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643A -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643A
KR20110123643A KR1020100056864A KR20100056864A KR20110123643A KR 20110123643 A KR20110123643 A KR 20110123643A KR 1020100056864 A KR1020100056864 A KR 1020100056864A KR 20100056864 A KR20100056864 A KR 20100056864A KR 20110123643 A KR20110123643 A KR 2011012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upled
module
wall por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740B1 (ko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씰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씰링테크 filed Critical (주)씰링테크
Publication of KR2011012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21V3/0625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the material diffusing light, e.g. translucent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모듈과 엔드모듈 및 시트모듈로 구성되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시트모듈이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의 하부를 감싸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조명기구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듈화함으로써 실내크기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설계가능하게 되고,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광을 제공할 수 있어 실내에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명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시스템{The Lamp System}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조명이 설치되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시스템적 설계가 가능한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형광등, 백열등 또는 엘이디(LED) 등이 구비되어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 같은 종래 조명기구는 사용되는 조명의 종류에 따라서 또는 사용되는 조명의 숫자에 따라서 프레임의 크기가 결정되어 규격화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조명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형광등(1a)의 길이에 따라 규격화된 종래 조명기구(1)는 천장(2)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조명기구(1)를 다수 개 준비하여 천장(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d)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명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실내조도는 설치된 영역에 비해 조도가 낮아 실내조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조도가 불균일해짐에 따라 실내에서는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조명기구(1)는 하향으로만 조명광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조명광의 도달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조명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조도는 더욱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기구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듈화하여 실내크기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설계가능한 조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스템적으로 설계하여 설치됨으로써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광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시스템적으로 설계하여 설치됨으로써 실내에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하향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방출범위를 확대하여 실내조도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인모듈과 엔드모듈 및 시트모듈로 구성되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시트모듈이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의 하부를 감싸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의 광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장방향 양단이 개방된 조명프레임과, 하부 측에 상호 이격된 레일외벽부와 레일내벽부에 의해 제1걸림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프레임의 장방향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모듈은, 하부 측에 상기 제1걸림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제2걸림영역이 형성되고,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일의 동(同)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일의 일 측을 마감하는 엔드레일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개방단을 마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드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엔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모듈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모듈은 상기 메인모듈 및 상기 엔드모듈의 하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마감시트와, 상기 마감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 및 상기 제2걸림영역에 각각 내입걸림되어 장착되는 하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단은 상기 메인모듈의 커버레일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엔드모듈의 엔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 결합시 상기 제1걸림영역과 상기 제2걸림영역을 정렬시키는 제1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이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결합되는 두 메인모듈의 각 커버레일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두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을 정렬시키는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레일은 상기 조명프레임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형성되는 레일외벽부와, 상기 레일외벽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외벽부와 함께 제1걸림영역을 형성하는 레일내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레일은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일의 각 레일부의 동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양측 단부가 절곡된 엔드레일본체와, 상기 엔드레일본체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외벽부와 연결되는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엔드레일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부와 함께 제2걸림영역을 형성하는 내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하부외측에는 각각 트림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프레임 및 상기 엔드프레임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명프레임 또는 상기 엔드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두리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일 측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타 측은 천장과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천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트링부재와, 양단이 상기 조명프레임의 단방향 내측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내벽부 또는 상기 내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측면으로 방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측광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기구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듈화하여 실내크기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설계가능한 조명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시스템적으로 설계하여 설치됨으로써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광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시스템적으로 설계하여 설치됨으로써 실내에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명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하향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방출범위를 확대하여 실내조도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조명기구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메인모듈 간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도 3의 엔드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Ⅱ-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엔드모듈과 메인모듈의 결합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설치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100)은 메인모듈(10), 엔드모듈(20) 및 시트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모듈은 적어도 하나로 마련되어 장방향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고, 메인모듈의 장방향 양측 단부에는 엔드모듈(2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시트모듈(30)은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모듈(10)은 조명프레임(11)과 커버레일(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11)은 조명부(110)와 플랜지부(11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조명(14)이 설치되며, 조명(14)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하향으로 넓어지면서 하부로 방출되도록 형성되고, 장방향 양단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10)의 내측에는 조명(14)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하도록 반사수단이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반사물질이 내측면에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111)는 조명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평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형성되어 후술할 커버레일(12)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레일(12)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조명프레임의 장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조명프레임(11)의 장방향 테두리 즉, 플랜지부(11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레일(12)은 레일부(120), 레일외벽부(121), 레일내벽부(122), 제1트림부(124) 및 제1정렬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20)는 조명프레임(11)의 장방향 테두리 즉, 플랜지부(111)의 길이와 폭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체결수단(a)에 의해 플랜지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일외벽부(121)는 레일부(120)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후술할 시트모듈(30)이 내입걸림되는 걸림돌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내벽부(122)는 레일부(120)로부터 하부에 형성되되, 레일외벽부(121)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외벽부(121)와 레일내벽부(122)의 사이의 이격공간은 제1걸림영역(123)으로서, 후술할 시트모듈(30)이 내입걸림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제1트림부(124)는 레일외벽부(121)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어 천장에 조명기구를 매립시, 천장에 형성된 매립홈과 조명기구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막아서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트림부(124)는 저면을 다양한 형태의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조명기구 설치시 외관을 더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트림부(124)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렬부(125)는 레일부(12)의 내측말단으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되며, 상술한 레일내측벽(122)과 함께 제1정렬영역(125a)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정렬영역(125a)에는 메인모듈 간에 결합시, 결합되는 두 메인모듈을 장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후술할 제1연결부재(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같이 일체로 형성된 커버레일(12)에는 측광가이드유닛(13)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모듈(10)에 결합되는 측광가이드유닛(13)은 후술할 엔드모듈(20)에 결합되는 측광가이드유닛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메인모듈에 결합되는 측광가이드유닛을 제1측광가이드유닛으로 표기하고, 엔드모듈에 결합되는 측광가이드유닛을 제2측광가이드유닛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상기 제1측광가이드유닛(13)은 측광투과부(130), 제1지지부(131) 및 제2지지부(132)를 포함하여, 상술한 커버레일(2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측광가이드유닛(13)의 재질은 아크릴 등의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측광투과부(130)는 조명프레임(11)에 설치된 조명(b)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조명부(110)를 통해 하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조명부(110)의 하부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방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지지부(131)와 제2지지부(132)는 측광투과부(130)의 상부에 이격형성되며, 이격된 공간(13a)으로 상술한 레일내벽부(122)를 수용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부(131)와 제2지지부(132)의 이격거리는 레일내벽부(12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수용공간(13a)을 통해 레일내벽부(122)가 억지끼워맞춤, 소정의 접착수단 또는 체결수단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31)와 제2지지부(132)의 상하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광투과부(130)가 제1트림부(124)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측광투과부(130)를 통해 광이 측면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이 같은 제1측광가이드유닛(13)를 통해 조명(14)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발산방향이 하향 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으로도 발산될 수 있어, 조명이 설치되지 않는 실내영역의 부분적 음영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메인모듈 간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모듈(10)은 제1연결부재(15)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5)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술한 제1정렬영역(125a)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어, 양 단부가 두 메인모듈의 제1정렬영역(125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재(15)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두 메인모듈은 장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결합되는 두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123)의 단부도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어 장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서와 같이 규격화된 조명을 사용하더라도 실내의 길이에 따라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조명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엔드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엔드모듈(20)은 메인모듈(10)의 양측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구성으로서, 엔드프레임(21)과 엔드프레임(21)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에 결합되는 엔드레일(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Ⅱ-Ⅱ'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엔드프레임(21)은 엔드조명부(210)과 엔드플랜지부(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조명부(210)는 조명프레임(11)과 결합시 조명부(110)의 개방단부를마감하도록 형성되며, 엔드플랜지부(211)는 엔드조명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엔드플랜지부(211)는 상술한 조명프레임(11)의 플랜지부(11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레일(22)은 엔드레일본체(220), 외벽부(221), 내벽부(222), 제2트림부(224) 및 제2정렬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레일본체(220)는 소정의 패널로 마련되며, 상술한 메인모듈(10)과 결합시 메인모듈(10)의 장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커버레일(12)의 동(同)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양측 단부가 절곡형성된다.
상기 외벽부(221)는 엔드레일본체(220)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절곡되어 엔드레일본체(220)를 따라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걸림단부(2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부(222)는 엔드레일본체(220)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되되, 외벽부(221)의 내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벽부(222)와 외벽부(221)의 이격된 공간은 제2걸림영역(223)으로서, 후술할 시트모듈(30)이 내입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트림부(224)는 외벽부(221)의 하부 외측에 수평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트림부(224)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정렬부(225)는 엔드레일본체(220)의 내측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되어 내벽부(222)와 함께 제2정렬영역(225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부(221), 내벽부(222), 제2트림부(224) 및 제2정렬부(225)는 상술한 커버레일(12)의 레일외벽부(121), 레일내벽부(122), 제1트림부(124) 및 제1정렬부(225)와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일외벽부(121)와 레일내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제1걸림영역(123)과, 외벽부(221)와 내벽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제2걸림영역(22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정렬영역(125a)과 제2정렬영역(225a)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벽부(222)에는 제2측광가이드유닛(2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측광이드유닛(23)은 상술한 제1측광가이드유닛(13)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벽부(222)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엔드모듈과 메인모듈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의 결합시에는 제2연결부재(25)를 통해 장방향으로 정렬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결부재(25)는 상술한 제1연결부재(15)와 그 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 단은 메인모듈(10)의 제1정렬영역(125a)에 결합되고, 타 단은 엔드모듈(20)의 제2정렬영역(225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 결합시, 메인모듈(10)의 제1걸림영역(123)과 엔드모듈(20)의 제2걸림영역(223)이 상호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엔드모듈(20)이 메인모듈(10)의 장방향 양단부에 결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종래 코너영역에서 결합되는 두 프레임들 간의 결합을 위해서는 결합면의 정확한 절단면 가공 등이 필요했으나, 단지 엔드모듈(20)을 메인모듈(20)의 단부에 결합하기만 하면 마감이 완료될 수 있다.
다음, 시트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모듈(30)은 마감시트(31)와 하푼(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마감시트(31)는 반투명의 스트레치 시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신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인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로 마련된다.
여기서, 마감시트(31)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다른 수지를 사용한 반투명의 스트레치 시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감시트(31)는 상호 결합된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푼(50)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815258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마감시트(4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메인모듈(10)의 제1걸림영역(123)과 엔드모듈(20)의 제2걸림영역(223)에 내입걸림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푼(50)에는 탄성압축 또는 탄성복원될 수 있는 걸림단부(도 11의 3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마감시트(31)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걸림영역(123) 또는 제2걸림영역(223)에 삽입시, 걸림단부(320)가 탄성력에 의해 압축되고, 삽입완료 시에는 걸림단부(320)가 탄성복원되어 제1걸림영역(123) 또는 제2걸림영역(223)에 형성된 걸림돌기(123a, 223a)에 걸림으로써 하푼(32)은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시트(31)는 메인모듈(10)의 제1걸림영역(123)과 엔드모듈(20)의 제2걸림영역(223)의 내측에 소정의 접착수단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직접장착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설치도이다. 도시된 바는 메인모듈의 매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엔드모듈의 매립된 상태도 메인모듈의 매립설치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되므로 엔드모듈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이 장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A)에 형성된 매립홈에 삽입시에는, 커버레일(12)의 제1트림부(124) 및 엔드레일(22)의 제2트림부(224)를 통해 매립홈(b)의 이격공간을 완전히 커버하여 마감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모듈(30)을 준비하여 하푼(30)을 메인모듈(10)의 제1걸림영역(123)과 엔드모듈(20)의 제2걸림영역(223)에 장착하여 조명기구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2에서와 같이, 메인모듈(10) 및 엔드모듈(20)의 하부는 마감시트(31)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게 되며, 조명(14)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마감시트(40)를 통해 방출됨으로써 하향 및 측면으로도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을 조합하여 실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장방향으로 길게 조명기구가 설치되면 조명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실내의 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모듈에 의해 장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조명의 규격과는 관계없이 조명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공되는 다수 개의 모듈에 포함된 측광가이드유닛을 통해 하향 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광을 방출할 수 있어 실내의 조도는 더욱 균일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천장으로부터 조명기구가 이격설치될 수 있는 이격모듈이 더 구성되며, 그 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격모듈(40)은 스트링부재(41), 커버(42) 및 지지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string)부재(41)는 설치되는 조명기구의 장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일 단은 천장(A)에 결합되고, 타 단은 후술할 커버(42)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42)는 메인모듈(10)의 상부 및 엔드모듈(2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메인모듈(10)을 형성하는 조명프레임(11) 또는 엔드모듈(20)을 형성하는 엔드프레임(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는, 반원형태의 커버(42)가 도시되어 있으나 외부표면의 형상은 외적심미성을 더욱 가미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는 메인모듈(10)을 형성하는 조명프레임(11) 또는 엔드모듈(20)을 형성하는 엔드프레임(21)의 단방향 내측에 양측이 지지되어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조명기구가 천장에 설치됨으로써 가장자리가 천장에 결합될 수 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조명기구가 천장으로부터 이격설치됨으로써 마감시트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메인모듈의 조명프레임 및 엔드모듈의 엔드프레임이 단방향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3)를 통해 조명프레임 및 엔드프레임의 내측을 지지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43)의 메인모듈(10)의 장방향 길이는 상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43)는 메인모듈(10)과 엔드모듈(20)의 장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장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레일 및 엔드레일에 트림부(124)가 형성된 경우에는 트림부(124)의 상부에 커버(42)가 결합되어 마감될 수도 있다.
이때, 트림부(124)의 하부에는 다양한 장식 등으로 마감되어 조명기구의 외적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메인모듈 11 : 조명프레임 110 : 조명부
111 : 플랜지부 12 : 커버레일 120 : 레일부
121 : 레일외벽부 122 : 레일내벽부 123 : 제1걸림영역
124 : 트림부 125 : 제1정렬부 13 : 제1측광가이드유닛
130 : 측광투과부 131 : 제1지지부 132 : 제2지지부
14 : 조명 15 : 제1연결부재
20 : 엔드모듈 21 : 엔드프레임 210 : 엔드조명부
211 : 엔드플랜지부 22 : 엔드레일 220 : 엔드레일본체
221 : 외벽부 222 : 내벽부 223 : 제2걸림영역
224 : 제2트림부 225 : 제2정렬부
30 : 시트모듈 31 : 마감시트 32 : 하푼
40 : 이격모듈 41 : 스트링부재 42 : 커버
43 : 지지부재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메인모듈과 엔드모듈 및 시트모듈로 구성되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시트모듈이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의 하부를 감싸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내측에 설치되는 조명의 광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장방향 양단이 개방된 조명프레임과, 하부 측에 상호 이격된 레일외벽부와 레일내벽부에 의해 제1걸림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프레임의 장방향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모듈은, 하부 측에 상기 제1걸림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제2걸림영역이 형성되고,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일의 동(同)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일의 일 측을 마감하는 엔드레일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개방단을 마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드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엔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모듈의 양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모듈은 상기 메인모듈 및 상기 엔드모듈의 하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마감시트와, 상기 마감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 및 상기 제2걸림영역에 각각 내입걸림되어 장착되는 하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메인모듈의 커버레일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엔드모듈의 엔드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모듈과 상기 엔드모듈 결합시 상기 제1걸림영역과 상기 제2걸림영역을 정렬시키는 제1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각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이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결합되는 두 메인모듈의 각 커버레일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두 메인모듈의 제1걸림영역을 정렬시키는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일은 상기 조명프레임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형성되는 레일외벽부와, 상기 레일외벽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외벽부와 함께 제1걸림영역을 형성하는 레일내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레일은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일의 각 레일부의 동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도록 양측 단부가 절곡된 엔드레일본체와, 상기 엔드레일본체의 외측단부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외벽부와 연결되는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엔드레일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부와 함께 제2걸림영역을 형성하는 내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하부외측에는 각각 트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내벽부 또는 상기 내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측면으로 방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측광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프레임 또는 상기 엔드프레임 또는 상기 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커버와, 일 측은 상기 커버와 결합되고 타 측은 천장과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천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트링부재와, 양단이 상기 조명프레임의 단방향 내측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격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내벽부 또는 상기 내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측면으로 방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측광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시스템.
KR1020100056864A 2010-05-07 2010-06-16 조명시스템 KR101132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14 2010-05-07
KR20100043214 2010-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43A true KR20110123643A (ko) 2011-11-15
KR101132740B1 KR101132740B1 (ko) 2012-04-19

Family

ID=4539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864A KR101132740B1 (ko) 2010-05-07 2010-06-16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7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645B1 (ko) * 2012-06-19 2014-03-10 김태희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150113596A (ko) * 2014-03-31 2015-10-08 (주)키마산업 스트레치 시트 조명시스템용 프로파일
JP2018206729A (ja) * 2017-06-09 2018-12-27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278Y1 (ko) * 2005-04-20 2005-07-07 주식회사 이엔전기 직관형광등기구들의 등간 연결구
KR100815258B1 (ko) * 2006-08-29 2008-03-19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KR200432660Y1 (ko) 2006-09-25 2006-12-06 이효원 매입형 조명등의 안전커버 장착구조
KR100931595B1 (ko) 2009-03-12 2009-12-14 주식회사 지앤에이치 엘이디 등기구의 장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645B1 (ko) * 2012-06-19 2014-03-10 김태희 건축물용 스트레치 시트의 설치 구조물
KR20150113596A (ko) * 2014-03-31 2015-10-08 (주)키마산업 스트레치 시트 조명시스템용 프로파일
JP2018206729A (ja) * 2017-06-09 2018-12-27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7053171B2 (ja) 2017-06-09 2022-04-12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740B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1666U (ja) 両面ランプ
KR102193121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곡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명등기구
KR101566453B1 (ko)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KR101132740B1 (ko) 조명시스템
KR101132738B1 (ko) 천장용 조명장치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1587544B1 (ko) Led 다운 라이트 구조
KR20130003394U (ko) 간접조명이 내장된 천장마감 몰딩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101436370B1 (ko) 광원이 함몰 형성된 일렬형 천정매입등
KR101284565B1 (ko) 측면발광형 조명장치
KR101555091B1 (ko) 다방향 조사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KR20170000511U (ko) 시스템 조명등기구
KR200456372Y1 (ko) 조명기구의 커버 프레임장치
KR102105583B1 (ko)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의 천장 결합구조
KR200481013Y1 (ko) 천장직착등 투광커버 형성구조
KR200487421Y1 (ko) 스트레칭 시트 조명 시스템용 프로파일
KR20110093127A (ko) 조명기구
KR101273562B1 (ko) 측면발광형 조명장치
KR200442382Y1 (ko)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CN205025056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收边装饰条
KR102582549B1 (ko) 천장 반사조명 프레임 코너 연결부재
KR101569398B1 (ko) 리플렉터가 필요없는 파라볼릭 엘이디 조명등
KR102075873B1 (ko) 엘이디 조명장치용 프레임
CN210511156U (zh) 方便拼接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