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082A -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082A
KR20110108082A KR1020100027377A KR20100027377A KR20110108082A KR 20110108082 A KR20110108082 A KR 20110108082A KR 1020100027377 A KR1020100027377 A KR 1020100027377A KR 20100027377 A KR20100027377 A KR 20100027377A KR 20110108082 A KR20110108082 A KR 2011010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ircumferential surface
support
pillar body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김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모 filed Critical 김성모
Priority to KR102010002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082A/ko
Publication of KR2011010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라솔의 폴딩 구조를 적용하되, 단수의 구동부를 가지고 높이 조절과 폴딩을 제어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출입이 편리하며 전망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양막의 크기에 상관없이 이중 접철 구조를 이용한 폴딩이 가능하여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설치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과 폴딩을 단수의 구동부로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부피 및 무게가 줄어들어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둥몸체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의 경사에 상관없이 기둥몸체를 수직상태 즉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천막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바람에 의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Tent which possible Adjusting Height and Folding}
본 발명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라솔의 폴딩 구조를 적용하되, 단수의 구동부를 가지고 높이 조절과 폴딩을 제어 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에 관한 것이다.
야외용 천막 또는 파라솔은 햇빛이나 비 또는 눈 등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막의 경우 기둥체의 상부에 차양막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되고, 파라솔의 경우 우산 형상의 차양막을 테이블 등에 지지하여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천막의 경우 한번 설치하면 차양막을 접고 펼치는 것이 자유롭지 못하지만, 파라솔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차양막을 접어 그 지붕살이 기둥체의 외주연에 위치되게 폴딩함으로써 파라솔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나사산을 이용하여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파라솔의 폴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파라솔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파라솔은 차양막의 크기가 제한적이며, 높이조절이나 폴딩을 위한 구동부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높이조절과 폴딩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부피가 커지게 되고, 부피가 커짐에 따라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크기가 큰 차양막을 사용하는 천막과 같은 구조물의 폴딩 기술 및 폴딩과 높이조절을 단수의 구동부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천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파라솔의 구조를 이용하되 이중접철 구조를 적용하는 수평지지부를 구비하여 폴딩이 가능한 천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는 폴딩부를 구비하고,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하는 높이조절부를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맷돌베어링을 구비하여 단수의 구동부를 통해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을 제공함에 있다.
마지막으로, 기둥몸체의 하단에 경사조절부를 구비하여 기둥몸체와 지면과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천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천막은 관상의 기둥몸체(10)와, 상기 기둥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차양막(T)을 포함하는 천막에 있어서, 상기 기둥몸체(10)에 구비되는 구동부(11); 상기 기둥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1)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이 형성되는 회전부(20); 외주면이 상기 회전부(20)의 내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21)에 대응되도록 수나사산(3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폴딩 암나사산(32)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30); 외주면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내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폴딩 암나사산(32)에 대응되도록 폴딩 수나사산(42)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차양막(T)의 중심에 연결되는 폴딩부(40); 상기 폴딩부(40)에 끼워지되, 하단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단에 맞닿는 맷돌베어링(50); 중앙부가 상기 폴딩부(4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하측이 상기 기둥몸체(10)의 상측 외주면에 끼워지되, 상기 맷돌베어링(50)의 하단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수평지지부(60);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부(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양막(T)의 둘레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70); 상기 수평지지부(60)가 상기 기둥몸체(10) 상에 회동 또는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부(60)에 구비되는 탭나사(6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맷돌베어링(50)은 상면이 상기 수평지지부(60)의 하단에 맞닿는 고리상의 상부링(51)과, 하면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상부링(51)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링(52)과, 상기 상부링(51)과 하부링(52) 사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53)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링(51)과 하부링(52)사이에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면, 상기 하부링(52)의 하면에 맞닿는 상기 높이조절부(3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상기 폴딩부(4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하단이 상기 맷돌베어링(50)의 상단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 1가이드관(61)과, 상기 제 1가이드관(61)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63)와, 내주면이 상기 기둥몸체(10)의 상측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플레이트(63)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가이드관(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상기 플레이트(63) 하면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66)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70)의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66)와 힌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70)는,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66)에 힌지결합되는 제 1지지대(71)와, 일단이 상기 제 1지지대(7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지지대(72); 및 상기 제 1지지대(71)와 상기 제 2지지대(72)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지지대(71)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부(60)에 폴딩되고, 상기 제 2지지대(72)는 상기 탄성부재(7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 1지지대(71)에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몸체(10)의 하단에는 경사조절부(90)가 구비되되, 상기 경사조절부(90)는, 상기 기둥몸체(10)의 하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고정부(91)와, 상기 고정부(91)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92)와,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경사조절수단(95)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조절수단(95)은 각각이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91)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출입이 편리하며 전망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양막의 크기에 상관없이 이중 접철 구조를 이용한 폴딩이 가능하여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설치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과 폴딩을 단수의 구동부로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부피 및 무게가 줄어들어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둥몸체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의 경사에 상관없이 기둥몸체를 수직상태 즉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천막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바람에 의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막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차양막을 제거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천막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조절부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경사조절부 단면도(평행 시)
도 5b는 본 발명의 경사조절부 단면도(경사 시)
도 6a는 본 발명의 회전부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폴딩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맷돌베어링 분해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수평지지부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수평지지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평지지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천막 분리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및 폴딩 작동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천막 작동상태 정면도(Folding)
도 13은 본 발명의 천막 작동상태 정면도(During Unfolding)
도 14는 본 발명의 천막 작동상태 정면도(Unfolding)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막은 차양막(T), 기둥몸체(10), 구동부(11), 회전부(20), 높이조절부(30), 폴딩부(40), 맷돌베어링(50), 수평지지부(60), 수평지지대(70), 보조지지대(80) 및 경사조절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몸체(10)는 중공된 관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기둥몸체(10)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몸체(10)에는 구동부(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인력 또는 전동기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통상이 구성이 사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조절부(90)는 상기 기둥몸체(1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90)는 고정부(91) 및 베이스플레이트(9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91)는 고정관(91a) 및 경사플레이트(91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관(91a)은 관상으로 하단이 밀폐되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기둥몸체(10)의 하단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관(91a)에는 측면에 고정나사(91c)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관(91a)에 상기 기둥몸체(10)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관(91a)의 하면에는 경사플레이트(91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플레이트(91b)의 하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9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는 판상으로 하면에 이동수단(93)을 구비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플레이트(91b)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연결하기 위해 경사조절수단(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수단(95)은 볼트(95a), 너트(95b) 및 볼트홀(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수단(95)은 상기 경사플레이트(91b)의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95a)가 상기 경사플레이트(91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95a)에 너트(95b)가 끼워져 상기 경사플레이트(91b)를 고정시킨다. 상기 볼트(95a)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의 상면에 형성되는 볼트홀(95c)에 끼워져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플레이트(91b)와 베이스플레이트(92)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조절수단(95)은 각각이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91)의 경사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지면의 경사에 상관없이 기둥몸체를 수직상태 즉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천막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바람에 의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기둥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는 중공된 관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의 하단에는 회전축(22)일체로 형성되며 회전축(22)은 베벨기어(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벨기어(23)는 구동부(11)의 회전기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0)는 구동부(1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2)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20)의 상측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높이조절부(30)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상하 회동시키거나 회전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중공된 관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는 하단이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회전부(20)의 내주면에 내삽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산(21)에 대응되도록 수나사산(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나사산(31)이 암나사산(21)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부(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하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측 내주면에는 폴딩 암나사산(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암나사산(32)은 상기 폴딩부(40)와 연결되어 높이조절부(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폴딩부(40)를 상하 회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 회동에서 회전 회동으로의 전환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폴딩부(40)는 원통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40)는 상기 높이조절부(30)의 내주면에 내삽될 수 있다. 상기 폴딩부(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폴딩 암나사산(32)에 대응되도록 폴딩 수나사산(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딩 수나사산(42)이 폴딩 암나사산(32)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폴딩부(40)는 상하 회동하게 된다. 상기 폴딩부(40)의 상단에는 천막고정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막고정홈(41)에는 상기 차양막(T)의 중심이 고정되어 상기 폴딩부(40)의 상방회동에 따라 천막이 펴지게 되고 상기 폴딩부(40)의 하방회동에 따라 천막이 폴딩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막고정홈(41)에는 캡(40a)이 연결되어 차양막(T)의 고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맷돌베어링(50)은 고리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맷돌베어링(50)은 중심이 상기 폴딩부(4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맷돌베어링(50)은 하단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단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맷돌베어링(50)은 고리상의 상부링(51)과, 상기 상부링(51)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링(52)과, 상기 상부링(51)과 하부링(52) 사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링(51)의 하면에는 상기 볼베어링(53)이 회동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제 1홈(5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링(52)의 상면에는 상기 볼베어링(53)이 회동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제 2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베어링(53)은 고리상의 몸체(53a)에 상면 및 하면으로 돌출되는 반구(5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맷돌베어링(50)은 상기 상부링(51)과 하부링(52)사이에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면, 상기 볼베어링(53)에 의해 상기 하부링(52)의 하면에 맞닿는 상기 높이조절부(30)를 회전운동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맷돌베어링(50)에 하중을 가하는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제 1가이드관(61), 제 2가이드관(62), 플레이트(63), 탭나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가이드관(61)은 중공된 관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폴딩부(4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관(61)은 하단이 상기 맷돌베어링(50)의 상단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63)는 상기 제 1가이드관(6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63)는 원판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63)의 하면 둘레에는 힌지결합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66)는 상기 플레이트(63)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70)는 막대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70)의 일단은 상기 힌지결합부(66)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70)의 타단에는 상기 차양막(T)의 둘레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70)는 평소 자중에 의해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폴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차양막(T)에 의해 타단이 상방으로 하중을 받게 되면 회동하여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대(70)는 상기 힌지결합부(66)의 수만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관(62)은 중공된 관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관(62)은 내주면이 상기 기둥몸체(10)의 상단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관(62)은 상기 플레이트(63)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관(62)의 하측 외주면에는 탭나사(6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탭나사(65)는 상기 제 2가이드관(6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일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기둥몸체(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상기 기둥몸체(10)에 고정되게 되며, 타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기둥몸체(10)를 가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 회동에 따라 상하 회동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지지대(70)는 제 1지지대(71), 제 2지지대(72), 탄성부재(73), 우레탄베어링(74) 및 고정볼트(75)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지지대(71)는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대힌지결합부(71a)가 상기 힌지결합부(66)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 2지지대(72)의 일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대(72)는 일단이 상기 제 1지지대(71)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제 1지지대(71)에 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지지대(72)의 타단에는 차양막 고정부(72a)가 형성되어 상기 차양막(T)의 둘레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지지대(71)와 제 2지지대(72)의 힌지결합부에는 탄성부재(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상기 제 2지지대(72)가 제 1지지대(71)에 폴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 1지지대(7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지지대(72)의 일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통상의 토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대(72)는 평소 상기 탄성부재(73)의 탄성에 의해 제 1지지대(71)에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차양막(T)에 의해 타단이 탄성을 극복할 만큼 하중을 받게 되면 회동하여 상기 제 1지지대(71)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대(71)와 제 2지지대(72)의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제 2지지대(72)의 회동을 유연하게 하기 위해 우레탄 재질의 우레탄베어링(74)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75)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대(70)는 최단의 길이로 폴딩이 가능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천막을 펼쳤을 때는 최대 길이로 펴짐으로써 차양 면적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지지대(80)는 상단이 상기 제 2지지대(72)의 타단 하면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대(80)는 상기 높이조절부(30)의 높이 조절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대(70)의 타단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천막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30)는 최하단에 위치하고 폴딩부(40)도 최하단에 위치하여 수평지지부(60)의 높이가 최저인 상태(도 11a 참조)를 나타내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이 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구동부(11)의 구동에 의해 회전부(20)가 회전하게 되면 높이조절부(30)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수평지지부(60)가 지면으로부터 높아지게 된다. (도11b 참조)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60)가 원하는 높이에 다다랐을 때 탭나사(65)를 조여 상기 기둥몸체(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수평지지부(60)가 고정되게 되고 구동부(11)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회동하게 되는 높이조절부(30)는 상기 수평지지부(60) 사이에 끼워져 있는 맷돌베어링(50)을 가압하게 된다. 하중을 받은 맷돌베어링(50)은 상기 높이조절부(30)를 회전 회동 시키게 되고 상기 높이조절부(30)의 회전에 의해 폴딩부(40)가 상승회동하게 된다. (도11c 참조)
상기 폴딩부(40)가 상승회동하게 되면 상기 차양막(T)을 상방으로 끌어올리게 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대(71)가 차양막의 하중에 의해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폴딩부(40)가 상방으로 완전히 회동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지지대(72)가 차양막의 하중에 의해 제 1지지대(71)와 평행을 이루도록 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 : 차양막 10 : 기둥몸체
20 : 회전부 30 : 높이조절부
40 : 폴딩부 50 : 맷돌베어링
60 : 수평지지부 70 : 수평지지대
80 : 보조지지대 90 : 경사조절부

Claims (6)

  1. 관상의 기둥몸체(10)와, 상기 기둥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차양막(T)을 포함하는 천막에 있어서,
    상기 기둥몸체(10)에 구비되는 구동부(11);
    상기 기둥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1)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21)이 형성되는 회전부(20);
    외주면이 상기 회전부(20)의 내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21)에 대응되도록 수나사산(3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폴딩 암나사산(32)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30);
    외주면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내주면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폴딩 암나사산(32)에 대응되도록 폴딩 수나사산(42)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차양막(T)의 중심에 연결되는 폴딩부(40);
    상기 폴딩부(40)에 끼워지되, 하단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단에 맞닿는 맷돌베어링(50);
    중앙부가 상기 폴딩부(4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하측이 상기 기둥몸체(10)의 상측 외주면에 끼워지되, 상기 맷돌베어링(50)의 하단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수평지지부(60);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부(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차양막(T)의 둘레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70); 및
    상기 수평지지부(60)가 상기 기둥몸체(10) 상에 회동 또는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지지부(60)에 구비되는 탭나사(6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맷돌베어링(50)은,
    상면이 상기 수평지지부(60)의 하단에 맞닿는 고리상의 상부링(51)과, 하면이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단에 맞닿고, 상기 상부링(51)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부링(52)과, 상기 상부링(51)과 하부링(52) 사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53)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링(51)과 하부링(52)사이에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면, 상기 하부링(52)의 하면에 맞닿는 상기 높이조절부(3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상기 폴딩부(4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하단이 상기 맷돌베어링(50)의 상단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 1가이드관(61)과, 상기 제 1가이드관(61)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63)와, 내주면이 상기 기둥몸체(10)의 상측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상기 플레이트(63)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가이드관(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60)는,
    상기 플레이트(63) 하면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66)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70)의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66)와 힌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70)는,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66)에 힌지결합되는 제 1지지대(71)와, 일단이 상기 제 1지지대(7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지지대(72); 및
    상기 제 1지지대(71)와 상기 제 2지지대(72)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지지대(71)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부(60)에 폴딩되고, 상기 제 2지지대(72)는 상기 탄성부재(7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 1지지대(71)에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몸체(10)의 하단에는 경사조절부(90)가 구비되되,
    상기 경사조절부(90)는,
    상기 기둥몸체(10)의 하측 외주면이 끼워지는 고정부(91)와, 상기 고정부(91)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92)와,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경사조절수단(95)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조절수단(95)은 각각이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92)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91)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1020100027377A 2010-03-26 2010-03-26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20110108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77A KR20110108082A (ko) 2010-03-26 2010-03-26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77A KR20110108082A (ko) 2010-03-26 2010-03-26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82A true KR20110108082A (ko) 2011-10-05

Family

ID=4521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77A KR20110108082A (ko) 2010-03-26 2010-03-26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0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84B1 (ko) * 2014-01-13 2015-03-26 한국전기연구원 전동 리프트 텐트, 그리고 이러한 텐트의 설치 또는 해체 방법
KR101600572B1 (ko) 2015-12-09 2016-03-07 이정기 높이 조절 포스트
WO2022092349A1 (ko) * 2020-10-29 2022-05-05 노욱래 신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84B1 (ko) * 2014-01-13 2015-03-26 한국전기연구원 전동 리프트 텐트, 그리고 이러한 텐트의 설치 또는 해체 방법
KR101600572B1 (ko) 2015-12-09 2016-03-07 이정기 높이 조절 포스트
WO2022092349A1 (ko) * 2020-10-29 2022-05-05 노욱래 신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24882A (en) Umbrella
US9220325B2 (en) Cantilever umbrella
CN1029195C (zh) 雨伞骨架
US8752606B2 (en) Awning with support system having articulated mounting arm
US20140338711A1 (en) Control structure for folding a shelter
US20130333846A1 (en) Awning Motor Override
US10697196B2 (en) Shelter with adjustable canopy
KR20110108082A (ko) 높이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20180000954U (ko)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WO2021012688A1 (zh) 一种帐篷
KR101407657B1 (ko) 파라솔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160004026U (ko) 파라솔 각도 조절 장치
KR20120109703A (ko) 높이 조절 및 폴딩이 가능한 천막
KR200452590Y1 (ko) 만능 파라솔 거치대
CN107616594B (zh) 一种可调节遮阳伞角度的负重式支撑底座
KR20090051407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180115028A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101651323B1 (ko) 파라솔의 각도 조절장치
KR101721410B1 (ko) 회전식 파라솔
WO2007018492A1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canopy
KR102102722B1 (ko) 의자가 구비된 이중 접이식 파라솔
CN206786285U (zh) 一种筒状设备折叠式坐姿操作支架
CN106088799A (zh) 帐篷屋檐架杆机构
KR101614648B1 (ko) 멀티 차양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