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166A -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166A
KR20110120166A KR1020100039720A KR20100039720A KR20110120166A KR 20110120166 A KR20110120166 A KR 20110120166A KR 1020100039720 A KR1020100039720 A KR 1020100039720A KR 20100039720 A KR20100039720 A KR 20100039720A KR 20110120166 A KR20110120166 A KR 2011012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needle
helix
needle assembly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지티 filed Critical (주)아이엠지티
Priority to KR102010003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0166A/ko
Publication of KR2011012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 장치의 니들 어셈블리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연결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니들;을 포함하며; 몸체부와 선단부의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에 병변부위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부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각각 헬릭스 형태(helix type)의 홈 또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제1홈부, 및/또는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헬릭스 형태의 홈 또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제2홈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Needle assembly and radiofrequency ab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 열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생성된 암조직(즉, 암세포) 등의 병변부위를 용이하게 소작하여 괴사시키도록 하는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 갑상선 등의 신체 기관에 암조직이 발생되면 외과적인 수술 방법으로 치료한다.
외과적인 수술은 신체를 절개한 후 암조직이 생성된 병변부위를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잘라내어 수술하는 것으로, 수술한 부위가 넓어 큰 흉터를 남길 뿐만 아니라 수술한 부위가 아물 때까지 병원 등의 요양기관에서 장시간 동안 요양해야 한다. 또한, 암조직 등이 재발할 경우 재발된 병변부위를 재수술해야 함에 따라 환자는 재수술에 의해 많은 고통을 받음은 물론 경제적 부담과 재수술에 따른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비수술적인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비수술적인 방법의 예로는 경동맥 화학 색전술, 경피적 에탄올 주입법, 전신적 항암 화학 요법, 국소적 열치료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수술적인 방법들 중에는 국소적 열치료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국소적 열치료법의 예로는 고주파 열치료법, 마이크로웨이브 소작술, 레이져 소작술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고주파에 의한 열치료법이 가장 효과가 높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주파 열치료법은 신체 기관에 발병된 암조직 등의 병변부위에 고주파를 방사하여 고주파 열에 의해 병변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치료법이다.
이러한 고주파 열치료를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본체에 고주파를 방사하는 니들이 조립되고 본체 및/또는 니들의 외주면에 절연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시술 작업시, 니들은 절개된 신체의 피부를 통해 병변부위에 삽입된다. 외부로부터 니들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병변부위에 삽입된 니들은 가열되면서 고주파가 방사되고, 니들로부터 방사되는 고주파와 열에 의해 암조직 등의 병변부위는 소작되어 괴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주파 열치료 장치는 단순히 고주파를 병변부위에 방사하여 병변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것이므로, 니들에서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병변부위가 소작될 때 니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병변부위의 소작 효율과 고주파 방사율은 니들의 외주면의 면적에 따라 좌우된다. 하지만,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니들(5)은 일반적으로 몸체부(7)와 선단부(9)의 외주면이 평평한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니들(5)은 400 내지 500Hz의 고주파를 인가하여 동물의 간에 실험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5 x 2.5cm 크기의 소작 범위를 나타낸다. 특히, 고주파에 의해 병변부위가 소작될 때 발생하는 이물질 등이 니들의 몸체부 및/또는 선단부의 외주면에 부착될 경우에는 니들의 소작 효율과 고주파 방사율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병변부위를 빠르게 소작하기 위해서는 병변부위에 니들을 여러 번 삽입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니들을 동시에 삽입하여 병변부위를 소작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시술 작업이 어렵게 됨은 물론 시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술 작업시 환자가 받는 신체 스트레스도 크게 된다.
또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는 일반적으로 시술 작업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병변부위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병변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킨다. 하지만,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니들(5)은 병변부위에 삽입될 때 선단부(9)만 초음파 영상에 거의 조금 나타나고 몸체부(7)는 초음파 영상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시술자는 병변부위에 니들을 삽입할 때 니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전극 니들을 너무 많이 삽입하거나 너무 적게 삽입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술 작업시 니들에 의해 병변부위가 아닌 건강한 신체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술 결과는 시술자의 경험이나 노하우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시술 작업시 병변부위를 효율적으로 소작하여 괴사시킬 수 있음은 물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 보일 수 있는 니들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시술 작업시 니들에서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신체에 생성된 암조직 등의 병변부위를 효율적으로 소작하여 괴사시킬 수 있게 한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 작업시 니들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 보일 수 있게 하여 병변부위가 아닌 건강한 신체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문제를 발생함이 없이 병변부위만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 장치의 니들 어셈블리는, 몸체부, 및 몸체부와 연결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니들;을 포함하며; 몸체부와 선단부의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에 병변부위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홈부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헬릭스 형태(helix type)의 홈 또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제1홈부일 수 있다. 이때, 제1홈부는, 각각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1 헬릭스형(helix type) 홈 또는 제1다이아몬드형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는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헬릭스 형태의 홈 또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제2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홈부는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01 내지 0.5인 제2 헬릭스형 홈,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3헬릭스형 홈, 또는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2다이아몬드형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 장치의 니들 어셈블리는 홈부가 선단부의 외주면에만 형성된 헬릭스 형태의 홈 또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부는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01 내지 0.5인 제4헬릭스형 홈,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5헬릭스형 홈, 또는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3다이아몬드형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니들 어셈블리는 병변부위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조직검사에 필요한 조직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니들의 몸체부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함과 함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안내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부는 니들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헬릭스 형태의 홈을 포함하고, 안내튜브의 선단부는 끝단이 뾰족하고, 니들이 회전할 때 헬릭스 형태의 홈 사이에 위치한 니들의 선단부의 돌출면과 협력하여 병변부위의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반원통 형태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헬릭스 형태의 홈은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01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고주파 열치료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부,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발진부, 고주파를 일정 대역대로 증폭시키는 증폭부, 고주파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출력부에 연결되고, 고주파를 방사시키는 위에서 설명한 니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는 니들의 선단부 및/또는 몸체부의 외주면에 헬릭스 형태의 홈 또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이 형성되므로, 니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병변부위의 소작 면적과 고주파 방사율이 커진다. 따라서, 종래의 고주파 열치료 장치에 비하여 병변부위를 소작하기 위해 병변부위에 니들을 삽입하는 횟수가 감소될 수 있고, 또, 여러 개의 니들을 동시에 삽입하여 병변부위를 소작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시술 작업이 쉬워지고 시술 시간도 단축될 뿐 아니라, 시술시 환자가 받는 신체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니들의 선단부 및/또는 몸체부가 외주면에 헬릭스 형태의 홈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을 구비하므로, 시술 작업시 니들 전체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 보이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병변부위에 니들을 삽입할 때 니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술시 니들에 의해 병변부위가 아닌 이상이 없는 건강한 신체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시술자의 경험이나 노하우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시술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는, 니들의 선단부가 외주면에 헬릭스 형태의 홈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안내튜브의 선단부가 반원통 형태로 절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병변부위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조직검사에 필요한 조직샘플을 채취할 경우, 니들을 회전시키면, 헬릭스 형태의 홈 사이에 위치한 니들의 선단부의 돌출면과 반원통 형태로 절개된 안내튜브의 선단부는 서로 협력하여 병변부위의 필요한 부분을 쉽게 절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직샘플이 쉽게 채취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니들과 이를 사용하여 동물의 간을 소작시킨 실험에서 얻어진 소작 범위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고주파 열치료 장치의 블록도,
도 3는 도 2의 고주파 열치료 장치에 적용되는 니들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측면도,
도 4a는, 도 4b 및 도 4c는 도 3에 도시한 니들 어셈블리의 니들과 이를 사용하여 동물의 간을 소작시킨 실험에서 얻어진 소작 범위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5a는, 도 5b 및 도 5c는 도 3에 도시한 니들 어셈블리의 니들의 변형예와 이를 사용하여 동물의 간을 소작시킨 실험에서 얻어진 소작 범위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니들 어셈블리의 니들과 안내튜브의 선단부를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니들 어셈블리의 니들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 및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니들 어셈블리의 니들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20)가 적용된 고주파 열치료 장치(100)가 블록도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 열치료 장치(100)는 신체에 생성된 암조직 등의 병변부위를 고주파로 가열함에 따라 병변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장치로서, 전원부(11), 발진부(12), 증폭부(13), 출력부(14), 중앙처리부(15), 및 니들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전원부(11)는 외부 전원소스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예를들면, 220V 또는 110V의 전원이 인가된다.
발진부(12)는 전원부(11)와 연결되고, 전원부(1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예를들면, 400~500Hz의 고주파를 발생시킨다.
증폭부(13)는 발진부(12)와 연결되고, 발진부(12)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를 일정한 대역대로 증폭시킨다.
출력부(14)는 증폭부(13)와 연결되고, 증폭부(13)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되는 고주파를 니들 어셈블리(20)로 출력한다.
중앙처리부(15)는 전원부(11), 발진부(12), 증폭부(13), 출력부(14)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부(14)로부터 출력되어 니들 어셈블리(20)로 보내지는 고주파에 의해 암조직 등과 같은 병변부위를 소작시켜 괴사시키는 시술 작업을 수행할 때 후술하는 니들 어셈블리(20)의 니들(25)과 피시술자 간의 임피던스를 체크하고, 체크된 임피던스의 값에 따라 고주파의 출력을 조절한다. 즉, 중앙처리부(15)는, 임피던스의 값이 높아지면 출력이 낮아지고 임피던스의 값이 낮아지면 출력이 높아지는 반비례 관계를 설정하여 고주파의 출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또한, 중앙처리부(15)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니들 어셈블리(20)의 니들(25)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때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35; 도 6 참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원부(1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니들(25)에서부터 고주파가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
니들 어셈블리(20)는 시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출력부(1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를 병변부위로 방사시킨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 어셈블리(20)는 본체(21)를 구비한다.
본체(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쉽도록 형성되고, 외부로 전기가 전달되거나 통하지 않도록 절연체로 감싸여져 있다. 본체(21)는 출력부(1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를 수신하고 니들(25)의 온도센서(35)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연결케이블(17)과 결합되는 연결부(22)가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21)은 전방에서, 병변부위에 삽입됨과 함께 병변부위를 고주파로 가열하여 소작시켜 괴사시키도록 출력부(1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를 방사하는 중공 관 또는 튜브형태의 니들(25)과 결합되어 있다.
니들(25)은 본체(21)에 연결된 몸체부(26), 및 몸체부(26)와 연결된 선단부(30)를 구비한다. 몸체부(26)는 외주면에 제1홈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1홈부(27)는 본 발명에 따라 니들(25)이 병변부위를 고주파로 가열하여 소작시켜 괴사시킬 때 병변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니들(25)에 의해 이루어지는 병변부위의 소작 효율과 고주파 방사율을 높임과 함께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6)의 제1홈부(27)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 형태의 라운드된 바닥면을 갖는 제1헬릭스형(helix type) 홈(2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헬릭스형 홈(28)을 U자 형태의 라운드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한 이유는 라운드된 바닥면이 V자형 등의 쇄기형태 보다 병변부위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은 몸체부(26)가 병변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제1헬릭스형 홈(28)에서,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은 도 4a에서 거리(d)가 예시를 위해 좀 크게 과장되어 도시되었지만 1:0.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1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6')의 제1홈부(27')는 제1헬릭스형 홈(28)으로 형성되는 대신, U자 형태의 라운드된 바닥면을 갖는 연속된 다이아몬드 패턴의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을 U자 형태의 라운드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한 이유는 제1헬릭스형 홈(28)과 마찬가지로, 라운드된 바닥면이 V자형 등의 쇄기형태 보다 병변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은 제1헬릭스형 홈(28)과 마찬가지로, 몸체부(26')가 병변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에서,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은 도 5a에서 예시를 위해 거리(d')가 좀 크게 과장되어 도시되었지만 제1 헬릭스형 홈(28)과 마찬가지로, 1:0.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1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제1홈부(27, 또는 27')는 제1헬릭스형 홈(28) 또는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병변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고 몸체부(26)가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다른 형태, 예를들면, 제1 헬릭스형 홈(28) 또는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을 불규칙하게 배치한 불규칙한 홈 형태 등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니들(25)의 선단부(30)는 끝단이 신체의 피부를 뚫거나 병변부위에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면(31)에 의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30)의 외주면에는 제2홈부(33)가 형성된다. 제2홈부(33)는 제1홈부(27)와 마찬가지로, 니들(25)이 병변부위를 고주파로 가열하여 소작시켜 괴사시킬 때 병변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제2홈부(3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병변부위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병변부위의 조직샘플을 채취할 경우 후술하는 안내 튜브(40)의 선단부(43)와 협력하여 병변부위의 부분을 절단하여 채취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홈부(33)는 제2헬릭스형 홈(3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의 폭(w")은 후술하는 안내 튜브(40)의 선단부(43)와 협력하여 병변부위의 부분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홈 사이의 거리(d")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은 1: 0.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1: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들(25)의 선단부(30) 내부에는 니들(25)에서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화되는 니들(25)의 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와 같은 온도센서(35)가 내장되어 있다. 온도센서(35)는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 예를들면, 80 내지 90℃ 보다 높을 때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온도센서(35)에서 발생하는 감지신호는 출력케이블(17)을 통해 출력부(14)를 경유하여 중앙처리부(15)로 전달된다. 중앙처리부(15)는 온도센서(35)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부(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니들(25)에서 더 이상 고주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니들(25)의 설정 온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 의해 병변부위 주변에 있는 이상 없는 건강한 장기들이 소작되어 괴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몸체부(26)와 선단부(30) 사이에는 엣지(37)가 형성되어 있다. 엣지(37)는, 선단이 선단부(30)의 경사면(31)의 후단 쪽에 위치하고 후단이 경사면(31)의 선단 쪽에 위치하도록 선단부(30)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비스듬한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병변부위를 소작시켜 괴사시키기 위해 니들(25)을 병변부위 쪽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병변부위는 엣지(37)에 의해 절단되거나 절단과 함께 소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니들 어셈블리(20)를 사용하여 400 내지 500Hz의 고주파를 인가하여 동물의 간을 소작한 실험결과에 따르면,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이 1:1.5인 제1헬릭스형 홈(28)을 형성한 몸체부(26)와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이 1: 0.25인 제2헬릭스형 홈(34)을 형성한 선단부(30)를 구비한 도 4a의 니들(25)의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b에 도시한 종래의 니들(5)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6.0 x 4.0cm 크기의 소작 범위를 얻었다. 또, 이러한 제1헬릭스형 홈(28)을 형성한 몸체부(26)와 제2헬릭스형 홈(34)을 형성한 선단부(30)를 구비한 니들(25)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와 선단부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도 1c에 도시한 종래의 니들(5)과 비교하여 시술 작업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제1헬릭스형 홈(28)이 형성된 몸체부(26)와 제2헬릭스형 홈(34)이 형성된 선단부(30)를 구비한 니들(25) 전체가 선명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이 1:1인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을 형성한 몸체부(26')와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율이 1: 0.01 내지 0.5인 제2헬릭스형 홈(34)을 형성한 선단부(30)를 구비한 니들(25')의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b에 도시한 종래의 니들(5)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5.0 x 4.3cm 크기의 소작 범위를 얻었다. 또, 이러한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을 형성한 몸체부(26')와 제2헬릭스형 홈(34)을 형성한 선단부(30)를 구비한 니들(25')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와 선단부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도 1c에 도시한 종래의 니들(5)과 비교하여 시술 작업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제1다이아몬드형 홈(29)이 형성된 몸체부(26')와 제2헬릭스형 홈(34)을 형성한 선단부(30)를 구비한 니들(25') 전체가 선명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위에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병변부위에 대한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조직검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병변부위의 조직샘플을 채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니들 어셈블리(20)는 니들(25)과 결합되거나 니들(25)과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안내튜브(40)를 더 포함한다. 안내튜브(40)는 니들(25)을 수용하여 니들(2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함과 함께 니들(25)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니들(25)의 본체부(26)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튜브(40)는, 니들(25)의 선단부(30)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반원통 형태로 절개된 선단부(43)를 구비한다. 안내튜브(40)의 선단부(43)는 끝단(43a)이 니들(25)의 선단부(30)의 경사면(31)과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직샘플을 채취할 경우, 신체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병변부위에 먼저 삽입된 안내튜브(40)에 니들(25)을 삽입한 후 니들(25)을 회전시킬 때, 안내튜브(40)의 선단부(43)는 제2헬릭스형 홈(34) 사이의 니들(25)의 선단부(30)의 돌출면(45)과 협력하여 병변부위의 조직샘플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변부위의 상태가 간암과 같은 근종(단단한 덩어리 상태)인 경우에는 병변부위로 에탄올, 아세틱에시드 등과 같은 수액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고, 병변부위의 상태가 갑상선과 같은 낭종(물이 차 있는 상태)이거나 낭종이면서 수분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병변부위를 쉽게 소작하여 괴사시키기 위해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안내튜브(40)는 니들(25)과 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신체에서 절개된 부위를 통해 병변부위에 삽입되어 안내튜브(40)의 후단에 결합되는 펌프(도시하지 않음)의 펌핑력에 의해 병변부위로 수액을 공급하거나 병변부위의 수분을 안내튜브(40) 내부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액공급과 수분제거 작업은 안내튜브(40) 및/또는 니들 어셈블리(20)의 설계에 따라 안내튜브(40)가 니들(25)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니들 어셈블리(20)는 니들(25)의 선단부(30)의 외주면에 제2헬릭스형 홈(34)으로 구성되는 제2홈부(33)를 형성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니들 어셈블리(20)가 병변부위에 대한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조직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지 않도록 안내튜브(40)를 니들 어셈블리(20)에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니들(25)의 선단부(30)의 외주면에 제2홈부(33)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안내튜브(40)를 니들 어셈블리(20)에 적용하지 않을 경우라도 니들(25)의 선단부(30)가 시술 작업시 도 1c에 도시한 종래의 니들(5)과 비교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충분하게 잘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홈부(3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튜브(40)를 니들 어셈블리(20)에 적용하지 않을 경우,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25", 또는 25"')의 선단부(30', 또는 30")에 형성되는 제2홈부(33', 또는 33")는, 1: 0.01 내지 0.5의 범위의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를 가지는 제2헬릭스형 홈(34)으로 형성되는 대신, 제1홈부(27, 또는 27')의 제1헬릭스형 홈(28) 또는 제1다이아몬드형 홈(29)과 동일한 1: 0.5 내지 1.5의 범위의 홈의 폭(w, w')과 홈 사이의 거리(d, d')의 비를 가지는 제3헬릭스형 홈(34'; 도 7a) 또는 제2다이아몬드형 홈(34"; 도 7b)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니들 어셈블리(20)의 니들(25, 25', 25", 25"')은 몸체부(26, 26')의 외주면에는 제1홈부(27, 27')를 형성하고 선단부(30, 30', 30")의 외주면에는 제2홈부(33, 33', 33")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도 8a, 도 8b 또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 작업시 중요부위인 선단부(30"', 30"", 또는 30""')가 모니터의 초음파 영상에 잘 나타나도록 함께 그 소작 효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니들(25"", 25""', 또는 25""")은 몸체부(26)의 외주면에는 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선단부(30"', 30"", 또는 30""')의 외주면에만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홈부는 제2홈부(33, 33', 또는 33")의 제2헬릭스형 홈(34), 제3헬릭스형 홈(34') 또는 제2다이아몬드형 홈(34")과 동일한 1: 0.01 내지 0.5의 범위의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를 가지는 제4헬릭스형 홈(34"'), 1: 0.5 내지 1.5의 범위의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를 가지는 제5헬릭스형 홈(34"") 또는 1: 0.5 내지 1.5의 범위의 홈의 폭(w')과 홈 사이의 거리(d')의 비를 가지는 제3다이아몬드형 홈(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 장치(100)의 작용을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를 수술하는 시술자는 니들(25)이 결합된 본체(21)의 연결부(22)에 연결케이블(17)을 결합한다. 본체(21)에 니들(25)과 연결케이블(17)의 결합이 완료되면, 시술자는 환자의 수술부위인 신체를 일정 길이만큼 절개한다.
이어서, 시술자는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을 보면서 안내튜브(40)를 절개된 신체 부위를 통해 암세포 등과 같은 병변부위에 삽입한다. 이때, 병변부위의 상태가 간암과 같은 근종인 경우에는 안내튜브(40)의 후단에 결합된 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병변부위로 수액을 병변부위로 수액을 공급하고, 병변부위의 상태가 갑상선과 같은 낭종인 경우에는 병변부위에 함유된 물과 같은 일정량의 수분을 흡인하여 제거한다.
그 후, 병변부위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조직검사에 필요한 조직샘플을 채취해야 한다면, 시술자는 본체(21)를 잡고 니들(25)을 안내튜브(40)를 통해 병변부위에 삽입한다. 이어서, 시술자가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 본체(21)를 회전시키면, 제2 헬릭스형 홈(34) 사이의 니들(25)의 선단부(30)의 돌출면(45)은 안내튜브(40)의 반원통 형태의 선단부(43)와 협력하여 제2 헬릭스형 홈(34) 내에 위치한 병변부위의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가 본체(21)를 잡고 니들(25)을 안내튜브(40)로부터 꺼내면, 절단된 병변부위의 부분은 니들(25)의 선단부(30)의 제2 헬릭스형 홈(34)과 안내튜브(40)의 내면 사이에 끼어서 외부로 취출된다. 취출된 병변부위의 부분은 병변부위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를 위해 조직검사실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병변부위의 상태에 따라 병변부위로 수액을 공급하거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하고 조직검사를 위한 조직샘플의 채취가 완료된 후, 시술자는 안내튜브(40)를 니들(25)과 함께 환자의 절개된 신체 부위를 통해 외부로 제거하고, 니들(25)만 다시 절개된 신체 부위를 통해 병변부위로 삽입한다. 이때, 안내튜브(40)는, 니들(25)의 몸체부(26)의 길이가 안내튜브(40)의 필요 길이 보다 충분히 길게 설계되는 경우에는, 외부로 제거 되지 않고 니들(25)의 몸체부(26)의 본체(21) 쪽 부분이 절개된 신체 부위 또는 다른 장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튜브로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시술자는 고주파 열치료 장치(100)를 온시켜 니들(25)을 통해 병변부위에 고주파를 방사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부(11)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진부(12)에서 고주파가 발생되고, 발생된 고주파는 증폭기(13)를 거치면서 증폭된 후 출력부(14)를 통해 니들 어셈블리(20)로 보내진다. 니들 어셈블리(20)로 보내진 고주파는 연결케이블(17) 내를 흐르면서 본체(21)를 통해 니들(25)로 전달되어 니들(25)의 선단부(30)를 통해 병변부위로 방사된다. 병변부위는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소작되면서 괴사된다.
이때, 니들(25)의 선단부(30)의 온도가 설정 온도, 예를들면, 80 내지 90℃ 이상으로 상승하면, 니들(25)의 선단부(3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35)는 감지신호를 중앙처리부(15)로 출력하고, 중앙처리부(15)는 온도센서(35)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부(1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니들(25)에서부터 고주파가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니들(25)의 몸체부(26)와 선단부(30)의 외주면에는 제1홈부(27)와 제2홈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체부(16) 및 선단부(30)와 병변부위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니들(25)에서 방사되는 고주파가 넓은 범위의 병변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게 되어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 또, 제1홈부(27)와 제2홈부(33)는 병변부위에 삽입되는 니들(25)의 몸체부(26)와 선단부(30)의 위치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초음파 영상에 정확하게 나타나게 하므로, 시술 작업시 병변부위가 아닌 이상이 없는 건강한 신체부위를 소작하여 괴사시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20: 나들 어셈블리 21: 본체
25,25',25",25"',25"",25""',25""": 니들
26, 26': 몸체부 27, 27': 제1홈부
28,34,34',34"',34"": 헬릭스형 홈 29, 34", 34""': 다이아몬드형 홈 30,30',30",30"',30"",30""',43: 선단부
33,33',33",33"',33"",33""': 제2홈부 40: 안내튜브
100: 고주파 열치료 장치

Claims (11)

  1.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하나는 외주면에 병변부위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헬릭스 형태(helix type)의 홈과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제1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부는 각각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1헬릭스형 홈과 상기 제1다이아몬드형 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헬릭스 형태의 홈과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제2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는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01 내지 0.5인 제2헬릭스형 홈과,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3헬릭스형 홈과,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2다이아몬드형 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헬릭스 형태의 홈과 연속된 다이아몬드 형태의 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01 내지 0.5인 제4헬릭스형 홈과,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5헬릭스형 홈과,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5 내지 1.5인 제3다이아몬드형 홈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감싸도록 함과 함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안내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니들의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헬릭스 형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튜브의 선단부는 끝단이 뾰족하고, 상기 니들이 회전할 때 상기 헬릭스 형태의 홈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니들의 상기 선단부의 돌출면과 협력하여 병변부위의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반원통 형태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헬릭스 형태의 홈은 홈의 폭과 홈 사이의 거리의 비율이 1: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 어셈블리.
  11.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부;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발진부;
    고주파를 일정 대역대로 증폭시키는 증폭부;
    고주파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고, 고주파를 방사시키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니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열치료 장치.
KR1020100039720A 2010-04-28 2010-04-28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KR20110120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20A KR20110120166A (ko) 2010-04-28 2010-04-28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20A KR20110120166A (ko) 2010-04-28 2010-04-28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166A true KR20110120166A (ko) 2011-11-03

Family

ID=4539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20A KR20110120166A (ko) 2010-04-28 2010-04-28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01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256A (ko) * 2014-06-09 2015-12-18 주식회사 스타메드 고주파 열 치료용 바이폴라 전극
WO2018164423A1 (ko) * 2017-03-06 2018-09-13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256A (ko) * 2014-06-09 2015-12-18 주식회사 스타메드 고주파 열 치료용 바이폴라 전극
WO2018164423A1 (ko) * 2017-03-06 2018-09-13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241278B2 (en) 2017-03-06 2022-02-08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334B2 (ja) 一体化された撮像装置を有する焼灼装置を用いる電気手術処置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359545B1 (ko) Rf 에너지와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전기수술 프로브
JP6653318B2 (ja) 球形切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879031B2 (en) Cooled RF ablation needle
Gaidhane et al. Endoscopic ultrasound-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EUS-RFA) of the pancreas in a porcine model
US10213247B2 (en) Thermal resecting loop
US5843020A (en) Ablation device and methods
EP3052038B1 (en) Electrosurgical fibroid ablation system
RU2499574C2 (ru) Биполярный радиочастотный абляционный инструмент
KR101168711B1 (ko) 생체검사 후 조직 적출부위나 신체 내 장기의 출혈부위의 지혈을 위한 전극침
KR20120126707A (ko) 플렉시블관이 구비되는 고주파 열치료용 전극장치
US20170014185A1 (en) Triaxial antenna for microwave tissue ablation
US10531916B2 (en) Microwave-irradiating instrument
KR100603513B1 (ko) 고주파 열치료의 전극장치
JP6663461B2 (ja) 内視鏡下癌治療システム
KR20110120166A (ko) 니들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고주파 열치료 장치
JP4871559B2 (ja) 冷却rfアブレーションニードル
CA2521267C (en) Cooled rf ablation needle
EP1767165B1 (en) Cooled ablation needle
AU2015213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ing an ablation device with an integrated imaging device
AU20132512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ing an ablation device with an integrated im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