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174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174A
KR20110121174A KR1020100040647A KR20100040647A KR20110121174A KR 20110121174 A KR20110121174 A KR 20110121174A KR 1020100040647 A KR1020100040647 A KR 1020100040647A KR 20100040647 A KR20100040647 A KR 20100040647A KR 20110121174 A KR20110121174 A KR 20110121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oor
locking member
movab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9083B1 (en
Inventor
황정연
강진원
유명동
서운규
정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83B1/en
Priority to CN201180030079.7A priority patent/CN102947659B/en
Priority to EP11772262.9A priority patent/EP2572149B1/en
Priority to US13/642,149 priority patent/US9074810B2/en
Priority to PCT/KR2011/002905 priority patent/WO2011132974A2/en
Publication of KR2011012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simultaneously drawing out a fixing basket fixed to the rear side of a pantry and a movable basket accepted to a pantry roo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pantry door. CONSTITUTION: A refrigerator(10) comprises a main body(11) and a pantry assembly(30). The main body comprises a storage. The pantry assembly is withdrawable from the storage. The pantry assembly comprises a door(31), a fixing basket(32) and a movable basket(33). The doo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The fixing basket is combined in the rear side of the door. The movable basket is drawn from the storage in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f the fixing baske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상세히,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고, 증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가 음식물 저장을 위한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refrigerator utilizes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llows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to be supplied to the space for food storage.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에 따라 탑마운트 타입,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및 바텀 프리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탑마운트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입이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며, 바텀 프리저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다. The refrigerator may be divided into a top mount type, a side by side type, and a bottom freezer type according to position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top mount type is a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side by side type is a type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freezer type is a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최근에는, 냉장실은 한 쌍의 회동식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고, 냉동실은 드로어 타입의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냉장실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와,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실에 보관된 음료수 등을 인출할 수 있는 홈바가 구비된 제품이 나와 있다. 그리고, 제품 모델에 따라서 냉동실 내부에 별도의 절환실이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Recently, a number of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s in which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rotating doors and the freezing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by a drawer-type door have been released.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has a dispenser for taking out water or ice, and a product provided with a home bar for withdrawing beverages stor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roduct model, a separate switching room may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본 발명은 냉장고 고내에 수용되는 수납 부재들의 동시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enables simultaneous withdrawal of storage members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직립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바스켓과, 상기 고정 바스켓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놓이는 이동 바스켓을 포함하는 팬트리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 바스켓이 인출될 때, 상기 이동 바스켓이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 메카니즘을 포함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nd a pantree assembly removably provided from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pantree assembly is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by translating forward and backward in an upright state; And a pan tree assembly including a fixed basket, a movable basket that is retractably placed in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fixed basket, and a withdrawal mechanism that allows the movable basket to be pulled out together when the fixed basket is withdrawn. do.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팬트리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팬트리 도어의 배면에 고정된 고정 바스켓과 상기 팬트리 룸에 수용된 이동 바스켓이 함께 인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pan tree door moves, a fixed basket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an tree door and a moving basket accommodated in the pan tree room may be pulled out together. have.

또한, 상기 팬트리 도어의 인출과 상기 이동 바스켓의 인출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thdrawal of the pantree door and the withdrawal of the movable baske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ithdraw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팬트리 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인출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걸림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걸림 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냉동실 팬트리 도어가 전진할 때 이동 바스켓이 함께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6은 냉동실 팬트리 도어가 후퇴할 때 걸림 부재와 이동 바스켓의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constituting a withdrawal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tate that the moving basket is pulled out together when the freezer pantry door is advanced.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moving basket when the freezer pantree door retra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10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세히, 상기 저장 공간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냉장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동결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3)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storage space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a fresh state and a freezing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in a frozen s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frigerator of the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will be described. The door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13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한편, 상기 냉동실의 일 측방에는 상기 냉동실과 별도록 구획되는 팬트리 룸(113)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may be formed in the pantry room 113 is separated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상세히, 상기 팬트리 룸(113)에는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30)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30)는 전후 방향 병진 이동에 의하여 상기 팬트리 룸(113)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팬트리 룸(11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antry room 113 accommodates a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30. In additio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30 may be withdrawn from the pantree room 113 or introduced into the pantree room 113 by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또한, 상기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30)는,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바스켓(32) 및 상기 팬트리 룸(113) 내부에 제공되고, 전후 방향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바스켓(3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30 is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a fixing basket 32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and the pantree room 113. And one or more moving baskets 33 provided to be able to be pulled forward and backward.

상세히,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는 직립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팬트리 룸(1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바스켓(32) 및 상기 이동 바스켓(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랙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 바스켓(32) 및 이동 바스켓(33)은 상면만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detail,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n upright stat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ntry room 113. In addition, the fixing basket 32 and the movable basket 3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rack as shown. However, the fixing basket 32 and the moving basket 33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only an upper surface opened.

또한,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상면에는 손잡이부(31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바스켓(32)은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한 몸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기 이동 바스켓(33)은 상기 고정 바스켓(32)과 독립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동 바스켓(33)은,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인출될 때에 함께 인출되고,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독립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311 may be reces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n addition, the fixed basket 32 moves in one body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while the movable basket 33 may be withdrawn or drawn independently of the fixed basket 32. Further, the movable basket 33 may be withdrawn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drawn out,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dependent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drawn out. have.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함께 인출되고, 그 이후에는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moving basket 33 will be drawn out together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and after that, a structure for enabling independent move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팬트리 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팬트리 룸(113) 내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 바스켓(33)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트리 룸(113)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a)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3a)에 의하여, 상기 이동 바스켓(33)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흔들림 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one or more moving baskets 33 may be spac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pantry room 113. 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antry room 113 may be provided with guide parts 113a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basket 33. By the guide portion 113a, the movable basket 33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out shaking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또한,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고정 바스켓(32)은 레일 어셈블리(38)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상세히, 상기 레일 어셈블리(38)는, 상기 고정 바스켓(32)의 측면과 상기 팬트리 룸(113)의 측면을 연결하고, 다단 인출되는 텔레스코픽 레일(telescopic rail)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잡아 당기면, 상기 레일 부재(38)가 연장되어 상기 고정 바스켓(32)이 팬트리 룸(113) 외부로 인출된다. In additio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and the fixing basket 32 are horizontally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rail assembly 38. In detail, the rail assembly 38 may be a telescopic rail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xing basket 32 and the side of the pantry room 113 and drawn out in multiple stages. Accordingly,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pulled out, the rail member 38 extends and the fixing basket 32 is pulled out of the pantry room 113.

한편, 상기 고정 바스켓(32)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 바스켓(32)의 직상방에 놓인 이동 바스켓(33)을 인출시키는 인출 메카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fixing basket 32 may be provided with a withdrawal mechanism for withdrawing the moving basket 33 placed directly above the fixing basket (32).

상세히, 상기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고정 바스켓(32)의 배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35)와, 상기 지지대(35)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걸림 부재(36) 및 상기 팬트리 룸(113)의 후측 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 부재(36)를 가압하는 누름 돌기(37)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withdrawal mechanism includes a support 3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asket 32, a locking member 3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5, and the pantry room ( Protruding from the rear wall of 113 and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37 to press the locking member 36.

더욱 상세히, 상기 걸림 부재(36)는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 일부분을 걸어서,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함께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인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출 메카니즘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more detail, the locking member 36 walks a bottom portion of the movable basket 33 during the withdrawal of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and together with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the movable basket 33. To be withdrawn.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xtract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인출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걸림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걸림 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constituting the take-ou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부재(36)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361)와, 상기 몸체부(361)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후크(363)와, 상기 몸체부(361)의 양단에 돌출되는 회전축(362) 및 상기 회전축(362)에 감기는 탄성 부재(364)를 포함한다. 3, the locking member 3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361, a hook 363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61, and the body portion. The rotary shaft 362 protrudes at both ends of the 361 and the elastic member 364 wound around the rotary shaft 362.

상세히, 상기 몸체부(361)는 상기 지지대(35)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몸체부(361)의 일부가 상기 지지대(35)의 상부면에 매설되고, 매설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ody portion 36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5.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body 361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5,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in the embedded state.

또한, 상기 후크(363)는 상기 몸체부(36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36)는 상기 누름 돌기(37)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에 걸려서 후방으로 역회전된다. In addition, the hook 363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61 so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movable basket 33 can be caught.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36 is rotated forwar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37, and is reversely rotated backward by being caught by the bottom of the moving basket 33 while the moving basket 33 retreats. .

또한, 상기 탄성 부재(364)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성력(또는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 부재(36)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걸림 각도 또는 걸림 해제 각도까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 각도라 함은, 상기 걸림 부재(36)가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걸림부(333)에 걸릴 수 있게 하는 최종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이고, 걸림 해제 각도라 함은, 상기 이동 바스켓(33)과의 걸림이 해제되는 최종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이다. 즉, 상기 걸림 부재가 전방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각도와 상기 걸림 부재가 후방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의 각도를 각각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elastic force (or restoring force) generated by the elastic member 364, after the locking member 36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s automatically rotated to the locking angle or the locking release angle. Here, the locking angle is a rotation angle up to a final position where the locking member 36 can be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33 of the moving basket 33, and the locking release angle is the moving basket. It is the rotation angle to the final position where the engagement with 33 is releas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angl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the front maximum and the angl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the rear maximum.

도 5는, 냉동실 팬트리 도어가 전진할 때 이동 바스켓이 함께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moving basket being pulled out together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is advanc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바스켓(32)의 직상방에 있는 이동 바스켓(33)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 부재(3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개구부(332)가 소정 길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32)의 전단은 상기 걸림 부재(36)에 걸리는 걸림부(333)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an opening 332 may be formed at a bottom of the movable basket 33 directly above the fixing basket 32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member 36.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332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333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36.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와이어 랙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들 중 상기 개구부(332)의 전단부를 지나는 와이어가 상기 걸림부(333)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32)는 상기 와이어가 없는 영역으로서, 상기 걸림 부재(36)가 상기 개구부(332) 내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이동하지 않는다. 즉,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부재(36)가 상기 개구부(332) 내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ving basket 33 is made of a wire rack,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332 among the wires forming the bottom of the moving basket 33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It functions as 333. In addition, the opening 332 is an area without the wire, and the moving basket 33 does not move while the locking member 36 is in the opening 332. Tha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forward, the moving basket 33 maintains the stopped state while the locking member 36 is in the opening 332.

만일,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와이어 랙 구조가 아니라, 상면을 제외한 면이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면에는 상기 개구부(332)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걸림 부재(36)에 걸리는 부분은 와이어가 아니라, 상기 개구부(332)의 전면부가 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332)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면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32)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인출이 시작되는 시점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332)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 짧아질 것이다.If the movable basket 33 is not a wire rack structure, a surface except for an upper surface may be formed of a box. In this case, the opening 33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basket 33, but the portion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36 is not a wire but a front portion of the opening 332. Here, the opening portion 33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basket 33 to the front. In addition, a time point at which the withdrawal of the movable basket 33 star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pening 332. For example, as the length of the opening 332 becomes shorter, the time from when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starts moving forward to when the moving basket 33 starts moving forward The interval will be short.

또한, 상기 개구부(332)의 길이, 즉 상기 개구부(332)의 걸림부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인출된 길이가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부(332)의 길이가 긴 경우, 즉 상기 개구부(332)의 걸림부가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전면에 더 가까운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인출되는 길이가 짧아지게 될 것이다. 반대로, 상기 개구부(332)의 길이가 짧으면,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인출 길이가 길어지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opening basket 332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opening 332, that i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opening 332. In other words, when the length of the opening 332 is long, that is, wh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opening 332 is formed to have a length close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basket 33, the length of the moving basket 33 is drawn out. It will be short. On the contrary, if the length of the opening 332 is short,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movable basket 33 will be long.

한편, 상기 개구부(332)의 전단부, 즉 걸림부(333)가 상기 걸림 부재(36)에 걸린 순간부터는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상기 고정 바스켓(32)과 함께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333)가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이동과 거의 동시에 이동 바스켓(33)도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걸림부(333)가 상기 이동 바스켓(333)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소정 길이 인출된 이후부터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from the moment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332, that is, the locking portion 333 is caught by the locking member 36, the movable basket 33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fixed basket 32. Therefore, when the locking portion 333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basket 33, the moving basket 33 also moves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On the contrary, when the catching part 333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oving basket 333, the moving basket (after the freezing chamber pantree door 31 is drawn out a predetermined length) 33) moves forward.

도 6은 냉동실 팬트리 도어가 후퇴할 때 걸림 부재와 이동 바스켓의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moving basket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is retracted.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냉동실 팬트리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거나 물품을 수납 공간에 수납이 끝나면,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닫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withdraws the article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or the storage of the article in the storage space, the user closes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31.

먼저, 상기 걸림 부재(36)가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 즉 상기 이동 바스켓(33)을 끌고 나올 때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즉,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인출된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후퇴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자.First, suppose that the locking member 36 is rotated forward, that is, maintains the state when the moving basket 33 is pulled out. That is, suppose that the mobile basket 33 is not retracted by the user after being withdrawn.

이때에는,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후퇴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후퇴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배면이 상기 이동 바스켓(33)에 접촉하기 전까지는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고정 바스켓(32)만 후퇴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의 배면이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전면에 접촉한 시점 이후부터는 상기 고정 바스켓(32)과 이동 바스켓(33)이 함께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후퇴 시작 시점이 결정된다고 하겠다.At this time, the mobile basket 33 is retrac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ith the retrac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n other words, only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31 and the fixed basket 32 are retracted until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31 contacts the movable basket 33. In addition, the fixed basket 32 and the movable basket 33 retreat together after a time point at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basket 33. Therefore, the starting point of the retreat of the movable basket 33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movable basket 33.

한편, 상기 이동 바스켓(33)을 고정시키고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만 잡아당길 경우, 상기 걸림 부재(36)는 상기 걸림부(333)의 가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333)와 걸림 부재(36) 간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36)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바닥 부분이 상기 걸림 부재(36)와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팬트리 도어(31)와 이동 바스켓(33)이 함께 어느 정도 열린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이동 바스켓(33)을 후방으로 미는 경우도 상기 걸림 부재(36)가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movable basket 33 is fixed and only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pulled out, the locking member 36 is rotated backwar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ocking portion 333. Then,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locking portion 333 and the locking member 36 is released. When the locking member 36 pivots back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movable basket 33 is kept in the state of not interfering with the locking member 36. On the contrary, the pantry door 31 and the movable basket 33 are fixed together in a somewhat open state, and the locking member 36 rotates backward even when the movable basket 33 is pushed backward.

또한,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와 시간차를 두고 늦게 인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어느 정도 인출한 다음,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동시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인출을 원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어느 정도 연 다음, 상기 이동 바스켓(33)이 어느 정도 인출된 상태이면 상기 이동 상기 이동 바스켓(33)을 후측으로 밀고, 이동 바스켓(33)이 인출되기 전이면 이동 바스켓(33)을 잡은 상태에서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더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걸림 부재(36)가 상기 걸림부(333)의 가압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부(333)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그 이후에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잡아 당기면, 상기 이동 바스켓(33)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바스켓(32)만 인출된다. In addition, when the moving basket 33 is drawn out late with a time difference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31, the user pulls out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31 to some extent, and then the transfer basket 3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move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withdraw the mobile basket 33, the follow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irst, the user opens the freezer pantry door 31 to some extent, and then, if the moving basket 33 is partially drawn out, the user pushes the moving basket 33 to the rear side, and the moving basket 33 is withdrawn. Before it is pulled,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further pulled while holding the movable basket 33. Then, the locking member 36 is rotated backwar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ocking portion 333, the locking state with the locking portion 333 is released. After that,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pulled out, only the fixing basket 32 is pulled out while the moving basket 33 is stopped.

한편, 상기 걸림 부재(36)가 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를 닫는 경우에는 다음의 동작이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closed while the locking member 36 pivots backward,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세히,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상기 누름 돌기(37)에 의하여 상기 걸림 부재(33)가 전방으로 가압된다(도 4 설명 참조). 그리고,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31)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걸림 부재(33)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이동 바스켓(33)의 걸림부에 걸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누름 돌기(37)에 의하여 상기 걸림 부재(36)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부재(36)에 장착된 탄성 부재(364)의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 가능한 각도까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In detail, immediately before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completely closed, the locking member 33 is pushed forward by the pressing protrusion 37 (see FIG. 4). When the freezing compartment pantree door 31 is completely closed, the locking member 33 rotates forwar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movable basket 33.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36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pressing protrusion 37, it automatically rotates to an angle that can be lock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64 attached to the locking member 36. Don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 바스켓(32)과 이동 바스켓(33)이 함께 인출되거나, 고정 바스켓(32)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basket 32 and the moving basket 33 may be drawn out together or only the fixing basket 32 is drawn ou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Claims (10)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저장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직립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여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바스켓과,
상기 고정 바스켓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놓이는 이동 바스켓을 포함하는 팬트리 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 바스켓이 인출될 때, 상기 이동 바스켓이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And
A pantree assembly removably provided from the storage space,
The pantree assembly,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by transl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 an upright state;
A fixing baske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 pantree assembly including a movable basket that is retractably placed in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fixed basket;
And a withdrawal mechanism for causing the mobile basket to be withdrawn when the fixed basket is withdra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의 측면부와 상기 저장 공간의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가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ail assembly connecting the side part of the pan tree assembly and the side part of the storage space to move the pan tree assembly horizont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이동 바스켓의 일부가 걸리도록, 적어도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고정 바스켓에 고정되는 걸림 부재 및
상기 저장 공간의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부재를 가압하는 누름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withdrawal mechanism is
A catching member fixed to the fixing basket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t least a bottom portion of the moving basket so that a part of the moving basket is caught;
And a pressing protrusion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o press the lock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고정 바스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후크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바스켓의 일부는 상기 후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A body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basket;
Hooks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And a portion of the movable basket is hooked to the hoo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어느 각도만큼 회전한 이후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걸림 각도 또는 걸림 해제 각도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fter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by an angle, the refrigerator is automatically rotated to the locking angle or the release ang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걸림 해제 각도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하여 상기 걸림 부재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걸림 각도까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locking member is pushed forward by the pressing protrusion to rotate to the locking angle when the door is clos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이동 바스켓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바스켓만의 후퇴 또는 상기 고정 바스켓만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걸림 부재가 걸림 해제 각도까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an unlocking angle by retreating only the movable basket or advancing only the fixed basket while the locking member is locked to the movable bask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바스켓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 부재가 지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개구부의 전단에 걸리는 순간부터 상기 이동 바스켓이 상기 고정 바스켓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ocking member passes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vable basket,
And the moving basket moves together with the fixed basket from the moment when the hook is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이동 바스켓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이동 바스켓이 상기 고정 바스켓과 시간차를 두고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opening extends fo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ovable basket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movable basket is drawn out at a time difference from the fixed bask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이동 바스켓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의 길이에 의하여 상기 이동 바스켓의 인출 길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opening portion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moving basket to the front, and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moving basket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opening basket.


KR1020100040647A 2010-04-21 2010-04-30 Refrigerator KR101659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647A KR101659083B1 (en) 2010-04-30 2010-04-30 Refrigerator
CN201180030079.7A CN102947659B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EP11772262.9A EP2572149B1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US13/642,149 US9074810B2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PCT/KR2011/002905 WO2011132974A2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647A KR101659083B1 (en) 2010-04-30 2010-04-30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174A true KR20110121174A (en) 2011-11-07
KR101659083B1 KR101659083B1 (en) 2016-09-22

Family

ID=4539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647A KR101659083B1 (en) 2010-04-21 2010-04-30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965A (en) * 2015-11-04 201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274878B2 (en) 2015-11-04 2022-03-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8958A1 (en) * 2005-03-31 2006-10-05 U-Line Corporation Pull-out access cooler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8958A1 (en) * 2005-03-31 2006-10-05 U-Line Corporation Pull-out access cooler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965A (en) * 2015-11-04 201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274878B2 (en) 2015-11-04 2022-03-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725874B2 (en) 2015-11-04 2023-08-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083B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810B2 (en) Refrigerator
KR101554852B1 (en) Refrigerator
RU2608220C1 (en) Sliding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a sliding device
KR101600310B1 (en) Refrigerator
US20110095670A1 (e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455693A2 (en) Refrigerator and receptacle assembly thereof
KR20140008597A (en)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10003911A (en) Refrigerator
KR20060081923A (en) Refrigerator
KR20110010405A (en) Refrigerator
KR100610505B1 (en) Refrigerator
KR101350018B1 (en)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KR101869556B1 (en) Refrigerator
KR20110121174A (en) Refrigerator
KR101322118B1 (en) Refrigerator
KR102491969B1 (en) refrigerator
KR101892746B1 (en) Refrigerator
JP5091586B2 (en) refrigerator
KR101713324B1 (en) Refrigerator
KR102352400B1 (en) refrigerator
KR102340235B1 (en) refrigerator
KR102373830B1 (en) refrigerator
KR102386702B1 (en) refrigerator
KR102386701B1 (en) refrigerator
KR102386709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