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417A -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417A
KR20110124417A KR1020100043770A KR20100043770A KR20110124417A KR 20110124417 A KR20110124417 A KR 20110124417A KR 1020100043770 A KR1020100043770 A KR 1020100043770A KR 20100043770 A KR20100043770 A KR 20100043770A KR 20110124417 A KR20110124417 A KR 2011012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earning
words
learner
learn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서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4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417A/ko
Publication of KR2011012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외국어로 생성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와, 추출된 단어 중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를 제거하여 학습 단어를 필터링하는 단어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학습 단어를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레벨 분류부와,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단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될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와, 맞춤 학습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학습자가 학습을 원하는 대상을 직접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부합되는 단어들을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맞춤 학습 콘텐츠를 학습할 수 있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quisite Contents of Vocabulary}
본 발명은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원하는 파일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부합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다양한 형태의 학습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단어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글로벌화가 가속됨에 따라,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외국어의 유창한 구사가 필수적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외국어 공부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원서, 신문 등의 텍스트 자료뿐만 아니라, 드라마, 영화, 뮤직 비디오, 뉴스 등의 음성 또는 동영상 파일로 구성된 다양한 자료들이 외국어 학습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국어 자료들을 공부하다 보면, 자연히 모르는 단어들을 만나게 되고, 학습자의 학습 레벨이 낮을수록 더욱 많은 모르는 단어들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 레벨이 낮은 학습자는 너무 많은 공부량에 좌절을 느껴 포기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학습 레벨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에는, 모르는 단어들이 적으나, 외국어 자료의 공부 중 모르는 단어들을 만나게 되면, 사전을 찾아 단어의 뜻을 파악하다가 공부의 흐름이 끊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공부하려고 하는 자료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들만을 추출하여 학습자가 미리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학습자가 외국어를 보다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원하는 외국어 파일로부터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을 용이하게 하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정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단어 데이터베이스; 외국어로 생성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 중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를 제거하여 학습 단어를 필터링하는 단어 필터링부; 상기 단어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된 학습 단어를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레벨 분류부: 상기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될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맞춤 학습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특정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를 구비하는 단계; 외국어로 생성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단어 중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를 제거하여 학습 단어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학습 단어를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단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 학습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을 원하는 대상을 직접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부합되는 단어들을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맞춤 학습 콘텐츠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행학습 콘텐츠의 제공으로, 학습자는 학습을 원하는 장르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을 미리 학습할 수 있으므로, 추후 단어 학습시 학습해야 할 양이 줄어들어 학습에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어 처리 유닛의 상세 구성블럭도,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제공 유닛의 상세 구성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단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의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영어, 일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외국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국어의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은, 학습자에 의해 업로드될 수도 있고,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업로드될 수도 있다. 단어 추출대상 파일은 드라마, 영화, 뮤직 비디오, 뉴스, 동영상, 신문, 도서 등 단어의 추출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은, 텍스트 파일, 동영상 파일, 자막 파일, 이미지 파일, HTML 파일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로 제작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맞춤 학습 콘텐츠와 선행학습 콘텐츠는 동영상 파일, 플래시 파일, 텍스트 파일, 워드 파일, 엑셀 파일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로 작성될 수 있고, 학습 콘텐츠는 단순히 텍스트로 형성된 데이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단어의 맞춤학습 콘텐츠를 미리 선택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단말기(5,6)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단어 데이터베이스(10)와, 학습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0)와, 제공된 단어추출 대상 파일로부터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학습 대상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단어 처리 유닛(30)과, 추출된 단어에 대한 학습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유닛(40)과, 시스템 제어부(50)로 구성된다.
단어 데이터베이스(10)는, 외국어 단어들과,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단어들은 학습 레벨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이때, 학습 레벨로는, 초등학교 레벨, 중학교 1, 2, 3 레벨, 고등학교 1, 2, 3 레벨 등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10 레벨이나, 초급, 중급, 고급 레벨 등 다양한 방식 및 다양한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렇게 레벨분류된 각 단어에 매칭된 학습 콘텐츠는, 단어의 뜻, 발음, 예문, 숙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는,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로 구성된 선행학습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선행학습 콘텐츠는 단어 추출대상 파일의 종류에 따라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을 미리 추출하고, 해당 단어들의 학습 콘텐츠를 인출하여 각 단어에 대해 학습용 화면, 퀴즈 화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선택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이 미국 드라마인 경우, 미국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미리 추출한 다음 학습 콘텐츠를 파일 처리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단어 추출대상 파일의 분야를 보다 세분화하여 선행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미국 드라마의 경우, 프랜즈, 위기의 주부들, 그레이 아나토미와 같이 드라마의 종류에 따라, 선행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다. 단어 추출대상 파일이 뉴스인 경우, 스포츠, 시사, 연예, 정치, 경제 등 뉴스의 분야에 따라 선행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학습 콘텐츠는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학습자가 단어 추출대상 파일을 선택하면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동안 학습자에게 자동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업로드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에서 추출된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해당 단어들은 후술할 단어 추출부(31), 단어 필터링부(33), 및 레벨 분류부(35)를 통해 추출 및 분류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분류된 단어들은 추후 학습자가 해당 단어 추출대상 파일의 선택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부합되는 레벨의 단어들이 선택되어 맞춤 학습 콘텐츠로 제작된다.
한편, 단어 데이터베이스(10)는 외국어의 종류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여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0)에는 학습자의 인적사항 정보와 학습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인적사항 정보는, 이름, ID, 패스워드, 주소 등을 포함하며, 학습정보는 학습자의 학습 레벨, 단어 학습 이력, 맞춤 학습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자의 학습 레벨은,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단어의 레벨과 동일한 분류방식을 사용하여 나타내며, 학습자가 이전에 학습한 이력에 의해 학습 레벨이 결정될 수도 있고, 학습자가 직접 학습 레벨을 입력할 수도 있다. 단어 학습 이력은, 학습자가 본 시스템을 통해 단어를 학습한 이력에 대한 정보로서, 학습 날짜, 업로드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명, 학습 시간, 학습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맞춤 학습 콘텐츠는, 학습자가 선택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따라 추출된 단어의 학습을 위해 생성된 콘텐츠를 말하며, 학습자가 학습한 맞춤 학습 콘텐츠는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되어 학습자가 언제든지 다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단어 처리 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31)와, 단어 추출부(31)에서 추출된 단어 중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를 제거하여 학습 단어를 필터링하는 단어 필터링부(33)와, 단어 필터링부(33)에서 필터링된 학습 단어 중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레벨 분류부(35)를 포함한다.
단어 추출부(31)는, 단어 추출대상 파일에서 일단 모든 단어를 추출한다. 단어 추출부(31)는 음성 인식을 통해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고, 텍스트나 이미지로부터 단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막이 포함된 동영상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의 경우, 단어 추출부(31)는 자막이나 텍스트에서 단어를 바로 추출한다. 그리고 자막이 없는 동영상 파일의 경우, 단어 추출부(31)는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다음, 텍스트에서 단어를 추출한다.
단어 필터링부(33)에서는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 예를 들면, 정관사, 전치사, 접속사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단어 필터링부(33)에서는 반복되는 단어나 학습이 필요없는 단어, 예를 들면, cat, mother, are, is, he, she 등 일명 Sight words를 제거한다.
레벨 분류부(35)는 단어 필터링부(33)에서 필터링된 단어들을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단어들과 비교하여 해당 단어에 매칭된 학습 레벨에 따라, 필터링된 단어들을 분류한다. 또한, 레벨 분류부(35)는 학습자의 레벨을 확인하고, 레벨 분류된 단어들 중 학습자의 레벨에 부합되는 단어 그룹을 선택한다.
이렇게 학습 레벨에 따라 분류된 단어들은 콘텐츠 제공 유닛(40)으로 전달된다.
콘텐츠 제공 유닛(40)은, 필터링 및 레벨분류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 콘텐츠를 단어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추출하여 맞춤 학습 콘텐츠를 구성한다. 콘텐츠 제공 유닛(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 선행학습 단어 추출부(42), 선행학습 콘텐츠 생성부(43), 음성 지원부(45), 콘텐츠 뷰어 제공부(46), 다운로드 지원부(47)를 포함한다.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는, 레벨 분류부(35)에서 학습자의 레벨에 따라 선택된 단어들을 단어 데이터베이스(10)와 비교하고, 단어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선택된 단어들에 매칭된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맞춤 학습 콘텐츠는, 각 단어에 대해 학습용 화면, 퀴즈 화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파일의 형식도 동영상 파일, 플래시, 텍스트 파일, 워드 파일, 엑셀 파일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로 작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용 화면은 해당 단어에 대한 숙어, 예문 등을 포함한 각종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맞춤 학습 콘텐츠의 형태나 파일 형식은,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말기 (PMP, MP3 Player, PC, 노트북 등)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퀴즈 형식의 학습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는 선택된 단어에 매칭된 학습 콘텐츠 중 퀴즈 파일을 인출하여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또한, 맞춤 학습 콘텐츠가 유료로 제공되는 경우, 요금 방식에 따라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의 종류 및/또는 개수를 제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학습 콘텐츠의 형태 및 파일은 상술한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선행학습 단어 추출부(42)는, 학습자들이 업로드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단어들과,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업로드된 파일에서 추출된 단어들을 비교하여, 빈도수가 일정 이상인 단어들을 추출한다. 선행학습 단어 추출부(42)는, 학습자에 의해 단어 추출대상 파일이 업로드될 때마다 새로이 업로드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에 의해 변화된 단어들의 빈도수를 확인하고, 빈도수가 변경되는 경우, 선행학습 콘텐츠를 업데이트한다.
선행학습 콘텐츠 생성부(43)는, 선행학습 단어 추출부(42)에서 추출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 콘텐츠를 단어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인출한 다음, 미리 설정된 형태와 파일형식으로 선행학습 콘텐츠를 생성한다. 즉, 선행학습 콘텐츠는, 맞춤 학습 콘텐츠와 마찬가지로, 각 단어에 대해 학습용 화면, 퀴즈 화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파일의 형식도 동영상 파일, 플래시, 텍스트 파일, 워드 파일, 엑셀 파일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로 작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용 화면은 해당 단어에 대한 숙어, 예문 등을 포함한 각종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지원부(45)는 TTS(Text To Speech) 엔진을 연동시켜 맞춤 학습 콘텐츠와 선행학습 콘텐츠의 생성시 음성 지원을 가능하도록 한다.
다운로드 지원부(47)는, 맞춤 학습 콘텐츠와 선행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기 또는 이동 디바이스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지원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단어 데이터베이스(10) 및 학습자 데이터베이스(20)의 정보 입출력을 관리하고, 학습자의 선택 입력 및 파일 업로드 등을 감시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단어 처리 유닛(30)과 콘텐츠 제공 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학습자에게 맞춤 학습 콘텐츠와 선행학습 콘텐츠 등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에서 생성된 맞춤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기(5,6)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외국어 단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하고, 단어 학습을 원하는 단어 추출대상 파일을 업로드하거나(S400-Y),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이미 업로드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 중 원하는 파일을 선택한다(S405-Y).
학습자가 단어 추출대상 파일을 업로드한 경우, 단어 추출부(31)는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한다(S410). 추출된 단어들은 단어 필터링부(33)로 전달되고, 단어 필터링부(33)에서는 학습할 필요가 없는 단어들을 제거하여 필터링한다(S420). 필터링된 학습 단어들은 레벨 분류부(35)로 제공되고, 레벨 분류부(35)에서는 필터링된 학습 단어들을 레벨에 따라 분류한 다음(S430), 레벨 분류된 단어들 중 학습자의 학습레벨에 부합되는 단어들을 선택한다(S440). 분류선택된 단어들은 맞춤 학습 콘텐츠의 생성을 위해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로 전달된다.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에서는 선택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 콘텐츠를 단어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추출한다(S450). 그런 다음,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는, 추출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의 선택 또는 학습자 단말기(5,6)의 형태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의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퀴즈 등의 형태의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한다(S460). 생성된 맞춤 학습 콘텐츠가 음성 지원이 필요할 경우(S470-Y), 시스템 제어부(50)는 음성지원부(45)를 작동시켜 맞춤 학습 콘텐츠에 음성 파일이 포함되도록 한다(S480).
이렇게 맞춤 학습 콘텐츠가 완성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학습자의 단말기로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S490). 이때, 시스템 제어부(50)는 학습자의 단말기에 콘텐츠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콘텐츠 뷰어 제공부(46)를 동작시켜 콘텐츠 뷰어를 학습자 단말기(5,6)로 제공한다. 한편, 별도의 콘텐츠 뷰어가 필요치 아니한 경우, 학습자 단말기(5,6)에 설치된 브라우저를 통해 맞춤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업로드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S405-Y), 시스템 제어부(50)는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추출 및 필터링된 단어들 중,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부합되는 단어들을 인출한다(S440). 그런 다음, 단어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해당 단어들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인출하여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로 제공한다(S450). 그러면,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에서는 추출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의 선택 또는 학습자 단말기(5, 6)의 형태에 따라 플래시, 동영상 등의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퀴즈 등의 형태의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한다(S460). 생성된 맞춤 학습 콘텐츠가 음성 지원이 필요할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음성지원부(45)를 작동시켜 맞춤 학습 콘텐츠에 음성 파일이 포함되도록 한다(S470,S480). 그런 다음, 시스템 제어부(50)는, 완성된 맞춤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기(5,6)로 제공한다(S490).
한편, 학습자는 선행학습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선행학습 여부를 선택한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어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학습자가 업로드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의 장르에 부합되는 장르에 대한 선행학습 콘텐츠를 인출하여 학습자 단말기(5,6)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단어학습이 완료되면, 학습자는 다음 레벨의 단어를 학습할 수도 있고, 학습자가 선택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을 실행시켜 원문을 확인하고 학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 학습 콘텐츠로서, 단어의 뜻, 발음, 예문, 숙어 등을 저장하고,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에서 해당 학습 콘텐츠를 플래시, 동영상의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퀴즈 등의 형태로 생성한다. 이와 달리, 각 단어에 대해 단어의 뜻, 발음, 예문, 숙어 등을 미리 플래시, 동영상 등의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퀴즈 등의 형태로 생성하여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여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단어에는 하나 이상의 학습방식을 적용한 복수의 학습 콘텐츠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플래시, 동영상 등의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퀴즈 등의 학습 콘텐츠가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41)에서는 단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인출한 다음 조합하여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단어 데이터베이스 20 :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30 : 단어 처리 유닛 31 : 단어 추출부
33 : 단어 필터링부 35 : 레벨 분류부
40 : 콘텐츠 제공 유닛 41 :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
42 : 선행학습 단어 추출부 43 : 선행학습 콘텐츠 생성부

Claims (15)

  1. 특정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단어 데이터베이스;
    외국어로 생성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 중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를 제거하여 학습 단어를 필터링하는 단어 필터링부;
    상기 단어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된 학습 단어를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레벨 분류부:
    상기 단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어 추출부에서 추출된 단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될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맞춤 학습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맞춤 학습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단어의 뜻, 발음, 예문, 숙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추출대상 파일은, 상기 학습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로부터 제공되며, 단어의 추출이 가능한 종류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는, 단어의 학습을 위한 플래시,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또는 퀴즈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학습자가 업로드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이 속한 분야에서 일정 이상의 빈도수로 출현되는 단어들로 구성된 선행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분류부는 학습자의 학년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분류부는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에 부합되는 단어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TTS 엔진을 연동시켜 상기 맞춤 학습 콘텐츠의 음성 지원을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특정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콘텐츠를 구비하는 단계;
    외국어로 생성된 단어 추출대상 파일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단어 중 단어 학습과 무관한 단어를 제거하여 학습 단어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학습 단어를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단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추출하여 맞춤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 학습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단어의 뜻, 발음, 예문, 숙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추출대상 파일은, 상기 학습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로부터 제공되며, 단어의 추출이 가능한 종류의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학습 콘텐츠는, 단어의 학습을 위한 플래시 또는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학습용 화면 또는 퀴즈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가 업로드한 단어 추출대상 파일이 속한 분야에서 일정 이상의 빈도수로 출현되는 단어들로 구성된 선행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어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학년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단어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계로 분류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부합되도록 상기 추출된 단어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00043770A 2010-05-11 2010-05-11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4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70A KR20110124417A (ko) 2010-05-11 2010-05-11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70A KR20110124417A (ko) 2010-05-11 2010-05-11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17A true KR20110124417A (ko) 2011-11-17

Family

ID=4539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70A KR20110124417A (ko) 2010-05-11 2010-05-11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441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229A (zh) * 2018-03-30 2018-11-16 上海乂学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中文自动分级方法
KR102050266B1 (ko) * 2018-11-19 2019-12-02 이형종 영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11794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언어 학습을 위한 자료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51513B1 (ko) * 2020-11-27 2021-05-13 주식회사 글루리 기계학습을 이용한 셀럽의 소셜미디어 정보 기반 학습용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21096150A1 (ko) * 2019-11-13 2021-05-20 팬 후앙고든 언어 학습을 위한 커스텀 레슨 모듈을 생성하는 방법
KR102363577B1 (ko) * 2021-05-21 2022-02-16 주식회사 글루리 단어 임베딩을 통한 노래 가사 기반 학습용 단어를 추천해주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11969A (ko) 2021-02-03 2022-08-10 한정훈 올바른 단어 정보 제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이의 제공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1229A (zh) * 2018-03-30 2018-11-16 上海乂学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中文自动分级方法
CN108831229B (zh) * 2018-03-30 2020-12-15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中文自动分级方法
KR20200011794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언어 학습을 위한 자료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50266B1 (ko) * 2018-11-19 2019-12-02 이형종 영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096150A1 (ko) * 2019-11-13 2021-05-20 팬 후앙고든 언어 학습을 위한 커스텀 레슨 모듈을 생성하는 방법
KR102251513B1 (ko) * 2020-11-27 2021-05-13 주식회사 글루리 기계학습을 이용한 셀럽의 소셜미디어 정보 기반 학습용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20111969A (ko) 2021-02-03 2022-08-10 한정훈 올바른 단어 정보 제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이의 제공 방법
KR102363577B1 (ko) * 2021-05-21 2022-02-16 주식회사 글루리 단어 임베딩을 통한 노래 가사 기반 학습용 단어를 추천해주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4417A (ko) 외국어 단어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75558B (zh) 建立语句编辑模型的方法、语句自动编辑方法及对应装置
US20130196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based language-learning,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JP5587821B2 (ja) 文書トピック抽出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05693A (ko)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추출 및 자연어 프로세싱 시스템
CN109684647A (zh) 电影评论情感分析方法及装置
KR102314645B1 (ko) 미디어 리소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404036A (zh) PowerPoint电子演示文稿的关键词抽取方法
CN102402432A (zh) 用于产生多国语言网页的方法
CN105225657A (zh) 多音字标注模板生成方法和装置
US20150310107A1 (en) Video and audio content search engine
US201602177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CN105005610A (zh) 一种专辑分类方法和装置
CN110866408B (zh) 数据库制作装置以及检索系统
Dessì et al. Leveraging cognitive computing for multi-class classification of e-learning videos
CN114880496A (zh) 多媒体信息话题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718441B (zh) 一种查找不同平台间功能相似ui组件的方法和装置
CN111090977A (zh) 一种智能写作系统及智能写作方法
KR100597435B1 (ko) 정보검색 및 질문응답시스템에서의 하이브리드 기반 질문분류 시스템 및 방법
Li et al. Parallel Aligned Treebanks at LDC: New Challenges Interfacing Existing Infrastructures.
CN115580758A (zh) 视频内容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1301665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assifying article
CN110781322A (zh) 一种多媒体课件的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Mehmood et al. Let the deaf understand: Mainstreaming the marginalized in context with personalized digital media services and social needs
CN116226677B (zh) 平行语料构建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