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897A - 휴대단말기 tsp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tsp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897A
KR20110124897A KR1020100044341A KR20100044341A KR20110124897A KR 20110124897 A KR20110124897 A KR 20110124897A KR 1020100044341 A KR1020100044341 A KR 1020100044341A KR 20100044341 A KR20100044341 A KR 20100044341A KR 20110124897 A KR20110124897 A KR 2011012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tsp
portable terminal
led
ic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897A/ko
Priority to US13/100,433 priority patent/US20110279394A1/en
Publication of KR2011012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TSP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명기판에 형성된 아이콘 표시부가 LED에 의해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면에 아이콘 표시부가 형성된 투명기판, 및 투명기판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면 또는 하면에 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ITO 필름을 구비하는 TSP; 및 투명기판의 측부에 위치된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가 제공되어, 화면 상의 아이콘 표시를 위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TSP 구조{TSP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TSP(touch screen panel)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명기판에 형성된 아이콘(icon) 표시부가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기의 무게와 두께를 줄이면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기술이 휴대단말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기술은 TSP와 TSP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 LCD(main 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는, 화면에 아이콘을 표시할 때, 소프트웨어적으로 TSP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 LCD에서 아이콘을 그려서 표시하는 기술을 이용하였다. 즉, 화면 상에 작은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LCD를 구동해야 했는데, 이러한 메인 LCD의 구동은 표시되는 아이콘의 크기에 비해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화면 상의 아이콘 표시를 위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아이콘 표시부가 형성된 투명기판, 및 투명기판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면 또는 하면에 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ITO(indium tin oxide) 필름을 구비하는 TSP; 및 투명기판의 측부에 위치된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기판의 하면에 아이콘 표시부가 형성되고 LED가 투명기판의 측부에 위치됨으로써, 화면 상의 아이콘 표시를 위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LED만으로 화면 상에 아이콘을 표시하기 때문에, 도트 LED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보다 휴대단말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선 B-B'을 따라 절단된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투명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선 B-B'을 따라 절단된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투명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화면(110)의 하단에 표시된 점선 B-B'을 따라 절단된 단면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TSP 구조는 TSP(170) 및 LED(182)를 포함한다.
TSP(170)는 투명기판(180) 및 투명기판(18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제 1 ITO 필름(160)과 제 2 ITO 필름(161)을 구비한다. 투명기판(180)은 TSP(170)를 지지하고 하부에 있는 메인 LCD(도시되지 않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투명기판(180)은 강화유리 또는 PC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ITO 필름(160)의 상면에는 스페이서(spacer; 165a, 165b)가 적층되어 있고, 스페이서(165a, 165b)의 상면에는 제 2 ITO 필름(161)이 적층되어 있다. 제 1 ITO 필름(160)과 제 2 ITO 필름(161)은 투명회로 박막의 역할을 하며, 각각 상면과 하면에 ITO 코팅층이 형성된 PET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TSP(170)는 저항막 방식의 TSP로서, 제 1 ITO 필름(160)과 제 2 ITO 필름(161)이 각각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으로서 기능을 하며, 제 1 ITO 필름(160)의 ITO 코팅층(162)에 전극라인(140a, 14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ITO 필름(161)의 ITO 코팅층(163)에도 전극라인(141a, 141b)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라인(140a, 140b, 141a, 141b)은 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ITO 필름(161)의 상면에는 TSP(170)를 보호하며 아이콘이 인쇄되는 아이콘 시트(icon sheet; 190)가 적층되어 있다. 아이콘 시트(190)는 PET로 이루어져 있다.
투명기판(180)의 하면에는 아이콘 표시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아이콘 표시부(181)는, 투명기판(180)이 PC로 이루어져 있으면 스크레치에 의해 형성되고, 투명기판이 유리로 이루어져 있으면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이콘 표시부(181)는 도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아이콘 표시부(181)는, 화면(110)에 나타나도록 투명기판(180)의 하면 중 상부가 스페이서(165a, 165b)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점선(D)의 내부영역(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기판(180)의 측부에는 LED(182)가 위치되어 있다. LED(182)는 아이콘 표시부(181)가 화면(110)에 나타나도록 LED 광을 투명기판(180)에 비추는 역할을 한다. LED(182)가 투명기판(180)의 측부에 위치하므로, 아이콘 표시부(181)는, 도 3의 점선(D)의 내부영역(A) 중 사선으로 표시된 가장자리(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18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표시부(181)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항막 방식의 TSP가 이용되었으나, 정전용량 방식의 TSP에도 투명기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TSP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아이콘 표시부(181)가 편지봉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메시지 수신 알림기능을 한다고 가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기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LED(182)가 켜지고, LED(182)로부터 방출된 LED 광이 아이콘 표시부(181)에서 산란된다. 이 때, 투명기판(180)은 도파로 시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110)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편지봉투 모양(111)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전화 수신 알림기능은 벨소리 또는 진동과 함께 행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아이콘 표시부(181)가 수화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화 수신 알림기능을 한다고 가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기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LED(182)가 켜지고, LED(182)로부터 방출된 LED 광이 아이콘 표시부(181)에서 산란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210)에 전화 수신을 알리는 수화기 모양(211)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전화 수신 알림기능은 수화기 모양(211)이 점멸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화 수신 알림기능은 벨소리 또는 진동과 함께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TSP 구조를 종래기술에 따른 TSP 구조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화면 상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경우, 메인 LCD를 구동하는 종래기술에서는 전력이 150~200 mA 정도 소모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LED를 구동하면 되므로 12 mA 정도 소모된다. 따라서, 아이콘 표시를 위한 소모 전력이 10 % 이하로 감소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LED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아이콘을 표시하기 때문에, LED 구동 IC에 의해 도트 LED 하나 하나에 전압을 걸어 화면 상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보다 휴대단말기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60: 제 1 ITO 필름 161: 제 2 ITO 필름
170: TSP 180: 투명기판
181: 아이콘 표시부 182: LED
190: 아이콘 시트

Claims (6)

  1. 하면에 아이콘 표시부가 형성된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면 또는 하면에 전극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ITO 필름을 구비하는 TSP; 및
    상기 투명기판의 측부에 위치된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TO 필름은, 상기 투명기판의 상면에 적층된 제 1 ITO 필름과, 상기 제 1 ITO 필름의 상부에 적층된 제 2 ITO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PC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스크레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화면에 나타나도록 상기 투명기판의 하면 중 상부가 스페이서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TSP 구조.
KR1020100044341A 2010-05-12 2010-05-12 휴대단말기 tsp 구조 KR20110124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41A KR20110124897A (ko) 2010-05-12 2010-05-12 휴대단말기 tsp 구조
US13/100,433 US20110279394A1 (en) 2010-05-12 2011-05-04 Touch screen panel structure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41A KR20110124897A (ko) 2010-05-12 2010-05-12 휴대단말기 tsp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897A true KR20110124897A (ko) 2011-11-18

Family

ID=4491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341A KR20110124897A (ko) 2010-05-12 2010-05-12 휴대단말기 tsp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79394A1 (ko)
KR (1) KR201101248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1786B (zh) * 2011-10-13 2015-02-01 Tpk Holding Co Ltd 觸控面板
KR20130082283A (ko) * 2012-01-11 2013-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장치
KR20140016593A (ko) 2012-07-30 2014-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739791B (zh) * 2014-12-08 2019-06-11 华显光电技术(惠州)有限公司 触控设备、智能手机及背光触摸感应组件
CN106304709A (zh) * 2015-05-11 2017-01-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疏水结构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9218B2 (en) * 2004-12-21 2012-04-03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evice with selectively illuminated user interfaces
US8119937B2 (en) * 2008-03-10 2012-02-21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touch panel
US8125347B2 (en) * 2009-04-09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 entry system with depressable keyboard on a dynam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9394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0944B2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536179B (zh) 平板显示器
US20200333918A1 (en) Flexible touch display panel
JP5520093B2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9075485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substrate
JP5095043B1 (ja)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3719693A1 (en)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20080150901A1 (en)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ouch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4409473B (zh) 压电触控式有机发光显示面板及制造方法、有机发光显示器
EP2639679A1 (en)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ouch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20010828A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120018589A (ko) 온-셀 tsp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구조
CN203552209U (zh) 触控板与触控显示板
KR20110124897A (ko) 휴대단말기 tsp 구조
CN102681709A (zh) 触控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9036240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KR20120134376A (ko) 투명 접착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JP2011159094A (ja) 電気的固体装置の製造方法
WO2020124777A1 (zh) 悬浮触控显示装置及悬浮触控方法
CN107147756B (zh) 一种终端
US20180267345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CN110794979A (zh) 一种触控板及触控显示面板
KR20120101763A (ko)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TWI416924B (zh) 觸控顯示面板、顯示器及行動電話
US20130342505A1 (en) Input unit,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