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14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145A
KR20110113145A KR1020110032235A KR20110032235A KR20110113145A KR 20110113145 A KR20110113145 A KR 20110113145A KR 1020110032235 A KR1020110032235 A KR 1020110032235A KR 20110032235 A KR20110032235 A KR 20110032235A KR 20110113145 A KR20110113145 A KR 2011011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tact
cable
hol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6524B1 (en
Inventor
다카시 기요오카
순스케 하시모토
다쿠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택트(40)의 고정측 콘택트부(41)는, 일측에 고정측 접촉부(44)가, 타측에 지지 암부(45)가 설치됨과 더불어, 콘택트(40)의 가동측 콘택트부(42)는, 일측에 고정측 접촉부(44)에 대향하는 가동측 접촉부(46)가, 타측에 지지 암부(45)에 대향하는 스프링부(4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60)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 회동시켰을 때에, 당해 레버(60)의 닫힘 위치로의 회동 도중에, 스프링부(47)의 일부가 하우징 내벽(32)에 접촉하도록 했다.As for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1 of the contact 40,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4 is provided in one side, the support arm part 45 is provided in the other side,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of the contact 40 is, On one side,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facing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 is provided with a spring portion 47 opposite the support arm portion 45 on the other side. When the lever 60 was rotat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a part of the spring portion 47 wa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inner wall 32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60 to the closed position.

Figure P1020110032235
Figure P1020110032235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종래, 커넥터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2004-319349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로 표기한다)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FPC나 FFC 등의 케이블에 형성된 도체에 접촉하는 콘택트와, 당해 콘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레버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as a connector,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31934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 contact for contacting a conductor formed on a cable such as an FPC or FFC, and the contact It is known to have a housing and a lever tha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housing.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콘택트는, 하우징의 바닥 벽부에 올려지는 고정측 콘택트와, 고정측 콘택트에 대향하는 가동측 콘택트와, 고정측 콘택트의 중간부와 가동측 콘택트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Patent Document 1, the contact includes a fixed side contact that is placed on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a movable side contact that faces the fixed side contact, and a coupling spr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ed side contact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movable side contact. Equipped.

또, 가동측 콘택트의 일단측에는, 레버에 형성한 캠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movable side contact,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cam portion formed in the lever is provided.

이 레버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캠부에 의해 가동측 콘택트의 일단측이 휘고, 가동측 콘택트의 일단측의 휨에 따라 탄력성을 가지는 연결 스프링부도 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측 콘택트의 일단측 및 연결 스프링부를 휘게 함으로써, 가동측 콘택트의 타단측과 고정측 콘택트의 타단측이 가까워지도록 콘택트를 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동측 콘택트의 타단측과 고정측 콘택트의 타단측이 가까워지도록 콘택트를 휘게 함으로써, 가동측 콘택트의 타단측과 고정측 콘택트의 타단측으로 케이블을 압착하여 사이에 끼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When this lever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one end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is bent by the cam portion, and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also bent due to the bending of the one end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The contact is bent so that the other end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bending the one end side and the connection spring of the movable side contact. Thus, by bending the contact so that the other end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are close, the cable is crimped and held between the other end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동측 콘택트부의 휨에 의해 콘택트에 생기는 응력이 연결 스프링부에 국소적으로 집중해 버리고, 연결 스프링부가 소성 변형에 의해 주저앉아 버릴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contact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is concentrated locally in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may collapse due to plastic deformation.

그래서, 본 발명은, 콘택트의 연결 스프링부가 주저앉아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n,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connector which can suppress that the connection spring part of a contact falls down.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케이블과 도통 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와, 당해 콘택트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이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봉 형상의 고정측 콘택트부와, 상기 고정측 콘택트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봉 형상의 가동측 콘택트부와, 상기 고정측 콘택트부와 상기 가동측 콘택트부를 길이 방향의 중간부끼리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콘택트부의 일측에 고정측 접촉부가, 타측에 지지 암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측 콘택트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측 접촉부에 대향하는 가동측 접촉부가, 타측에 상기 지지 암부에 대향하는 스프링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 회동시켰을 때에, 당해 레버의 닫힘 위치로의 회동 도중에, 상기 스프링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벽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ductive contac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able, an insulating housing in which the contact is received and the cable is inserted therein, and a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The connector is a rod-shaped fixed side contact portion, a rod-shaped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provided to face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in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upling spring portion for connecting with each other,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the support arm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facing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on one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the other side. The spring part which opposes the said support arm part is provided in this, and the said lever is moved from an open position to a closed position. When rota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spr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to the closed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레버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케이블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지 금구(金具)가 추지축(樞支軸)을 덮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지 금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레버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레버가 회동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레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레버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레버가 회동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레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지 단자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지 단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레버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레버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레버가 벗어남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점 쇄선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l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4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d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holding shaft.
5 is a view showing a hold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the open position, and (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the middle of rotation. (c)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a lever is in a closed posi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an open position.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the middle of rota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terminal and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the open position, and (b) is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leve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moved to the disengagement direc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dashed-dotted line part in FIG. 11.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connector shown as a comparative example of this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케이블 삽입 이탈 방향을 전후 방향(X), 하우징의 길이 방향(콘택트의 병설 방향:케이블 삽입 이탈 방향 및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Y), 하우징의 두께 방향(삽입한 케이블의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케이블을 삽입할 때에 케이블이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 케이블을 이탈할 때에 케이블이 이동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고, 하우징에 장착한 레버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커넥터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방을 상방으로 하여 상하 방향을 규정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the cable insertion / extraction direction is the front-rear direction (X),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contact: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able insertion-extraction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inserte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ble) will be described as the vertical direction (Z).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moves when the cable is inserted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moves when the cable is separated is backward. The upward direction is specified with the upward direction.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나 FFC 등의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시트 형상의 케이블(2)이 삽입되는 절연성의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insulating housing 30 in which the sheet-shaped cable 2 which has the surface and back surface, such as FPC and FFC, is inserted.

이 시트 형상의 케이블(2)의 삽입 단부(2a)(도 3 및 도 10 참조)에는, 도체(2b)가 폭 방향(Y)으로 소정의 등피치로 복수 노출되어 있음과 더불어, 도체(2b)의 폭 방향(Y) 양단에는, 유지 구멍(2c)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nductor 2b is exposed to the insertion end 2a (refer FIG. 3 and FIG. 10) of this sheet-like cable 2 by predetermined equal pitch in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conductor 2b Holding holes 2c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그리고,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케이블(2)의 도체(2b)에 도통 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40)가 폭 방향(Y)으로 소정의 등피치로 복수 병설되어 있음과 더불어, 폭 방향(Y)으로 복수 병설된 콘택트(40)의 폭 방향(Y) 양단에, 콘택트(40)와 거의 같은 형상의 유지 단자(5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유지 단자(50)를 케이블(2)의 유지 구멍(2c)에 걸어맞춤으로써 하우징(30) 내에 삽입한 케이블(2)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ductive contacts 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s 2b of the cable 2 are provided in the housing 30 at predetermined equal pitches in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width direction ( On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ontact 40 arranged in parallel by Y), the holding terminal 50 of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contact 40 is attached,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holding terminal 50 is engaged with the holding hole 2c of the cable 2 to hold the cable 2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또, 하우징(30)에는, 절연성의 레버(60)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60)는,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2)을 하우징(30)에 삽입할 수 있는 열림 위치(도 6에 나타내는 상태)와, 하우징(30)에 삽입한 케이블(2)을 콘택트(40)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닫힘 위치(도 8에 나타내는 상태)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다.Moreover, the insulating lever 60 is attached to the housing 30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 to 8, the lever 60 is in an open position (state shown in FIG. 6) in which the cable 2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and the housing 30. It is attached to the housing 30 so that the inserted cable 2 can be rotat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s (state shown in FIG. 8) hold | maintained between the contacts 40. As shown in FIG.

하우징(3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30)의 후부(도 6의 좌측:케이블 삽입 이탈 방향의 이탈측)에는, 케이블(2)을 후방으로부터 삽입하는 주머니 형상의 케이블 수입부(삽입구)(31)가 상하 방향(Z)의 대략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3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and a pocket for inserting the cable 2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30 (the left side in FIG. 6: the release side in the cable insertion / extraction direction) of the housing 30. A cable import portion (insertion opening) 31 having a shape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Z. As shown in FIG.

이 케이블 수입부(31)는, 천정 벽부(32)와, 바닥 벽부(33)와, 하우징(30) 후부의 폭 방향(Y) 양단에 형성된 양측 벽부(34, 34)로 이루어져 있고,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This cable import part 31 consists of the ceiling wall part 32, the bottom wall part 33, and the both side wall parts 34 and 34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Y both ends of the rear part of the housing 30, and are rearward It is open.

또, 하우징(30)의 전부의 폭 방향(Y) 양단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34, 34)보다도 폭 방향(Y) 외측에 위치하는 전측벽부(한 쌍의 세로 벽부)(34a, 3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측벽부(34a, 34a)의 내측에, 바닥 벽부(34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0)의 전부에는, 전측벽부(34a, 34a)와 바닥 벽부(34e)로 이루어지고, 상방 및 전방으로 개방된 레버 장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 장착부(35)에는, 레버(6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front side wall part (a pair of vertical wall part)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Y outer side rather than the side wall parts 34 and 34 as shown in FIG. ) 34a and 34a are formed, and the bottom wall part 34e is formed inside this front side wall part 34a and 34a. And all the housings 30 are formed with the front wall parts 34a and 34a and the bottom wall part 34e, and the lever mounting part 35 opened upward and forward is formed. The lever 60 is attached to this lever mounting part 35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또한, 레버 장착부(35)의 폭 방향(Y) 양단부에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방된 베어링부(3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부(35a)는, 하우징(30)의 폭 방향(Y)으로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부(35a)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34)와 전측벽부(34a)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34f)의 내측 후면(34b)과, 바닥 벽부(34e)의 폭 방향(Y) 양단부의 바닥면(34c)과, 전측벽부(34a)의 내측 측면(34d)으로 이루어져 있다.Moreover, the bearing part 35a opened upward and forward is formed in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lever mounting part 35, and this bearing part 35a is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 Facing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bearing portion 35a includes an inner rear face 34b of the connecting wall portion 34f connecting the side wall portion 34 and the front wall portion 34a, It consists of the bottom surface 34c of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bottom wall part 34e, and the inner side surface 34d of the front side wall part 34a.

또, 레버(60)는, 하우징(30)의 레버 장착부(35)에 수용 가능한 판 형상의 부재이며, 이 레버(60)도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60)의 폭 방향(Y) 양단면의 기단측(레버(60)의 일단부측)에는 추지축(61)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레버(60)의 본체(레버(60)의 타단부측)는, 레버(60)를 개폐 조작(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2)로 되어 있다.Moreover, the lever 60 is a plate-shaped member which can be accommodated in the lever mounting part 35 of the housing 30, and this lever 60 is also formed with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1 and 2, the holding shaft 61 protrudes from the base end side (one end side of the lever 60) of the width direction Y both end surfaces of the lever 60, respectively. Moreover, the main body (the other end side of the lever 60) of the lever 60 is the operation part 62 for opening / closing (rotating operation) of the lever 60. As shown in FIG.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30)의 전방(케이블 수입부(31)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레버(60)의 폭 방향(Y) 양단의 추지축(61)을 하우징(30)의 폭 방향(Y) 양단의 베어링부(35a)에 올림과 더불어,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하우징)(34f)에 부착함으로써, 하우징(30)의 레버 장착부(35)에, 레버(60)를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도 1 및 도 4 참조).In this embodiment, the holding shaft 61 of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lever 60 is moved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30 (opposite to the cable import part 31) to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housing 30. In addition to being raised to the bearing portions 35a at both ends, the holding bracket 70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wall portion (housing) 34f to open and close the lever 60 to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of the housing 30. ) Is attached as possible (see FIGS. 1 and 4).

유지 금구(7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는 본체부(7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71)의 전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차입편(差入片)(차입고정부)(71a)이 연장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본체부(71)의 후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지지편(71b)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본체부(71)의 전방에는, 위가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클로우 형상의 추지축 덮개부(71c)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olding bracket 70 is formed of a metal thin plate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7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while the insertion piece (charging fixation part) 71a is extended and installed downward from the whole of the main-body part 71, and the support piece 71b from the rear part of the main-body part 71 downward. ) Is extended and provided, and the front of the main-body part 71 is provided with the claw-shaped claw-shape cover part 71c curved so that the stomach may become convex, and extends toward the front.

그리고, 이 추지축 덮개부(71c)가 추지축(61)의 상방 및 전방(케이블(2)의 삽입 이탈 방향의 일단측)을 덮도록,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34f, 34f)에 부착하고 있다.Then, the holding bracket 70 is connected to the wall portions 34f and 34f so that the holding shaft cover portion 71c covers the upper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holding shaft 61 (one end of the insertion and dismounting direction of the cable 2). Is attached to.

구체적으로는, 연결 벽부(34f, 34f)에, 차입편(차입고정부)(71a)이 삽입되는 삽입 통과 구멍(오목부)(34g)을 형성하고, 당해 삽입 통과 구멍(오목부)(34g)에 차입편(차입고정부)(71a)을 상방으로부터 압입(차입)함으로써,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34f, 34f)에 부착하고 있다. Specifically, an insertion passage hole (concave portion) 34g is formed in the connecting wall portions 34f and 34f into which the insertion piece (borrow fixing portion) 71a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passage hole (concave portion) 34g is provided. ), The holding bracket 70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wall portions 34f and 34f by press-fitting (boring) the borrowing piece (boring and fixing portion) 71a from abov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입편(차입고정부)(71a)과 지지편(71b)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71d) 내에 연결 벽부(34f)의 후벽부(34h)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차입편(차입고정부)(71a)과 지지편(71b) 사이에 후벽부(34h)를 끼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rear wall part 34h of the connection wall part 34f is inserted in the recessed part 71d formed between the borrowing piece (charging fixing part) 71a and the support piece 71b, The rear wall portion 34h is sandwiched and held between the borrowing piece (boring and fixing portion) 71a and the support piece 71b.

또한, 차입편(차입고정부)(71a)에는, 전후 방향 양단에 돌기(71e, 71e)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71e, 71e)를 각각 삽입 통과 구멍(34g)의 내면(후벽부(34h)의 전면 및 전벽부(34i)의 후면)에 파고들게 하도록 압입함으로써,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34f, 34f)에 걸어 고정하고 있다. Moreover, the projections 71e and 71e are provided in the borrowing piece (borrowing part) 71a at the front-back direction both ends. Then, the protrusions 71e and 71e are press-fitted into the inner sur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wall portion 34h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portion 34i) of the insertion hole 34g, respectively, to connect the retaining brackets 70. It is fixed to the wall parts 34f and 34f.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입편(차입고정부)(71a)과 지지편(71b) 사이에 후벽부(34h)를 끼워 유지함으로써, 당해 유지 금구(70)가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돌기(71e, 71e)를 각각 삽입 통과 구멍(34g)의 내면에 파고들게 하도록 압입함으로써, 추지축 덮개부(71c)에 상방으로의 하중이 생겼을 때에, 당해 유지 금구(70)가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holding | maintenance of the back wall part 34h between the borrowing piece (borrowing-fixing part) 71a and the support piece 71b is suppressed that the holding | maintenance bracket 70 falls out. Moreover, by press-fitting the projections 71e and 71e to penetrate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ssage hole 34g, respectively, the holding bracket 70 is released from the load when the load on the holding shaft cover portion 71c is generated upward. I suppress it.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34f, 34f)에 부착함으로써, 추지축(61)의 외주가, 추지축 덮개부(71c), 내측 전면(34b) 및 바닥면(34c)으로 덮이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nd FIG. 5, by attaching the holding bracket 70 to the connection wall parts 34f and 34f,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ing shaft 61 becomes the holding shaft cover part 71c. And the inner front face 34b and the bottom face 34c are covered.

따라서, 추지축(61)은, 상방 및 전방으로의 이동이, 추지축 덮개부(71c)에 의해 규제되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내측 전면(34b)에 의해 규제되고, 하방으로의 이동이, 바닥면(34c)에 의해 규제되게 된다. 즉, 추지축 덮개부(71c)에 전방으로의 하중이 생겼을 때에, 추지축(61)이, 베어링부(35a)가 개방되어 있는 상방 또는 전방(케이블 삽입 이탈 방향 일단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당해 이동을 유지 금구(70)에 의해 규제함으로써,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Therefor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holding shaft 61 is regulated by the holding shaft cover portion 71c, the movement to the rear is regulated by the inner front face 34b, and the movement downward. It is regulated by the bottom surface 34c. That is, when a load in the front of the holding shaft cover portion 71c is generated, and the holding shaft 61 is moved upward or forward (one end of the cabl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bearing portion 35a is opened, By restricting the movement by the holding bracket 70, the lever 60 is restrained from escaping from the housing 30.

또, 만일 레버(60)가 콘택트(40)로부터 벗어나 버렸다고 해도, 유지 금구(70) 및 하우징(30)에 의해, 추지축(61)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를 유지 금구에 걸어 맞춤과 더불어 콘택트에 걸어 맞춤으로써 레버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벗어남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없고, 유지 금구(70)만으로 레버(60)의 하우징(30)으로부터의 벗어남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lever 60 is disengaged from the contact 40, since the holding bracket 70 and the housing 30 restrict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lding shaft 61, the lever The departure of the 60 from the housing 30 is suppressed. Thus,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be able to suppress the deviation of the lever from the housing by engaging the lever with the holding bracket and engaging the contact, and the housing of the lever 60 only with the holding bracket 70. Deviation from (30)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지축 덮개부(71c)를 추지축(61)의 직경보다도 큰 곡율 반경으로 만곡시킴으로써,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34f, 34f)에 부착했을 때에, 추지축 덮개부(71c)와 추지축(6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금구(70)는, 추지축 덮개부(71c)가 추지축(61)의 상방 및 전방(케이블(2)의 삽입 이탈 방향 일단측)을 비접촉 상태로 덮을 수 있도록, 연결 벽부(34f, 34f)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추지축(61)의 회동이 저해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추지축(61)을 원활히 회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추지축(61)의 회동을 확보하기 위해서 절삭 가공하는 등의 고정밀도의 치수 관리가 불필요해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holding | maintenance bracket 70 is affixed to the connection wall part 34f, 34f by bending the holding | gripping shaft cover part 71c by the curvature radiu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ding | gripping shaft 61,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id portion 71c and the holding shaft 61.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ing bracket 70 can cover the top of the holding shaft 61 and the front side (one end side in the insertion and dismounting direction of the cable 2) in a non-contact state. And connection walls 34f and 34f. Therefore, it is suppressed that rotation of the holding shaft 61 is inhibited, and the holding shaft 61 can be rotated smoothly. As a result, high-precision dimension management, such as cutting, is unnecessary to ensure rotation of the holding shaft 61.

또, 추지축(61)을 비접촉 상태로 덮음으로써, 추지축(61)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베어링부(35)에 수용되게 된다.In addition, by covering the holding shaft 61 in a non-contact state, the holding shaft 61 is rotatably and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bearing portion 35.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까지 회동하도록,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ever 60 is attached to the housing 30 so that it may rotate to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 8 from the open position shown in FIG. 6 as mentioned above.

그리고,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버(60)는 하우징(30)의 레버 장착부(35)로부터 기립 자세로 상승하고, 레버 장착부(35)의 전측 대략 절반이 하우징(30)의 상방으로 개방된다(도 6 참조). 이 때, 하우징(30)의 케이블 수입부(受入部)(31)에 케이블(2)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60)의 조작부(62)의 일단측(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후측)에는, 경사부(62a)와 평탄부(62b)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60)를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평탄부(62b)가 연결 벽부(34f)의 내측 후면(34b)의 상단부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벽부(34f)의 내측 후면(34b)의 상단부에 의해, 레버(60)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And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lever 60 is raised from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of the housing 30 in an upright position,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 front side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is Open upwards (see FIG. 6). At this time, the cable 2 can be inserted into the cable importing portion 31 of the housing 30. Moreover, a step is formed in the inclined part 62a and the flat part 62b in the one end side (rear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of the operation part 62 of the lever 60, When the 60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flat portion 62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rear face 34b of the connecting wall portion 34f.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ever 60 is restrict | limited by the upper end part of the inner back 34b of the connection wall part 34f.

한편,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당해 레버(60)는 대략 수평 자세가 되고 하우징(30)의 레버 장착부(35)에 수용되고, 케이블 수입부(31) 내에 삽입한 케이블(2)을 콘택트(40) 사이에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ever 60 is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of the housing 30, and inserted into the cable importing portion 31. ) Is held between the contacts 40 (see Fig. 8).

콘택트(40)는, 하우징(30)의 폭 방향(Y)으로 복수 병설되어 있고, 이 콘택트(40)는, 박판 금속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The contact 40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housing 30, and this contact 40 is formed by punching out thin metal.

또, 콘택트(40)는, 전방으로부터 하우징(30)에 삽입되어 고정 유지된다(도 6∼도 8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30)에는, 복수의 콘택트(40)를 수용하는 수용부(36)가 전후 방향(X)으로 관통하도록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 수용부(36)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재하는 세로 벽부(37)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수용부(36)는, 천정 벽부(32)와 바닥 벽부(33)와 세로 벽부(37)에서, 전후 방향(X)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수용부(36)에 1개의 콘택트(40)를 전방으로부터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4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from the front and fixedly held (see FIGS. 6 to 8).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so that the accommodating part 36 which accommodates the some contact 40 penetrat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and each accommodating part 36 has the front-back direction ( It is divided by the vertical wall part 37 extended by X). That is, in this embodiment, each accommodating part 36 is formed so that it may penetrate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in the ceiling wall part 32, the bottom wall part 33, and the vertical wall part 37, and each accommodating part One contact 40 is inserted into the 36 from the front.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벽부(37)의 후부에는, 후방에 개구하는 절결(37a)이 형성되어 있고, 시트형상의 케이블(2)의 케이블 수입부(31)로의 삽입이, 세로 벽부(37)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절결(37a)의 깊이부(전후 방향 전측)에 형성되는 깊이 측벽(37b)에 의해, 케이블(2)의 전방(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And as shown in FIG. 6, in the rear part of the vertical wall part 37, the notch 37a which opens to the back is formed, and insertion of the sheet-like cable 2 into the cable import part 31 is lengthwise. The wall portion 37 is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Moreover, the movement to the front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2 is restrict | limited by the depth side wall 37b formed in the depth part (front-back direction front side) of the notch 37a.

또, 세로 벽부(37)의 전부는, L자 형상으로 절결된 형상을 하고 있고, 전후 방향(X) 단면에서 볼 때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벽부(37)의 전측면(37c)과 바닥면(37d)으로 레버 장착부(35)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벽부(37)의 전부가 상술한 바닥 벽부(34e)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Moreover, all of the vertical wall part 37 has the shape cut | disconnected to L shape, and is formed in substantially U shape when seen from the front-back direction X cross section.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is formed of the front side surface 37c and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of the vertical wall portions 37 form part of the above-described bottom wall portion 34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은, 전측벽부(34a, 34a)의 바닥면(34c, 34c)보다도 약간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 방향(Y) 양단의 베어링부(35a)가 약간 깊어지도록 레버 장착부(35)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art 37 is formed so that it may be located slightly above the bottom surfaces 34c and 34c of the front side wall parts 34a and 34a.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ever mounting part 35 is formed so that the bearing part 35a of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may deepen slightly.

콘택트(4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벽부(33) 근방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재하는 봉 형상의 고정측 콘택트부(41)와, 천정 벽부(32) 근방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재하고, 고정측 콘택트부(41)와 상하 방향(하우징(30)의 두께 방향:케이블(2)의 두께 방향)(Z)에 대향하는 봉 형상의 가동측 콘택트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측 콘택트부(41) 및 가동측 콘택트부(42)는, 각각의 전후 방향(길이 방향)(X)의 중간부끼리가 연결 스프링부(4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대략 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act 40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wall 33 and in the vicinity of the fixed wall contact portion 41 having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and the ceiling wall 32. It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X, and the rod-shaped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which opposes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1 and the up-down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30: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ble 2) Z is formed. ). And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1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pring part 43 to the intermediate part of each front-back direction (length direction) X, and are approximately E-shaped. It is formed in a shape.

고정측 콘택트부(4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벽부(33)를 따라 전후 방향(X) 후측(고정측 콘택트부(41)의 일측)으로 연재하는 고정측 접촉부(44)와, 바닥 벽부(33)를 따라 전후 방향(X) 전측(고정측 콘택트부(41)의 타측)으로 연재하는 단자 암부(45)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1 extends along the bottom wall portion 33 toward the rear sid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X (one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1) and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 And a terminal arm portion 45 extending along the bottom wall portion 33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front side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1).

그리고, 고정측 접촉부(44)의 선단부에는, 상방(삽입한 케이블(2))을 향해 돌출한 고정측 접점부(4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측 접점부(44a)가 케이블(2)의 도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And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4a which protrudes toward upper (inserted cable 2)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4, and this fixed side contact part 44a is a cable 2 It is intended to contact the conductor of.

또, 단자 암부(45)의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스토퍼(4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45a)가, 콘택트(40)의 수용부(36)로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콘택트(40)의 하우징(30)에 대한 최대 삽입량을 규제하고 있다. 또, 이 스토퍼(45a)는, 커넥터(1)를 회로 기판(6)에 실장시킬 때의 표면 실장용의 납땜부를 겸하고 있고, 하우징(30)의 바닥 벽부(33)보다도 하방을 향해 약간 돌출되어 있다.Moreover, the stopper 45a which protrudes downward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terminal arm part 45. As shown in FIG. And this stopper 45a restricts the maximum insertion amount of the contact 4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contact 40 into the accommodating part 36. As shown in FIG. The stopper 45a also serves as a soldering portion for surface mounting when the connector 1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6 and slightl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wall portion 33 of the housing 30. have.

또, 단자 암부(45)의 선단부에는,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산형의 돌기부(45b)가 설치되어 있고, 열림 위치에 있는 레버(60)가 전후 방향(X) 전방으로 이동(평행 이동)했을 때에, 레버(60)가 돌기부(45b)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45b)는, 레버(60)가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Further, at the distal end of the terminal arm 45, an approximately mountain-shaped protrusion 45b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is provided and opened. When the lever 60 in the position moves (parallel moveme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forward, the lever 60 is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45b. Thus, the projection part 45b functions as a stopper which suppresses the lever 60 coming off.

또, 가동측 콘택트부(4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 벽부(32)를 따라 전후 방향(X) 후측(가동측 콘택트부(42)의 일측)으로 연재하는 가동측 접촉부(46)와, 천정 벽부(32)를 따라 전후 방향(X) 전측(가동측 콘택트부(42)의 타측)으로 연재하는 스프링부(4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측 콘택트부(42)에는, 상측 중앙부에 돌기부(42a)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6,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extends along the ceiling wall part 32 to the back-back direction X side (one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 And a spring portion 47 extending along the ceiling wall portion 32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front side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Moreover, the projection part 42a is provided in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at the upper center part.

그리고, 가동측 접촉부(46)의 선단부에는, 하방(삽입한 케이블(2))을 향해 돌출한 가동측 접점부(4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동측 접점부(46a)가 케이블(2)의 도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a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protruding downward (inserted cable 2) is formed, and this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is provided with a cable 2. It is intended to contact the conductor of.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고정측 접점부(44a)와 가동측 접점부(46a)의 사이의 거리가, 케이블(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하고 있다(도 6 참조). 또, 케이블(2)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고정측 접점부(44a)와 가동측 접점부(46a) 사이의 거리가, 케이블(2)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케이블(2)을 하우징(30)에 삽입할 수 있고, 레버(6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는, 고정측 접점부(44a)와 가동측 접점부(46a)가 케이블(2)을 압접하고, 콘택트(40)가 케이블(2)을 사이에 끼워 유지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is made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able 2. (See Figure 6). When the lev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without the cable 2 insert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ble 2. It is getting smaller. Therefore,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ble 2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and when the lever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are made. The part 46a press-contacts the cable 2, and the contact 40 clamps and holds the cable 2 in between.

또, 스프링부(47)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레버(60)의 캠부(64)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대략 원호 형상의 캠면(4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47a)의 전측에는, 당해 캠면(47a)에 이어 설치되어 캠부(64)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전단면(47b)과, 당해 전단면(47b)에 이어 설치된 수평면(47c)을 가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서로 걸어 맞추는 요철부)(47d)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ring part 47, the cam surface 47a of the substantially arc shape which the cam part 64 of the lever 60 mentioned later slides is formed, and the cam surface 47a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of this cam surface 47a. An engaging projection (an uneven portion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having a shearing surface 47b provided after 47a and in which the cam portion 64 is in sliding contact, and a horizontal surface 47c provided after the shearing surface 47b. Is form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정 벽부(32)가, 가동측 접촉부(46)의 전부와 스프링부(47)의 후측 대략 절반을 덮도록 하고 있다. 또,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일 때에는, 스프링부(47)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콘택트(40)를 하우징(30)에 걸어 고정하고 있다. 즉, 스프링부(47)의 상면과 천정 벽부(32)의 하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콘택트부(42)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한 돌기부(42a)만이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콘택트(40)를 수용부(36) 내에 압입함으로써, 스프링부(47)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iling wall portion 32 covers the entirety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 rear side of the spring portion 47. Moreover,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ontact 40 is fixed to the housing 30 so that the spring part 47 may not contact the ceiling wall part 32.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portion 4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32.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part 47 is press-fit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36 so that only the protrusion part 42a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part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may contact the ceiling wall part 32. ) Does not contact the ceiling wall 32.

그리고, 스프링부(47)의 천정 벽부(32)로 덮이는 부위(스프링부(47)의 근원측:후측)와, 스프링부(47)의 천정 벽부(32)로 덮이지 않는 부위(스프링부(47)의 선단측:전측)의 거의 경계 부분의 상부에, 단차부(47e)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47)는, 근원부의 쪽이 선단부보다도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And the site | part covered with the ceiling wall part 32 of the spring part 47 (base side: rear side of the spring part 47), and the site | part which is not covered with the ceiling wall part 32 of the spring part 47 (spring The stepped part 47e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bstantially boundary part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part 47.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pring part 47 is formed so that the base part may become thicker than the tip part.

또, 연결 스프링부(43)는, 탄력성을 가지고 있고, 탄성적으로 휨 변형 가능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스프링부(43)는, 상방 또한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고정측 콘택트부(41) 및 가동측 콘택트부(42)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47)의 전단과 단자 암부(45)의 전단이 상대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스프링부(47)를 휨 변형시켰을 때에는, 연결 스프링부(43)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되고, 가동측 콘택트부(42)의 가동측 접촉부(46)와 고정측 콘택트부(41)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Moreover, the connection spring part 43 has elasticity, and can bend and deform elast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43 connects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1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in a state inclined upward and rearward. And when the front end of the spring part 47 and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arm part 45 are bent and deformed in the relatively open direction, the connecting spring part 43 is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and the movable side The space | interval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6 of the contact part 42 and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4 of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1 is made small.

또, 폭 방향(Y)으로 복수 병설된 콘택트(40)의 폭 방향(Y) 양단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40)와 거의 같은 형상의 유지 단자(50)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이 유지 단자(50)에 의해 하우징(30) 내에 삽입한 케이블(2)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도 3 참조).Moreover, as shown in FIG. 9, the holding terminal 50 of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contact 40 is attached to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ontact 40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Y, respectively. The holding terminal 50 holds the cable 2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see FIG.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택트(40)의 폭 방향(Y) 양단의 유지 단자(50)는, 콘택트(40)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하우징(30)의 수용부(36) 내에 수용되어 고정 유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olding terminal 50 of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ontact 4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6 of the housing 30 from the front like the contact 40, and is fixedly held.

이 유지 단자(5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벽부(33) 근방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재하는 봉 형상의 고정측 유지부(51)와, 천정 벽부(32) 근방에서, 전후 방향(X)으로 연재하고, 고정측 유지부(51)와 상하 방향(하우징(30)의 두께 방향:케이블(2)의 두께 방향)(Z)에 대향하는 봉 형상의 가동측 유지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측 유지부(51) 및 가동측 유지부(52)는, 각각의 전후 방향(길이 방향)(X)의 중간부끼리가 연결 스프링부(5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대략 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is holding terminal 50 is a rod-shaped fixed side holding part 5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wall part 33, and the ceiling wall part 3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X, and moves in a rod shape opposite to the fixed side holding part 51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30: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ble 2) Z. The side holding part 52 is provided. In addition, the fixed side holding | maintenance part 51 and the movable side holding | maintenance part 52 are connect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s of each front-back direction (length direction) X by the connection spring part 53, and are approximately E-shaped. It is formed in a shape.

고정측 유지부(51)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벽부(33)를 따라 전후 방향(X) 후측(고정측 유지부(51)의 일측)에 연재하는 고정측 유지 암(54)과, 바닥 벽부(33)를 따라 전후 방향(X) 전측(고정측 유지부(51)의 타측)에 연재하는 지지 암(55)을 구비하고 있다.9 and 10, the fixed side holding arm 51 extends along the bottom wall portion 33 to the rear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one side of the fixed side holding part 51). 54 and a support arm 55 extending along the bottom wall 33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X (the other side of the fixed-side holding part 51).

그리고, 고정측 유지 암(54)의 선단부에는, 상방(삽입한 케이블(2))을 향해 돌출한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가 케이블(2)의 폭 방향(Y) 양단에 형성된 유지 구멍(2c)에, 하측(이면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유지 구멍(2c)은, 하우징(30) 내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케이블(2)의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 및 후술하는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하 방향(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And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which protruded toward the upper side (inserted cable 2)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fixed side holding arm 54, and this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is a cable. The holding hole 2c formed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2)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rear side). The holding hole 2c is positioned up and dow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of the cable 2 and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It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in the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Z.

또, 지지 암(55)의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스토퍼(5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55a)가, 유지 단자(50)의 수용부(36)로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유지 단자(50)의 하우징(30)에 대한 최대 삽입량을 규제하고 있다.Moreover, the stopper 55a which protrudes downward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support arm 55. As shown in FIG. The stopper 55a restricts the maximum insertion amount of the holding terminal 50 into the housing 30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holding terminal 50 into the receiving portion 36.

또한, 지지 암(55)의 선단부에는,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산형의 돌기부(55b)가 설치되어 있고, 열림 위치에 있는 레버(60)가 전후 방향(X) 전방으로 이동(평행 이동)했을 때에, 레버(60)가 돌기부(55b)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55b)는, 레버(60)가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Further,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arm 55, an approximately mountainous protrusion 55b is provided which projects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When the lever 60 in the position moves (parallel moveme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forward, the lever 6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55b. Thus, the projection part 55b functions as a stopper which suppresses the lever 60 coming off.

또, 가동측 유지부(5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 벽부(32)를 따라 전후 방향(X) 후측(가동측 유지부(52)의 일측)으로 연재하는 가동측 유지 암(56)과, 천정 벽부(32)를 따라 전후 방향(X) 전측(가동측 유지부(52)의 타측)으로 연재하는 스프링부(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측 유지부(52)에는, 상측 중앙부에 돌기부(52a)가 설치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to FIG. 9 and FIG. 10,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extends along the ceiling wall part 32 to the back side (X) back side (one side of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The holding arm 56 and the spring part 57 extended along the ceiling wall part 32 to the front-back direction X front side (other side of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are provided. Moreover, the projection part 52a is provided in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at the upper center part.

또, 가동측 유지 암(56)의 선단부에는, 하방(삽입한 케이블(2))을 향해 돌출된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가 케이블(2)의 유지 구멍(2c)에, 상측(표면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2)의 유지 단자(5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도체(2b)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Moreover,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which protrudes toward the downward (inserted cable 2)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movable side holding arm 56, and this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is a cable. The holding hole 2c of (2)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surface si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conductor 2b is not provided in the site | part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terminal 50 of the cable 2. As shown in FIG.

또, 스프링부(57)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레버(60)의 캠부(64)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대략 원호 형상의 캠면(5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57a)의 전측에는, 당해 캠면(57a)에 이어 설치되어 캠부(64)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전단면(57b)과, 당해 전단면(57b)에 이어 설치된 수평면(57c)을 가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57d)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ring part 57, the cam surface 57a of the substantially arc shape which the cam part 64 of the lever 60 mentioned later slides is formed, and the cam surface 57a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of this cam surface 57a. The engaging projection 57d which has a front end surface 57b provided after 57a and which the cam part 64 can make sliding contact, and the horizontal surface 57c provided following the front end surface 57b is formed.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유지 단자(50)도 콘택트(40)와 같이, 천정 벽부(32)가, 가동측 유지 암(56)의 전부와 스프링부(57)의 후측 대략 절반을 덮도록 하고 있다. 또,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일 때에는, 스프링부(57)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유지 단자(50)를 하우징(30)에 걸어 고정하고 있다. 즉, 스프링부(57)의 상면과 천정 벽부(32)의 하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like the contact 40, the holding | maintenance terminal 50 also covers the whole of the movable side holding arm 56 and about half of the back part of the spring part 57 so that the ceiling wall part 32 may be made. have. In addition,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holding terminal 50 is fixed to the housing 30 so that the spring portion 57 does not contact the ceiling wall portion 32. In other word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portion 5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32.

그리고, 스프링부(57)의 천정 벽부(32)로 덮이는 부위(스프링부(57)의 근원측:후측)와, 스프링부(57)의 천정 벽부(32)로 덮이지 않는 부위(스프링부(57)의 선단측:전측)의 거의 경계 부분의 상부에, 단차부(57e)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57)는, 근원부의 쪽이 선단부보다도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And the site | part covered with the ceiling wall part 32 of the spring part 57 (base side: rear side of the spring part 57), and the site | part which is not covered with the ceiling wall part 32 of the spring part 57 (spring A stepped portion 57e is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almos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part 57.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spring part 57 is formed so that the base part may become thicker than the tip part.

또, 연결 스프링부(53)는, 탄력성을 가지고 있고, 탄성적으로 휨 변형 가능해져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57)의 전단과 지지 암(55)의 전단이 상대적으로 열림 방향으로 스프링부(57)를 휨 변형시켰을 때에는, 연결 스프링부(53)가 탄성 적으로 휨 변형되고, 가동측 유지부(52)의 가동측 유지 암(56)과 고정측 유지부(51)의 고정측 유지 암(54)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Moreover, the connection spring part 53 has elasticity, and can bend and deform elastically. And when the front end of the spring part 57 and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rm 55 make the spring part 57 bend deformation in the relatively open direction, the connecting spring part 53 is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and the movable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side holding arm 56 of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52 and the fixed side holding arm 54 of the fixed side holding part 51 is made small.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유지 단자(50)의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와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의 거리(D1)를, 콘택트(40)에 있어서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고정측 접점부(선단)(44a)와 가동측 접촉부(46)의 가동측 접점부(선단)(46a)의 사이의 거리(D2)보다 짧게 설정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at least,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and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of the holding terminal 50 are carried out. The distance D1 is between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tip) 44a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 in the contact 40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tip) 46a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It is set shorter than the distance D2.

그 때문에, 유지 단자(50)의 연결 스프링부(53) 및 콘택트(40)의 연결 스프링부(43)가 각각 휘었을 때에는, 콘택트(40)의 가동측 접점부(46a)가 도체(2b)에 접촉하기 전에, 유지 단자(50)의 가동측 걸어 맞춤 돌기부(56a)가 유지 구멍(2c)에 걸어 맞춰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택트(40)의 가동측 접점부(46a)를 도체(2b)에 접촉시킬 때에, 케이블(2)이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spring part 53 of the holding terminal 50 and the connection spring part 43 of the contact 40 are each bent,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6a of the contact 40 is the conductor 2b. Before contacting, the movable side engaging projection 56a of the holding terminal 50 is engaged with the holding hole 2c. Thu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6a of the contact 40 contacts the conductor 2b,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more reliably that the cable 2 shifts | deviate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택트(40)에 있어서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고정측 접점부(선단)(44a)와 가동측 접촉부(46)의 가동측 접점부(선단)(46a)의 사이의 거리(D2)를, 케이블(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해 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 단자(50)의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와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의 거리(한 쌍의 걸어 맞춤 돌출부간의 거리)(D1)는, 케이블(2)의 두께보다도 작아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tip) 44a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 in the contact 40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tip) 46a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are described. The distance D2 between them is set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able 2. Therefore, the distance (distance between a pair of engagement protrusions) D1 of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and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of the holding terminal 5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ble 2. Lose.

또, 레버(60)의 일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40) 및 유지 단자(50)에 각각 설치한 스프링부(47, 57)에 대응하도록,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60)의 관통 구멍(63)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레버(60)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고, 스프링부(47, 57)에 설치한 캠면(47a, 57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부(64)가 형성되어 있다(도 6∼도 8 참조).1 and 2, the through hole 63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provided in the contact 40 and the holding terminal 50, respectively. ) Is formed. Moreover,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63 of the lever 60 rotates with rotation of the lever 60, and makes sliding contact with the cam surfaces 47a and 57a provided in the spring parts 47 and 57. As shown in FIG. The cam part 64 is formed (refer FIG. 6-8).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64)는, 대략 원주 형상의 원형부(64a)와, 당해 원형부(64a)에 이어 설치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방형부(64b)를 구비하고 있고, 전후 방향(X) 단면에서 볼 때 대략 열쇠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m part 64 is equipped with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circular part 64a and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64b provided following the said circular part 64a, and the front-back direction X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keyhole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또, 캠부(64)는,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레버(60)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 회동 지점(회전 지점)이 되는 회동 받이면(회전 받이부)(64c)과, 레버(60)의 회동에 의해 콘택트(40) 및 유지 단자(50)의 스프링부(47, 57)의 캠면(47a, 57a)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맞닿음면(콘택트 맞닿음면 및 유지 단자 맞닿음면)(64d)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am portion 64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and is rotated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rotation point). ) And the cam faces 47a and 57a of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of the contact 40 and the holding terminal 50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60. A contact surface (contact contact surface and sustain terminal contact surface) 64d for sliding contact is provided.

또한, 캠부(64)에는, 레버(60)를 전체 열림 상태로 했을 때에,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에 맞닿는 제1 면(64e)과, 레버(60)를 전체 닫힘 상태로 했을 때에,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에 맞닿는 제2 면(64f)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면(64e)과 제2 면(64f)이 이루는 각도(θ)(도 7 참조)가 예각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면(64e)과 제2 면(64f)이 이루는 각도(θ)를, 약 77도로 설정하고 있다. 또, 제1 면(64e)과 제2 면(64f)의 사이에, 상술한 캠부(64)의 회동 받이면(64c)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동 받이면(64c)은, 작은 곡율 반경의 원호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 받이면(64c)의 곡율 반경을, 약 0.05㎜로 설정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am portion 64 includes a first surface 64e which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when the lever 60 is fully opened. When the lever 60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the second surface 64f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And the angle (theta) (refer FIG. 7) which the 1st surface 64e and the 2nd surface 64f makes becomes an acute angl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theta) which the 1st surface 64e and the 2nd surface 64f makes is set to about 77 degree | times. Moreover, between the 1st surface 64e and the 2nd surface 64f, the rotation surface 64c of the cam part 64 mentioned above is provided, and this rotation surface 64c has a small radius of curvature. It is formed as an arc surfac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urvature radius of the rotating surface 64c is set to about 0.05 mm.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64)는,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전후 방향(X))으로 가늘고 길게 되어 있고, 상하 방향(Z)의 치수가, 콘택트(40)의 스프링부(47)와 단자 암부(45)의 간격 및 스프링부(57)와 지지 암(55)의 간격보다 작아져 있다. 즉,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캠부(64)와 스프링부(47, 57)는,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m part 64 is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X), as shown in FIG. 6, and the up-down direction Z )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pring portion 47 and the terminal arm portion 45 of the contact 4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ring portion 57 and the support arm 55. That is,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m portion 64 and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are in a non-contact state.

그리고, 레버(60)를 닫힘 방향(도 7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캠부(64)가 상승하도록 회동하는 도중에, 캠부(64)의 상하 방향(Z)의 치수가, 스프링부(47)와 단자 암부(45)의 간격 및 스프링부(57)와 지지 암(55)의 간격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있다.And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arrow A direction in FIG. 7), the size of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cam portion 64 is the spring portion ( It is made larg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47 and the terminal arm part 45, and the space | interval of the spring part 57 and the support arm 55. As shown in FIG.

즉,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당해 레버(60)의 회동에 따라 캠부(64)가 회동 받이면(64c)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에, 맞닿음면(64d)이 스프링부(47, 57)의 캠면(47a, 57a)에 맞닿고, 캠면(47a, 57a)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한,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부(64)는, 맞닿음면(64d)을 캠면(47a, 57a)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회동하고, 스프링부(47)의 선단과 단자 암부(45)의 선단의 간격 및 스프링부(57)와 지지 암(55)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열리도록, 스프링부(47, 57)를 탄성 적으로 휨 변형시킨다. 그리고, 스프링부(47, 57)의 휨 변형에 따라, 연결 스프링부(43, 53)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됨으로써, 콘택트(40)는, 가동측 콘택트부(42)의 가동측 접촉부(46)와 고정측 콘택트부(41)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휨 변형되고, 유지 단자(50)는, 가동측 유지부(52)의 가동측 유지 암(56)과 고정측 유지부(51)의 고정측 유지 암(54)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이로 인해, 가동측 접점부(46a)가 고정측 접점부(44a)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를 케이블(2)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케이블(2)과 콘택트(40)가 도통 접속된다. 또,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가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 방향으로 이동하고, 케이블(2)이 유지 단자(50)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캠부(64)는, 콘택트(40)에, 당해 콘택트(40)를 케이블(2)에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부가함과 더불어, 유지 단자(50)에 케이블(2)를 유지하기 위한 가압력을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when the cam portion 64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60, it rotates with 64c as the rotation point. And the contact surface 64d abuts on the cam surfaces 47a and 57a of the spring parts 47 and 57, and makes sliding contact with the cam surfaces 47a and 57a during the rotation to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lever 6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cam portion 64 rotates while bringing the abutting surface 64d into sliding contact with the cam surfaces 47a and 57a, and the tip end of the spring portion 47 and the terminal arm portion (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are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tip of the 45 and the space between the spring 57 and the support arm 55 are relatively opened. In addition, as the connection spring portions 43 and 53 elastically bend and deform 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the contact 40 is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 And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of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4 of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1 becomes small, and the holding terminal 50 is the movable side holding arm 56 of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And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of the fixed side holding arm 54 of the fixed side holding part 51 becomes small. For this reason,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and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re pressed against the cable 2, the cable (2) and the contact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Moreover,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moves to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direction, and the cable 2 is hold | maintained by the holding terminal 50. As shown in FIG. In this manner, the cam portion 64 adds a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contact 40 to the cable 2 to the contact 40, and holds the cable 2 at the holding terminal 50. It is supposed to add a pressing for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 도중까지는, 캠부(64)의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지만, 소정의 회동량을 넘으면, 캠부(64)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 스프링부(47, 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캠부(64)가 가압됨으로써 레버(60)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작용 방향이, 레버(60)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도중에, 열림 방향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height of the cam portion 64 gradually increases until halfway, but if the predetermined rotational amount exceeds the cam portion 64, the cam portion 64 is rotated. The height of the is gradually lowered. Moreover, when the cam part 64 is pres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parts 47 and 57, the acting direction of the moment acting on the lever 60 opens while the lever 60 rotat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direction to the closing direction.

이와 같이, 레버(60)의 회동의 도중에, 캠부(64)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하거나, 레버(60)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작용 방향을 열림 방향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변화시키거나 함으로써, 레버(60)의 조작시에 클릭감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Thus, the lever 60 is changed by reduci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cam part 64 or changing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moment acting on the lever 60 from the opening direction to the closing direc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60. A feeling of click is given during the opera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60)의 열림 상태에서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에 맞닿는 제1 면(64e)과, 레버(60)의 닫힘 상태에서 세로 벽부(37)의 바닥면(37d)(레버 장착부(35)의 바닥 벽부)에 맞닿는 제2 면(64f)이 이루는 각도(θ)가 예각이 되도록 캠부(64)의 회동 받이면(회전 받이부)(64c)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캠부(64)를 보다 폭좁게 할 수 있고, 레버(60)를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60)를 회전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소정의 회동량을 지나 레버(60)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작용 방향이 열림 방향으로부터 닫힘 방향으로 변했을 때에, 종래부터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신속히 회동시킬 수 있는 만큼, 레버 조작의 클릭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rface 64e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in the open state of the lever 60. In the closed state of the lever 60, the cam part (a)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64f abutting against the bottom surface 37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37 (the bottom wall portion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35) becomes an acute angle. 64, the rotation receiving part 64 (rotation receiving part) is formed. Therefore, the cam portion 64 can be made narrower, and the lever 60 can be easily rotated. In this way, by making the lever 60 easy to rotate, when the acting direction of the moment acting on the lever 60 passes through the predetermined amount of rotation and changes from the opening direction to the closing direction, the lever 60 is conventionally closed in the closing direction. As much as it can rotate quickly, the click feeling of lever operation can be increased.

또, 회동 받이면(회전 받이부)(64c)을, 제1 면(64e)와 제2 면(64f)을 결합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순조롭게 레버 조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레버 조작에 의해 회동 받이면(회전 받이부)(64c)이 깎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Moreover, if it is a rotation receiving part (rotation receiving part) 64c in circular arc shape which combines the 1st surface 64e and the 2nd surface 64f, lever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craping off of the rotating support portion 64c.

또한, 닫힘 방향으로부터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 시에도, 같은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ame click feeling can be imparted even when rotating from the closing direction to the opening direction.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64)의 원형부(64a)에는, 도 6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오목부(서로 걸어 맞춰지는 요철부)(64g)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오목부(64g)는,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의 전단면(47b, 57b)과 맞닿을 수 있는 측면(64h)과,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의 수평면(47c, 57c)과 맞닿을 수 있는 원호면(64i)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면(47b, 57b)과 측면(64h)이 맞닿음과 더불어, 수평면(47c, 57c)과 원호면(64i)이 맞닿음으로써,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와 걸어맞춤 오목부(64g)를 걸어 맞추도록 하고 있다(도 12 참조).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6 and 11, the circular part 64a of the cam part 64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recessed part (engaged with each other),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47d, 57d. Uneven portion) 64 g is formed. This engagement recessed part 64g has the side surface 64h which can contact the front-end surfaces 47b and 57b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47d and 57d, and the horizontal surface 47c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47d and 57d. It is formed with the arc surface 64i which can contact 57c). Then, the front surfaces 47b and 57b and the side surfaces 64h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surfaces 47c and 57c and the arc surfaces 64i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engaging the engaging projections 47d and 57d with the engaging recesses. 64 g is set to fit together (refer FIG. 12).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의 전단면(47b, 57b)이 레버(6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의 수평면(47c, 57c)이 레버(6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전단면(47b, 57b)과 측면(64h) 및 수평면(47c, 57c)과 원호면(64i)를 서로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와 걸어 맞춤 오목부(64g)의 걸어 맞춤 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face 47b, 57b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47d, 57d restricts the movement forward of the lever 60, and the horizontal surface 47c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47d, 57d is controlled. 57c)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ever 60 upward. Moreover, you may comprise so that front surface 47b, 57b, the side surface 64h, horizontal surface 47c, 57c, and circular surface 64i may surface-contact. In this manner, the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protrusions 47d and 57d and the engagement recesses 64g can be further increased.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부(47, 57)와 캠부(64)에, 서로 걸어 맞춰지는 요철부(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와 걸어 맞춤 오목부(64g))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와 걸어 맞춤 오목부(64g)는, 통상의 레버(60)의 개폐 조작에서는 걸어 맞춰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By the way,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uneven part (engaging part 47d, 57d and engagement recessed part 64g) engaged with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spring part 47 and 57 and the cam part 64, The engagement protrusions 47d and 57d and the engagement recessed portion 64g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normal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lever 60 (see FIG. 6).

그리고, 레버(60)의 개폐 조작시나 비사용 상태(케이블(2)을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 등에, 열림 상태의 레버(60)에 전방으로의 하중이 걸리고, 레버(60)가 열림 상태인 채 전방 또한 상방으로 이동(레버(60)가 콘택트(40)에 대해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대략 산형의 돌기부(45b, 55b)를 넘어 버린 경우에, 걸어 맞춤 돌출부(47d, 57d)와 걸어 맞춤 오목부(64g)를 걸어 맞추어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Then, when the lever 60 is opened and closed or in an unused state (the state in which the cable 2 is not inserted), the load is applied forward to the lever 60 in the open state, and the lever 60 is opened. The engagement protrusions 47d and 57d in the case where they move forward and upward in the state (the lever 60 moves relative to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40) and exceed the roughly protrusions 45b and 55b. And the engagement recess 64g are engaged so that the lever 60 is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housing 30 (see FIGS. 11 and 12).

이와 같이, 이미 걸어 맞춘 상태에서 레버(60)의 하우징(30)으로부터의 벗어남은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한 부하가 걸려 레버(60)가 벗어남 방향으로 상대 이동했을 때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레버(60)의 벗어남 저지 효과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또한, 단순히 걸어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요철부(걸어 맞춤 돌출부(47d)와 걸어 맞춤 오목부(64g))에 의해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레버(60)가 하우징(30)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way, the deviation of the lever 60 from the housing 30 in the already engaged state is not suppressed, but is fixed by being fixed when the lever 60 is relatively moved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due to excessive load. The reliability of the release preventing effect of the 60 is increased and the lever 60 is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uneven portion (the engaging projection 47d and the engaging recess 64g) instead of simply fixing the lever 60 so that the housing 60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e deviation from 30).

또, 열림 상태의 레버(60)에 전방으로 하중이 걸린 경우에, 걸어 맞춤 돌기(47d)의 전단면(47b)과 걸어 맞춤 오목부(64g)의 측면(64h)에 의해 레버(6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과 더불어, 수평면(47c)과 원호면(64i)에 의해 레버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레버(60)의 벗어남 저기 효과가 한층 더 높아지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lever 60 in the open state forward, the front surface 47b of the engagement projection 47d and the side surface 64h of the engagement recess 64g are used to control the lever 60. In addition to regulating the movement forward, by controlling the movement upward of the lever by the horizontal surface 47c and the arc surface 64i, the effect of leaving the lever 60 is further enhanced.

이러한 구성의 레버(60)의 하우징(30)으로의 설치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Installation of the lever 60 of this structure to the housing 30 is performed as follows.

우선 레버(60)의 관통 구멍(63)에 스프링부(47, 57)의 전단을 삽입 통과시킴과 더불어, 스프링부(47)의 전단과 단자 암부(45)의 전단의 사이 및 스프링부(57)의 전단과 지지 암(55)의 전단의 사이, 즉, 수평면(47c)과 돌기부(45b)의 사이 및 수평면(57c)과 돌기부(55b)의 사이로부터, 캠부(64)를 삽입시킨다.First, the front ends of the spring parts 47 and 57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63 of the lever 60, an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pring part 47 and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arm 45 and the spring part 57. The cam part 64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rm 55, that is,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 47c and the projection 45b, and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 57c and the projection 55b.

그리고, 레버(60)의 폭 방향(Y) 양단의 추지축(61)을 하우징(30)의 폭 방향(Y) 양단의 베어링부(35a)에 올림과 더불어, 유지 금구(70)를 연결 벽부(34f)에 부착함으로써, 레버(60)가, 하우징(30)의 레버 장착부(35)에 개폐(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Then, the holding shaft 61 of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lever 60 is raised to the bearing portion 35a of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housing 30, and the retaining bracket 70 is connected to the wall portion. By attaching to 34f, the lever 60 is attached to the lever attaching part 35 of the housing 30 so that opening and closing (rotation) is possibl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캠부(64)를 가로 방향(전후 방향(X))으로 가늘고 길게 함으로써, 관통 구멍(63)에 스프링부(47, 57)의 전단을 삽입 통과시킬 때, 즉, 관통 구멍(63)을 스프링부(47, 57)의 전단에 대향시킨 상태일 때, 수평면(47c, 57c)과 돌기부(45b, 55b)의 사이에 대향하는 캠부(64)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수평면(47c, 57c)과 돌기부(45b, 55b)의 사이로부터, 캠부(64)를 삽입할 때에, 큰 힘으로 압입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용이하게 캠부(64)를 삽입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m portions 64 are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s X), whereby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s 63. When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is inserted, that is, when the through hole 63 is opposed to the front end of the springs 47 and 57, the front face 47c and 57c and the projections 45b and 55b face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he cam part 64 is made small.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cam part 64 between the horizontal surfaces 47c and 57c and the projection parts 45b and 55b, it is not necessary to press-fit with a large force, and the cam part 64 can be inserted easily. .

다음에, 레버(60)를 닫을 때의 콘택트(40) 및 유지 단자(50)의 동작을 도 6∼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40 and the holding terminal 50 when closing the lever 60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6 to 10.

우선, 레버(6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측 콘택트부(42)의 스프링부(47)는, 하우징(30)의 천정 벽부(32)에 근접하고 있지만 천정 벽부(32)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가동측 콘택트부(42)의 스프링부(47)와 천정 벽부(32)가, 간극을 가지고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레버(60)의 캠부(64)와 스프링부(47)의 캠면(47a)은, 비걸어 맞춤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시를 생략했지만, 가동측 유지부(52)의 스프링부(57)도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가동측 유지부(52)의 스프링부(57)와 천정 벽부(32)가, 간극을 가지고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음과 더불어, 레버(60)의 캠부(64)와 스프링부(57)의 캠면(57a)은, 비걸어 맞춤 상태로 되어 있다.First, when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6, although the spring portion 47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is close to the ceiling wall portion 32 of the housing 30, the ceiling The wall part 32 is not in contact. In other words, the spring portion 47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32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gap. At this time, the cam portion 64 of the lever 60 and the cam surface 47a of the spring portion 47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spring part 57 of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is also in the same state. That is, while the spring portion 57 and the ceiling wall portion 32 of the movable side holding portion 5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gap, the cam portion 64 and the spring portion 57 of the lever 60 are separated. The cam surface 57a is in a locked state.

다음에, 케이블(2)을 하우징(30) 내에 삽입한다. 이 때, 콘택트(40)에 있어서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고정측 접점부(선단)(44a)와 가동측 접촉부(46)의 가동측 접점부(선단)(46a)의 사이의 거리(D2)가, 케이블(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케이블(2)과 콘택트(40)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는 것이 억제되고, 케이블(2)을 하우징(30) 내에 순조롭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유지 단자(50)의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와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의 거리(한 쌍의 걸어 맞춤 돌출부간의 거리)(Dl)는, 케이블(2)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케이블(2)을 하우징(30) 내에 삽입했을 때에는,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 및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가 케이블(2)의 표리면으로부터 유지 구멍(2c)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유지 단자(50)에 의해 케이블(2)이 가유지된다. 따라서, 레버(60)이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라도, 케이블(2)이 벗어나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단자(50)를 콘택트(40)의 폭 방향(Y) 양단에 1개씩 설치함으로써, 케이블(2)과 유지 단자(50)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고, 케이블(2)의 하우징(30) 내로의 순조로운 삽입이 유지 단자(50)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Next, the cable 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tip) 44a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 in the contact 40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tip) 46a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 Since D2) is almost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able 2, the occurrence of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able 2 and the contact 40 is suppressed, and the cable 2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 Moreover, the distance (distance between a pair of engagement protrusions) D1 of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and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of the holding terminal 5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ble 2, and Therefore, when the cable 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and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are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2c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ble 2. do. For this reason, the cable 2 is held by the holding terminal 50. Therefore, even if the lever 6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cable 2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one holding terminal 50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ontact 40, the increase of the friction force which arises between the cable 2 and the holding terminal 50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the smooth insertion of the cable 2 into the housing 30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holding terminal 50.

그리고, 케이블(2)을 하우징(30)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60)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콘택트 맞닿음면(64d)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47)의 캠면(47a)에 맞닿고, 캠면(47a)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한,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부(64)는, 콘택트 맞닿음면(64d)과 캠면(47a)을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회동하고, 콘택트(40)의 스프링부(47)의 선단과 단자 암부(45)의 선단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열리도록, 스프링부(47)를 탄성적으로 휨 변형시킨다. 또한,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의 도중에, 스프링부(4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한다. 또, 유지 단자(50)에 있어서도 같은 동작이 행해지고,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의 도중에, 휨 변형된 스프링부(57)는,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게 된다.And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clockwise as shown by the arrow A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cable 2 into the housing 30, the contact contact surface 64d will spring part, as shown in FIG.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cam surface 47a of 47, and makes sliding contact with the cam surface 47a. In addition,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cam portion 64 rotates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contact abutting surface 64d and the cam surface 47a, and the tip end of the spring portion 47 of the contact 40. The spring portion 47 is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tip of the terminal arm 45 and the terminal is relatively opened. In addition, the middle part of the spring portion 47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60 in the closing direction. Moreover, the same operation | movement is performed also in the holding | maintenance terminal 50,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part of the spring part 57 by which the bending deformation was carried out in the middle of the rotation to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lever 60 will contact the ceiling wall part 32. As shown in FIG.

그리고, 스프링부(47)의 휨 변형에 따라, 연결 스프링부(43)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47) 및 연결 스프링부(43)를 휘게 함으로써, 콘택트(40)는, 가동측 콘택트부(42)의 가동측 접촉부(46)와 고정측 콘택트부(41)의 고정측 접촉부(44)의 간격(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의 거리)이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즉, 가동측 접점부(46a)가 고정측 접점부(44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케이블(2)은, 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가 압접한 상태로, 콘택트(40)에 도통 접속된다.And with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spring part 47, the connection spring part 43 is elastically bending deformation. Thus, by bending the spring part 47 and the connection spring part 43, the contact 40 is a fixed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6 and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1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2. As shown in FIG. It is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of the contact part 44 (distanc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art 46a and the fixed side contact part 44a) may become small. That is,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s a result, the cable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40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and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re press-contacted.

이 때, 유지 단자(50)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57) 및 연결 스프링부(53)를 휘게 할 때에, 가동측 유지부(52)의 가동측 유지 암(56)과 고정측 유지부(51)의 고정측 유지 암(54)의 간격(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와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의 거리(D1))이 작아지도록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다. 그 결과,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 및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가 유지 구멍(2c)에 케이블(2)의 표리면측으로부터 한층 더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 및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와 유지 구멍(2c)의 걸어 맞춤 정도가 한층 더 증대하고, 유지 단자(50)가 케이블(2)을 제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 및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를 케이블(2)의 표리 양면측으로부터 유지 구멍(2c)에 삽입함으로써, 유지 단자(50)가 케이블(2)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2)의 두께의 격차나 외력이 케이블(2)에 작용한 경우라도, 케이블(2)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2)이 커넥터(1)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t this time, in the holding terminal 50, as shown in FIG. 10, when bending the spring part 57 and the connection spring part 53, the movable side holding arm 56 of the movable side holding part 52 is carried out. Flexural deforma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side holding arm 54 and the fixed side holding arm 51 (the distance D1 between the movable side engaging protrusion 56a and the fixed side engaging protrusion 54a) becomes small. do. As a result, the movable side engagement protrusion 56a and the fixed side engagement protrusion 54a are further inserted in the holding hole 2c from the front and back surface side of the cable 2. That is, the engagement degree of the movable side engaging protrusion 56a, the fixed side engaging protrusion 54a, and the holding hole 2c further increases, and the holding terminal 50 will hold | maintain the cable 2 correctly. .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ing terminal 50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movable side engaging protrusion 56a and the fixed side engaging protrusion 54a into the holding holes 2c from both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able 2. Since the cable 2 is held, the cable 2 is not easily pulled out even when a gap in thickness of the cable 2 or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cable 2. That is, in this embodiment,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that the cable 2 escapes from the connector 1.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단자(50)의 형상을 콘택트(40)의 형상과 거의 같은 형상으로 하고, 레버(60)의 회동에 의해,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 및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의 사이의 거리(한 쌍의 걸어 맞춤 돌출부간의 거리)(D1)가 변화되도록 하고 있다. 즉, 레버(60)의 회동에 의해, 유지 구멍(2c)으로의 가동측 걸어 맞춤 돌출부(56a) 및 고정측 걸어 맞춤 돌출부(54a)의 걸어 맞춤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유지 단자(50)에 의한 케이블(2)의 유지를 위한 조작을 콘택트(40)의 도통 접속과 별개로 행할 필요를 없애고, 커넥터(1)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holding terminal 50 is made into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contact 40, an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60, the movable side engaging protrusion 56a and the fixed side hanging are carried out. The distance between the alignment protrusions 54a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ngagement protrusions) D1 is changed. That is, by rotating the lever 60, the engagement of the movable side engaging protrusion 56a and the fixed side engaging protrusion 54a to the holding hole 2c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operation | movement for holding | maintenance of the cable 2 by the holding | maintenance terminal 50 is eliminated from the conduction connection of the contact 40 separately, and the operability of the connector 1 is aimed at.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스프링부(47, 57)의 전체를 천정 벽부(32)의 방향으로 휘게 할 때에,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에, 스프링부(47, 5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entire spring portions 47 and 57 ar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wall portion 32,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On the way,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또한,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더 회동시켰을 때에는, 스프링부(47, 5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한 채로, 레버(60)가 닫힘 위치까지 회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를 케이블(2)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스프링부(4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도 8 참조). 또, 도시를 생략했지만, 유지 단자(50)도, 콘택트(40)와 같이,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유지 단자(50)가 케이블(2)을 유지한 상태에서, 스프링부(5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ver 60 is further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lever 6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while the middle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spring portion 47 of the spring portion 4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ble 2 by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and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The intermediate part is made to contact the ceiling wall part 32 (refer FIG. 8). 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holding | maintenance terminal 50 also rotates the lever 60 like a contact 40 to a closing direction, and the spring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ding terminal 50 hold | maintained the cable 2 is carried out. An approximately intermediate portion of 57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47, 57)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한 단차부(47e, 57e) 근방의 근원측이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도 7 및 도 8에서는, 콘택트(40)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지 단자(50)도 마찬가지이다). 즉, 스프링부(47, 57)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한 후에는, 단차부(47e, 57e)보다 선단측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상방으로 휨 변형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7 and FIG. 8, the base side of the vicinity of the step part 47e, 57e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art of the spring part 47, 57 contacts the ceiling wall part 32. As shown in FIG. (In FIG. 7 and FIG. 8, the contact 40 is shown, but the holding terminal 50 is the same). That is, after the spring parts 47 and 57 contact the ceiling wall part 32, the part whose thickness is thinner on the tip side than the step parts 47e and 57e is deflected upwar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스프링부(47)의 전체를 천정 벽부(32)의 방향으로 휘게 할 때에,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에, 스프링부(4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entire spring portion 47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wall portion 32, the lever 60 is moved in the closing direction. In the middle of rotation,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47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그런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스프링부(47)의 전체를 천정 벽부(32)의 방향으로 휘게 했을 때에, 스프링부(47)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지 않으면, 스프링부(47) 및 가동측 접촉부(46)의 휨에 의한 응력이, 연결 스프링부(43)에 집중해 버리고, 연결 스프링부(43)가 주저앉아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유지 단자(5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연결 스프링부(53)가 주저앉아 버릴 우려가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13,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to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whole of the spring part 47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iling wall part 32, the spring part 47 is a ceiling wall part 32. FIG. ), The stress due to the bending of the spring portion 47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 concentrates on the connection spring portion 43, and the connection spring portion 43 may collapse. In addition, also in the holding terminal 5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spring part 53 may fall down.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레버(60)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에, 스프링부(47)의 대략 중간부를 천정 벽부(32)에 접촉시키면, 가동측 콘택트부(42)가 휘었을 때에, 콘택트(40)의 휨에 의해 생기는 응력을, 스프링부(47)의 천정 벽부(하우징(30) 내벽)(32)와의 접촉 부위에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연결 스프링부(43)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할 수 있고, 가동측 콘택트부(42)와 고정측 콘택트부(41)를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부(43)로의 국소적 응력 집중이 감소하고, 연결 스프링부(43)가 주저앉아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is bent, if the middle wall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4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during the rotation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lever 60, The stress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contact 40 can be concentrat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inner wall of the housing 30) 32 of the spring portion 47. As a result, the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43 can be dispersed, and the local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43 connecting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2 and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1 is reduced, It can suppress that the connection spring part 43 falls down.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60)를 닫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가동측 접점부(46a)와 고정측 접점부(44a)를 케이블(2)에 압접시킨 상태, 즉, 케이블(2)을 커넥터(1)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도, 스프링부(47)의 대략 중간부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ver 60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46a and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44a are pressed against the cable 2, that is, the cable 2 Even in the state where it is attached to the connector 1,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47 i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wall portion 32.

따라서, 커넥터(1)의 사용시(레버(60)를 닫힘 위치까지 회동시켜 케이블(2)를 압착시킨 상태일 때)에 있어서도, 연결 스프링부(43)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의 제품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connector 1 is in use (when the lever 6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cable 2 is crimped), the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ing spring portion 43 can be dispersed. The product life of (1) can be improve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부(47)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한 단차부(47e) 근방의 근원측이 천정 벽부(32)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고, 스프링부(47)가 천정 벽부(32)에 접촉한 후에는, 단차부(47e)보다도 선단측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상방으로 휨 변형하도록 하고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side of the step part 47e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art of the spring part 47 is made to contact the ceiling wall part 32, and the spring part 47 is a ceiling wall part 32. ), The part whose thickness is thinner at the tip side than the step portion 47e is deflected upward.

이와 같이, 단차부(47e, 57e)를 기점으로 하여 스프링부(47, 57)를 휘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응력을 스프링부(47, 57)에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스프링부(43, 53)가 주저앉아 버리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by bending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starting from the stepped portions 47e and 57e, the stress can be concentrated on the spring portions 47 and 57 more efficiently.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at the connection spring parts 43 and 53 fall down.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예를 들면, 스프링부나 연결 스프링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a spring part or a connection spring part is not limited to what was illustrated by the said embodiment, It can be set as various shapes.

또, 하우징이나 레버, 캠부, 그 외 세부의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s (shape, size, layout, etc.) of a housing, a lever, a cam part, and other details can also be changed suitably.

Claims (1)

케이블과 도통 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와, 당해 콘택트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케이블이 내부에 삽입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봉 형상의 고정측 콘택트부와,
상기 고정측 콘택트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봉 형상의 가동측 콘택트부와,
상기 고정측 콘택트부와 상기 가동측 콘택트부를 길이 방향의 중간부끼리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콘택트부의 일측에 고정측 접촉부가, 타측에 지지 암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측 콘택트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측 접촉부에 대향하는 가동측 접촉부가, 타측에 상기 지지 암부에 대향하는 스프링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 회동시켰을 때에, 당해 레버의 닫힘 위치로의 회동 도중에, 상기 스프링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벽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comprising a conductive contact connected to a cable and connected to a cable, an insulating housing in which the contact is received and the cable is inserted therein, and a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The contact,
A rod-shaped fixed side contact portion,
A rod-shaped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provided to face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A coupling spr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and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to intermediate portion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xed sid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a support arm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facing the fixed side contact portion on one side of the movable side contact portion, and a spring portion opposite the support arm portion on the other side. Installed,
And when the lever is rotat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a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to the closed position.
KR1020110032235A 2010-04-08 2011-04-07 Connector KR1011965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9686 2010-04-08
JP2010089686A JP4951085B2 (en) 2010-04-08 2010-04-08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145A true KR20110113145A (en) 2011-10-14
KR101196524B1 KR101196524B1 (en) 2012-11-01

Family

ID=4498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235A KR101196524B1 (en) 2010-04-08 2011-04-07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51085B2 (en)
KR (1) KR101196524B1 (en)
CN (1) CN102255156B (en)
TW (1) TWI442646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545A (en)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High voltage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6713B2 (en)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nector
JP6643154B2 (en) * 2016-03-10 2020-0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862B2 (en) * 1997-07-08 2000-06-05 オムロン株式会社 connector
JP4528605B2 (en) 2004-11-24 2010-08-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4783081B2 (en)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Electrical connector
JP4161079B2 (en) * 2005-12-27 2008-10-08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Electrical connector
JP4282027B2 (en) * 2006-11-15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2009277398A (en) * 2008-05-13 2009-11-26 Jst Mfg Co Ltd Connector
JP5218749B2 (en) * 2008-07-14 2013-06-26 第一精工株式会社 Connector device
JP4579322B2 (en) * 2008-09-18 2010-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5739104B2 (en) * 2010-01-29 2015-06-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545A (en)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High voltag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524B1 (en) 2012-11-01
JP2011222271A (en) 2011-11-04
CN102255156B (en) 2014-04-23
TWI442646B (en) 2014-06-21
JP4951085B2 (en) 2012-06-13
CN102255156A (en) 2011-11-23
TW201223012A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08B1 (en) connector
KR101250658B1 (en) Connector
KR101197983B1 (en) Connector
JP392591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onductors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50005445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KR101196524B1 (en) Connector
JP5010043B1 (en) connector
US20090305550A1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JP5704626B2 (en) Clip type connector
TW202131570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KR101204639B1 (en) Connector
JP6723875B2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6656808B2 (en)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JP2010033978A (en) Cable connector
JP4488372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JP2008117650A (en) Terminal fitting
KR101308841B1 (en) Connector
JP5697631B2 (en)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at conductor and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