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247A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247A
KR20110113247A KR1020100032521A KR20100032521A KR20110113247A KR 20110113247 A KR20110113247 A KR 20110113247A KR 1020100032521 A KR1020100032521 A KR 1020100032521A KR 20100032521 A KR20100032521 A KR 20100032521A KR 20110113247 A KR20110113247 A KR 20110113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screen
movem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상우
신상희
임민주
김정윤
유병철
이유종
박명순
강석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247A/en
Publication of KR2011011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2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 단말에서 컨텐츠 표시중에 단말을 움직이게 되면 단말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변경하여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말이 고정입력을 수신하면 단말을 움직이더라도 현재 표시중인 컨텐츠를 변경하지 않고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변경된 컨텐츠는 이미 표시중이던 컨텐츠의 다른부분, 이미 표시중이던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담은 컨텐츠 또는 지도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단말의 화면을 전환할 수 있으며, 현재 표시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express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moves the terminal while displaying content, the terminal senses the position movement in space. The display device chang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location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fixed input, even if the terminal is moved,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without changing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Meanwhile, the changed content may be another part of the content that is already displayed, content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that is already displayed, or map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witch the screen of the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input means, and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escription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Content re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본 발명은 컨텐츠 표현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에서 특정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단말을 위치이동 시킴에 따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단말의 화면에 표시 할 수 있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express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he position shift of the termina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by changing to other content as the user moves the terminal while displaying the specific content on the screen A content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and a terminal thereof.

핸드폰이나 PDA(Portable Data Assistant) 등과 같은 단말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된 단말로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크기 및 무게 등에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단말에서는 화면의 크기를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ortable data assistant (PDA) is implemented to be portable to a user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is limited in size and weight for easy portability. . Therefore, the terminal has a limitation in increasing the size of the screen.

이에 반하여, 근래에 들어서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말은 점점 고사양화 되고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의 경우 이동통신망의 발달, 무선컨텐츠의 증가, 휴대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사진촬영, 게임, TV 또는 라디오 방송 수신 등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단말이 고성능 및 고기능화 되어가면서, 단말에서 화면을 통해 출력할 정보의 양은 점차 더 많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erminal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ophisticated and their functions are becoming more diverse. In particular, mobile terminals perform complex functions such a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taking pictures, playing games, receiving TV or radio broadcasts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he increase of wireless content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processors and memory in portable terminals. I can do it. As the terminal becomes high performance and high functionality,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from the terminal is gradually increasing.

단말에서 화면을 통해 출력할 정보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단말에서는 사진, 영상, 텍스트, 웹 페이지 등과 같이 화면의 크기보다 큰 컨텐츠의 일부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 이동을 통하여 컨텐츠의 다른 영역을 확인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의 전체를 확인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찾기 위해서는 입력 수단을 여러 번 조작하여, 화면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야 한다.As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increases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displays some areas of the content larger than the screen size, such as a photo, video, text, web page, and the like, and moves the screen to another area of the content. Is implemented.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user to check the entire content or find the necessary part, the user must move the screen up, down, left, and right by operating the input means several times.

또한 현재 화면에 표시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를 확인하거나, 단말에서 멀티태스킹중인 컨텐츠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화면을 전환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other contents related to the contents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r change the contents to the multitasking contents on the terminal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the user must switch the screen by operating the input means.

그런데 일반적인 단말의 입력수단은,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과 같이 대부분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단말의 경우,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단말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키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여러 번 조작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된다.By the way, since the input means of a general terminal is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most users manipulate by hand, such as a keypad, a keyboard, a mouse, and a joysti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use the us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a portable form and is often used by a user. In this state, when the user supports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hand, the user inputs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several times with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adds to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따라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식 이외에 좀더 간단한 방식으로 단말의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facilitate user convenienc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switch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in a simpler manner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의 화면을 좀 더 간단한 방법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그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echnique for switch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in a simpler method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content re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i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그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re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for changing and displaying content displayed on a scree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positional movement of a terminal in space, and a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으로 현재 표시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그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re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 terminal thereof, according to a positional movement of a terminal, which can easily identif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by a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멀티태스킹중인 컨텐츠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및 그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re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capable of changing and displaying content being multitasked according to a positional movement of a terminal in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1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센서를 이용해 공간상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상기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ent ex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a content server providing content and contents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erver, And detecting a position movement in space using a sensor, and changing and displaying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n the scree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whil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and displaying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n detec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in space.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서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to call the storage unit; do.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herein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by connecting to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obtained the second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획득한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obtained second cont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의 위치이동 방향 및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를 산출하여, 상기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by the sensing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movement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terminal to calculate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to grasp the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는 단일컨텐츠의 일부분이고, 상기 제2컨텐츠는 상기 단일 컨텐츠의 다른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is part of a single content, the second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art of the single content.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2컨텐츠는 상기 단말에서 기 실행중인 컨텐츠 또는 상기 제1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록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already running in the terminal or the content contain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도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 및 상기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방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상기 지도정보를 상기 제2컨텐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further detects the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space in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while displaying the map information as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the terminal to the sensing unit When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position and the orientation of the position movement is detected, the map information chang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rient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s the second content.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또는 GPS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GPS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반영된 지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or a GPS module for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wherein the map information reflec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GP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information.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의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컨텐츠의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creen fixed input to the input unit, even if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space of the terminal,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ed content is maintained.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화면고정입력은 키패드입력, 터치패드입력, 화면터치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fixing input is at least one of a keypad input, a touch pad input, and a screen touch inpu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은, 단말이 제1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단말이 센서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단말이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변경단계를 포함한다.Contents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step of the terminal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the terminal to sense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by the sensor Sensing step, and changing to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terminal to display on the screen.

본 발명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변경한 상기 화면을 유지하는 화면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ent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hange step, if the terminal receives a screen fixing input, the screen is fixed to maintain the changed screen even if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is detected It further comprises a step.

본 발명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컨텐츠가 상기 단말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 획득단계, 상기 단말이 획득한 상기 제2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ing step, if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s not stor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accesses the content ser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obtaining step of acquiring a second content, and changing to the second content acquired by th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screen.

본 발명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고정단계에서, 상기 고정입력은 음성입력, 제스처입력, 화면터치입력, 키패드입력, 터치패드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creen fixing step, the fixed inpu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voice input, gesture input, screen touch input, keypad input, touch pad input.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복잡한 단말의 조작없이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단말의 컨텐츠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without any complicated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reby facilitat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복잡한 단말의 조작없이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으로 현재 표시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space of the terminal without any complicated operation of the terminal, which facilitates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멀티태스킹중인 컨텐츠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어 단말의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being multitasked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thereby extend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화면을 고정하는 입력을 가함으로써 단말을 위치이동 하더라도 기 표시중인 컨텐츠를 계속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기 표시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계속 주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erminal is moved by applying an input for fix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the content which is already displayed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keep an eye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lready display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입력을 수신한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 ex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screen exemplary views showing a method of representing content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receiving a fixed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은 단말(10), 네트워크(30) 및 컨텐츠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 ex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expre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10, a network 30, and a content server 20.

네트워크(30)는 단말(10)과 컨텐츠서버(20)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30)는 IP를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김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으로,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IP망 구조인 ALL-IP망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무선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The network 30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content server 20. The network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P network that provides a larg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ervice and a seamless data service through IP, and may be an ALL-IP network that is an IP network structure integrating different networks based on IP. In addition, the network 3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or other well-known or future-developed wired or wireless networks or a combination thereof.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컨텐츠서버(20)에 접속하여 컨텐츠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노트북(notebook), 가전기기, 휴대폰(mobile phone),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10)은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20 through the network 30 to transmit and receive content and data, computer, notebook (notebook), home appliances, mobile phone (navigation), smartphone (smart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In addition, the terminal 10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on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컨텐츠서버(20)는 네트워크(30)를 통한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단말(1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측의 서버이다.The content server 20 is a server of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content to the terminal 10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network 30.

단말(10)과 컨텐츠서버(20)는 네트워크(3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The terminal 10 and the content server 20 hav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network 30.

단말(10)은 컨텐츠 서버(30)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1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센서를 이용해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단말(10)은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The terminal 10 may download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30 and store the content. While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the downloaded and stored contents, the sensor senses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n space. In addition, the terminal 10 changes and displays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이때 제2컨텐츠는 단말(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 일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 서버(20)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ntent may be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 or may be content obtain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센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한다.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may b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Details of each sen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또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여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로 변경하는 방법은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변위와 컨텐츠들간의 매칭정보에서 제2컨텐츠를 추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detec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and changing to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the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he preset displacement and the contents is determined. It can be achieved by extracting two contents. Details will be described in FIG. 2.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에서 음악파일을 재생 중, 단말(10)을 왼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를 산출한다. 그리고 변위에 대응하는 음악의 가사를 추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재생하고 있는 음악의 가사를 단말(10)의 화면에 가사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음악의 가사는 컨텐츠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고, 또는 단말(1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단말(10)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현재 재생하고 있는 음악을 부른 가수정보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10)을 아래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현재 재생하고 있는 음악의 뮤직비디오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For example, if a user moves the terminal 10 to the left while playing a music file in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 movement in space by a sensor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Calculate the displacement. The lyrics of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are extracted. Accordingly, the lyrics of the currently playing music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lyrics of the music may be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or may be pre-stored in the terminal 10.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 moves to the right,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space with a sensor, and displays the singe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that is currently playing music. When the terminal 10 moves downward,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space with a sensor and displays the music video of the currently playing music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한편 제2컨텐츠를 컨텐츠 서버(20)에서 획득하는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말(10)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신문기사를 보는 중, 단말(10)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의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를 산출한다. 그리고 각 컨텐츠서버(20)로부터 감지한 위치에 대응되는 현재 보고있는 신문기사와 관련된 다른 신문사들의 신문기사를 획득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각 신문사들은 단말(10)의 상하좌우 공간상 위치이동에 각각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terminal 10 up, down, left, or right while viewing the newspaper art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10 The position movement in space is sensed by the sensor, and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s calculated. In addition, newspaper articles of other newspaper companies related to the currently reported newspaper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from each content server 20 are obtain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At this time, each newspaper company may be set to move the posi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space of the terminal 10, respectively.

또는 사용자가 단말(10)에서 관광지 사진을 보는 중, 단말(10)을 위쪽으로 움직이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컨텐츠서버(20)로부터 현재 보고있는 관광지 주변의 숙소정보를 획득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말(10)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컨텐츠서버(20)로부터 현재 보고있는 관광지에 갈 수 있는 교통정보를 획득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10)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컨텐츠서버(20)로부터 현재 보고있는 관광지에 관한 여행상품정보를 획득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말(10)을 위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 현재 보고 있는 관광지에 다녀온 다른사람들의 후기를 컨텐츠서버(2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moves the terminal 10 upward while viewing a touristic photograph on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10 detects a positional movement in space by a sensor, and the surrounding of the tourist spot currently view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The accommod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 moves to the left side,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space by a sensor, and obtains traffic information to go to the tourist spot currently view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Will be displayed.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right,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space by using a sensor, and obtains travel product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viewed tourist destination from the content server 2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Will be displayed. Finally,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upward,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space with a sensor and acquires the reviews of other people who have been to the tourist spot currently view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Will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한 컨텐츠들은 예시일 뿐이고,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는 다양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displayed by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are merely examples, and the contents that can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are variou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10)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the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10)은 디스플레이부(13), 감지부(15), 제어부(11)를 포함하고 입력부(16), 저장부(17), 통신부(18), GPS모듈(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8)와 GPS모듈(19)은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 and 2, the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3, a sensing unit 15, and a control unit 11, and includes an input unit 16, a storage unit 17, and a communication unit 18. ), May further comprise a GPS module 19.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8 and the GPS module 19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디스플레이부(13)는 단말(10)의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이나 내부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액정 등의 표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수단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장치와 표현장치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The display unit 13 is a device for visually expressing an operation or internal data or content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f the terminal 10. The display uni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representation means such as a 3D display liquid crystal. When such a representation means consists of a touch screen, it functions simultaneously as an input device and a representation device.

감지부(15)는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방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5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n spac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direction sensor.

입력부(16)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부(17)는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현재 화면에 표시중인 컨텐츠를 유지하도록 하는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또는 조그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입력을 수신하는 음성입력장치, 제스처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부(16)를 구현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감지부(15)의 센서도 필요에 따라 입력부(17)로 이용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input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7 serves to receive a screen fixing input for maintaining the conten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if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s sensed. The input unit 16 may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dome switch, a jog wheel, or a jog switch for user input, and a voice input device and a gesture for receiving a voice input. It may include a camera for recognizing the inp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unit 16 may be implemented through all input devices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In addition, a sensor of the sensing unit 15 may be used as the input unit 17 as necessary.

저장부(17)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본 발명의 저장부(17)는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저장부(17)는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 서버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및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 is a storage for storing content or data. The storage unit 17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ogram for chang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13.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 may store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nd may store the contents obtained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he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통신부(18)는 네트워크(30)를 매개로 컨텐츠서버(2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를 통해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또한 통신부(18)는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8 may obtain content by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20 through the network 30 and ha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obtaining content through the network 3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using the base station reception signal.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19)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단말(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모듈이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모듈(19)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모듈(19)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19 is a module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by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displayed in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19 may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method of three different distances by measuring accurate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In addition,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19 can obtain not only the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but also accurate time together with the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얻는 방식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기반방식, 단말기기반방식, 네트워크기반방식과 단말기기반방식의 혼합방식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method of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is, for example, a network-based method, a terminal-based method, a network-based method and a mixed method of the terminal-based metho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1)는 단말(1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and may include a processor for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제어부(11)는 제1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한다. 이후 감지부(15)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게 되면 제1컨텐츠 대신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 Then, when the sensing unit 15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n space,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nstead of the first content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이때 제1컨텐츠 및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는 단말(10)의 저장부(17)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컨텐츠중 하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of the terminal 10.

한편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통신부(18)를 통해 컨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한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획득한 제2컨텐츠를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에 저장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may be obtained by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 The obtained second content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In addition, the acquired second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

제어부(11)는 감지부(15)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변위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변위란 위치의 변화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량이다. 벡터값은 기준점에 대하여 좌표화 할 수 있으므로, 일정범위내의 변위값에 대하여 각각의 명령을 매칭시킬 수 있다. 즉 단말(10)이 공간상 위치이동을 하는경우, 단말(10)의 이동 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게 되면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게되고 각 변위값에 대하여 매칭되어 있는 명령, 예컨대 해당 제2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 calculates a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when the sensing unit 15 detects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Then,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is executed to perform a command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Here, displacement means a change amount of a position and is a vector amount having a magnitude and a direction. Since the vector value can be coordinat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int, each command can be matched to a displacement value within a certain range. That is, when the terminal 10 moves in position in space, when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erminal 10 are calculated,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can be calculated and for each displacement value. The matching command, for example, the second content may be executed to execute a comm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이때 감지부(15)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가속도센서는 속도의 변화라고 하는 물리량을 특정하는 센서로, 운동체의 동적 진동변화(가속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대표적으로 압전형 가속도 센서가 있는데, 운동체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의한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의 실리콘 구조가 바뀌게 되고, 실리콘 구조의 변동은 실리콘에 전하를 발생시킨다. 실리콘에 발생되는 전하는 센서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바꾸게 되는데,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그에 상응하는 전압 값으로 변환시키는 원리로서 운동체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원리로써 동작한다.An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that specifies a physical quantity called a change in speed, and is a sensor that can directly detect a dynamic vibration change (acceleration) of a moving object. There is a piezoelectric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ilicon structure of the sensor changes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change due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change in the silicon structure generates charge in the silicon. The charge generated in the silicon changes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which converts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into a corresponding voltage value, and operates as a principle of detecting the spatial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자이로센서(Gyro sensor)는 회전각가속도센서로 회전하는 각의 수직방향으로 코리올리스 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수직힘을 가속도센서와 마찬가지의 원리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Gyro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vertical force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Coriolis force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ngle by the rotation angle acceleration sensor.

제어부(11)는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자이로-가속도 방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가속도 방식은 단말(10)의 이동을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로 감지하여 단말(10)의 이동거리 또는 변위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즉 단말(10)이 시작점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1)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로부터 단말(10)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게 된다. 제어부(11)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로부터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가속도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가속도값을 두 번 적분하여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시작점에 대한 거리와 방향으로부터 단말(10)의 변위를 산출하게 된다. The controller 11 may calculate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by the gyro-acceleration method. Here, the gyro-acceleration method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moving distance or displacement of the terminal 10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 with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is, when the terminal 10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he control unit 11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 calculat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10 from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gyro sensor. The controller 11 calculates the accele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 from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alculates the distance by integrating the calculated acceleration value twice. The control unit 11 calculates the displacement of the terminal 10 from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arting point.

다만 단말(10)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변위값을 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모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placement value by calculat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terminal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rough all the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Can be implemented.

예를 들어, 단말(10)에서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 사용자가 단말(10)을 왼쪽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제어부(11)는 감지부(15)의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로 단말(10)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산출하여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변위값에 대응하는 가수정보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말(10)을 위쪽, 아래쪽 또는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제어부(11)는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변위값에 대응하는 뮤직비디오, 노래가사정보, 앨범정보 등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he terminal 10 to the left while playing the music file on the terminal 10 and displaying the playback scree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the control unit 11 detects the detection unit (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rection and distance in which the terminal 10 moves with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of 15). The mantissa informatio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screen.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 moves upward, downward or right, the control unit 11 calculates a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 and the music video, song lyrics information, album information, etc.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are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display unit 13 are changed and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어 있는 제1컨텐츠는 단일컨텐츠의 일부분이고,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된 제2컨텐츠는 단일컨텐츠의 다른 부분 일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13 may be a part of single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13 may be another part of the single content.

예를 들어 단일컨텐츠가 웹페이지인 경우, 제1컨텐츠가 하나의 웹페이지의 일부분이고, 제2컨텐츠는 하나의 동일한 웹페이지의 다른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페이지를 상하좌우로 스크롤 할 수 있다.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값은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로 정의되는 바, 제어부(11)가 산출한 변위값에 대하여 이동방향은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명령과 대응될 수 있고, 이동거리는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속도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을 오른쪽으로 15cm정도 움직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표시중인 웹페이지는 오른쪽으로 스크롤되며 천천히 스크롤 된다. 반면 사용자가 단말(10)을 오른쪽으로 30cm정도 움직인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표시중인 웹페이지는 오른쪽으로 스크롤되지만, 스크롤되는 속도는 15cm움직인 경우보다 빨리 스크롤 된다.For example, when the single content is a web page, the first content may be part of one web page,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another part of one same web page. In this case, the page may be scrolled up, down,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s defined as a movement direction and a movement distance. The movement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command for scrolling a page with respect to the displacement valu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1, and the movement distance is a page. This may correspond to the speed of scroll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terminal 10 to the right by about 15 cm, the web p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scrolls to the right and slowly scrolls.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moves the terminal 10 to the right by about 30cm, the web p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3 scrolls to the right, but the scrolling speed scrolls faster than the case of 15cm.

또한 단일컨텐츠가 음악재생 컨텐츠인 경우 제1컨텐츠가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컨텐츠이고, 제2컨텐츠는 재생중인 음악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가사정보, 가수정보, 앨범정보 등을 나타내는 컨텐츠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ngle content is music playback content, the first content may be content representing a playback state of the music file,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content indicating lyrics information, artist information, album information,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music file being play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된 제2컨텐츠는 단말(10)에서 기 실행중인 컨텐츠 일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that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may be content that is being executed in the terminal 10.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수개의 컨텐츠를 실행중이고, 제1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중에, 감지부(15)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기 실행중인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 is executing several contents, and while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 if the sensing unit 15 detects the spatial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the previously executed agent is executed. 2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fter being chan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부(15)는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는 방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5 may further include an orient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방위센서는 말 그대로 방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방위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방위센서에는 방위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될 수 있다.A direction sensor is a sensor that senses a direction literally. Azimuth sensors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geomagnetic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a compass like a compass by grasping the flow of magnetic fields on Earth. In addition, the orientation sensor may be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orientation.

이때 제어부(11)는 지도정보를 제1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는 도중에 감지부(15)의 방위센서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1)는 감지한 방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지도정보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by the orientation sensor of the sensing unit 15 while displaying the map information as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 Thereafter,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chang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rientation on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즉 지도정보에 포함된 방위정보를 감지부(15)의 방위센서로 감지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와 서로 동일하도록 매칭하는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외에도 지도정보와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매칭하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이미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at is, the orient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ap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of matching the orientation of the terminal 10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of the sensing unit 15 to be the same as the orient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method of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and the bear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is already known in the art, a number of technique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

여기서 변경된 지도정보는 단말(10)의 방향이 위쪽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도정보가 회전한 형태, 즉 Head-up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10)을 쥐고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단말(10)의 방향이 위쪽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외에도 변경된 지도정보는 북쪽이 위쪽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단말(10)이 향하는 방향만이 변경된 형태, 즉 North-up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변경된 지도정보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changed map information may be a form in which the map information is rotated whil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0 is fixed upward, that is, a head-up form.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o the left while holding the terminal 10, the ma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13 is rotated to the right with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0 fixed upward. In addition, the changed map information may be in a form in which on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10 faces in a state in which the north is fixed upward, that is, a north-up form. In addition, the form of the changed map information may vary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변경된 지도정보는 단말(10)이 위치이동한 방향으로 지도정보가 이동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한 지역의 전체지도에서 현재 지역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10)이 왼쪽으로 위치이동한 경우, 현재 지도정보에서 디스플레이부(13)로 표시되고 있는 지점에서 왼쪽으로 이동한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정보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ged map information may be a form in which the map informat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10 moves. 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current are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in the entire map of an area,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left, at a poi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in the current map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3 may be changed to map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moved to the left and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은 통신부(18) 또는 GPS모듈(19)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8) 또는 GPS모듈(19)를 통해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는 수신한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이미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18 or the GPS module 19,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 or the GPS module 19.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 may reflect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10 on the map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3.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reflecting it on the map information is already known in the art, and many technique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단말(10)의 위치정보는 통신부(18)를 통해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기반방식, GPS모듈(19)을 이용하는 단말기기반방식, 네트워크기반방식과 단말기기반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각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미 한 바 생략한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is a network-based method using a base station received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 a terminal-based method using a GPS module 19, a network-based method and a terminal-based method using a mixture It can be obtained by at least one of the mixing metho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method has already been omitted.

네트워크기반(network-based)방식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위치정확도가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셀 크기와 측정방식에 따라 차이가 많은 특징이 있다. 네트워크기반방식의 예로 Cell ID방식, Enhanced Cell ID방식, AOA(Angle of Arrival)방식, TOA(Time of Arrival)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방식이 있다. Cell ID방식은 가장 단순한 네트워크기반의 위치측위기술로서 사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서비스 셀ID를 통해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Enhanced Cell ID방식은 Cell ID 방식에 기지국과 단말(10) 사이의 거리정보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개선한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AOA(Angle of Arrival)방식은 단말(10)의 신호를 수신한 3개의 기지국에서 신호 수신 각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TOA(Time of Arrival)방식은 단말(10)의 신호를 수신한 한 개의 서비스 기지국과 2개의 주변 기지국들 사이의 신호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방식은 서비스 기지국 신호를 기준으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지연을 측정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The network-based method uses a base station reception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ositional accuracy differs depending on the base station cell size and measuremen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xamples of network-based methods include cell ID, enhanced cell ID, AOA (Angle of Arrival), TOA (Time of Arrival), and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Cell ID method is the simplest network-based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that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service cell I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The enhanced cell ID method is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having improved accuracy by add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10 to the cell ID method. The Angle of Arrival (AOA) method is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using a difference in signal reception angles of three base stations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erminal 10. The time of arrival (TOA) method is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using a difference in signal arrival time between one service base station that receives the signal of the terminal 10 and two neighboring base stations.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is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measuring the signal delay of the adjacent base stations based on the service base station signal.

단말기기반방식은 단말(10)에 장착된 GPS모듈(193)을 통해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기반방식에 비해 위치 정확도는 높으나 높은 빌딩이 많은 도심지역, 산림 숲, 실내에서는 정확한 GPS신호를 받지 못해 위치를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The terminal-based method is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through the GPS module 193 mounted on the terminal 10. Compared with the network-based method, the location accuracy is higher, but the urban area, forest, and indoors where many tall buildings are not a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because they do not receive accurate GPS signals.

네트워크기반방식과 단말기기반방식의 혼합방식은 두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혼합방식으로는 A-GPS방식, DGPS방식, E-OTD방식이 있다. A-GPS(Assisted-GPS)방식은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단말(10)내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고, 단말(10)에서 보낸 정보와 기지국에서 생성된 정보를 혼합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DGPS(Differential GPS)방식은 지상에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는 기준 수신기를 설치하고 이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방식은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단말(10)로 전파를 보내 다시 이 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측정하여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The mixed method of network-based and terminal-based methods is a method of mixing each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wo methods. Mixed methods include A-GPS, DGPS, and E-OTD. In the A-GPS (Assisted-GPS) method, the chip embedded in the terminal 10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satellite and informs the base station, and mixes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terminal 10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1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Differential GPS (DGPS) is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installing a reference receiver that accurately knows the position on the ground, receiving a correction signal from the receiver, correcting an error of the posi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atellite. E-OTD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is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y sending a radio wave from two or mor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10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the time the radio wave is retur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은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입력부(13)로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 감지부(15)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을 변경하지 않고 현재 디스플레이부(13)로 표시하고 있는 컨텐츠의 표시상태를 유지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6 for receiving an input. When the control unit 11 receives the screen fixing input from the input unit 13,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current display without chang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even when the sensing unit 15 detects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Th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displayed in section 13 is maintained.

여기서 입력부로 수신하는 화면고정입력은 키패드입력, 터치패드입력, 화면터치입력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creen fixing input received by the input unit may be a keypad input, a touch pad input, a screen touch inpu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어부(11)가 지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단말(10)을 쥐고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감지부(15)는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고, 단말(10)의 방향이 위쪽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으로 회전한 지도정보가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되어 표시된다. 즉 단말(10)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있으면 제어부(11)는 화면터치입력을 화면고정입력으로 인식한다. 이후 사용자가 단말(10)을 쥐고 계속 회전하여도,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시점의 지도정보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단말(10)의 화면에서 떼어내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지도정보는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라 다시 변경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rotates to the left while holding the terminal 10 while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3, the sensing unit 15 mov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in space. The direc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nd the map information rotated to the right whil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0 is fixed upward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That is, when the terminal 10 rotates to the left side, the ma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rotates to the right side. At this time, if the user touch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with a finger, the controller 11 recognizes the screen touch input as the screen fixing input. Thereafter, even when the user holds the terminal 10 and rotates continuously, the ma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is maintained as the map informa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with a finger. Then, when the user removes the finger from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the ma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is changed again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제1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S31). 그리고 단말(10)은 감지부(15)를 통해 단말(10)의 공간상 위치변화를 감지하게 된다(S33). 이후 단말(10)은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6). 한편 단말이 고정입력을 수신하게 되면(S37)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게 되어도 S36단계에서 변경한 화면을 유지하게 된다(S38). 반면 단말이 고정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종료입력이 없는 경우(S39) 다시 단말(10)의 위치이동을 감지하게 된다(S33). 1 to 3,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S31). In addition, the terminal 10 detects a spatial position change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sensing unit 15 (S33). Thereafter, the terminal 10 changes to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36). 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receives a fixed input (S37), even if the spatial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is detected to maintain the screen changed in step S36 (S38). 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fixed input and there is no end input (S39),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 movement again (S33).

여기서 S37단계는 제2컨텐츠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한 S36단계 이후로 설명하였지만, S31단계 이후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4에서 설명한다.Here, step S37 has been described after step S36 displayed on the screen by changing to second content, but may be set after step S31.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한편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의 제어부(11)는 단말(10)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변위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변위값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각 명령은 변위값에 기 설정되어 단말(10)에 저장되어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모든 기술을 통해 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0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to detect the position movement in spa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 of the terminal 10 calculates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calculates a displacement value therefrom, and displays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You can execute the command displayed on the screen. Each command is preset to a displacement value and is stored in the terminal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cement value may be calculated through all techniques for calculat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제1컨텐츠는 단일컨텐츠의 일부분이고,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된 제2컨텐츠는 단일컨텐츠의 다른 부분 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may be a part of single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hang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may be another part of the single content.

예를 들어 제1컨텐츠가 하나의 웹페이지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컨텐츠인 경우, 제2컨텐츠는 하나의 동일한 웹페이지의 다른부분을 나타내는 컨텐츠일 수 있다. 즉 단말(10)은 화면에 제1컨텐츠를 표시하는 도중(S31), 단말(10)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센서로 위치이동을 감지한다(S33). 그리고 왼쪽으로 스크롤된 웹페이지로 변경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6). 이후 단말(10)이 화면을 터치하는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한 경우(S37) 다시 단말(10)을 오른쪽으로 움직여도 웹페이지는 다시 오른쪽으로 스크롤 되지 않고 S36단계에서 표시된 웹페이지가 그대로 표시되게 된다(S38). 즉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버튼입력을 하지 않고도 단말(10)을 움직임으로써 웹페이지를 상하좌우로 쉽게 스크롤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is content representing a part of one web page, the second content may be content representing another part of one same web page. That is, while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S31), when the terminal 10 moves to the left side,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 movement by the sensor (S33). The web page scrolls to the left an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S36). Then, when the terminal 10 receives the screen fixing input for touching the screen (S37), even if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right again, the web page is not scrolled to the right again and the web page displayed in step S36 is displayed as it is ( S38). That is,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scroll the web page up, down, left, and right by moving the terminal 10 without a separate button in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된 제2컨텐츠는 단말(10)에서 기 실행중인 컨텐츠 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that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may be content that is being executed in the terminal 10.

예를 들어 단말(10)은 수개의 컨텐츠를 실행중이고, 제1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중에(S31), 센서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S33) 기 실행중인 제2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S36). 이때 제2컨텐츠로 화면전환이 되었어도 제1컨텐츠는 여전히 구동되어 단말(10)에서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이 화면을 터치하는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게 되면(S37) 다시 센서로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표시중인 제2컨텐츠를 다른컨텐츠로 변경하지 않고 계속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8). 즉 단말(10)에서 수개의 컨텐츠를 실행중인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버튼입력을 하지 않고 간단히 단말(10)을 공간상 위치이동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쉽고 편하게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10 is executing several contents, and while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S31), if the sensor senses the spatial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S33) The second content being execu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and displayed (S36). At this time, even if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second content, the first content is still driven to enable multi-tasking in the terminal 10. Then, when the terminal 10 receives the screen fixing input for touching the screen (S37), even if the sensor detects the spatial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10 again, the display continues without changing the second content being displayed to other contents. It is displayed on (S38). That is, when the terminal 10 executes several contents,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switch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by simply moving the terminal 10 in spac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button in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된 제2컨텐츠는 제1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록한 컨텐츠 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ent that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may be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신문기사를 보고 있는 중(S31), 단말(10)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단말(10)은 공간상 위치이동을 센서로 감지하게 되고(S33), 현재 보고있는 신문기사와 관련된 다른 신문사들의 신문기사를 획득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6). 이때 각 신문사들은 단말(10)의 상하좌우 공간상 위치이동에 각각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신문기사를 보던 중 화면고정을 위해 화면을 터치하게 되면(S37) 사용자가 단말(10)을 움직이더라도 단말(10)은 현재 표시중인 신문기사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8). 즉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을 하지 않고 간단히 단말(10)을 공간상 위치이동함으로써 현재 보고 있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쉽고 편하게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the user is watching a newspaper art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terminal 10 (S31), when the terminal 10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the terminal 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pace in the sensor ( S33), the newspaper articles of other newspapers related to the newspaper article being viewed are acquir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S36). At this time, each newspaper company may be set to move the posi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space of the terminal 10, respectively. Then,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for screen fixing while viewing the newspaper article (S37), even if the user moves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newspaper articl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as it is (S38). That is,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viewed content by simply moving the terminal 10 in spac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earch.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은 지도정보를 제1컨텐츠로 화면에 표시한다(S31). 그리고 단말(10)은 방위센서를 통해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게 된다(S33). 이후 단말(10)은 감지한 방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지도정보를 제2컨텐츠로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6). 한편 S36단계 이후 또는 S31단계 이후 단말(10)의 화면을 터치하는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S37) 단말(10)은 S33단계의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여도, 이미 표시중이던 지도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38).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as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S31). In addition, the terminal 10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orientation sensor (S33). Thereafter,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chang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rient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as the second content (S36). On the other hand, if after receiving the screen fixed input for touch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after step S36 or after step S31 (S37), even if the terminal 10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in step S33, the map is already displayed The information is maintained without changing the information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S38).

이때 지도정보는 단말(10)의 위치가 반영된 지도정보일 수 있으며, 단말(10)의 위치정보는 통신부(18)로 수신한 기지국 신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기반방식, 단말(10)의 GPS모듈(19)을 이용하는 단말기기반방식 또는 네트워크기반방식과 단말기기반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각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미 한 바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map information may be map information reflect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is a network-based method using a base station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8, GPS module 19 of the terminal 10 It can be obtained by at least one method of a terminal-based method using a) or a hybrid method using a mixture of a network-based method and a terminal-based metho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method has already been omitted.

한편 단말(10)의 공간상 위치변화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가 단말(10)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34), 단말(10)은 컨텐츠서버(20)에 접속하여 제2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S35). 그리고 획득한 제2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S36). 획득한 제2컨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10)의 저장부(17)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라도 컨텐츠 서버(20)로부터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단말(10) 활용도가 높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pace in the terminal 10 is not stored in the terminal 10 (S34), the terminal 10 accesses the content server 20 to obtain the second content. It may be (S35). The obtained secon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by changing it (S36). The obtained second conten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of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ccordingly, even content not stored in the terminal 10 can be obtained from the content server 20,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10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이 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중에(S41), 단말(10)이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S43)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이 감지되어도(S44)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유지하게 된다(S47). 반면에 화면고정입력이 없는 경우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이 감지되면(S45) 감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변경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49). 이때 단말(10)이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43)는 도 3의 S36단계 이후뿐만 아니라 S31단계 이후에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10)이 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41)는 도 3의 S31단계와 S36단계를 포함한다 할 것이다. 여기서 화면고정입력은 화면터치입력, 키패드입력, 터치패드입력, 음성입력 또는 제스처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이 화면고정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입력의 방식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1 to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10 displays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S41), and the terminal 10 receives a screen fixing input (S43). Even if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pace (10) is detected (S44), the currently displayed screen is maintained (S47).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creen fixed input, if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space of the terminal 10 is detected (S45) it is changed to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S49). In this case, the step S43 of receiving the screen fixing input by the terminal 10 may be set after step S31 as well as after step S36 of FIG. 3. That is, the step S41 of displaying the contents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by the terminal 10 may include steps S31 and S36 of FIG. 3. The screen fixing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a screen touch input, a keypad input, a touch pad input, a voice input, or a gesture input. In addition, various inputs may be recognized as a screen fixed input, and the input metho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은 음악파일 재생 창(40)을 제1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중에, 단말(10)을 a위치에서 b위치로 움직이면 단말(10)은 센서를 통해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게 되고 단말(10)은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41)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한다. 또한 단말(10)을 c위치로 움직이면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가사정보(42)를, 단말(10)을 d위치로 움직이면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가수정보(43)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한다. 한편 단말(10)을 e위치로 움직이면 단말(10)은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뮤직비디오(44)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한다.1, 2, and 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music file playback window 40 as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 and displays the terminal 10 as a. When the terminal 10 moves from the position to the b position,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space through the sensor, and the terminal 10 transmits the history information 41 related to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to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Change it to display. Also,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c position, the lyrics information 42 of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is moved, and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d position, the singer information 43 of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is displayed as the second content. Changed to (13) and displayed. Meanwhile,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e position, the terminal 10 changes the music video 44 of the currently playing music file to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and displays i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에서 지도정보(50)를 제1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중에 단말(10)을 a위치에서 b위치로 움직이면 단말(10)은 센서를 통해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게 되고 현재 표시중인 지도정보(50)의 위쪽에 해당하는 지도정보(51)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단말(10)을 e위치로 움직이면 현재 표시중인 지도정보(50)의 아래에 해당하는 지도정보(54)를, 단말(10)을 c위치로 움직이면 현재 표시중인 지도정보(50)의 왼쪽에 해당하는 지도정보(52)를, 단말(10)을 d위치로 움직이면 현재 표시중인 지도정보(50)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지도정보(53)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1, 2, and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a while the map information 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s the first content in the terminal 10. When moving to a position, the terminal 10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in space through a sensor, and changes the map information 51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p information 50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Will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e position, the map information 54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currently displayed map information 50 is moved, and when the terminal 10 is moved to the c position, the left side of the currently displayed map information 50 is moved. If the corresponding map information 52 is moved to the d position of the terminal 10, the map information 53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currently displayed map information 50 is changed to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and displayed. Done.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7 to 8 are screen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esenting content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이 지도정보(60)를 제1컨텐츠로 화면에 표시중에 사용자가 단말(10)을 a위치에서 b위치로 회전시키면, 단말(10)은 방위센서를 통해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은 감지한 방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지도정보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변경된 지도정보는 단말(10)의 방향이 위쪽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도정보가 회전한 형태(61) 또는 지도정보가 고정된 상태에서 단말(10)의 방향이 회전한 형태(62)일 수 있다.1, 2, 7, and 8,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60 on the screen as the first content while the user displays the terminal 10 at the a position. When rotated to the b position, the terminal 10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orientation sensor. Thereafter,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changed map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rientation on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In this case, the changed map information may be a form 61 in which the map information is rotated whil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0 is fixed upward, or 62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0 is rotated while the map information is fixed. hav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입력을 가한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9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of a terminal to which a fixed inpu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도 6,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이 컨텐츠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중에, 단말(10)이 고정입력을 수신하면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이동이 감지되어도 변경한 화면을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고정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말(10)의 공간상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변경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1, 2, 6, and 9,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rminal 10 receives the fixed input while the terminal 10 is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 Even if the position movement in space is detected, the changed screen i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fixed inpu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position of the terminal 10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예컨대 지도정보의 경우, 단말(10)을 도 6의 a위치에서 b위치로 움직여서 변경된 지도정보(51)를 제2컨텐츠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한 이후, 단말(10)이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는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 단말(10)을 b위치에서 도 9의 f위치로 이동하여도 이미 변경된 지도정보(51)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ap information, after the terminal 10 is moved from the a position in FIG. 6 to the b position, the changed map information 5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s the second content, and then the terminal 10 displays the screen. Receiving the screen fixed input to touch, even if the terminal 10 is moved from the position b to the position f of FIG. 9 to maintain the already changed map information 5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해 기술반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의 컨텐츠 표현기술에 관한 것으로,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이용하여 단말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전환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즉 단말에서 컨텐츠 표시중에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라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에 화면고정입력을 하게되면 표시중인 컨텐츠를 변경하지 않고 계속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현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단말의 화면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단말의 활용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presentation technology of a terminal, and provides a technique for switch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erminal by us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space. That i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facilitated by switching to other contents and displaying them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space while displaying the contents on th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screen fixed input to the terminal, the user can use the content without changing the content being displayed, which makes the user's content convenien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content can be easily and quickly identified, and the screen of the terminal can be extended and us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10: 단말 11: 제어부
13: 디스플레이부 15: 감지부
16: 입력부 17: 저장부
18: 통신부 19: GPS모듈
20: 컨텐츠서버 30: 네트워크
10: terminal 11: control unit
13: display unit 15: detection unit
16: input 17: storage
18: communication unit 19: GPS module
20: content server 30: network

Claims (15)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에서 다운로드 한 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컨텐츠중에서 제1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센서를 이용해 공간상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상기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말;
을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시스템.
A content server providing content;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the contents downloaded from the content server,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n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space is detected using a sensor,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 terminal;
Content repres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ncluding a.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A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in space;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ent;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ange and display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sensor detects a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whil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
제2항에 있어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포함한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저장부에서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l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in the storage unit.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urther comprising:
And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by accessing a cont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the obtained second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획득한 상기 제2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torage unit storing the second content acqui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의 위치이동 방향 및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위를 산출하여, 상기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terminal by calculating the position movement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terminal when detecting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in the sensing unit, th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텐츠는 단일컨텐츠의 일부분이고, 상기 제2컨텐츠는 상기 단일 컨텐츠의 다른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tent is a portion of the single content, the second content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ortion of the single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텐츠는 상기 단말에서 기 실행중인 컨텐츠 또는 상기 제1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록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tent is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that is already running in the terminal or content that con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도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도중에,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 및 상기 위치이동에 따른 방위를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방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상기 지도정보를 상기 제2컨텐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ing unit further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controller detects spatial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while the map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s the first content. And displaying the changed map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s the second cont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또는 GPS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도정보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GPS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반영된 지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Communication unit or GPS module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 least one of,
And the map information is map information ref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GPS module.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의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컨텐츠의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even if the input unit receives a screen fixing input, even if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in sp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고정입력은 키패드입력, 터치패드입력, 화면터치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The screen fixing input is at least one of a keypad input, a touch pad input, and a screen touch input.
단말이 제1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단말이 센서로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단말이 감지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로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변경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terminal, the first content on the screen;
A sensing step of detecting, by the terminal,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with a sensor;
A changing step of changing to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screen;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화면고정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의 공간상 위치이동을 감지하여도 변경한 상기 화면을 유지하는 화면고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fter the changing step
A screen fixing step of maintaining the changed screen even if the terminal receives a screen fixing input even if the terminal detects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고정단계에서,
상기 화면고정입력은 음성입력, 제스처입력, 화면터치입력, 키패드입력, 터치패드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위치이동에 따른 컨텐츠 표현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in the screen fixing step,
The screen fixing input is at least one of a voice input, a gesture input, a screen touch input, a keypad input, and a touch pad input.
KR1020100032521A 2010-04-09 2010-04-0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KR201101132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521A KR20110113247A (en) 2010-04-09 2010-04-0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521A KR20110113247A (en) 2010-04-09 2010-04-0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247A true KR20110113247A (en) 2011-10-17

Family

ID=4502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521A KR20110113247A (en) 2010-04-09 2010-04-09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24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254A (en) * 2014-03-13 2015-09-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UI based on motion of th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254A (en) * 2014-03-13 2015-09-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UI based on motion of th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offset information
US9702721B2 (en) Map service with network-based query for search
KR101233534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KR1023254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20160061617A1 (en) Providing in-navigation search results that reduce route disruption
US20110137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geographic coordinates of a point of interest in an image
US90748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service
US201100321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Gesture-Based Directed Search
WO2011080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luttering a mapping display
EP261973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roup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9965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marking objects in images displayed on a portable unit
US20130328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hysically moving a portable unit to view an image of a stationary map
US20160356622A1 (en) Walking Guidance During Transit Navigation
TWI421472B (en)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neighboring points of interes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same
KR20110113247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f terminal by mov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reof
AU2011218683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US20130275042A1 (en) User equipment for displaying map and method for displaying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