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683A -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 Google Patents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683A
KR20110125683A KR1020100044679A KR20100044679A KR20110125683A KR 20110125683 A KR20110125683 A KR 20110125683A KR 1020100044679 A KR1020100044679 A KR 1020100044679A KR 20100044679 A KR20100044679 A KR 20100044679A KR 20110125683 A KR20110125683 A KR 2011012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circuit board
cradle
fir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명근
최하늘
김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10004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683A/en
Publication of KR2011012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6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Abstract

PURPOSE: A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is provided to reduce the additional wire in a combination of the repeater and a circuit substrate by forming a connection unit into one on one side of a circuit substrate. CONSTITUTION: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320) is prepared to one side of the repeater(300).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240) is prepared on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a circuit board. A connection unit(260) is prepared to other side of the circuit substrate. The connection unit corresponds to the relay terminal of the relaying device. A circuit is printed to the circuit substrate. The circuit electrically connects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nection unit. The connection unit is directly prepared to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

Description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은 소화전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및 중계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배선이 없이 중계기의 단자와 회로기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circuit board and a repeater provided in the fire hydrant, and more specifically,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repeater which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by directly contacting a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a circuit board without a separate wirin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는 각 층마다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화재 진화를 위한 소화전과 화재의 발생을 알릴 수 있는 경보시설 등과 같은 소방설비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층에 설치되는 소방설비가 중앙방제실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In general, a multi-layered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building, is equipped with fire-fighting equipment such as a fire hydrant for fire extinguishing installed in each floor and an alarm facility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fire. Accordingly, the fire fighting equipment installed on each floor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소화전 내부에는 중앙방제실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기가 구비되어 있고, 입출력 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다.The hydrant has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circuit board printed with a circuit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signals.

이와 같은 상기 중계기와 회로기판은 연결배선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경종 또는 표시램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별도의 배선이 더 필요하게 된다.The repeater and the circuit board a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wiring. In addition, when a separate device such as a bell or a display lamp is further provided, a separate wiring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devices is required.

이에 따라, 소화전 내부는 많은 배선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결배선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회로도와 일치하는 코드가 표시되어 있다.Accordingly, a number of wires are arranged inside the fire hydrant, and each connection wire is marked with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ircuit diagram to indicate a corresponding position.

따라서, 상기 소화전 내부는 복잡하여 얽혀있는 연결배선들로 인하여 매우 복잡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으며, 회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연결배선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애로점이 있었다. 연결배선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를 잘못 확인하여 적합하지 않은 연결배선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회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the inside of the fire hydrant may be in a very complicated state due to the complicated and entangled connection wires, and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circui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ode displayed on the connection wires one by one. If the code marked on the connection wire is incorrectly checked and connected through an inappropriate connection wire, serious problems may occur in the circuit.

또한, 중계기 및 회로기판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결배선들의 연결을 해제하고 유지, 보수가 완료된 후에 다시 적합한 연결배선을 찾아 연결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repeater and the circuit board, the hassle of disconnecting the respective connection wires and having to find and connect suitable connection wires again after maintenance and repair are comple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배선 없이 회로기판이 중계기의 단자와 직접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소방용 중계기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relay repeater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directly without a separate wir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복수 개의 중계단자가 구비되는 중계기 및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 상면에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외부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중계기의 중계단자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가 상기 중계기의 복수 개의 중계단자에 직접 접촉되어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de of a repeater and plate form having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on one side,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on one side surface A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to protru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lay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including a circuit board on which a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nection part is printed. Provides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hys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repeaters of the repeater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기는 소화전 내부에 장착되는 거치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부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상기 거치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mounted inside the fire hydrant, the circuit board is formed through the sliding guide is formed in the upper groove and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cradle Sliding movemen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can b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중계기와 인접한 일 측면에 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의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슬롯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lot provided at one side adjacent to the repeater and a hook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a catch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guides on both sides of the cradle, and the slo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는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중계단자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respectively.

여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끝단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중계단자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recessed inwardly at an end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첫째, 회로기판이 중계기의 중계단자와 직접 접촉하여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에 접속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중계기를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배선이 필요하지 않아 소화전 내부를 간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connection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so that the circuit boar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peater terminal of the repeater, the wiring is not necessary to connect the circuit board and the repeater. It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더불어, 복수 개의 단자 각각에 적합한 배선이 아닌 다른 배선이 연결되어 내부 회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a situation in which a situation in which a problem may occur in an internal circuit may be caused by connecting a different wir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둘째, 중계기와 회로기판이 별도의 배선이 없이 직접 접촉되어 결합됨으로 인하여 상기 중계기 및 회로기판의 유지, 보수를 위한 탈부착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repeater and the circuit board are directly contacted and coupled without a separate wir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tachable process for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repeater and the circuit board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중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로기판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중계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후크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circuit board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nd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rcuit board is slidingly moved through a slid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rcuit board is fixed by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중계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중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로기판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briefly described for the fir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rela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it board of Figure 1 explo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중계기는 크게, 회로기판(200) 및 중계기(300)를 고정시키는 거치대(100),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거치대(100) 상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20) 및 상기 회로기판(200)을 고정시키는 걸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the cradle 100 for fixing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repeater 300, the circuit board 200 is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ncludes a sliding guide 120 and the engaging portion 140 for fixing the circuit board 20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0 to be fixed to.

여기에서 상기 거치대(100)는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200) 및 중계기(300)가 고정되고,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경종(40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종결합부(180)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소화전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80)가 구비된다.Here, the cradle 100 is fixed to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repeater 300 on the upper surface, the seedling coupling portion 180 is formed so that the seedling 400 is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180 fixed inside the hydrant.

이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의 측면에는 경종결합부(180)가 구비되어 경종(400)이 상기 거치대(100)의 좌, 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대(100)의 양 측면에 모두 상기 경종결합부(180)가 구비되어 상기 경종(4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된다.As such, the seedling coupling unit 18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lder 100 so that the seedling 400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der 100. In this embodiment, the seedling coupling portion 18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100 so that the seedling 400 is selectively detachable.

이에 소화전의 내부 상황에 따라 상기 경종(400)의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will be able to use the appropriate location of the seedling 400 according to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fire hydrant.

상기 거치대(100)에 상기 회로기판(200), 중계기(300) 및 경종(400)이 상호 결합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180)에 의하여 소화전 내부에 장착되면, 중앙방제실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화제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ircuit board 200, the repeater 300 and the bell 40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mounted inside the fire hydrant by the fixing unit 180, the cradle 100 is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room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It will be able to inform the topic.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의 상면에서 상기 중계기(300)의 중계단자(320)의 형성 높이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된다.By the sliding guid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200 is slidably mov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height of the relay terminal 320 of the repeater 3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00. .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 양측에 각각 2개씩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 하나가 길게 형성되어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슬라이딩 가이드(120)가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two sliding guides 120 ar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holder 100, respectively, one sliding guide 120 is formed long And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r two or more sliding guides 120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또한,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측에는 슬롯(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100) 상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 사이에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슬롯(220)에 대응되는 후크(146)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10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걸림부(1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lot 2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slot 220 of the circuit board 200 is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guides 120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00. Hook 146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140 is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radle 100.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의 슬라이딩 홈(12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거치대(100)의 상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로기판(200)의 슬롯(220)에 상기 후크(146)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12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상기 회로기판(200)의 고정력이 향상되게 된다.Therefore, the circuit board 200 is slid and moved along the sliding groove 128 of the sliding guide 120 to be fixed to the cradle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00 by a fixed distance. The hook 146 is coupled to the slot 220 of the circuit board 200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circuit board 200 sliding along the sliding groove 128 is improv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기판(200)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일측에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외부단자(24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중계기(300)의 중계단자(320)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속부(260)가 구비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upper one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240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the other side of the repeater of the repeater 300 A connection part 260 is formed to protrude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320.

여기에서, 상기 외부단자(240)와 상기 접속부(260)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다.Here, a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external terminal 240 and the connection part 260 is printed.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중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Next, referring to Figure 3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nd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계기(300)는 중앙방제실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측에 복수 개의 중계단자(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방제실과 연결되는 별도의 단자가 구비된다.The repeat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and plays a ro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are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terminal is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중계단자(320)는 각각의 단자(322)가 차단판(326)을 통해 독립적인 위치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홈(324)이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ovided such that each terminal 322 has an independent position through the blocking plate 326,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may be inserted. The fastening groove 324 is formed to b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300)의 복수 개의 중계단자(320)와 대응되는 접속부(260)가 구비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oar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part 26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of the repeater 300.

여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중계단자(320) 각각이 상기 차단판(326)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어 상기 접속부(260)는 각각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복수 개의 중계단자(320)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돌출부(260)로 이루어진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is partitioned by the blocking plate 326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60 is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each divided into independent spaces. It consists of a protrusion 260.

다시 말하면,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260)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260)는 상기 차단판(326)의 폭에 대응되게 상호간에 이격되어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60 extend in a form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200, and each of the protrusions 26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locking plate 326.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돌출부(260)가 대응되는 상기 복수 개의 중개단자(320)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ach of the protrusions 260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intermediary terminals 320,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260)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체결홀(2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260)와 상기 복수 개의 중개단자(320)가 결합된 후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접속부(260)의 체결홀(262)과 상기 중계기(300)의 체결홈(324)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결합력이 향상 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astening holes 262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60 to be recessed inward. Accordingly, after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60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terminals 320 are couple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62 of the connection part 260 and the repeater 300. Through the fastening groove 324 can be more firmly fixed, the coupling force can be improved.

끝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거치대에 고정되는 것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이 후크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Finally, with reference to Figures 4 and 5 will be briefly described that the circuit board is fixed to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slidingly moved through the slid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fixed by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는 상기 거치대(100) 상면(110)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 상면(1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22), 상기 하부지지부(122)를 포함하여 상부에 상기 회로기판(20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기 슬라이딩 홈(128)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124) 및 상부지지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sliding guid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cradle 100 such that the circuit board 200 has an upper surface 110 of the cradle 100. A lower support part 122 supporting the fixed sp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and the sliding groove 128 for guiding the circuit board 200 to be slidably moved, including the lower support part 122. The side support 124 and the upper support 126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에서, 상기 하부지지부(122)는 상기 거치대(100) 상면(110)에 고정되는 상기 중계기(300)의 복수 개의 중개단자(320)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거치대(100) 상면(110)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에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고정되는 과정에서 곧바로 상기 중계기(300)와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lower support portion 122 is the height of the cradle 100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terminals 320 of the repeater 30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holder (100)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repeater 300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circuit board 200 to the cradle 100 by sliding movement.

상기 측면지지부(124)는 상기 하부지지부(122)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슬라이딩 홈(12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기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이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side support part 124 extend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art 122, and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ircuit board 200 so that the circuit board 200 can slide along the sliding groove 128. Is formed to, the circuit board 200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viation from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26)는 상기 측면지지부(124)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part 126 is formed integrally bent with the side support part 124 and serves to prevent the circuit board 200 which is slid and moved upward.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걸림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돌출지지부(142), 상기 회로기판(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돌출지지부(142)의 상부에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144) 및 상기 스토퍼(144)의 상부에서 상기 회로기판(200)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147)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의 슬롯(220)과 결합될 수 있는 후크(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lock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the circuit board 200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00. In order to stop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ircuit board 200 which is formed to extend stepwis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support 142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ircuit board 200, the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sliding guide 120. The stopper 14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144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the inclined slope 147 formed along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at the end is form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146 that can be coupled to the slot 220 of the circuit board 200.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40)는 상기 돌출지지부(142)와 스토퍼(144) 및 후크(146)를 통해 이루어지는 수용공간(148)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ngaging portion 14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148 formed through the protruding support 142, the stopper 144 and the hook 146 to accommodate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200. .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지지부(142)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의 하부지지부(122)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거치대(10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protruding support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00 to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pport 122 of the sliding guide 120 so that the circuit board 200 is mounted on the cradle. It serves to support to be fixed in a stat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100).

상기 스토퍼(144)는 상기 회로기판(200)이 슬라이딩 운동이 끝나도록 상기 돌출지지부(142)의 상면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The stopper 144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pport part 142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ircuit board 200 ends.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크(1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4)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지지부(142)의 상면 및 상기 스토퍼(144)의 측면과 함께 수용공간(148)을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ok 14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from the stopper 144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48 together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pport 142 and a side surface of the stopper 144. Don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크(146)는 상기 회로기판(200)이 슬라이딩 이동 중에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끝단이 하부로 돌출되고,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47)이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hook 14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147, the end of which protrudes downward, one side is inclined so that the circuit board 2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liding movement during the sliding movement, the elastic material Is made of.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의 슬라이딩 홈(128)의 안내를 받아, 상기 거치대(100)의 측면에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단이 상기 후크(146)의 경사면(147)과 접촉하게 된다.The circuit board 200 is guided by the sliding groove 128 of the sliding guide 120 and is slidably mov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radle 100 so that one end of the circuit board 200 is connected to the hook 146.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7.

이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단이 상기 후크(146)의 경사면(147)과 접촉한 후 계속적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후크(146)의 경사면(147)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이에 보다 원활한 운동을 위하여 상기 후크(146)는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one end of the circuit board 200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147 of the hook 146 and continuously slides, the circuit board 200 is inclined surface 147 of the hook 146. Sliding along the road. In this regard, the hook 146 causes deformation for smoother movement.

이처럼, 상기 회로기판(200)의 일단이 상기 후크(146)를 상부로 밀어 올리며 슬라이딩 운동을 하여 상기 스토퍼(144)와 접하면서 상기 회로기판(200)은 슬라이딩 운동을 멈추게 된다.As such, the circuit board 200 stops the sliding movement while one end of the circuit board 200 contacts the stopper 144 by sliding the hook 146 upward.

이에, 상기 후크(1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146)가 상기 회로기판(200)에 형성된 슬롯(220)에 끼워지게 된다.Thus, the hook 146 is fitted into the slot 220 formed in the circuit board 20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hook 146.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00)이 상기 거치대(100)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20) 및 상기 걸림부(140)를 통해 고정된다.Therefore, the circuit board 200 is fixed through the sliding guide 120 and the engaging portion 14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상기 중계기(300)의 복수 개의 중계단자(320)에 결합된 상기 회로기판(200)은 이탈되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ircuit board 200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320 of the repeater 300 may be coupled more firmly without being separated.

상기 회로기판(200)을 상기 중계기(300)와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후크(146)를 상부로 젖힌 후 상기 회로기판(200)을 상기 거치대(100)의 외측으로 끌어 슬라이딩 운동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진다.In order to separate the circuit board 200 from the repeater 300, first, the hook 146 is bent upwards, and then the circuit board 200 is simply pulled out of the holder 100 and slid. .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중계기(300)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상기 회로기판(200) 및 중계기(300)를 유지, 보수하는 절차가 간소해지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repeater 3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dure for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repeater 3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거치대 120: 슬라이딩 가이드
140: 걸림부 160: 경종결합부
180: 고정부 200: 회로기판
220: 슬롯 240: 외부단자
260: 접속부 262: 체결홀
300: 중계기 320: 중계단자
400: 경종
100: holder 120: sliding guide
140: engaging portion 160: seedling coupling portion
180: fixed part 200: circuit board
220: slot 240: external terminal
260: connection portion 262: fastening hole
300: repeater 320: repeater terminal
400: seedling

Claims (5)

일측에 복수 개의 중계단자가 구비되는 중계기; 및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 상면에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외부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중계기의 중계단자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가 상기 중계기의 복수 개의 중계단자에 직접 접촉되어 물리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
A repeater having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on one side; And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i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relay terminal of the repeater,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A circuit board on which a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is printed;
Consisting of,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of the repeate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소화전 내부에 장착되는 거치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부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상기 거치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peate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mounted inside the fire hydrant, the circuit board is sliding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through a sliding guide is formed in the upper groove and the sliding guid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radl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중계기와 인접한 일 측면에 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의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부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슬롯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it boar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is provid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repeater is coupled to the hook and the slo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guides on both sides of the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는,
복수 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중계단자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끝단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중계단자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중계기의 결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end recessed inward is coupled through a plurality of relay terminals and a separate fastening member.
KR1020100044679A 2010-05-12 2010-05-12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KR201101256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79A KR20110125683A (en) 2010-05-12 2010-05-12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679A KR20110125683A (en) 2010-05-12 2010-05-12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83A true KR20110125683A (en) 2011-11-22

Family

ID=4539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679A KR20110125683A (en) 2010-05-12 2010-05-12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68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863B1 (en) * 2012-08-24 2014-07-31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Addressable Module for Fire Alarm System
KR102483197B1 (en) * 2022-07-11 2022-12-29 김성태 A Fixing Bracket For Firefighting Repe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863B1 (en) * 2012-08-24 2014-07-31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Addressable Module for Fire Alarm System
KR102483197B1 (en) * 2022-07-11 2022-12-29 김성태 A Fixing Bracket For Firefighting Repe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0428C1 (en) System plug connector with transition module
CA2604022C (en) Support frame for wall mounting an electrical apparatus
TWI46787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indication in cable network systems
KR20110125683A (en) Combination structure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US20140212094A1 (en) Optical fiber-based optical functional device cartridge module
CN101185151A (en) Support frame for electrical apparatuses
JP4934710B2 (en) Fire alarm equipment repeater
JP6347360B2 (en) Switch cover, operation terminal
KR101190175B1 (en) Power distributing board for protecting short circuit of led with wired electrical line at apartment house
KR20110125119A (en) Bracket for repeater of fire extinguishing
EP3157039A1 (en) Communicating circuit breaker architecture with automatic load center position identification
KR100732726B1 (en) The floor distributing wires box
KR101425863B1 (en) Addressable Module for Fire Alarm System
JP4366699B2 (en) Wiring system and extended wiring module used for wiring system
JP201515427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5443842B2 (en) Wiring structure in electronic equipment
KR102241534B1 (en) Connector unit and lighting device of rail type with the same
KR100832363B1 (en) Hydrant mounted equipment installed printed curcuit board and repeater
JPH07236211A (en) Interconnection unit for hom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N104965273A (en) Fiber adapter box body, fiber adapter box, and prefabricated cabin front-wiring screen cabinet
KR100551636B1 (en) Printed circuit board to control relay signal of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483197B1 (en) A Fixing Bracket For Firefighting Repeater
KR102304820B1 (en) Electronic apparatus
JP3874118B2 (en) Panel display type television and terminal device
US10812642B2 (en) Auxiliary radio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