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450A -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450A
KR20110121450A KR1020100041050A KR20100041050A KR20110121450A KR 20110121450 A KR20110121450 A KR 20110121450A KR 1020100041050 A KR1020100041050 A KR 1020100041050A KR 20100041050 A KR20100041050 A KR 20100041050A KR 20110121450 A KR20110121450 A KR 2011012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
wireless
wireless energy
split r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260B1 (ko
Inventor
최재원
서철헌
김응주
김정훈
이광두
황상훈
윤정호
박철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260B1/ko
Priority to US12/870,670 priority patent/US8598744B2/en
Publication of KR2011012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8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having materials with a synthesized negative refractive index, e.g. metamaterials or left-hande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 H01Q19/06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송할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하며,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송신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수신하는 무선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크기는 소형화하면서 전송 거리와 전송 효율은 향상된다.

Description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nergy using meta material structure hav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본 발명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모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이 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통신정보기기들은 대부분 배터리에 의존하고 있고, 유선 전원코드에 의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어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전파(Microwave)를 이용한 전파수신형 기술, 그리고 자기장을 이용한 자기유도형 기술, 또한 자기장과 전기장의 에너지 전환에 의한 자기공명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전파수신형 기술은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공기 중으로 방사함으로써 먼 거리까지 전력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기 중에서 소모되는 방사손실(Radiation loss)이 매우 커서 전력전송의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자기유도형 기술은 송신측 1차 코일과 수신측 2차 코일에 의한 자기 에너지 결합을 이용한 기술로 높은 전력전송의 효율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기유도형 기술은 전력전송을 위해서 송신측 1차 코일과 수신측 2차 코일이 수 mm 정도의 짧은 거리에 인접해 있어야 한다.
또한, 송신측 1차 코일과 수신측 2차 코일의 코일정렬에 따라 전력전송의 효율성이 급격히 변하며, 발열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자기유도형 기술과 유사하나 코일형의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특정 공진 주파수에 에너지가 집중되게 하여 자기에너지 형태로 전력을 송신하는 자기공명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 공명 기술은 비교적 큰 전력을 수 미터까지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공진 특성(High Quality factor)을 요구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자기 공명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종래 무선 에너지 송수신 루프는 두 개의 도체판과 상기 두 개의 도체판 사이에 삽입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디스크부와, 상기 디스크부의 양단에 연결된 링 형태의 와이어부로 구성되는데, 높은 공진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크부와 와이어부에서 발생되는 전계와 자계의 세기가 커야 한다.
그러나, 종래 무선 에너지 송수신 루프에서는 전계와 자계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해선 상기 디스크부와 와이어부의 크기를 증가시켜야만 하므로, 실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 루프에서 발생된 무선 에너지는 방사상으로 퍼져 송신되므로, 에너지 전송 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 루프의 옆과 뒤로 퍼지는 무선 에너지만큼의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실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소형이면서 전송거리와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 대한 요구가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기는 소형화하면서 전송 거리와 전송 효율은 향상시키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으로 전송할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하며, 상기 무선 송신 시 방사상으로 퍼지는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송신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수신하는 무선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 루프; 및 상기 무선 송신 경로 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 시 방사상으로 퍼지는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송신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 루프는,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된 제1 및 제2 도체판과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삽입된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전계가 유도되도록 캐패시터 기능을 하는 디스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도체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도체판에 연결되며, 상기 전계에 의해 자계가 유도되도록 인덕터 기능을 하는 링 형태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와이어부에 전류가 흘러 상기 디스크부에 전계가 발생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자계가 유도되어 자기 공명 방식으로 무선 에너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 및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 1캐패시터;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게 형성된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 및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과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의 지름이 상기 무선 송신 루프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무선 에너지 수신부는,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수신하는 무선 수신 루프; 및 상기 무선 수신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수신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수신 루프는,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된 제1 및 제2 도체판과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삽입된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전계가 유도되도록 캐패시터 기능을 하는 디스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도체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도체판에 연결되며, 상기 전계에 의해 자계가 유도되도록 인덕터 기능을 하는 링 형태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부하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자기 공명 방식으로 무선 에너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크부에 전계가 유도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자계가 유도되며,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전류가 흘러 상기 부하 장치에 상기 무선 에너지가 공급되거나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 및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 1캐패시터;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게 형성된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 및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과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의 지름이 상기 무선 수신 루프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소형이면서 동일한 전력에서 전송 거리 및 전송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는 종래 구성에 대한 별도의 변경 없이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추가 설치하는 용이한 구성으로 높은 공진 특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의 도 1에 도시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에너지 전송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9는 종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는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 및 무선 에너지 수신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원(미도시)이 인가되면 무선으로 전송할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하며, 상기 무선 송신 시 방사상으로 퍼지는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중된 상태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 에너지 수신부(200)는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중된 상태로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수신한다.
먼저,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를 살펴보면,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는 무선 송신 루프(110)와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송신한다.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는 음의 굴절률을 갖고 있으며,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로부터 무선 에너지가 송신되는 송신 경로 상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 시 방사상으로 퍼지는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중된 상태로 송신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는 디스크부(111)와 상기 디스크부(111) 양단에 연결된 링 형태의 와이어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부(111)는 자기장 기반의 LC 공진에 있어 캐패시터(C)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된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과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 사이에 삽입된 유전 물질(111c)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부(112)에 형성된 입출력 단자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 사이에 전계가 발생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은 동일한 반지름의 길이에서 원형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인해 더 큰 값의 캐패시턴스를 획득할 수 있고 제작이 더 용이한 사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 사이에 삽입된 유전 물질(111c)은 공기 또는 소정의 유전률(ε)을 갖는 별도의 유전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디스크부(111)는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의 크기, 간격 및 상기 유전 물질(111c)의 유전율(ε)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111)에서 발생되는 전계의 크기가 결정된다.
와이어부(112)는 자기장 기반의 LC 공진에 있어 인덕터(L)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부(112)는 일단이 상기 제1 도체판(111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도체판(111b)에 연결된 링 형태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111a, 111b)이 연결된 와이어부(112)의 양단 사이에 상기 디스크부(111) 대신 공진 주파수를 가변 또는 보상하기 위한 캐패시터 또는 가변 캐패시터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112)는 제1 및 제2 단자(112a, 112b)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112a, 112b)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와이어부(112)의 제1 및 제2 단자(112a, 112b)에 전원(미도시)이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와이어부(112)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와이어부(112) 통해 상기 디스크부(11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계(electric field)가 발생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112)로부터 자계(magnetic field)가 유도된다.
이렇게 유도된 자계가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 사이의 공간에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매개체가 된다.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는 음의 굴절률(n)을 갖는 메타 구조체로서,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로부터 생성된 방사상으로 퍼지는 자계 에너지가 한 점(이를 테면, 수신부(200)를 향하는 어느 한 점)으로 전달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로부터 무선 에너지가 송신되는 송신 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신부(100)는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를 통해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에서 생성된 자계 에너지를 수신부(200)측 방향의 한 점으로 집중된 상태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로써 무선 에너지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121)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121)의 각 표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으로 이루어진 메타 물질 구조의 단위 셀(이하 '메타 셀'이라 칭함)(123)이 주기적으로(이를 테면, NⅹM의 매트릭스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n)을 갖는 메타 구조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 셀(123)은 각 메타 셀의 공진 주파수가 동일해야 하므로 정 다각형태의 기판을 사용하는데, 그 크기 및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제조가 쉽고 형태가 간단한 정육면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121)이 정육면체 형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타 셀(123)의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은 상기 정육면체 형태의 기판(121)의 각 표면(이를 테면, 6면) 모두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은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split ring resonator; SRR) (122a)과 상기 SRR(122a)의 갭(gap)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12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정육면체 형태의 기판(121)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SRR(122a)의 갭의 방향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육면체 형태의 기판(121)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SRR(122a)의 갭의 방향, 즉, 상기 기판(121)의 좌우에 형성된 SRR(122a)의 갭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기판(121)의 상하에 형성된 SRR(122a)의 갭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며, 상기 기판(121)의 전후에 형성된 SRR(122a)의 갭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두 개의 메타 셀(123)에서 맞닿는 면에는 하나의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타 셀(123)은 상기 SRR(122a)과 상기 캐패시터(122b)에 의한 LC 공진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SRR(122a)의 형태 및 크기나 캐패시터(122b)의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SRR(122a)의 형태 및 크기에 제한은 없으나, 상기 SRR(122a)의 형태에 있어 사각형 형태의 SRR 또는 원형 형태의 SRR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 형태의 SRR은 동일한 면적에서 형성된 원형 형태의 SRR보다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그로 인한 인덕턴스 성분이 증가되므로 더 낮은 주파수에서 공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원형 형태의 SRR은 사각형 형태의 SRR에 비해 자계에 의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여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설계 목적에 따라 사각 형태의 SRR 또는 원형 형태의 SRR 또는 그 밖의 소정 형태의 SRR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메타 셀(123)의 주기적인 배열을 통하여 음의 굴절률(n)을 갖는 메타 구조체(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ⅹ4 매트릭스 형태로 총 16개의 메타 셀(123)로 이루어진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의 지름(R)은 무선 송신 루프(110)로부터 발생된 방사상으로 퍼지는 에너지를 가능한 한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의 지름(r)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한편, 상기 무선 에너지 수신부(200)를 살펴보면, 상기 무선 에너지 수신부(200)는 무선 수신 루프(210)와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22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수신 루프(210)는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수신한다.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220)는 음의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송신부(100)로부터 무선 에너지가 수신되는 수신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중시킨다.
여기서, 상기 무선 수신 루프(210)는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220)는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므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무선 송신 루프(110)의 와이어부(1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자(112a, 112b)에는 전원이 연결되는데 반해, 상기 무선 수신부(200)에서는 상기 무선 수신 루프(210)의 와이어부(2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자(미도시)에 전력 소모 장치 또는 충전기와 같은 소정의 부하 장치(미도시)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부하 장치(미도시)에서는 상기 무선 송신부(100)로부터 전달된 자계 에너지(이를 테면, 무선 에너지)를 소모하거나 충전한다.
즉, 상기 무선 수신부(200)에서 상기 무선 송신부(100)로부터 전송된 자계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에서 무선 에너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반대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220)가 자계 에너지를 수신하고, 그 후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무선 수신 루프(210)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2000)는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320 및 420)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므로, 각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320, 420)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321, 421)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321, 421)의 각 표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으로 이루어진 메타 물질 구조의 단위 셀(이하 '메타 셀'이라 칭함)(323, 423)이 주기적으로(이를 테면, NⅹM의 매트릭스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n)을 갖는 메타 구조체이다.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321, 4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판(121, 221)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 메타 셀(323, 423)의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 422)은 상기 정육면체 형태의 기판(321, 421)의 각 표면(이를 테면, 6면) 모두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 422)은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외부 SRR)(322a, 422a)과 상기 외부 SRR(322a, 422a)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322b, 422b),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내부 SRR)(322c, 422c)과 상기 내부 SRR(322c, 422c)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322d, 422d)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부 SRR(322c, 422c)은 상기 외부 SRR(322a, 422a)로부터 내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SRR(322a, 422a)의 갭과 상기 내부 SRR(322c, 422c)의 갭 방향은 서로 반대(180°)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육면체 형태의 기판(321, 421)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 422)의 외부 및 내부 SRR(322a, 422a, 및 322c, 422c)의 각 갭의 방향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 42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 222)에 비해 외부 SRR(322a, 422a)과 내부 SRR(322c, 422c) 사이에 상호 인덕턴스 및 상호 캐패시턴스로 인한 상호 결합(mutual coupling)의 영향으로 공진 특성(Q)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에너지 전송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320, 420)가 사용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200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가 사용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에서도 유사한 전송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송신부(300)에서, 송신 루프(310)로부터 발생된 방사상으로 퍼지는 무선 에너지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320)의 제1면에 닿으면 음의 굴절률로 인해 외부로 퍼져나가 손실되지 않고 점선 방향과 같이 굴절되어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320)의 제2면에 도달하며,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320)의 음의 굴절률로 인해 다시 한번 음으로 굴절되어 어느 한 점으로 집속된다.
또한, 무선 수신부(400)에서, 이렇게 집속된 무선 에너지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420)의 제1면에 닿으면 음의 굴절률로 인해 외부로 퍼져나가 손실 되지 않고 점선 방향과 같이 굴절되어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420)의 제2면에 도달하며, 상기 제2면에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420)의 음의 굴절로 인해 다시 한번 음으로 굴절되어 무선 수신 루프(410)로 집속된다.
이와 같이, 음의 굴절률을 갖는 상기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320, 420)에 의해 외부로 퍼져나가는 손실을 막고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전송 효율 및 전송 거리 등을 포함한 전송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이때, 본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무선 송수신 루프(110, 210) 및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는 각각 동일한 크기와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무선 에너지 송신부(100)와 무선 에너지 수신부(200) 사이의 거리, 즉 전송거리는 대략 500㎜이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무선 송수신 루프(110, 210)의 지름(r)은 330mm이다.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는 한 변이 120㎜인 정육면체의 메타 셀(123, 223)이 4ⅹ4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120, 220)가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의 지름(R)은 480㎜이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 루프(110, 210)와 상기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0㎜이다.
한편, 상기 메타 셀(123, 223)의 기판(121, 221)의 유전율(ε)은 10.2이고, 상기 기판(121, 221)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 222)의 단일 SRR(122a, 222a)의 직경은 118㎜이며, 상기 단일 SRR(122a, 222a)의 갭에 연결된 캐패시터(122b, 222b)의 정전용량은 10nF이다.
이렇게 설계된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를 이용하면, 도 7에 도시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는 대략 500㎜의 전송 거리에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의 공진 주파수가 약 13.12Hz(S11 곡선의 최저 지점) 이며, 이때의 전송 이득은 -0.795dB(S21 곡선)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에서 1W의 전력을 인가했을 때, 전송거리 500㎜의 거리에서의 전송 효율은 하기 식(1)에 의해 계산된다:
전송효율[%] = 10log[전송이득] (1)
상기 식(1)에 전송 이득 값을 대입하면, 약 83.3%의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이때, 본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무선 송수신 장치(2000)는 메타 셀(323, 423)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 7의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무선 송수신 장치(1000)와 동일하다.
상기 메타 셀(323, 423)의 기판(321, 421)의 유전율(ε)은 10.2이고, 상기 기판(321, 421)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 422)의 외부 SRR(322a, 422a)의 직경은 118㎜이며, 내부 SRR(322c, 422c)의 직경은 102㎜이고, 상기 외부 및 내부 SRR(322a, 422a, 322c, 422c)의 갭에 연결된 제1 및 제2 캐패시터(322b, 322d, 422b, 422d)의 정전용량은 모두 10nF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2000)는 500㎜의 전송 거리에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2000)의 공진 주파수가 약 13.10Hz(S11 곡선의 최저 지점) 이며, 이때의 전송 이득은 -0.842dB(S21 곡선)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전송 이득을 식(1)에 대입하여 전송 효율로 환산하면, 약 82.4%의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 2000)에 있어서, 무선 에너지 전송 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122, 222)을 사용한 무선 송수신 구조체(120, 220)를 사용하는 것보다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322, 422)을 사용한 무선 송수신 구조체(320, 420)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높은 전송 효율을 획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종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른 S-파라미터 곡선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이때, 본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무선 송수신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 2000)에서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 320, 420)가 없이 무선 송수신 루프(110, 210, 310, 410)만으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는 대략 500㎜의 전송 거리에서, 종래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의 공진 주파수가 약 13.56Hz(S11 곡선의 최저 지점) 이며, 이때의 전송 이득은 -3.569dB(S21 곡선)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전송 이득을 식(1)에 대입하여 전송 효율로 환산하면, 약 44%의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 320, 420)의 존재 시 전송 효율은 더 향상되고 공진 주파수는 더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진 주파수가 더 낮아진다는 것은 동일한 공진 주파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 2000)의 크기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1000, 2000)는 무선 송수신 루프(110, 210, 310, 410) 송수신 경로 상에 각각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송수신 메타 구조체(120, 220, 320, 420)를 설치함으로써,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중된 상태로 전달하여 전송 특성을 개선 또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2000: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00, 300: 무선 에너지 송신부 200, 400: 무선 에너지 수신부
110, 310: 무선 송신 루프 210, 410: 무선 수신 루프
111, 211, 311, 411: 디스크부 112, 212, 312, 412: 와이어부
120, 320: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 220, 420: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
121, 221, 321, 421: 기판
122, 222: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
322, 422: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
123, 223: 제1 메타 셀 323, 423: 제2 메타 셀

Claims (27)

  1.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으로 전송할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하며, 상기 무선 송신 시 방사상으로 퍼지는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송신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수신하는 무선 에너지 수신부를 포함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에너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에너지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 루프; 및
    상기 무선 송신 경로 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 시 방사상으로 퍼지는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송신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루프는,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된 제1 및 제2 도체판과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삽입된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전계가 유도되도록 캐패시터 기능을 하는 디스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도체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도체판에 연결되며, 상기 전계에 의해 자계가 유도되도록 인덕터 기능을 하는 링 형태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와이어부에 전류가 흘러 상기 디스크부에 전계가 발생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자계가 유도되어 자기 공명 방식으로 무선 에너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 및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 1캐패시터;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게 형성된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 및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과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메타 구조체의 지름이 상기 무선 송신 루프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에너지 수신부는,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무선 에너지를 인덕터(L)와 캐패시터(C)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 수신하는 무선 수신 루프; 및
    상기 무선 수신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 에너지를 한 점으로 집속된 상태로 수신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루프는,
    서로 대응되도록 이격된 제1 및 제2 도체판과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삽입된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판 사이에 전계가 유도되도록 캐패시터 기능을 하는 디스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도체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도체판에 연결되며, 상기 전계에 의해 자계가 유도되도록 인덕터 기능을 하는 링 형태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부하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에너지 송신부로부터 자기 공명 방식으로 무선 에너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크부에 전계가 유도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자계가 유도되며,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전류가 흘러 상기 부하 장치에 상기 무선 에너지가 공급되거나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 및
    상기 단일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단일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는,
    정 다각형태의 기판과,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의 각 표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으로 이루어진 메타 셀이 주기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평판 형태로 형성된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정 다각형태의 기판은 정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은,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 1캐패시터;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으로부터 내부로 이격되게 형성된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 및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 사이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외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과 상기 분할 링 공진기 형태의 내부 금속 박막의 갭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메타 셀의 정 다각형태의 기판에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이중 분할 링 공진 패턴의 갭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2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메타 구조체의 지름이 상기 무선 수신 루프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KR1020100041050A 2010-04-30 2010-04-30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KR10111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50A KR101119260B1 (ko) 2010-04-30 2010-04-30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US12/870,670 US8598744B2 (en) 2010-04-30 2010-08-27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energy using meta-material structures having negative refractive ind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50A KR101119260B1 (ko) 2010-04-30 2010-04-30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450A true KR20110121450A (ko) 2011-11-07
KR101119260B1 KR101119260B1 (ko) 2012-03-16

Family

ID=4485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050A KR101119260B1 (ko) 2010-04-30 2010-04-30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98744B2 (ko)
KR (1) KR1011192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91B1 (ko) * 2012-08-31 2014-05-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 및 단말
KR101398994B1 (ko) * 2012-09-03 2014-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 및 단말
US9461713B2 (en) 2012-07-03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tual resonance
KR101700934B1 (ko) * 2015-12-31 2017-02-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전송용 평면형 프랙탈 메타물질 공진기 및 에너지 집속 장치
KR20180057006A (ko) * 2016-11-21 2018-05-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부적인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90081737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과학기술원 루프코일 어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철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KR20200055283A (ko) * 2018-11-13 2020-05-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물질을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415B2 (en) 2007-08-12 2018-08-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Non-dichroic omnidirectional structural color
KR101167382B1 (ko) * 2010-02-08 2012-07-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에너지 전송 구조체
KR101167401B1 (ko) 2010-04-30 2012-07-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제로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US9515492B2 (en) 2012-12-06 2016-1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air gap and metamaterial
US10277080B2 (en) 2014-01-27 2019-04-30 Cummins Inc. Inductive harness coupling and communication for distributed architectures
US10522906B2 (en) 2014-02-19 2019-12-31 Aviation Communication & Surveillance Systems Llc Scanning meta-material antenna and method of scanning with a meta-material antenna
CN106461834B (zh) 2014-04-01 2021-01-15 丰田自动车工程及制造北美公司 无色移的多层结构
KR101681376B1 (ko) * 2014-10-10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US9810824B2 (en) 2015-01-28 2017-11-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mnidirectional high chroma red structural colors
US11228212B2 (en) * 2020-02-20 2022-01-1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Rollable metamaterial screen for magnetic resonance coupling based high efficiency wireless power transfer
US11888327B2 (en) * 2021-03-30 2024-01-3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High efficiency metasurface-based multi-scale wireless power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34316U (en) * 2006-04-27 2012-07-21 Rayspan Corp Antennas and systems based on composite left and right handed method
US9677856B2 (en) * 2006-07-25 2017-06-13 Imperial Innovations Limited Electromagnetic cloaking method
AU2009246310B9 (en) 2008-05-14 2015-04-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including interference enhancement
US20110204891A1 (en) * 2009-06-25 2011-08-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irect magnet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10133568A1 (en) * 2009-12-03 2011-06-09 Bingnan Wang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Metamaterials
KR101167401B1 (ko) * 2010-04-30 2012-07-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제로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713B2 (en) 2012-07-03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tual resonance
KR101398991B1 (ko) * 2012-08-31 2014-05-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 및 단말
US9916925B2 (en) 2012-08-31 2018-03-13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ransfer, wireless power transceiver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ceiver mobile device
KR101398994B1 (ko) * 2012-09-03 2014-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 및 단말
US9680225B2 (en) 2012-09-03 2017-06-13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ransfer, wireless power transceiver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ceiver mobile device
KR101700934B1 (ko) * 2015-12-31 2017-02-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전송용 평면형 프랙탈 메타물질 공진기 및 에너지 집속 장치
KR20180057006A (ko) * 2016-11-21 2018-05-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부적인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90081737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과학기술원 루프코일 어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철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KR20200055283A (ko) * 2018-11-13 2020-05-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 물질을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8744B2 (en) 2013-12-03
US20110267247A1 (en) 2011-11-03
KR101119260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260B1 (ko)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KR101167401B1 (ko) 제로 굴절률을 갖는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송수신 장치
US10491029B2 (en) Antenna with electromagnetic band gap ground plane and dipole antenna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8319473B2 (en)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structure
CN202997711U (zh) 无线供电本地计算系统
KR101118471B1 (ko) 스파이럴 안테나 및 스파이럴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장치
KR101398991B1 (ko)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 및 단말
KR101040650B1 (ko) 메타 물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
KR102571366B1 (ko) 공진 자기 결합 시스템에서의 통신
US9577477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resonance device used therein
KR20120051320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9680225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ransfer, wireless power transceiver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ceiver mobile device
US8339325B2 (en)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structure
KR20140129930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101983138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N109038840A (zh) 一种基于人工磁导体的多模式可调频无线电能传输系统
US201901489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of a mobile device
KR101333663B1 (ko) 메타 구조체를 이용한 단말 장치
KR102193642B1 (ko) 공명 전력 신호 및 유도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Fernandes et al. Behavior of resonant electrical coupling in terms of range and relative orientation
KR20140129929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KR101096686B1 (ko) 메타 물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
KR101629811B1 (ko)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
KR101255969B1 (ko) 무선 에너지 전송 구조체
KR20140129928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