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08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085A
KR20110121085A KR1020100040517A KR20100040517A KR20110121085A KR 20110121085 A KR20110121085 A KR 20110121085A KR 1020100040517 A KR1020100040517 A KR 1020100040517A KR 20100040517 A KR20100040517 A KR 20100040517A KR 20110121085 A KR20110121085 A KR 2011012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ata
relay node
terminal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642B1 (ko
Inventor
임채권
조성연
임한나
최성호
배범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4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오버 결정 시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가 타겟 릴레이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SEQUENCE DATA FORWARDING IN CASE OF HANDOVER OF UE SERVED BY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릴레이 노드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를 타겟 릴레이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 서비스 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중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최대 100 M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이러한 LTE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과, 단말에 연결된 기지국(Evolved Node B, eNB),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등을 구비한다.
최근에는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지국과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기지국에 대해서는 단말로 동작함과 동시에, 단말기에 대해서는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노드 (Relay Node)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한편, 단말에 대한 핸드 오버가 결정되면, 단말이 접속한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가 접속한 서빙 기지국은 단말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지 않고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그러면 타겟 기지국은 포워딩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단말의 핸드 오버 완료 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한다.
그런데, 릴레이 노드를 지원하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릴레이와 서빙 기지국이 일정한 순서없이 타겟 기지국으로 단말 데이터를 포워딩하므로 단말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릴레이 노드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를 타겟 릴레이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은 핸드오버 결정 시,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제1 엔드마커(End marker) 패킷을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상기 단말에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은 핸드오버 결정 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제 2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와 연결되며, 단말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기지국은 핸드오버 결정 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 상기 핸드오버 결정 시,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는 버퍼링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는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 및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릴레이 노드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이동관리 제어부 및 상기 핸드오버 결정 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면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릴레이 노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은 핸드 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릴레이에 전송함과 동시에 단말 데이터를 더 이상 릴레이에 전달하지 않고 버퍼링하며, 릴레이로부터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버퍼링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 노드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는 타겟 릴레이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반이 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202)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릴레이 노드(302)에 연결된 단말(300)이 타겟 노드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시 단말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노드에 접속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포워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4)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402)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4)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40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LTE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반이 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매크로 셀 기지국(Macro evolved Node B: 또는, Macro eNB)(102),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 또는, MME)(104),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 또는, S-GW)(106), PDN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 또는, P-GW)(108) 및 단말(User Equipment : 또는, UE)(100)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 셀 기지국(102)은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이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 셀은 일반적인 셀룰라(Celluar) 시스템의 셀을 의미하고, 매크로 셀 기지국(102)은 상기 매크로 셀을 관리, 제어하는 기지국이지만 편의를 위해 매크로 셀과 매크로 셀 기지국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기지국으로 칭하기로 한다.
기지국(102)은 단말(100)과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무선 자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매크로 셀 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 생성하여 방송(Broadcast)하거나, 또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단말(100)과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는 기지국이 지원하는 사업자 정보 (PLMN ID), 기지국 셀 정보 (ECGI: EUTRAN Cell Global ID), 각 셀이 속한 구역 정보인 TAI (Tracking Area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102)은 단말(100)로부터 현재 셀과 인접 셀들의 채널 측정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핸드 오버를 결정하고, 핸드 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102)은 무선 자원 관리와 관련된 라디오 자원 관리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등의 제어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는 유휴 모드(idle)의 단말(100)을 관리하고, PDN 게이트웨이(108) 및 서빙 게이트웨이(106)를 선정한다. 이와 더불어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는 로밍(Roaming) 및 인증(Authentication)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는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베어러 시그널을 처리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와 단말(100)간 전달되는 메시지를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라고 칭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06)는 단말이 기지국(102) 사이의 핸드 오버 시, 또는 3GPP 무선망 사이를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PDN 게이트웨이(108)는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코어 망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 3GPP 무선망과 non-3GPP 무선망 사이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PDN 게이트웨이(108)는 가입자에게 제공할 베어러 대역을 결정하고, 패킷 데이터에 대한 포워딩(Forwarding) 및 라우팅(Routing) 기능을 담당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기지국(102)과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 사이는 S1-MME 인터페이스, 기지국(102)과 서빙 게이트웨이(106) 사이는 S1-U 인터페이스, 서빙 게이트웨이(106)와 PDN 게이트웨이(108) 사이는 S5 인터페이스라고 명명한다.
이외에도 홈 가입자 관리 서버(Home Subscriber Sever: HSS, 도면에 미도시)에서는 각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100)이 네트워크에 접속 시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에게 단말(100)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가 단말(100)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도록 한다.
단말(100)은 기지국(102)에 접속한 경우, 기지국(102), 서빙 게이트웨이(106), PDN 게이트웨이(108)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단말(100)은 기지국(102)과 연결을 설정한 후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에게 NAS 요청(NAS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100)이 이동성 관리 엔티티(104)에게 전송하는 NAS Request 메시지의 예로는 접속 요청(Attach Request),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Request),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202)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릴레이 노드(202)는 단말 기능을 가지고 기지국(204)에 연결됨과 동시에 기지국 기능을 가지고 단말(200)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릴레이 노드(202)와 연결된 기지국(204)을 도너 기지국(Donor eNB)이라고 명명한다.
단말(200)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206)와 서빙 게이트웨이(208) 및 PDN 게이트웨이(208)의 동작은 도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206)와 서빙 게이트웨이(208)는 단말(200)이 도너 기지국 (204)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릴레이 노드(202)에서 서비스를 받던 단말(200)은 도너 기지국(204), 상기 도너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210), 또는 다른 릴레이 노드(도면에는 미도시)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릴레이 노드(302)에 연결된 단말(300)이 타겟 노드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시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302)에 연결된 단말(300)은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인접한 타겟 노드로 핸드오버를 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노드는 인접한 릴레이 또는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겟 노드가 기지국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겠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이 타겟 릴레이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302)에 연결된 단말(300)로 전달되는 단말 데이터는 312 단계에서와 같이 서빙 게이트웨이(310)에서 도너 기지국(304) 및 릴레이 노드(302)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단말(30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단말 데이터는 단말에게 전달될 데이터 또는 패킷을 의미하며, 단말 데이터 패킷, 데이터 패킷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릴레이 노드(302)는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기준으로 현재보다 더 나은 무선 채널 환경을 가지는 기지국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314 단계에서 단말(300)의 핸드오버를 결정(Handover Decision)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302)는 316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를 도너 기지국(304)으로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도너 기지국(304)은 318 단계에서 핸드오버의 대상이 되는 타겟 기지국(306)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타겟 기지국(306)은 320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를 도너 기지국(304)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타겟 기지국(306)에서 도너 기지국(304)으로 전달되는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는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는 타겟 기지국(306)에 대한 포워딩 수신 터널 ID(Forwarding Receiving Tunnel ID)와 포워딩 수신 IP 어드레스(Forwarding Receiving IP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도너 기지국(304)은 328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이용하여 서빙 게이트웨이(310)로부터 수신하였으나 아직 릴레이 노드(302)에게 전송하지 않은 단말 데이터와 320 단계 이후에 서빙 게이트웨이(31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306)으로 포워딩한다.
한편, 타겟 기지국(306)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도너 기지국(304)은 322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302)에게 전달한다. 이 경우, 도너 기지국(304)에서 릴레이 노드(302)로 전달되는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는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는 도너 기지국(304)에 대한 포워딩 수신 터널 ID(Forwarding Receiving Tunnel ID)와 포워딩 수신 IP 어드레스(Forwarding Receiving IP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너 기지국(304)으로부터 핸드 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릴레이 노드(302)는 324 단계에서, 단말(300)에게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304)는 326 단계 및 330 단계에서, 도너 기지국(304)으로부터 수신하였지만 아직 단말(300)에게 전달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304)에게 포워딩한다. 결과적으로 도너 기지국(304)은 서빙 게이트웨이(310)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와 릴레이 노드(302)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를 모두 타겟 기지국(306)으로 포워딩하게 된다.
이후 단말(300)은 332 단계에서, 타겟 기지국(306)으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Handover Complete)를 전송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종료한다. 그러면 타겟 기지국(306)은 334 단계에서, 도너 기지국(304) 및 릴레이 노드(302)로부터 포워딩된 데이터를 단말(300)에게 전달한다.
한편, 타겟 기지국(306)은 단말(300)의 핸드오버 완료 시, 서빙 게이트웨이에서 도너 기지국(304)으로 단말 데이터가 전달되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서빙 게이트웨이에서 타겟 기지국(306)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타겟 기지국(306)은 336 단계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308)에게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Path Switch Request)를 전송하여 단말(300)이 자신에게 핸드오버 하였음을 알린다.
그러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308)는 338 단계에서, 서빙 게이트웨이(310)에게 베어러 정보 변경 요청 메시지(Modify Bearer Request)를 전달하여 도너 기지국(304)으로 전송하던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306)으로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서빙 게이트웨이(310)는 340 단계에서, 베어러 정보 변경 요청 승인 메시지(Modify Bearer Request Ack)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308)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이동성 관리 엔티티(308)는 342 단계에서, 단말 데이터의 전송 경로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변경 요청 승인 메시지(Path Switch Request Ack)를 타겟 기지국(306)으로 전송한다.
서빙 게이트웨이(310)는 이후에 발생하는 단말 데이터를 344 단계에서와 같이, 타겟 기지국(306)으로 전송한다.
한편, 릴레이 노드(302)에 접속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가 단말(300)에게 순차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릴레이 노드(302)까지 전달된 단말 데이터(제1 단말 데이터)가 타겟 기지국(306)으로 먼저 포워딩되고, 그 이후에 도너 기지국(304)까지만 전달된 단말 데이터(제2 단말 데이터)가 타겟 기지국(306)으로 포워딩되어야 한다. 그러면 타겟 기지국(306)은 제1 단말 데이터와 제2 단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이를 단말(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순차적 단말 데이터 전송은 VoIP(Voice over IP) 데이터 전송,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도 3에서 도시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을 살펴보면, 도너 기지국(304)까지만 전달된 단말 데이터(제2 단말 데이터)가 릴레이 노드(302)까지 전달된 단말 데이터(제1 단말 데이터)보다 먼저 타겟 기지국(306)으로 포워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핸드오버 과정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302)에 접속한 단말(300)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릴레이(302)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360)으로 모두 전달한 후, 도너 기지국(304)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을 개시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도너 기지국(304)은 어느 시점에 서빙 게이트웨이(310)로부터 전달되는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306)으로 포워딩해야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이는 도너 기지국(304)이 릴레이 노드(302)로부터 얼마만큼의 단말 데이터가 자신에게 포워딩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가 없어, 릴레이 노드(302)로부터의 단말 데이터 전송이 언제 완료 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릴레이 노드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노드(402)에 접속한 단말(400)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포워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데이터는 412 단계에서처럼 서빙 게이트웨이(410), 도너 기지국(404) 및 릴레이 노드(402)를 경유하여 단말(400)에게 전송된다.
그러던 중, 릴레이 노드(402)는 414 단계에서 단말(400)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416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너 기지국(404)은 418 단계에서,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전달하고, 420 단계에서 이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를 상기 타겟 기지국(406)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는 아직 릴레이 노드(402)로 전달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404)이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하기 위한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타겟 기지국(406)에 대한 포워딩 수신 터널 ID(Forwarding Receiving Tunnel ID)와 포워딩 수신 IP 어드레스(Forwarding Receiving IP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너 기지국(404)은 422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402)에 전달한다. 이 경우, 도너 기지국(304)에서 릴레이 노드(302)로 전달되는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는 아직 단말(300)에게 전달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하기 위한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는 도너 기지국(304)에 대한 포워딩 수신 터널 ID(Forwarding Receiving Tunnel ID)와 포워딩 수신 IP 어드레스(Forwarding Receiving IP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기지국(404)은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402)에게 전송 후, 426 단계에서 서빙 게이트웨이(41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402)에 전송하는 대신 순차적으로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너 기지국(404)은 430 단계에서, 핸드오버 결정 후 도너 기지국(404)에서 릴레이 노드(402)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제1 엔드마커(End Marker) 패킷을 릴레이 노드(402)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은 페이로드(payload) 없이 헤더(header)로만 구성되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패킷일 수 있다.
한편, 릴레이 노드(402)는 424 단계에서, 단말(400)에게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전달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402)는 428 단계에서, 핸드오버 결정 후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전달 받았으나 아직 단말(400)에게 전달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한다. 432 단계에 따라, 릴레이 노드(402)에서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된 단말 데이터는 434 단계와 같이 포워딩 순서에 따라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되고, 상기 타겟 기지국(406)은 수신된 순서대로 단말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러던 중, 릴레이 노드(402)가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였음을 감지하면, 이에 대응하여 436 단계에서 제2 엔드마커 패킷을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핸드오버 결정 후, 릴레이 노드(402)에서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제1 엔드마커 패킷과 마찬가지로 페이로드(payload) 없이 헤더(header)로만 구성되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패킷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402)는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여 그대로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너 기지국(404)은 436 단계에서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면 릴레이 노드(402)에서 더 이상 전달될 단말 데이터가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도너 기지국(404)은 438 단계 및 439 단계로 진행하여, 426 단계에서 저장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400)은 핸드오버 완료 시, 440 단계에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Handover Complete)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전송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종료한다. 그러면 타겟 기지국(406)은 442 단계에서, 릴레이 노드(402) 및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포워딩된 단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단말(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400)은 핸드오버 완료 후에도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단말(400)의 핸드오버 완료 후, 타겟 기지국(406)이 단말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변경하는 444 단계 내지 452 단계는 도 3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기지국(404)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도너 기지국(404)은 502 단계에서, 릴레이 노드(402)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를 수신한다. 그러면 도너 기지국(404)은 50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도너 기지국(404)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전송 후 506 단계에서 타겟 기지국(406)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508 단계에서 이를 릴레이 노드(402)로 전송한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 전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너 기지국(404)이 510 단계에서와 같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402)에 전송하지 않고 버퍼에 저장하도록 트리거한다. 그리고 도너 기지국(404)은 512 단계에서 릴레이 노드(402)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전송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엔드마커 패킷은 핸드오버 결정 후 도너 기지국(404)에서 릴레이 노드(402)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한다.
그리고 도너 기지국(404)은 514 단계에서, 릴레이 노드(402)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를 수신하고, 516 단계에서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릴레이 노드(402)로부터 수신한 패킷이 제2 엔드마커 패킷이 아닌 일반적인 단말 데이터인 경우, 도너 기지국(404)은 518 단계로 진행하여 릴레이 노드(402)로부터 포워딩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한다.
반면, 도너 기지국(404)이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을 감지하면, 핸드오버 결정 후 릴레이 노드(402)에서 도너 기지국(404)으로 마지막 단말 데이터가 포워딩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너 기지국(404)은 520 단계로 진행하여, 510 단계를 통해 버퍼에 저장해두었던 서빙 게이트웨이(410)로부터 수신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402)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릴레이 노드(402)는 602 단계에서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이용하여 현재보다 더 나은 무선 채널 환경을 가지는 기지국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400)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402)는 604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402)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전송에 대응하여 606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를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릴레이 노드(402)는 608 단계에서,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단말(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402)는 610 단계에서,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단말(400)로 전송하던 것을 중단하고, 상기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한다.
그리고 릴레이 노드(402)는 612 단계에서, 핸드오버 결정 후 도너 기지국(404)에서 릴레이 노드(402)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제1 엔드마커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한 것이 아니라면, 릴레이 노드(402)는 616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한다.
반면, 612 단계에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한 것이라면, 릴레이 노드(402)는 614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모두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직 포워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릴레이 노드(402)는 616 단계로 진행하여 아직 포워딩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한다. 만약, 수신한 단말 데이터가 모두 포워딩된 경우라면, 릴레이 노드(402)는 618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엔드마커 패킷을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릴레이 노드(40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양태에 따라,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수신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제2 엔드마커 패킷으로서 그대로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하거나, 또는 제2 엔드마커 패킷을 별개로 생성하여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한 도너 기지국(404)은 자신이 버퍼링하고 있던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기지국(404)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너 기지국(404)은 무선 통신부(710), 저장부(720), 제어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도너 기지국(404)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7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7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730)로 출력하고, 제어부(7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너 기지국(404)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408)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410)와는 논리적으로 유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고, 이를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7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기지국(404)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720)는 단말(400)의 핸드오버 절차 진행 중, 도너 기지국(404)이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402)에 전송한 시점에서, 서빙 게이트웨이(410)로부터 수신되었으나 아직 릴레이로 전달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기지국(404)의 각 블록간의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30)는 단말(400)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730)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와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73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는 도너 기지국(404)이 릴레이 노드(402)에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 전송이 감지되면,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는 서빙 기지국(410)으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402)에 전송하는 대신 순차적으로 저장부(7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는 릴레이 노드(402)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는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 전송 감지 시, 도너 기지국(404)에서 릴레이 노드(402)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제1 엔드마커 패킷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는 릴레이 노드(402)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감지 시, 저장부(720)에 저장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730B)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730B)는 상기 생성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도너 기지국(402)으로 전달한다. 도너 기지국(402)은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면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전달될 단말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730B)는 도너 기지국(402)으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상기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730B)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730A)에 이를 알려 버퍼에 저장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포워딩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40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릴레이 노드(402)는 무선 통신부(810), 저장부(820),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810)는 릴레이 노드(402)의 무선 통신을 위핸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무선 통신부(810)는 단말(400) 또는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830)로 출력하고, 제어부(8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단말(400) 또는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8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402)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820)는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전송되어 단말(400)로 전달되거나 또는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402)의 각 블록간의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30)는 단말 이동관리 제어부(830A)와 패킷 포워딩 제어부(83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말 이동관리 제어부(830A)는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400)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단말 이동관리 제어부(830A)는 단말(400)의 핸드오버 결정 시, 핸드오버 준비 절차(Handover Preparation)의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하고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상기 단말(400)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패킷 포워딩 제어부(830B)는 릴레이 노드(402)가 단말(400)에게 핸드오버 명령 전송 시,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단말(400)에게 전달하지 않고, 도너 기지국(404)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패킷 포워딩 제어부(830B)는 도너 기지국(404)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였음을 감지하면,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도너 기지국(404)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한 도너 기지국(404)은 버퍼링하고 있던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40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가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 단말 데이터는 타겟 릴레이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너 기지국>
710 : 무선 통신부 720 : 저장부
730 : 제어부 730A : 패킷 포워딩 제어부
730B :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
<릴레이 노드>
810 : 무선 통신부 820 : 저장부
830 : 제어부 830A : 단말 이동관리 제어부
830B : 패킷 포워딩 제어부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결정 시,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릴레이 노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에 전송한 후, 상기 단말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 또는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헤더로만 구성되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게 전달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기 위한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포워딩 수신 터널 ID와 포워딩 수신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상기 단말에 연결된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결정 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제 2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릴레이 노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한 후, 상기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 전송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 전송 단계는,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 또는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헤더로만 구성되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의 단말 데이터 포워딩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와 연결되며, 단말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핸드오버 결정 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엔드마커 송수신 제어부;
    상기 핸드오버 결정 시, 서빙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데이터는 버퍼링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포워딩되는 단말 데이터는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 수신 시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 및
    상기 버퍼링되는 단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릴레이 노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포워딩 제어부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에 전달한 후, 상기 단말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 또는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헤더로만 구성되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포워딩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게 전달되지 않은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기 위한 데이터 포워딩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승인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워딩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포워딩 수신 터널 ID와 포워딩 수신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시 단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이동관리 제어부; 및
    상기 핸드오버 결정 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수신하면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패킷 포워딩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상기 릴레이 노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되는 마지막 단말 데이터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포워딩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게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한 후, 상기 단말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포워딩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엔드마커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포워딩 제어부는,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마커 패킷 또는 상기 제2 엔드마커 패킷은 헤더로만 구성되는 GTP-U(GPRS 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KR1020100040517A 2010-04-30 2010-04-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9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17A KR101690642B1 (ko) 2010-04-30 2010-04-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17A KR101690642B1 (ko) 2010-04-30 2010-04-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85A true KR20110121085A (ko) 2011-11-07
KR101690642B1 KR101690642B1 (ko) 2016-12-29

Family

ID=4539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517A KR101690642B1 (ko) 2010-04-30 2010-04-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8284A (zh) * 2011-12-12 2012-05-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内小区切换的数据倒换方法及装置
WO2013069985A1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3 Meeting #66bis, R3-100257* *
3GPP TSG RAN WG3 Meeting #67, R3-10097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85A1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CN102438284A (zh) * 2011-12-12 2012-05-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基站内小区切换的数据倒换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642B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334B2 (en) Data forwarding method,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1118260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ue移动的方法及装置
KR101507899B1 (ko) 기술간 핸드오프 중 액세스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05873133B (zh) 双连接架构下支持业务本地分流的方法及设备
EP222211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gateway having plural U-AGWs
US10750418B2 (en) SDN based connectionless architecture with dual connectivity and carrier aggregation
WO20121341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elay node
KR1017300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US9807667B2 (en) Method for relocating gateway,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host base station
EP2783531B1 (en) Method for handing over a mobile relay node
KR1018990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 방법
US2011004429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KR20100118532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70318508A1 (en) Reducing Latency and Saving Resources On &#39;Un&#39; Interface in Case of Handover From Pico Base Station
US9961045B2 (en) Service path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1000192A1 (zh) 一种无线中继系统中的切换方法及系统
WO2016049806A1 (zh) 一种分流的方法及装置
CN102905323A (zh) 一种中继节点用户面无损切换处理方法及系统
US8837364B2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8650691B (zh) 小区切换方法及设备
US8977267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WO2014044117A1 (zh) 一种网关重定位的方法及移动性管理实体
KR1016906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순차적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932855A (zh) 一种中继节点的切换方法及系统
KR20160120052A (ko) 세그먼트 라우팅을 이용한 아이피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