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246A -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246A
KR20110113246A KR1020100032520A KR20100032520A KR20110113246A KR 20110113246 A KR20110113246 A KR 20110113246A KR 1020100032520 A KR1020100032520 A KR 1020100032520A KR 20100032520 A KR20100032520 A KR 20100032520A KR 20110113246 A KR20110113246 A KR 2011011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en
input
user
screen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우
신상희
유병철
임민주
김정윤
이유종
박명순
강석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246A/ko
Publication of KR2011011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 통화 수행 중 단말이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에 따라 단말과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동기화시켜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을 얼굴에서 이격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대방과 동일한 화면을 공유할 수 있어 쉽고 효율적으로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통화의 단절없이 사용자간에 정보교환이 보다 쉽게 가능해지게 되어 단말의 활용도와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o synchronize the screen of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의 화면동기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수행 중 단말이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여 단말과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동기화시키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말은 점점 고사양화 되고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의 경우 이동통신망의 발달, 무선컨텐츠의 증가, 휴대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사진촬영, 게임, TV 또는 라디오 방송 수신 등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휴대단말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사업자들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단말을 이용한 통화과정에서 음성통화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경우, 종래에는 영상통화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영상통화를 이용하는 경우 단순한 영상통화만으로는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도 존재하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해서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통화의 단절이 발생되므로 즉각적인 정보전달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식 이외에 좀더 편리한 방식으로 즉각적인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상대방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통화 중 단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와 상대방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 중 단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와 상대방간에 동일한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 수행 중 단말이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여 단말과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동기화시키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은 상대방 단말,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화수행 중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화수행 중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고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통화수행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객체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통화수행 중 상기 센서부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격을 감지한 경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정보를 표시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정보를 표시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상기 입력부로 수신하고, 선택된 상기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 화면동기화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화면동기화 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입력부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동기화 실행여부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후 상기 센서부로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는 지도, 사진, 동영상, 정지화상, 전화번호부, 메시지, 문서 또는 사용자필기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단말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상대방 단말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필기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필기한 입력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상대방 단말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골전도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상대방 단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골전도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스피커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음성입력부로 수신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와 반대의 위상을 갖춘 반대파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센서부로 상기 단말에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함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센서부로 상기 단말에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함,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화면동기화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입력부로 전환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화면동기화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상기 통화 수행 중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상기 단말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격감지단계, 이격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화면동기화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는 실행입력수신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행입력수신단계에서 상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은 음성입력, 제스처입력, 키패드입력 또는 화면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동기화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전환입력을 수신하여 따라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통화단계로 되돌아오는 통화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전환단계에서, 상기 전환입력은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함을 감지한 입력, 키패드입력, 음성입력, 화면터치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단말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화면의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선택된 상기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데이터생성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데이터생성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영역에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필기입력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기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수행 중 단말과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면 단말은 센서를 통해 이격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대방과 동일한 화면을 시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어 상호간의 정보교환이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복잡한 별도의 단말조작 없이 통화 중 단말을 얼굴로부터 떼어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대방과 동일한 화면을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그리고 통화의 단절없이 사용자간에 즉각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화면을 동기화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골전도스피커 또는 반대파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되어 타인에게 사용자의 통화내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은 네트워크(30)를 매개로 연결된 단말(10) 및 상대방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10) 및 상대방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기타 통신기기 등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네트워크(30)는 단말(10), 상대방 단말(2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망 또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3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
단말(10)은 상대방 단말(20)과 통화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 단말(10)의 사용자 얼굴이 단말(10)에서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얼굴이 단말(10)에서 이격됨을 감지하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하게 된다.
화면동기화 모드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네트워크(3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당받은 IP주소는 단말(10) 또는 상대방 단말(20)의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전화번호에 대응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10) 및 상대방 단말(20)의 식별은 IP 주소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화면동기화 모드는 이에 한정되지만은 않으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상용화 될 모든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동기화는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단말(10)이 전송 또는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10)의 화면을 A화면이라 하고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을 B화면 이라고 하면, 양 단말 모두에 A화면이 표시되도록 화면을 동기화 하려는 경우에는 단말(10)이 A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상대방 단말(20)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양 단말에 B화면이 표시되도록 화면을 동기화 하려는 경우에는 단말(10)이 상대방 단말(20)로부터 B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신하여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화면을 동기화하는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와 통화 중에, 약속장소를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 단말(10)에서 얼굴을 이격시키면 단말(10)은 센서로 이격을 감지하고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단말(10)은 단말(10)의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단말(10)에서 지도정보를 실행하면 단말(10)은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한다. 화면데이터를 수신한 상대방 단말(20)에서는 동일한 지도정보가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에 표시되고, 단말(10)의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지도정보를 보며 약속장소를 설명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단순히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정보를 상대방에게 보다 쉽고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10) 및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을 동기화하여 표시한 지도정보는 예시일 뿐이고, 화면을 동기화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컨텐츠들은 다양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10)은 송수신부(12), 센서부(13), 디스플레이부(14) 및 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5), 스피커부(16), 음성입력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2)는 네트워크(30)를 매개로 상대방 단말(20)과 통화를 수행하며 네트워크(3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센서부(13)는 객체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1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단말(10)의 흔들림변화를 더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고도계,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이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정전용량의 변화율을 이용하는 방식, 광원과 빛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수신기를 이용하는 방식, 적외선(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 근접물체를 검출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기술이 근접센서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며 위에서 언급한 방식들은 근접센서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지자기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지자기는 지구가 지니고 있는 자기로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어떤 지점의 지구자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3개의 독립된 성분이 필요하며, 수평분력과 방위각 및 복각이 그에 속한다. 지자기센서에 의한 지구자계의 결정은 X축(가로)센서, Y축(세로)센서, Z축(상하)센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즉 X축 센서와 Y축 센서는 단말(10)의 좌, 우 방향을 감지하고 Z축 센서는 단말(10)의 상, 하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단말(10)의 움직임 방향을 측정한다.
가속도센서는 속도의 변화라고 하는 물리량을 특정하는 센서로, 운동체의 동적 진동변화(가속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대표적으로 압전형 가속도 센서가 있는데, 운동체의 움직임에 의한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의 실리콘 구조가 바뀌게 되고, 실리콘 구조의 변동은 실리콘에 전하를 발생시킨다. 실리콘에 발생되는 전하는 센서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바꾸게 되는데,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그에 상응하는 전압 값으로 변환시키는 원리로서 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원리로써 동작한다.
자이로센서는 회전각가속도센서로 회전하는 각의 수직방향으로 코리올리스 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수직힘을 가속도센서와 마찬가지의 원리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디스플레이부(14)는 단말(10)의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이나 내부 데이터, 정보 또는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액정 등의 표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수단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장치와 표현장치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입력부(15)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입력부(15)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또는 조그 스위치 등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기술발전에 따라 앞으로 구현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의 센서도 필요에 따라 입력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스피커부(16)는 오디오신호 또는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부(16)는 골전도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전도스피커는 골전도 기술을 이용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이다. 골전도 기술이란 골전도 진동자(bone conduction vibrator)를 이용하여 음파가 두개골에 전도되어 직접 내이에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현재 골전도 기술을 이용하여 음파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골전도 기술은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으로 귀를 덮지 않아 사용자의 답답함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출력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한 피로감 및 청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골전도 기술은 청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도 그 기술적 효용이 있다. 또한 골전도 기술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맞닿아 음파를 전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개된 장소에서 이용하여도 사용자와 신체가 직접 맞닿지 않은 타인에게는 음향이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10)을 얼굴에서 이격하여 통화를 수행하여도 주변사람들에게는 통화내용이 전달되지 않고 사용자에게만 통화내용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사생활을 지킬 수 있다.
음성입력부(17)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음성입력부(17)에는 잡음(noise)제거를 위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단말(1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송수신부(12)를 통해 상대방 단말(20)과 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센서부(13)로 단말(10)과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화면동기화는 디스플레이부(14)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숭수신부(12)를 통해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디스플레이부(14) 화면의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입력부(15)로 수신하고, 선택한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특정영역에 대한 화면을 상대방 단말(20)과 동기화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기술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가능한 모든 기술을 통해 화면을 동기화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는 통화중에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11)는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대방 단말(20)로 화면동기화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20)로부터 화면동기화 승인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을 동기화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단말(10)과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 것을 감지한 후,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기 이전에 화면동기화 실행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은 입력부(15)를 통해 수신한 입력이 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로 감지한 단말(1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단말(10)의 흔들림변화 역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통화 수행 중,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면 센서부(13)로 이격을 감지하고, 제어부(11)는 화면동기화 실행여부를 묻거나 화면동기화 실행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부(15)를 통해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하게되면 제어부(11)는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게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10)을 얼굴에서 이격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곧바로 화면동기화 실행을 위한 기능선택을 할 수 있어 복잡한 메뉴조작이 필요없게 된다.
또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통화 수행 중,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면 센서부(13)로 이격을 감지한다. 그리고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10)을 꽉 감지한 변화는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제어부(11)는 상대 쥐면 센서부(13)로 단말(1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13)는 단말(1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손아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는 해당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한 압력변화를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이격을 감지한 후 센서부(13)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을 인식하면 감지한 압력변화를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센서부(13)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압력이 일정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만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을 손에 쥔 상태에서 대략 1 psi 내지 20 psi의 압력이 단말(10)에 전달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임계치를 30 psi로 설정하고, 30 psi 미만의 압력에서 30 psi를 초과한 압력으로의 변화를 단말(10)이 센서부(13)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면, 감지한 압력변화를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계치 압력을 30 psi로 가정하였으나, 그 값은 30 psi 미만 또는 초과의 어떠한 값도 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이 센서부(13)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압력은 사용자의 손아귀 전체에서 인식되는 압력의 평균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아귀 일부분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압력센서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인식한 압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13)는 단말(10)의 흔들림변화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는 해당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단말(10)의 흔들림변화를 감지하면, 제어부(11)는 감지한 흔들림변화를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할 수 있다. 각 센서에 대한 설명은 이미 한 바 생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가 이격을 감지한 후 사용자가 단말(10)를 손에 쥐고 일정방향으로 왕복하는 단말(100)의 흔들림변화를 센서부(13)를 통해 감지하면, 감지한 변화를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일회성 진동을 감지한 제어부(11)가 단말(10)의 흔들림변화를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복잡한 메뉴조작없이 통화수행 중 단순히 얼굴을 단말(10)에서 이격시키고 단말(10)을 꽉 쥐거나 흔드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동기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정보는 지도, 사진, 동영상, 정지화상, 전화번호부, 메시지, 문서 또는 사용자필기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10)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통화로 약속장소를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 약속장소를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 통화수행 중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이격시키면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됨을 감지한다. 그리고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부(14)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수신부(12)를 통해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한다. 상대방 단말(20)은 화면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말(10)의 화면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은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양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가 지도정보인 경우, 단말(10)의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지도정보를 보며 약속장소를 보다 쉽게 설명해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단순히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정보를 상대방에게 보다 쉽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고 통화의 단절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또는 단말(10)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통화로 어떤 물건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말로는 물건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한 경우, 통화수행 중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이격시키면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됨을 감지한다. 그리고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10)에서 기 실행한 뷰어에 표시된 물건의 사진이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에 표시되고, 단말(10)의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사진을 보며 물건에 대한 설명을 해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는 화면을 동기화한 후,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입력부(15)로 입력을 수신하면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을 표시한 화면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디스플레이부(14) 화면에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는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10)의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지도정보의 특정지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하게 되면 선택한 특정지역으로 이동한 지도정보가 디스플레이부(14)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특정지역으로 이동한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고, 결과적으로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에 동일한 지도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이때 단말(10)은 화면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 화면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하지 않고, 단말(10)이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한 뒤, 단말(10)이 입력을 수신하면 비로소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이 표시된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 화면을 동기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단말(10)의 터치스크린에 필기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1)는 필기한 입력이 표시된 화면을 상대방 단말(20)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을 동기화 하는 방법으로는 터치스크린에 필기한 입력을 포함한 화면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화면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10)의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도정보의 특정부분에 동그라미를 그리는 입력을 하게 되면 제어부(11)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4)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즉 지도정보와 동그라미가 중첩된 이미지를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송수신부(12)를 통해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정보를 공유하며 시각적으로 부가정보를 더 전할 수 있게되어 정보전달의 효율성이 높아진다.또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양 사용자가 특정정보를 음성이 아닌 필기로 주고받으려고 할 때, 단말(10) 의 터치스크린에 글씨를 쓰는 입력을 하게 되면 단말(10)은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에 글씨가 동일하게 표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는 서로 필기로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피커부(16)는 골전도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송수신부(12)를 통해 수신하면 스피커부(16)의 골전도스피커를 통해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할 수 있다. 골전도스피커는 골전도 기술을 이용하여 음파를 전달하는 스피커이다. 골전도 기술이란 골전도 진동자(bone conduction vibrator)를 이용하여 음파가 두개골에 전도되어 직접 내이에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미 한 바 생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10)을 얼굴에서 이격하여 통화를 수행하여도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 음성이 주변사람들에게는 전달되지 않고 단말(10)의 사용자에게만 전달되어 통화내용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는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음성입력부(17)로 단말(10)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를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10)의 사용자 음파와 반대의 위상을 갖춘 반대파를 스피커부(16)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중으로 단말(10)의 사용자 음파와 함께 상기 반대파가 함께 전달되면서, 단말(10)의 사용자 음파와 반대파가 서로 상쇄되어, 주변 사람은 단말(10)의 사용자 음성을 들을 수 없게 된다. 이때, 단말(10)의 사용자 음성은 상쇄 작용에 의해 들리지 않는 것일 뿐, 공중을 통해 여전히 전달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단말(10)의 사용자 음성은 음성입력부(17)의 마이크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10)을 얼굴에서 이격하여 통화를 수행하여도 단말(10)의 사용자 음성이 주변사람들에게는 전달되지 않고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만 전달되어 통화내용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단말(10)에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함을 감지하면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10)을 귀에 가져다 대면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함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으로 인식하고 자동으로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이때 통화는 종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는 계속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10)을 얼굴에 가져다 대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화면동기화를 종료하고 통화를 계속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단말(1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단말(10)의 흔들림변화를 감지하면 상대방 단말(20)과의 화면동기화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3)는 압력변화 또는 흔들림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지자기센서,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미 한 바 생략한다.
예를 들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10)을 꽉 쥐면 제어부(11)는 센서부(13)의 압력센서로 단말(1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임계치 이상의 압력을 인식하면 이를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으로 인식하고 자동으로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지도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10)의 사용자가 단말(10)을 흔들게 되면 센서부(13)는 가속도센서로 흔들림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이를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으로 인식하고 자동으로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통화는 종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는 계속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버튼조작 없이 단말(10)을 꽉 쥐거나 흔드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화면동기화를 종료하고 통화를 계속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입력부(15)로 전환입력을 수신하여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 이때 전환입력은 키패드를 통한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기술발전에 따라 앞으로 구현가능한 모든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이 화면동기화 종료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상대방 단말(20)의 구성 및 기능은 단말(10)과 동일하므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은 상대방 단말(20)과 통화연결을 하고(S61),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S63). 그리고 통화 수행 중(S63) 단말(10)은 센서부(13)를 통해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S65). 그리고 이격을 감지하면 단말(10)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S67). 이후 단말(1)은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게 된다(S69).
예를 들어 단말(10)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통화로 약속장소를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 약속장소를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 통화수행 중(S63)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이격시키면 단말(10)은 센서부(13)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됨을 감지한다(S65). 그리고 단말(10)은 자동으로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게 되고(S67)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 하여(S69)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방 단말(20)에서 실행한 지도정보가 디스플레이부(14)에 동일하게 표시되고, 단말(10)의 사용자는 지도정보를 보며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로부터 약속장소에 대한 설명을 듣게 된다. 이때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 동기화는 디스플레이부(14)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숭수신부(12)를 통해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 기술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가능한 모든 기술을 통해 화면을 동기화 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간의 정보교환이 더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단말(1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수행 중(S63) 단말(10)이 센서부(13)를 통해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 것을 감지한 이후(S65)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S66)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7). 이때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은 키패드입력, 음성입력, 화면터치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재 상용화 되었거나 기술발전에 따라 상용화 될 모든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20)의 사용자에게 통화로 약속장소를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 약속장소를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 통화수행 중(S63)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이격시키면 단말(10)은 센서부(13)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됨을 감지한다(S65).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에 화면동기화 실행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면(S66)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되고(S67) 단말(10)은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게 된다(S69).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10)을 얼굴에서 이격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곧바로 화면동기화 실행을 위한 기능선택을 할 수 있어 복잡한 메뉴조작이 필요없게 된다.
또는 통화수행 중(S63) 단말(10)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이격시키면 단말(10)은 센서부(13)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됨을 감지한다(S65). 이후 사용자가 단말(10)을 꽉 쥐거나 흔들게되면 단말(10)은 센서부(13)를 통해 압력변화 또는 흔들림변화를 감지하여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으로 인식하고(S66)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7).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복잡한 메뉴조작없이 통화수행 중 단순히 얼굴을 단말(10)에서 이격시키고 단말(10)을 꽉 쥐거나 흔드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동기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또한 화면을 동기화하고 나서(S67) 단말(10) 또는 상대방 단말(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발생하면(S71)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이 표시된 화면을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S73).
이때 출력은 단말(10)에서 컨텐츠 제어를 위한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 또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 내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화면을 동기화하여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S69), 단말(10)의 사용자가 지도정보의 특정부분에 동그라미를 그리는 입력을 하게 되면(S71) 단말(10)은 지도정보와 동그라미가 중첩된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에 동그라미가 그려진 지도정보가 동일하게 표시되게 된다(S73).
한편 화면을 동기화한 후(S69) 단말(10)은 통화종료입력을 수신하여(S77) 상대방 단말(20)과의 통화수행을 종료할 수도 있고, 전환입력을 수신하여(S75)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고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63)로 돌아올 수 있다.
이때 전환입력은 단말(10)이 센서부(13)로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함을 감지한 입력, 키패드입력, 음성입력, 화면터치입력 또는 제스처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전환입력은 구현 가능한 모든 입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은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여(S81) 상대방 단말(20)과 화면동기화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화면동기화 모드는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네트워크(3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당받은 IP주소는 단말(10) 또는 상대방 단말(20)의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전화번호에 대응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10) 및 상대방 단말(20)의 식별은 IP 주소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화면동기화 모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상용화 될 모든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단말(10)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이후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표시한 단말(10)의 화면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S82), 선택된 화면의 특정영역을 캡쳐하여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S83). 그리고 생성한 화면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S85) 화면을 동기화 하게 된다(S87). 이때 단말(10)은 선택된 단말(10)의 화면 특정영역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캡쳐하여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대방 단말(20)로 생성한 화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이 상대방 단말(20)로 화면데이터를 전송하고, 이후 단말(10)에 화면의 다른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 다시 선택된 화면의 특정영역을 캡쳐하여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이 상대방 단말(20)로 화면데이터를 전송하여 화면을 동기화 한 이후, 단말(10)의 터치스크린에 필기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10)은 필기한 입력이 표시된 화면을 상대방 단말(20)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을 동기화 하는 방법으로는 터치스크린에 필기한 입력을 포함한 화면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화면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1,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이 통화수행 중, 단말(10)의 사용자가 얼굴에서 단말(10)을 이격시키면 제어부(11)는 센서부(13)로 이격을 감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에 화면동기화 실행여부를 묻는 팝업창(41)을 표시하게 된다. 이후 단말(10)이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은 동일한 지도정보(51)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10)의 화면에 목적지와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터치펜 등으로 표시하게 되면 목적지와 경로가 표시된 지도정보(52)가 단말(10)과 상대방 단말(20)의 화면에 동일하게 표시되게 된다.
도 1, 도 2,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은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지도정보(53)를 단말(10)의 화면에 표시중에 사용자로부터 단말(10)의 화면 특정영역(54)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선택된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20)과 화면을 동기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20)에서는 화면크기에 맞게 확대된 특정영역(55)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단말(10)의 화면 특정영역에 필기하는 입력이 발생한 경우, 필기한 입력을 포함한 화면의 특정영역을 캡쳐하여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대방 단말(20)로 전송하여 화면을 동기화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기술에 관한 것으로, 통화 수행 중 단말을 얼굴로부터 이격시키면 근접센서로 이격을 감지하여 통화중인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게 된다. 이때 이격을 감지한 후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쉽게 상대방과 정보교환을 할 수 있고, 통화수행 중 별도의 단말조작 없이 손쉽게 화면동기화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통화의 단절 없이 원하는 화면을 통화수행 중에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어 단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통신사 입장에서는 단말의 사용빈도 증가에 따라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10: 단말 11: 제어부
12: 송수신부 13: 센서부
14: 디스플레이부 15: 입력부
16: 스피커부 17: 음성입력부
20: 상대방 단말 30: 네트워크

Claims (24)

  1. 상대방 단말;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화수행 중 사용자의 얼굴에서 이격되면 이를 감지하고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단말;
    을 포함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2. 통화수행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객체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과 통화수행 중 상기 센서부로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격을 감지한 경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정보를 표시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정보를 표시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상기 입력부로 수신하고, 선택된 상기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의 화면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로 화면동기화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화면동기화 승인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7. 제2항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입력부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동기화 실행여부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로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센서부로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는 지도, 사진, 동영상, 정지화상, 전화번호부, 메시지, 문서 또는 사용자필기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1. 제2항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단말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상대방 단말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필기하는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필기한 입력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상대방 단말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3. 제2항에 있어서,
    골전도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상대방 단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골전도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4. 제2항에 있어서,
    스피커부; 및
    상기 단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음성입력부로 수신한 상기 단말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와 반대의 위상을 갖춘 반대파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센서부로 상기 단말에 상기 단말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함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또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센서부로 상기 단말에 상기 단말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함, 상기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단말의 흔들림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7. 제2항에 있어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입력부로 전환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18. 단말이 상대방 단말과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단계;
    상기 통화 수행 중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상기 단말 사용자의 얼굴이 이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격감지단계;
    이격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화면동기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단계는, 상기 이격을 감지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을 수신하는 실행입력수신단계; 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입력수신단계에서,
    상기 화면동기화 실행입력은 음성입력, 제스처입력, 키패드입력 또는 화면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동기화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전환입력을 수신하여 따라 화면동기화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통화단계로 되돌아오는 통화전환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전환단계에서,
    상기 전환입력은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함을 감지한 입력, 키패드입력, 음성입력, 화면터치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3. 단말이 화면동기화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화면의 특정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선택된 상기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데이터생성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화면데이터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화면을 동기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데이터생성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선택된 상기 특정영역에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필기입력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기 특정영역을 캡쳐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1020100032520A 2010-04-09 2010-04-09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KR20110113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520A KR20110113246A (ko) 2010-04-09 2010-04-09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520A KR20110113246A (ko) 2010-04-09 2010-04-09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246A true KR20110113246A (ko) 2011-10-17

Family

ID=450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520A KR20110113246A (ko) 2010-04-09 2010-04-09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2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514A (ko) * 2014-06-20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108431A1 (ko)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514A (ko) * 2014-06-20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108431A1 (ko)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265557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udio output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EP298724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20200257433A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6220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367889B1 (ko) 이동 단말기
WO2021036623A1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13094271A1 (ja) 情報表示装置
WO2019223569A1 (zh) 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4686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75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8900698A (zh) 控制终端的方法、可穿戴设备、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WO2012029943A1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送信方法
CN109886000B (zh) 一种图像加密方法及移动终端
WO2022252823A1 (zh) 直播视频生成方法及装置
WO2020220893A1 (zh) 截图方法及移动终端
WO2021147583A1 (zh) 智能设备间的相对角度确定方法、装置、系统和智能设备
KR20150110319A (ko)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00090260A (ko)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253377A1 (zh) 终端定位方法及移动终端
KR1016853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22550757A (ja) メモ情報表示方法、メモ情報送信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10113246A (ko) 단말의 화면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CN109543193B (zh) 一种翻译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