 돌기,
100: 바닥창(outsole), 200: 중창(midsole).
10: spike projection, 12: incision groove,
14: protrusion, 20: non-slip protrusion,
100: outsole, 200: midsole.

Claims (4)

좌발 및 우발의 한 벌로 이루어지는 신발의 밑창에 있어서,
한 벌의 신발을 구성하는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outsole) 바닥면에는 상측에서 볼 때, 각 바닥창의 좌측부분에 스파이크 돌기가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이 상호 비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In the sole of the shoe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feet,
On the soles of the left and right feet that make up a pair of shoes, when viewed from the top, spike protrusions are concentrated on the left side of each outsol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oles are configured to be asymmetric with each other. Shoe sole with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발 및 우발에 비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스파이크 돌기는,
각 바닥창 바닥면의 전단부 측에 2개 내지 3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되고, 상측에서 볼 때 좌측부분에 5개 내지 7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되며, 우측부분에 2개 내지 4개의 스파이크 돌기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The method of claim 1,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asymmetrically to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2 to 3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each sole bottom, 5 to 7 spike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2 to 4 spike protrusions on the right side. Shoe sole having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발 및 우발의 바닥창 바닥면에 상측에서 볼 때 좌측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스파이크 돌기는,
좌발의 스파이크 돌기가 우발의 스파이크 돌기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Spike protrusions intensively disposed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n the sole surface of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Shoe sole with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ke protrusion of the left foot is formed and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ike protrusion of the right fo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발 및 우발의 각 바닥창(outsole) 바닥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돌기가 신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줄 배열되어, 바닥면에 전체적으로 분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The method of claim 1,
Shoes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projections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length of the shoe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utsole of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bottom piece.
KR1020100049396A 2010-05-27 2010-05-27 A shoes sole KR20110130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396A KR20110130000A (en) 2010-05-27 2010-05-27 A shoes 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396A KR20110130000A (en) 2010-05-27 2010-05-27 A shoes s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000A true KR20110130000A (en) 2011-12-05

Family

ID=4549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396A KR20110130000A (en) 2010-05-27 2010-05-27 A shoes s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00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7472A (en) Shoe sole and outsole
US9717303B2 (en) Flexible sole for footwear
US10765169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US4538366A (en) Athletic shoe with ridged outsole
US4045888A (en) Athletic shoe
US7913420B2 (en) Skateboard shoe with textured surface
JP7046488B2 (en) Sole for footwea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soles
CN104023578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ootwear front portion auxiliary shoe tack
US4501077A (en) Sole for boots and shoes
TWI531326B (en)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US20050217150A1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granular surfaces
US20110192056A1 (en) Footwear including a self-adjusting midsole
CN103619204A (en)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acting member
JP2012020136A (en) Shoe with improved sole assembly
GB2068707A (en) Sole tread patterns for running shoes
BRPI0415311B1 (en) sole for footwear for sandy surfaces
JP2012501717A (en) Insole of footwear with impact dispersion function and rolling walking function
US20120036738A1 (en) Cleat sole systems
AU2016314145A1 (en) Shoe sole
CN102631049A (en) Left-right asymmetric shoe sole
US8490302B2 (en) Open-soled article of footwear
KR200458746Y1 (en) Shoe soles
KR20110130000A (en) A shoes sole
KR200489122Y1 (en) Bottom piece of hiking boots
US20210361033A1 (en) Transverse studs applied to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