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169A -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voice - Google Patents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vo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1169A KR20110121169A KR1020100040641A KR20100040641A KR20110121169A KR 20110121169 A KR20110121169 A KR 20110121169A KR 1020100040641 A KR1020100040641 A KR 1020100040641A KR 20100040641 A KR20100040641 A KR 20100040641A KR 20110121169 A KR20110121169 A KR 201101211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signal
- voice
- mouse pointer
- input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 특히 사용자가 비교적 쉬운 발음으로도 표시부의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이동속도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a)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패턴별로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데이터 패턴과 매칭하고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매칭된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현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실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mouse pointer using a voice, in particular, a user can move the mouse pointer of a display unit to a desired position even with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and also adjusts a moving speed. S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ignal for each pattern in the memory unit; (b) input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c)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recognizing,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a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matching and determin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with a data pattern preset in the memory unit; (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atched digital signal; (g)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 display unit to move the mouse pointer implemented in the display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사용자가 비교적 쉬운 발음으로 음성 신호를 발성하는 경우에도 그에 연동하여 간단하게 표시부에 구현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또한 음성 신호의 고/저를 통해 포인터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mouse pointer using a voice, and in detail, even when a user utters a voice signal with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the mouse pointer embodied in the display unit can be simply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voice signal, and the high / low voice signal can be realiz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pointer control technique using a vo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speed of a pointer through.
컴퓨터와 유사한 대부분의 기기는 마우스라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제어한다. 그러나, 신체적인 제한으로 인해 마우스를 사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해 마우스를 이용하지 않고, 쉽게 마우스의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는 요구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눈의 동체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장비는 고가이어서 사용하는데 경제적으로 부담이 따른다는 단가 있다.Most devices similar to computers use an input device called a mouse to control the pointer. However,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are difficult to use the mouse due to physical limitations, there is a need for them to easily control the pointer of the mouse without using the mouse. As an alternative, the snow fuselage may be used, but such equipment is expensive and economically burdensome to use.
또한, 음성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경우, 발음을 정확히 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사람에 따라 정확한 발음을 하기 어렵거나 발음의 차이가 정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 표시부에 구현된 포인터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inter is moved using a vo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nunciation must be corrected. When the pronunciation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onounce or a difference in pronunciation is not accurately distinguished by a person, a pointer embodied in the computer display unit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ove to.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비교적 쉬운 발음으로도 표시부의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이동속도도 조절할 수 있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demand for a mouse pointer control technique using a voice capable of moving a mouse pointer of a display unit to a desired position with a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and also adjusting a moving speed.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비교적 쉬운 발음으로도 표시부의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이동속도도 조절할 수 있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se pointer control technique using a voice that allows a user to move a mouse pointer of a display unit to a desired position even with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and also adjusts a moving spe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은, (a)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패턴별로 저장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데이터 패턴과 매칭하고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매칭된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현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실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controlling a mouse pointer using 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ing data corresponding to a voice signal of a user for each pattern in a memory unit; (b) input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c)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recognizing,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a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matching and determin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with a data pattern preset in the memory unit; (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atched digital signal; (g)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 display unit to move the mouse pointer implemented in the display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a)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일정한 모음이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메모리부에 일정한 모음에 대응되도록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vowel is input from the user's voice signal, the patterned data is stored so that the mouse pointer in the step (g) corresponds to the constant vowel in the memory unit so that the mouse pointer can mov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의 (f)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일정한 모음이 한 음절에 합성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가 합성 입력된 모음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합성 입력된 한 음절의 모음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step (f)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certain vowel of the user's voice signal is synthesized and input into one syllabl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synthesizes the mouse pointer of the step (g) to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wel.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wel of syllables is generated.
본 발명의 (a)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초성에서 종성에 이르기까지 음파의 데시벨이 상승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고,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초성에서 종성에 이르기까지 음파의 데시벨이 하강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메모리부에 음절의 데시벨에 대응되게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된다.In the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cibel of the sound wave increases from the beginning to the last of one syllable of the user's voice signal, the moving speed of the mouse pointer in the step (g) is relatively faster, and one of the user's voice signals is increased. When the decibels of sound waves fall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yllable, the patterned data corresponding to the decibels of the syllable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so that the movement speed of the mouse pointer in step (g) is relatively slow.
본 발명의 (b) 단계에서,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ㅏ'가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ㅓ'가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ㅗ'가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ㅜ'가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a) 단계의 메모리부에는 각각의 'ㅏ,ㅓ,ㅗ,ㅜ' 모음에 대응되게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된다.In step (b)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wel of one syllable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user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s inputted, the mouse pointer of step (g) moves to the right side, and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When a syllable vowel of the user's voice signal is input 'ㅓ', the mouse pointer in step (g) moves to the left, and the syllable vowel of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s set to '이'. Is inputted, the mouse pointer in step (g) moves upwards, and when a vowel of one syllable among user's voice signals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s inputted with 'TT', the mouse pointer in step (g) moves downwards. In the memory unit of step (a), the data pattern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ㅏ, ㅓ, ㅗ, TT' vowels is stored.
본 발명의 (f)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상기 각각의 'ㅏ,ㅓ,ㅗ,ㅜ' 모음이 한 음절에 합성 입력되면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가 합성 입력된 모음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합성 입력된 한 음절의 모음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In the step (f)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pective 'ㅏ, ㅏ, ㅗ, TT' vowels of the user's voice signals are synthesized and input into one syllable, the mouse pointer of (g) is diagonally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zed input vowel.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vowel of a syllable synthesized and input so as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은,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the 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사용자는 비교적 쉬운 발음을 통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속도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쉽게 음성만을 가지고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mouse pointer in a very simple manner through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mouse pointer using only voice.
둘째, 본 발명은 신체적으로 불편한 사용자인 경우 특히 유용하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physically inconvenient users.
셋째, 본 발명의 음성 신호 수신부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고가의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Third, since the voice signal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hrough a microphone which can be easily purchased on the market,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expensive equipment sepa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인식 모듈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포인터가 표시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포인터가 표시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ouse pointer control system using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use pointer using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in which the mouse pointer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mouse pointer moves in a diagonal direction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본 실시예는 음성 신호 인식 모듈(100)과, 음성 신호 처리 모듈(200)과, 메모리부(300)와, 표시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ouse pointer control system using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voice
음성 신호 인식 모듈(100)은 사용자로부터 발성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판단한다. 음성 신호 처리 모듈(200)은 음성 신호를 변환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전송한다.The voice
메모리부(3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패턴별로 저장한다. 표시부(400)는 마우스 포인터(410)를 구현하며, 컴퓨터의 모니터를 나타낸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인식 모듈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음성 신호 인식 모듈(100)은 음성 신호 수신부(110)와, 음성 신호 판단부(120)와, 음성 신호 전송부(13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voice
음성 신호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발성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신호 판단부(12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한다.The
음성 신호 전송부(130)는 인식된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 모듈(200)에 전송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음성 신호 처리 모듈(200)은 필터부(210)와, 신호 변환부(220)와, 신호 분석부(230)와, 신호 분류부(240)와, 신호 전송부(25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voice
필터부(21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목적하는 유효 전송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필터링한다.The
신호 변환부(220)는 바람직하게는 A/D컨버터로 구성되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신호 분석부(23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메모리부(300)에 패턴별로 저장된 데이터와 매칭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분석 판단한다. 신호 분류부(240)는 메모리부(300)에 패턴별로 저장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분류하여 생성한다.The
신호 전송부(250)가 분류 생성된 제어 신호를 표시부(400)이 전송한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사용자로부터 발성되는 음성 신호로부터 표시부에 구현된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use pointer using vo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moving the mouse pointer implemented in the display unit from a voice signal spoken by a us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사용자로부터 발성된 음성 신호가 음성 신호 인식 모듈의 음성 신호 수신부에 입력된다(S110). 음성 신호 판단부는 입력된 음성 신호가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데이터 패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한 음성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S120).First, a voice signal spoken by a user is input to a voice signal receiver of a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S110). The voice signal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voice signal corresponds to a data pattern preset in the memory unit to recognize a valid voice signal (S120).
유효하게 인식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전송부에 의해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된다(S130). 전송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의 필터부에 의해 유효전송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되며, 신호 변환부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S140).The validly recognized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by the voice signal transmitter (S130).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s filtered to the effectiv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by the filter unit o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the analog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signal converter (S140).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의 신호 분석부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메모리부에 패턴별로 저장된 데이터와 매칭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분석 판단한 후, 신호 분류부가 분석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메모리부에 패턴별로 저장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분류하여 생성한다(S150).The signal analyzer o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analyz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corresponds to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by pattern, and then controls the signal classif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by the pattern from the analyzed digital signal. The signal is classified and generated (S150).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의 신호 전송부는 분류 생성된 제어 신호를 표시부에 전송하며, 표시부에 전송된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부에 구현된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하게 된다(S160).
The signal transmitter o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transmits the classification-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the mouse pointer implemented in the display unit is moved by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S16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포인터가 표시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도로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패턴별로 저장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일정한 모음이 입력되어 마우스 포인터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FIG. 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mouse pointer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i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signal is stored for each pattern in a memory unit, a certain collection of voice signals of the user is collected. This input causes the mouse pointer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또한, 메모리부에 음절의 데시벨에 대응되게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초성에서 종성에 이르기까지 음파의 데시벨이 상승하면 마우스 포인터(410)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고,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초성에서 종성에 이르기까지 음파의 데시벨이 하강하면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ata patterned to correspond to the decibel of the syllable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the decibel of the sound wave increase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one syllable of the user's voice signal, the moving speed of the
일례로, 메모리부에 각각의 'ㅏ,ㅓ,ㅗ,ㅜ' 모음에 대응되게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ㅏ'가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41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ㅓ'가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ㅗ'가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ㅜ'가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data patterned to correspond to each 'ㅏ, ㅓ, ㅗ, TT' vowel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vowel of one syllable among the user's voice signals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s set to 'ㅏ'. When input,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포인터가 표시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도로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일정한 모음이 한 음절에 합성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410)가 합성 입력된 모음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합성 입력된 한 음절의 모음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6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mouse pointer moves diagonally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vowel of voice signals of a user is synthesized and input into one syllable, the
일례로,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상기 각각의 'ㅏ,ㅓ,ㅗ,ㅜ' 모음이 한 음절에 합성 입력되면 마우스 포인터(410)가 합성 입력된 모음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합성 입력된 한 음절의 모음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ㅏ, ㅓ, ㅗ, TT' vowels of the user's voice signals are synthesized and input into one syllable, the
100 : 음성 신호 인식 모듈 110 : 음성 신호 수신부
120 : 음성 신호 판단부 130 : 음성 신호 전송부
200 : 음성 신호 처리 모듈 210 : 필터부
220 : 신호 변환부 230 : 신호 분석부
240 : 신호 분류부 250 : 신호 전송부
300 : 메모리부 400 : 표시부
410 : 마우스 포인터 500 : 제어부100: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110: voice signal receiver
120: voice signal determination unit 130: voice signal transmission unit
200: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210: filter unit
220: signal conversion unit 230: signal analysis unit
240: signal classification unit 250: signal transmission unit
300: memory 400: display
410: mouse pointer 500: control unit
Claims (6)
(b)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하는 단계;
(c)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음성 신호 처리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설정된 데이터 패턴과 매칭하고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매칭된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현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실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a) storing data corresponding to a voice signal of a user for each pattern in the memory unit;
(b) input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c)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recognizing, determin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a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matching and determin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with a data pattern preset in the memory unit;
(f)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matched digital signal;
(g)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 display unit to move the mouse pointer implemented in the display unit;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a vo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a)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일정한 모음이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일정한 모음에 대응되도록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When a certain vowel is input from the user's voice signal, patterned data is stor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vowel in the memory unit such that the mouse pointer of the step (g) is movabl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How to control the mouse pointer.
상기 (f)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일정한 모음이 한 음절에 합성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가 합성 입력된 모음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합성 입력된 한 음절의 모음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f),
If a certain vowel of the user's voice signal is synthesized and input into one syllabl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module may synthesize the synthesized input syllable such that the mouse pointer of the step (g) moves diagonally in correspondence to the synthesized input vowel. Mouse control method using a vo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상기 (a)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초성에서 종성에 이르기까지 음파의 데시벨이 상승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고,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초성에서 종성에 이르기까지 음파의 데시벨이 하강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음절의 데시벨에 대응되게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When the decibel of sound waves rises from the beginning of one syllable to the last of the user's voice signal, the movement speed of the mouse pointer in step (g) is relatively faster, and from the beginning to the last of one syllable of the user's voice signal. When the decibel of sound waves falls, the mouse pointer control using vo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patterned to correspond to the decibel of the syllable so that the movement speed of the mouse pointer in step (g) is relatively slow. Way.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ㅏ'가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ㅓ'가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ㅗ'가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음성 신호 인식 모듈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한 음절의 모음이 'ㅜ'가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a) 단계의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각각의 'ㅏ,ㅓ,ㅗ,ㅜ' 모음에 대응되게 패턴화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In step (b),
When a vowel of one syllable among the user's voice signals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s input, the mouse pointer of step (g) moves to the right, and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f the vowel of one syllable is input 'ㅓ', the mouse pointer of step (g) moves to the left side, and if the vowel of one syllable among the user's voice signals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is input The mouse pointer of step (g) moves upwards, and when TT is input to one syllable of the user's voice signals input to the voice signal recognition module, the mouse pointer of step (g) moves downward. The mouse using the vo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patterned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 ',', ' Inter controlled manner.
상기 (f)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중 상기 각각의 'ㅏ,ㅓ,ㅗ,ㅜ' 모음이 한 음절에 합성 입력되면 상기 (g) 단계의 마우스 포인터가 합성 입력된 모음에 대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음성 신호 처리 모듈이 상기 합성 입력된 한 음절의 모음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터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In the step (f),
When the 'ㅏ, ㅓ, ㅜ, TT' vowels of the user's voice signals are synthesized and input into one syllable, the mouse pointer of the step (g) moves in a diago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zed input vowels. And a processing module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wel of the synthesized input syll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641A KR20110121169A (en) | 2010-04-30 | 2010-04-30 |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vo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0641A KR20110121169A (en) | 2010-04-30 | 2010-04-30 |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vo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1169A true KR20110121169A (en) | 2011-11-07 |
Family
ID=4539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0641A Withdrawn KR20110121169A (en) | 2010-04-30 | 2010-04-30 |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vo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2116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875B1 (en) * | 2013-10-07 | 2015-01-29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 voice recognition mouse circui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CN110874252A (en) * | 2018-08-30 | 2020-03-10 | Tcl集团股份有限公司 | Focus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
2010
- 2010-04-30 KR KR1020100040641A patent/KR2011012116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875B1 (en) * | 2013-10-07 | 2015-01-29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 voice recognition mouse circui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CN110874252A (en) * | 2018-08-30 | 2020-03-10 | Tcl集团股份有限公司 | Focus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614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gestures | |
CN108735219B (en) | Voice recogni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 |
US2010006381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ltidimensional gesture analysis | |
US8223589B2 (en) |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5075664B2 (en) | Spoken dialogue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 |
US20170052596A1 (en) | Detector | |
US2012002286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activity detection | |
JP2014089437A (en) |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 |
JPH11502953A (en) |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in harsh environment | |
KR20140042273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RU2010109206A (en) |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JUSTABLE ADJUSTMENT PARAMETERS BY SPECTRA TILT FRAME CONTROL | |
Peixoto et al. | Voice controlled wheelchairs: Fine control by humming | |
KR2016002530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of speech | |
KR101704510B1 (en) | Method for enhancement of speech of interest, an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speech of interest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apparatus | |
CN101930747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voice into mouth shape image | |
JP2005352154A (en) | Emotional state reaction operation device | |
KR20110121169A (en) | Mouse pointer control method using voice | |
CN11284039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20180057446A (en) | ODROID based speech recognition module for detecting keyword | |
US9269352B2 (en) | Speech recognition with a plurality of microphones | |
JP2018206073A (en) | Remote operation system | |
CN113314121B (en) | Soundless voice recognition method, soundless voice recognition device, soundless voice recognition medium, soundless voice recognition earphon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2355713B1 (en) | Multimedia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
CN110830864A (en) | Wireless ear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0265015A (en) | A kind of method, system and translator by voice control volu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