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684A -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 Google Patents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684A
KR20110111684A KR1020100030883A KR20100030883A KR20110111684A KR 20110111684 A KR20110111684 A KR 20110111684A KR 1020100030883 A KR1020100030883 A KR 1020100030883A KR 20100030883 A KR20100030883 A KR 20100030883A KR 20110111684 A KR20110111684 A KR 2011011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low path
heat exchange
air flow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645B1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3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6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면 분할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 트랜섬에 설치된 창호용 환기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사용하더라도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창호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모듈과, 상기 열교환 모듈로부터 외기를 전달받아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기 모듈과, 상기 열교환 모듈 및 배기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로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 모듈에 장착되어 배기 모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Interception member for window frame transom of equipment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면 분할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 트랜섬에 설치된 창호용 환기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사용하더라도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의 함량은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증가한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공기는 실외공간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실내공간의 공기는 송풍기 등과 같은 환기 장치에 의해 강제로 실외공간으로 배출되고, 실외공간의 공기는 창문의 개방을 통해 자연스럽게 실내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실내공간의 공기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교체되면 실내공간의 공기와 실외공간의 공기 간에 전열(全熱)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난방 또는 냉방에 불필요한 경비가 소요되거나, 실내공간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해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全熱)교환은 온도교환을 의미하는 현열교환 및 습도교환을 의미하는 잠열교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호형 환기 장치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89001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창호형 환기 장치는 창호틀의 종부재(뮬리온, mullion)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횡류팬 및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횡류팬은 뮬리온의 상부를 통해 실외공간의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고 뮬리온의 하부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시킨다. 열교환기는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콜 등의 열교환매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뮬리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 간의 열교환은 열교환매체의 상하 왕복 유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75686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 또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에 개시된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은 창호틀의 횡부재(트랜섬, transom)에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팬, 실외공간의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팬, 실외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실외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와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간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로는 핀(fin) 타입 또는 복수의 판체가 적층된 타입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면 분할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 트랜섬에 설치된 창호용 환기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사용할 경우에도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모듈과, 상기 열교환 모듈로부터 외기를 전달받아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기 모듈과, 상기 열교환 모듈 및 배기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로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 모듈에 장착되어 배기 모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 모듈은, 상기 창호의 창호틀 좌우측 트랜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 모듈은, 상기 창호틀 중앙 트랜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 모듈은, 상기 중앙 트랜섬과 후크 결합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후크 결합하는 중앙부재와; 상기 상부 및 중앙 부재와 후크 결합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부재에는, 상기 중앙 트랜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중앙 트랜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가이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더 사이에 외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상기 가이더의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몸체의 선단이 좌우 양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이 수평 절곡부에 상기 가이더에 체결되기 위한 상하 1쌍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수평 절곡부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브라켓이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1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에 따르면, 입면 분할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좌측 또는 우측 트랜섬에 설치된 창호용 환기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사용할 경우에도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가 장착된 입면 분할 창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가 장착된 입면 분할 창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교환 유닛의 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유닛을 횡으로 자른 후 상부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열교환 유닛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이 좌우측 트랜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좌우측 트랜섬에 구비되는 덕트, 댐퍼 및 후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기 모듈을 하부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기 모듈을 상부에서 투영하여 바라본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기 모듈이 중앙 트랜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기 모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입면 분할 창호를 실내공간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로 차단부재가 설치된 창호용 환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공기유로 차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 및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로 차단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부측 부분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로 차단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V)는 창호틀(100)의 중앙 트랜섬(140)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 트랜섬(110)에 서로 대향 설치된다.
이와 같은 창호용 환기 장치(V)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면 분할된 창호의 좌우측 트랜섬(transom)(110)에 장착되는 열교환 모듈(200), 중앙 트랜섬(140)에 장착되는 배기 모듈(400) 및 상기 열교환 모듈 및 배기 모듈(400)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600)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모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유닛(210)과 덮개(250)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유닛(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2)와, 상기 케이스(212) 내부 적정 개소에 각각 수용되는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열교환 소자(226, 228), 내기용 팬(236), 외기용 팬(238), 그리고 팬 커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2)의 일측에는 실외공간의 공기(외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기 유입 덕트(214)가 형성되고, 케이스(212)의 타측에는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기 배출 덕트(220)가 형성되며,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간의 공기(내기)가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기 배출 덕트(2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기 배출 덕트(2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12)의 하면에는 내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 내기 유입 홀(216)(도 6 내지 도 8 참조)이 형성되고, 이때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및 전열 교환 소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폐 또는 착탈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 유닛(210)이 트랜섬(110)에 장착되었을 때 외기 유입 덕트(214) 및 내기 배출 덕트(218)는 트랜섬(2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내기 유입 홀(216)은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기 유입 홀(216)이 아래 방향을 향하면 실내공간에 부유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내기 유입 홀(216)을 통해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외기용 필터(222)는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외기용 필터(222)는 외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직후 또는 외기가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에 정화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그대로 열교환 소자(226, 228)를 통과할 경우 열교환 소자(226, 228)가 막힐 수 있으므로, 외기용 필터(222)는 외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직후 정화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기용 필터(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 덕트(214)와 제 1열교환 소자(226) 사이에 설치된다.
내기용 필터(224)는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내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내기가 그대로 열교환 소자(226, 228)를 통과할 경우 열교환 소자(226, 228)가 막힐 수 있으므로 내기용 필터(224)가 설치된다. 내기용 필터(224)는 내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직후 정화되도록 설치된다. 즉, 내기용 필터(224)는 내기 유입 홀(216)과 제 1열교환 소자(226)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 소자는 케이스(212)로 유입된 내기와 외기 간 온도 또는 온도 및 습도 교환을 위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열교환 소자(226) 및 제 2열교환 소자(228)를 포함한다. 이때, 제 1열교환 소자(226) 및 제 2열교환 소자(228)는 외기와 내기가 케이스(212)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2개의 열교환 소자가 케이스(212) 내부에 포함될 경우, 제 1 및 제 2열교환 소자(226, 228)는 모두 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모두 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현열 교환 소자 및 전열 교환 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시간의 충분한 보장을 위해 둘 중 적어도 하나(226)는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열교환 소자가 모두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소자의 개수도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열 교환 소자로 구비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3 이상 다수의 개수로도 구비될 수 있다.
내기용 팬(236)은 내기를 내기 유입 홀(216)로 유입시키고 내기 배출 덕트(218)를 통해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외기용 팬(238)은 외기를 외기 유입 덕트(214)를 통해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시키고 외기 배출 덕트(220)를 통해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팬 커버(230)는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38)을 덮도록 설치된다. 팬 커버(230)에는 제 2열교환 소자(228)를 통과한 외기와 내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2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212)의 하면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윙(22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윙(227)은 외기용 필터(222)와 제1열교환 소자(226) 사이, 그리고 제1열교환 소자(226)와 제2열교환 소자(228)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 및 내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가이드 윙(227)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케이스(212)의 측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창호용 환기장치(V)는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38)이 작동하면, 외기는 외기 유입 덕트(214)를 통해 실외공간으로부터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후 외기용 필터(222)를 거쳐 제 1열교환 소자(226)로 유입되고, 내기는 내기 유입 홀(216)을 거쳐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후 내기용 필터(224)를 거쳐 제 1열교환 소자(226)로 유입된다.
이후, 내기와 외기는 제 1열교환 소자에서 혼합 없이 전열 또는 현열을 교환한 후 제 2열교환 소자(228)로 유입되고, 제 2열교환 소자에서 혼합 없이 전열 또는 현열을 교환한 후 팬 커버(23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내기 및 외기는 혼합 없이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38)을 각각 거치고, 내기는 내기 배출 덕트(218)를 통해서,그리고 외기는 외기 배출 덕트(220)를 통해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도 6 내지 도 8에서 외기의 흐름은 실선 화살표로 표시되었고, 내기의 흐름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었다.
상기 덮개(250)는 열교환 유닛(210)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측면 커버(252), 측면 커버(258) 및 하부 커버(256)를 포함한다. 상부 및 측면 커버(252)는 대략 'ㄱ'자 형태의 단면으로 구비되고, 좌우측 트랜섬(110)과 결합하는 후크(253)를 일단에 구비하고 있다.
측면 커버(258)는 대략 'ㄴ'자 형태의 단면으로 구비되고, 좌우측 트랜섬(110)과 결합하는 후크(259)를 일단에 구비한다. 하부 커버(256)는 대략 일자 형태의 단면으로 구비되고, 측면 커버(258)와 접촉하는 일단과 상부 및 측면 커버(252)와 결합하는 후크(257)를 구비한 반대단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250)가 이와 같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부 커버(256)를 분리하고 상기 케이스(212)의 하면에 구비된 도어(미도시)를 개방한 후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및 전열 교환 소자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및 측면 커버(252)의 내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254)가 설치된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254)는 열교환 모듈(200)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열교환 유닛(210)을 보호하고,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83)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 열교환 모듈(200)이 장착되는 좌우측 트랜섬(110)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좌우측 트랜섬(110)에는 한 쌍의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중공에는 한 쌍의 덕트(112)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덕트(112)는 외기 유입 덕트(214) 및 내기 배출 덕트(218)를 각각 수용하고, 그 일단에는 볼트공(116)을 구비한 플랜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14)에는 열교환 유닛(210)을 지지하기 위한 거더(120)가 결합된다. 거더(120)는 대략 'ㄴ'자 형태로 구비되고 볼트(118)에 의해 플랜지(114)에 고정된다. 상기 볼트(118)는 거더(120)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공(116)에 삽입된다. 이때, 거더(120)의 폭은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및 전열 교환 소자의 교체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거더(120)의 내면에는 충격 흡수 부재(122)가 설치된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122)는 열교환 모듈(200)에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열교환 유닛(210)을 보호하고,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83)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덕트(112)의 단부 중 플랜지(114)가 형성된 단부와 반대되는 곳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아래 방향을 향하는 개구를 구비한 후드(12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후드(126)는 비나 눈이 덕트(112)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후드(126)의 개구에는 망(12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128)은 낙엽 등과 같은 부유물이 덕트(112)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덕트(112)의 개구 중 후드(126)가 설치된 방향에 위치하는 개구에는 강한 세기의 바람이 갑작스럽게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댐퍼(124)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12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12)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다가 덕트(112)를 벗어나면 아래 방향으로 굽어서 연장한다. 실외공간으로부터 후드(126) 내부로 강한 세기의 바람이 유입되면 댐퍼(124)가 풍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로써 덕트(112)가 밀폐된다. 이후,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면 댐퍼(124)는 자중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써 덕트(112)가 개방된다.
상기 배기 모듈(400)은 열교환 유닛(210)으로부터 외기를 전달받아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410), 중간부재(430) 및 하부부재(450)를 포함한다.
상부부재(410)는 중앙 트랜섬(140)과 결합하는 후크(412)를 일단에 구비하고, 중앙 트랜섬(140)과 면접하는 측면(414)을 구비한다. 중간부재(430)는 상부부재(410)와 결합하는 후크(436)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상부부재(410)와 부분적으로 면접한다. 상기 상부부재(410)와 중간부재(4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외기의 통로(40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430)에는 중앙 트랜섬(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중앙 트랜섬(14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가이더(43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더(434)들 사이에는 외기 배출구(432)가 형성된다. 외기의 통로(402)를 따라 중앙 트랜섬(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던 외기는 가이더(43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후 외기 배출구(432)를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외기 배출구(432)는 배기 모듈(4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하부부재(450)는 중간부재(430)와 결합하는 후크(452)를 구비하고, 상부부재(410)와 결합하는 후크(454)를 구비하며, 중앙 트랜섬(140)과 부분적으로 면접하는 상면(456)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부재(450)는 볼트(470)에 의해 중앙 트랜섬(140)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 모듈(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어댑터(620)와, 연결 덕트(610)와 커버(630)를 포함한다. 연결 어댑터(620)는 배기 모듈(400)과 연결 덕트(610)와의 연결을 용이케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기 모듈(400)의 외기 통로(402)에 삽입되는 일단과 연결 덕트(610)에 삽입되는 반대단을 구비한다. 연결 덕트(610)는 열교환 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외기를 배기 모듈(6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 어댑터(620)의 반대단을 수용하는 일단과 외기 배출 덕트(220)를 수용하는 반대단을 구비한다.
커버(630)는 연결 어댑터(620) 및 연결 덕트(610)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창호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630)는 외기용 팬(238) 및 내기용 팬(236)의 작동, 정지, 풍량 등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632)과 관련 전자부품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열교환 모듈(200)은 입면 분할된 창호의 좌우측 트랜섬(110)에 장착되고 배기 모듈(400)은 입면 분할된 창호의 중앙 트랜섬(140)에 장착된다(도 6 참조). 그러나, 열교환 모듈(200)과 배기 모듈(40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교환 모듈(200)이 뮬리온(150)에 설치되거나, 열교환 모듈(200)과 배기 모듈(400)의 위치가 바뀌는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트랜섬(110)에 설치된 창호용 환기장치(V)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사용할 경우, 상기 외기 배출구(43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V)로 공기의 유입(역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유로 차단부재(7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 모듈(400)의 가이더(434) 중앙부상에서 공기유로 차단부재(700)가 가이더(434)의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어지되,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700)는 평면에서 보아 'T'자형 단면으로서,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7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몸체(710)의 선단이 좌우 양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이 수평 절곡부(720)에 상하 1쌍의 나사체결공(7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더(434) 내측면에 나사(미도시)체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710)와 수평 절곡부(720)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브라켓(730)이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1쌍 형성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700)의 상부에는 전술한 상부 부재(410)가 장착되어 공기가 외기 배출구(432)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기 배출구(432) 상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700)가 배기 모듈(400)의 가이더(434) 중앙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트랜섬(110)에 설치된 창호용 환기장치(V)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 사용하더라도 상기 외기 배출구(43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V)로 공기의 유입(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좌우측 트랜섬(transom) 112 : 덕트
114 : 플랜지 16 : 볼트공
118 : 볼트 120 : 거더
122 : 충격 흡수 부재 124 : 댐퍼
126 : 후드 128 : 망
140 : 중앙 트랜섬 150 : 뮬리온
200 : 열교환 모듈 210 : 열교환 유닛
212 : 케이스 214 : 외기 유입 덕트
216 : 내기 유입 홀 218 : 내기 배출 덕트
220 : 외기 배출 덕트 222 : 외기용 필터
224 : 내기용 필터 226 : 제 1열교환 소자
227 : 가이드 윙 228 : 제 2열교환 소자
230 : 팬 커버 232 : 분리벽
236 : 내기용 팬 238 : 외기용 팬
250 : 덮개 252 : 상부 및 측면 커버
254 : 충격 흡수 부재 256 : 하부 커버
258 : 측면 커버 400 : 배기 모듈
410 : 상부 부재 402 : 외기의 통로
430 : 중간 부재 432 : 외기 배출구
434 : 가이더 450 : 하부 부재
470 : 볼트 600 : 연결 모듈
610 : 연결 덕트 620 : 연결 어댑터
630 : 커버 632 : 버튼
700 : 공기유로 차단부재 710 : 몸체
720 : 수평 절곡부 730 : 브라켓

Claims (10)

  1. 창호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모듈과, 상기 열교환 모듈로부터 외기를 전달받아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기 모듈과, 상기 열교환 모듈 및 배기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로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상기 배기 모듈에 장착되어 배기 모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대측 창호용 환기장치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모듈은,
    상기 창호의 창호틀 좌우측 트랜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모듈은,
    상기 창호틀 중앙 트랜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모듈은,
    상기 중앙 트랜섬과 후크 결합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후크 결합하는 중앙부재와;
    상기 상부 및 중앙 부재와 후크 결합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에는,
    상기 중앙 트랜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중앙 트랜섬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가이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 사이에 외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상기 가이더의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차단부재는,
    몸체의 선단이 좌우 양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이 수평 절곡부에 상기 가이더에 체결되기 위한 상하 1쌍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수평 절곡부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브라켓이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1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KR1020100030883A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KR10130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883A KR101307645B1 (ko)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883A KR101307645B1 (ko)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684A true KR20110111684A (ko) 2011-10-12
KR101307645B1 KR101307645B1 (ko) 2013-09-12

Family

ID=4502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883A KR101307645B1 (ko) 2010-04-05 2010-04-05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8977A1 (en) * 2020-12-03 2022-06-08 Wilms NV Ventilation unit with ca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980B1 (ko) 2015-08-11 2019-01-08 (주)엘지하우시스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102265397B1 (ko) * 2018-09-18 2021-06-1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환기장치용 열교환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544B1 (ko) * 2003-10-29 2005-10-10 이병수 공기 자동정화 창문
KR101251221B1 (ko) * 2006-12-06 2013-04-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환기시스템
KR101126788B1 (ko) * 2009-11-20 2012-03-29 황우종 태양광으로 구동이 가능한 창틀장착형 전열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8977A1 (en) * 2020-12-03 2022-06-08 Wilms NV Ventilation unit with casing
BE1028853B1 (nl) * 2020-12-03 2022-07-05 Wilms Nv Ventilatie-unit met omk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645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802B1 (ko) 히트 파이프를 구비한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93852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8367A (ko)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307645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RU2531735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
JP5741880B2 (ja) 窓戸用の換気装置
KR101261101B1 (ko)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KR101338547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
KR101254413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기 모듈
KR101273019B1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272994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
KR20110118364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8347A (ko) 창틀프레임의 레일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63991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와 결합하는 창호틀
KR101259671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의 급배기 조합을 이용한 환기 극대화 방법
KR20110118363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29384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74838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와 주방 후드의 급배기 조합을 이용한 환기 극대화 방법
KR20130106008A (ko) 저소음 열교환 창호시스템
KR20110118343A (ko) 창틀프레임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92365B1 (ko) 창짝프레임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20110118368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8362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1682A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교차오염 방지 구조체
KR20110118366A (ko) 창호용 환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