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464A - 골프연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464A
KR20110125464A KR1020100045007A KR20100045007A KR20110125464A KR 20110125464 A KR20110125464 A KR 20110125464A KR 1020100045007 A KR1020100045007 A KR 1020100045007A KR 20100045007 A KR20100045007 A KR 20100045007A KR 20110125464 A KR20110125464 A KR 2011012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golf
mat
base plate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동
Original Assignee
박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동 filed Critical 박춘동
Priority to KR102010004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464A/ko
Publication of KR2011012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연습장 바닥에 설치되는 인조잔디가 심어진 매트로서 인조잔디 부분만이 탈부착 가능하여 마모된 인조잔디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조잔디가 심어지고 하면에 제 1 결합수단이 마련된 상부판; 및 상면에 상기 상부판이 밀착되고 상기 1 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수단이 마련된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골프연습용 매트를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인조잔디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마모된 인조잔디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국부적으로 마모된 인조잔디를 부분적으로 교체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과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마모된 부분에 대한 즉각적인 유지보수로 항시 양호한 바닥면을 연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인조잔디를 제외한 기타 구성부분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이의 폐기처분에 따른 비용 발생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연습용 매트{MAT FOR GOLF TRAINING}
본 발명은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연습장 바닥에 설치되는 인조잔디가 심어진 매트로서 인조잔디 부분만이 탈부착 가능하여 마모된 인조잔디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란 지팡이 모양의 클럽으로 공을 잇달아 쳐서 홀에 넣는 것으로, 공을 한 코스의 18개 홀에 모두 넣기까지 소요된 샷과 퍼팅 수의 많고 적음으로 우열을 가리는 운동 경기의 일종이다.
골프는 위와 같이 홀에 공을 넣기 위해 티샷, 아이언샷, 칩샷 등의 그린 샷 혹은 퍼팅을 행하게 되는데, 그린 샷에 있어서는 정교한 기교를, 퍼팅에 있어서는 섬세하고도 고도한 집중력을 요구하며 한 코스를 진행하는 동안 걸어서 이동하는 7∼8㎞의 거리를 소화해 낼 수 있는 기초체력까지 필요한 종합 스포츠이다.
이때, 골프 경기장은 들판·구릉·산림 등 66만∼100만㎡의 넓은 지역을 정형(整形)화시켜 티그라운드 및 페어웨이·러프·벙커·워터해저드·그린·홀 등이 구비된 코스로 이루어지고 천연잔디가 넓게 깔린 코스 곳곳에는 숲이나 계곡, 연못, 작은 산 등의 장애물을 인공적으로 만들거나 강이나 바다 같은 자연물을 장애물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천연잔디가 깔리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실제의 골프장(이하, '필드경기장'이라 칭한다.)은 시설 가능한 공간이 한정되고 건설 시 필요한 막대한 비용 때문에 공급이 충분치 않아 많은 골퍼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의 대안으로, 종래에는 실내연습장이나 옥외에 그물을 둘러 설치한 옥외연습장이 곳곳에 설치되고 있다.
이때, 실내 또는 옥외연습장 중 티샷, 아이언샷, 칩샷 혹은 퍼팅 연습을 하는 바닥에는 인조잔디가 심어진 골프매트가 설치되어 천연잔디가 깔린 필드경기장과 같은 환경에서 골프연습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상면으로 인조잔디(10)를 결합하고, 지지판(20)의 하면에는 우레탄폼(30)이 마련된다.
따라서, 인조잔디(10) 상에서 그린 샷 또는 퍼딩 연습을 하여 천연잔디가 깔린 필드경기장과 비슷한 환경에서 연습을 행할 수 있고 골프공의 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을 우레탄폼(30)이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매트(1)는 인조잔디(10)가 지지판(20)에 심어진 단일 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인조잔디(10)가 마모되면 골프매트(1) 전체를 갈아야 한다.
이는 일정한 곳에서의 타격 연습으로 인조잔디가 부분적으로 마모되는 것과 상관없이 골프매트(1)를 통째로 교체함에 따라 자원이 낭비되고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골프매트(1)는 고무판 또는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업폐기물로 취급되어 폐기처리가 난해하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부 손상된 인조잔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인조잔디가 심어지고 하면에 제 1 결합수단이 마련된 상부판; 및 상면에 상기 상부판이 밀착되고 상기 1 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수단이 마련된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 결합수단은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은 판 형상의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상부판 복수 개의 조합과 상응하는 넓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면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일치하는 실리콘, 우레탄폼 또는 에어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인조잔디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마모된 인조잔디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국부적으로 마모된 인조잔디를 부분적으로 교체하여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과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마모된 부분에 대한 즉각적인 유지보수로 항시 양호한 바닥면을 연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조잔디를 제외한 기타 구성부분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이의 폐기처분에 따른 비용 발생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매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10)가 심어지고 하면에 제 1 결합수단(210)이 마련된 상부판(100), 상면에 상부판(100)이 밀착되고 제 1 결합수단(2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수단(220)이 마련된 베이스판(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2 결합수단(210, 220)의 탈착을 통해 상부판(100)과 베이스판(300)은 결합/분리가 가능하고 실내 또는 실외 연습장의 바닥에 베이스판(300)은 영구적으로 설치되고 인조잔디(10)가 심어진 상부판(100)은 베이스판(300)에 탈부착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그 결과, 수회 사용으로 인조잔디(10)가 마모되면 이의 상부판(100)을 베이스판(300)으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상부판(100)을 베이스판(300)에 결합하는 것으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상부판(100)은 인조잔디(10)가 결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판(100)은 딱딱하고 평평한 판일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굴곡진 베이스판(300)에 상기 굴곡을 따라 밀착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판일 수 있다.
또한, 상부판(100)은 베이스판(300)과 동일한 크기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조합으로 베이스판(300)과 동일한 면적을 이루도록 분할된 크기로 마련된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 시 세분화되게 구획을 나누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마모된 부분만을 교체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2 결합수단(210, 220)은 상부판(100)과 베이스판(300)을 탈부착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결합수단(210, 220)은 벨크로테이프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상부판(100)과 베이스판(30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판 형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벨크로테이프 복수 개가 상부판(100)과 베이스판(300)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제 1 결합수단(210)은 상부판(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결합수단(210)의 하면과 상부판(100)의 하면이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상부판(100)의 하면으로부터 제 1 결합수단(210) 즉, 벨크로테이프의 두께만큼 인입되게 고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결합수단(220)은 베이스판(300)의 상면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제 2 결합수단(220)의 상면과 베이스판(300)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베이스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제 2 결합수단(220) 즉, 벨크로테이프의 두께만큼 인입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2 결합수단(210, 220)이 결합한 경우, 도 4와 같이 상부판(100)과 베이스판(300)은 이격없이 밀착 가능하다.
따라서, 베이스판(300)에 벨크로테이프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상부판(100)은 베이스판(300)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단단히 밀착 고정되고, 필요 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판(100)에 심어진 인조잔디(10)가 마모된 경우 상부판(100)을 베이스판(300)으로부터 쉽게 제거하고 새로운 상부판(100)을 결합시켜 손쉽게 유지보수를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판(300)은 실내 또는 실외 연습장의 바닥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샷을 연습할 수 있는 평평한 면 내지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굴곡진 면을 제공하는 상면을 갖고, 실내 또는 실외 연습장의 바닥에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판(300)의 평평하거나 굴곡진 상면에 상부판(100)이 밀착 결합하면 샷을 연습할 수 있는 평평한 바닥 내지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굴곡진 바닥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판(300)은 바람직하게는 연습자의 하중을 지탱하고 타격 연습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한번 시공으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마련된다.
이때, 베이스판(300)은 바람직하게는 타격 연습시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면 중앙에 충격흡수부(31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충격흡수부(31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300) 중 도 4와 같이 타격 연습을 위해 공(401)이 올려지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면이 베이스판(300)의 상면과 일치하는 실리콘, 우레탄폼 또는 에어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충격흡수부(310)가 마련된 베이스판(300)의 상부에서 타격 연습 시 연습자가 클럽(420)을 휘둘러 공(401)이 아닌 상부판(100)을 타격할 경우 충격흡수부(310)가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판(300)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부판(100) 조합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마련되어 하나의 베이스판(300) 내부에서도 부분적으로 상부판(100)을 교체할 수 있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마모에 대응하여 상부판(100)을 구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상부판(100)의 폐기처분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용 매트는 실내 또는 실외 연습장의 바닥에 설치되고 연습자는 필드 경기장과 같은 환경에서 연습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수회 사용으로 인조잔디(10)가 마모된 경우 상부판(100)만을 베이스판(300)으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상부판(10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유지보수를 쉽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즉각적인 유지보수에 따라 연습자는 항시 질 좋은 바닥면을 제공받게 된다.
또한, 국부적으로 인조잔디(10)가 마모되면 복수 개의 상부판(100) 중 해당 부분의 상부판(100)만을 교체하여 최대한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불필요한 폐기처분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판(300)에 마련된 충격흡수부(310)가 샷의 연습시 바닥을 치는 충격을 흡수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0: 인조잔디 20: 지지판
30: 우레탄폼 100: 상부판
210: 제 1 결합수단 220: 제 2 결합수단
300: 베이스판 310: 충격흡수부
401: 공 420: 클럽

Claims (6)

  1. 인조잔디가 심어지고 하면에 제 1 결합수단이 마련된 상부판; 및
    상면에 상기 상부판이 밀착되고 상기 1 결합수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수단이 마련된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골프연습용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결합수단은 벨크로테이프인 골프연습용 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판 형상의 합성수지재인 골프연습용 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상부판 복수 개의 조합과 상응하는 넓이인 골프연습용 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골프연습용 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면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일치하는 실리콘, 우레탄폼 또는 에어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골프연습용 매트.
KR1020100045007A 2010-05-13 2010-05-13 골프연습용 매트 KR20110125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07A KR20110125464A (ko) 2010-05-13 2010-05-13 골프연습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07A KR20110125464A (ko) 2010-05-13 2010-05-13 골프연습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64A true KR20110125464A (ko) 2011-11-21

Family

ID=4539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07A KR20110125464A (ko) 2010-05-13 2010-05-13 골프연습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4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17U (ko) * 2015-10-30 2017-05-11 김동호 골프 연습용 매트
KR101834089B1 (ko) * 2016-11-25 2018-03-02 김진우 퍼팅 연습기용 리턴레일
KR102306157B1 (ko) 2021-06-25 2021-09-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골프연습용 매트, 그 골프연습용 매트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판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판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17U (ko) * 2015-10-30 2017-05-11 김동호 골프 연습용 매트
KR101834089B1 (ko) * 2016-11-25 2018-03-02 김진우 퍼팅 연습기용 리턴레일
KR102306157B1 (ko) 2021-06-25 2021-09-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골프연습용 매트, 그 골프연습용 매트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판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494A (en) Instructional golf mat
US8182372B2 (en) Device for training athletic or sports ball players
US6106409A (en) Multi-section golf practice mat
US9604112B2 (en) Feeding net
US6878078B2 (en) Padded leather pitching target
US5004243A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20230039965A1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9254431B1 (en) Golf mat
US5967911A (en) Basketball rebound device
US20140106908A1 (en) Ball tossing game and methods of play
US7033290B1 (en) Sports train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10125464A (ko) 골프연습용 매트
US7780540B2 (en) Golf swing practice target panel and method of using
US20080312002A1 (en) Portable adjustable boundary lines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US20080132362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wing instruction
KR100694182B1 (ko) 골프연습용 매트
CA2050344C (en) Golf type game apparatus
KR100581020B1 (ko) 다양한 지형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US20140066230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US10716987B1 (en) Sport training device
US20030207716A1 (en) Golf swing, chip, pitch or putt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20170246505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20100115416A (ko) 벙커 샷 연습장치
CN106621275A (zh) 一种可组装的体育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