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686A -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686A
KR20110112686A KR1020100031941A KR20100031941A KR20110112686A KR 20110112686 A KR20110112686 A KR 20110112686A KR 1020100031941 A KR1020100031941 A KR 1020100031941A KR 20100031941 A KR20100031941 A KR 20100031941A KR 20110112686 A KR20110112686 A KR 2011011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icrophone
screen
video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인
Original Assignee
(주)조아영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아영상기술 filed Critical (주)조아영상기술
Priority to KR102010003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686A/en
Publication of KR2011011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회의에 따른 최적의 영상을 표시하고, 실감나는 화상 회의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화상회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상 회의 방송을 위해 미리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한 회의자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마다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마이크 및 카메라 환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마이크 환경설정을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도록 제어하며, 픽처인픽처(PIP: Picture In Picture)화면 모드시 서로 발언자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화상 회의 화면을 처리하며, PIP 화면 모드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하는 방송 기기를 포함하는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optimal image according to videoconferencing and serving a realistic videoconferencing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which is pre-installed for a video conference broadcast and receives a voice signal; At least one camera for capturing a conferencer close to a location where the microphone is installed; And assigning priorities of the cameras to the microphones to set microphone and camera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 speaker to speak through the microphones to be captured by the cameras in consideration of the microphone environment setting. : Picture In Picture) In video mode, the video conferencing screen is processed so that the speakers can talk to each other.In the PIP screen mode, drag the camera icon on the screen to move it to a segmented area of a specific PIP. Provided is a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comprising a broadcast device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a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a camera corresponding to a camera icon.

Figure P1020100031941
Figure P1020100031941

Description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Video conferencing device and method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회의에 따른 최적의 영상을 표시하고, 실감나는 화상 회의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화상회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optimal image according to videoconferencing and serving a realistic videoconferencing service.

일반적으로 화상회의 장치는 카메라를 기존으로 화면 합성, 분리 및 압축전송 등에 전용장비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 기업체 또는 연구기관 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video conferencing devices are conventionally used in corporations or research institutes to allow multiple people to have a meeting while looking at each other's faces at the same time by using dedicated equipment for screen synthesis, separation, and compression transmission.

그러나, 종래의 화상 회의 장치는 회의자들의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실시간 중계를 위해서는 별도의 많은 운용장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이크를 통해 발언자가 발언을 할때마다 발언자측으로 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정확하게 포커스를 잡아 회의 영상을 촬영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과 발언자를 이동하며 영상을 촬영을 해야하므로, 매끄러운 화면처리가 문제가 되었다. 또한 신속하게 촬영하지 못할 경우 방송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separate equipment is required for real-time relay in displaying the video of the conference. In addition, every time the speaker speaks through the microphone, moving the camera to the speaker side to accurately focus and taking a meeting video and moving the speaker to shoot the video, smooth screen processing becomes a problem.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leading to a broadcast accident if you can not shoot quick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상 회의에 따른 최적의 영상을 표시하고, 실감나는 화상 회의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화상회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n optimal image according to videoconferencing and serving a realistic videoconferencing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의자 마다 카메라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카메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발언자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하여 부드러운 화상 회의 중계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ooth video conferencing relay service by assigning a priority to a camera for each conference, and taking a picture of a speaker in consideration of the assigned camera priority.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언자에 의해 마이크 동작시 카메라가 동작하여 해당 발언자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camera to operate when a speaker operates a microphone to capture an image of the speak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면을 분할하여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서비스하고, 발언자간 서로 마주보는 화면으로 구성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a screen to serve as a picture in picture (PIP) screen, and configuring and serving a screen facing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는, 화상 회의 방송을 위해 미리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한 회의자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마다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마이크 및 카메라 환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마이크 환경설정을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도록 제어하며, 픽처인픽처(PIP: Picture In Picture)화면 모드시 서로 발언자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화상 회의 화면을 처리하며, PIP 화면 모드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하는 방송 기기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conferenc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that is pre-installed for a video conference broadcast and receives a voice signal; At least one camera for capturing a conferencer close to a location where the microphone is installed; And assigning priorities of the cameras to the microphones to set microphone and camera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 speaker to speak through the microphones to be captured by the cameras in consideration of the microphone environment setting. : Picture In Picture) In video mode, the video conferencing screen is processed so that the speakers can talk to each other.In the PIP screen mode, drag the camera icon on the screen to move it to a segmented area of a specific PIP. And a broadcasting apparatus that displays and transmits a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con.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 기기는, 화상 회의에 따른 방송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과, 마이크 환경설정과 화상 회의에 따른 방송 화면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마이크 및 카메라 환경 설정정보가 저장되며, 방송환경에 따른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와 상기 마이크 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에 할당된 해당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상되는 화상 회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 및 송출하고, PIP 화면 모드시, 발언자간에 서로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방송환경 설정에 따른 화면 데이터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화상 회의 영상을 표시하고, 송출되는 방송화면 및 송출하고자 하는 방송화면을 표시하고, 카메라 프리셋 뷰어창을 표시하여 카메라의 기본 프리셋값과 마이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broadcasting device includes: a keypad having a button for setting a broadcas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 video conference, and a button for transmitting a broadcasting screen according to microphone setting and a video conference; A memory for storing microphone and camera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by giving priority to the camera and stor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broadcast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ies of the cameras and the microphon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camera assigned to the voice input microphone is controlled to process and display and transmit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In the PIP screen mode, the speakers face each other and talk to each other. Control the video to be displayed by switch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camera icon is dragged on the screen to a segmented area of a specific PIP, the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con dragged on the segmented area is displayed and transmitt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perform the control; And display screen data according to a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a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a camer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display a broadcast screen to be broadcast and a broadcast screen to be transmitted, and display a camera preset viewer window to display the basic camera. 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tting screen to set the preset value and the microphone environment.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마이크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뷰(view)화면으로 전환하여 다른 영상으로 대체하여 화상 회의의 영상을 송출한다.Preferably, when the voice is not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power of the microphone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switches to a view screen and replaces with another video to transmit a video conference video.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를 통해 일정 음성크기구간의 음성이 입력되면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가 구동되도록 상기 음성 크기구간을 설정하고, 마이크에 음성이 전달된 후, 소정시간후에 카메라가 반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시작시간(Mic Start)을 설정하고, 다른 마이크가 동작되어도 소정시간을 유지한 이후, 다른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종료시간(Mic End)을 설정하는 것으로 마이크 환경을 설정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when the voice between the predetermined voice loudspeaker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set the voice size interval to drive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after the voice is delivered to the microphone,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camera reacts Set the microphone start time (Mic Start) to display the video, and maintain the predetermined time even if another microphone is operated, and then end the microphone (Mic End) to display the video of the camera assigned to the other microphone. Set the microphone environment by setting).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화상 회의 영상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출화면상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잠시 정지했다가 다시 파일을 끊김없이 연속해서 하나의 파일로 화상 회의를 녹화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transmission screen for inserting subtitles into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camera, and stops for a while, and then continues the file without interruption. To record video conferences.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송출되는 화상 회의의 발언자의 영상에 대응하여 발언자의 성명이 자동으로 일측면에 표시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displays the speaker's name on one side in response to the video of the speaker of the video conferenc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화상 회의 방법은, 화상 회의를 위한 픽처인픽처(PIP: Picture In Picture) 설정창, 마이크 환경설정 창 및 카메라 환경설정 창이 구분된 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의 환경설정 선택시, 카메라와 마이크의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마이크에 카메라를 할당하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마이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화상 회의 방송을 개시하여 카메라의 우선순위와 마이크 환경설정을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회의 방송중, PIP 화면 모드 실행시 서로 발언자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화상 회의 화면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IP 화면 모드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conferencing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ain screen divided into a picture in picture (PIP) setting window, a microphone setting window, and a camera setting window for video conferencing; Setting a camera and microphone configuration, assigning a camera and a microphone number, assigning a camera to the designated microphone, prioritizing cameras, and setting a microphone environment; Initiating a video conferencing broadcast to capture a speaker speaking through the micro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and displaying a video conferencing screen so that a speaker can face an image when a PIP screen mode is executed during the video conference broadcast. In the PIP screen mode, a camera icon is dragged on a screen to divide a specific PIP. When moving to the selected area, the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con dragged on the divided area is displayed and transmitted.

바람직하게, 상기 촬상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 입력시, 기 설정된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는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지 않는 음성이면, 기침 또는 속삭임 소리로 판단하여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구동시키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는 음성이면, 기 설정된 마이크 시작 시간(Mic Start)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마이크 시작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aptur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exists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ice does not exist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determining that the voice is coughing or whispering not driving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And determining that the preset microphone start time has elapsed if the voice exists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and if the microphone start time has elapsed, controlling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to speak through the microphone. Imaging the speaker.

바람직하게, 상기 촬상하는 단계는, 다른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면, 현재 촬상되고 있는 발언자가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의 마이크 종료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다음 발언자의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다른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촬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when the voice is input to another microphone, the microphone assigned to the next speaker's microphone is operated after the microphone end time of the microphone being used by the speaker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has elapse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photographing a speaker who speaks through the voice.

바람직하게, 상기 회의 영상은, 발언자의 성명이 자동으로 일측면에 표시되어 송출된다.Preferably, the video of the conference, the name of the speaker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one side and sent.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는, 발언자간에 동일한 카메라가 할당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발언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한 마이크를 사용하는 발언자를 촬영하게 하게 하는 지표로 사용된다.Preferably, the priority of the camera is used as an index to allow the speaker to photograph a speaker using a microphone having a higher priority of the camera when the speaker speaks using a microphone assigned to the same camera.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음성 추적기능에 의해 마이크가 동작하는 해당 발언자를 자동으로 카메라가 촬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의 진행시 발언자의 마이크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없이 빠르고 자연스러운 의사중계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amera to automatically capture the speaker that the microphone operates by the voice tracking function, thereby enabling quick and natural pseudo-relay without the need to check the speaker's microphone during the meeting.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work.

또한 PIP 화면의 자동배열기능을 이용하여 발언자간 서로 마주보고 회의하는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감나는 화상 회의를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automatic arrangement of the PIP screen to enable the speaker to switch to the screen facing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realistic video conference service.

또한 카메라 우선순위를 지정기능을 이용하여 각 발언자마다 우선순위와 후 순위의 카메라를 각각 할당하고, 우선순위와 후 순위를 고려하여 각 카메라가 발언자의 영상을 촬상함으로써, 1대의 카메라가 발언자를 바꿔가며 촬상하여 발생하던 매끄럽지 않던 화면전개를 해소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 화면을 서비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ssigning camera priorities, each speaker can be assigned a priority and a lower priority camera, and each camera captures the speaker's video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and the priority. It is effective in eliminating the uneven smooth screen development caused by image capturing and serving a smooth and smooth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의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 뷰어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정 기능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리스트의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 리스트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리스트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IP화면 자동 배열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리셋 설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osition Lock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의 구성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video confer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eset viewer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the automat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 projec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eset list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mera list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IP screen automatic arrange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eset sett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position lo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confer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video conferen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화상 회의 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of the videoconferenc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implement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lso by modification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의 화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video confer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①은 카메라별 미리 보기창으로서, 현재 카메라가 잡고 있는 상황을 확인하는 창이다. 즉, 일예로, 화상 회의를 위해 구비된 카메라 1번부터 4번까지 현재 송출을 준비하는 각 카메라의 상황을 미리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1, ① is a preview window for each camera, and is a window for checking a situation currently held by the camera. That is, as an example, the camera 1 to 4 of the camera provided for video conferencing shows the situation of each camera to prepare for the current transmission in advance.

②는 외부 소스 미리보기 창으로서, 소스 동영상 및 이미지 등 준비된 외부자료 소스를 보여주는 창이다. 즉, 홍보용 동영상(video), 사진(picture), 배경이미지(background) 및 파워포인트 문서 등 외부 자료 등을 송출할 수 있도록 각 소스 자료를 미리 보여준다. 이에 대한 설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② is an external source preview window and shows the prepared external data source such as source video and image. That is, each source material is shown in advance so that external materials such as a promotional video, a picture, a background image, and a PowerPoint document can be transmitted. This setting will be described below.

③은 송출모니터창으로서, 최종 송출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창이다. 즉, 방송화면으로서 수신측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③ is a transmission monitor window, which shows a video to be sent last. That i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receiving side as the broadcast screen is shown.

④는 위치자동 조정 및 방송중계 및 녹화 컨트럴 창으로서, 자동위치 조정 지원, 중계/인코딩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이다. 즉, 각 카메라별 송출되는 화면을 미리 확인할 수 있고, 카메라 좌표가 변환 경우 화면 좌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화면 좌표 수정은 위치자동 조정기능으로서 화면에 보여지는 중앙부분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자동으로 중앙지점을 체크하여 위치를 보정해준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방송중계 및 녹화 컨트럴 창은 인터넷 실시간 중계 및 인코딩에 관한 버튼과 중계/녹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에 실시간 중계를 할 수 있는 "OnAir" 및 실시간 레코딩을 위한 "Record", 레코딩을 중단하는 "Stop Rec"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④ is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broadcast relay and recording control window, which supports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and relay / encoding operation. That is, the screen transmitted by each camera can be checked in advance, and when the camera coordinate is converted, the screen coordinate can be modified. The screen coordinate correction function automatically adjusts the position by checking the center point automatically when clicking the center part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mous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Broadcasting and Recording Control window allows you to check the status of the Internet's real-time relay and encoding, the status of the relay / recording, "OnAir" for live broadcast to the Internet, "Record" for live recording, and stop recording. It consists of a "Stop Rec" button.

이때 "Record" 버튼을 클릭할 경우 레코딩이 진행되며 "Pause" 버튼으로 변경되는데 "Pause" 버튼은 회의중 잠시 휴회하거나 회의가 중단될 경우에 사용하는 기능으로 다시 클릭할 경우 멈춘 장면 다음부터 계속하여 레코딩한다. 이는 파일을 여러 개 생성하는게 아니라 하나의 파일로 계속해서 레코딩을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추가 편집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if you click the "Record" button, recording will proceed and it will be changed to "Pause" button. The "Pause" button is used to pause or stop the meeting. Recor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cumbersome additional editing, because you can continue recording to a single file rather than creating multiple files.

⑤는 타이틀 재생창으로서, 최대 4개의 타이틀을 동시 송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이다. 즉, 송출할 로고 및 자막을 확인하고 1번부터 4번으로 구성된 각각의 layer 별로는 송출에 필요한 still캡션을 관리하고, 캡션(caption) 송출 창에서는 원하는 캡션을 상황에 맞게 쉽게 찾아서 송출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여기서 세부 컨트롤로 캡션에 관한 설정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5) is a title playback window, which supports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up to four titles. In other words, it checks the logo and subtitle to send and manages still caption required for each layer consisting of 1 to 4, and manages to easily find and send the desired caption in the caption transmission window. do. Here, the setting related to the caption with the detailed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⑥은 오디오 창으로서, 채널별 마이크 오디오 상황을 체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이다. 즉, 마이크 채널별 레벨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Auto PIP" 및 "Auto Control" 기능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마이크 레벨 표준값을 정확히 셋팅(settiong)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레벨 체크 및 설정 방법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⑥ is an audio window that supports the microphone audio status of each channel. In other words, the level status of each microphone channel can be checked at a glance, and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set the microphone level standard value to maximize the use of the "Auto PIP" and "Auto Control" functions. Here, the level checking and set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⑦은 PIP설정 창으로서, PIP설정 및 마이크 레벨에 의한 자동 카메라 컨트롤 조정에 따른 창이다. ⑦ is the PIP setting window, which is a window for automatic camera control adjustment by PIP setting and microphone level.

⑧은 스위처 기능창으로서, 소스를 바로 송출할 수 있는 컨트롤 창이다. 즉, 홍보용 동영상, 사진, 배경이미지, 외부 자료까지 1~4번 layer로 분리된 자료를 선택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때 자동 실행 및 디졸브(dissolve) 시간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세브 컨트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⑧ is a switcher function window, and it is a control window that can directly send a source. In other words, promotional videos, photos, background images, and external materials help to select and send data separated into layers 1-4. You can also set autorun and dissolve times. Each sub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⑨는 세부 컨트롤 창으로서, 송출된 카메라 수동 설정 창, 타이틀 및 배경, 동영상 등 송출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이다. 즉, 카메라 세부 세팅, 캡션 관리 및 제작(caption/caption make), 비디오 관리, 이미지 관리, 배경화면 관리, 인코딩 세부 설정 등의 세부 컨트롤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⑨ is a detailed control window, which allows the user to manage the transmission of the camera manually, the title, the background, and the moving image. That is, detailed control such as camera detail setting, caption management and production (caption / caption make), video management, image management, wallpaper management, and encoding detail setting can be se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의 화상 회의를 위한 화면구성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이고 간결한 구조를 갖으며, 불필요한 메뉴는 철저히 배제하고 화면을 보면서 누구나 쉽게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uch a screen configuration for video conferencing of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uitive and concis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and unnecessary menus are thoroughly excluded and anyone can easily make a video conference while watching the screen.

다음은 화상 회의 장치의 화상 회의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detailed settings of the video conference of the video conferenc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설정화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참조부호 21은 카메라 입력 및 마이크 입력에 관한 입력(Input)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이다.Referring to FIG. 2, a schematic overview of the setting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21 is an area for setting input values related to a camera input and a microphone input.

참조부호 22는 카메라 1번부터 4번까지의 현재 카메라의 입력소스를 표시하는 영역이다.Reference numeral 22 is an area indicating the input source of the current camera from camera 1 to camera 4.

참조부호 23은 지정한 프리셋값에 따른 송출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으로서, Pan/Tilt/Zome 등을 설정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n area for checking a transmission screen according to a preset value, and may be set to Pan / Tilt / Zome.

참조부호 24는 Brightness(밝기), Contrast(대조), Hue(색조), Saturation(채도), Sharpness(선명도) 같은 색보정기능(Color Correction)과, De-Interlace 등을 지정할 수 있는 영역이다.Reference numeral 24 is a region where color correction functions such as Brightness, Contrast, Hue, Saturation, Sharpness, and De-Interlace can be specified.

참조부호 25는 카메라 및 마이크가 연동할 수 있도록 프리셋값을 설정하는 영역이다.Reference numeral 25 is an area for setting a preset value so that the camera and microphone can be linked.

이러한 설정화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참조부호 21의 카메라 입력 및 마이크 입력에 관한 입력값 설정은 전체 5개의 입력단자(4개의 카메라 입력단자와 1개의 외부 VGA입력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48개의 영상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VGA 입력값은 옵션사양이다.Looking specifically at such a setting screen, first, input value setting for camera input and microphone input of reference numeral 21 has five input terminals (four camera input terminals and one external VGA input terminal), and up to 48 Image coordinates can be specified. VGA input is optional here.

설정할 입력 카메라를 선택한 후, 카메라 기종(Cam Controller)을 선택하고, 카메라가 연결된 포트(Cam Serial Port)와 카메라 통신 속도(Cam Serial Baud)를 지정하며, 카메라 Address Number(Cam Address Num)를 지정한다.After selecting the input camera to be set, select the camera controller (Cam Controller), specify the port (Cam Serial Port) and camera communication speed (Cam Serial Baud) to which the camera is connected, and specify the camera address number (Cam Address Num). .

이후, 마이크 번호와 마이크에 따른 컨트롤 방식을 지정한다. 여기서 마이크는 최대 32개(아날로그 16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마이크 컨트롤 방식에서는 일반 마이크일 경우, Auto Mode로 설정하며 일괄 자동관리하게 된다. After that, the microphone number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microphone are specified. Up to 32 microphones (16 analogs) can be specified here.In case of the microphone control method, if the general microphone is used, the auto mode is set and batch automatic management is performed.

또한 마이크가 연결된 포트(Mic Serial Port)와 마이크의 통신속도(Mic Serial Baud)를 지정한다.In addition, it specifies the port where the microphone is connected (Mic Serial Port) and the microphone's communication speed (Mic Serial Baud).

이후, 사용자(방송 관계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뷰어(Preset Viewer) 창을 보면서 카메라를 조작하여 프리셋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숫자패드의 "↑, ↓, ←, →" 버튼을 클릭하여 카메라를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 -"키를 조작하여 줌인(Zoom In)/줌아웃(Zoom Out)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broadcasting party) sets the preset value by operating the camera while looking at the preset viewer window as shown in FIG. 3. At this time, click “↑, ↓, ←, →” button on the number pad to move the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Use “+,-” key to zoom in / zoom out. can do.

또한 프리셋뷰어 창에서도 이동 아이콘(31)을 클릭하여 카메라를 이동할 수 있으며, 프리셋뷰어 창에서 줌인/줌아웃을 클릭하여 줌인/줌아웃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줌인/줌아웃시 줌의 속도변화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르게 사용자가 희망하는 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래서 도 3과 같이 일예로, 작은 사각형의 줌 아이콘은 천천히 줌을 가변하고, 큰 사각형의 줌 아이콘은 작은 사각형에 비해 빠르게 줌을 가변한다.In addition, the camera can be moved by clicking the move icon 31 in the preset viewer window, and zoom in / zoom out by clicking zoom in / zoom out in the preset viewer window. Here, an icon may b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quickly select a desired zoom by adjusting a change in zoom speed when zooming in and out. S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small square zoom icon slowly changes the zoom, and the large square zoom icon changes the zoom faster than the small square.

이러한 프리셋뷰어 창은 Menu 아이콘과 Select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 표시된 Menu 아이콘과 Select 아이콘 선택시, 카메라에 대한 기본 설정 메뉴를 보고 선택할 수 있다.This preset viewer window displays a Menu icon and a Select icon, and when the displayed Menu icon and Select icon are selected, the basic menu for the camera can be viewed and selected.

이와 함께 기본 위치로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Home 아이콘과 카메라를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Reset 아이콘 및 카메라의 포커스를 맞출 수 있도록 하는 Focus Far 아이콘과 Focus Near 아이콘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me icon for moving the camera to a basic position, a Reset icon for initializing the camera, and a Focus Far icon and Focus Near icon for focusing the camera may be provided.

한편 참조부호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화면의 색보정은 밝기, 대조, 색조, 채도 및 선명도에 대해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4, the color correction of the broadcast screen serves to adjust the brightness, contrast, hue, saturation and sharpness respectively.

또한 참조부호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Monitoring) 및 디-인터레이스(De-Interlace) 설정을 위해 모니터링의 "Start On"을 체크할 경우 외부 출력단자로 영상을 송출해준다. 이때 인터넷 서버를 통한 송출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Start On"을 비활성화 하면 된다.In addi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4, when monitoring " Start On " of monitoring is set for monitoring and de-interlace setting, an image is sent to an external output terminal. In this case, if you only want to send via internet server, you can disable "Start On".

여기서 디-인터레이스(De-Interlace)는 인터레이스 방식의 비디오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의 비디오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이라 함은 TV의 경우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때, 하나의 이미지 프로엠에서 수평라인의 반만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그레시브 방식은 프로그레시브 스캔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컴퓨터 모니터, 혹은 PDP 또는 LCD같은 디지털 TV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방식은 하나의 프레임을 단한번에 모든 수평라인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ere, de-interlace means converting interlaced video into progressive video. Here, the interlace method means that when displaying one image, only half of the horizontal line is displayed in one image program in the case of a TV. The progressive metho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progressive scan method such as a computer monitor or a digital TV such as a PDP or LCD. This method means displaying one frame in all horizontal lines at once.

이때, 프리셋뷰어 창을 통해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부분만 선택(Crop)해서 송출하고자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리셋뷰어 창에 구비된 "Crop On" 버튼을 클릭하면, 프리셋뷰어 창의 좌우에 영상조정 아이콘이 표시되어 Crop하고자 하는 해당 영상을 확대/축소하는 방법으로 Crop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you may want to send by selecting (Crop) only the desired portion while watching the image through the preset viewer window. To do this, click the "Crop On" button provided in the preset viewer window, and the image adjustment icon is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eset viewer window so that it can be cropped and transmitted by zooming in / out the corresponding image to be cropped.

또한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정 기능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필요하다.In addition, how to set the automat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is necessary for the following reasons.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자동조정 기능은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 이동 포인터를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킨후 클릭하면,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지점을 카메라 화면의 중심이 되도록 이동하여 촬상하도록 하는 기능이므로, 카메라 이동 포인터를 통해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과정이다.The automat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camera movement pointer to a specific area and click when the image is displayed, so th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rea is moved to be the center of the camera screen to capture an image. In order to move the camera in response to the distance moved through the camera movement pointer,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movement distance.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understand thi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n automat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Calibrate On" 버튼을 클릭하면, 도 4의 (a)와 같이 "+" 표시가 프리셋 뷰어 창 중앙에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4, first, when the "Calibrate On" button is clicked, "+"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preset viewer window as shown in FIG.

"+" 표시는 줌인/아웃 값의 차이에 따라 선택된 위치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기준값을 설정할때 사용한다.The "+" mark is used to set the reference value by calcula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mera because the selected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zoom in / out value.

이후, 프리셋뷰어 창을 보고 원하는 중심값이 있을 경우 먼저 도 4의 (b)와 같이 좌측 상단의 "+" 표시에 중심값을 이동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왼쪽 좌표에 대한 계산값이 인식된다. 그리고 도 4의 (c)와 같이 우측 상단의 "+" 표시에 중심값을 이동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이동거리 계산이 완료됨으로써,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정 기능 설정을 완료한다.Then, if there is a desired center value by looking at the preset viewer window, as shown in (b) of FIG. 4, first, the center value is moved to the "+" mark on the upper left side, and the calculated value for the left coordinate is recognized when the right mouse button is pressed. . Then, as shown in (c) of FIG. 4, when the center value is moved to the "+" mark on the upper right side and the right mouse button is clicked, the movement distance calculation is completed, thereby completing the automat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setting.

전술한 과정에 의해 설정이 완료되면, 도 5의 (a)의 프리셋뷰어 창에서 참조부호 "100" 에 해당하는 영역(위치)을 마우스로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영역을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도 5의 (b)와 같은 프리셋뷰어 창을 볼 수 있다.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are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 "100" is selected by the mouse in the preset viewer window of FIG. 5A, FIG. 5 moves the selected area to the center of the screen. You can see the preset viewer window as in (b).

이러한 카메라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은 메인화면의 카메라 컨트롤 창(Camera Controller)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카메라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가 있을 수 있다.The automatic camera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is also applied to the camera controller window of the main screen, and there are two ways to automatically adjust the camera position as follows.

즉, 도 6의 (a)와 같이 포인트를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선택되는 경우에 해당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카메라 위치를 조정하는 포인트 클릭방식과, 도 6의 (b)와 같이 잡아 끌어서 포인트를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이동되는 포인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카메라 위치를 조정하는 드래그 방식이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point click method of adjusting the camera position around the specific area when the point is selected after moving the point to a specific area as shown in FIG. 6 (a), and dragging the point as shown in FIG. 6 (b). There may be a drag method of adjusting the camera position around a specific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er to be finally moved.

다음은 참조부호 25에 해당하는 카메라별 세부 설정에 대한 것으로, 각 카메라 및 마이크에 대한 기본 좌표와 설정값을 지정한다. The following is a detailed setup of each camera corresponding to reference numeral 25. It specifies basic coordinates and settings for each camera and microphone.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명을 지정하고, 프로젝트는 지정한 각각의 프리셋을 관리할 수 있는 대분류로 쉽게 설명하여 각 상임위원회별로 설정값을 전혀 상이하게 생성해야 할 경우, 프로젝트명으로 1번 상임위, 2번 상임위 이런 형태로 나눠서 각각의 프리셋값을 개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FIG. 7, the project name is specified, the project can be easily described as a large category that can manage each of the specified presets, if you need to generate a different set value for each standing committee, 1 as the project name It can be divided into 1st standing position and 2nd standing position to manage each preset value individually.

도 7에서 Add 버튼은 설정한 값을 프로젝트 리스트(Project List)에 저장하고, Del 버튼은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또한 Modify 버튼은 프로젝트 리스트에서 선택한 항목을 수정하고, Load 버튼은 원하는 프로젝트를 독출하고, MicReset 버튼은 마이크값을 초기화한다.In FIG. 7, the Add button stores the set value in the Project List, and the Del button is deleted from the Project List. The Modify button modifies the selected item in the project list, the Load button loads the desired project, and the MicReset button initializes the microphone values.

프로젝트를 생성한 이후에는 프리셋을 설정한다.After creating the project, set the preset.

프리셋 설정시, Cam/Mic와 View의 설정화면으로 나눠진다. Cam/Mic는 화면과 함께 오디오도 함께 출력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물 위주로 구성이 되며, Preset List에 Camera(지정된 카메라)와 Mic(지정된 마이크)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When setting the preset, it is divided into the setting screen of Cam / Mic and View. Cam / Mic is composed mainly of people because audio is output along with screen, and maps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Camera (designated camera) and Mic (designated microphone) in Preset List.

View는 대화가 없거나 회의가 진행되지 않을때 자동으로 송출되는 화면을 지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마이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Preset List에 Camera, View, Cam으로 표시한다.A view is a screen tha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when there is no conversation or when a meeting is not in progress. Since a microphone is not generally required, the view is displayed as a camera, a view, and a cam in the preset list.

다음은 Preset List 설정에 대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이크 및 기본적으로 노출시킬 카메라 위치값과 세부 정보를 설정한다. 이를 통상 프리셋 설정이라 칭한다.Next, the Preset List is set. As shown in FIG. 8, each microphone and a camera position value and detailed information to be exposed are basically set.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preset setting.

도 8에서 Preset List에는 해당 카메라 정보에 대한 이름을 지정하는 메뉴이고, In FIG. 8, a preset list is a menu for designating a name for corresponding camera information.

Mic Max와 Mic Min에는 마이크의 어느 정도 소리(db)에 Auto Pip 또는 Auto Control 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인 것으로, 기침 소리나 고함소리 등 갑자기 큰 소리가 나거나 속삭이는 소리에 카메라가 반응하여 자동으로 컨트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대값과 최소값으로 설정한다. 즉, 음성크기 구간을 설정하여 설정된 음성크기 구간내의 음성에 대해서만 발언자의 발언이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Mic Max and Mic Min are menus that allow Auto Pip or Auto Control to a certain amount of sound (db) of the microphone.The camera responds automatically to sudden loud or whispering sounds such as coughing or shouting. Set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That is, the voice size section is set so that only the voice in the set voice size section can be recognized as the speaker's speech.

Mic Start는 마이크에 소리가 전달된 후 소정시간(sec)후에 카메라가 반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메뉴이다. 이는 발언이 아닌 간단한 의사표현이나 단답형 발언시 카메라가 반응하여 자동으로 컨트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ic Start is a menu to set whether the camera responds after a predetermined time (sec) after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to display an image. This can prevent the camera from reactin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simple expressions or short answers rather than speech.

Mic End는 다른 마이크가 동작되어도 소정시간(sec)을 유지한 이후, 다른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정값으로서, 일정시간동안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을 유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다.Mic End is a setting value for displaying a camera image assigned to another microphone afte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time (sec) even when another microphone is operated. The Mic End is maintained by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time. This menu allows you to do this.

Auto Take는 송출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메뉴로서, 이는 방송사고를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uto Take is a menu to set the delay time of transmission, which is to be able to cope with broadcasting accident in advance.

Name Count는 자동으로 송출되는 자막의 표시횟수를 설정하는 메뉴이다.Name Count is a menu to set the number of display of subtitles sent automatically.

Name Start는 마이크 동작후 소정시간(sec)후에 자동 자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메뉴이다.Name Start is a menu for setting a time for displaying an automatic subtitle after a predetermined time (sec) after the microphone operation.

Name End는 자동 자막을 소정시간(sec)동안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메뉴이다.Name End is a menu for setting a time for displaying an automatic subtitle for a predetermined time (sec).

이외에, Add 버튼은 설정값들을 Preset List에 등록 및 저장하는 버튼이고, Del 버튼은 Preset List에서 설정한 Preset을 삭제하는 버튼이며, Modify 버튼은 Preset List에서 설정한 Preset을 수정하는 버튼이다.In addition, the Add button registers and saves the set values in the preset list, the Del button deletes the preset set in the preset list, and the Modify button modifies the preset set in the preset list.

한편, 카메라 설정은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촬상하는 대상의 정보를 등록하여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setting registers and set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captured according to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camera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리스트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 camera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카메라 리스트 설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회의를 위해 필요한 설정과정으로서, 카메라의 제어 우선순위와 PIP 화면 송출시 표시해줄 화면을 지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Referring to FIG. 9, the camera list setting is a setting process required for video conferen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s to designate a control priority of a camera and a screen to be displayed when a PIP screen is sent.

예컨대, 1이라는 사람과 2라는 사람이 있고, 이 둘 모두 1번 카메라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1이라는 사람의 발언이 끝난 후, 2라는 사람의 발언이 바로 진행될 경우에는 하나의 카메라가 이동하여 2라는 사람을 잡기 때문에 화면 전개가 매끄럽지 않다.For example, if there is a person named 1 and a person named 2, and both of them have the camera 1 set as the default, after the person 1 is finished speaking, if the person 2 is spoken immediately, one camera moves. The screen development is not smooth because it catches 2 people.

또한, PIP 송출시에는 인물 모드로 일반 카메라 구도보다는 사람 위주로 확대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PIP값을 따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P is transmitted, the PIP value needs to be set separately because it is often transmitted to a person rather than a general camera composition in the portrait mode.

여기서, Main Camera는 전체화면 모드일 경우 보여주는 프리셋을 지정하는 기능인 것이며, PiP Camera는 PIP화면 모드일 경우, 보여주는 프리셋을 지정하는 기능이다.Here, Main Camera is the function to specify the preset to show in full screen mode, and PiP Camera is the function to specify the preset to show in PIP screen mode.

AutoName은 해당 프리셋이 화면에 송출될 때 자동으로 자막을 송출해주는 기능으로, A 의원이 나오면 A 의원의 이름이 자동으로 나타나게 해주는 기능이다.AutoName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subtitles when the preset is sent to the screen. When A comes out, A's name automatically appears.

Left, Center, Right는 1:1 PIP 화면 모드시 앉아 있는 위치에 따라 마주보는 형태가 아닌 서로 등진 형태로 송출되어 어색한 장면이 연출되기도 하지만, 보이는 사람을 기준으로 왼쪽 볼이 보이면 Left, 정면이면 Center, 오른쪽 볼이 보일 경우 Right로 지정하면 도 10의 (a)와 같이 방향 설정전의 화면에서 도 10의 (b)와 같은 화면이 최종적으로 표시된다.Left, Center, and Right are sent out in back-to-back form rather than facing each other in the 1: 1 PIP screen mode, but sometimes awkward scenes are produced. If the right ball is visible, if it is designated as Right,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 (b) is finally displayed on the screen before the direction setting as shown in FIG.

이때, 자동으로 방향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Control창에 있는 'M1' 버튼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참고로, 'M0' 버튼은 카메라 화면 그대로 영상을 송출(방향 설정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M1' button in the control window should be activated to enable automatic setting. For reference, the 'M0' button transmits the image (before direction setting) as it is in the camera screen.

여기서, Add는 설정한 값을 카메라 리스트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Del은 카메라 리스트에서 카메라값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Modify는 카메라 리스트에서 카메라 값을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Add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the set value in the camera list, Del performs the function of deleting the camera value from the camera list, and Modify performs the function of modifying the camera value in the camera list.

Action은 카메라 리스트에서 선택한 카메라 값으로 바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좌표값이 정확한지 확인하며, 카메라 리스트에서 더블 클릭시 동일하게 적용된다.Action performs a function to move directly to the selected camera value in the camera list. It checks whether the coordinates are correct and applies the same when double-clicking on the camera list.

CamOn은 해당 카메라의 전원을 온(on)하고, CamOff는 해당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Reset은 해당 카메라의 통신선로(버퍼)를 초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CamOn turns on the camera, CamOff turns off the camera, and Reset resets the camera's communication line (buffer).

또한 회의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화면 전환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얼마간 오디오 소리가 없을때 View 화면 또는 디지털 마이크의 경우 전체 마이크가 꺼졌을때 지정된 시간 후 전경으로 전환되는 시간(Background Time)을 지정하면, View화면으로 전환될 경우 선택한 화면만 송출해주는 Select Mode가 있으며, View화면으로 전환될 경우 지정한 View 화면을 랜덤하게 보여주는 Random Mode가 있다.Also, if the conference is not smooth, the screen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If there is no audio sound for some time, the time when the entire screen is turned off in the foreground or when the entire microphone is turned off (Background Time) If you specify), there is a Select Mode that sends only the selected screen when it is converted to the View screen, and there is a Random Mode that shows the specified View screen randomly when it is switched to the View screen.

다음은 프리셋 설정하는 순서를 첨부된 도 11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1) 참조부호 '111'의 프리셋 리스트에 해당 프리셋 이름(의원명 등)을 지정한다. 프리셋 이름은 4 글자를 넘지 않는게 바람직하다. 그 후, 참조부호 '112'에 존재하는 Add 버튼을 눌러 프리셋 이름을 저장한다.Next, referring to FIG. 11, a procedure for setting a preset is described. (1) A preset name (such as a doctor's name) is designated in a preset list of reference numeral '111'. Preset names should not exceed 4 characters. Then, press the Add button existing at '112' to save the preset name.

(2) 이후, 참조부호 '113'에서 원하는 Cam을 클릭하여 해당 프리셋을 잡을 카메라를 선택하여 메인 Preset Viewer창에 나타나게 한다.(2) After that, click the desired Cam at '113' and select the camera to grab the preset so that it appears in the main Preset Viewer window.

(3) 참조부호 '114'의 Cam Address Num(카메라 번호)를 지정한다. Address 1번은 Cam 1, 2번은 Cam 2, 3번은 Cam 3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카메라 번호가 정확하게 지정되어야 정상적으로 동작이 됨은 자명한 사항이다.(3) Designate Cam Address Num (Camera Number) of '114'. Set Address 1 as Cam 1, Number 2 as Cam 2, and Number 3 as Cam 3. It is obvious that the camera number must be correctly specified to operate normally.

(4) 다음으로 Preset Num(프리셋 번호)를 지정하고, 프리셋에 해당하는 마이크를 선택해서 등록(마이크는 MIC 1~32까지 설정가능)하거나 마이크 없이 전경이나 특수한 프리셋을 설정할 경우에는 View로 선택해서 지정한다.(4) Next, specify Preset Num, select and register the microphon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the microphone can be set from MIC 1 ~ 32), or select View if you want to set the foreground or special preset without microphone. Specify.

(5) 그리고, MIC Controller(마이크 컨트롤러)에서 그 프리셋에 해당하는 마이크 종류를 지정하며, 프리셋번호를 View로 선택했다면, 바로 다음으로 넘어간다.(5) Then, specify the microphone typ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in MIC Controller, and if you select the preset number as View, go to next.

(6) 이후, 참조부호 '115'의 카메라 리스트 좌측에 있는 'Add'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한 카메라값을 저장하고, 참조부호 '116'의 'Calibrate on' 버튼을 눌러 Preset Viewer 창 세부조정 모드로 전환한 후, 참조부호 '117'의 Preset Viewer창에서 좌우상하, 줌인/줌아웃 등 세부적인 위치값을 수정한다.(6) After that, save the set camera value by clicking 'Add' button to the left of the camera list at '115' and press 'Calibrate on' button at '116' to adjust the Preset Viewer window. After changing to, modify detailed position values such as left, right, up, down, zoom in / zoom out in the Preset Viewer window of '117'.

(7) 다음으로 참조부호 '111' 에 존재하는 Left/Center/Right 중 해당 인물의 얼굴(예컨대, 얼굴의 볼 기준)의 위치를 지정한다. (7) Next, the position of the face of the person (for example, the view of the face) among the Left / Center / Right existing at the reference numeral '111' is designated.

(8) 이후, 참조부호 '118'의 카메라 리스트 좌측에 존재하는 Modify 버튼을 선택하여 변경한 카메라 값을 수정/저장하면 하나의 카메라 프리셋값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다.(8) After that, select the Modify button on the left of the camera list at '118' to modify / save the changed camera value and the setting of one camera preset value is completed.

(9) 한편, PIP화면 모드를 설정할 경우에는 참조부호 '111'에서 PiP Camera를 선택하고, 전술한 (2) 내지 (8)의 과정을 수행한다.(9) Meanwhile, in the case of setting the PIP screen mode, PiP Camera is selected at '111'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2) to (8) are performed.

(10) 이후, 참조부호 '111'에 존재하는 Camera Priority 레버를 조작하여 값을 '2'로 설정하고, Main Camera를 선택한 다음, 전술한 (2) 내지 (8)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메인 카메라값을 지정한다.(10) After that, set the value to '2' by operating the Camera Priority lever existing at the reference numeral '111', select the Main Camera, and then perform the procedure of (2) to (8) described above. Specifies the camera value.

(11) 그리고 참조부호 '111'에 존재하는 Camera Priority 레버를 조작하여 값을 '2'로 설정하고, PIP Camera를 선택한 다음, 전술한 (2) 내지 (8)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PIP 값을 지정한다.(11) Then, set the value to '2' by operating the Camera Priority lever existing at the reference numeral '111', select the PIP camera, and then perform the procedure of the above (2) to (8) to perform the new PIP value. Specify.

(12) 모든 프리셋값을 지정할 때까지 전술한 (1) 내지 (11)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한다.(12)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1) to (11) are continuously repeated until all preset values are specified.

하나의 프리셋에는 적어도 메인 카메라 2종, PIP 카메라 2종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two main cameras and two PIP cameras are preferably assigned to one preset.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든 설정을 완료하면, return 버튼을 선택하여 메인화면으로 이동한다.When all the settings are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select the return button to go to the main screen.

다음으로 화상 회의시의 세부 컨트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detailed control of the video conference will be described.

먼저 setup에서 만들어낸 preset List를 토대로 카메라의 좌표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메인 화면 Control 박스에서 기 설정한 Preset List를 확인할 수 있다.First, if the camera coordinates are set based on the preset list created in setup, you can check the preset list in the main screen control box.

이후, 원하는 카메라를 Control화면에 드래그해서 올려놓으면 Preset 된 해당 좌표값으로 카메라가 이동한다.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화면이 바로 송출된다.Then, drag the desired camera onto the control screen and move the camera to the preset coordinate value. Click the right mouse button and the screen will be sent out immediately.

다음으로 Auto Control과 Auto Name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Next, let's take a look at Auto Control and Auto Name.

우선 Auto Control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발언자가 발언을 진행하면, 마이크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발언자의 카메라로 자동 컨트롤되고 이와 동시에 바로 송출된다. 발언자를 일일이 체크하지 않더라도 아주 손쉽게 의사중계를 진행할 수 있으며 2분할 PIP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If the speaker is activated and the speaker speaks, the microphone status is checked and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speaker's camera. Even if you do not check the speaker one by one, it is very easy to proceed with the doctor relay and can be configured as a split PIP screen.

Auto Name을 체크할 경우, 해당 발언자에 해당하는 자막(성명)을 자동으로 송출한다.If Auto Name is checked, subtitles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are automatically sent.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sition Lock 버튼을 해제하면, Control 창을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기본 세팅된 PIP 포지션값도 자유자재로 배치할 수 있으며 화면 크기도 PIP크기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position lock button is released, the control window can be freely configured in a desired shape, and the basic PIP position value can be freely arranged, and the screen size and the PIP size can be freely changed. Can be.

이후, PIP를 선택한 후 해당창에 원하는 카메라를 드래그하여 가져다 놓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PIP가 바로 송출된다. 이에 대한 도면이 첨부된 도 13이 된다.After selecting the PIP, drag the desired camera to the corresponding window and click the right mouse button, and the PIP is sent out immediately. 13 is attached to the drawings.

PIP는 굳이 기본 프리셋된 두 자리를 다 채울 필요가 없으며, 하나만 채우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도 바로 송출된다.The PIP doesn't have to fill in the two preset positions, just fill in one and right-click on it.

한편, 모든 PIP 화면은 Position Lock 해제시 자유롭게 이동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듯 기본 세팅된 PIP화면을 포지션 락기능을 통해 더욱 다양하고 새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ll PIP screens can be freely moved and modified when the position lock is released. In this way, the default PIP screen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position lock function.

1:1 분할 PIP를 적용할 경우, 마우스의 휠 부분을 조절하면 분리선이 뚜렷해지거나 그라데이션 효과처럼 흐릿해진다.If you apply 1: 1 split PIP, you can adjust the mouse wheel part to make the dividing line clear or blur like gradation effect.

다음은 마이크 컨트롤 설정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마이크 컨트롤에는 Auto와 Fifo 세부 설정메뉴가 있다.Next, let's take a look at the microphone control setting process. Microphone control has Auto and Fifo setting menu.

Auto는 Auto모드 선택시 Mic만 지정할 수 있으며, Mic에서 지정한 숫자만큼의 마이크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마이크가 오프되어야만 추가로 다른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Auto can be set to Mic only when Auto mode is selected. Only the number of mics designated by Mic can be used. Other microphones can be used only when the mic is off.

Fifo는 Mic와 Rts 모두를 지정할 수 있다. Mic는 사용중인 마이크 수이며, Rts는 대기모드의 마이크를 의미한다. 사용중인 마이크만 작동하며 대기모드의 마이크는 사용할 수 없다. 사용중인 마이크가 꺼지게 되면 대기순서대로 마이크가 작동한다. 여기서 마이크가 사용중일때에는 빨간색으로 대기중인 경우에는 연두색으로 표시된다.Fifo can specify both Mic and Rts. Mic is the number of microphones in use and Rts is the microphone in standby mode. Only the microphone you are using works, not the standby microphone. When the microphone is turned off, the microphone will operate in the standby order. Here, when the microphone is in use, it is displayed in red when it is in red.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confer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회의 장치(100)는 카메라(50)와, 마이크(60)와, 방송기기(70)와, 스피커(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50, a microphone 60, a broadcasting device 70, a speaker 80, and the like.

카메라(50)는 화상 회의에 대한 방송을 위해 미리 특정 영역에 설치되어, 방송기기(70)의 제어하에 피사체를 촬상한다. 여기서 카메라(50)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카메라이며, 원활한 방송을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50)가 각각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피사체를 촬상해야 함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50 is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n advance to broadcast a video conference, and captures a su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broadcasting device 70. In this case, the camera 50 is a camera that can adjust a position, and in order to smoothly broadcast, at least one camera 50 is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it is preferable to capture different subjects.

마이크(60)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방송기기(70)로 전송한다. 여기서 마이크(60)는 회의자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phone 60 receives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broadcast device 70. The microphone 60 is preferably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방송기기(70)는 방송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자막기, 스위처 및 인코더 등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것으로, 실시간 송출화면에 따른 자막 및 타이틀을 송출한다. 또한 방송기기(70)는 실시간으로 카메라/동영상/CG/외부 소스를 미리볼 수 있도록 하고, 메인화면상에서 방송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또한 방송기기(60)는 실시간 화상 회의 방송중에 자막을 송출화면에서 바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자막 layer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송기기(7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과 함께 자막, 타이틀을 설정할 수 있도록 메인화면상에 이를 표시한다. 그래서 방송기기(7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설정정보로 화상 회의 방송환경을 설정한다. 또한 방송기기(70)는 카메라의 기본 프리셋값과 그 기본 프리셋값에 대응하는 회의자(피사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위치 자동조정기능을 이용하여 변경된 회의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선택하면,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여 카메라(50)를 이동시킨다. 또한 방송기기(70)는 화상 회의의 발언자가 소정 인원인 경우에는 PIP기능을 이용하여 상호 발언자가 서로 마주보면서 대화하도록 화면을 전환시킨다. 또한 방송기기(70)는 마이크(60)의 프리셋 설정과정에 의해 설정되는 일정 음성크기보다 마이크(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이 크면, 카메라(50)가 반응하여 자동으로 발언자를 촬상하도록 한다. 또한 방송기기(70)는 동작중인 마이크에서 다른 마이크가 동작중이면 기 설정된 Mic End시간(예컨대, 2sec)후에 다른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영상을 촬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송기기(70)는 기 설정된 Auto Take시간이 경과되면, 다른 발언자의 마이크의 동작에 따라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상하도록 한다. 또한 방송기기(70)는 화상 회의를 위한 방송시, PIP를 선택하고, 화면상에 기 설정된 카메라 아이콘중 특정 카메라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PIP창에 가져다가 놓으면 해당 카메라의 촬상되는 영상이 PIP화면으로 송출되도록 한다.The broadcasting device 70 integrates functions such as a subtitler, switcher and encoder necessary for a broadcasting service into one, and transmits a caption and title according to a real-time transmission screen. In addition, the broadcasting device 70 enables to preview the camera / video / CG / external source in real time, and services to set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on the main screen. In addition, the broadcast device 60 can easily control the caption layer because the caption can be directly controlled on the transmission screen during the real-time video conference broadcast. In addition, the broadcaster 70 displays the image on the main screen so that the caption and title can be set together with the image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camera 50. Thus, the broadcasting device 70 sets the video conference broadcasting environment with the sett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conference subject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basic preset value of the camera and the basic preset value is changed, the broadcasting device 70 select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onference position by using the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The camera 50 is mov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speaker of the video conference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the broadcasting device 70 switches the screen so that the mutual speakers face to face and talk with each other using the PIP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0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oice size set by the preset setting process of the microphone 60, the broadcaster 70 causes the camera 50 to react to automatically capture the speaker. In addition, if another microphone is operating in the operating microphone, the broadcasting apparatus 70 may display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by operating a camera assigned to the other microphone after a preset Mic End time (eg, 2 sec). In addition, when the preset Auto Take time elapses, the broadcasting device 70 operates the camera to capture an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other speaker's microphone. In addition, the broadcaster 70 selects a PIP during a video conference, and drags a specific camera icon among preset camera icons on the screen to a PIP window,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PIP screen. Be sure to

스피커(8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성으로 처리하는 방송기기(70)로부터 처리된 음성을 출력한다.The speaker 80 outputs the processed voice from the broadcast device 70 for process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s voice in an audible frequency band.

전술한 방송기기(70)는 키패드(71)와, 메모리(73)와, 제어부(75)와, 표시부(7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roadcast device 70 described above includes a keypad 71, a memory 73, a control unit 75, a display unit 77, and the like.

우선, 키패드(71)는 화상 회의에 따른 방송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과, 화상 회의에 대한 방송 화면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여기서 키패드(71)는 화상 회의 방송에 따른 기능버튼과 설정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First, the keypad 71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setting a broadcast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a video conference and a button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creen for a video conference. Here, the keypad 71 may include a function button and a setting button according to a video conference broadcast.

메모리(73)에는 각각의 카메라(50)에 대한 기준 위치 정보(기본 좌표 정보)가 설정되어 저장되며, 마이크 동작시에 동작되어야 하는 카메라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73)에는 각 카메라(50)에 대한 이동거리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73)에는 영상 색상값, 마이크 인식값 등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73)에는 녹화 방송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73)에는 화상 회의를 위한 마이크에 대응하여 할당된 카메라 정보가 저장되며, 마이크 환경에 따른 마이크 설정 정보 및 카메라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In the memory 73, reference position information (basic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camera 50 is set and stored, and camera information that should be operated when the microphone is operated is mapped and stored. In addition, the memory 73 stores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for each camera 50. In addition, the memory 73 stores detailed setting information for the video and audio, such as an image color value and a microphone recognition value. In addition, the recording broadcast is stored in the memory 73. In addition, the memory 73 stores camera information allocated corresponding to a microphone for video conferencing, and microphone setting information and camera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microphone environment are stored.

제어부(75)는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된 화상 회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부(77)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마이크(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촬상된 영상과 음성신호를 인코딩하여 화상 회의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방송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화상 회의 방송 서비스를 위해 방송환경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즉, 방송환경으로 카메라에 대한 기본 좌표 설정 및 위치 자동조정기능, 영상 색상, 마이크 인식값 등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5)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방송을 용이하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시부(77)의 화면 구성을 기능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방송환경을 설정 및 동작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75 processes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0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77, and processes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0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80. In addition, the video and audio signals are encod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conference broadcasting servi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controls to set a broadcast environment for an optimal video conference broadcast service in consideration of broadcast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ake detailed settings for video and audio such as basic coordinate setting,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image color, and microphone recognition value for the camera as a broadcast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divid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77 into function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rvice the broadcas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interface screen can be easily set and operated by the user. Configure to display.

즉, 카메라별 미리보기 창, 외부 소스 미리 보기 창, 송출 모니터 창, 위치 자동 조정 및 방송 컨트롤 창, 타이틀 재생 창, 오디오 창, PiP 설정 창, 스위처, 세부 컨트롤 창 등으로 메인화면을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In other words, main screen is divided into camera preview window, external source preview window, transmission monitor window,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and broadcast control window, title playback window, audio window, PiP setting window, switcher, and detailed control window. Be sure to

또한 제어부(75)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된 화상 회의 영상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출화면상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WMV, H.264 기반 코덱을 지원하여 멀티 인코딩 기능을 이용하면 실시간 화상 회의 방송과 함께 VOD파일을 고화질 및 저화질로 동시에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화상 회의나 현장에서의 휴식 시간에는 잠시 멈췄다가 다시 파일을 끊김없이 연속해서 녹화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일시정지 기능이 지원되므로 회의나 현장에서의 휴식 시간에는 잠시 정지했다가 다시 파일을 끊김없이 이어서 녹화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마이크(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이 일정 음성크기 이상인가를 확인하여 일정 음성크기 이상이면, 카메라(50)를 제어하여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60)측을 촬상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control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transmission screen for inserting subtitles into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camera 5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5 supports WMV and H.264 based codecs, and when the multi-encoding function is used, the control unit 75 simultaneously encodes the VOD file in high quality and low quality with real time video conference broadcast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5 stops for a short time during a video conference or a break in the field, and controls to continuously record the file again without interruption.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75 supports the pause function, the controller 75 stops for a short time during a meeting or a break in the field, and then controls the file to be continuously recorded without interrup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checks whether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oice size, and controls the camera 50 to capture an image of the microphone 60 to which voice is input. .

또한 제어부(75)는 1:1 PIP 화면 모드시, 발언자간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영상이 되도록 영상의 좌우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5)는 PIP를 선택한 후, 카메라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PIP화면에 갖다 놓으면, 해당 PIP의 분할된 영역에 드래그되어 이동된 카메라 아이콘의 해당 카메라가 촬상하는 화상 회의 영상이 표시되어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in the 1: 1 PIP screen mode, the controller 75 controls to display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mage so that the speakers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75 selects the PIP and drags the camera icon to the PIP screen to display and transmit a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camera icon that is dragged and moved to the divided area of the PIP. do.

표시부(77)는 제어부(75)의 제어하에 방송환경 설정에 따른 화면 데이터와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되는 화상 회의 영상을 표시하고, 송출되는 방송화면 및 송출하고자 하는 방송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77)는 카메라 프리셋 뷰어창을 표시하여 카메라의 기본 프리셋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당 카메라의 촬상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77)는 마이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마이크 환경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77 displays the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setting and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5, and displays the broadcast screen and the broadcast screen to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7 displays a camera preset viewer window and displays a captur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camera so that a basic preset value of the camera can be se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7 displays a microphone environment setting screen so that the microphone environment can be set.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회의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회의 방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카메라(50)의 위치와 마이크(60)의 위치를 화상 회의 환경에 맞춰 우선적으로 셋팅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설명한다.15A and 15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video confere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order to implement the videoconferen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position of the camera 50 and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60 are prefer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우선 화상 회의 장치(100)는 사용자가 화상 회의 장치의 버튼을 조작하여 화상 회의 서비스를 시작하면, 송출 모니터 창, 카메라별 미리보기 창, 카메라 위치 자동조정 및 방송 컨트롤 창, 자막 및 타이틀 재생 창, 오디오 창, PiP 설정창, 스위처, 세부 컨트롤 창 등이 구분된 메인화면을 표시한다(S1501).Referring to FIGS. 15A and 15B, first, when a user starts a video conference service by operating a button of a video conference device, the video conference device 100 transmits a monitor window, a preview window for each camera, and automatically adjusts and broadcasts a camera position. A main screen divided into a control window, a subtitle and title playback window, an audio window, a PiP setting window, a switcher, and a detailed control window is displayed (S1501).

이후, 화상 회의 장치(100)는 카메라(50)와 마이크(60)의 번호를 지정하고(S1503), 그 지정된 마이크(60) 동작시 마이크(60)를 사용하는 회의자(발언자)를 촬상해야하는 카메라(50)를 할당하는 설정과정을 수행한다(S1505). 이때 마이크마다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동일한 카메라가 우선순위가 높은 마이크(60)를 사용하는 발언자를 촬상하고 있는 경우, 후순위의 다른 카메라를 이용하여 마이크(60)를 사용하는 발언자를 촬상할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designates the number of the camera 50 and the microphone 60 (S1503), and photographs a conference party (speaker) using the microphone 60 when the designated microphone 60 is operated. A setting process of allocating the camera 50 is performed (S1505). In this case, when the microphones are prioritized for each microphone, and the same camera is capturing the speaker using the microphone 60 having a higher priority, the speaker using the microphone 60 may be photographed using another camera having a higher priority. Make sure

이와 함께 화상 회의 장치(100)는 송출되는 화상 회의 영상과 함께 처리해야 하는 자막 및 타이틀의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 입력시, 송출되는 화상 회의 영상에 대응하여 자막 및 타이틀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자막 및 타이틀을 미리 삽입하여 설정한다(S1507).In addition, the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100 generates captions and titles in response to the video conference video to be transmitted or generates subtitles and titles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requesting the setting of the subtitles and titles to be processed together with the video conference video to be transmitted. The title is inserted and set in advance (S1507).

이와 함께 화상 회의 장치(100)는 영상의 밝기, 대조, 색조, 채도 및 선명도를 설정한다(S1509).In addition,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sets brightness, contrast, hue, saturation, and sharpness of an image (S1509).

이후, 화상 회의 장치(100)는 화상 회의 방송을 개시하고, 화상 회의를 위해 마이크(60)를 통해 음성 입력시, 기 설정된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는 음성인지를 판단한다(S1511).Thereafter, the video conference apparatus 100 starts a video conference broadcast, and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exists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0 for the video conference (S1511).

판단결과,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지 않는 음성이면, 화상 회의 장치(100)는 발언을 위한 발언자의 음성이 아닌 기침소리나 고함소리 등 갑자기 발생하는 큰소리 혹은 속삭이는 소리로 판단하여 마이크(60)에 할당된 카메라(5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S1513). 또한 이미 발언자가 마이크를 통해 발언을 하고 있는 중이면, 그대로 발언자를 촬상하고 있는 카메라를 유지시켜 화상 회의 방송 화면을 송출하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voice does not exist in the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microphone 60 determines that the voice is suddenly loud or whispering, such as a cough or a shout, rather than the speaker's voice. The assigned camera 50 is not driven (S1513). In addition, if the speaker is already speaking through the microphone, the camera which is capturing the speaker is maintained as it is to transmit the video conference broadcast screen.

그러나 판단결과,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는 음성이면, 화상 회의 장치(100)는 기 설정된 마이크 시작 시간(Mic Start)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515).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voice exists in the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predetermined microphone start time (Mic Start) has elapsed (S1515).

판단결과 마이크 시작 시간이 경과하면, 화상 회의 장치(100)는 해당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촬상한다(S1517).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microphone start time elapses,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controls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to capture a speaker who speaks through the microphone (S1517).

이때 화상 회의 장치(100)는 다른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면, 현재 촬상되고 있는 발언자가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의 마이크 종료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다음 발언자의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다른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촬상하도록 한다(S1519). At this time, when a voice is input to another microphone,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operates a camera assigned to the next speaker's microphone after the microphone end time of the microphone being used by the speaker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has elapsed. The image of the speaking speaker is taken (S1519).

이러한 동작중에 화상 회의 장치(100)는 PIP 화면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PIP화면 모드를 실행시키고(S1521), 분할된 화면영역에 발언자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S1523).During the operation, when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is requested to execute the PIP screen mode,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executes the PIP screen mode (S1521), and converts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speakers facing each other in the divided screen area (S1523).

이때 화상 회의 장치(100)는 PIP화면상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분할된 특정 화면영역에 갖다 놓는 경우,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동작시켜 화상 회의 영상을 촬상하도록 하여 송출한다.At this time, when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drags a camera icon on a PIP screen and places it on a specific divided screen area,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100 operates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con to capture a video conference image and transmits the video conferencing imag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1)

화상 회의 방송을 위해 미리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한 회의자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마다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마이크 및 카메라 환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마이크 환경설정을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도록 제어하며, 픽처인픽처(PIP: Picture In Picture)화면 모드시 서로 발언자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화상 회의 화면을 처리하며, PIP 화면 모드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하는 방송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장치.
At least one microphone pre-installed for a video conference broadcast to receive a voice signal;
At least one camera for capturing a conferencer close to a location where the microphone is installed; And
Priority of the camera is set for each microphone to set microphone and camera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trol to capture a speaker who speaks through the microphone through the camera in consideration of the microphone environment setting. In video mode, the video conferencing screen is processed so that the speaker talks to each other in the screen mode, and in the PIP screen mode, when the camera icon is dragged on the screen and moved to a segmented area of a specific PIP, And a broadcast device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a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a camera corresponding to a camera ic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기기는,
화상 회의에 따른 방송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과, 마이크 환경설정과 화상 회의에 따른 방송 화면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마이크 및 카메라 환경 설정정보가 저장되며, 방송환경에 따른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와 상기 마이크 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에 할당된 해당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상되는 화상 회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 및 송출하고, PIP 화면 모드시, 발언자간에 서로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방송환경 설정에 따른 화면 데이터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화상 회의 영상을 표시하고, 송출되는 방송화면 및 송출하고자 하는 방송화면을 표시하고, 카메라 프리셋 뷰어창을 표시하여 카메라의 기본 프리셋값과 마이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oadcast device,
A keypad having a button for setting a broadcas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 video conference, and a button for transmitting a broadcasting screen according to a microphone setting and a video conference;
A memory for storing microphone and camera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by giving priority to the camera and stor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broadcast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ies of the cameras and the microphon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camera assigned to the voice input microphone is controlled to process and display and transmit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In the PIP screen mode, the speakers face each other and talk to each other. Control the video to be displayed by switching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camera icon is dragged on the screen to a segmented area of a specific PIP, the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con dragged on the segmented area is displayed and transmitt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perform the control;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setting and the video conferenc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re displayed, the broadcast screen to be broadcast and the broadcast screen to be transmitted are displayed, and the camera preset viewer window is displayed to display the basic preset of the camer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value and a microphone environmen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마이크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뷰(view)화면으로 전환하여 다른 영상으로 대체하여 화상 회의의 영상을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f a voice is not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power of the microphone is turned off, the video conferencing device transmits a video conference video by switching to a view screen and replacing it with another video.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를 통해 일정 음성크기구간의 음성이 입력되면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가 구동되도록 상기 음성 크기구간을 설정하고, 마이크에 음성이 전달된 후, 소정시간후에 카메라가 반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시작시간(Mic Start)을 설정하고, 다른 마이크가 동작되어도 소정시간을 유지한 이후, 다른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종료시간(Mic End)을 설정하는 것으로 마이크 환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 voice between a certain voice mechanism is input through a microphone, the voice size section is set so that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is driven, and after the voice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the camera reacts to display an image after a predetermined time. Set the microphone start time (Mic Start), and maintain the predetermined time even if other microphones are operated, and then set the microphone end time (Mic End) to display the video of the camera assigned to the other microphone. Video conferen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화상 회의 영상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출화면상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잠시 정지했다가 다시 파일을 끊김없이 연속해서 하나의 파일로 화상 회의를 녹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t allows you to work on the playout screen, which allows you to insert subtitles into video conferencing video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and to record video conferencing continuously as a single file without stopping for a while. And a video conference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출되는 화상 회의의 발언자의 영상에 대응하여 발언자의 성명이 자동으로 일측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a speaker's nam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one side in response to the video of the speaker of the video conference being sent.
화상 회의를 위한 픽처인픽처(PIP: Picture In Picture) 설정창, 마이크 환경설정 창 및 카메라 환경설정 창이 구분된 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의 환경설정 선택시, 카메라와 마이크의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마이크에 카메라를 할당하며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마이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화상 회의 방송을 개시하여 카메라의 우선순위와 마이크 환경설정을 고려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회의 방송중, PIP 화면 모드 실행시 서로 발언자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영상이 되도록 화상 회의 화면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IP 화면 모드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드래그하여 특정 PIP의 분할된 영역으로 옮기면, 해당 분할 영역에 드래그된 카메라 아이콘에 해당하는 카메라가 촬상하는 회의 영상을 표시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방법.
Displaying a main screen divided into a picture in picture (PIP) setting window, a microphone setting window, and a camera setting window for video conferencing;
Setting a camera and microphone configuration, assigning a camera and a microphone number, assigning a camera to the designated microphone, prioritizing cameras, and setting a microphone environment;
Initiating a video conferencing broadcast to capture a speaker speaking through the micro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configuration; And
During the video conference broadcast, when the PIP screen mode is executed, the video conferencing screen is processed and displayed so as to be an image in which the speakers face each other and have a conversation.
In the PIP screen mode, when a camera icon is dragged on a screen and moved to a divided region of a specific PIP, the video conference method displays and transmits a meeting image captured by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dragged camera icon on the divided region.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 입력시, 기 설정된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는 음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지 않는 음성이면, 기침 또는 속삭임 소리로 판단하여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구동시키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일정 음성크기 구간에 존재하는 음성이면, 기 설정된 마이크 시작 시간(Mic Start)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마이크 시작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ing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exists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when the voic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ice does not exist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determining that the voice is coughing or whispering not driving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voice exists in a predetermined voice size s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et microphone start time (Mic Start) has elapsed, and when the microphone start time has elapsed, the speaker who controls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and speaks through the microphone. And imaging the video.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하는 단계는,
다른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면, 현재 촬상되고 있는 발언자가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의 마이크 종료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다음 발언자의 마이크에 할당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다른 마이크를 통해 발언하는 발언자를 촬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maging step,
If a voice is input to another microphone, after the microphone end time of the microphone being used by the speaker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has elapsed,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speaker speaking through the other microphone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of the next speaker. The video conferenc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영상은,
발언자의 성명이 자동으로 일측면에 표시되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ference video,
And a speaker's nam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one side and transmitte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우선순위는,
발언자간에 동일한 카메라가 할당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발언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카메라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한 마이크를 사용하는 발언자를 촬영하게 하게 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회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iority of the camera,
A video conferencing method, which is used as an indicator for allowing a speaker to photograph a speaker using a microphone having a high priority of the camera when a speaker uses a microphone assigned to the same camera.
KR1020100031941A 2010-04-07 2010-04-07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126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41A KR20110112686A (en) 2010-04-07 2010-04-07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41A KR20110112686A (en) 2010-04-07 2010-04-07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86A true KR20110112686A (en) 2011-10-13

Family

ID=4502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41A KR20110112686A (en) 2010-04-07 2010-04-07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686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213A (en) * 2012-08-20 2015-04-29 올젠 엘엘씨 Video call center
KR101722634B1 (en) * 2016-03-24 2017-04-04 주식회사 씨와이크리에이티브그룹 Music video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044977B2 (en) 2016-01-06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220107838A (en)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제이아이앤티 Control apparatus for meeting monitoring according to participants input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6055861A (en) * 2022-05-30 2023-05-02 荣耀终端有限公司 Video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91592B1 (en) * 2023-05-10 2023-10-19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Video conference rela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information cent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213A (en) * 2012-08-20 2015-04-29 올젠 엘엘씨 Video call center
US10044977B2 (en) 2016-01-06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0511804B2 (en) 2016-01-06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0887546B2 (en) 2016-01-06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11323658B2 (en) 2016-01-06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1722634B1 (en) * 2016-03-24 2017-04-04 주식회사 씨와이크리에이티브그룹 Music video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20107838A (en)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제이아이앤티 Control apparatus for meeting monitoring according to participants input sig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6055861A (en) * 2022-05-30 2023-05-02 荣耀终端有限公司 Video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6055861B (en) * 2022-05-30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Video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91592B1 (en) * 2023-05-10 2023-10-19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Video conference rela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information ce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632B2 (en) User interface for screencast applications
US10462350B2 (en)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camera control method
WO2016017138A1 (en) Imaging device
CN110784735A (en)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W201143348A (en) Switching cameras during a video conference of a multi-camera mobile device
JPH07135594A (en) Image pickup controller
US9197856B1 (en) Video conferencing framing preview
KR20110112686A (en)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CN107809609B (en) Video monitoring conference system based on touch equipment
US20100045817A1 (en)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camera control method
CN114827517A (en) Projection video conference system and video projection method
WO2019041226A1 (en) Square cropping photography method, photography system and photography apparatus
US202401468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5176489A1 (en) Screen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multipoint controller unit mcu and terminal
JP4636139B2 (en) Video conference terminal device and image transmission method
JP2020524450A (en)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channel video, control method thereof, multi-channel video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JP6987567B2 (en) Distribution device, receiver and program
CN115379277A (en) VR panoramic video play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PTV service
JP2017163611A (en) Imaging apparatus
KR20110112685A (en) Broadcasting system and serving method thereof and user interface method thereof
JP2008153876A (en) Image display system, camera device, display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magnification change method
US120038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information processing to output video content using video from multiple video sources including one or more pan-tilt-zoom (PTZ)-enabled network cameras
WO2019041230A1 (en) Square cropping photography method, photography system and photography apparatus
JP5995035B1 (en) Imaging device
CN116320268A (en) Remote conference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