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846A - Door for bathroom - Google Patents
Door for bath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3846A KR20110123846A KR1020100043288A KR20100043288A KR20110123846A KR 20110123846 A KR20110123846 A KR 20110123846A KR 1020100043288 A KR1020100043288 A KR 1020100043288A KR 20100043288 A KR20100043288 A KR 20100043288A KR 20110123846 A KR20110123846 A KR 201101238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pinion
- rotating
- hole
- fema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려하면서 무게가 가볍고, 화재발생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화장실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door that is beautiful and light in weight and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while being able to cope with a fire.
일반적으로, 도어는 한 장소의 경계나 건축물의 출입구 또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로서, 문틀 또는 벽면에 힌지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도어를 잠그거나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잠금장치 및 손잡이가 형성된다.In general, the door i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boundary of a place or the entrance or exit of the building, the hinge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or wall, and one side can lock or open the door. Locks and handles are formed.
이러한 도어는 목재 및 합성수지 또는 금속로 이루어지는 바,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의 도어는 건축물의 현관 및 비상구 등과 같이 실외측에 설치되고, 목재 및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는 실내측에 설치된다.The door is made of wood and synthetic resin or metal bar, typically a metal door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such as the entrance and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the wood and synthetic resin door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 도어는 건축물 내부로 외부 침입자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시 연소되지 않음으로서 화염이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실내 도어는 가공이 용이한 목재 및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서 다양한 색상과 무늬 및 형상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게 된다.Specifically, the outdoor door is to prevent the external intruder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to prevent the flame from propagating to other places by not burning in the fire, the interior door is made of wood and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easy to process It is manufactured in various colors, patterns and shapes to meet the aesthetic needs of consumers.
그러나, 상기 실외 도어와 달리 실내 도어는 인화성이 높은 목재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실내 도어가 쉽게 발화 및 연소됨으로서, 다른 장소로 화염이 용이하게 전파되어 화재가 대형화되고, 연소되는 실내 도어로 인해 출입 구가 막혀 인명 피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unlike the outdoor door, the indoor door is made of highly flammable wood and synthetic resin, so that the interior door is easily ignited and combusted in the event of a fire. Due to the blockage of the entrance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damage to life.
특히, 상기 합성수지 재질의 실내 도어의 경우에는 연소되면서 질식사의 원인이 되는 유독 가스가 다량 발생되어 인명 피해를 더욱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indoor door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ha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toxic gas that causes asphyxiation while burning occurs to further increase the damage to life.
따라서, 최근에는 화재로 인한 재산과 인명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내 도어에도 방화 기능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fire prevention function is also required in the indoor doors so as to reduce property and life damages caused by fir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려하면서 무게가 가볍고, 화재발생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화장실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doo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while being beautiful and light in weight and capable of coping with a fi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내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도어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는 화장실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for a bathroom in which the durability of the door can be increased by a structure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장실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door in which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door is simple and can be quickly comb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프레임에 대응하면서 도어의 내부를 지지할 수 있는 화장실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door that can support the inside of the door while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door fram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프레임에 도어판재를 원터치 형식으로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는 화장실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for a toilet that can be fastened to the door frame in a one-touch form quick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판에 대응하여 도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화장실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door that can be fastened to the door frame in a one-touch type corresponding to various kinds of door plat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판과, 상기 도어판들의 마주되는 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도어판들을 도어프레임에 각각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plat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door frame,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oor plate, and fastening the door plate to the door fram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to.
상기 도어판은 철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ron or non-combustible material.
상기 지지수단은 서로 결합되도록 각각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암수부재와, 상기 암수부재의 후방에 형성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암수부재와 각각의 받침부재의 사이에 각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means includes a male and female members, each of which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and a male thread,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 supporting member formed at the rear of the female and female members, and each inclin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emale and female members and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지지수단은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며 끝단에 받침부재가 형성되는 래크부재와, 상기 피니언이 공회전 되게 지지되고,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래크부재가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케이스와,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ans includes a pinion, a rack member engaged with the pinion and having a supporting member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pinion being supported to be idling, and a case for guiding the rack member to be elevated by rotation of the pinion, and rotating the pin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means for fixing the rotated state.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피니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tating means may include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pinion, a rotation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pinion.
상기 회전부는 상기 피니언의 양측이 관통되게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회전홀에 대응되는 다각형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tating unit includes a rotating hol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that both sides of the pinion penetrate, a polygonal rota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hole, and a knob for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축들이 지지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tation support part includes a rotation shaft protruding to both sides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pinion, and a rotation guide formed inside the case to support the rotation shafts.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단을 구속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le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 the case to constrain one end of the rotating part.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도어판들에 각각 관통되게 도어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에 도어관통홀과 대응되는 도어프레임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관통홀과 도어프레임관통홀을 관통하여 걸리는 걸쇠가 형성되는 걸림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means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through the door plate, the door frame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door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door frame, the door through and through the door frame through-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p is composed of a locking plate formed.
상기 걸쇠는 걸림판재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재의 좌측 및 우측으로 좌측부재 및 우측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좌측부재 및 우측부재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sp is formed so that the left member and the right member protrud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rtical member formed vertically from the locking plate material, the height of the left member and the right member is different.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도어프레임에 형성되는 도어홀에 걸리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걸림판재와,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판재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locking member caught in the door hole formed in the door frame, a locking plat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and a gap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locking plate and fixing the adjust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홀과, 상기 걸림판재에 돌출되며 조절홀과 대응되도록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ap adjusting part includes an adjustment hole in which a female thread formed in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and an adjustment member in which a male threa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cking plate and correspond to the adjustment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미려하면서 무게가 가볍고, 화재발생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beautiful and light in weigh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while being able to cope with a fire occurrence.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도어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door can be increased by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terior of the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interior of the door can be easily and quickly combined.
본 발명은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프레임에 대응하면서 도어의 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support the inside of the door while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door frames having different thickness.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도어판재를 원터치 형식으로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fastening the door plate to the door frame in a one-touch format quickly.
본 발명은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판에 대응하여 도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door frame in a one-touch format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door plates of different thick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 및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래크와 피니언의 결합과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6의 래크와 피니언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도어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0의 요부를 보인 확대도면.
도 14는 본 발명 체결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도 15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ide and the inside of FIG.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rack and pinion of FIG.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ack and pinion of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door.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0.
12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FIG.
FIG. 1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0; FIG.
14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완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전면에는 도어판(20)이 보이고 있고, 전후좌우 측단에 도어판(20)(30)들을 도어프레임(1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70)이 보이고 있다.1 shows a comple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이때, 도어프레임(10)은 철재로 제조되고, 도어판(20)(30)은 불연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도어부재(1)가 불에 타지 않게 되므로, 화재가 번지지 않게 됨과 동시에 유독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아서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부재(1)의 구조를 튼튼히 하기 위해 도어판(20)(30)을 철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완성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즉 도어프레임(10)의 전면 및 후면에 도어프레임(10)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도어판(20)(30)들이 배치된다. 이때, 도어판(20)(30)들의 내측에 지지수단(50)이 지지되어 도어판(20)(30)들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도어판(20)(30)들은 체결수단(70)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process to be completed. That i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50)은 서로 결합되도록 각각 암나사산(502)과 수나사산(504)이 형성되는 암수부재(501)(503)와, 상기 복수개의 암수부재(501)(502) 각각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505)(507)와, 상기 복수개의 암수부재(501)(502)와 각각의 받침부재(503)(507)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506)(508)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support means 50 is female and
여기서, 암수부재(501)(503)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조이거나 풀면 암수부재(501)(503)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1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길이가 조절되어서 도어판(20)(30)들의 마주되는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암수부재(501)(503)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받침부재(503)(507)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여 도어판(20)(30)들에 대칭되게 부착하면 받침부재(503)(507)에 의해 도어판(20)(30)들은 고정된 상태로 암수부재(501)(503)에 지지되게 된다.Here, when the male an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50)은 피니언(510)과, 상기 피니언(510)과 맞물리며 끝단에 받침부재(521)가 형성되는 래크부재(520)와, 상기 피니언(510)이 공회전 되게 지지되고, 피니언(510)의 회전에 의해 래크부재(520)가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케이스(530)와, 상기 피니언(510)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수단(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upport means 50 includes a
여기서, 래크부재(520)는 피니언(5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지지수단(5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피니언(510)의 양측에 복수개의 래크부재(5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피니언(51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530)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래크부재(520)가 동시에 승강되므로,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Here, the
그리고, 케이스(530)는 다수개의 케이스판(531)이 상하전후좌우로 결합되어 하나의 함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하로 결합되는 케이스판(531)은 래크부재(520)가 승강되도록 승강홀(532)이 형성되고, 전후로 결합되는 케이스판(531)은 래크부재(52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부재(5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540)은 상기 피니언(51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541)와, 상기 피니언(51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543)와, 상기 피니언(5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otation means 540 is a
상기 회전부(541)는 상기 피니언(510)의 양측이 관통되게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홀(541a)과, 상기 회전홀(541a)에 대응되는 다각형형상의 회전부재(541b)와, 상기 회전부재(541b)를 회전시키는 노브(54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회전지지부(543)는 상기 피니언(5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543a)과, 상기 케이스(530)의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축(543a)들이 지지되는 회전가이드(54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회전축(543a)은 원통형상이고, 회전가이드(543b)는 회전축(543a)과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관형상의 돌출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상기 고정부(545)는 상기 회전부(541)의 일단을 구속하도록 상기 케이스(530)에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50)은 길이조절 되므로, 두께가 다른 도어프레임(10)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사용된다. 즉, 도어프레임(10)의 두께 만큼 길이를조절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10)의 전후면에 결합되는 도어판(20)(30)들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수단(50)의 받침부재(521)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도어판(20)(30)들에 고정되어서 도어판(20)(30)들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8, since the support means 50 is adjusted in length, it is easily applied to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50)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판(531)의 회전가이드(543b)에 회전축(543a)을 삽입시켜서 피니언(510)이 회전되도록 하고, 래크부재(520)를 피니언(510)에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케이스판(531)들을 결합하여 케이스(530)를 완성한다. As shown in Figure 9,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means 50 is as follows. First, the
이와 같이, 피니언(510)이 공회전 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니언(510)에 형성되는 다각형형상의 회전홀(541a)에 다각형형상의 회전부재(541b)를 삽입시킨 후에 노브(541c)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541b)가 회전되므로, 피니언(510)이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피니언(510)의 회전에 의해 래크부재(520)가 승강되게 된다. As such, when the
이어서, 노브(541c)를 강제로 회전시켜서 래크부재(52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노브(541c)를 케이스(530)의 내측으로 강제로 밀어서 회전부재(541b)가 고정부(545)인 고정홀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다각형형상의 회전부재(541b)가 다각형형상의 고정홀에 삽입되므로, 회전부재(541b)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Subsequently, in a state where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0)에 밀착된 도어판(20)(30)들은 체결수단(70)에 의해 도어프레임(10)에 체결되면, 도어부재(1)가 완성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도어(1)는 지지수단(50)에 의해 도어판(20)(30)들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도어(1)의 내구성이 증가되므로, 도어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the
완성된 도어부재(1)는 완성되면 화장실용 도어 및 화장실의 격벽 및 포스트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불에 연소되지 않는 화장실을 완성할 수 있다. When the completed
한편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0)에 도어판(20)(30)들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70)은 도어판(20)(30)들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도어관통홀(22)(33) 및 도어프레임(10)에 형성된 도어프레임관통홀(11)에 관통되어 걸리는 걸쇠(71)를 갖는 걸림판재(73)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 to 14, the fastening means 70 for fastening the
즉, 도어프레임(10)의 전면에 도어판(20)을 위치시키면 도어관통홀(22) 및 도어프레임관통홀(11)이 일치되므로, 걸쇠(71)가 도어관통홀(22) 및 도어프레임관통홀(11)에 관통되도록 걸림판재(73)를 밀착시킨다. 이어서, 걸림판재(73)를 일측으로 밀게 되면 걸쇠(71)가 도어프레임관통홀(11)에 걸리게 되어, 도어판(20)은 도어프레임(10)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체결수단(70)을 이용하여 도어프레임(10)의 전면 및 후면에 도어판(20)(30)들을 체결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걸쇠(71)는 걸림판재(73)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재(71a)의 좌측 및 우측으로 좌측부재(71b) 및 우측부재(71c)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좌측부재(71b) 및 우측부재(71c)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좌측부재(71b) 및 우측부재(71c)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도어판(20)(30)들을 도어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체결시키게 된다.Here, when the height of the
즉, 좌측부재(71b) 및 우측부재(71c) 중에서 좌측부재(71b)의 높이가 높고 우측부재(71c)의 높이가 낮다가 가정한 상태에서, 두께가 얇은 도어판(20)이 도어프레임(10)에 체결되는 경우에 높이가 낮은 우측부재(71c)가 도어관통홀(22) 및 도어프레임관통홀(11)에 관통되어 도어프레임관통홀(11)에 걸리도록 하여 얇은 두께의 도어판(20)이 도어프레임(10)에 체결되도록 한다.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따라서, 도어판(20)(30)들의 두께에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른 좌측부재(71b) 또는 우측부재(71c)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도어판(20)(30)들을 도어프레임(10)에 용이하게 체결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70)의 제조과정을 보인 것으로, 강철판재를 절곡하여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수단(70)의 재질에 의해 구조가 견고하고 얇은 강철판재에 의해 걸림판재(73)는 도어의 외측으로 미비하게 돌출되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14, by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astening means 70, it can be completed by bending the steel sheet. Therefore, the locking
한편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70)은 상기 도어프레임(10)에 형성되는 도어홀(10a)에 걸리는 걸림부재(710)와, 상기 걸림부재(710)에 대응되는 걸림판재(730)와, 상기 걸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간격조절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5 to 17, the fastening means 70 corresponds to a locking
여기서, 걸림부재(710)는 쐐기형상의 돌기이면서 돌기의 중앙 사이에 사이홈(7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쐐기형상의 걸림부재(710)는 사이홈(711)에 의해 오므려지면서 도어홀(10a)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Here, the locking
상기 간격조절부(750)는 상기 걸림부재(710)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홀(751)과, 상기 걸림판재(730)에 돌출되며 조절홀(751)과 대응되도록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부재(7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즉, 조절홀(751)에 조절부재(753)를 나사결합 한 상태에서 걸림부재(710) 또는 걸림판재(7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의 간격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locking
이때, 걸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를 나사결합 시킨 상태에서 걸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좁게 한 후에 걸림판재(730)를 도어판(20)에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이어서, 걸림부재(710)를 도어프레임(10)의 도어홀(10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어판(20)을 가압하면 걸림부재(710)가 도어홀(10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도어판(20)은 도어프레임(10)에 결합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또한, 도어프레임(10)에 도어판(2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도어프레임(10)과 도어판(20)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후에, 걸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의 간격을 도어프레임(10)과 도어판(20)의 두께만큼 조절한 상태에서 걸림판재(730)를 가압하여 걸림부재(710)가 도어프레임(10)과 도어판(20)에 형성된 홀들에 삽입되어 걸리게 한다. 그러면, 걸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에 의해 도어프레임(10)과 도어판(20)은 결합되게 된다.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hole penetrating the
그리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화재발생이 우려되는 지하공간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화장실도어부재(1), 포스트(2) 및 격벽(3)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18 and 19,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a toilet door member (1), a post (2) and a partition (3) installed in the bathroom of the underground space where the fire is a concern. Can be used.
이때, 복수개의 포스트(2)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포스트(2)들의 사이에 화장실도어부재(1)를 설치하고, 포스트(2)들의 후면에 복수개의 격벽(3)을 각각 설치한 후에, 격벽(3)들의 사이에 변기를 설치하면 화장실이 완성된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격벽(3)과 포스트(2)는 암수형태로 결합되는 연결수단(8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게 된다.Here, the
연결수단(80)은 포스트(2)에 형성되는 암결합부재(81)와, 격벽(3)의 측단에 형성되는 수결합부재(83)로 구성된다. 이때, 암결합부재(81)는 포스트(2)의 후면에 형성되는 홀 또는 ‘U’형상의 브라켓으로 구현되고, 수결합부재(83)는 도어프레임(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핀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수결합부재(83)인 걸림핀은 도어프레임(10)의 측면에서 수평되게 돌출되면서 끝단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means 80 is composed of a
따라서, 포스트(2)가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격벽(3)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수결합부재(83)와 암결합부재(81)를 일치시면서 격벽(3)을 하강시키면 수결합부재(83)와 암결합부재(81)가 결합되므로, 포스트(2)에 격벽(3)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수결합부재(83)와 암결합부재(81)를 포스트(2)와 격벽(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비하면 포스트(2)에 격벽(3)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때, 격벽(3)의 다른 측단은 화장실의 벽면에 별도의 고정부재(F)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other side end of the
또한, 수결합부재(83)는 돌출턱이 형성되는 돌기이고, 암결합부재(81)는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홀과, 관통홀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돌기의 돌출턱이 걸리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장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즉, 격벽(3)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돌기를 관통홀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격벽(3)을 하강시키면 돌출턱이 장홀에 걸리게 되므로, 격벽(3)은 포스트(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That is, when the
한편, 격벽(3)의 상부와 포스트(2)의 상부를 결합하는 보조결합수단(90)을 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결합수단(90)은 격벽(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을 갖도록‘L’형상으로 절곡되는 보조클립(91)과, 보조클립(91)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포스트(2)의 상부 형성되는 보조홀(93)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coupling means 90 for further coup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포스트(2)들 중 어느 하나에 힌지(H)를 이용하여 화장실도어부재(1)의 일측을 연결하면 화장실도어부재(1)가 힌지(H)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화장실도어부재(1)의 타측에 잠금기능을 갖는 손잡이(K)를 설치하면 화장실도어부재(1)는 화장실을 개폐하게 된다. Then, when one side of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도어프레임
20, 30 : 도어판
50 : 지지수단
70 : 체결수단
80 : 연결수단
90 : 보조결합수단10: door frame
20, 30: door plate
50: support means
70: fastening means
80: connection means
90: auxiliary coupling means
Claims (12)
상기 도어판(20)(30)들의 마주되는 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50)과,
상기 도어판(20)(30)들을 도어프레임(10)에 각각 체결시키는 체결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Door plates 20 and 3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door frame 10,
Support means (50) for support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oor plate (20, 30),
Door for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70) for fastening the door plate (20) (30) to the door frame (10), respectively.
상기 도어판(30)은 철재 또는 불연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plate 30 is a bathroom do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iron or non-combustible material.
상기 지지수단(50)은
서로 결합되도록 각각 암나사산(502)과 수나사산(504)이 형성되는 암수부재(501)(503)와,
상기 암수부재(501)(502) 각각의 후방에 형성되는 받침부재(505)(507)와,
상기 복수개의 암수부재(501)(502)와 각각의 받침부재(503)(507)의 사이에 각각의 경사면(506)(50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ans 50 is
Female and female members 501 and 503 in which female and female threads 502 and male threads 504 are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upport members 505 and 507 formed at the rear of each of the female and female members 501 and 502,
Doors for toilet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clined surface (506, 508)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501) (502) and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503, 507).
상기 지지수단(50)은
피니언(510)과,
상기 피니언(510)과 맞물리며 끝단에 받침부재(521)가 형성되는 래크부재(520)와,
상기 피니언(510)이 공회전 되게 지지되고, 피니언(510)의 회전에 의해 래크부재(520)가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케이스(530)와,
상기 피니언(510)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는 회전수단(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ans 50 is
Pinion 510,
A rack member 520 engaged with the pinion 510 and having a support member 521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pinion 510 is supported to be idling, and the case 530 for guiding the rack member 520 is elevate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510,
The toilet door comprising a rotating means (540) for rotating the pinion (510) and fixing the rotated state.
상기 회전수단(540)은
상기 피니언(51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541)와,
상기 피니언(51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543)와,
상기 피니언(5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ng means 540 is
Rotating part 541 for rotating the pinion 510,
A rotation support part 543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510;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art (545) for fixing the pinion (510).
상기 회전부(541)는
상기 피니언(510)의 양측이 관통되게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홀(541a)과,
상기 회전홀(541a)에 대응되는 다각형형상의 회전부재(541b)와,
상기 회전부재(541b)를 회전시키는 노브(54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ng part 541 is
Rotation hole 541a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that both sides of the pinion 510,
A polygonal rotating member 541b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hole 541a,
The door for a bath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nob (541c) for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541b).
상기 회전지지부(543)는
상기 피니언(5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543a)과,
상기 케이스(530)의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축(543a)들이 지지되는 회전가이드(54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on support part 543 is
A rotation shaft 543a protruding to both sides to support rotation of the pinion 510;
The door for a toilet, which is formed inside the case (530) and includes a rotation guide (543b) on which the rotating shafts (543a) are supported.
상기 고정부(545)는
상기 회전부(541)의 일단을 구속하도록 상기 케이스(530)에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xing part 545 is
The toilet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l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 the case (530) to constrain one end of the rotating part (541).
상기 체결수단(70)은
상기 도어판(20)(30)들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는 도어관통홀(22)(33)과,
상기 도어프레임(10)에 도어관통홀(22)(33)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도어프레임관통홀(11)과,
상기 도어관통홀(22)(33)과 도어프레임관통홀(11)을 관통하여 걸리는 걸쇠(71)가 형성되는 걸림판재(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means 70 is
Door through-holes 22 and 33 formed to penetrate the door plates 20 and 30, respectively;
A door frame through hole 1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oor through holes 22 and 33 in the door frame 10;
The door for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locking plate member 73 is formed through the door through-holes 22, 33 and the door frame through-hole 11 is formed.
상기 걸쇠(71)는
상기 걸림판재(73)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재(71a)의 좌측 및 우측으로 좌측부재(71b) 및 우측부재(71c)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좌측부재(71b) 및 우측부재(71c)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9,
The clasp 71
The left member 71b and the right member 71c are formed to protrud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rtical member 71a vertically formed from the locking plate 73, and the left member 71b and the right member 71c The bathroom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different.
상기 체결수단(70)은
상기 도어프레임(10)에 형성되는 도어홀(10a)에 걸리는 걸림부재(710)와,
상기 걸림부재(710)에 대응되는 걸림판재(730)와,
상기 걸림부재(710)와 걸림판재(730)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는 간격조절부(7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means 70 is
A locking member 710 caught by the door hole 10a formed in the door frame 10;
A locking plate member 730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710;
Door for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p adjusting portion (750)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locking member 710 and the locking plate member 730 and fixing the adjusted state.
상기 간격조절부(750)는
상기 걸림부재(710)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홀(751)과,
상기 걸림판재(730)에 돌출되며 조절홀(751)과 대응되도록 숫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부재(7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도어.
The method of claim 11,
The gap adjusting unit 750 is
An adjustment hole 751 in which a female thread formed in the locking member 710 is formed;
The door for a bathroom, comprising an adjustment member 753 protruding from the locking plate member 730 and having a male threa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djustment hole 75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3288A KR101229266B1 (en) | 2010-05-10 | 2010-05-10 | Door for bath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3288A KR101229266B1 (en) | 2010-05-10 | 2010-05-10 | Door for bathroo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3846A true KR20110123846A (en) | 2011-11-16 |
KR101229266B1 KR101229266B1 (en) | 2013-02-08 |
Family
ID=4539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3288A KR101229266B1 (en) | 2010-05-10 | 2010-05-10 | Door for bath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926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357Y1 (en) | 2018-08-28 | 2019-01-17 | 유영태 | Door for blast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22290U (en) * | 1979-07-27 | 1981-02-27 | ||
JP2705480B2 (en) * | 1992-08-17 | 1998-01-28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Door manufacturing method |
JP2002174082A (en) * | 2000-12-06 | 2002-06-21 | Sanwa Shutter Corp | Steel-made do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10
- 2010-05-10 KR KR1020100043288A patent/KR10122926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9266B1 (en) | 2013-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A67808C2 (en) | Supporting means for a screening device | |
WO2013095185A1 (en) | System of single guides and sectional elevating doors for a low lintel | |
KR101229266B1 (en) | Door for bathroom | |
CN111155893A (en) | Building energy-saving outward casement window with safety guardrail and mosquito-proof function | |
US8069613B2 (en) | Mullion assembly for double door | |
KR101559964B1 (en) | Safety fly net device | |
KR100730797B1 (en) | Fire prevention apparatus of outer wall for apartment | |
US20060145487A1 (en) | Universal door striker plate that permits continuous adjustment | |
TWM564632U (en) | Invisible iron window | |
JP2014201972A (en) | Manual door opening device | |
KR101369469B1 (en) | Doors and windows for preventing crime and insect | |
RU2367750C1 (en) | Method of panel installation at communications paths and part kit for method implementation | |
ITPD20070392A1 (en) | PERFECT BUILT-IN WARDROBE | |
KR20100020787A (en) | Explosion-proof window of window frame with external window openable | |
KR101127503B1 (en) | A Curtain Wall Window Frame | |
CN205858135U (en) | Guard rail with side volume sliding sash with disappearing screen window | |
KR200367887Y1 (en) | Decoration plate in door | |
CN217204770U (en) | Energy-saving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 |
KR200394727Y1 (en) | A fire door system | |
RU95727U1 (en) | SLIDING INTERIOR LATTICE FOR WINDOWS AND DOORS | |
CN216305727U (en) | Steel door | |
KR100966173B1 (en) | Distributing box of assembly type for apartment house | |
KR20110005162U (en) | Hinge for Glass door | |
KR200186929Y1 (en) | Door structure having a change type panel | |
JP2020056253A (en) | Linkage device for linked slide door and linked slide door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