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904A -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904A
KR20110125904A KR1020100045538A KR20100045538A KR20110125904A KR 20110125904 A KR20110125904 A KR 20110125904A KR 1020100045538 A KR1020100045538 A KR 1020100045538A KR 20100045538 A KR20100045538 A KR 20100045538A KR 20110125904 A KR20110125904 A KR 2011012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film
pressure
surfac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김동휘
최주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904A/ko
Publication of KR2011012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필름의 일면에 손실계수가 상이한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됨으로써 편광판의 취급 공정 상에서 표면에 결함이 생기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휨이나 찍힘, 눌림과 같은 각종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회복되어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저박리력을 유지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후에도 쉽게 박리 제거될 수 있는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FIL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취급 공정 상의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을 개선하여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고 불량을 최소화하며, 적용 후 쉽게 박리 제거될 수 있는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적층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요오드계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양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편광자의 일면에는 보호필름이 적층되고, 다른 일면에는 보호필름,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 및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다층 구조이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는 편광판 외에,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광학필름, 예를 들면 위상차판, 시야각 확대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이 더 구비된다.
편광판을 포함한 각종 광학필름에는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가공, 수송, 운반이나 제조, 검사와 같은 취급 공정 상에서 표면에 상처, 흠집과 같은 결함이 생기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보호필름이 부착된다.
표면보호필름은 통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기재필름의 일면에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이며, 점착제층의 물성에 의해 표면보호필름의 성능, 예를 들면 박리력 등이 결정된다.
표면보호필름이 부착된 광학필름은 롤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보존되거나 액정셀의 크기에 맞춰 절단 가공되고, 이들은 중첩되어 보관되기도 한다. 이러한 공정 상에서 휨이나 찍힘, 눌림과 같은 각종 외력에 의해 광학필름에 눌림 자국이 발생된다. 또한, 공정 상에서 발생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표면보호필름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중첩된 광학필름 사이에 혼입되는 경우에도 이물질에 의한 국부적인 눌림 자국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5-0039639호에는 기재필름 이면에 이물질 흡수층이 형성된 표면보호필름이 개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기능성층을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면보호필름의 특징인 저박리력을 유지하면서, 편광판의 취급 공정에서 발생하는 휨, 찍힘, 눌림 등과 같은 각종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회복될 수 있어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보호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1. 기재필름,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은 광학필름에 접합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2)가 상기 제1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1)보다 작은 표면보호필름.
2. 위 1에 있어서,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비(tanδ1/tanδ2)는 1.2 이상인 표면보호필름.
3. 위 2에 있어서,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비(tanδ1/tanδ2)는 1.5 내지 2.5인 표면보호필름.
4. 위 1에 있어서, 제2 점착제층의 박리력은 제1 점착제층의 박리력보다 작은 표면보호필름.
5. 위 4에 있어서, 제2 점착제층은 300㎜/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저속박리력이 2 내지 4g/25㎜이고, 30m/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고속박리력이 50 내지 80g/25㎜인 표면보호필름.
6. 위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표면보호필름의 제2 점착제층이 광학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7. 위 6에 있어서, 광학필름은 편광판, 시야각 확대 필름, 위상차판, 휘도 향상 필름 및 색보상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본 발명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은 편광판을 포함한 각종 광학필름의 취급 공정 상에서 표면에 상처, 흡집과 같은 결함이 생기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휨이나 찍힘, 눌림과 같은 각종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회복되어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박리력이 낮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후에도 쉽게 박리 제거될 수 있어, 특히 대면적의 제품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면에서도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보호필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취급 공정 상의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을 개선하여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고 불량을 최소화하며, 적용 후 쉽게 박리 제거될 수 있는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필름(11), 제1 점착제층(12) 및 제2 점착제층(13)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은 광학필름과 접합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2)가 상기 제1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제2 점착제층(13) 상에 이형필름(14)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기재필름(11)은 공지된 표면보호필름용 기재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기재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가공성을 고려하여 1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인 것이 좋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 표면보호필름의 박리 제거 시 강도나 표면보호 기능이 불충분해질 수 있으며,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 취급성이나 비용 면에서 불리하다.
기재필름의 적어도 일면에는 대전방지성, 방현성 또는 이들 모두를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 처리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서로 손실계수가 상이한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으로 구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점착제층(12)은 기재필름(11)과 접합되는 점착제층이며, 제2 점착제층(13)은 광학필름과 접합되는 점착제층으로서, 각각 점착제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점착제 수지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계; 천연 고무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합성 고무계; 실리콘계 등의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모두를 의미한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6 내지 14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피착제로의 점착력을 낮게 제어하여 재박리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함량 100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9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99중량% 초과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될 수 있다.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 또는 점착강도를 부여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드기, 3차 아민기, 술폰산기, 인산기, 시아노기, 이미드기, 에폭시기, 에테르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콜, 알릴알콜,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함량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될 수 있고, 50중량% 초과인 경우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이 통상 50,000 내지 2,00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1,8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000 내지 1,000,000인 것이 좋다.
가교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적절히 가교함으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수지, 아지리딘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에의 부가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함량 기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부족한 가교도로 인하여 점착력이 상승하여 재박리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5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구성과 재박리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손실계수가 서로 다르며, 제1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1)보다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2)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저박리력을 유지하면서도 각종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쉽게 회복될 수 있다. 반면, 제1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1)보다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2)가 크게 되면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쉽게 발생하며, 30m/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고속박리력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비(tanδ1/tanδ2)는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인 것이 좋다. 손실계수비(tanδ1/tanδ2)가 1.2 미만인 경우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의 개선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
제2 점착제층의 박리력은 제1 점착제층의 박리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속박리력 및 고속박리력이 작아 작업성이 우수한 반면, 반대의 경우 표면보호필름의 고속박리 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2 점착제층의 박리력은 300㎜/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저속박리력이 4g/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g/25㎜인 것이 좋고, 동시에 30m/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고속박리력이 80g/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g/25㎜인 것이 좋다. 저속박리력이 4g/25㎜ 초과 또는 고속박리력이 80g/25㎜ 초과인 경우에는 표면보호필름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 및 박리력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단량체의 종류와 함량, 개시제의 종류 및 함량, 중합 시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중합방법의 조건을 다르게 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의 함량비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기재필름(11) 상에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을 적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재필름 상에 제1 점착제 조성물을 유동 주조법, 및 에어 나이프, 그라비아, 리버스 롤, 키스 롤, 스프레이 또는 블레이드 등의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적당한 전개방식으로 직접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1 점착제층을 적층한 후, 제1 점착제층 상에 제2 점착제 조성물을 동일한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 2매의 이형필름 사이에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이 개재된 점착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
이형필름(14)은 제2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 처리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종래와는 다르게 기재필름 상에 손실계수가 상이한 제1 및 제2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됨으로써, 표면보호필름에서 요구되는 저박리력을 유지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후 쉽게 박리 제거될 수 있으며, 각종 광학필름의 취급 공정 상에서 표면에 상처, 흡집과 같은 결함이 생기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휨이나 찍힘, 눌림과 같은 각종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회복되어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은 각종 광학필름, 예를 들면 편광판, 시야각 확대 필름, 위상차판, 휘도 향상 필름, 색보상판 등과 같은 통상의 단층형 또는 적층형 광학필름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광학필름 중 편광판을 일례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은 최외각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표면보호필름의 제2 점착제층이 편광판의 일면에 부착된 구조의 편광판이다.
편광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22)의 양면에 투명 보호필름(21, 23)이 적층된 통상적인 구조의 편광판(20)의 일면에 표면보호필름(10´)의 제2 점착제층(13)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일 수 있다.
또한, 표면보호필름(10´)이 적층되지 않는 다른 일면에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30)과 필요에 따라 이형필름(미도시)이 순서대로 적층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합성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A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로트 및 질소가스 도입관이 설치된 1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0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중량부를 투입하고,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EA) 164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 시간 동안 투입하여 치환시킨 후 온도를 50℃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A) 10중량부에 반응개시제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4중량부를 완전히 용해한 용액을 적하하였다. 반응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EA) 90중량부를 1시간 동안 천천히 적하하였다. 또한, 동일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122.3중량부를 투입하고, 다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고형분 함량이 35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40만이었다.
합성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B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단량체로 n-부틸아크릴레이트(BA) 20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8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중량부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고형분 함량이 34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74만이었다.
제조예 1. 점착제 조성물Ⅰ
합성예 1의 아크릴계 공중합체A(고형분 함량 기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체(COR-L, 일본폴리우레탄공업㈜) 0.6중량부를 혼합한 후 코팅성을 고려하여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Ⅰ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점착제 조성물Ⅱ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합성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3. 점착제 조성물Ⅲ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가교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체(COR-L, 일본폴리우레탄공업㈜) 0.3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4. 점착제 조성물Ⅳ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합성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B와 가교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체(COR-L, 일본폴리우레탄공업㈜) 0.3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구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손실계수
(tanδ)
종류 함량(중량부) COR-L(중량부)
제조예1 A 100 0.6 0.244
제조예2 B 100 0.6 0.126
제조예3 A 100 0.3 0.284
제조예4 B 100 0.3 0.175
실시예 1
(1) 표면보호필름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제조예 1의 점착제 조성물Ⅰ을 건조 후 두께가 15㎛가 되도록 직접 도포한 후 80℃의 건조로에서 건조하여 제1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제1 점착제층 상에 제조예 2의 점착제 조성물Ⅱ를 건조 후 두께가 5㎛가 되도록 직접 도포한 후 80℃의 건조로에서 건조하여 제2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제2 점착제층 상에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이형필름을 접합한 후 7일 동안 양생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2)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
(1)의 표면보호필름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두께 25㎛)과 이형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SRW862, 동우화인켐㈜)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지 않은 일면에 접합하여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3의 점착제 조성물Ⅲ을 사용하고, 제2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4의 점착제 조성물Ⅳ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3의 점착제 조성물Ⅲ을 사용하고, 제2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2의 점착제 조성물Ⅱ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2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4의 점착제 조성물Ⅳ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만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만을 형성하되, 제조예 2의 점착제 조성물Ⅱ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만을 형성하되, 제조예 3의 점착제 조성물Ⅲ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만을 형성하되, 제조예 4의 점착제 조성물Ⅳ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2의 점착제 조성물Ⅱ를 사용하고, 제2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1의 점착제 조성물Ⅰ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1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4의 점착제 조성물Ⅳ를 사용하고, 제2 점착제층의 형성 시 제조예 3의 점착제 조성물Ⅲ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과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1. 손실계수
제조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직경 25㎜이고 두께 1㎜인 원주상 시편을 제조하였다. 동적점탄성 측정장치(MCR300, PSICA사)를 이용하여 주파수 1㎐, 온도 23℃의 조건에서 왜곡 전단법(torsional shearmethod)에 의거하여 손실탄성계수(G˝)와 저장탄성계수(G´)를 각각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2. 박리력(g/25㎜), 박리력 평가
제조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을 25㎜×150㎜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으로부터 표면보호필름의 제2 점착제층을 인장시험기(AUTOGRAPH, AG-IS 50N, 시마즈사)를 이용하여 박리속도 300㎜/분 및 박리각도 180°로 박리하였을 때의 저속박리력과, 박리속도 30m/분 및 박리각도 180°로 박리하였을 때의 고속박리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23℃, 50%RH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박리력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저속박리력 ≤ 4g/25㎜, 고속박리력 ≤ 80g/25㎜
×: 4g/25㎜ < 저속박리력, 80g/25㎜ < 고속박리력
3. 눌림 자국
제조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편광판을 10㎝×10㎝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의 표면보호필름 상에 직경 10㎜의 스틸볼을 올려 놓고 200g의 하중을 1초 동안 가한 후 눌림 자국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2분 미만의 시간에서 원상태로 회복됨(양호).
△: 2-10분의 시간에서 원상태로 회복됨(보통).
×: 10분 초과된 후에도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고, 영구변형이 발생함.
구분 제1 점착제층 제2 점착제층 손실계수비 박리력(g/㎜) 눌림
자국
종류 손실
계수
(tanδ1)
종류 손실
계수
(tanδ2)
(tanδ1
/tanδ2)
저속
(300㎜
/분)
고속
(30m
/분)
평가
실시예1 0.244 0.126 1.9 3.2 61.1
실시예2 0.284 0.175 1.6 3.8 78.2
실시예3 0.284 0.126 2.3 3.3 72.3
실시예4 0.244 0.175 1.4 3.9 71.3
비교예1 0.244 - - - 7.6 90.0 ×
비교예2 0.126 - - - 3.6 61.1 ×
비교예3 0.284 - - - 7.9 116.9 ×
비교예4 0.175 - - - 3.9 78.2 ×
비교예5 0.126 0.244 0.5 7.3 92.1 ×
비교예6 0.175 0.284 0.6 8.1 114.3 ×
위 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손실계수가 서로 상이한 제1 및 제2 점착제층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이 부착된 실시예 1 내지 4의 편광판은 표면보호필름으로서 적합한 저박리력을 유지하면서 외력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회복되어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종래와 같이 제1 점착제층만을 적용한 비교예 1 내지 4의 편광판은 박리력 특성과 눌림 자국 개선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었고, 본 발명에 해당되지 않는 손실계수 특성을 갖는 제1 및 제2 점착제층을 적용한 비교예 5 및 6의 편광판은 표면보호필름으로서의 박리력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10, 10´: 표면보호필름 11: 기재필름
12: 제1 점착제층 13: 제2 점착제층
14: 이형필름 20: 편광판
21, 23: 투명 보호필름 22: 편광자
30: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층

Claims (7)

  1. 기재필름,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점착제층은 광학필름에 접합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2)가 상기 제1 점착제층의 손실계수(tanδ1)보다 작은 표면보호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비(tanδ1/tanδ2)는 1.2 이상인 표면보호필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손실계수비(tanδ1/tanδ2)는 1.5 내지 2.5인 표면보호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점착제층의 박리력은 제1 점착제층의 박리력보다 작은 표면보호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 점착제층은 300㎜/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저속박리력이 2 내지 4g/25㎜이고, 30m/분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고속박리력이 50 내지 80g/25㎜인 표면보호필름.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표면보호필름의 제2 점착제층이 광학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7. 청구항 6에 있어서, 광학필름은 편광판, 시야각 확대 필름, 위상차판, 휘도 향상 필름 및 색보상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KR1020100045538A 2010-05-14 2010-05-14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KR20110125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38A KR20110125904A (ko) 2010-05-14 2010-05-14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38A KR20110125904A (ko) 2010-05-14 2010-05-14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04A true KR20110125904A (ko) 2011-11-22

Family

ID=4539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538A KR20110125904A (ko) 2010-05-14 2010-05-14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9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603B1 (ko) * 2012-08-02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20150077583A (ko) * 2013-12-27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제조방법
CN109212649A (zh) * 2017-06-29 2019-01-15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
JP2019203984A (ja) * 2018-05-23 2019-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603B1 (ko) * 2012-08-02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KR20150077583A (ko) * 2013-12-27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제조방법
CN109212649A (zh) * 2017-06-29 2019-01-15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
JP2019203984A (ja) * 2018-05-23 2019-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291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908916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576101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면보호필름
US20010031835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and adhesive optical component using the composition
WO2011111576A1 (ja) 光学用粘着シート
JP6343836B2 (ja) 光拡散粘着剤層、及び光拡散粘着フィルム
KR101863664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JP4689166B2 (ja)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性光学機能部材及び液晶表示素子
TWI635308B (zh) 偏光板用黏著膜、偏光板用黏著組成物、偏光板及光學顯示器
KR20110125904A (ko)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표면보호필름 부착 광학필름
JP6644128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KR101623055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면보호필름
JP2020073683A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6367885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7242925B2 (ja) 光拡散粘着フィルム
JP6590384B2 (ja) 光拡散粘着剤層、及び光拡散粘着フィルム
JP6793233B2 (ja) 光拡散粘着フィルム
JP6334012B2 (ja) 光拡散粘着剤層、及び光拡散粘着フィルム
KR20230005054A (ko) 광학 점착제층
JP2021011589A (ja) 光拡散粘着フィルム
JP2021042392A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KR20100035789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00713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