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705A -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705A
KR20110116705A KR1020100036284A KR20100036284A KR20110116705A KR 20110116705 A KR20110116705 A KR 20110116705A KR 1020100036284 A KR1020100036284 A KR 1020100036284A KR 20100036284 A KR20100036284 A KR 20100036284A KR 20110116705 A KR20110116705 A KR 20110116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ective case
book
guide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이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관 filed Critical 이종관
Priority to KR102010003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705A/ko
Publication of KR2011011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책 단말기를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독서를 위해 덮개를 열었을 때 덮개가 독서에 방해되지 않게 정돈 처리할 수 있는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전자책 단말기를 수용하여 협지 고정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열고 닫음이 가능하게 유연성을 가진 연결부를 통해 접속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상기 연결부와 같은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수평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공간을 외부에 대해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머리부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terminal of electronic book}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시킨 책의 내용을 LCD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읽도록 한 전자책 단말기를 보호 및 보관하는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 및 프린터와 같은 사무기기는, 문서의 작성 및 인쇄용지를 통한 문서출력 등과 같은 일정공간을 통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능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이러한 사무기기의 기능이 늘어나면서 최근의 사무기기는 휴대성을 띄게 되고, 좀더 쉬운 사용자의 조작으로 기존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는 사무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등장한 것이 휴대용 전자책이다.
전자책은 이-북(electronic Book : eBook)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새로운 유형의 책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처럼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책 모양의 전자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책의 크기는 서점에 진열된 문고판 정도이고 무게는 종이책보다 조금 무거운 1파운드 가량 나간다. 또한, 전자책에는 사용자가 문서를 볼 수 있도록 LCD창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달려 있어 소정의 버튼을 누르면 책장이 넘어간다. 전자책에 대한 표준안은 OEBF(Open eBook Forum)라는 협회를 통해 전자책 시스템을 위한 공통의 규격 즉, 표준안 버전 1.0이 발표되었다.
이처럼 전자책(electronic book) 단말기는 도서로 간행되었거나 간행될 수 있는 저작물의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자 매체에 기록한 후 사용자가 그 내용을 읽거나 보고들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와 같은 전자책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많은 분량의 책을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책을 손쉽게 검색하여 볼 수 있어 이러한 다양한 장점들로 인해 전자책 단말기는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전자책 단말기는 정밀성이 요구되는 많은 반도체들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충격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14 및 도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용의 보호케이스(21)를 사용하여 전자책 단말기(22)를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통상적인 구조의 상기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21)는 전자책 단말기(22)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기 형상의 본체(23)와, 그 본체(23) 일측에 연결부(24)를 통해 연결되어 본체(23)를 개폐하는 덮개(25)와, 상기 덮개(25)가 전자책 단말기(22)를 보호하기 위하여 본체(23)의 상부를 덮었을 때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본체(23)의 배면(밑면)에 자석(26)(27)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되는 고정편(28) 및 상기 전자책 단말기(22)를 본체(23)에 구속하는 협지편(29)으로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또는 실수로 바닥에 떨어드릴 경우 보호케이스(21)가 충격을 흡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이 깨지거나 또는 단말기(22) 내부의 전자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조의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21)는 문고판 정도 크기의 단말기(22)를 수용하여야 하는 관계로 책을 읽기 위해 본체(23)로부터 덮개(26)를 열어젖힐 경우 본체(23)와 덮개(25)의 펼쳐진 전체 면적이 너무 커서 손으로 잡고 읽기가 불편하며, 또 큰 크기의 덮개(25)가 덜렁거리는 어수선함으로 인해 독서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전자책 단말기를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독서를 위해 덮개를 열었을 때 덮개가 독서에 방해되지 않게 정돈 처리할 수 있는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전자책 단말기를 수용하여 협지 고정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열고 닫음이 가능하게 유연성을 가진 연결부를 통해 접속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상기 연결부와 같은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수평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공간을 외부에 대해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머리부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거나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 것을 상기 본체 배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본체 내측의 개방부는 판재로 덮어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책 단말기를 통해 독서를 하기 위해 보호케이스의 덮개를 열어젖히게 될 때 덮개를 본체와 나란하게 펼쳐놓은 후 덮개를 본체측을 향해 힘을 가하여 밀면 그 힘이 연결부를 통해 연결부의 단부에 장착된 슬라이더에 전달되며, 그 슬라이더가 힘의 작용 방향으로 이동 통로(공간)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부재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마치 미닫이 문이 그 일측에 위치하는 문의 후방 위치로 이동하듯이 덮개가 본체 배면의 후방 위치로 이동하여 본체와 덮개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가지런히 정돈되므로 보호케이스의 전체 크기가 반으로 줄어 취급이 간편하고 외관이 깔끔해지며 덮개가 독서에 방해되는 일이 없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덮개를 열어 젖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덮개를 열어 젖힌 상태의 A-A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덮개를 열어젖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서 덮개를 슬라이드시키는 중간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가이드부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가이드부재의 장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슬라이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가이드부재와 슬라이더의 계합구조를 나타낸 B-B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서 덮개를 슬라이드시켜 슬라이더가 가이드부재의 끝단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서 덮개를 완전히 슬라이드시켜 연결부가 접혀지면서 덮개가 본체의 배면에 적층 상태로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서 덮개를 완전히 슬라이드시켜 연결부가 접혀지면서 덮개가 본체의 배면에 적층 상태로 위치하여 본체에 의해 가려지게 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14와 도15는 종래 기술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 본 발명의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전체를 부호 1로 나타내었다.
상기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1)는 본체(2)와 덮개(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본체(2)는 두께를 가진 전자책 단말기(4)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공간(5)을 가진 함체 형상으로 네 귀퉁이에는 전자책 단말기(4)를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예를 들면 고정밴드(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3)는 상기 본체(2)의 일측에 굽힘이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1개 이상, 바람직하기는 거리를 두고 2개의 연결부(7)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덮개(3)가 본체(2)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연결부(7)에 대향되는 반대편의 덮개(3) 일측에는 역시 굽힘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진 고정편부재(8)가 돌출되어져 있다.
상기 고정편부재(8)에는 자력을 가지거나 또는 자력에 흡착하는 성질을 가진 제1흡인부재(9)가 매설 또는 접착된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 도1,2 및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덮개(3)를 닫은 상태에서 고정편부재(8)를 본체(2)의 배면(2a)에 밀착하도록 하였을 때 대략 그 고정편부재(8)의 선단에 접촉하게 되는 배면(2a)의 부위에 자력을 가지거나 또는 자력에 흡착하는 성질을 가진 제2흡인부재(10)가 매설 또는 접착된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를 상기 본체(2) 측에 접속함에 있어서는 본체(2)에 연결부(7)와 같은 수평의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배면(2a)에 돌출되게 수평으로 길게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1)와, 그 가이드부재(11)에 구속되어 가이드부재(11)의 안내를 따라 수평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는 슬라이더(12)에 의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1)는 그의 내측으로 수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13)을 형성하도록 절곡 가공되고, 또 상기 공간(13)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트여진 슬릿(14)을 구비하도록 철판을 프레스 가공 또는 플라스틱 사출하여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2)의 배면(2a)에 스포트 용접 또는 접착하여 장착하며(도 7 참조), 또는 도 8에서처럼 가이드부재(11)를 본체(2)와 일체로 프레스 또는 사출 성형하고 본체(2) 내면(2b)에 철판(15)을 용접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판재를 접착하여 내측이 차폐된 공간(13)을 형성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이처럼 이들 부재들은 철판뿐 아니라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열접착 또는 본드로 접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12)는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사출되는 데, 도7 내지 도10에 상세히 도시한 것과 같이 그의 세부 구성은 상기 공간(13) 내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구속되는 원판부(16)와, 상기 슬릿(14)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목부(17)와, 상기 연결부(7)에 고정하는 고정머리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1)는 그 내부에 간직하고 있는 전자책 단말기(4)를 통해 독서를 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본체(2)의 배면(2a)에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부착된 고정편부재(8)를 떼어낸 후 덮개(3)를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것처럼 일측으로 젖혀 연다.
이 상태에서 덮개(3)는 본체(20)와 같은 평면에 나란히 위치하여 본체(2)와 덮개(3)의 배면도 형상은 도5와 같은 상태로서, 이때 덮개(2)를 손으로 잡고 본체(2) 측을 향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여 밀게 되면(화살표 방향과 힘 F 참조) 연결부(7)를 통해 이송력이 슬라이더(12)에 전해져 그 슬라이더(12)가 가이드부재(11)의 안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12)가 이동하게 되면 덮개(3)는 도6에 도시하는 것처럼 본체(2)의 후방, 즉 배면에 겹쳐지는 형태의 이동이 발생되며, 계속해서 덮개(3)를 밀게 되면 도11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더(12)가 가이드부재(11)의 끝단에 이르게 되며, 좀 더 미는 힘을 가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도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부(7)가 ㄹ자 형상으로 접혀지면서 덮개(3)는 마치 일식에서 태양이 달에 의해 가려지듯이 본체(2)의 배면에 적층된 형태로 겹침이 일어나며, 정면에서 보면 도13처럼 본체(2)만이 보여지게 되므로, 보호케이스의 면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11)는 본체(2) 배면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덮개(3)의 형상에 있어서도 평면뿐 아니고 본체(2)와 같은 함체 형상으로 하여서 마치 2개의 그릇이 적층된 것처럼 보여 지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책 단말기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휴대폰이나 아이 패드 및 넷북 등 각종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에도 동일한 적용 및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1 :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 본체
2a : 배면 2b : 내면
3 : 덮개 3a : 표면
3b : 내면 4 : 전자책 단말기
5 : 수용공간 6 : 고정밴드
7 : 연결부 8 : 고정편부재
9,10: 흡인부재 11 : 가이드부재
12 : 슬라이더 13 : 공간
14 : 슬릿 15 : 판재
16 : 원판부 17 : 목부
18 : 고정머리부

Claims (3)

  1. 전자책 단말기를 수용하여 협지 고정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열고 닫음이 가능하게 유연성을 가진 연결부를 통해 접속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상기 연결부와 같은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수평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공간을 외부에 대해 연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머리부로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거나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 것을 상기 본체 배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본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본체 내측의 개방부는 판재로 덮어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0100036284A 2010-04-20 2010-04-20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110116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84A KR20110116705A (ko) 2010-04-20 2010-04-20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284A KR20110116705A (ko) 2010-04-20 2010-04-20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05A true KR20110116705A (ko) 2011-10-26

Family

ID=4503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284A KR20110116705A (ko) 2010-04-20 2010-04-20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7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376B2 (en)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243217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US9078338B2 (en)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20080547A1 (en) A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20146466A1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974118B2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US20210037666A1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97794B2 (en) Electronic device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US20140091689A1 (en) Cover Having Wallet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KR102423199B1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CN113596222A (zh) 卡收纳型后壳
US20150080067A1 (en) Size-adaptive mobile device cover
EP3305123A1 (en) Cosmetic container
US10716375B2 (en)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62099Y1 (ko) 카드 수납구조를 갖는 지갑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110116705A (ko)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65854Y1 (ko) 태블릿 pc 수납기능을 가진 가방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217081B1 (ko) 스탠딩 파우치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135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10116703A (ko) 전자책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130004713U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