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333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333A
KR20110117333A KR1020100036722A KR20100036722A KR20110117333A KR 20110117333 A KR20110117333 A KR 20110117333A KR 1020100036722 A KR1020100036722 A KR 1020100036722A KR 20100036722 A KR20100036722 A KR 20100036722A KR 20110117333 A KR20110117333 A KR 20110117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ree
compartment
refrigerator
storage spa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3324B1 (en
Inventor
황정연
강진원
유명동
서운규
정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6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24B1/en
Priority to PCT/KR2011/002905 priority patent/WO2011132974A2/en
Priority to EP11772262.9A priority patent/EP2572149B1/en
Priority to CN201180030079.7A priority patent/CN102947659B/en
Priority to US13/642,149 priority patent/US9074810B2/en
Publication of KR2011011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3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에 팬트리부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전진 후 회동이 가능한 팬트리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물품의 수납 및 반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pantry part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has a merit in that an article can be easily stored and taken out by applying a pantry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fter sliding forwar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상세히,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고, 증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가 음식물 저장을 위한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refrigerator utilizes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llows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to be supplied to the space for food storage.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에 따라 탑마운트 타입,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및 바텀 프리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탑마운트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입이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며, 바텀 프리저 타입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타입이다. The refrigerator may be divided into a top mount type, a side by side type, and a bottom freezer type according to position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top mount type is a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side by side type is a type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freezer type is a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최근에는, 냉장실은 한 쌍의 회동식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고, 냉동실은 드로어 타입의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냉장실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와,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실에 보관된 음료수 등을 인출할 수 있는 홈바가 구비된 제품이 나와 있다. 그리고, 제품 모델에 따라서 냉동실 내부에 별도의 절환실이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Recently, a number of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s in which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rotating doors and the freezing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by a drawer-type door have been released.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has a dispenser for taking out water or ice, and a product provided with a home bar for withdrawing beverages stor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roduct model, a separate switching room may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본 발명은 냉장실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품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o that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article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에 수용되는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팬트리부와,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제 2 팬트리부 및 상기 제 2 팬트리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팬트리 도어를 포함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s provided with food storage space; And a pantry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space, wherein the pantree assembly comprises: a first pantree part slidingly moving in the food storage space, a pantry assembly slidingly moving in the food storage space, and at least part of the foodstuff; And a pantry door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ntree portion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ntre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팔이나 신체 일부를 냉장실 내부로 집어넣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팔을 냉장실 내부로 집어넣거나 몸을 앞으로 숙이지 않고, 냉장고의 외부에서 상기 제 2 팬트리부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거나 제 2 팬트리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in order to store or withdraw the article, and does not have to put the arm or body part in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take out an article stored in the second pantree unit or store an article in the second pantree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without putting his arm in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bowing forward.

또한, 제 1 팬트리부(23)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위해서 냉장실 깊숙히 손을 뻗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트리부에 수납된 물품은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실 깊숙한 곳에 저장되어, 냉장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반면,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 1 팬트리부가 냉장실 전면까지 전진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 1 팬트리부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을 꺼내기가 훨씬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extend the hand deep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order to take out the article stored in the first pantry 2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use is improved. In detail, the article stored in the first pantree part is stored deep insid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s closed, so that the refrigerator state is maintained satisfactorily. On the other hand, when pull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ree door, the first pantree part is advanced to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store or remove the article in the first pantree unit.

또한, 기존의 냉장고의 경우, 물품의 수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냉장실의 후측부터 채워나와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의 제 2 팬트리부의 경우, 냉장고 외부에서 9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바스켓의 후방뿐 아니라 전방부터 수납하여도 무방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article to be filled from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second pantree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90 degrees outside the refrigerato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tored from the front as well as the rear of the bask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2 팬트리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제 2 팬트리부가 회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n tree part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 tre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n tree unit is rot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111) 및 냉동실(미도시)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냉장실(111)을 선택적으로 개페하는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장실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와, 상기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3)와, 상기 냉동실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3)는 직립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한다. 1 to 3,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111 and a freezing chamber (not shown),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for opening and clos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provided to be withdrawn and withdrawn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freezing compartment door 13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er compartment, and withdrawable from and retractable from the freezer compartment It may comprise a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provide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an upright state to open or close all or part of the freezer compartment.

또한, 상기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는, 드로어 타입의 냉동실 도어(13)와, 상기 냉동실 도어(13)의 배면에 놓여서 상기 냉동실 도어(13)와 함께 이동하는 수납 박스(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로어 타입의 냉동실 도어(13)는, 직립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냉동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includes a drawer-typ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and a storage box (not shown)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The drawer-typ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may move back and forth in an upright state to open or close part or all of the freezer compartment.

또한, 상기 냉동실 내부에는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가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냉동실 도어(13)와 같이 직립 상태로 이동하는 냉동실 팬트리 도어(14)와, 상기 팬트리 도어(14)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팬트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팬트리부에는 병류의 용기를 세워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동실 팬트리 도어(14)의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바가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병류의 용기 또는 통 형태의 용기를 수납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 바에 의하여 팬트리 도어가 이동할 때 흔들려서 낙하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냉동실의 측방에 별도로 구획 형성되는 팬트리 룸에 수용되거나, 상기 냉동실 내부에서 냉동실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may be accommod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In detail,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pantree door 14 moving upright like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3 and a pantree part extending from a rear surface of the pantry door 14. The pan tree part is a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standing up the container of the bottle. Specifically, the guide bar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both side edg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y door 14 may be extended. Therefore, when the bottle of the parallel flow or the container of the barrel type is accommodated, the phenomenon that the guide bar shakes and falls when the pantree door is moved is prevented.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may be accommodated in a pantry room that is separately partitioned on the 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occupying a part of the freezer compartment in the freezer compartment.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는, 상기 냉장실(111)을 정의하는 본체(11)의 가장자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121)이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is rotatably coupled to an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1 defi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In addition, a plurality of door baskets 121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또한, 상기 냉장실(111)에는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는, 상기 냉장실(111)의 일부를 개폐하는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와,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와 한 몸으로 이동하는 제 2 팬트리부(22)와,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팬트리부(2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11. In detail,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that opens and closes a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and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21 and the second pantry 22 moving in one body, and the first pantry 23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ntry 22 in a rotatable manner.

상세히,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측면에는 손잡이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홈(211) 내부에는 레버(212)가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가 상기 본체(11)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의 배면 테두리부에는 자석이 내장된 가스켓이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전면 테두리부는 금속 도체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가 자력에 의하여 본체에 밀착된다. 상기 자석의 자력과 도어의 하중에 의하여 어린이 또는 노약자와 같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데 힘들 수 있다. 상기 레버(212)는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를 개방하기 직전에 상기 가스켓 내부의 자석이 상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즉,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212)를 가압하면,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배면 가장자리로부터 돌기 부재(미도시)가 돌출되면서,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가 상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a handle groove 211 may be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n addition, a lever 212 may be mounted in the handle groove 211 to al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 In general, a gasket containing a magnet is surrounded by a rear edge of the refrigerator door. In addition,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1 is made of a metal conductor, the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by magnetic force.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the load of the door,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such as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to open the door. The lever 212 is applied to allow the magnet inside the gaske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 immediately before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That is, when the lever 21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y door 21, a projection member (not shown) protrudes from the rear edg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y door 21. The door 21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

한편, 상기 제 2 팬트리부(22)는,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배면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로어 플레이트(lower plate)(221)와,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배면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어퍼 프레임(upper frame)(222)과, 상기 로어 플레이트(221)의 모서리와 상기 어퍼 프레임(22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지 프레임(223) 및 상기 로어 플레이트(221)와 어퍼 프레임(222) 사이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다수의 바스켓(224)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ntree portion 22, a lower plate (221)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An upper frame 22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ne or more edge frames 223 connecting the corners of the lower plate 221 and the corners of the upper frame 222 and the lower plate And a plurality of baskets 224 coupled at intervals between the 221 and the upper frame 222.

상기 로어 플레이트(221)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저면에 슬라이딩 가이드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상기 바스켓(224)이 안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225)는,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냉장실 내부로 인입되거나, 냉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실(111)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225)가 상기 냉장실(111)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20)가 인출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225)에 의하여 상기 제 2 팬트리부(22)의 저면은 냉장실(111) 바닥면과 선접촉되어, 마찰력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225) 대신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는 것도 제안 가능할 것이다. The lower plate 221 is a plat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sliding guide portion 22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basket 224 may be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21. In detail, the sliding guide part 225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while the second pantry part 22 is drawn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20 is drawn out while the sliding guide 225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11.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tree part 22 is linear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by the sliding guide part 225,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Here, instead of the sliding guide 225 it may be proposed that a plurality of rollers are mounted.

또한, 상기 에지 프레임(223)은, 상기 어퍼 프레임(222)과 로어 플레이트(221)의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그리고, 상기 에지 프레임(223)에는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224)의 모서리에 돌출되는 걸이부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에지 프레임(223)이 상기 로어 플레이트(221)와 어퍼 프레임(222)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3개 또는 4개의 에지 프레임(223)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edge frame 223 is a frame extending vertically to connect the corners of the upper frame 222 and the lower plate 221.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edge frame 223 so that the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basket 224 may be fitted thereto.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wo edge frames 223 are provided at edges of the lower plate 221 and the upper frame 2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ree or four edge frames 223 are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제 1 팬트리부(23)는,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배면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로어 플레이트(lower plate)(231)와,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의 배면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232)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모서리와 상기 어퍼 플레이트(232)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지 프레임(233) 및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와 어퍼 플레이트(322)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바스켓(234)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antree unit 23, the lower plate (231)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An upper plate 23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ne or more edge frames 233 connecting the corners of the lower plate 231 and the corners of the upper plate 232, and the lower plate; And a number of baskets 234 provided between 231 and upper plate 322.

상기 에지 프레임(233)은 상기 제 2 팬트리부(22)의 에지 프레임(223)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edge frame 233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edge frame 223 of the second pantree unit 22 and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상기 어퍼 플레이트(232)의 상면에는 제 1 레일부(235)가 장착되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저면에는 제 2 레일부(236)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111)의 천장면에는 상기 제 1 레일부(235)와 결합하는 고정 레일(도 1 참조)이 장착되어, 상기 제 1 팬트리부(23)가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의 바닥면에도 고정 레일이 장착되어, 상기 제 2 레일부(236)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저면에는 레일 부재 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237)가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 팬트리 어셈블리(20)의 전후 방향 이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는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저면 및 상기 냉장실(111)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상면과 저면 및 냉장실(111)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상기 레일부가 장착되는 구조가 설계 가능하다. In addition, a first rail portion 235 may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32, and a second rail portion 236 may be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231. In detail, a fixing rail (see FIG. 1) coupled to the first rail part 235 is mount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and the first pantry part 23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ddition, a fixing rail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rail part 236. In addition, one or more rollers 237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231 in addition to the rail member so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pantry assembly 20 may be smoothly performed. Here, although not shown, the rail un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 tree unit 23 and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That is, a structure may be designed in which the rail part is mounted at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of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tree part 23 and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한편, 상기 제 2 팬트리부(22)는 힌지부(24)에 의하여 상기 제 1 팬트리부(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팬트리부(22)와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에는 힌지부(24)가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 1 팬트리부(23)의 어퍼 플레이트(232)의 모서리로부터 힌지부(24)가 연장되어, 상기 에지 프레임(223)과 만나는 상기 어퍼 프레임(222)의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제 1 팬트리부(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상기 제 1 팬트리부(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Meanwhile, the second pantree unit 2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pantree unit 23 by the hinge unit 24. In detail, the hinge part 24 may be extended to both ends of one of the second pantree part 22 and the first pantree part 23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In the drawing, the hinge part 24 extends from an edge of the upper plate 232 of the first pantry part 23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an edge of the upper frame 222 that meets the edge frame 223. It is shown. However,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pantree unit 2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pantree unit 23 in various ways. That is, the structure for allowing the second pantree unit 22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pantree unit 23 is all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저면과 상기 제 2 팬트리부(22)의 저면에는 댐핑 유닛(25)이 장착되어,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상기 제 1 팬트리부(23)로부터 회전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상기 제 1 팬트리부(23)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제 2 팬트리부(22)가 급속하게 회전하여 냉장고(10)의 주변에 설치된 가구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상기 제 1 팬트리부(2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급속하게 회전하여 상기 제 1 팬트리부(23)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damping unit 25 i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tree part 23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tree part 22, so that the second pantree part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pantree.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when the part 23 rotates. For example, when the second pantree part 22 rotates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antree part 23, the second pantree part 22 rapidly rotates to surround the refrigerator 10. Prevents bumping into furniture installed on the floor.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pantree portion 22 is rotat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pantree portion 23, the second pantree portion 22 rotates rapidly so that the first pantree portion 22 rotates. The phenomenon which collides with (23) can be prevented.

상세히, 상기 댐핑 유닛(25)은,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로어 플레이트(231) 저면에 고정되는 서포트 암(252)과, 상기 제 2 팬트리부(23)의 로어 플레이트(221) 저면에 고정되는 댐퍼(2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암(252)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231)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서포트 암(252)의 단부에 상기 댐퍼(251)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서포트 암(252)이 단부에 연결부(2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251)의 타단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221)의 저면에 고정된다. In detail, the damping unit 25 may include a support arm 252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231 of the first pantree part 23, and a lower plate 221 of the second pantree part 23. The damper 25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support arm 252 extends in the form of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plate 231, and one end of the damper 251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pport arm 252. That is, the support arm 252 has a connection portion 253 is formed at the end. The other end of the damper 251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221.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상기 제 1 팬트리부(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연결부(253)를 중심으로 상기 댐퍼(251)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251)가 회전하면서 상기 댐퍼(251)를 구성하는 댐핑 실린더가 인출입되어, 상기 제 2 팬트리부(22)의 급속한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251)와 상기 서포트 암(252)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댐퍼(251)가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 암(252)이 상기 제 2 팬트리부(23)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second pantree portion 22 rotates away from the first pantree portion 23, the damper 251 rotates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253. As the damper 251 rotates, a damping cylinder constituting the damper 251 is drawn in and out, thereby suppressing rapid rotation of the second pantree part 22. Here, the positions of the damper 251 and the support arm 252 may be changed. That is, the damper 251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tree unit 23, and the support arm 252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pantree unit 23.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2 팬트리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 2 팬트리부가 회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n tree part constitut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is drawn ou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n tree part is rotated.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는,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따라서, 한 쌍의 회동식 냉장실 도어가 구비된 기존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와 외관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4 and 5,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s completely closed. Therefore, the appearanc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existing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pair of rotating refrigerator doors.

그러나,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는 전방 슬라이딩 인출 후 회동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점에서 기존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can be said to b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that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y assembly is sequentially performed.

상세히,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내앙실 팬트리 도어(21)를 전방으로 잡아 당긴다. 그러면,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가 상술한 레일 부재 및 롤러에 의하여 전방으로 부드럽게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팬트리부(23)의 최대 인출 거리는 상기 냉장실(111)의 전면까지이다. 즉, 상기 냉장실(111)의 개구된 전면부를 지나는 수직면 또는 그 직전까지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In detail, in order to pull ou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first, the inner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s pulled forward. T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is smoothly drawn forward by the above-described rail member and roller. Here, the maximum withdrawal distance of the first pan tree 23 is up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That is, the sliding surface may be pulled out until the vertical surface passing through the opened front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or just before.

한편, 상기 제 1 팬트리부(23)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회동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팬트리부(22)는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90도까지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댐핑 유닛(25)이 작동하여, 상기 제 2 팬트리부(22)가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도와 준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ntree unit 22 is rotated in the state that the first pantree unit 23 is drawn out to the maximum. In detail, the second pantree part 22 is rotatable up to 90 degrees whil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s closed. In addition, the damping unit 25 operates while the second pantree unit 22 is rotated to help the second pantree unit 22 rotate at a uniform spe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냉장실 도어를 개방한 후 팔이나 신체 일부를 냉장실 내부로 집어넣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팔을 냉장실 내부로 집어 넣거나 몸을 앞으로 숙이지 않고, 냉장고의 외부에서 상기 제 2 팬트리부(22)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거나 제 2 팬트리부(22)에 물품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팬트리부(23)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위해서 냉장실(111) 깊숙히 손을 뻗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팬트리부(23)에 수납된 물품은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실(111) 깊숙한 곳에 저장되어, 냉장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반면, 상기 냉장실 팬트리 도어(21)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 1 팬트리부(23)가 냉장실 전면까지 전진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 1 팬트리부(23)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을 꺼내기가 훨씬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put the arm or body part in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fter ope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in order to store or withdraw the article. That is, the user does not insert his or her arms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leans forward, and removes the goods stored in the second pantry 22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or stores the goods in the second pantry 22. It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reach deep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in order to take out the article stored in the first pan tree part 2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In detail,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first pantree unit 23 is stored deep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s closed, so that the refrigerating state is maintained we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door 21 is pulled out, the first pantry unit 23 moves forward to the fro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so that the user may store the article in the first pantry unit 23 or remove the artic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uch easier.

또한, 기존의 냉장고의 경우, 물품의 수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냉장실의 후측부터 채워나와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의 제 2 팬트리부(22)의 경우, 냉장고 외부에서 9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바스켓(224)의 후방뿐 아니라 전방부터 수납하여도 무방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팬트리부도 냉장실 전면까지 인출 가능하므로, 바스켓(234)의 후방에 물품을 수납하기가 훨씬 용이해진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article should be filled from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e case of the second pantry 22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0 outside the refrigerator Since the rotation is also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ccommodated from the front as well as the rear of the basket 224.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antry part can also be pulled out to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it becomes much easier to store the article behind the basket 234.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와 같은 팬트리 어셈블리 구조가 냉장실에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 구조가 냉장실 및 냉동실에 모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냉장실과 냉동실이 양 쪽에 각각 제공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 구조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is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a pantree assembly structure such a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may be provided in pairs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n addition, the pantree assembly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bot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For example, in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are provided at both side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pantry assembly structure to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respectively.

또한, 상기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도 상기 냉장실 팬트리 어셈블리(20)와 동일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20.

Claims (14)

음식물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에 수용되는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팬트리부와,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한 제 2 팬트리부 및
상기 제 2 팬트리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팬트리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food storage space; And
A pantre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space,
The pantree assembly,
A first pan tree part slidingly moving in the food storage space;
A second pan tree part which is slidably moved in the food storage space and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at least a part thereof is drawn out of the food storage space;
And a pantry door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ntre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은 냉장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spac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팬트리부는, 상기 제 1 팬트리부가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팬트리부와 직교하는 각도까지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pantree unit is rotatable up to an angle orthogonal to the first pantree unit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tree unit is pulled out to the maximu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트리부는 상기 저장 공간의 전면을 지나는 수직면 또는 그 직전 위치까지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pan tree portion can be pulled out to a vertical surface passing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or to a position immediately before 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팬트리부는 상기 제 1 팬트리부가 최대 인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팬트리부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second pantree part slides together with the first pantree part until the first pantree part is pulled out to the maxim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트리부의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제공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ail unit provided at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of the top,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pan tree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트리부의 저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roller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tr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트리부와 상기 제 2 팬트리부의 바닥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팬트리부의 급속한 회동을 억제하는 댐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amping unit connecting the bottom of the first pantree part and the second pantree part to suppress rapid rotation of the second pantree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제 1 팬트리부와 상기 제 2 팬트리부 중 어느 하나의 바닥에 장착되는 서포트 암과,
상기 제 1 팬트리부와 상기 제 2 팬트리부 중 다른 하나의 바닥에 장착되는댐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The damping unit,
A support arm mounted on a bottom of any one of the first pantry and the second pantry;
And a damper mounted on a bottom of the other of the first pantree and the second pantre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한 쌍의 팬트리 도어에 의하여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이 완전히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The pantree assembly is provided in a pair,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storage space is completely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pantree d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 space except a space in which the pan tree assembly is accommodated.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냉동실과,
상기 냉동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드로어 타입 도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A freezer compartment formed below the food storage space;
And a drawer type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t least a part of the freezer compartm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내부에 수용되는 냉동실 팬트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freezer compartment pantree assembly hous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저장 공간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상기 본체 내부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d storage space includes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side the body,
The pantry assembly is provided in each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KR1020100036722A 2010-04-21 2010-04-21 Refrigerator KR101713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22A KR101713324B1 (en) 2010-04-21 2010-04-21 Refrigerator
PCT/KR2011/002905 WO2011132974A2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EP11772262.9A EP2572149B1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CN201180030079.7A CN102947659B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US13/642,149 US9074810B2 (en) 2010-04-21 2011-04-2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22A KR101713324B1 (en) 2010-04-21 2010-04-21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33A true KR20110117333A (en) 2011-10-27
KR101713324B1 KR101713324B1 (en) 2017-03-07

Family

ID=4503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22A KR101713324B1 (en) 2010-04-21 2010-04-21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2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039A (en)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CN108131890A (en) * 2016-12-01 2018-06-08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The rotary object storage mechanism of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612A (en) * 1991-09-10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itchen equipment
US20050127804A1 (en) * 2002-04-03 2005-06-16 Young-Nam Kim Door apparatus for drawer type refrigerator
JP2007120875A (en) *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KR100727021B1 (en) *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Sliding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612A (en) * 1991-09-10 1993-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itchen equipment
US20050127804A1 (en) * 2002-04-03 2005-06-16 Young-Nam Kim Door apparatus for drawer type refrigerator
JP2007120875A (en) *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KR100727021B1 (en) *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Sliding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039A (en)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CN108131890A (en) * 2016-12-01 2018-06-08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The rotary object storage mechanism of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24B1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810B2 (en) Refrigerator
EP2728284B1 (en) Refrigerator
EP2594874B1 (en) Refrigerator
KR102233289B1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en) Refrigerator
US20190162466A1 (en) Refrigerator
EP2511633B1 (en) Refrigerator with slidable shelf
RU2491484C1 (en) Refrigerator
KR102043198B1 (en) Refrigerator
KR20110046237A (e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of the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899808B1 (en) Refrigerator
KR101646514B1 (en) Refrigerator
KR102472387B1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shelf which is automatically drawn out
AU2013248179B2 (en) Refrigerator
KR101869556B1 (en) Refrigerator
KR101713324B1 (en) Refrigerator
KR102491969B1 (en) refrigerator
KR101892746B1 (en) Refrigerator
KR101659083B1 (en) Refrigerator
CN106705550B (en) Accommodating devic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with same
KR20150016023A (en) refrigerator
KR102488549B1 (en) Refirgerator
JP3036950B2 (en) Refrigerator shelf equipment
KR20130061472A (en) A home-bar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