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032A -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 Google Patents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032A
KR20110127032A KR1020100046645A KR20100046645A KR20110127032A KR 20110127032 A KR20110127032 A KR 20110127032A KR 1020100046645 A KR1020100046645 A KR 1020100046645A KR 20100046645 A KR20100046645 A KR 20100046645A KR 20110127032 A KR20110127032 A KR 2011012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ower
home network
home
power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7585B1 (en
Inventor
최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0004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585B1/en
Publication of KR2011012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0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n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nalyze a power usage pattern, thereby supplying and blocking power based on a need. CONSTITUTION: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bstation is supplied to devices of an in-house network(10) using a power line(11). A smart power meter(110)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in-house network and the amount of power of various devices in the in-house network. A remote operating server(150) communicates with a smart box(130). The smart box transceives information with smart tags(140) through a fixed communication line. Each smart tag is connected to each in-house device. Each smart tag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power of a corresponding devic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box. The smart box transmits received information to the operating server.

Description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본 발명은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댁내 망을 구성하는 각종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검출하고 기저장된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홈을 구축하도록 하는 댁내 망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establish a smart home by detecting a power usage pattern of various home network device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and controlling the device through comparison with previously stored patterns. It relates to a network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최근 기후변화와 자원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부상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발전-송ㆍ배전-판매의 단계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단방향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Recently, the Smart Grid has emerg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and resource shortage. Smart Grid is a next-generation intelligent power grid that optimizes energy efficiency by exchanging real-time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by integrat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nto the existing one-way power grid, which was composed of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sales.

이는 발전소와 송ㆍ배전 시설과 전력 소비자를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양방향으로 공유하는 정보를 통하여 전력 시스템 전체가 한 몸처럼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고 있다. The basic concept is that the entire power system operates as efficiently as one body through information that connects power plant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power consumers through an information network and shares in both directions.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 사업 중 스마트 홈(Smart Home) 분야에는 전력 소비자의 입장에서 볼 때 댁내 전기기기들을 내ㆍ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 및 통합하여 이들을 제어하도록 하는 영역이 포함된다. Among the smart grid projects, the Smart Home field includes an area for controlling and controlling home appliances by connecting and integrating home appliances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consumers.

스마트 홈(Smart Home)이라는 용어는 지능적인 집(Intelligent House) 또는 서비스 집(Service House)에 해당되는 개념으로서 가정용 주택이나 건물 내부의 부분적인 자동화를 포함하여 댁내의 각종 전기,전자 기기 등의 장치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나아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말한다.The term smart home is a concept of an intelligent house or a service house, and includes devices such as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n a house, including partial automation in a home or a build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nd further controlled through an external network.

이러한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해서는 우선 전력 공급자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고, 전력 소비자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사용 시간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댁내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제어가 수행되어야 한다.In order to build such a smart home, power providers must first understand power usage in real time and flexibly adjust the supply, and power consumers can control power usage and usage by real time understanding of power us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electrical equipment and control accordingly.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댁내 망의 장치에 대한 정보 등록 및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여 전력 소비자에게 통지할 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제어기능이 없었다. 또한, 각종 댁내 망 장치에 대하여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어려웠으며 장치별로 상호 독립적인 제어가 불가능하여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새로운 제어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prior art, only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s of the home network are measured and notified to the power consumers, and there is no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upply and interruption of power to various home network devices, and the independent control of each device is impossible, requiring a new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 smart home.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댁내 망을 독립 또는 유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홈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전력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주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that can build a smart home by independently or organically controlling a home network, and a need for development of a control system to give a substantial benefit to a power consumer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댁내 망을 구성하는 장치의 전력사용에 따른 각종 패턴을 검출하고 이를 기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해당 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구축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detect a variety of patterns according to the power usage of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and compare them with the pre-stored pattern to build a smart home that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력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댁내 망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 원격지에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댁내 망의 장치를 제어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댁내 망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에 상기 각 댁내 망의 장치와 각각 일대 일로 연결되고 상기 댁내 망의 장치에 대한 전력 사용패턴을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출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 상기 각 스마트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 태그로부터 상기 검출된 각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수신하여 외부 원격지로 전송하는 스마트 박스; 및 유ㆍ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박스로부터 상기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해당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해당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외부 원격지의 운영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that uses a power line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and controls the devices of the home network through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remote location, wherein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supplies power to the devices of the home networks. A plurality of smart tags connected one-to-one with each of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to a power line for supplying and detecting and transmitting a power usage pattern for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 smart box that communicates with each smart tag and receives power detected patterns of the detected home network devices from the smart tag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to an external remote location; And receiving a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device from the smart box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aring the power usage pattern with a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ta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 external remote server for controlling power; It provide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comprising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마트 태그는 상기 검출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자신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스마트 박스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스마트 박스로부터 이를 전송받아 상기 식별정보(ID)와 전력 사용패턴을 매칭시켜 저장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mart tag transmits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device to the smart box together with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from the smart box.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power usage pattern are matched and stored.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매칭된 식별정보(ID) 및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식별정보(ID)를 갖는 스마트 태그에 연결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server controls the power of the indoor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tag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by comparing the match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power usage pattern with the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

또한,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스마트 태그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태그에 연결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preferably controls the smart tag to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of the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tag.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망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댁내 망의 장치는 상기 스마트 태그를 통하여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of the home network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hrough the smart tag to receive pow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략 사용패턴은 상기 각 댁내 망 장치의 시간대별, 일별, 분기별, 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롯하여 동작상태 및 대기상태의 전력 사용패턴, 화재발생 및 장치고장 시의 전력 사용패턴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tegic usage pattern includes power usage patterns of operation time and standby state, including power usage patterns of time slots, daily, quarterly, and annually of each home network device, power of fire occurrence and device failu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use patter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마트 박스는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 여부 및 자신을 통해 상기 각각의 스마트 태그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mart box determines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ther the power is supplied to each smart tag through itself,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검출된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댁내 망 장치의 이상 유무를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server detects an abnormality of each of the indoor network devices by using a comparison result of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and a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전력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댁내 망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 원격지에서 통신을 통해 상기 댁내 망 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댁내 망 장치에 각각 일대 일로 연결된 다수의 스마트 태그에서 상기 각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 스마트 태그에서 상기 검출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통신선을 이용하여 스마트 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박스에서 상기 수신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유ㆍ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원격지의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댁내 망 장치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댁내 망 장치의 전력을 각각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a smart home that uses a power line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and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remote, each one to one each one of the home network devices Detecting a power usage pattern of each of the premises network devices in a plurality of connected smart tags according to a set period; Transmitting power usage patterns of the detected home network devices to each smart box using a communication line in each smart tag; Transmitting, at the smart box, a power usage pattern of the received home network device to a remote operation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aring, at the operation server, the received power usage pattern of the indoor network device with the previously stored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indoor network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indoor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provides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a smart home comprising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력 사용패턴은 시간대별, 일별, 분기별, 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롯하여 동작상태 및 대기상태의 전력 사용패턴, 화재발생 및 기기고장 시의 전력 사용패턴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sage pattern includes power usage patterns in time zones, daily, quarterly, and yearly, as well as power usage patterns in operating and standby states, power usage patterns during fire and device fail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검출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과 상기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가 유사한지 비교하여 상기 댁내 망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r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the indoor network device by comparing the detected power use pattern of the indoor network device with the previously stored power use patter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박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마트 태그의 식별정보(ID) 및 상기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과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인지를 판단하며, 유사한 패턴이면 상기 해당 댁내 망 장치의 연결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사한 패턴이 아니면 상기 해당 스마트 태그에 새로운 댁내 망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ration server accumulates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received from the smart box and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device, and compares the power usage pattern with a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If it is a patter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nection change of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If it is not a similar pattern, it is determined that a new hom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mart tag.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마트 박스에서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 여부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 태그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mart box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tags,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operation server.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홈의 초기 세팅시 댁내 망의 장치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장치의 상태를 분석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state of the smart home can analyze the power usage patterns of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and analyze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s and perform the contro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댁내 망 장치의 사용시 및 대기시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필요에 따라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으며 평상시 또는 수요반응시 제어할 대상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power usage pattern when using the home network device and the standby can control the supply and shutdown of power as needed, and can quickly determine the target to be controlled during normal or demand respon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댁내 망 장치의 연결이 변경되는 경우에 전력 사용패턴의 변화를 파악하여 보고함으로써 원격지의 운영서버에서 댁내 망 장치의 변경을 실시간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power usage pattern when the connec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hange of the home network device from the remote operation server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사고 발생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댁내 망 장치의 고장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and can determine the failure of the network device in the hom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망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태그와 댁내 망 장치 간의 연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박스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태그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의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mart hom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smart tag and a domestic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 예이다.1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mart hom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시스템은, 댁내(10)의 스마트 전력미터(Smart Power Meter)(110), 다수의 댁내 망 장치(120), 스마트 박스(Smart Box)(130), 스마트 태그(Smart Tag)(140) 및 외부 원격지의 운영서버(Operation Server)(150)를 포함한다.In FIG. 1, the smart hom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power meter 110 of a home 10,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120, a smart box 130, and a smart tag. Smart Tag 140 and an operation server (150) of an external remote location.

외부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선(11)을 이용하여 댁내 망(10)의 장치들에게 전력이 공급된다. 스마트 전력미터(Smart Power Meter)(110)는 전력선에 설치되어 댁내 망(10)에 공급되는 전력량 및 댁내 망(10)의 각종 장치(120)의 전력량을 계산한다.Power is supplied to devices in the home network 10 by using the power line 11 from an external substation. The smart power meter 110 is installed on the power line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ome network 10 and the amount of power of the various devices 120 of the home network 10.

다수의 댁내 장치(120)는 하나의 댁내 망(10)을 구성한다. 이들 장치(120)로는 예컨대 TV, 에어컨, 냉장고, 컴퓨터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댁내 망 장치(120)는 댁내에 마련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된다.The plurality of indoor devices 120 constitute one indoor network 10. These devices 120 include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TVs,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computers, and the like. The indoor network device 120 is used by connecting to an outlet provided in the home.

외부 원격지의 운영서버(150)는 스마트 박스(130)와 통신을 수행하고 스마트 박스(130)는 소정의 통신선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 태그(140)와 정보를 각각 송수신한다. 각 스마트 태그(140)는 각각의 댁내 망 장치(120)들과 각각 연결되어 해당 장치(120)의 전력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스마트 박스(130)로 전송한다. 스마트 박스(130)는 이를 다시 운영서버(150)로 전송한다. The remote operation server 15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box 130 and the smart box 13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plurality of smart tags 140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Each smart tag 140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home network devices 120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of the device 1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mart box 130. The smart box 130 transmits it back to the operation server 15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는 원격지의 운영서버(150)에서 스마트 박스(130) 및 다수의 스마트 태그(140)를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장치(120)에 대한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smart home system may control pow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20 by controlling the smart box 130 and the plurality of smart tags 140 from the remote operation server 15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망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망 제어 시스템(200)은 운영서버(210), 통신망(220), 스마트 박스(230), 다수의 스마트 태그(240) 및 다수의 댁내 망 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server 210, a communication network 220, a smart box 230, a plurality of smart tags 240, and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And 250.

운영서버(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220)을 통해 스마트 박스(2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유ㆍ무선 통신망(220)은 인터넷망을 포함한다. 운영서버(210)는 스마트 박스(230)는 내부의 통신선(20)을 이용하여 다수의 스마트 태그(240)와 연결된다. 또한, 운영서버(21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다수의 장치(250)별로 전략 사용패턴을 각각 저장한다. 이러한 전략 사용패턴은 해당 장치(250)의 시간대별, 일별, 분기별, 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롯하여 동작상태 및 대기상태의 전력 사용패턴, 화재발생 및 장치고장 시의 전력 사용패턴 등을 다양한 종류의 패턴을 포함한다. The operation server 210 is connected to the smart box 23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20.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20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The operation server 2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mart tags 240 using the smart box 230, the communication line 20 therein.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10 stores the strategy usage patter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250 in the internal memory (not shown). Such a strategy usage pattern includes various types of power usage patterns such as time zone, daily, quarterly and annually, power usage patterns in operating and standby states, power usage patterns in case of fire and device breakdown, and the like. Contains a pattern.

스마트 박스(230)는 각 스마트 태그(240)를 제어하며 운영서버(210)와 각 스마트 태그(240) 간의 데이터 중계를 담당한다. 특히 스마트 박스(230)는 각 스마트 태그(240)별로 식별정보(ID)를 등록 및 저장하고 각각의 식별정보(ID)에 맞게 각 스마트 태그(240)별로 독립적인 원격 모니터링 및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The smart box 230 controls each smart tag 240 and is responsible for relaying data between the operation server 210 and each smart tag 240. In particular, the smart box 230 registers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mart tag 240 and performs independent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according to each smart tag 240 according to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do.

각각의 스마트 태그(240)는 다수의 장치(250)와 일대 일로 각각 대응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스마트 태그(240)의 식별정보(ID)와 그에 대응하는 장치(250)는 각각 일대일 매칭이 이루어진다. 이들 각 스마트 태그(240)는 대응되는 장치(250)에 대한 전력 정보를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응되는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출한다. 이때, 전력 사용패턴은 평상시 전력사용중일 때, 대기상태일 때, 정전일 때, 장치고장일 때 등에 따라 다르게 검출된다. 또한, 스마트 태그(240)는 이와 같이 검출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자신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스마트 박스(230)로 전송하고, 스마트 박스(230)는 이를 다시 운영서버(210)로 전송한다. Each smart tag 240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devices 250.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240 and the corresponding device 250 are one-to-one matching. Each of these smart tags 240 collects power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device 250. Preferably,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250 is detected according to a real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At this time, the power usage pattern is differently detected depending on the time of normal power use, standby state, power failure, device failur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mart tag 240 transmit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o the smart box 230 together with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smart box 230 again operates the operating server ( 210).

이로써, 운영서버(210)는 스마트 태그(240)의 식별정보(ID)별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저장하고, 이러한 저장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스마트 태그(240)가 어느 장치(250)와 대응 및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ration server 210 store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240, and which smart tag 240 is used by which device 250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ence and connection, and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can be checked.

더 나아가, 운영서버(210)는 실시간 또는 설정주기에 따라 수신되는 스마트 태그(240)별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과 기저장된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여 해당 장치(250)의 상태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된 전력 사용패턴과 기저장된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여 각 장치(250)별로 평상시 전력사용중인지, 대기전력 상태인지, 정전인지, 기기고장인지 등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TV의 경우 TV 전원을 오프(OFF)한 경우에도 대기전력이 소모되는데, 이 경우 TV를 시청할 때와 그 전력 사용패턴이 다르다. 이런 점을 이용하여 대기전력 사용패턴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운영서버(210)는 그 TV가 연결된 스마트 태그(24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operation server 210 checks the state of the device 250 by comparing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for each smart tag 240 received in accordance with a real time or a setting cycle with the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 Specifically, by comparing the received power usage pattern and the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device 250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is normally used, standby power state, power outage, device failure, etc. and performs the power control accordingly.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V, standby power is consumed even when the TV is turned off. In this case, the power usage pattern is different from that of watching a TV. In this case, when the standby power usage patter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server 210 may cut off the power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 tag 240 connected to the TV.

또한, 운영서버(210)는 특정 스마트 태그(240)에 다른 장치(250)가 연결되더라도 그 스마트 태그(240)는 변경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예컨대, 특정 스마트 태그(240)에 제1장치(251)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장치(252)를 연결하더라도 그 스마트 태그(240)는 계속해서 제2장치(252)의 전력 사용패턴을 검출하게 된다. 나아가, 검출된 전력 사용패턴을 스마트 박스(230)로 전송하고 스마트 박스(230)는 이를 운영서버(21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even if another device 250 is connected to a specific smart tag 240, the operation server 210 automatically detect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changed device 250. For example, even if a user connects the second device 252 while the first device 251 is connected to a specific smart tag 240, the smart tag 240 continues to use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second device 252. Will be detected. Furthermore,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smart box 230 and the smart box 230 transmits it to the operation server 210.

이로써, 운영서버(210)는 해당 스마트 태그(230)의 식별정보(ID) 및 그 변경된 제2장치(252)의 전력 사용패턴을 수신하여 새롭게 저장한다. 운영서버(210)는 이처럼 변경 이력을 별도로 저장하고,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제1장치(251)에 대한 전력 사용패턴은 선택적으로 유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Thus, the operation server 210 receives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230 and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changed second device 252 and newly. The operation server 210 may separately store the change history as described above, and selectively maintain or delete the power usage pattern for the previously stored first device 251.

이로써, 예컨대 인테리어 변경 등의 목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장치(250)를 다른 스마트 태그(240)에 변경하여 연결하더라도 운영서버(210)는 변경된 환경에 맞게 전력 제어가 가능하므로 댁내 망(10)의 전력소비자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us, for example, even if the user changes the specific device 250 to another smart tag 240 for the purpose of changing the interior, the operation server 210 can control the power according to the changed environment, the power of the home network 10 It is very convenient for the consumer.

한편, 스마트 박스(230)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감지하고 나아가 각 스마트 태그(240)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감지한다. 이러한 전력상태는 전력의 공급 및 차단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스마트 박스(230)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일부 스마트 태그(240)로부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스마트 태그(240)의 장애로 감지하고 모든 스마트 태그(240)로부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력차단상태(정전)로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정보는 운영서버(210)로 실시간으로 보고된다.
Meanwhile, the smart box 230 detects a state of power supplied to the smart box 230, and further detects a state of power supplied to each smart tag 240. This power state refers to a state of supplying and shutting off power.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smart box 230. In addition, if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some smart tags 240, the smart tag 240 is detected as a failure, and if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all smart tags 240, it is detected as a power interruption state (outage). This detection information is reported in real time to the operation server (21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태그와 댁내 망 장치 간의 연결 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smart tag and a domestic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스마트 태그(150)는 일단이 플러그 형태로 구현되고 타단이 콘센트 형태로 구현된다. 이들 플러그 및 콘센트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스마트 태그(150)는 댁내에 설치된 콘센트(310)와 결합됨과 동시에 장치(250)의 플러그(3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장치(250)는 스마트 태그(150) 및 콘센트(32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Referring to FIG. 3, one end of the smart tag 15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ug and the other e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utlet. These plugs and outlets are of cours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mart tag 150 is coupled to the plug 320 of the device 25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outlet 310 installed in the home. Therefore, the device 250 operates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smart tag 150 and the outlet 320.

이때 스마트 태그(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검출하여 통신선을 통해 스마트 박스(230)로 전송한다. 또한, 운영서버(210) 및 스마트 박스(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스마트 태그(150)는 다른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현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smart tag 150 detect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box 230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In addition, power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of the operation server 210 and the smart box 23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mart tag 15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210)는 제1통신부(211), 메모리부(212), 비교부(213) 및 서버제어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operation serve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1, a memory unit 212, a comparison unit 213, and a server controller 214.

제1통신부(211)는 유ㆍ무선 통신망(220)을 통해 스마트 박스(23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메모리부(212)는 댁내 망 장치(250)별로 전력 사용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스마트 박스(230)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 태그(240)의 식별정보(ID) 및 검출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저장한다. 또한, 스마트 태그(240)별로 장치(250)의 연결 변경정보를 저장한다. 비교부(213)는 스마트 태그(240)에서 검출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과 메모리부(212)에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과 비교한다. 서버제어부(214)는 운영서버(2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들을 제어한다. 특히, 서버제어부(214)는 비교부(213)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박스(230) 및 스마트 태그(240)에 대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1 is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box 23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20. The memory unit 212 stores power usage patterns for each home network device 250 in advance, and identifi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240 received from the smart box 230 and the power of the detected device 250. Save the usage pattern. In addition, the connec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device 250 is stored for each smart tag 240. The comparison unit 213 compare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detected by the smart tag 240 with the power usage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212. The server controller 214 controls overall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operation server 210. In particular, the server controller 214 performs operation control on the smart box 230 and the smart tag 24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21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박스의 구성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박스(230)는 제2통신부(231), 제1저장부(232), 제3통신부(233) 및 박스제어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mart box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1, a first storage unit 232, a third communication unit 233, and a box control unit 234.

제2통신부(231)는 유,무선 통신망(220)을 통해 운영서버(21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제1저장부(232)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240)별로 식별정보(ID)를 포함한 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 태그(240)로부터 전송되는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포함한 전력 정보를 저장한다. 제3통신부(233)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24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박스제어부(234)는 스마트 박스(2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박스제어부(234)는 제2통신부(231)를 통해 운영서버(210)로/부터 제어신호 및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제2저장부(232)에 저장하도록 하고, 또한 제3통신부(233)를 통해 스마트 태그(240)로/부터 제어신호 및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제2저장부(232)에 저장하도록 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1 is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210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20. The first storage unit 232 stores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ags 240 and stores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transmitted from the smart tag 240. do.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3 is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mart tags 240. The box controller 23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box 230. In particular, the box controller 234 transmits /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necessary information to / from the operation server 2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1 and stores it in the second storage unit 232, and furthermor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33. )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necessary information to / from the smart tag 240 to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3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태그의 구성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태그(240)는 제4통신부(241), 전력사용패턴 검출부(242), 제2저장부(243) 및 태그제어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mart tag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rth communication unit 241, a power usage pattern detection unit 242, a second storage unit 243, and a tag control unit 244.

제4통신부(241)는 스마트 박스(23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전력사용패턴 검출부(242)는 해당 스마트 태그(240)에 연결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검출한다. 제2저장부(243)는 자신의 식별정보(ID)를 저장하고 상기와 같이 검출된 전력 사용패턴을 저장한다. 태그제어부(244)는 스마트 태그(2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241 is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box 230. The power usage pattern detector 242 detect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connected to the smart tag 240. The second storage unit 243 store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stores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as described above. The tag controller 24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ag 24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의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network for a smar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홈 시스템에 적용된다. 먼저, 운영서버(210)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250)별로 전력 사용패턴을 미리 저장한다(S101). 예컨대, 각종 장치(250)의 시간대별, 일별, 분기별, 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롯하여 동작상태 및 대기상태의 전력 사용패턴, 화재발생 및 기기고장 시의 전력 사용패턴 등을 저장한다.Referring to Figure 7, home networ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mart home system shown in FIG. First, the operation server 210 stores the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of the various types of devices 250 in advance (S101). For example, the power usage patterns of the various devices 250, such as time zones, daily, quarterly, and annually, as well as power usage patterns in operating and standby states, power usage patterns in case of fire and device failure, and the like.

이어, 각 스마트 태그(240)는 자신과 연결된 댁내 망 장치(250)에 대한 전력 사용패턴을 검출하여(S102), 자신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스마트 박스(230)로 전송한다(S103). 스마트 박스(230)는 이를 운영서버(210)로 중개한다(S104). 이때, 스마트 박스(230)는 수신된 식별정보(ID) 및 전력 사용패턴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로써 운영서버(210)는 식별정보(ID)와 검출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매칭시켜 저장한다(S105).Subsequently, each smart tag 240 detects a power usage pattern for the home network device 250 connected thereto (S102), and transmits the smart tag 240 to the smart box 230 together with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S103). . The smart box 230 mediates this to the operation server 210 (S104). In this case, the smart box 230 may selectively store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power usage pattern. As a result, the operation server 210 matches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tected device 250 (S105).

계속하여, 운영서버(210)는 이와 같이 수신된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전기기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고(S106). 그 비교결과에 따라 해당 장치(250)의 이상 유무 등의 상태를 확인한다(S107). 예컨대, 두 개의 전력 사용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하면 해당 장치(250)는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동일 또는 유사하지 않으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이 발생하면(S108), 그 형태에 맞는 경보를 발생한다(S109).Subsequently, the operation server 210 compare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vice 250 received in this way with the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pre-stored electric device (S106).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r the like of the apparatus 250 (S107). For example, if two power usage patterns are the same or similar, the corresponding device 250 determines that it is normal, and if it is not the same or similar, it determin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f an abnormality occurs (S108), an alarm corresponding to the form is generated (S109).

이때, S107 단계에서의 이상 유무는 정전, 화재, 통신 장애, 장치의 고장 등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in step S107 includes power failure, fire, communication failure, failure of the device, and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은 먼저, 운영서버(210)는 스마트 박스(230)로부터 스마트 태그(240)의 식별정보(ID)와 댁내 망 장치(250)의 전력 사용패턴을 수신하고(S201), 이를 누적하여 저장한다(S202). 이후, 스마트 박스(230)로부터 전력 사용패턴이 수신되면 상기 기저장된 전력 사용패턴과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인지를 판단한다(S203). 유사한 패턴이면 장치(250)의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S204), 유사한 패턴이 아니면 해당 스마트 태그(240)에 새로운 장치(25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205), 장치변경에 대한 경보를 발생한다(S206).
Referring to FIG. 8, in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operation server 21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240 and the power of the home network device 250 from the smart box 230. The pattern is received (S201) and accumulated and stored (S202). Thereafter, when the power usage pattern is received from the smart box 2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tern is similar to the previously stored power usage pattern (S203). If the pattern is similar,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nge of the device 250 (S204). If the pattern is not similar, it is determined that the new device 250 is connected to the smart tag 240 (205), and an alarm for the device change is generated. (S206).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망 제어방법은 스마트 박스(230)에서 자신에게 전력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301). 상기 판단결과 전력이 공급되면 정상동작을 수행하고(S302),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신호를 발생하고(S303), 이를 운영서버(210)에 통지한다(S304).9,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smart box 230 (S30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power is supplied,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S302). If power is not supplied,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S303), and the operation server 210 is notified of this (S304).

계속해서, 스마트 박스(230)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240) 각각에 전력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305). 상기 판단결과 각각의 스마트 태그(24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정상동작을 수행하고(S306),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신호를 발생하고(S307), 이를 운영서버(210)에 통지한다(S308).
Subsequently, the smart box 230 determine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ags 240 (S30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each smart tag 240,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S306), and when power is not supplied,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S307), and the operation server 210 is notified of this. (S3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genius will be so self-eviden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스마트 전력미터(Smart Power Meter) 120 : 댁내 망 장치
130,230 : 스마트 박스 140,240 : 스마트 태그
150,210 : 운영서버 160,220 : 통신망
110: smart power meter 120: home network device
130,230: Smart Box 140,240: Smart Tag
150,210: Operation Server 160,22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4)

전력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댁내 망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 원격지에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댁내 망의 장치를 제어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댁내 망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에 상기 각 댁내 망의 장치와 각각 일대 일로 연결되고 상기 댁내 망의 장치에 대한 전력 사용패턴을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출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스마트 태그;
상기 각 스마트 태그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 태그로부터 상기 검출된 각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수신하여 외부 원격지로 전송하는 스마트 박스; 및
유ㆍ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박스로부터 상기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해당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태그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해당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외부 원격지의 운영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In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that uses a power line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and control the devices of the home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remote,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at are connected one-to-one with each of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to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and detect and transmit a power usage pattern for th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ag;
A smart box that communicates with each smart tag and receives power detected patterns of the detected home network devices from the smart tag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to an external remote location; And
Receive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device from the smart box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pare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pre-stored corresponding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 ta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control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 external remote server controlling the operation;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태그는 상기 검출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자신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상기 스마트 박스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스마트 박스로부터 이를 전송받아 상기 식별정보(ID)와 전력 사용패턴을 매칭시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tag transmits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device to the smart box along with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 box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ower.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the smart home, characterized in that to match and store the use patter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매칭된 식별정보(ID) 및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식별정보(ID)를 갖는 스마트 태그에 연결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server compares the match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he power usage pattern with a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to control the power of the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tag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ho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스마트 태그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태그에 연결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server i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mart tag to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of the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t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net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망의 장치는 상기 스마트 태그를 통하여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oor network device i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hrough the smart t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 사용패턴은 상기 각 댁내 망 장치의 시간대별, 일별, 분기별, 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롯하여 동작상태 및 대기상태의 전력 사용패턴, 화재발생 및 장치고장 시의 전력 사용패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ategy usage pattern includes power usage patterns of time zones, daily, quarterly, and annually, as well as power usage patterns in operating and standby states, power usage patterns in case of fire and device failur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smart ho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박스는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 여부 및 자신을 통해 상기 각각의 스마트 태그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box i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supply to each of the smart tag through itself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operation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검출된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댁내 망 장치의 이상 유무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server is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a smart hom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failure of each of the home network devices by using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etected power usage pattern and the pre-stored power usage pattern.
전력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댁내 망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 원격지에서 통신을 통해 상기 댁내 망 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댁내 망 장치에 각각 일대 일로 연결된 다수의 스마트 태그에서 상기 각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 스마트 태그에서 상기 검출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통신선을 이용하여 스마트 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박스에서 상기 수신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유ㆍ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원격지의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과 미리 저장된 댁내 망 장치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해당 댁내 망 장치의 전력을 각각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
In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a smart home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using a power line and to control each of the home network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remote location,
Detecting a power usage pattern of each of the indoor network devices in a set period from a plurality of smart tag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network devices one by one;
Transmitting power usage patterns of the detected home network devices to each smart box using a communication line in each smart tag;
Transmitting, at the smart box, a power usage pattern of the received home network device to a remote operation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ar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received power usage pattern of the indoor network device with the previously stored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indoor network device, and controlling power of the corresponding indoor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a smart hom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패턴은 시간대별, 일별, 분기별, 연별 전력 사용패턴을 비롯하여 동작상태 및 대기상태의 전력 사용패턴, 화재발생 및 기기고장 시의 전력 사용패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usage pattern includes a time usage, daily, quarterly, yearly power usage patterns, power usage patterns in operating and standby states, power usage patterns in case of fire and device failur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검출된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과 상기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가 유사한지 비교하여 상기 댁내 망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indoor network device by comparing the detected power use pattern of the indoor network device with the pre-stored power use pattern in the operation ser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박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마트 태그의 식별정보(ID) 및 상기 댁내 망 장치의 전력 사용패턴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전력 사용패턴과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인지를 판단하며, 유사한 패턴이면 상기 해당 댁내 망 장치의 연결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사한 패턴이 아니면 상기 해당 스마트 태그에 새로운 댁내 망 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eration server accumulates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 tag received from the smart box and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attern is similar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power usage pattern. The pattern of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the smart ho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nection change of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and if it is not a similar pattern, the new hom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mart ta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박스에서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 여부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 태그로의 전력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 box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nd whether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tags,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operation server, the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a smart home.
KR1020100046645A 2010-05-18 2010-05-18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KR101167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645A KR101167585B1 (en) 2010-05-18 2010-05-18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645A KR101167585B1 (en) 2010-05-18 2010-05-18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32A true KR20110127032A (en) 2011-11-24
KR101167585B1 KR101167585B1 (en) 2012-07-31

Family

ID=4539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645A KR101167585B1 (en) 2010-05-18 2010-05-18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58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635A (en) * 2012-10-09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louding service of power system
KR101393416B1 (en) * 2011-12-25 2014-05-1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indentifying electric appliances
KR101393417B1 (en) * 2011-12-25 2014-05-1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indentifying electric appliances
CN103885432A (en) * 2014-04-02 2014-06-25 侯凤存 Intelligent home furnishing control system
KR20150046247A (en) * 2012-08-21 2015-04-29 엔투 글로벌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A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KR20160111130A (en) * 2015-03-16 201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9965007B2 (en) 2013-08-21 2018-05-08 N2 Global Solutions Incorporate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16B1 (en) * 2011-12-25 2014-05-1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indentifying electric appliances
KR101393417B1 (en) * 2011-12-25 2014-05-1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indentifying electric appliances
KR20150046247A (en) * 2012-08-21 2015-04-29 엔투 글로벌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A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KR20140046635A (en) * 2012-10-09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louding service of power system
US9965007B2 (en) 2013-08-21 2018-05-08 N2 Global Solutions Incorporate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CN103885432A (en) * 2014-04-02 2014-06-25 侯凤存 Intelligent home furnishing control system
KR20160111130A (en) * 2015-03-16 201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US10107849B2 (en) 2015-03-16 2018-10-23 Lg Electronics Inc. Diagnostic system for a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 hom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585B1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585B1 (en)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JP6362630B2 (en) Energy management equipment
US8290635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 by detecting electrical signatures of appliances
US2018000649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769927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20090167547A1 (en) Utility disconnect monitor node with communication interface
US8581439B1 (en)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including controllable transfer switches
KR20180116306A (en) Internet Smart Home / Building Autom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JP2010011558A (en) Remote meter reading system
KR100691391B1 (en) Power controller and electronic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said power controller
JP2018166284A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596345B1 (en) Integrated electricity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grid
CN113302435B (en) Integrat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or an appliance
KR1010064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KR101486386B1 (en) Power control app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708762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power monitoring device
KR101306198B1 (en) System for turning off stanby power and monitoring electric power
KR101425113B1 (en) System and method of cutting off stand-by power in smart electric device
KR20150111804A (en) Intelligent power plug and power adapter
KR101679848B1 (en) Power monitoring devic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127391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588062B1 (en) Home applian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new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11263A (en) Electri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implementing effectiv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disaster prevention
NZ730125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