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367A -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367A
KR20110109367A KR1020100029065A KR20100029065A KR20110109367A KR 20110109367 A KR20110109367 A KR 20110109367A KR 1020100029065 A KR1020100029065 A KR 1020100029065A KR 20100029065 A KR20100029065 A KR 20100029065A KR 20110109367 A KR20110109367 A KR 2011010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recast
precast girder
segment
girder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6130B1 (en
Inventor
심군섭
김병찬
진남희
김만식
김진연
태기호
Original Assignee
심군섭
김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군섭, 김병찬 filed Critical 심군섭
Priority to KR102010002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130B1/en
Publication of KR2011010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C빔과 프리플렉스 등과 같은 기존의 빔교 및 강교의 장점을 취합하여, 신규 혹은 임시 가설 혹은 교체용을 불문하고 적용가능하고, 내하력이 우수하여 장경간이 가능하고, 처짐과 소음 및 진동이 작으며, 공장 제작으로 운반 및 크레인 거치가 용이함과 급속 시공이 가능케 됨으로써 도로교와 철도교 분야를 포함한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의 교체 및 재해 발생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기존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 및 공사비도 대폭 줄어들며, 강재 속에 콘크리트를 합성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가설재의 절감과 원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부재간 연결이 용이하여 다양한 현장조건에 맞는 교량 형식과 대형 건축물인 빌딩거더에 적용가능한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강재거더 내측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종방향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advantages of existing beam bridges and steel bridges, such as PSC beams and preplexes,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new or temporary construction or replacement, excellent load capacity, long span is possible, sag, noise and vibration It is small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mounted by crane, and it can be rapidly installed, so it is possible to replace new and old bridges including road and railway bridges, and to quickly reco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synthesizes concrete in steel materials, it is possible to reduce temporary materials and to produce any shape as you want, and it is easy to connect members to precast that can be applied to bridge girder and building girder which is suitable for various site conditions. It is to provide a girder and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el girder cons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domen,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abdomen; A concrete part plac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It provides a precast girder and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Description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Precast girder and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거더,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만 접안 구조물인 접안교(Access Bridge), 계류장(Berth)과 대형건축물의 조립식보, 가교 및 영구교량을 포함한 도로교 및 철도교 분야의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 등에 적용 가능한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girder, and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bridge bridge, an access bridge, a berth and a large building, a prefabricated beam, a bridge including a bridge, and a permanent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cast girders applicable to new bridges and old bridges in the field of railway bridges, and bridge structures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대 및 교각등의 하부구조물과 그 위에 올라가는 거더등의 상부구조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bridges consist of substructures such as shifts and piers, and superstructures such as girders that rise above them.

대표적인 거더교로는 PSC(Pre-Stressed Concrete)빔교와 프리플렉스 빔교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Representative girder bridges include pre-stressed concrete (PSC) beam bridges and preflex beam bridges, which hav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먼저, PSC빔과 프리플렉스 빔교는 설계 제작 시공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에 복구가 어렵고, 강선 재긴장이 불가능하며, 특히 선형적용성에 제한이 있어 현재 곡선 교량의 제작이 불가능하다. First, PSC beams and preflex beam bridges are relatively complex in design and construction, difficult to repair in the event of cracks in concrete, retension of steel wires, and especially limited in linear applicability. Do.

그리고, 특히 프리플렉스 빔교는 형고가 낮고 지간이 길어 다리밑공간 확보등에 유리하나 처짐과 진동이 심한 것이 단점이다. In particular, the preflex beam bridge has a low height and a long span,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a space under the bridge, but has a disadvantage of severe deflection and vibration.

또한, PSC빔교는 가설시 폭에 비해 높이가 높아 시공과정에서 전도(顚倒)할 위험성이 있고, 장경간 구성시 형고 증가 및 중량 증가가 불가피하므로, 크레인을 이용한 가설 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SC beam bridge has a high height compared to the width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there is a risk of falling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construction of a long span makes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height and weight. Has the disadvantages.

또한, PSC빔을 도로교에 적용한 경우, 차량이 거더에 충돌하게 되면 단면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종방향 경사가 심한 곳에 적용할 경우 중량과 수평력에 의해 낮은 쪽으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며 교량 받침 수평력저항이 커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SC beam is applied to the road bridge, there is a problem that cross-sectional damage occurs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irder, and when applied in a severe longitudinal inclination, it is pushed to the lower side by weight and horizontal force. It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resistance.

기존의 빔교는 RC구조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PSC빔 계열과 강재거더의 인장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플렉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긴장력 도입을 위해서 거더를 직선으로만 제작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곡선 적용시 거더는 직선으로 배치하고 바닥판을 곡선으로 제작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Conventional beam bridges mainly use PSC beam series which introduces prestress to RC structure and preflex which introduces prestress to the tension of steel girder.I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girder only in straight line to introduce tension force. Has the disadvantage of placing in a straight line and making the bottom plate curved.

다음으로, 다른 거더교로는 강재로만 된 강교가 있는데, 상기 강교는 처짐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충돌시 충돌된 부분의 국부적인 좌굴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내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Next, another girder bridge is a steel bridge made of steel only, the steel bridge has a problem that the deflection and vibration is severely generated, the local buckling of the impacted portion occurs during the collision, thereby reducing the load capacity have.

특히, 강교는 일반 강재가 아닌 고강도 강재를 사용할 경우, 강재두께를 얇게 할 수는 있으나, 이는 단면2차모멘트가 작아지게 되어 처짐이 많아지게 되고 진동이 심해지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steel bridge uses high-strength steel other than general steel, the steel thickness can be thinned, but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becomes smaller, causing sag and vibrations to be severe.

한편, 현재 국내에서 공용중인 강철도교의 50% 이상이 공용기간 50년 이상 경과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공용기간이 오래된 강교량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열화 손상으로 피로와 부식이 보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re than 50% of steel bridges currently in use in Korea are made up of bridges that have been in service for more than 50 years.In this way, fatigue and corrosion are reported due to major deterioration damages that affect the durability of old steel bridges. have.

현재 노후된 철도 교량 개선에 적용하고 있는 상부형식으로는, 슬래브교, H형강 매립 슬래브교, SRC(Steel Reinforced Concrete)하로교와 일반적인 강합성 플레이트 거더를 사용한 강합성 교량이 있는데, 슬래브교는 일반적인 교량으로서 적용 지간이 10미터 내외로 짧고, 고정하중이 크고 동적 성능은 우수하나 상부 자중의 증가로 하부 보강이 필요하며, 슬래브 양생 기간이 필요하며, 크레인 작업이 불가하며, 배근 철근량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특징이 있다.The upper types currently applied to retrofitting old railway bridges include slab bridges, H-beam reclaimed slab bridges, steel reinforced bridges using steel reinforced concrete (SRC) bridges, and general composite plate girders. The application area is short within 10 meters, the fixed load is large, and the dynamic performance is excellent, but the lower self-reinforcement is necessary due to the increase of the upper weight, the slab curing period is required, the crane work is impossible, and the rebar is excessively required. There is this.

H형강 매립 슬래브교는 내하력이 우수하고 고정하중이 크며 동적 성능이 우수하나 상부 자중의 증가로 하부보강이 필요하고, 슬래브 양생 기간 및 빔 제작기간이 필요하며, 시공능력 미흡으로 인해 빔과 콘크리트 접합부인 하브슬래브 시공면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철근 배근시 H형강을 천공하여야 하며, H형강과 H형강 사이의 간격이 좁아 작업하기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특징이 있다.The H-beam buried slab bridge has excellent load capacity, large fixed load, and excellent dynamic performance, but it needs lower reinforcement due to the increase of upper weight, slab curing period and beam manufacturing period, and the beam and concrete joint due to lack of construction capacit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quality of the inhabit slab construction surface is deteriorated, and when the reinforcement is reinforced, the H-beam must be drilled, and the gap between the H-beam and the H-beam is narrow, which makes it difficult to work.

SRC(Steel Reinforced Concrete)하로교는, 하로교의 가로보와 주형 내측에 콘크리트를 매입한 것으로, 형고는 낮고 내하력이 약하며, 고정하중이 작고, 하부보강이 H형강 매립 슬리브교 및 슬래브교에 비해 작고, 슬래브 양생기간 및 빔 제작 기간이 필요하며, 가로보등 강재량이 많고 강성이 작아 진동 및 처짐이 크고 바닥판 두께가 얇아 구조적으로 불안하며 철근 배근에 어려움이 있다. SRC (Steel Reinforced Concrete) Haro Bridge is a concrete bridge inside the crossbeam and the mold of the Haro Bridge.It is low in shape, weak in load capacity, small in fixed load, and the lower reinforcement is smaller than the H-filled landfill bridge and slab bridge. Curing period and beam fabrication period are required, and the amount of steel beams such as cross beams is small, the rigidity is small, the vibration and deflection is large,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is structurally unstable and the reinforcement is difficult.

일반적인 강합성 플레이트 거더를 사용한 강합성 교량은, 고정하중이 작고, 비틀림 강성이 증가하며, 바닥판 양생 기간이 필요하고 형고가 다소 높다는 특징이 있다.Steel composite bridges using general steel composite plate girders are characterized by small fixed loads, increased torsional stiffness, bottom plate curing periods, and slightly higher mold heights.

한편, 기존의 철도교는 시공된지 오래되고 홍수등 재해를 입은 교량이 많아 유지 보수가 불가피 한 상황이나, 철도교의 다음과 같은 특성상 유지 보수에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이 수반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railway bridges have been constructed for a long time, a lot of bridges suffered from disasters, such as floods, the maintenance is inevitable, but due to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railway bridges, maintenance is accompanied by difficulties in various aspects as will be described later.

철도교는 도로교와 달리 열차가 운행하고 있어 차단이나 우회가 어렵고, 철도차량의 운행 특성상 차단시간이 짧으므로 급속시공이 요구된다. 예컨대, 고속철도 운행 구간의 경우 공사중 서행시간을 길게 할 수 없으며, 운행 차단 시간이 3~4시간으로 이 시간 내에 급속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Unlike road bridges, railway bridges are difficult to block or detour because of the trains operat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igh-speed railway operation section, it is not possible to lengthen the slow running time during construction, and the rapid construction must be performed within this time as the operation blocking time is 3 to 4 hours.

그리고, 철도교는 이를 통과하는 대상인 차량의 특성상 중량이 크고, 수송량이 많으므로 시공시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In addition, the railway bridge has a large weight and a large amount of transport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to be passed through it, so make sure to ensure safety during construction.

기존의 철도교는 과거 설계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현재의 강화된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무도상 판형교로 시공된 것이 많아 처짐, 진동, 소음이 심하고, 다리밑 공간, 경간장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재해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교각은 중력식, 조적식(組積式) 교각 및 우물통 기초, 직접기초 및 목항 기초가 많으며, 교대의 경우는 석축이 많아, 교대 및 교각은 내하력이 낮고, 기초의 지지력이 작으며 내진저항성이 매우 취약하다.Existing railway bridg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past design standards, and do not satisfy the current strengthened design standards, and many of them were constructed as non-plated plate-shaped bridges, and have much sag, vibration, and noise. Due to the risk of disaster, pier has gravity, pier and well foundation, direct foundation and wooden foundation, and in case of shift, there are many masonry. In additio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is small and the seismic resistance is very weak.

즉, 기존의 철도교는 과거의 설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강화된 현재의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 철도교 개량시 도로교와 달리 우회선(즉, 특수선) 부설시 공사비가 고가여서 우회가 쉽지 않아, 적절한 노후 교량 개선 방법에 의해 현재의 설계 기준을 만족하면서도 급속 시공이 가능하고, 공사비가 적게 들도록 시공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the existing railway bridg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past design standards, and do not satisfy the current design standards that have been strength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constructed so that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while satisfying the current design criteria by an appropriate method for improving an old bridge.

이상에서와 같이, 기존의 PSC빔 및 기존의 빔계열과 슬래브 교량 혹은 강재를 이용한 교량은 도로교 및 철도교에 모두 적용하는 것과 장경간화하는 것이 어렵고, 내하력이 약하여 가교 및 영구교량에 어느 쪽으로도 동시 적용하는 것이 어렵고, 선형적용성에 제한이 있으며, 다양한 현장여건에 맞게 변화된 형식의 교량을 적용하기가 극히 어려우며, 강교는 처짐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existing PSC beam and the bridges using the existing beam series and slab bridges or steel materials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both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to be difficult to make long spans. It is difficult to do,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linear applicability,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apply the bridge of the type changed to various site conditions, and steel bridges have problems such as severe sag and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SC빔과 기존의 빔계열의 빔교 및 강교의 장점을 취합하여, 신규 혹은 임시 가설 혹은 교체용을 불문하고 적용가능하고, 강재와 콘크리트의 복합 구조로 내하력이 우수하여 장경간이 가능하고, 처짐과 소음 및 진동이 작으며, 공장 제작으로 운반 및 크레인 거치가 용이함과 급속 시공이 가능케 됨으로써 도로교와 철도교 분야를 포함한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의 교체 및 재해 발생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기존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공사비도 대폭 절감되며, 다양한 교량 형식에 적용가능하여 현장여건에 따른 적용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거더,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PSC beam and the existing beam-based beam bridge and steel bridge,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new or temporary construction or replacement,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As the load capacity is excellent, long span is possible, and sag, noise and vibration are small, and it is easy to transport and mount the crane by the factory production, and rapid construction is possible, so that new bridges including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old bridges are replaced and disasters occur. It is possible to quickly recover, significant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bridge types to provide a precast girder with excellent applicability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and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항만구조물의 접안시설인 접안교(Access Bridge), 계류장(Berth)등의 거더와 대형건축구조물인 빌딩의 거더로도 변형하여 사용할수 있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girder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girder such as an access bridge, a mooring berth, and a girder of a building, which is a large construction structur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abdominal plate formed of a steel girder to form a formulation or a square as a whole;

상기 강재거더 내측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와; A concrete part plac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가 제공된다.And a longitudinal reinforcing member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flange upper surface to increase stiffness through the increase of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1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re formed in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that penetrate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placing and cur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concrete part to be segmented and manufactured;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 An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Bridge structures are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2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formed of the upper or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as a whole or a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that penetrate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placing and cur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concrete part to be segmented and manufactured;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을 감싸도록 강재거더의 외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아웃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Outconcrete parts placed and cured in the outer space of the steel girder so as to surrou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s that are reinforced wit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each precast girder segment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There is provided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The first precast girder,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flange and a concrete part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Segments;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복부판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is provided, comprising: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abdominal plates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4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our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The first precast girder,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flange and a concrete part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Segments;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와;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아치리브와;An arch rib erect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an upper flange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아치리브와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is provided, including; and a cable and a beam connected between the arch rib and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seg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5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transverse reinforcement which is reinforced throug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concrete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nfigured to segment and fabricate;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가로보와;A cross beam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러스 구조로 세워지는 트러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Provided is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omprising: a truss member erected in a trus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6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ix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The first precast girder,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flange and a concrete part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Segments;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And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상기 가로보는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결합된 좌·우측 가로보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가로보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가로보와 중앙 가로보의 연결 높이 조절을 위한 이음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The crossbeam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rossbeams coupled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and a central crossbeam connecting therebetween, and adjusting the connection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crossbeams and the center crossbeam. There is provided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plate for the install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7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The first precast girder,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flange and a concrete part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Segments;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And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상기 가로보와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 및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연결부에는 가로보와 각 세그먼트와의 연결 높이 조절을 위한 이음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cross beam and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install a joint plat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oss beam and each seg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8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teel girder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the overall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the upper portion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is passed throug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the concrete portion plac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nd segmented;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을 감싸도록 강재거더의 외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아웃콘크리트부;An outconcrete portion which is poured and cured in an outer space of the steel girder to surrou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which is passed throug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precast girder segment;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하부구조에 사전에 설치해 놓은 H빔과, 상기 H빔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이루어진 합성교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이 제공된다.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is provided, including a H beam in which the precast girder segment is pre-installed in a lower structure, and a composite shift formed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in the H beam and placing concrete. .

한편, 상기한 각 실시형태의 프리캐스터 거더 세그먼트의 강재거더는 곡선교 적용시에는 곡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el girder of the precaster girder segment of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when applying a curved bridge.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PSC빔 및 프리플렉스등과 같은 기존의 빔교와 강교의 장점을 취합한 것으로서, 신규 혹은 임시 가설 혹은 교체용을 불문하고 도로교 및 철도교로 적용가능하고, 강재와 콘크리트의 복합 구조로 내하력이 우수하여 장경간이 가능하고, 처짐과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현장여건에 따라 거더의 조합을 자유로이 하여 적용 현장과 가장 잘 맞는 최적의 교량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종단 및 평면 곡선을 반영하여 선형적용성 또한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advantages of existing beam bridges and steel bridges, such as PSC beams and preplexes, and is applicable to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whether new or temporary construction or replacement,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Its structure is excellent in load capacity, making it possible to make long spans, and to reduce sag, noise and vibration.It is possible to apply the best bridge type that best fits the application site by freely combining girder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linear applicability by reflecting the vertical and planar curves.

또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공장 제작으로 운반 및 크레인 거치가 용이함과 급속 시공이 가능케 됨으로써 도로교와 철도교 분야를 포함한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의 교체 및 재해 발생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교량 시공시 기존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공사비도 대폭 절감되며, 다양한 교량 형식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transport and crane mounting and rapid construction by the factory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new bridges and old bridges including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to quickly reco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existing construction work Compared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the construction period is greatly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 is greatly reduced,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bridge types.

또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 구조물 역시, 신규 혹은 임시 가설 혹은 노후교량 교체용을 불문하고 도로교 및 철도교로 적용가능하고, 강재와 콘크리트의 복합 구조로 내하력이 우수하여 장경간이 가능하고, 처짐과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운반 및 크레인 거치가 용이함과 급속 시공이 가능케 됨으로써 도로교와 철도교 분야를 포함한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의 교체 및 재해 발생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교량 시공시 기존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공사비도 대폭 절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lso can be applied to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regardless of new or temporary construction or replacement of old bridge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sag, noise and vibration, and it is easy to transport and mount cranes and enables rapid construction, so that new bridges including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replacement of old bridges and old bridges can be quickly restored in case of disasters.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항만시설 중 접안 구조물인 접안교(Access Bridge), 계류장(Berth)등에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 기존의 항만구조물 시공시 해안에 파일 항타후 파일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있고, 기존에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는 콘크리트 거더로 지간이 짧으며 파일과의 접합을 위한 콘크리트를 별도로 타설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으로 장경간화가 가능하여 파일의 설치간격을 넓혀서 파일 공사비를 줄일 수 있으며 외부가 강재로 되어 있어 파일과의 접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berth (Access Bridge), the mooring (Berth), such as the berthing structure of the port facilities, the precast concrete girder is installed on the pile after pile pier on the shore when the existing port structure construction The precast girders used in the existing method are shorter as concrete girders and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separately cast concrete for joining with piles, but the precast gir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steel and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pile by widening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pile by making it possible to lengthen the span, and it is easy to join the pile because it is made of steel outside.

또한, 기존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거더는 공장에서 1차 제작후 현장에서 2차 현장타설을 하고 3차로 이음부 타설을 하게 되어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지만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공장에서 완성이 가능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건설비용도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concrete precast gird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ng time and costly to do the second cast in the field after the first production in the factory and the third cast in the site, but the precast girder of the invention is in the factory As it can be completed, the air is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s are also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대형 건축구조물의 시공시 기둥부와 연결하는 거더로 사용이 가능하며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로 내하력이 우수하며 강재를 이용함에 따라 연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장경간화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cast gir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girder to connect to the pillar por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large building structures, and has a good load-bearing strength with the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easy to connect according to the use of steel and long diameter Can be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나타낸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 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 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의 구조 확장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아치보강 거더교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 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의 구조 확장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트러스보강 거더교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2형태인 슬래브교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는 복부판 측면으로 콘크리트가 포설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복부판 측면으로는 콘크리트가 제거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관로가 설치된 무도상화 철도교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관로가 설치된 유도상화 철도교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4형태인 아치보강 하로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아치보강 하로교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5형태인 아치보강 하로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트러스보강 하로교의 측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6형태 및 제7형태인 임시 공사용 거더교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15는 철도교로 적용시의 제1구조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철도교로 적용시의 제2구조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의 (가)는 도 16의 "A"부 확대도이고, (나)는 (가)에 적용된 높이 조절용 이음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18의 (가)는 도 16의 "A"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나)는 (가)에 적용된 높이 조절용 이음판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8형태인 라멘교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bridg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al expansion of the girder bridge,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al expansion example of the girder bridge, which is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a truss reinforced girder bridge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respective embodiments of the slab bridge which is the secon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bdominal plate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concrete is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abdominal plat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bridge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aro bridge, which is the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of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aro bridge, which is the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an induction fire railway bridge having a pipelin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ch reinforcement halo bridge of the four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2 is a side view of the arch reinforcement haro bridge of FIG.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ch reinforcement halo bridge of the fif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4 is a side view of the truss reinforcing halo bridge of FIG.
15 and 16 illustrate the girder bridges for temporary construction which are the sixth and seventh forms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structure when the railway bridge is applied;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al example when applying a railway bridge;
FIG. 17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6, and (B) is a front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joint plate applied to (A).
FIG. 18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part “A” of FIG. 16, and (B) is a front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joint plate applied to (A).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ramen bridge as an eigh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9.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content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실시예1]Example 1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에 대해 설명한다.A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는,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강재거더(10)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recast gir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13,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 1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bdominal plate (13) is formed as a steel (form) or quadrangular as a whole A girder 10; A concrete part 20 which is pour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The upper flange 11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surface.

이때,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를 관통하여 횡방향 철근(30)이 배근되고, 상기 하부플랜지(12)에도 하부 종방향 보강재(15)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30 is passed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ing material (15 '), the lower flange 12 is also provided with a lower longitudinal reinforcing material (15).

한편,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는 상부플랜지(11) 상면이나 하면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횡방향 철근(30)은 배근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를 관통하여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30) penetrates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as necessary when reinforcement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PSC빔과 기존의 빔계열의 빔교와 강교의 장점을 취합한 것으로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복합 구조로 내하력이 우수하여 장경간이 가능하고, 처짐과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PSC beam and the existing beam-based beam bridges and steel bridges, and is a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which enables long spans, and sag, noise, and vibra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공장 제작으로 운반 및 크레인 거치가 용이함과 급속 시공이 가능케 됨으로써 도로교와 철도교 분야를 포함한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의 교체 및 재해 발생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교량 시공시 기존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가설재(예: 동바리 및 거푸집) 절감에 따라 공사비도 대폭 절감된다.In addition,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transport and crane mounting and rapid construction by the factory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new bridges and old bridges including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to quickly reco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existing construction work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method, the construction period is drastically shortened and construction costs are also greatly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temporary materials (eg, ridges and formwork).

그리고,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으며, 부재간 연결구조의 적용이 용이하며 다양한 현장여건에 맞추어 교량 형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신규 혹은 임시 가설 혹은 교체용 등 교량 용도를 불문하고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cast gir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not only straight, but also curved, and can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segment, so that the site accessibility is good, the applica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embers is easy, and the bridge type can be adapted to various site conditions. It can be applied to any bridge use, such as new or temporary construction or replacement.

즉,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강재거더(10)의 밀폐된 공간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차량 충돌 등에 의한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내하력을 발휘하게 되어, 기존 강교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강재로 인해 선형적용성이 우수하며 장경간화가 가능해져 기본적인 빔 구조에서 다양한 형식의 교량으로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load capacity, such as by filling concrete in the closed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to prevent local buckling due to a vehicle collision,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steel bridge. Due to the steel material, the linearity is excellent and the long span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from the basic beam structure to various types of bridges.

또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의 특징으로서, 빔을 콘크리트 속에 넣지 않고 외부로 노출시킨 것은 유지관리상 다소 불리한 면은 있으나, 강재의 가장 큰 특징인 임의의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강재의 외부 노출을 통해 거더의 연결구조의 적용성이 콘크리트에 비해 쉽다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as a feature of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of the beam to the outside without putting it into the concrete, although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mainten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any shape, which is the biggest feature of steel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girder is easier than that of concrete through the external exposure of steel.

한편,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강재가 거푸집역할을 수행하므로 가설재가 불필요하게 되는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feature that the temporary material is unnecessary because the steel plays a form role.

[실시예2]Example 2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 구성 단면도로서, 철도교 적용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irder bridge, which is a first form of a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an example of a railway bridg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도시 생략함; 도 1 참조)과,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girder bridge, which is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 and 1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13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overall formulation thereof. Steel girder 10 to form a square or quadrangle, and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formed longitudinally for increasing rigidity by increasing a second cross-sectional mo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 Segmental fabrication including transverse reinforcing bars (not shown; see FIG. 1) and concrete parts 20 that are pour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make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It is configured by.

한편,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는 상부플랜지(11) 상면이나 하면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횡방향 철근(30)은 배근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를 관통하여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30) penetrates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as necessary when reinforcement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거더교는 분절제작으로 현장에서 조립하여 교량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등에 따른 작업량 감소를 통해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girder bridg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ssembled at the site by segmental fabrication, the bridge can be comple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due to concrete placement at the installation site.

또한, 본 실시예의 거더교는 도시된 철도교 뿐만 아니라 도로교로도 적용 가능하며,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railway bridge but also the road bridge as shown, the straight line as well as the curve can be produced, and because it can be assembled and transport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segment, the site accessibility is improved.

[실시예3]Example 3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 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의 구조 확장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시예의 거더교는 기본적으로 실시예2의 거더교 구조를 취하되, 아치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al expansion of the girder bridge, which is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girder bridge of the embodiment basically takes the girder bridg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arch reinforcement is made.

즉, 본 실시예의 거더교는,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상부플랜지(11)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아치부(40)와, 상기 아치부(40)와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11)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빔(41)이 더 구비된다.That is, the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rch portion 40 which is er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the upper flange 11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A cable and a beam 41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arch portion 40 and the upper flange 11 of the girder segment.

따라서, 본 실시예의 거더교는 상기한 실시예2의 거더교의 장점과 더불어, 거더에 대한 아치 보강을 통해 지간을 장경간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아치 보강의 도입으로 교량의 미관도 수려해지며 거더에 미치는 단면력도 경감하여 처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girder brid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to make the length of the long span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arch to the girders, the beauty of the bridge is also beautiful by the introduction of the arch reinforcemen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deflection by reducing the impact force.

[실시예4]Example 4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 구조물의 제1형태인 거더교의 구조 확장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시예의 거더교는 기본적으로 실시예2의 거더교 구조를 취하되, 트러스 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4 is a structural extension example of the girder bridge, which is the first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girder bridge of the embodiment basically takes the girder bridg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truss reinforcement is made.

즉, 본 실시예의 거더교는,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상부플랜지(11)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러스 구조로 세워지는 트러스(45)가 더 구비된다.That is, in the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uss 45 which is erected in the trus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the upper flange 11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거더교는 상기한 실시예2의 거더교의 장점과 더불어, 거더에 대한 트러스 보강을 통해 지간을 장경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트러스 보강의 도입으로 교량의 미관도 수려해지며 거더에 미치는 단면력도 경감하여 처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girder brid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it is possible to make the span longer by the truss reinforcement for the girder, the introduction of the truss reinforcement is also beautiful and the bridge looks beautiful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deflection by reducing the impact force.

[실시예5][Example 5]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2형태인 슬래브교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복부판(13) 측면으로 콘크리트가 포설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lab bridge, which is a secon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a case where concrete is laid on the side of the abdominal plate 13.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2형태인 슬래브교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30)과,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종방향 보강재(15)와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30)을 감싸도록 강재거더(10)의 외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아웃콘크리트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slab bridge which is the secon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abdominal plate 13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 and 1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bdominal plate 13. Steel girder 10, which is generally formed into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nd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formed longitudinally for stiffness through an increase in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11 upper surface. And,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ing material (15 ') and the reinforcement in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30) and the concrete part 20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is made of segment One precast girder segment 1a;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Steel girder to wrap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30 which is reinforced wit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of each precast girder segment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out concrete portion 50 that is poured and cured in the outer space of (1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교는 복부판(13) 측면으로 콘크리트가 포설된다.That is, in the slab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bdominal plate (13).

이때, 상기 강재거더(10)의 길이방향으로는 콘크리트부(20)에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PC강선(51)(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 Strand)이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C girder 51 (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 Strand) for providing a tension force to the concrete portion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girder 10 may be disposed.

상기 아웃콘크리트부(50)의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 사이에는 재료 감소를 위해 "∩"형의 절개영역(52)이 형성된다. Between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of the outconcrete portion 50, a “∩” shaped cutout 52 is formed to reduce the material.

상기 강재거더(10) 내측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종방향 철근(53)이 배근될 수 있다.Longitudinal reinforcement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may be reinforceme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슬래브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lab bridge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실시예의 슬래교는 기존의 H-형강 매립슬래브교의 단점을 보완한 교량으로서, 강성이 좋고 슬래브 두께가 작으면서도 철도교 적용시 20m이상의 경간장을 가지며 일반 R.C 콘크리트 슬래브교의 단점을 보완한 교량이다.The slab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ridge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H-beam buried slab bridge. The slab bridge is a bridge that supplements the shortcomings of the general R.C concrete slab bridge while having a good rigidity and a small slab thickness and having a span length of 20 m or more when the railway bridge is applied.

기존의 H-형강 매립슬래브교는 H-형강을 매립한 형태로 많은 H-형강의 배치로 간격이 좁고 철근배근이 어렵다. 철근배근시 H-형강의 복부판(13)에 철근배근홀을 뚫어야 하는 등 작업이 쉽지않다. Conventional H-beam buried slab bridges are embedded with H-beams, and the arrangement of many H-beams is narrow and the rebar is difficult. When reinforcing bars, the reinforcement holes need to be drilled in the abdominal plate 13 of the H-beam.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빔의 개수를 줄이고 빔간격을 넓히고 인장부의 콘크리트를 줄여 자중을 경감시킨 T빔 형태의 슬래브를 제시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lab of a T-beam type having reduced the number of beams, widening the beam spacing, and reducing the concrete of the tension part has been propos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슬래브교는 거더의 분절제작으로 현장에서 조립하여 교량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에서의 거푸집 제작,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 양생 등에 따른 작업량 감소를 통해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lab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ssembled in the field by the production of the girder segment to complete the bridge,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due to formwork, reinforcement, concrete placement, curing, etc. at the installation site Not only that, but also the construction cost will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실시예의 슬래브교는 철도교 및 도로교로 모두 적용 가능하며,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아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slab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cable to both railway bridges and road bridges, not only straight, but also curved, and can be assembled and transport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segments, so that the site accessibility is improved.

[실시예6][Example 6]

도 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2형태인 슬래브교의 다른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교량 형태에서 복부판(13) 측면으로는 콘크리트가 제거된 경우를 나타낸다.FIG. 6 is another sectional view of the slab bridge, which is the secon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howing the case where concrete is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abdominal plate 13 in the bridge form shown in FIG.

즉, 도 6에 도시된 슬래브교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5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복부판(13)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작용면에 있어서도 실시예5의 슬래브교와 동일하므로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at i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lab bridge shown in FIG. 6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except that concrete is not poured out of the abdominal plate 13, and the slab bridge of the fifth embodiment also has a working surface. Therefor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실시예7]Example 7

도 7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lo bridge as a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According to the Haro Bridge, which is a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abdominal plate 13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 and 1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bdominal plate 13 are generally formed.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comprising a steel girder (10) to form a formulation and a concrete portion (20) that is pour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Wow;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와;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복부판(13)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cross beam 60 installed to connect the abdominal plate 13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to each other.

한편, 본 실시예는 하로교 형식으로서 철도교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철도교 적용을 위해 상기 가로보(60)는 ""자 형태를 이루며 그 내부에는 레일(75) 설치를 위한 침목(70)이 설치되고, 상기 침목(70)과 가로보(60) 사이에는 방진패드(71)가 더 구비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is embodiment is to illustrate the case when applied to the railway bridge as a bridge bridge type, the crossbeam 60 for the railroad bridge application to form a "" shape and the sleeper 70 for installing the rail 75 is installed therein And, between the sleeper 70 and the cross beam 60 is shown a case where the dustproof pad 71 is further provided.

상기 가로보(60)는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더의 직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가로보와 가로보 사이의 공간에는 경우에 따라 콘크리트 바닥판이 타설되기도 하고 타설되지 않기도 한다. 상기 가로보(60)에 콘크리트 바닥판을 설치할 경우에는 가로보를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보철근(72)이 배근된다.The cross beam 6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i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in some cases, the concrete floor plate is poured or not poured in the space between the cross beam and the horizontal beam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concrete bottom plate is installed in the cross beam 60, the cross beam reinforcement 72 penetrates the cross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flang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rigid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로교의 가장 큰 장점은 가로보(60) 안에 침목(70)을 설치함으로써 형고를 극도로 낮출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차량이 거더와 거더사이의 가로보를 통해 운행하므로 교량 폭이 넓어지지 않는 한 가로보의 높이는 일정하다. 따라서 교량 가설시 교량폭은 변하지 않고 경간이 길어질 경우 주형의 높이만 증가시키고 바닥판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다리밑공간 확보시 매우 유리하다.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mold height can be extremely lowered by installing the sleeper 70 in the crossbeam 60. That is, since the vehicle runs through the cross beam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the height of the cross beam is constant unless the bridge is widened. Therefore, it is very advantageous to secure the space under the bridge because it can only increase the height of the mold and keep the height of the base plate constant when the span is long and the span is not changed.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하로교는 본 발명 프리캐스트 거더의 기본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로보(60)의 간격과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djust the spacing and height of the cross beam 60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kelet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ast girder.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하로교는 바닥판을 합성한 SRC 구조(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at Structure)를 채용함으로써 지진에 강하고 내하력이 우수한 교량의 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providing a bridge that is strong against earthquakes and has a high load capacity by adopting a steel framed reinforced reinforced structure (SRC).

본 실시예의 하로교는 도로교 및 철도교에 적용이 가능하며, 철도교 적용시 단선 및 복선의 적용이 가능하며, 전술한 [실시예1]의 프리캐스트 거더에 가로보(60)를 연결한 구조로서, 철도교 적용시 가로보(60)의 높이는 300mm이며, 복선의 경우 더 높아질 수 있으며, H-형강, U-형강을 사용할 수 있다.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cable to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disconnection and double tracks when applying the railway bridge, as a structure connecting the crossbeam 60 to the precast girder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1], railway bridge application The height of the city cross beam 60 is 300 mm, in the case of a double wire can be higher, it is possible to use H-shaped steel, U-shaped steel.

그리고, 침목(70)을 U 자형 가로보(60)에 직접 설치하여 형고를 더욱 낮출 수 있으며, 하로판은 가로보(60)를 통해 주거더(즉,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로 하중이 전달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다.And, the sleeper 70 can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U-shaped crossbeam 60 to further lower the mold height, and the lower plate is a system in which load is transmitted to the housing (that is, precast girder segment) through the crossbeam 60. It is.

장경간 가설시 가로보(60)의 강성과 간격을 조절하면 바닥판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외측의 주거더의 강성을 높이면 된다. 주거더 강성의 증대시 거더의 높이가 높아져도 다리 밑 형하공간의 확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If you adjust the stiffness and spacing of the cross beam 60 during the long span construction, the height of the bottom plate is kept constant while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outer housing.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housing, the height of the girder does not affect the securing of the space under the bridge.

또한 거더의 높이가 높을 경우 교량 횡단면이 U-자형태가 되어 소음 차단효과가 있고, 거더 자체가 양측보도 역할을 수행하여 점검자가 교량 점검시 대피할수 있는 대피로가 양쪽으로 설치되어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이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girder is high, the cross section of the bridge becomes a U-shape, which has the noise blocking effect, and the girder itself acts as both sidewalks, so that evacuation rout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to prevent human injury. It is an effective structure that can.

한편, 도로교 적용시 도로횡단 폭이 넓을 경우도 가로보(60)의 강성만 증대시켜 적용하면 되므로 문제가 없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problem because only the stiffness of the crossbeam 60 may be applied when the road bridge width is wide when the road bridge is applied.

만일 차량의 충돌에 의한 거더의 손상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거더가 일반 강교가 아닌 합성형태의 충진거더이기 때문에 거더의 좌굴등을 예방할 수 있다.If the girder is damag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girder can prevent the buckling of the girder because the girder is a synthetic filling girder rather than a general steel bridge.

본 실시예의 하로교 역시,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음은 물론이다.
The haro bridge of this embodiment is also capable of producing not only a straight line but also a curved line, and having to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a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a segment, of course, good site accessibility.

[실시예8][Example 8]

도 8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관로가 설치된 무도상화 철도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aro bridge, which is a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pecifically, a diagram showing an unconverted railway bridge in which a pipeline is installed,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of FIG. to b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로교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7의 하로교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8 and 9, the structure of 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haro bridge of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종방향 보강재(15) 사이의 공간에는 거더 길이방향을 따르는 통신관로(73)가 더 설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However, in the space between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the communication line 73 along the girder longitudinal direction is further installed. There i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하로교는, 종리브의 위치를 상부플랜지(11) 위로 설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통신관로(73)를 거더 위에 설치함에 따라 통신관로(73)의 점검이 용이하다. The 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f the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ribs on the upper flange 11, and by installing the communication conduit 73 on the girder of the communication conduit 73. Easy to check

또한, 양측보도를 계획할 경우, 통신관로(73)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설치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교측보도가 필요없이 양측보도를 이용함으로써 점검자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lanning both side walk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stallation space by utilizing as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communication pipeline 73,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afety of the inspector by using both side walks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bridge sidewalk.

또한, 본 실시예의 하로교 역시,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아지는 등 전술한 실시예7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as a straight line, can be produced in a curved line, because it can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a segment, such that the site accessibility is improved, as well as have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7.

[실시예9]Example 9

도 10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3형태인 하로교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통신관로(73)가 설치된 유도상화 철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halo bridge, which is the third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로교의 구조 역시 전술한 실시예7의 하로교와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0, the structure of the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the same as the basic structure and effect of the haro bridge of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하로교는 철도교로 적용된 경우이므로, 가로보(60) 및 외부콘크리트부 상부로 포설되는 자갈(74)과; 상기 자갈(74) 위에 설치되는 침목(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However, since the haro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railway bridge, gravel 74 and the horizontal beam 60 and the outer concret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comprises a sleeper 70 is installed on the gravel (74).

[실시예10] [Example 10]

도 1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4형태인 아치보강 하로교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아치보강 하로교의 측면 개략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ch reinforcement halo bridge of the four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2 is a side schematic view of the arch reinforcement halo bridge of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4형태인 아치보강 하로교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60)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상부플랜지(11)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아치리브(40)와; 상기 아치리브(40)와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11)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1 and 12, according to the arch reinforcement haro bridge, which is the four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13 and the abdominal plate 13 (11) (1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girder (10) to form a general formulation (蹄形) or quadrangle, and the upper flange (11)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comprising an upper longitudinal stiffener (15 ') and a concrete portion (20) to be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 cross beam 60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with each other; An arch rib (40) er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the upper flange (11)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And a cable 41 connected between the arch rib 40 and the upper flange 11 of the girder segme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아치보강 하로교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Operational effects of the arch reinforcement haro bridg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장경간화를 위해 거더의 높이를 증가시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인장강선을 설치하여 장경간화를 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인장력 저감으로 인한 내하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If it is impossible to increase the stiffness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girder to increase the long spa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ong span by installing a tensile steel wire, but the load capacity may be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tensile force in the long-term use.

이를 막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거더에 대한 아치 보강을 통해 지간을 장경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아치 보강의 도입으로 교량의 미관도 수려해지며 거더에 미치는 단면력도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allow the long span to be made longer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girder, the introduction of the arch reinforcement can be beautiful and the cross-sectional force on the girder can be reduced.

본 실시예의 아치보강 하로교 역시, 램프구간과 같은 급곡선 구간이 아닌 경우에는 곡선 교량 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아지는 등 전술한 실시예7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Arch reinforcement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7, such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urved bridge in the case of not a sharp curve section, such as a ramp section, and to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a segment. Of course you have.

[실시예11]Example 11

도 1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5형태인 트러스보강 하로교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트러스보강 하로교의 측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uss reinforcing halo bridge as a fif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5형태인 트러스보강 하로교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를 서로 연결하도록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가로보(60)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상부플랜지(11)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러스 구조로 세워지는 트러스보(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russ reinforcement haro bridge, which is the fif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dominal plate 13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abdominal plate 13 are forme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 12) is composed of a steel girder (10) to form a general formulation (蹄形) or quadrangular, and to increase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11)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comprising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formed in a direction and a concrete portion 20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and segmented Wow;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 cross beam 6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so as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to each other; And a truss 45 which is erected in a trus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in the upper flange 11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하로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action of the truss reinforcement haro bridg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장경간화를 위해 거더의 높이를 증가시켜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인장강선을 설치하여 장경간화 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인장력 저감으로 인한 내하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If it is impossible to increase the stiffness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girder for the long span, it is possible to lengthen the span by installing a tensile steel wire, but it may cause a drop in load capacit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tensile force in the long term use.

이를 막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거더에 트러스를 보강하는 방법으로 지간을 장경간화한 것으로서, 트러스의 도입으로 교량의 미관도 수려해지며 거더에 미치는 단면력도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ong span a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truss in the girder, the introduction of the truss has the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of the bridge is also beautiful and the cross-sectional force on the girder can be reduced.

본 실시예의 트러스보강 하로교 역시, 램프구간과 같은 급곡선 구간이 아닌 경우에는 곡선 교량 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아지는 등 전술한 실시예7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The truss reinforcing haro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7, such that a curved bridge can be manufactured when it is not a sharp curve section such as a ramp section, and it can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a segment. Of course you have.

[실시예12]Example 12

도 1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6형태인 임시 공사용 거더교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6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5 illustrates a temporary construction girder bridge as a six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ccording to the six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dominal plates 13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 And upper and lower flanges 11 and 12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bdominal plate 13 to form a steel girder 10 or a cross s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rigid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second moment, and comprises a concrete part 20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to be manufactur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a cross beam 60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가로보(60)는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에 결합된 좌·우측 가로보(61)(62)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가로보(63)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가로보(61)(62)와 중앙 가로보(63)의 연결 높이 조절을 위한 이음판(64a)이 설치된다.The cross beam 60 includes left and right cross beams 61 and 62 coupled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and a center cross beam connecting therebetween. It is divided into (63), the joint plate 64a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crossbeams 61 and 62 and the central crossbeam 63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임시 공사용 거더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하면 임시 공사용 거더교로 변형이 가능하며, 임시 공사용 가교로 적용시 상로교 및 하로교의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When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transform into a girder bridge for temporary construction, and when applied as a bridge for temporary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form both a Sangro bridge and a Haro bridge.

특히 철도교에 적용시 기존 하로판과 드와프거더는 동적성능이 낮아 시속 40km 이하의 서행이 필수적이다.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railroad bridges, the existing bottom plate and the dwarf girder have low dynamic performance, so it is essential to slow down to 40 km / h.

그러나,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동적 성능이 우수하여 임시교이면서도 서행 없이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시킬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dynamic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train normally without a slow motion as a temporary bridg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임시거더로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 기능상 영구거더와 임시 공사용 거더의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즉, 공사용 임시거더로 사용시 거더의 충진을 일부만 하거나 또는 미충진상태로 사용하고, 영구거더로 사용시에는 충진한 합성 형태로 사용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 case where the precast girder is applied as a temporary girder as an example, it can be us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ermanent girder and the temporary construction girder in terms of its fun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temporary girder is used for construction, the girder may be partially or unfilled, and when used as a permanent girder, it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ynthetic composite.

또한,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다. 따라서, 재해발생시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다.In addition, not only a straight line but also a curved line can be produced, and the site accessibility is good because it can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a seg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put quick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즉, 본 실시예의 임시교는 가로보(60)의 조립 위치 조정을 통한 레일(75)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다. 즉, 가로보(60)의 높이조절 이음판(64a)을 사용하여 가로보의 거더 세그먼트와의 조립 위치를 올리거나 낮춤으로써 레일(75)의 레벨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That is,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vel of the rail 75 by adjust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ross beam 60. That is, the level of the rail 75 can be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assembly position with the girder segment of the cross beam using the height adjusting joint plate 64a of the cross beam 60.

[실시예13]Example 13

도 1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7형태인 임시 공사용 거더교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7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6 illustrates a temporary construction girder bridge as a seven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ccording to the seven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dominal plates 13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 And upper and lower flanges 11 and 12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bdominal plate 13 to form a steel girder 10 or a cross s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rigid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second moment, and comprises a concrete part 20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to be manufactur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a cross beam 60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가로보(60)와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a) 및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1b)의 연결부에는 가로보(60)와 각 세그먼트와의 연결 높이 조절을 위한 이음판(64a)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joint plate 64a for adjusting a connection height between the crossbeam 60 and each segment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rossbeam 60,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a,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b.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임시 공사용 거더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12와 동일하다.Basically,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welfth embodiment.

즉,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임시 공사용 거더(가교)로 변형이 가능하며, 가교 적용시 상로교 하로교의 형태가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precast gir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temporary construction girders (crosslinking), and when the crosslinking is applied, the shape of the Sangro Bridge Haro Bridge is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동적 성능이 우수하여 임시 가교이면서도 서행 없이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dynamic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train normally without a temporary bridge, even without a temporary bridge.

또한, 본 실시예의 임시교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제작이 가능하고,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하면 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다. 따라서 재해발생시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not only a straight line, but also a curved line, and can be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a manufacturing site in the form of a segment, so that site accessibility is go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put quickly in case of disaster.

그리고, 본 실시예의 임시교는 가로보(60)의 조립 위치 조정을 통한 레일(75)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다. 즉, 가로보(60)의 높이조절 이음판(64a)을 사용하여 가로보(60)의 거더 세그먼트와의 조립 위치를 올리거나 낮춤으로써 레일(75)의 레벨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vel of the rail 75 by adjust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ross beam 60. That is, the level of the rail 75 may be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assembly position with the girder segment of the cross beam 60 using the height adjusting joint plate 64a of the cross beam 60.

구체적으로, 도 17의 (가)는 도 16의 "A"부 확대도이고, (나)는 (가)에 적용된 높이 조절용 이음판(64a)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이음판(64a)에 형성되는 체결공(640)은 기본적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FIG. 17A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6, and (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ing joint plate 64a applied to (A), and formed on the joint plate 64a. The fastening hole 640 is basically formed in a matrix form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이에 따라, 이음판(64a)에 대한 가로보(60)의 조립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로보(60)에 설치되는 레일(75)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Thereby, the level of the rail 75 installed in the cross beam 60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ross beam 60 with respect to the joint plate 64a.

현재 설계 기준상의 볼트 중심간격은 사용 볼트에 따라 다르나, 통상 65~85mm이다. 따라서, 예컨대 M25볼트 사용시에는 중심간격은 75mm이므로, 75mm 간격으로 가로보(60)의 조립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The bolt spacing in the current design standard depends on the bolt used, but is usually 65-85mm.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M25 bolt is used, since the center interval is 75 mm,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ross beam 60 can be changed at a 75 mm interval.

[실시예14]Example 14

도 18의 (가)는 도 16의 "A"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나)는 (가)에 적용된 높이 조절용 이음판(64b)의 정면도이다.FIG. 18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ortion “A” of FIG. 16, and (B) is a front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joint plate 64b applied to (A).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음판(64b)에 형성되는 체결공(640)은 이음면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체결공(640)의 형성 간격(d)은 같으나, 높이 방향에 있어서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astening holes 640 formed in the joint plate 64b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e the same spacing d of the fastening holes 64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surface, but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formed differently.

따라서, 실시예13과는 달리 볼트 중심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한층 더 작은 간격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여 볼트중심 간격 범위 이내에서 더욱 정밀하고 자유로운 높이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Therefore, unlike the thirteenth embodiment, since the bolt center spacing becomes narrower, it is possible to adjust in smaller interval units, thereby allowing more precise and free height adjustment within the bolt center spacing range.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M25볼트 사용시 중심간격이 35mm로 조절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35mm 간격으로 가로보(60)의 조립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enter interval is adjusted to 35mm when using the M25 bolt,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rossbeam 60 at 35mm intervals.

[실시예15]Example 15

도 19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터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8형태인 라멘교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1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ramen bridge as an eighth form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e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of FIG.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거더가 적용된 교량구조물의 제8형태에 따르면, 좌우 양측의 복부판(13)과, 상기 복부판(13)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1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蹄形)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10)와, 상기 상부플랜지(11)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15')와,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15')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30)과, 상기 강재거더(10)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하부 종방향 보강재(15)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30)을 감싸도록 강재거더(10)의 외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아웃콘크리트부(50)와; 하부구조인 교대에 설치되는 H빔(80)과, 상기 H빔(80)에 합성되는 콘크리트부(20)로 이루어진 합성교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9 and 20,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bridge structure to which the precast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1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13 and the upper and lower abdomen plates 13 are formed. Steel girder (10) consisting of (12) to form a general formulation or square, and the upper longitudinal longitudinally formed to increase the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11) A directional reinforcement 15 ',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30 that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and a concrete portion 20 to be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A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nd segmented; An outconcrete part 50 which is placed and cured in an outer space of the steel girder 10 so as to surrou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30 which is penetrated through the low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5 of the precast girder segmen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H-beam 80 is installed in the alternating structure of the lower structure, and the composite shift 90 made of the concrete portion 20 synthesized in the H-beam 80.

이때, 상기 프리캐스터 거더 세그먼트의 강재거더(10)와 H빔(80)의 연결부에는 스트럿(91)(strut)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trut 91 (strut)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eel girder 10 and the H beam 80 of the precaster girder segment.

한편, 상기한 각 실시형태의 프리캐스터 거더 세그먼트의 강재거더(10)는 곡선교 적용시에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eel girder 10 of the precaster girder segment of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curved shape when applying a curved bridg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라멘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ramen bridge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합성라멘교로 적용시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하여 교대부에 설치한 H빔(80)에 연결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거더는 강재로 되어 있어 연결이 쉽다는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며, 단부의 콘크리트 합성은 스터드(92)(stud)를 이용하여 합성한다.When applied as a composite ramen bridge, the precast girders can be used to connect to the H beam 80 installed in the alternating portion. The precast girder is made of steel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ease of connection, and the concrete composite at the end is synthesized using studs 92.

장경간화가 가능하고 단부 부모멘트에 대한 저항단면 설계시 강재의 두께를 조절 또는 헌치부에 스트럿(91)(strut)을 보강하여 저감시킬수 있다.The long span can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teel when designing the resistance section against the end parent, or by reinforcing the strut 91 on the haunting portion.

또한, 본 실시예의 라멘교 역시,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제작이 가능하고, 거더가 분절형태로 제작 현장에 운반 조립되므로 현장 접근성이 좋다.
In addition,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not only a straight line, but also a curve, and because the girder is transported and assembled to the production site in the form of a segment, the site accessibility is good.

상기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적용한 교량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Precast girder and the brid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먼저, 교량 설계시 가장 큰 고려 사항은 차량의 통과 높이 및 최대 홍수위 확보 방안으로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를 적용할 경우 상로교 및 하로교의 형태로 변화가 가능하므로 설계기준 적용이 용이하다.First, the biggest consideration in designing a bridge is a plan for securing a passing height of a vehicle and a maximum flood level. When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easy to apply design criteria because it can be changed in the form of a vertical bridge and a narrow bridge.

또한, 철도교 적용시 유도상 및 무도상 적용이 가능하며, 직선 및 곡선 구간에 모두 적용 가능한 등 선형적용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when applied to railway bridges, it can be applied to guided and non-phased phases, and can be applied to both straight and curved sections.

그리고, 트러스(TRUSS), 아치(ARCH)적용으로 PC보강 없이 장경간 적용이 가능하며, PSC강선, 프리플렉션 적용 없이도 장경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강선 배치 및 프리플렉션 적용이 가능하며, 미관이 우수해지며, 이때에도 곡선구간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long span without reinforcing PC by applying truss and arch, and it is possible to apply long span without applying PSC steel wire and preflection, and to arrange steel wire and apply preflection if necessary. It is excellent, and the curve section can be applied at this time.

한편, 가교로 적용시 도로교용으로는 PC강선(51)을 설치하여 지간을 장지간화 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거더를 하로교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거더의 높이를 높여 장경간화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ross-linking is applied to the road bridge can be made long enough to install the PC steel wire 51, and by using the precast girders for downhill bridge can increase the height of the girder to be long span.

또한, 가교로 적용하는 도로교에도 트러스, 아치를 적용하여 장경간화 및 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곡선 가교 설치도 가능하다.In addition, trusses and arches can be applied to road bridges applied by bridges for long spans and aesthetics, and curved bridges can also be installed.

한편, 철도교용 공사용 거더 및 영구거더로 적용시에는, 하로 형태로 제작하면서 거더와 가로보(60)를 연결하고 가로보 사이에 침목(70)을 설치하여, 거더의 형고와 상관없이 낮은 형고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술한 이음판(64a)(64b)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가로보(60)의 높이를 조절하여 레일(75)의 레벨 조정을 할 수 있게 되며, 영구거더로 사용시 SRC의 합성 바닥판 구조를 사용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pplied as a girder and permanent girders for railway bridge construction, by connecting the girder and the cross beam 60 and installing a sleeper (70) between the cross beams while manufacturing in the form of a low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low mold height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girder In addition, by using the aforementioned joint plate (64a) (64b)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cross beam 60 to adjust the level of the rail (75), when used as a permanent girder composite bottom plate structure You can use

그리고, 장경간이나 복선 적용시 본 실시예의 프리캐스트 거더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수해복구나 재해 발생시 현장까지 신속히 투입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pplying a long span or a double track can be applied to the precast girder form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input to the site in the event of flood damage or disaster.

또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거더의 성능이 우수하여 영구거더와 임시거더의 차이가 없이 적용 가능하며,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고, 곡선 및 직선 어느 쪽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performance of the girder can be applied with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manent girder and the temporary girder, light weight, easy to construct, and can be manufactured in both curved and straight lines.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거더는 현장여건에 따라 T-형슬래브교, 라멘교, 거더교, 하로교, 가교 등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며, 도로교, 철도교 신설교량 유지보수 교량, 항만 구조물의 거더 및 대형건축물의 거더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 기본 구조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것으로 거더외부를 강구조를 적용 이음이 용이하여 다양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하며 제작시 거푸집과 같은 가설재가 불필요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cast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field applicability such as T-type slab bridge, ramen bridge, girder bridge, haro bridge, bridge, etc.,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road bridge, railway bridge, new bridge maintenance bridges, girder of the port structure and large buildings It can be used as girder and its basic structure is using precast girder, and it is easy to apply steel structure to the outside of girder, so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tructures, and it is not necessary for temporary materials such as formwork when manufacturing.

본 발명은 PSC빔과 기존의 빔계열의 빔교 및 강교의 장점을 취합한 것으로, 신규 혹은 임시 가설 혹은 교체용을 불문하고 적용가능하고, 강재와 콘크리트의 복합 구조로 내하력이 우수하여 장경간이 가능하고, 처짐과 소음 및 진동이 작으며, 공장 제작으로 운반 및 크레인 거치가 용이함과 급속 시공이 가능케 됨으로써 도로교와 철도교 분야를 포함한 신설교량과 노후 교량의 교체 및 재해 발생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기존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공사비도 대폭 절감되며, 다양한 교량 형식에 적용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beam bridge and steel bridge of the PSC beam and the existing beam series,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new or temporary construction or replacement, the long span is possible because the load capacity is excellent as a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It has low deflection, noise and vibration, and it is easy to transport and mount crane by the factory production, and it is possible to rapidly construct, so it is possible to replace new and old bridges including road bridges and railway bridges, and to quickly reco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Compared to this, the construction period is greatly shortened, the construction cost is greatly reduced,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bridge types.

1a: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 1b: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
10:강재거더 11:상부플랜지
12:하부플랜지 13:복부판
15:종방향 보강재 20:콘크리트부
30:횡방향 철근 40:아치형보
41:케이블 45:트러스보
50:아웃콘크리트부 51:PC강선
52:"∩"형의 절개영역 53:종방향 철근
60:가로보 61:좌측보
62:우측 가로보 63:중앙 가로보
64a,64b:이음판 640:체결공
70:침목 71:방진패드
72:가로보철근 73:통신관로
74:자갈 75:레일
80:H빔 90:합성교대
91:스트럿 92:스터드
1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1b: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10: steel girder 11: upper flange
12: Lower flange 13: Abdomen
15: longitudinal reinforcement 20: concrete part
30: Rebar 40: Arch beam
41: cable 45: truss
50: out concrete part 51: PC steel wire
52: Incision area of “∩” type 53: Longitudinal rebar
60: Horizontal 61: Left beam
62: Right crossbeam 63: Center crossbeam
64a, 64b: Joint plate 640: Fasteners
70: sleeper 71: dustproof pad
72: crossbar reinforcement 73: communication line
74: Pebbles 75: Rail
80: H beam 90: Synthetic shift
91: Strut 92: Stud

Claims (24)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강재거더 내측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
A steel girder formed of an abdominal pl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n upper and lower flange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a formulation or a quadrangle as a whole;
A concrete part placed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an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flange to increase stiffness through an increase in cross-section secondary mo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는 상부플랜지 상면이나 하면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횡방향 철근이 배근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the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i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as needed when reinforcement.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the upper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and a concrete part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Bridge structure 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아치부와,
상기 아치부와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빔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rch portion er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he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or beam further connected between the arch and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seg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러스를 보강하여 트러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uss is provided by reinforcing the tru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상부종방향 보강재와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종방향 보강재와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을 감싸도록 강재거더의 외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아웃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the upper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arranged with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member, and a concrete part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 outconcrete part which is poured and cured in an outer space of the steel girder so as to surrou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which is reinforced wit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each precast girder segment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의 길이방향으로는 콘크리트부에 긴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PC강선(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 Strand)이 배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girder can be arranged in the PC steel wire (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 Strand) for providing a tension force on the concret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콘크리트부의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 사이에는 재료 감소를 위해 "∩"자형의 절개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 shaped cutting are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of the outconcrete portion to reduce the material.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복부판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the upper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creasing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on the upper flange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a concrete part that is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segment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abdominal plates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는 "I자, H자, ∪"자 형태를 취하며, "∪"자 형태일 경우에는 내부에 레일 설치를 위한 침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9,
The cross-beams take the form of "I, H, ∪", when the "∪" shape, the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per for rail installation is installed therei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과 가로보 사이에는 방진패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proof pad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leeper and the cross bea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는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 설치되는 가로보와 가로보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가로보에는 가로보를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보철근이 배근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rizontal beam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concrete is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and the horizontal beam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rizontal beam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beam is penetrating through the horizontal bea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Bridge structures using precast girder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 종방향 보강재는 상부플랜지 상면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종방향 보강재 사이의 공간에는 거더 길이방향을 따르는 관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is installed to the upper flange upper surface, the precast girder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along the girder longitudinal direction Bridge structure using gird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 및 외부콘크리트부 상부로 포설되는 자갈과;
상기 자갈위에 설치되는 침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Gravel which is installed in the cross beam and the upper concrete portion;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eeper installed on the gravel.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아치형보와;
상기 아치형보와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Species for the stiffness increases with increasing moment of inertia for bokbupan and the steel girder which the bokbupan consists of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constitute the overall dosage form or square,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directional reinforcement and a concrete part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segment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An arcuate beam er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on an upper flange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And a cable connected between the arcuate beam and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segment.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가로보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상부플랜지에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러스 구조로 세워지는 트러스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A longitudinal girder consisting of an abdominal pl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longitudinally formed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second moment in cross section on the upper flange.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directional reinforcement and a concrete part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segment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 cross beam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And a truss formed in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in a trus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precast girder.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보는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결합된 좌·우측 가로보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가로보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가로보와 중앙 가로보의 연결 높이 조절을 위한 이음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A longitudinal girder consisting of an abdominal pl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longitudinally formed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second moment in cross section on the upper flange.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directional reinforcement and a concrete part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segment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The crossbeam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rossbeams coupled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and a central crossbeam connecting therebetween, and adjusting the connection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crossbeams and the center crossbeam.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plate is installed for.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동일 구성으로 분절제작되어,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에 대해 선대칭을 이루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보와 제1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 및 제2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연결부에는 가로보와 각 세그먼트와의 연결 높이 조절을 위한 이음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A longitudinal girder consisting of an abdominal pl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longitudinally formed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second moment in cross section on the upper flange. A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directional reinforcement and a concrete part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d segmented;
A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segmentally manufact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a cross beam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to each other.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lat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oss beam and the first precast girder segment and the second precast girder segment is installed.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7 or 18,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joint plate is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matrix form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이음면을 기준으로 좌·우측 체결공의 형성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7 or 18,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joint plate is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ing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fastening holes are formed differently based on the joint surface.
좌우 양측의 복부판과, 상기 복부판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제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강재거더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에 단면2차모멘트 증가를 통한 강성증대를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거나 그 주위로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과, 상기 강재거더의 내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절제작되는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와;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의 종방향 보강재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철근을 감싸도록 강재거더의 외측 공간에 타설 및 양생되는 아웃콘크리트부;
상기 프리캐스트 거더 세그먼트 하부에 결합되는 H빔과, 상기 H빔에 합성되는 콘크리트부로 이루어진 합성교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A longitudinal girder consisting of an abdominal pl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upper and lower flan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to form a formulation or quadrangle as a whole, and longitudinally formed to increase rigidity by increasing the second moment in cross section on the upper flange. A precast girder segment comprising a directional reinforcement,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penetrating throug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a concrete part cast and cu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girder;
An outconcrete portion which is poured and cured in an outer space of the steel girder to surrou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which is passed through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precast girder segment;
H-beam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cast girder segment,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osite shift consisting of a concrete portion synthesized in the H beam.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터 거더 세그먼트의 강재거더와 H빔의 연결부에는 스트럿(strut)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1,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t (strut)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H beam of the precaster girder segmen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의 복부판에는 교대부의 콘크리트와의 연결을 위한 스터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1,
The abdominal plate of the steel girder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for connection with the concrete of the alternating portion is provided.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터 거더 세그먼트의 강재거더는 곡선교 적용을 위해 곡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or any of claims 21 to 23,
The steel girder of the precaster girder segment is a bridge structure using a precast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urved shape for the application of a curved bridge.
KR1020100029065A 2010-03-31 2010-03-31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KR101256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65A KR101256130B1 (en) 2010-03-31 2010-03-31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65A KR101256130B1 (en) 2010-03-31 2010-03-31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67A true KR20110109367A (en) 2011-10-06
KR101256130B1 KR101256130B1 (en) 2013-04-23

Family

ID=4502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065A KR101256130B1 (en) 2010-03-31 2010-03-31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13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548A (en) * 2018-05-21 2018-09-04 沈阳建筑大学 A kind of assembled reinforcing bar honeycomb grade beam
CN109235273A (en) * 2018-10-24 2019-01-18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Assembled prefabricated lifts beam and ships interspersed vehicle
CN109594470A (en) * 2018-11-08 2019-04-09 中国铁路总公司 One kind can temporarily turn permanent superstructure
CN110453584A (en) * 2019-07-11 2019-11-15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A kind of Steel-concrete Combined Beam Structures using weather-proof Wavelike steel webplate
KR102124537B1 (en) * 2020-01-16 2020-06-18 포엠 주식회사 Truss typ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17153B1 (en) * 2020-05-22 2021-02-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Efficient Steel Composite Girder System with Minimized height
CN114474337A (en) * 2022-01-05 2022-05-13 中铁八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Rapid prefabrication and maintenance method for railway T beam in alpine and high-altitude are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270A (en) 2003-03-07 2004-09-30 Yokogawa Bridge Corp Steel concrete composite floor slab bridge
KR100841685B1 (en) 2007-11-22 2008-06-26 김병찬 Girder for railway brid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548A (en) * 2018-05-21 2018-09-04 沈阳建筑大学 A kind of assembled reinforcing bar honeycomb grade beam
CN109235273A (en) * 2018-10-24 2019-01-18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Assembled prefabricated lifts beam and ships interspersed vehicle
CN109235273B (en) * 2018-10-24 2024-02-27 上海先为土木工程有限公司 Assembled prefabricated Liang Zhuangyun interlude car
CN109594470A (en) * 2018-11-08 2019-04-09 中国铁路总公司 One kind can temporarily turn permanent superstructure
CN110453584A (en) * 2019-07-11 2019-11-15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A kind of Steel-concrete Combined Beam Structures using weather-proof Wavelike steel webplate
KR102124537B1 (en) * 2020-01-16 2020-06-18 포엠 주식회사 Truss type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17153B1 (en) * 2020-05-22 2021-02-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Efficient Steel Composite Girder System with Minimized height
CN114474337A (en) * 2022-01-05 2022-05-13 中铁八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Rapid prefabrication and maintenance method for railway T beam in alpine and high-altitude area
CN114474337B (en) * 2022-01-05 2024-05-14 中铁八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Rapid prefabrication and maintenance method for railway T beam in high-cold high-altitud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130B1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130B1 (en) ease precast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CA2594158A1 (en) Bridge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20130083410A (en) Slab-type box girder of a varying longitudinal section made by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bridge therewith
KR101366903B1 (en) Girder having truss s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and pedestrian overpass using it
EP3482000A1 (en) System for construction of composite u shaped reinforced girders bridge deck and methods thereof
JP458561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ynthetic steel slab bridge, ribbed steel slab, and synthetic steel slab bridge
KR100841685B1 (en) Girder for railway brid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0592196B1 (en) large number bracket in which supporter was installed is used and it is a bridge, multiplex point installed so that support might be carried out support bracke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062192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railway bridge with precast concrete panels
KR100772837B1 (en) Rahmen type complex girder bridge using h-shaped steel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889140B1 (en) The assembly type hollow slab
JP3885583B2 (en) Composite truss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50553B1 (en) Composite through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13862B1 (en) Light weight pc-steelgirder bridge construction
KR200384998Y1 (en) Encased composite H girder bridge
KR101426155B1 (en) The hybrid rahmen structure which can add prestress on steel girder of horizontal member by gap difference of connection face between vertical member and steel girder of horizontal member
KR10079444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Slab Bridge Using Composite Truss Girder
JP4080652B2 (en) Railway viaduct girder
KR100556719B1 (en) H shaped steel beam having a graded prestress int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temporary steel bridge using the H shaped steel beam
KR200337840Y1 (en) H shaped steel beam having a graded prestress introduction apparatus
CN219342899U (en) Protective shed tunnel
KR102536770B1 (en)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made of steel and concrete and method thereof
KR200377108Y1 (en) Deep hunch composite girder bridge for railway bridge
KR102277137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207914B1 (en) Temporary bridge equipped with connecting apparatus of mo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