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66A -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166A
KR20110114166A KR1020100033657A KR20100033657A KR20110114166A KR 20110114166 A KR20110114166 A KR 20110114166A KR 1020100033657 A KR1020100033657 A KR 1020100033657A KR 20100033657 A KR20100033657 A KR 20100033657A KR 20110114166 A KR20110114166 A KR 20110114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unit
data
sensor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학
심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즈
Priority to KR102010003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166A/ko
Publication of KR2011011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3Code application, i.e. aspects relating to how codes are applied to form multiplexed chann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와 돼지등과 같은 가축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전염병을 외부로 전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가축이 머무르는 축사의 상태를 파악하여 보안과 같은 외부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하며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외부로 전달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MANAGEMENT SYSTEM OF STABLE USING BINARY-CDMA}
본 발명은 관리자와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축사 및 가축을 관리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질병 및 이상 징후는 대단히 많을 뿐만 아니라 증상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질병이 공통되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질병에 대하여 사전에 추정하여 조기 예방 및 치료를 하게 되면 가축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염병의 조기 진단의 경우 가축의 피해를 비롯하여 사육농가의 경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소의 경우 일반적인 정상체온은 38.0 ~ 39.5℃로 체온이 평균 이하(36~38.5℃)로 떨어지는 경우는 유열, 중독, 심한 설사, 식체, 만성장염에서 볼 수 있으며, 41℃이상의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는 탄저병, 유행성 감기, 폐렴 등에서 볼 수 있다.
돼지의 경우 일반적인 정상체온은 38.7~39.7℃로 일반적으로 세균감염에 의하여 나타나는 질병은 초기에 열이 발생하며, 특히 전염병에 감염되었을 때는 대부분 높은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와 돼지와 같은 가축의 건강은 환경적인 요인이 크며, 축사 내의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 상태가 나빠질 수 있으며, 건강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가축의 체온으로 알 수 있다.
특히, 가축의 체온은 전염병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가축의 체온으로 건강 상태가 나쁘다는 사실은 알고 있으나, 실시간으로 가축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지 않아 전염병을 가지고 있는 가축을 방치하여 그 균이 외부로 전염됨으로써, 나중에는 한꺼번에 폐사 시키며, 이런 악순환으로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따라서, 가축의 스트레스를 막기 위해 축사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가축의 스트레스 율을 낮추고, 가축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외부로 알려줌으로써, 그 축사만을 격리시켜 외부로 균이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또한, 축사는 늘 오픈되어 있어 큰 규모의 축사 경우 관리자가 일일이 모든 축사를 관리하기 어려워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사전에 막기란 쉬운 일이 아니며, 축사에 화재가 일어나도 관리자와 먼 곳의 축사를 커버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가 축사에 침입하거나, 화재가 일어났을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곳에 바로 연락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전에 가축의 좋은 건강 생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를 막아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으로 가축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가축의 건강 상태를 관리자 및 전문기관에 전달하여 외부로 전염되는 전염병의 전염을 사전에 막아 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침입자의 침입과 화재가 일어나면 관리자 및 전문기관에 전달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문기관에서 각 지역내에 있는 축사를 관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는 센서부와;
축사 내의 가축을 감시하도록 사각지대가 없도록 설치하고 축사내의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입력장치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센서 수신부, 및 상기 영상입력장치의 영상 데이터와 무선 센서 수신부의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에 전달하는 제1 B-CDMA부로 구성한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B-CDMA부와, 기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매칭하여 이상 유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로 구성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이상 여부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의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 받아 축사 및 가축을 관리하는 통합 운용 서버, 및 통합 운용 서버에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응급 감시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의 상기 센서부는 가축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와, 축사 내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와, 입력되는 영상의 형태로 사람과 가축을 구분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축사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온/항습 센서, 및 축사 내에 유입되는 가스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가스/연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의 상기 제1 출력부는 스피커, LED 전광판, 및 경광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의 상기 응급 감시부는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에 따라 축사 또는 가축의 이상 유무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출력부는 LED 전광판, 스피커, 경광등, 및 모니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각 센서의 리미트 값을 가지고 있어 리미트 값에서 벗어난 데이터 값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변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가축의 스트레스를 막아 좋은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가축의 체온을 체크하여 건강 상태를 파악 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건강에 이상이 있는 가축을 체크하여 전염병의 경우 외부로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후속조치로 가축을 폐사 시켰으나, 사전에 가축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사전조치로 농가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내의 외부 침입자의 침입이나 화재 발생과 같은 위험 상황을 전문기관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가축의 도난 방지 또는 빠른 화재 진압으로 농가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 장치는 센서부(110), 감시부(120), 데이터 송수신부(130), 제1출력부, 및 응급 감시부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10)는 축사 및 가축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여 변화되는 정보를 전달해주는 구성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센서(111), 열 감지 센서(112), 인체 감지 센서(113), 항온/항습 센서(114), 가스/연기 센서(115)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센서(111)는 가축이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의 열림 및 닫힘을 감시한다. 도어 센서(111)로 관리자가 모르는 사이에 축사의 출입구가 열리면 가축의 외부 이탈 또는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열 감지 센서(112)는 감시부(120)의 영상 입력부(123)와 같이 설치되어 축사 내의 가축 전체를 커버하여 가축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113)는 감시부(120)의 영상 입력부(123)와 같이 설치되어 영상 입력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형태를 추출하여 사람인지 가축인지를 감지함으로써, 인체 감지 센서(113)가 켜져 있는 상황에서 사람이 축사 내로 진입하면 외부 침입자로 감지하여 가축의 도난을 방지 한다.
이때, 인체 감지 센서(113)로만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 센서(111)를 통해 인지하고 인체 감지 센서(113)를 통해 또 다시 침입자를 감지하여 정확성을 높인다.
상기 항온/항습 센서(114)는 축사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때, 상기 항온/항습 센서(114)에 의해 주변 환경이 기 저장된 리미트 값과 다르다면 구비된 냉난방기, 건조기, 또는 제습기를 가동하여 저장된 리미트 값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냉난방기, 건조기, 및 제습기의 설치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본 발명의 요지와 달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하도록 한다.
상기 가스/연기 센서(115)는 축사 내의 가스 및 연기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를 파악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부(120)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축사 내부의 영상을 입력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3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감시부(120)는 무선 센서 수신부(122), 영상 입력부(123), 및 제1 B-CDMA부(121)로 구성하는데,
상기 무선 센서 수신부(122)는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 입력부(123)는 축사 내의 가축을 감시하도록 사각 지대가 없도록 설치하고 축사 내의 영상을 입력하며, 축사 내의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영상 입력부(12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영상 입력부(123)은 상기 센서부(110)의 열 감지 센서(112)와, 인체 감지 센서(113)를 같이 설치하여 축사 내의 가축의 체온에 따른 건강 상태를 파악 할 수 있으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13)를 통해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파악 할 수 있다.
상기 제1 B-CDMA부(121)는 상기 무선 센서 수신부(122)에서 수신한 데이터와 영상 입력부(123)에서 입력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130)로 전달하다.
이때, 상기 제1 B-CDMA부(120)는 2.4GHz 주파수를 사용하며,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상기 감시부(120)에서 전달하는 정보를 입력 받아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다.
이때,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은 제2 B-CDMA 부(131), 무선 통신부(132), 및 데이터 처리부(133)로 구성하는데,
상기 제2 B-CDMA 부(131)는 상기 감시부의 제1 B-CDMA(121)를 통해 전달하는 정보를 수신하며, 그 데이터는 영상 입력부(123)가 입력하는 영상 데이터와 센서부(110)가 감지하는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3)는 센서부(110)의 각 센서의 리미트 값을 가지고 있어 리미트 값에서 벗어난 데이터 값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소의 정상 체온이 38 도에서 39.5도인 경우에 각 영상 입력부(123)에 장착된 열 감지 센서(112)로부터 검출된 온도의 평균을 구하여 소의 정상 체온 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파악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소에 대한 건강상태를 파악 하는 것이 아니라 축사내의 전반적인 소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자 및 응급 감시부(전문기관)에 전달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32)는 상황에 따라 지정된 메시지를 관리자의 휴대폰 단말기로 전달하여 관리자에게 상황을 알려준다.
또한, 무선 통신부(132)는 응급 감시부(150)에 축사 및 가축의 상태를 전달하여 전문기관으로부터 도움을 요청하거나 축사 및 가축의 상태를 보고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부(132)는 무선 통신망(160)을 통하여 관리자의 휴대폰 단말기 및 응급 감지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급 감시부(150)의 거리에 따라서 B-CDMA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부(14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의 데이터 처리부(133)를 통해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외부로 그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출력부(140)는 LED전광판, 스피커, 및 경광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효율적으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급 감시부(15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가축 및 축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감시 할 수 있으며, 상기 응급 감시부(150)를 통해 지역 내의 축사 및 가축에 대한 정보를 파악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응급 감시부(150)은 통합 운용 서버(151), 데이터 베이스(152), 및 제2 출력부(153)로 구성한다.
상기 통합 운용 서버(151)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에서 전달 받은 가축 및 축사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는다.
상기 제2 출력부(153)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에서 전달 받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확인하거나 경고를 알려준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52)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0)에서 전달 받은 가축 및 축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응급 감시부(150)는 지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각 축사에 대한 정보를 모두를 받을 수 있어 일괄적으로 지역 내에 있는 각 축사 및 가축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 감시부(전문기관)을 통해 가축의 전염병을 사전에 파악 할 수 있어 사전조치로 외부로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타 농가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무차별한 가축의 폐사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축사 및 가축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처리부(133)에 센서부(110)의 기준이 되는 리미트 값을 미리 저장한다.
이때, 상기 리미트 값은 가축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체온, 축사의 적정한 온도 및 습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센서부(110)가 측정하는 센싱 데이터 및 영상 입력부(123)가 입력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이때, 센싱 데이터는 열 감지 센서(112)에 따른 가축의 체온을 나타내고, 인체 감지 센서(113)에 따른 사람인지 가축인지를 구분하는 구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항온/항습 센서(114)로 축사 내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주변환경에 의한 가축의 스트레스를 줄이며, 가스/연기 센서(115)를 통해 축사의 화재를 파악하여 농가의 피해를 줄인다.
이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130)에 전달하여 센싱 데이터에 따른 이상 유무를 데이터 처리부(133)에서 판단한다.
이어서, 센싱 데이터가 기저장된 리미트 값에 벗어나면 제1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관리자에게 SMS를 발송하거나, 응급 감시부(150)에 축사 및 가축의 상황을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응급 감시부(150)는 지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축사를 일괄적으로 관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센서부, 111 : 도어 센서
112 : 열 감지 센서 113 : 인체 감지 센서
114 : 항온/항습 센서 115 : 가스/연기 센서
120 : 감시부 121 ; 제1 B-CDMA부
122 : 무선 센서 수신부 123 : 영상 입력부
130 : 데이터 송수신부 131 : 제2 B-CDMA부
132 : 무선통신부 133 : 데이터 처리부
140 : 제1 출력부 150 : 응급 감시부
151 : 통합 운용 서버 152 : 데이터 베이스
153 : 제2 출력부 160 : 무선 통신망

Claims (5)

  1.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에 있어서,
    센서부와;
    축사 내의 가축을 감시하도록 사각지대가 없도록 설치하고 축사내의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입력장치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센서 수신부, 및 상기 영상입력장치의 영상 데이터와 무선 센서 수신부의 센싱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에 전달하는 제1 B-CDMA부로 구성한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B-CDMA부와, 기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매칭하여 이상 유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로 구성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이상 여부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의 무선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 받아 축사 및 가축을 관리하는 통합 운용 서버, 및 통합 운용 서버에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응급 감시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축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와,
    축사 내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와,
    입력되는 영상의 형태로 사람과 가축을 구분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축사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온/항습 센서, 및
    축사 내에 유입되는 가스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가스/연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스피커, LED 전광판, 및 경광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감시부는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에 따라 축사 또는 가축의 이상 유무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출력부는 LED 전광판, 스피커, 경광등, 및 모니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각 센서의 리미트 값을 가지고 있어 리미트 값에서 벗어난 데이터 값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DMA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KR1020100033657A 2010-04-13 2010-04-13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KR20110114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57A KR20110114166A (ko) 2010-04-13 2010-04-13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57A KR20110114166A (ko) 2010-04-13 2010-04-13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66A true KR20110114166A (ko) 2011-10-19

Family

ID=4502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57A KR20110114166A (ko) 2010-04-13 2010-04-13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1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9460B2 (en) 2012-06-07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ck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81304A (zh) * 2018-05-29 2018-10-19 南通理工学院 一种自动车库监控系统
KR101981570B1 (ko) 2017-12-29 2019-05-23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에 관한 빅 데이터 생성 및 구축 시스템
CN110543199A (zh) * 2019-07-23 2019-12-06 中国农业大学 奶牛环境信息及生物信息监测的物联网网关
KR20200055839A (ko) 2018-11-12 2020-05-22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에 관한 빅 데이터 생성 및 구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9460B2 (en) 2012-06-07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ck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81570B1 (ko) 2017-12-29 2019-05-23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에 관한 빅 데이터 생성 및 구축 시스템
CN108681304A (zh) * 2018-05-29 2018-10-19 南通理工学院 一种自动车库监控系统
KR20200055839A (ko) 2018-11-12 2020-05-22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돼지의 생장조건정보에 관한 빅 데이터 생성 및 구축 시스템
CN110543199A (zh) * 2019-07-23 2019-12-06 中国农业大学 奶牛环境信息及生物信息监测的物联网网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954B1 (en)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 system
US9513364B2 (en) Personnel authentication and tracking system
US20180261075A1 (en) Building Security System
US7526105B2 (en) Security alarm system
CN102339518B (zh) 用于激活和去激活安全系统中的视频摄像机的方法和装置
US20080204253A1 (en) Pest Monitoring System
KR20110114166A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코드 분할 다중 접속)를 이용한 축사 및 가축 관리장치
KR101828891B1 (ko) IoT 기반 축사관리 시스템
CN116457851B (zh) 用于地产监控的系统和方法
US9818290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merits of an alert signal
CN108109314A (zh) 一种小区物业用火灾报警系统
US110110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tatus output based on sound emitted by an animal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20110137096A (ko) 가축방역 예방시스템 및 그 예방방법
KR20220054982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20230017517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축사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CN106971495A (zh) 一种建筑智能化监控系统
CN106530565A (zh) 安防告警系统及方法
KR20210091005A (ko)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6024222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2621879B1 (ko) 에어포그를 활용한 인공지능형 살균제 살포시스템
KR102470270B1 (ko) 축사 소독시스템.
CN216388274U (zh) 一种监控报警系统
JP4656702B2 (ja) 設備埋設用地下施設監視システム
KR20070112443A (ko) 방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