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020A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020A
KR20110128020A KR1020100047607A KR20100047607A KR20110128020A KR 20110128020 A KR20110128020 A KR 20110128020A KR 1020100047607 A KR1020100047607 A KR 1020100047607A KR 20100047607 A KR20100047607 A KR 20100047607A KR 20110128020 A KR20110128020 A KR 20110128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substrate
light
display pane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6468B1 (en
Inventor
이재호
이봉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468B1/en
Publication of KR2011012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PURPOSE: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rrange a reflection pattern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pixels on a substrate of a display panel, thereby increas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n a three-dimensional image without adjusting driving voltage. CONSTITUTION: A display panel(10) comprises a first substrate with arranged pixels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o the first substrate. A barrier(21) partly blocks an edge part of each pixel. A reflection pattern(11) is arranged in a part facing a non-luminous part between the pixels. The reflection pattern reflects light emitted from the pixels to the pixel side. A reflective film(12)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ttern and transmits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pixels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Stereoscopic Display and Driving Metho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과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으로 나뉘어진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이 있고 두 방식 모두 실용화되고 있다.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s divided into a binocular parallax technique and an autostereoscopic technique. The binocular parallax method uses a parallax image of the left and right eyes with a large stereoscopic effect, and there are glasses and no glasses, both of which are put to practical use.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을 바꾸는 방식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액정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방식은 일반적으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과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이 있다. The spectacle method displays the polarization of the left and right parallax images on the direct-view display device or the projector in a manner of changing the polarization of the left and right parallax images, and implements a stereoscopic image using polarized glasses or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The glasses-free method generally includes a parallax barrier method and a lenticular method.

배리어 방식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3차원 영상을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렌티큘러 방식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배리어 방식은 배리어로 인한 휘도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칭한다) 표시장치의 경우, 휘도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OLED의 구동전압을 높여야 하며, 이로 인해 OLED의 수명이 짧아지고,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OLED의 수명이 짧아짐에 따라 OLED의 밝기가 감소하는 경우에 잔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terms of technology, the 3D image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terms of technology, and the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lenticular method. However, the barrier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uminance loss due to the barrier is lar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the driving voltage of the OLED must be increased to compensate for the luminance loss, which shortens the lifespan of the OLED and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A problem arises. In addition, as the life of the OLED is shortened, afterimages occur when the brightness of the OLED decreases.

본 발명은 구동전압의 조정 없이 3차원 영상 구현시 휘도를 높일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ncreasing luminance when a 3D image is implemented without adjusting a driving voltage.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픽셀들과 반사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한 3차원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배리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픽셀들 간의 비발광부 영역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픽셀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상기 픽셀들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막은 상기 픽셀들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pixels and a reflective film are formed,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barrier that partially blocks an edge of each of the pixels when a 3D image includ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reflection pattern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between the pixels to reflec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ixels toward the pixels.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he light from the pixe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ttern.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픽셀들과 반사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한 3차원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픽셀들 간의 비발광부 영역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픽셀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상기 픽셀들 쪽으로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막은 상기 픽셀들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riving method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having pixels and a reflective film formed thereon,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Partially blocking an edge of each of the pixels when a 3D image includ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And reflect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ixels toward the pixels, wherein the light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facing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between the pixels.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light from the field and at the same time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ttern.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기판에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패턴을 형성하여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빛을 배리어의 개구부로 집중시킨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구동전압 조정 없이 3차원 영상에서 표시패널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flection pattern for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pixels on a substrate of a display panel to concentrate light generated from the pixels to an opening of a barrier.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n the 3D image without adjusting the driving voltage.

나아가,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구동전압을 높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패널을 저전력으로 구동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OLED 표시장치의 경우 OLED 수명을 증가시키고, 잔상을 개선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display panel at low power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driving voltage of the display panel.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n the case of an OLED display device, can increase OLED life and improve afterimages.

도 1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2차원 영상에서 스위쳐블 배리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3차원 영상에서 스위쳐블 배리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OLED 표시소자가 배면발광 구조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OLED 표시소자가 전면발광 구조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패널과 배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allax barrier for implementing a 3D image.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witchable barrier in a 2D image.
3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switchable barrier in a 3D imag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OLED display device is formed in a bottom light emitting structure.
5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n OLED display device is formed in a top light emitting structure.
6 illustrates an OLED display panel and a barr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the reflectiv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 region in which a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OLED 표시소자를 중심으로 예시하였지만, OLED 표시소자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The display panel 10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ified with respect to the OLED display devic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LED display devic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The names of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names of the actual products.

도 1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패럴렉스 배리어(2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럴렉스 배리어(20) 방식은 배리어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좌안화상과 우안화상을 나누어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다만, 패럴렉스 배리어(20)에서 투과되는 빛이 입사광 대비 대략 50% 이하로 줄기 때문에 휘도 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20) 방식의 배리어는 도 6과 같이 RGB 픽셀들 각각의 비발광부 영역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RGB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allax barrier 20 for implementing a 3D image. Referring to FIG. 1, in the parallax barrier 20, a 3D stereoscopic image is realized by divid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by selectively block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0 using the barrier. However, since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parallax barrier 20 is less than about 50% of the incident ligh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uminance loss is many. The parallax barrier 20 barrier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of each of the RGB pixels, as shown in FIG. 6, to partially block an edge of each of the RGB pixels.

패럴렉스 배리어(20) 방식은 광분리를 온/오프할 수 없으므로 3차원 입체영상만 구현할 수 있고, 2차원 및 3차원 영상 간에 전환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2차원 및 3차원 영상이 호환가능한 스위쳐블(Switchable) 배리어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Since the parallax barrier 20 cannot turn on / off the optical separation, only the 3D stereoscopic image can be realiz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witching between the 2D and 3D images is not possible. Accordingly, a switchable barrier scheme in which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are compatible has been proposed.

도 2 및 도 3은 2차원 및 3차원 영상에서 스위쳐블 배리어(3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쳐블 배리어(30)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31, 32), 제 1 및 제 2 편광판(33A, 33B), 분할전극들(34A, 34B), 액정층(35) 및 공통전극(36)을 포함한다.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able barrier 30 in 2D and 3D images. 2 and 3, the switchable barrier 30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substrates 31 and 32, the first and second polarizing plates 33A and 33B, the split electrodes 34A and 34B, The liquid crystal layer 35 and the common electrode 36 are included.

스위쳐블 배리어(30)의 제 1 및 제 2 투명기판(31, 32)은 서로 대향된다. 제 1 및 제 2 투명기판(31, 32)은 글래스 또는 필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투명기판(31)에는 다수의 분할전극들(34A, 34B)이 패터닝된다. 제 2 투명기판(32)에는 공통전극(36)이 하나의 막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substrates 31 and 32 of the switchable barrier 30 face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substrates 31 and 32 may be implemented with glass or film. A plurality of split electrodes 34A and 34B are pattern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1. The common electrode 36 is formed of one film on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32.

스위쳐블 배리어(30)는 제 1 및 제 2 투명기판(31, 3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35)을 포함한다. 액정층(35)의 액정분자는 공통전극(36)과 분할전극들(34A, 34B) 사이의 전압 차에 의하여 회동한다. The switchable barrier 30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35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substrates 31 and 32.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35 are rotated b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divided electrodes 34A and 34B.

도 2와 같이, 2차원 영상에서는 스위쳐블 배리어(30)의 공통전극(36)과 분할전극들(34A, 34B) 사이에 전압 차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므로, 액정분자는 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빛은 그대로 스위쳐블 배리어(30)를 통과하며, 사용자는 좌우 눈의 시차가 없는 2차원 영상을 보게 된다.As shown in FIG. 2, since a voltage difference does not substantially occur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plit electrodes 34A and 34B of the switchable barrier 30,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do not rotate. Therefore,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switchable barrier 30 as it is, and the user sees a two-dimensional image without parallax between left and right eyes.

도 3과 같이, 3차원 영상에서는 스위쳐블 배리어(30)의 공통전극(36)과 분할전극들(34A, 34B)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압 차가 발생한다. 공통전극(36)과 제 2n(n은 양수) 전극들(34B)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압 차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액정분자는 회동하지 않는다. 공통전극(36)과 제 2n-1 전극들(34A)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압 차가 발생한다. 공통전극(36)과 제 2n-1 전극들(34A) 사이에 있는 액정분자는 회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in the 3D image, a voltage difference occurs due to a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plit electrodes 34A and 34B of the switchable barrier 30.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2n (n is positive) electrodes 34B does not substantially generate a voltage difference, and thus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do not rotate. A voltag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econd n-1 electrodes 34A.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econd n-1 electrodes 34A rotate.

스위쳐블 배리어(30)의 제 1 투명기판(31)에는 제 1 편광판(33A)이 부착된다. 제 2 투명기판(32)에는 제 1 편광판(33A)과 교차되는 제 2 편광판(33B)이 부착된다. A first polarizing plate 33A is attached to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1 of the switchable barrier 30. A second polarizing plate 33B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olarizing plate 33A is attached to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32.

공통전극(36)과 제 2n 전극들(34B) 사이의 영역에 있는 액정분자는 회동하지 않는다. 제 1 편광판(33A)을 통과한 빛은 공통전극(36)과 제 2n 전극들(34B) 사이의 영역에서 편광특성이 변하므로 제 2 편광판(33B)을 통과할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region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econd n-electrodes 34B do not rotat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late 33A may pass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33B because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changed in the region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econd n electrodes 34B.

공통전극(36)과 제 2n-1 전극들(34A) 사이의 영역에 있는 액정분자는 회동한다. 제 1 편광판(33A)을 통과한 빛은 공통전극(36)과 제 2n-1 전극들(34A) 사이의 영역에서 편광특성이 변하지 않으므로 제 2 편광판(33B)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공통전극(36)과 제 2n-1 전극들(34A) 사이의 영역은 빛을 차단하는 배리어 역할을 하게 된다. 배리어 역할을 하는 공통전극(36)과 제 2n-1 전극들(34A) 사이의 영역은 도 6과 같이 RGB 픽셀들 각각의 비발광부 영역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RGB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한다.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region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econd n-1 electrodes 34A rotat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late 33A is blocked by the second polarizing plate 33B since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oes not change in the region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second n-1 electrodes 34A. Therefore, the region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2n-1 electrodes 34A serves as a barrier to block light. A region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6 and the 2n-1 electrodes 34A serving as a barrier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of each of the RGB pixels as shown in FIG. 6 to partially cover the edge of each of the RGB pixels. Block partially.

스위쳐블 배리어(30)의 액정층(35)의 빛을 차단하는 영역으로 인하여, 도 3과 같이 우측 영상 RGB(RGBR)의 빛은 사용자의 우안으로 진행하고, 좌측 영상 RGB(RGBL)의 빛은 사용자의 좌안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우 눈이 시차를 느낄 수 있게 되므로 3차원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Proceeds to the switcher block the right eye light is the user of the liquid crystal layer 35, right image RGB (RGB R) due to the area to block the light, as shown in Figure 3 of the barrier 30, and the left image RGB (RGB L) The light goes to the user's left eye. Therefore, since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can feel parallax, a 3D image is realized.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은 OLED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OLED 표시소자는 OLED의 구조에 따라 배면발광(Bottom emission), 및 전면발광(Top emission) 등의 형태로 화상을 표시한다. The display panel 10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OLED display device. An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 displays an image by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LED using a thin film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FT). . The OLED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in the form of bottom emission, top emission,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OLED.

도 4는 OLED 표시소자가 배면발광 구조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면발광 구조의 OLED 표시소자는 하부기판(101)에 게이트 전극(102)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102)에 소스 전극(103) 및 드레인 전극(104)이 접촉되도록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102)은 게이트 전극(102)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105)에 의해 보호된다. 게이트 절연막(105) 위에는 반도체(106)가 형성되며, 반도체(106)는 소스 전극(103)과 드레인 전극(104) 사이에 위치한다. 반도체(106) 위에는 층간 절연막(107)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 위에는 평탄화 막(108)이 형성된다. 평탄화 막(108) 위에는 애노드 전극(109)이 형성되며, 애노드 전극(109)은 접촉홀을 통해 소스 전극(103)과 접촉한다. 애노드 전극(109)은 OLED 층(111)과 접촉되며, 애노드 전극(109)과 OLED 층(111)이 접촉되지 않은 부분은 제 1 절연막(110)으로 채워진다. OLED 층(111) 위에는 캐소드 전극(112)이 위치한다. 캐소드 전극(112)은 전면발광 구조에 비해 두꺼운 금속 캐소드 전극(112)으로 형성되므로, OLED 층으로부터 캐소드 전극으로 방출되는 빛을 애노드 전극 쪽으로 반사시킨다. 캐소드 전극(112) 위에는 가스 주입층(113)이 형성된다. 가스 주입층(113) 위에는 수분과 공기로부터 유기물질들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 보호막(114)이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주입층(113)과 투명 보호막(114) 위로 인캡슐레이션 기판(Encapsulation Substrate, 115)을 접합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OLED display device is formed in a bottom light emitting structure. Referring to FIG. 4, the O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bottom light emitting structure is formed such that the gate electrode 102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1, and the source electrode 103 and the drain electrode 104 are in contact with the gate electrode 102. do. The gate electrode 102 is protected by the gate insulating film 105 covering the gate electrode 102. A semiconductor 106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05, and the semiconductor 106 is positioned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103 and the drain electrode 104.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7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106, and a planarization film 108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 anode electrode 109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film 108, and the anode electrode 109 contacts the source electrode 103 through a contact hole. The anode electrode 109 is in contact with the OLED layer 111, and the portion where the anode electrode 109 is not in contact with the OLED layer 111 is filled wit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0. The cathode electrode 112 is positioned over the OLED layer 111. Since the cathode electrode 112 is formed of a metal cathode electrode 112 thicker than the top emitting structu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LED layer to the cathode is reflected toward the anode electrode. The gas injection layer 113 is formed on the cathode electrode 112. On the gas injection layer 113,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114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to protect organic materials from moisture and air. The encapsulation substrate 115 is bonded to the gas injection layer 113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114.

배면발광 구조에서는 OLED 층(111)에서 방출된 빛이 하부 기판(1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배면발광 구조의 경우 발광된 빛이 화소를 구성하고 있는 TFT, 캐퍼시터, 및 배선 등을 통과해야하기 때문에 실제 빛이 나오는 부분이 가려져 발광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In the bottom emitting structure, light emitted from the OLED layer 111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substrate 101.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back light emitting structure, since the emitted light must pass through the TFTs, capacitors, wirings, etc. constituting the pixe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ea where light is actually emitted is obscured and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part is reduced.

배면발광 구조에서 반사패턴(117)은 하부 기판(101)에 형성된다. OLED 층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반사패턴(117)에 의해 반사되거나 하부 기판(1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방출된 빛의 일부는 배리어(116)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다.In the bottom emission structure, the reflective pattern 117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1. Light emitted from the OLED layer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17 or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substrate 101. Some of the emitted light is blocked by the barrier 116.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5는 OLED 표시소자가 전면발광 구조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발광 구조의 OLED 표시소자는 하부기판(201)에 게이트 전극(202)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202)에 소스 전극(203) 및 드레인 전극(204)이 접촉되도록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202)은 게이트 전극(202)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205)에 의해 보호된다. 게이트 절연막(205) 위에는 반도체(206)가 형성되며, 반도체(206)는 소스 전극(203)과 드레인 전극(204) 사이에 위치한다. 반도체(206) 위에는 층간 절연막(207)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 위에는 평탄화 막(208)이 형성된다. 평탄화 막(208) 위에는 애노드 전극(209)이 형성되며, 애노드 전극(209)은 접촉홀을 통해 소스 전극(203)과 접촉한다. 애노드 전극(209)은 OLED 층(211)과 접촉하며, 애노드 전극(209)과 OLED 층(211)이 접촉하지 않은 부분은 제 1 절연막(210)으로 채워진다. OLED 층(211) 위에는 캐소드 전극(212)이 위치한다. 캐소드 전극(212)은 제 2 절연막(213)에 의해 보호된다. 제 2 절연막 위에는 수분과 공기로부터 유기물질들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 보호막(214)이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보호막(214) 위로 인캡슐레이션 기판(216)이 실런트(215)에 의해 접합된다. 5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n OLED display device is formed in a top light emitting structure. Referring to FIG. 5, the O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p light emitting structure is formed such that the gate electrode 202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201, and the source electrode 203 and the drain electrode 204 are in contact with the gate electrode 202. do. The gate electrode 202 is protected by the gate insulating film 205 covering the gate electrode 202. A semiconductor 206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05, and the semiconductor 206 is positioned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203 and the drain electrode 204.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7 is formed over the semiconductor 206, and a planarization film 208 is formed over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 anode electrode 209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film 208, and the anode electrode 209 contacts the source electrode 203 through a contact hole. The anode electrode 209 is in contact with the OLED layer 211, and the portion where the anode electrode 209 is not in contact with the OLED layer 211 is filled with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0. A cathode electrode 212 is positioned over the OLED layer 211. The cathode electrode 212 is protected by the second insulating film 213.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14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to protect organic materials from moisture and air. The encapsulation substrate 216 is bonded by the sealant 215 over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214.

전면발광 구조에서는 OLED 층(111)에서 방출한 빛이 인캡슐레이션 기판(21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전면발광 구조는 빛이 가려지는 부분이 없으므로 개구율이 높아 OLED의 수명 측면에서 배면발광 구조보다 유리하다. 또한, 전면발광 구조의 경우 애노드 전극측으로 빛을 내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부 기판이 투명하지 않아도 되고, 얇은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top emitting structure, light emitted from the OLED layer 111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capsulation substrate 216. Accordingly, the front light emitting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high aperture ratio, and thus, is advantageous over the bottom light emitting structure in terms of the lifetime of the OLED because there is no portion of the light obscu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ront light emitting structure, since the light does not need to be emitted to the anode electrode 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wer substrate does not have to be transparent, and a thin substrate may be used.

전면발광 구조에서 반사패턴(218)은 인캡슐레이션 기판(216)에 형성된다. OLED 층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반사패턴(218)에 의해 반사되거나 인캡슐레이션 기판(21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방출된 빛의 일부는 배리어(217)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한다.In the top emitting structure, the reflective pattern 218 is formed on the encapsulation substrate 216. Light emitted from the OLED layer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218 or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capsulation substrate 216. Some of the emitted light is blocked by barrier 217.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표시패널과 배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과 배리어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은 영상을 표시하며, 배리어는 표시패널로부터의 영상을 3차원으로 구현한다. 배리어는 도 1에서 설명한 패럴렉스 배리어(20)와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스위쳐블 배리어(30) 방식으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0)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다.6 illustrates an OLED display panel and a barr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 and a barrier. The display panel 10 displays an image, and the barrier implements an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in three dimensions. The barrier is implemented using the parallax barrier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switchable barrier 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display panel 1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기판에서 RGB 픽셀들의 비발광부 영역(D)에 대향하는 부분에 반사패턴(11)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배면발광 구조의 OLED 표시장치의 경우 반사패턴(11)은 하부 기판(101)에 형성되며, 전면발광 구조의 OLED 표시장치의 경우 반사패턴(11)은 인캡슐레이션 기판(216)에 형성된다.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ubstrate facing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D of the RGB pixels. 4 and 5, in the case of the O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bottom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01, and in the case of the OLE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p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the encapsulation substrate. 216 is formed.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RGB 픽셀들은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RGB 픽셀(RGBL)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RGB 픽셀(RGBL)이 교대로 형성된다. RGB 픽셀들의 배열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 및 도 12를 결부하여 후술한다.3d in order to implement a video RGB pixels are RGB pixels for displaying left-eye image (RGB L) and RGB pixels displaying the right eye image (L RGB) are formed alternately. An array of RGB pixels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도 6과 같이 배리어(21)는 RGB 픽셀들 각각의 비발광부 영역(D)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배리어(21)는 비발광부 영역(D)보다 크게 형성되어 RGB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RGB 픽셀로부터 발생한 빛은 배리어(21)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빛(41), 배리어(21)에 의해 차단되는 빛(42), 및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되는 빛(43)으로 나누어진다. 표시패널의 휘도는 배리어(21)에 의해 차단되는 빛(42)으로 인해 3차원 영상 구현시 낮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barrier 21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D of each of the RGB pixels. The barrier 21 is formed larger than the non-light emitting area D to partially block a portion of each edge of the RGB pixels. Accordingl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RGB pixels of the display panel is caused by the light 41 reaching the user through the opening not blocked by the barrier 21, the light 42 blocked by the barrier 21, and the reflection pattern. Divided into reflected light 43.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lowered when the 3D image is implemented due to the light 42 blocked by the barrier 21.

반사패턴(11)은 왼쪽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왼쪽으로 반사시키고, 오른쪽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오른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RGB 픽셀(RGBL)로부터 발생한 빛이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RGB 픽셀(RGBR)로 입사되는 경우, 우안 영상의 빛과 좌안 영상의 빛이 혼합되어 사용자의 우안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이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보이는 3D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왼쪽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오른쪽으로 반사되지 않도록, 그리고 오른쪽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왼쪽으로 반사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e reflection pattern 11 is formed to have left and right symmetry so as to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left side to the left side and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right side to the right side. Whe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RGB pixel (RGB L ) displaying the left eye image is incident on the RGB pixel (RGB R ) displaying the right eye image, the light of the right eye image and the light of the left eye image are mixed to be displayed by the user's right eye. Can be. In this case, 3D crosstalk may occur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overlap. Therefore, it should be designed so that light incident from the left is not reflected to the right and that incident light from the right is not reflected to the left.

반사패턴(11)은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패턴(11)의 단면 형상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오목렌즈 형태의 반사면이 좌우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패턴(11)의 단면 형상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직선 형태의 반사면이 좌우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반사패턴(11)은 이등변 삼각형과 같은 형태이며, 도 10의 반사패턴(11)은 등변 사다리꼴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The reflective pattern 11 may be specifically formed as shown in FIGS. 7 to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concave lens form is symmetrical as shown in FIGS. 7 and 8.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inear reflective surface is left-right symmetrical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reflective pattern 11 of FIG. 9 is shaped like an isosceles triangle, and the reflective pattern 11 of FIG. 10 is shaped like an isosceles trapezoid.

반사패턴(11)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은(Ag), 알루미늄(Al), 은(Ag)과 마그네슘(Mg)의 합금, 은(Ag)과 알루미늄(Al)의 합금, 및 은(Ag)과 칼슘(Ca)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패턴(11)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반사패턴(11)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많아지므로,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개구부로 더욱 많은 빛이 집중되게 된다. 결국, 3차원 영상의 표시패널의 휘도가 높아지게 된다.The reflective pattern 11 includes silver (Ag), aluminum (Al), an alloy of silver (Ag) and magnesium (Mg), an alloy of silver (Ag) and aluminum (Al), and silver (Ag) having high reflectance. It may be formed of an alloy of calcium (Ca). As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higher, more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1, so that more light is concentrated in the openings not blocked by the barrier. As a resul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3D image is increased.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표시패널의 장방향(x축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12는 표시패널의 단방향(x축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 region in which a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with a long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G. 1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with a short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a display panel in a horizontal direction. .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RGB 픽셀들은 "RGB"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RGB"가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도 11에서, R 픽셀의 단방향(y축 방향) 폭은 W1, G 픽셀의 단방향(y축 방향) 폭은 W2, B 픽셀의 단방향(y축 방향) 폭은 W3에 해당하며, W3가 가장 크고, W2가 가장 작다.(W3 > W1 > W2) 도 12에서, R 픽셀의 단방향(x축 방향) 폭은 W1, G 픽셀의 단방향(x축 방향) 폭은 W2, B 픽셀의 단방향(x축 방향) 폭은 W3에 해당하며, W3가 가장 크고, W2가 가장 작다.(W3 > W1 > W2) Referring to FIGS. 11 and 12, RGB pixels are repeatedly arranged by using “RGB” as a unit. In FIG. 11, the unidirectional (y-axis direction) width of the R pixel corresponds to W 1 , the unidirectional (y-axis direction) width of the G pixel corresponds to W 2 , and the unidirectional (y-axis direction) width of the B pixel corresponds to W 3 , where W 3 is the largest and W 2 is the smallest (W 3 > W 1 > W 2 ). In FIG. 12, the unidirectional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R pixel is W 1 , and the unidirectional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G pixel is W 2, of the B pixel unidirectional (x-axis direction), the width corresponds to W 3, W 3 is the largest and, W 2 is the smallest. (W 3> W 1> W 2)

결국, B 픽셀들의 개구부 면적은 B(Blue)가 가장 크고, G(Green)가 가장 작다. 이는 G(Green) 픽셀의 휘도 기여도가 가장 크고, B(Blue) 픽셀의 휘도 기여도가 가장 작으므로, R, G, B 각 픽셀의 개구부 면적을 조절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함이다.As a result, the opening area of the B pixels has the largest B (Blue) and the smallest G (Green). This is because the luminance contribution of the G (Green) pixel is the largest and the luminance contribution of the B (Blue) pixel is the smallest, and thus the white balanc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rea of each of the R, G, and B pixels.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부 또는 하부기판에서 배리어는 RGB 픽셀들의 비발광부 영역(D)에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반사패턴(11)은 배리어에 의해 차단될 RGB 픽셀들로부터의 빛들을 반사시키고 반사막(12)은 반사패턴(11)을 통해 반사패턴(11)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재반사함으로써,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개구부로 더욱 많은 빛이 방출되게 한다. In order to realize a 3D image, a barrier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ubstrate opposite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D of the RGB pixels. Accordingly, the reflective pattern 11 reflects the light from the RGB pixels to be blocked by the barrier and the reflective film 12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pattern 11 through the reflective pattern 11 to the barrier. More light is emitted into the openings that are not blocked by the opening.

반사패턴(11)의 크기는 RGB 픽셀들의 비발광부 영역(D)보다 작다. 반사패턴(11)의 크기가 RGB 픽셀들의 비발광부 영역(D)보다 큰 경우, RGB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빛을 차단하여 표시패널(10)의 휘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12와 같이 표시패널의 단방향(x축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경우 비발광부 영역(D)의 폭은 RGB 픽셀들의 단방향(x축 방향) 폭에 따라 달라진다.The size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smaller than the non-light emitting area D of the RGB pixels. This is because when the size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larger than the non-light emitting area D of the RGB pixel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10 is lowered by blocking light generated from the RGB pixels.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when the image is implemented with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as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non-light emitting area D varies depending on the unidirectional (x-axis direction) width of the RGB pixels.

반사패턴(11)의 두께는 10Å 내지 3000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패턴(11)의 두께가 10Å 미만인 경우, 반사패턴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우며, 반사패턴(11)의 두께가 3000Å을 초과하는 경우, 습식 식각(wet etch) 및 건식 식각(dry etch) 공정에 의해 구현이 어려워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reflective pattern 11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0 μs to about 3000 μs. Whe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less than 10 μ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perform the role of the reflective pattern,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pattern 11 exceeds 3000 μs, wet etching and dry etching processes are performed. This makes the implementation difficult and raises the cost.

도 6과 같이 반사패턴(11)에 의해 반사된 빛(43)은 반사막(12)에 의해 다시 반사된다. 반사막(12)은 1차적으로 RGB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빛을 통과시킨다. RGB 픽셀로부터 발생한 빛은 반사막(12)을 통과한 후,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개구부로 진행되거나(41),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거나(42),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된다(43). 반사막(12)은 2차적으로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한다. 반사막(12)에 의해 재반사된 빛(43)은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거나, 배리어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개구부로 진행된다. As shown in FIG. 6, the light 43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1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film 12 again. The reflective film 12 primarily passes light generated from the RGB pixel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RGB pixel passes through the reflective film 12 and then proceeds to the opening 41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barrier (41), blocked by the barrier (42), or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43). The reflective film 12 secondly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again. The light 43 reflected back by the reflective film 12 proceeds to an opening which is blocked by the barrier or not blocked by the barrier.

반사막(12)은 빛의 투과율이 높을 뿐 아니라,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배면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경우 애노드 전극(109)이 반사막(12)이 된다. 이 경우, 반사막(12)은 알루미늄(Al)을 재료로 하며, 두께는 500Å 내지 3000Å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경우 캐소드 전극(212)이 반사막(12)이 된다. 이 경우, 반사막(12)은 은(Ag)을 재료로 하며, 두께는 500Å 내지 3000Å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막(12)의 두께가 500Å 미만인 경우 반사막(12)이 빛을 반사하기보다는 빛을 투과 시키므로 반사막(12)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반사막(12)의 두께가 3000Å을 초과하는 경우 습식 식각(wet etch) 및 건식 식각(dry etch) 공정에 의해 구현이 어려워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reflective film 12 is advantageous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as well as high light transmittance.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the bottom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anode electrode 109 becomes the reflective film 12. In this case, the reflective film 12 is made of aluminum (Al), and may have a thickness of 500 kPa to 3000 kPa.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a top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cathode electrode 212 becomes the reflective film 12. In this case, the reflective film 12 is made of silver (Ag) and may have a thickness of 500 kPa to 3000 kPa. If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ng film 12 is less than 500 mm, the reflecting film 12 transmits light rather than reflecting light, thereby preventing the proper function of the reflecting film 12. If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film 12 is greater than 3000 GPa,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by wet etching and dry etching, resulting in a cost increase.

한편,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소자(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OLED)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액정표시소자에서 픽셀 전극 및/또는 공통전극을 반투명전극으로 형성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be implemented as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hen the pixel electrode and / or the common electrode are formed as a translucent electrod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provid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tail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표시패널 11, 117, 218: 반사패턴
12: 반사막 20: 패럴렉스 배리어
21, 116, 217: 배리어 30: 스위쳐블 배리어
31: 제 1 투명기판 32: 제 2 투명기판
33A: 제 1 편광판 33B: 제 2 편광판
34A, 34B: 분할전극들 35: 액정층
36: 공통전극 101, 201: 하부 기판
102, 202: 게이트 전극 103, 303: 소스 전극
104, 204: 드레인 전극 105, 205: 게이트 절연막
106, 206: 반도체 107, 207: 층간 절연막
108, 208: 평탄화 막 109, 209: 애노드 전극
110, 210: 제 1 절연막 111, 211: OLED 층
112, 212: 캐소드 전극 113: 가스 주입층
114, 214: 투명 보호막 115, 216: 인캡슐레이션 기판
213: 제 2 절연막 215: 실런트층
10: display panel 11, 117, 218: reflection pattern
12: reflective film 20: parallax barrier
21, 116, 217: barrier 30: switchable barrier
31: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2: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33A: first polarizing plate 33B: second polarizing plate
34A, 34B: split electrodes 35: liquid crystal layer
36: common electrode 101, 201: lower substrate
102, 202: gate electrode 103, 303: source electrode
104, 204: drain electrode 105, 205: gate insulating film
106 and 206: semiconductors 107 and 207: interlayer insulating film
108, 208: planarization film 109, 209: anode electrode
110, 210: first insulating film 111, 211: OLED layer
112 and 212, cathode electrode 113, gas injection layer
114 and 214: transparent protective film 115 and 216: encapsulation substrate
213: second insulating film 215: sealant layer

Claims (11)

픽셀들과 반사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한 3차원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배리어;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픽셀들 간의 비발광부 영역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픽셀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상기 픽셀들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막은 상기 픽셀들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pixels and a reflective film are formed,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barrier that partially blocks an edge of each of the pixels when a 3D image includ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reflection pattern formed on a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o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between the pixels to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pixels toward the pixels;
And the reflective film transmits light from the pixels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상기 좌안 영상의 빛을 사용자의 좌안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의 빛을 상기 사용자의 우안으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arrier propagates the light of the left eye image generated from the pixels to the left eye of the user and the light of the right eye image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2차원 영상에서 상기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빛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상기 3차원 영상에서 상기 픽셀들로부터 발생한 빛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쳐블 배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arrier is a switchable barrier that passes light generated from the pixels in a 2D image as it is and partially blocks light generated from the pixels in the 3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은 왼쪽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왼쪽으로 반사시키고, 오른쪽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오른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lection pattern i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left side to the left side and reflect light incident from the right side to the right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은 알루미늄, 은,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 알루미늄과 은의 합금, 및 은과 칼슘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flective pattern is formed of any one of aluminum, silver, an alloy of magnesium and silver, an alloy of aluminum and silver, and an alloy of silver and calci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의 두께는 10Å 내지 3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ckness of the reflective pattern is 10 mW to 3000 m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의 크기는 상기 픽셀들의 비발광부 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a size of the reflective pattern is smaller than a non-light emitting area of the pix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소자, 전계 방출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anel of claim 3,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implemented by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전면발광 구조의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경우 은을 재료로 하며, 두께가 500Å 내지 3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lective film is made of silver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a top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500 ~ 3000Å.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배면발광 구조의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경우 알루미늄을 재료로 하며, 두께가 500Å 내지 3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lective film is made of aluminum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a back light emitting structur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500 ~ 3000Å.
픽셀들과 반사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상기 표시패널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한 3차원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픽셀들 각각의 가장자리 일부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픽셀들 간의 비발광부 영역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픽셀들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상기 픽셀들 쪽으로 반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막은 상기 픽셀들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having pixels and a reflective film,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Partially blocking an edge of each of the pixels when a 3D image includ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pixels toward on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light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he non-light emitting region;
And the reflective film transmits light from the pixels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KR1020100047607A 2010-05-20 2010-05-20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KR101696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07A KR101696468B1 (en) 2010-05-20 2010-05-20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07A KR101696468B1 (en) 2010-05-20 2010-05-20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20A true KR20110128020A (en) 2011-11-28
KR101696468B1 KR101696468B1 (en) 2017-01-13

Family

ID=4539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07A KR101696468B1 (en) 2010-05-20 2010-05-20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4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6264A (en) * 2019-12-23 2020-05-05 福建华佳彩有限公司 High-reflectivity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291A (en) * 2006-05-10 2007-11-15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Three dimensional image filter and three dimensional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84018B1 (en) * 2006-11-10 2007-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2d and 3d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KR20080001983A (en)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20080003087A (en)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refl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291A (en) * 2006-05-10 2007-11-15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Three dimensional image filter and three dimensional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80001983A (en)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20080003087A (en)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reflector
KR100784018B1 (en) * 2006-11-10 2007-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2d and 3d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6264A (en) * 2019-12-23 2020-05-05 福建华佳彩有限公司 High-reflectivity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468B1 (en)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2440B2 (en)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JP4410244B2 (en) Display device
TWI414846B (en) 2d and 3d switchabl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ticular lens thereof
JP5287683B2 (en) Head mounted display
KR101729682B1 (en)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359013B2 (en) Display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KR101394059B1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for stereographic image
KR2016013005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389428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JP2011129392A (en) Display device
KR20180009827A (en) Display appartus
US20200212111A1 (en) Display apparatus
US20070236619A1 (en) Image display device
US10499041B2 (en) Display device
EP3675176B1 (en) Display device
CN105679232A (en) Touch control-type 3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evice
US10840316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KR101696468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ving method thereof
KR102139746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87188B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JP2012181275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shutter panel
JP2004226795A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JP2012204012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2210375B1 (en) Display device
US11665928B2 (en) Optical module and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