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48A - The korean dictionary with search function using word inflections - Google Patents

The korean dictionary with search function using word infle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48A
KR20110107548A KR1020100026730A KR20100026730A KR20110107548A KR 20110107548 A KR20110107548 A KR 20110107548A KR 1020100026730 A KR1020100026730 A KR 1020100026730A KR 20100026730 A KR20100026730 A KR 20100026730A KR 20110107548 A KR20110107548 A KR 20110107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tionary
word
words
type
pronun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9469B1 (en
Inventor
최종민
성중모
Original Assignee
최종민
성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민, 성중모 filed Critical 최종민
Priority to KR102010002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469B1/en
Publication of KR2011010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4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어사전의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서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을 검색어로 더하여 사용하거나 표제어 자체로 삼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과 뜻풀이 부분 전체에서 동사의 기본형을 배제하고 활용형을 사용하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 표제어와 부속 활용형 표제어 및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하여 낱말의 표기형이나 음성언어형의 모든 활용형을 검색하는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 사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음정보를 제대로 표기하고, 동사 기본형을 동사 활용형으로 대처하는 등 실제 사용되는 낱말 형태로 표기하고, 문자와 음성을 통해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사전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전의 실용성을 높이고, 한국어 맞춤법 수준이 낮은 사람이나, 초등학교 수준의 학생들, 특히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 유용한 사전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문자나 음성언어를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가능한 전자사전이나 인터넷사전에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dictionary for searching by conjugation of wor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itution method of using a consonant word conjugation in a constitution of a headword portion of a Korean dictionary as a search word or to use it as a headword, and a headword portion of a dictionary. By using the conjugation form without the basic form of the verb in the whole part of the meaning, and setting the representative conjugation heading and the subconjugation heading and the basic and real words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It relates to a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the conjugation of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method for searching the conju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tic information is properly represented, and the basic form of the verb is dealt with in a verb conjugation form. It can provide useful dictionaries for people who have high levels of Korean spelling and low levels of spelling, o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foreigners who are learning Korean.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dictionaries or Internet dictionaries that can be searched by all utilization types of words through text or phonetic languages.

Description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THE KOREAN DICTIONARY WITH SEARCH FUNCTION USING WORD INFLECTIONS}Korean Dictionaries WITH SEARCH FEATURES {THE KOREAN DICTIONARY WITH SEARCH FUNCTION USING WORD INFLECTIONS}

본 발명은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어사전의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서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을 검색어로 더하여 사용하거나 표제어 자체로 삼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과 뜻풀이 부분 전체에서 동사의 기본형을 배제하고 활용형을 사용하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 표제어와 부속 활용형 표제어 및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하여 낱말의 표기형이나 음성언어형의 모든 활용형을 검색하는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 사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dictionary for searching by conjugation of wor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itution method of using a consonant word conjugation in a constitution of a headword portion of a Korean dictionary as a search word or to use it as a headword, and a headword portion of a dictionary. By using the conjugation form without the basic form of the verb in the whole part of the meaning, and setting the representative conjugation heading and the subconjugation heading and the basic and real words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It relates to a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the conjugation of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method for searching the conjugation.

일반적으로 한국어사전의 구성은 표제어와 뜻풀이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아래와 같은 표제어의 세 가지 연구 문제가 있다. 첫째로 일반적인 한국어사전은 낱말의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고 있는데, 낱말의 기본형은 표기가 발음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로 동사의 기본형은 자연스러운 낱말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조직한 인공적 낱말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로 발음형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사전을 구축하는 데에 필요한 형태론적 이론의 정리가 미흡하므로 맞춤법에 맞춘 표기-문자형 사전의 구성에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낱말의 활용형을 주로 사용하는 언어 현실과 문자와 함께 음성언어도 중요시되는 정보화시대의 흐름에 기술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다.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Korean dictionary can be divided into the heading and the meaning part.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of the heading. First, the general Korean dictionary uses the basic form of the word as the heading. The basic form of the word has a problem that the notation correctly displays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Second, the basic form of the verb is not an artificial word but an artificially organized artificial word. Thi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rphological theory necessary for constructing a dictionary to search by all utilization forms of the pronunciation type is concentrated on the construction of a notation-character dictionary that is spelled. This is a drawback of not being able to technically cope with the trend of the information age, where the language of speech is mainly used and the language of speech is important.

좀더 자세히 연구 문제를 말하자면, 첫째 문제로 기존의 사전 표제어로 사용되는 낱말의 기본형은 받침소리가 7가지로만 발음되는 '7종성 발음 제약'을 받으므로, 표기가 발음의 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형의 대안으로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을 검색어로 설정해 보자는 생각을 해 볼 수 있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basic form of a word used as a dictionary heading is subject to '7 kinds of pronunciation constraints', in which only seven kinds of sound are pronounced.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arise. Therefore, we can think of setting the word conjugation type as a search term as an alternative to the basic type.

그리고 둘째 문제는, 동사의 기본형은 어간에 종결어미인 {-다}를 붙여서 인위적으로 조직한 형태이므로,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낱말 형태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밥을 먹는다}라고 말해야 하는데, 여기서 기본형 동사는 {먹다}로 정했다. 이것은 어간 {먹-}에 종결어미 {-다}를 억지로 붙여서 만든 인공적인 형태인 것이므로 실제로 {밥을 먹다}라는 말을 언어생활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낱말을 올려 놓아야할 할 사전에서, 실제로 사용하지도 않는 인공적 낱말을 사용하는 모순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nd the second problem is that the basic form of the verb is an artificially organized form with the ending ending {-da} in the stem, which is not actually used. For example, you should say {eat rice}, where the basic verb is {eat}. This is an artificial form made by forcibly adding the ending {-da} to the stem {muk-}, so the term {eat rice} is not actually used in the language lif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of using artificial words that are not actually used in the dictionary that should put natural words.

또한 셋째 문제는 기존의 전자사전에서는 표기법에 정확하게 맞춘 낱말은 여러 가지 활용형으로 모두 검색이 가능 하지만, 발음형이나 음성언어 형태의 모든 활용형으로는 검색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어의 문법 연구가 맞춤법 중심의 형태론으로 이루어진 데에도 원인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음성언어의 활용형을 가지고 언어 현실을 반영하는 발음형 중심의 형태론적 연구가 필요한 것이고, 이에 따라서 문자와 음성을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되는 전자사전의 개발이 요청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third problem is that in the existing electronic dictionary, words that exactly match the notation can be searched in various forms, but not in all forms of pronunciation or phonetic language.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Korean grammar research is made up of spell-oriented morph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honetic morphological study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speech with the use of the phonetic languag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dictionary, which is searched for all forms of use of words through text and voice,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한국어사전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본질적으로 파악하면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While describing the three research problems of the Korean dictionary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찾아 보았으나,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물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용언이나 체언 및 수식언 등의 활용형을 사전에서 사용하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낱말 활용은 다양하고 섬세하여 그것을 사전의 표제어로 제시한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표기형뿐만 아니라 음성을 포함한 발음형까지 넣어서 모든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을 하려는 시도도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Although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ought, no direct research has been found. Anyone can easily think that it would be good to use conjugations, such as verbs, verses, and formulas. However, the use of words in Korean language is so diverse and delicate that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present it as the heading of a dictionary.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attempt to search by utilizing all words by not only the notation but also the pronunciation including the voice.

다만,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들을 위한 자료로서의 사전의 필요성에 따라서, 또는 낱말 활용 학습용 자료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단순히 몇 가지 용언의 활용형을 사전의 표제어로 올려서 낱말 학습의 효과를 올리려는 시도는 전부터 있었던 일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식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원리와 다른 방법이다. However,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dictionary as a resource for those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 to use it as a learning material for using words, an attempt to increase the effect of word learning by simply using several types of verbs as the heading of the dictionary It's happened before. This method is commonly known and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된 선행 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고, 다만 용언 활용형의 표제어 선정에 관련된 논문을 볼 수 있었다. 정상근,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용언 활용형의 표제어 선정 방안 연구",『한국어 교육』제12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 207쪽에서 보면(국제한국어교육학회 홈페이지 검색 2008.1.3), 용언의 선정 기준은 '첫째, 초급-중급 단계에서 학습하는 불규칙활용 용언', '둘째, 초급-중급 단계에서 학습하는 규칙활용 용언 중, 기본형 어간의 끝음절에 받침이 없는 것, 단 ㄹ용언은 포함한다.', 셋째, 실제 생활이나 교육현장에서의 출현빈도와 중요도를 비교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본 발명과 목적이나 방법이 전혀 다른 것이다. 이 연구는 표제어로 올릴 용언의 활용형을 선택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둘째 기준에서는 기본형 어간의 끝음절에 받침이 없는 것을 선정한다고 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 오히려 기본형의 받침소리 문제를 연음하는 활용형으로 해결하는 것과 상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refore, there is no previous research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aper related to the selection of headwords of the verb usage type was found. Jeong, Sang-geun,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eadings of Verbal Utilization in Korean Learning Dictionary,"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12, No. 2, International Korean Education Association, 2002, p. 207.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 'unusual use language learning in the first, intermediate and intermediate level', and 'second, the use of regular language learning in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with no support for the end syllables of the basic stem, but only the word 'Third, it compar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importance in real life or education field'. This is a completely different object and method from the present invention.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election of conjugations of terminology.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criterion selected that the base syllable does not have a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o be contrary to the solution of the use of the consonant rather than the problem of the support sound.

따라서 본 발명의 발상과 언어학적 원리의 정리와 개념의 정립 및 그 적용과 구성 방법 등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refor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orem of linguistic principles, the establishment of concepts, the applica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etc. can be seen as pioneering new fields.

다음에는 종래 한국어사전이 갖는 첫째 연구 문제로서, 사전 표제어로 사용하는 낱말 기본형은 표기가 발음의 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지 못한다는 문제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의 낱말은 다양하고 섬세하게 활용되는 것이 특징이고, 언어생활은 대부분 낱말의 기본형보다 활용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용언은 어간이 의존 형태소이므로 어미를 첨가하는 활용은 필수적이고, 체언도 대부분 조사가 첨가된 형태로 사용되며, 수식언도 대체로 활용형으로 사용된다. Next, as a first research problem of the Korean dictionary, the basic form of the words used as dictionary headings will be examined from the problem that the notation correctly displays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Korean words are characterized by various and detailed usage, and most of the language life is composed of utilization forms rather than basic forms of words. In particular, since verbs are stem-dependent morphologies, it is necessary to add a mother, and most of the verbs are used in the form of investigation.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한국어사전은 낱말의 기본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용언의 경우에 표제어도 기본형이고, 용언의 뜻풀이 부분의 문장에서도 낱말의 기본형이 사용된다. 더 나가서는 사전의 모든 예문에서까지 문장의 용언은 대부분 기본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형을 많이 사용하는 사전은 활용형을 많이 사용하는 언어 생활과 거리가 멀어져 있는 셈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Korean dictionary is mainly composed of the basic forms of words. That is, in the case of verbs, the headword is also a basic form, and the basic form of the word is also used in the sentence of the meaning solution part of the verb. In more outgoing examples of sentences, most of the examples in the dictionary use primitives. Therefore, the dictionary that uses a lot of basic forms is far from the language life that uses a lot of utilization forms.

그런데다가 낱말의 기본형은 받침소리가 7가지로만 실현되는 이른바 '7종성의 발음 제약'을 받으므로, 표기가 발음 정보를 제대로 표시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도 사전을 검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게 되고, 특히 한국어 학습 단계가 낮은 사람은 더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면, [막따]라는 발음을 알고 있는 사람도 {맑다}라는 기본형을 모르면 사전을 검색할 수 없다. By the way, the basic form of the word under the so-called 'seven kinds of pronunciation constraints', which is realized by only seven kinds of support sounds, the notation often does not correctly display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Therefore, people who can speak Korean may have difficulty in searching the dictionary, especially those who have a low level of learning Korean. For example, a person who knows the pronunciation of [makta] cannot search the dictionary without knowing the basic form {clear}.

또한 한국어는 낱말 활용이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어떤 낱말의 활용형을 사용할 줄 알면서도 그 낱말의 기본형을 몰라서 사전을 찾을 수 없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예를 들면 [날씨가 망는다고 하더라]라는 말을 할 줄 사람이라도 [망는다]의 기본형이 {맑다}라는 것을 모르면 사전을 찾을 수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words in Korean is diverse and complicat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dictionary cannot be found because the user knows how to use a word but does not know the basic form of the word. For example, a person who can say [weather is broken] can't find a dictionary unless they know that the basic form of [damaged] is {clear}.

도 1에서 보면, 기본형 {밝다}(101)의 발음형태는 [박따]이므로, 표기형태와 발음형태가 다르다. 이것은 어간의 받침소리 [ㄹ,ㄱ]과 종결어미 {-다}가 만나서 생긴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종결어미 {-다}의 결합으로 어간 받침 [ㄹ]의 소리가 나지 못하고('탈락'이라고 함), {-다}의 음가도 [-따]로 변형된 것이다. 그러므로 표기형에서 {밝-}(102)이라는 형태가 [박]으로 발음되어 표기와 발음이 다르게 되었다. In Fig. 1, since the pronunciation form of the basic {bright} 101 is [bakta], it is different from the written form. This is the phenomenon of stem support [d, a] and ending ending {-da}. In other words, the combination of the ending ending {-da} does not produce the sound of stem support [d] (referred to as 'falling'), and the pitch of {-da} is also transformed into [-ta]. Therefore, the form {bright-} (102) is pronounced as [bak] in the no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otation.

이에 비하여 {밝아요}(103)의 발음형은 [발가요]가 되므로, 표기와 발음의 소리 구성이 일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밝-}이 [발가-](104)로 될 때, 받침소리 'ㄹㄱ'은 그대로 'ㄹ'과 'ㄱ'으로 이어져 발음된다. 따라서 연음하는 활용형에서는 받침소리인 'ㄹㄱ'이 표기할 때는 한 음절로 모아아서 {밝-}처럼 표기되고, 발음할 때는 두 음절로 풀어서(연음되어서) [발가-]처럼 두 음절로 실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연음 형태에서 '표기와 발음의 일치'라고 말하고자 한다. On the contrary, since the pronunciation type of {bright} 103 becomes [balgayo],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ound configuration of the notation and the pronunciation coincide. In other words, when {Bright-} becomes [Balga-] (104), the sound of 'Bl' is pronounced as 'L' and 'ㄱ'. Therefore, in the consonant conjugation, when the word 'ㄹㄱ' is written, it is gathered into one syllable and written like {Bright-}, and when pronounced, it is realized by two syllables as [Balga-] . This phenomenon is called 'consonance of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 soft form.

'연음'이란 용언의 어간이나 체언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조사가 결합할 때, 받침소리가 모음의 첫소리(초성)로 이어 내려서 발음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것은 구개음화와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표기법의 '연철'과 같은 결과를 갖는 것이므로, 본 설명에서는 어간이나 체언의 받침소리가 뒤 음절의 첫소리로 되는 것을 '연음' 또는 '연철'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발가요]로 발음되고 {밝아요}로 표기되는 활용형의 형태를 '연음하는 활용형'(또는 '연음형'이라 함)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Yon-eum'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basal sound is pronounced as the first sound of a vowel (the first consonant) when a word or survey beginning with a vowel is combined with a stem or idiom of a verb. Since this has the same result as 'wrought iron' in the notation except for a special case such as palatalization, in this description, it is intended to say that the sound of the stem or stem is the first sound of the next syllable as 'yeonmyeon' or 'soft iron'. For example, a form of a conjugation type that is pronounced as [balgayo] and denoted as {brighter} is called 'conjugated conjugation' (or 'consonant').

도 1에서 체언의 경우에도 기본형 {삶}(105)의 발음은 [삼]이므로, 표기가 발음 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지 못한다. 그러나 연음하는 활용형인 {삶이}와 그의 발음형 [살미](107)를 보면, {삶-}이 [살미](108)와 같이 되어 'ㄹㅁ' 받침소리가 'ㄹ'과 'ㅁ'의 받침소리로 실현된다.In the case of the recital in FIG. 1, since the pronunciation of the basic type {life} 105 is [three], the notation does not correctly display pronunciation information. However, if you look at the life-threatening {life] and his pronunciation [salmi] (107), {life-} becomes like [salmi] (108) and the sound of 'ㄹㅁ' is the support of 'ㄹ' and 'ㅁ'. It is realized by sound.

특히 초등학교나 문해 교육,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 등 한국어 기초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기본형의 맞춤법을 아는 것 자체가 어려워서 사전을 멀리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그들에게 받침소리의 연음 현상만 이해시켜 준다면, 기본형인 '{밝다}[박따]'보다 활용형인 '{밝아요}[발가요]'가 더 쉽고 검색하기 편리한 낱말 형태가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those who receive basic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elementary school, literacy education, or foreign language Korean education, may find it difficult to know the spelling of the basic type, which may cause them to stay away from the dictionary. However, if they only understand the ringtone phenomena of the bass sound, the use of 'bright' [bright] [balgayo] is easier and easier to search than the basic '{bright} [bakta]'.

'문해 교육'이란 한국어를 모국어로 배워서 말을 잘하는 사람들 중에서 한글을 읽고 쓰는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사람들을 교육하는 것을 가리킨다. 현대에도 우리 나라에 문해 교육 대상이 되는 사람은 아직도 수백만 명이나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희수(연구책임자)외 5명, "한국 성인의 비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2-, 35-36쪽. 전국문해성인기초교육협의회 홈페이지 자료실 검색 2008.1.10)에서 참고자료를 볼 수 있다. 'Literacy education' refers to the education of people who have learned Korean as their native language and are not good at reading and writing Korean. In modern times,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still millions of people who are educated in our country. Lee Hee-soo (Research Director) and five others, "A Study on the Survey of Non-literacy in Korean Adult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rust Research CR 2002-, pp. 35-36). You can see the data.

초등교 학생이나 문해 교육을 받는 사람들, 외국인 학생들에게는 {깊다}의 [ㅍ]받침소리도 어렵고 {밝다}의 [ㄹㄱ] 받침소리는 더 어렵다. 그러나 연음하는 활용형으로 {깊어요}[기퍼요]라고 말하면 'ㅍ'받침소리가 쉽게 떠오르고, {밝아요}[발가요]라고 말하면 'ㄹㄱ'받침소리가 쉽게 떠오른다. 또한, 체언의 경우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갖는 사정은 같다. 도 1에 따르면, {삶}이라는 명사의 발음은 [삼](105)이다. 그런데 기본형 {삶}에 조사 {-이/가}형을 붙인 {삶이}는 연음이나 연철로 [살미](107)가 되므로 표기와 발음이 일치된다.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ose receiving literacy education, and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sound of the {deep} prop is difficult and the {bright} the prop sound is more difficult. However, if you say {deep} [giffer yo] as a conjugation, you can easily come up with the sound of 'ㅍ', and if you say {bright} [balgayo], you will easily hear the sound of 'ㄹㄱ'. In addition, the situation with such a problem is also the same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Figure 1, the noun {life} is pronounced [three] (105). However, {life}, which has a survey {-yi / ga} in its basic form {life}, becomes [salmi] (107) with a consonant or soft iron.

이와 같이 한국어 낱말의 기본형에서 표기형과 발음형이 일치하지 못하는 이유는 맞춤법과 발음법의 대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맞춤법에서는 받침소리를 27가지를 사용하는 데에 비하여, 표준 발음법에서는 어말과 자음 앞에서는 받침이 7가지로만 발음되는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As such, the reason why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re not identical in the basic form of Korean words can be found in the opposition of spelling and pronunciation. This is because the spelling is limited to using 27 kinds of stand sounds, whereas the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 has only 7 kinds of supports in front of words and consonants.

한글 맞춤법 제2장 자모, 제4항 붙임1, 2에 따르면(국립국어원 홈페이지, 어문규정, 검색 2007.12.18), 아래 표와 같이 자음의 수가 초성은 19가지이고, 받침소리는 27가지이다. 여기서 음절의 첫소리를 '첫소리' 또는 '초성'이라고 말하고, 음절의 끝소리는 '받침소리' 또는 '끝소리, 종성'이라고 말하며, 음절의 가운뎃소리는 '모음 소리' 또는 '중성'이라고 말고자 한다. 음절을 이루는 첫소리와 받침소리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Hangul Spelling Chapter 2 Jamo, Clause 4, Attachment 1, 2 (National Institute of Korea's homepage, Korean language regulations, search 2007.12.18), the number of consonants is 19 and the sound is 27, as shown in the table below. Here, the first sound of the syllable is referred to as 'first sound' or 'choseong', and the end sound of the syllable is referred to as 'support sound' or 'end sound, Jongsung', and the syllable's sound is called 'collection sound' or 'neutral'. The first sound and the sound of the support that make up the syllab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아래 표 1은 한국어 맞춤법의 음절 첫소리와 받침소리에 관한 것이다.Table 1 below is about the first syllables and the bass sounds of Korean spelling.

구분division 자음형Consonant 비고Remarks 음절 첫소리
(초성)
Syllable first sound
(First time)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A, b, c, d,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19가지19 kinds
받침소리
(종성)
Buzz
(Jongjong)
ㄱ, ㄲ, ㄱㅅ, ㅅ, ㄴ, ㄴㅈ, ㄴㅎ, ㄷ, ㄹ,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ㅁ, ㅂ, ㅂㅅ,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A, b, b, b, b, b, b, c, b, r,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b Eh, ㅎ
27가지

27 kinds

상기 표 1에 따르면, 받침소리가 27가지이므로, 첫소리보다 8가지나 더 많다. 이것은 표기법에서 받침소리의 역할이 많다는 것과 첫소리보다 받침소리가 더 어렵게 된다는 것을 말해 주기도 한다.According to Table 1, since there are 27 kinds of support sounds, there are eight more sounds than the first sound. It also tells us that the role of standoff in notation is much more important, and that standoff becomes more difficult than the first.

그런데,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제8항에 따르면(국립국어원 홈페이지, 어문규정, 검색 2007.12.18), "받침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표기법의 받침소리 27가지가 그대로 발음되지 못하는 발음 제약을 말한 것이다. 이렇게 받침소리가 발음 제약을 받는 환경(조건)은 '어말과 자음 앞'이다. 표준 발음법 제9항은 "받침 'ㄲ, ㄱ',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라고 규정하였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of Chapter 4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Method-Clause 8 (National Institute of Korea's homepage, language and regulations, search December 18, 2007), "the sound of support is 'ㄱ, ㄴ, ㄷ, ㄹ, ㅁ, ㅂ, ㅇ' Pronounces only seven consonants. " This refers to pronunciation constraints in which 27 of the notations of the notation are not pronounced. The environment (condition) under which the support sound is restricted in pronunciation is 'before words and consonants'. Paragraph 9 of the standard phonetic method states that "the support 'ㄲ,' ',' ㅅ, ㅆ, ㅈ, ㅊ, ㅌ ', and'" is pronounced as a representative sound before the words or consonants, respectively. Prescribed.

따라서 표기법의 받침소리 27가지는 어말과 자음 앞에서 7가지로 중화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발음법을 가리켜 받침소리의 '7종성 발음법'(이하 '7종성법'이라 함)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이것은 받침소리만 갖고 있는 조음작용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Thus, we can say that the twenty-seven of the notations of the notation are neutralized in seven before words and consonants. This pronunciation is referred to as the '7-jongseong pronunci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7-jongjong') of the sound. This is because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articulation with only the sound of support.

받침소리 조음작용의 특성과 관련하여, 최종민의 글 "우리말과 음악의 소리 울림틀(2)-노랫말 받침소리꼴과 소리내기-『한국음악사학보』제17집, 한국음악사학회, 1996, 133쪽에서는 받침소리 [ㄱ, ㄷ, ㅂ]는 '막힘 받침꼴'이고 [ㄴ, ㅁ, ㅇ, ㄹ]은 '울림 받침꼴'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137쪽에서는, 받침소리 [ㄱ, ㄷ, ㅂ]의 조음작용은 모음의 소리울림을 막아서 끝맺는 '소리울림 막음질'이고, [ㄴ, ㅁ, ㅇ, ㄹ]은 모음의 소리울림을 비음인 [ㄴ, ㅁ, ㅇ]이나 유음인 [ㄹ]로 바꾸어 끝맺는 '소리울림 바꿈질'이라고 정리한 바 있다. 이를 간단히 정리하여 제시하면 도 2와 같다.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s sound articulation, in the writings of Choi, Jong-min's article, "The Sound of Korean and Music Sounds (2) -Songs and Singing Songs-Korean Music History Journal, Vol. 17, The Korean Society for Music History, 1996, 133. [B, c, ㅂ] refers to the clogging trumpet, and [b, ㅁ, ㅇ, d] refers to the ringing trumpet. The articulation of vowels is the vocal vocalization that ends by preventing the vowels of vowels, and [b, ㅁ, ㅇ, ㄹ] is the vowels of the vowels [b, ㅁ, ㅇ] or the vowel [ㄹ] It is summarized as 'sounding change' that ends with a simpl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이에 따르면, 받침소리의 조음작용인 7종성법(201)은 모음의 소리 울림을 막는 조음작용을 하거나(202), 모음의 소리 울림을 비음이나 유음으로 바꾸어 주는 조음작용을 한다(203). 이러한 두 가지 조음작용은 상보적으로 실현되는데, 이를 '받침발음 제약 조건'이라고 말하고자 한다(204). According to this, the seven-jong method (201), which is the articulation of the basal sound, acts to prevent the sound of the vowels (202), or the articulation of changing the sound of the vowels to the nasal or the sound (203). These two articulations are complementary, which is to be referred to as 'supportive constraints' (204).

받침의 발음은 모음의 소리울림 상태를 마무리하는 작업이므로, 자음의 본질적 조음작용인 '파열'이나 '마찰' 등의 작용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표기법의 받침소리 27가지 중에서 7종성(ㄱ, ㄷ, ㅂ, ㄴ, ㅁ, ㅇ, ㄹ)만 자기 본래 음가를 가질 수 있고, 나머지 20가지는 자기 음가를 잃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sound of the gob finishes the sound of the vowel, it can't act as 'rupture' or 'friction', which is the essential articulation of the consonant. Therefore, only seven species (a, c, ㅂ, b, ㅁ, ㅇ, d) of the twenty-seven of the basal sounds of the notation can have their original values, and the other twenty lose their own values.

영어사전의 모든 표제어는 표기와 발음이 다르므로, 반드시 발음기호를 별도로 표시해 놓아야 한다. 이에 비하여 한국어는 소리대로 적을 수 있는 한글(훈민정음)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표기와 발음은 같다. 다만 음성 환경에 따라서 발음의 제약을 받는 낱말의 경우에만 표제어 부분에 발음사항을 별도로 적어 놓고 있는 것이다. All headings in English dictionaries have different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so the phonetic symbols must be marked separately. On the other hand, Korean uses Hangeul (Hunminjeongeum), which can be written down phonetically, so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re essentially the same. However, pronunciation words are separately written in the heading part only in the case of words restricted by pronunciation depending on the voice environment.

이와 같이 한국어는 낱말마다 발음기호를 별도로 표시할 필요가 없는 데도 불구하고, 사전에서는 7종성법의 발음 제약을 받는 기본형을 표제어로 올려놓음으로써 발음을 별도로 표시해 주는 일을 더 하고 있다. 이것이 문제이다. 그런데 표기와 발음이 연음으로 동일해지는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으면, 사전에서 발음 정보를 별도로 표시해 줄 필요가 없게 된다.In this way, Korean does not need to display a phonetic symbol separately for each word. However, in the dictionary, a basic form subject to the pronunciation restriction of the seven-jong method is put on the heading as a title, and the pronunciation is separately displayed. This is a problem. However, if the heading is a conjugation type in which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re the same as the consonants,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display the pronunciation information in the dictionary.

표기와 발음이 다른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은 것은 '말하기와 듣기'라는 음성언어를 배제하고, 주로 '읽기(독해)와 쓰기'를 위한 문자언어를 중심으로 삼은 결과라는 문제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언어는 1차적으로 '말하기와 듣기'의 영역과 직결되는 발음이 중요한 것이다. It is conceivable that the use of the basic form with different notation and pronunciation as the heading excludes the vocal language of 'speaking and listening', and is mainly the result of the text language mainly for 'reading and reading'. In language, pronunci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area of 'speaking and listening'.

표기와 발음이 일치되는 낱말 형태를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사용함으로써, 사전 표제어의 유용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한국어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말하기와 듣기와 관련하여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는 낱말 활용형으로 표제어를 삼는 교육용 한국어사전을 편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dictionary headings by using word forms that match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In particular,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effective to compile educational Korean dictionaries that use headings as word-using forms that match pronunciation and notation in speaking and listening.

21세기 정보화시대는 문자언어와 음성언어가 함께 중요한 시대이다. 특히 음성언어로 검색하는 전자사전을 개발하여 사용하게 될 때, 이때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못하는 기본형을 표제어로 사용하는 것보다, 연음하는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는 것이 더 알맞다. 이러한 사항을 보더라도 사전 표제어를 기본형으로 삼는 문제는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text and voice languages are important. In particular, when developing and using electronic dictionaries to search by phonetic language,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consonant conjugations as headings than to use basic forms that do not match pronunciation and headings as headings. Even with these considerations, the problem of using dictionary headings as the basic form is in need of improvement.

지금까지 표제어로 낱말 기본형 사용의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는데,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So far, we have raised the research problem of using the basic form of word as a heading.

아래 표 2는 사전 표제어에서 표기와 발음이 다른 기본형 사용의 문제에 관한 것이다.Table 2 below relates to the problem of using the basic form with different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 dictionary headings.

기본형의 표기와 발음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들Problems caused by different notation and pronunciation of the basic form 대안Alternatives (1) 발음을 알아도 사전을 검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1) Even if you know the pronunciation, it is often difficult to search the dictionary.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 응용Consonant word application (2) 한글을 사용하는 한국어는 발음기호가 별도로 필요 없는 데도 불구하고, 표기와 발음이 다른 기본형을 표제어를 삼고, 영어사전처럼 발음정보(발음기호)를 별도로 적어 주고 있다. (2) Korean uses Korean as headings for basic forms with different notations and pronunciations, and writes pronunciation information (pronounced symbols) separately like an English dictionary. (3) 표기법에 맞춘 기본형을 표제어로 사용하는 것은 음성언어보다 문자언어에 중심을 둔 방식이다. (3) The use of the basic form of the title as a heading is a way of focusing on the text language rather than the phonetic language. (4) 맞춤법의 표기를 위주로 한 표제어의 기본형은 '말하기나 듣기'와 같은 발음-음성언어의 영역을 소홀하게 여기는 결과가 된다. (4) The basic form of headings with spelling notation results in neglect of the area of pronunciation-voice language such as 'speaking or listening'. (5) 한국어교육의 말하기-듣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기가 발음 의 정보를 담아주는 연음 활용형을 검색어로 삼는 교육용 한국어사전이 필요하다. (5)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peaking-liste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 educational Korean dictionary that uses the Yin-myeon type where the notation contains pronunciation information is needed. (6) 21세기 음성언어가 중심으로 떠오르는 때에는 표기와 발음이 다른 기본형을 표제어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대응이다. (6) When the 21st-century phonetic language emerges as the center,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a basic form with headings that differ in notation and pronunciation. (7) 문자와 음성으로 검색하는 전자사전에서는 발음과 표기가 다른 기본형보다 연음으로 표기와 발음이 일치되는 방식의 활용형이 더 알맞다. (7) In electronic dictionaries that search by text and voice,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the method of matching the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in soft sound than other basic forms.

상기 표 2에 따르면, 사전 표제어에서 표기와 발음이 다른 낱말 기본형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되는 낱말 활용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using a word base form different from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 the dictionary headword can be problematic in various aspects. Therefore,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it is necessary to use the word utilization type that matches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다음에는 종래의 한국어사전이 갖는 두 번째 연구 문제로서, 동사의 기본형이 갖는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제어 부분이나 뜻풀이 부분(예문 포함)에서 사용하는 동사 기본형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인위적 낱말형태이다. 즉 동사 기본형은 어간에 종결어미 {-다}를 붙여서 인위적으로 조직한 것이므로, 자연스러운 낱말형태가 아니라,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낱말형태를 사전에서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Next, as a second research problem of the conventional Korean dictionary, we will look into the problem of the basic form of the verb. Verb primitives used in the heading or the meaning part (including examples) are artificial word forms that are not actually used. That is, since the verb basic form is artificially organized by attaching the ending ending {-da} to the stem, it is not a natural word form, but there is a problem of using a word form that is not actually used in the dictionary.

그런데 형용사의 기본형 구조도 동사의 경우와 같이 어간에 종결어미 {-다}를 붙인 형태이지만, 형용사의 경우에는 {넓다}나 {깊다}처럼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낱말이다. 따라서 동사의 기본형만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owever, the basic form of the adjective is also a form of ending with the ending ending {-da} as in the case of verbs, but in the case of adjectives it is a word used naturally in everyday life such as {wide} or {dee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only basic forms of verbs matter.

종래의 한국어사전에서는 표제어만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의 풀이말 부분의 문장에서도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동사 기본형 {먹다}로 만든 예문을 "누구나 밥을 먹다."와 같이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이 문장은 말을 하다가 중간에 멈춘 것과 같기도 하고, 의미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도 힘들다. 문장이 바르고 자연스럽게 되려면 "누구나 밥을 먹는다."라고 해야 하는 것이다. Conventional Korean dictionaries not only use the basic forms of verbs, but also use the basic forms of verbs in the sentence part of the dictionary. For example, most of the examples of verb basic {eat} are presented as "Everybody eats." This sentence is like stopping in the middle of a conversation, and it's hard to know what the meaning is. In order for the sentence to be correct and natural, "Everyone eats rice" should be.

{먹다}라는 기본형은 {먹-}이라는 어간에 {-다}라는 종결어미를 붙여서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므로,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낱말이다. 한국어 학습 정도가 낮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모순을 가진 사전은 학습을 돕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e basic form of {eat} is artificially made by adding the ending {-da} to the stem of {eat-}, so it is not actually used. For people with low levels of Korean learning, dictionaries with such contradictions may not help learning, but rather may interfere with learning.

여기서 표제어뿐만 아니라 풀이말의 문장에서도 인위적 낱말형인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고 있는 예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그 예를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 홈페이지, 검색일 2007.12.29)과 '연세한국어사전'(연세한국어사전 홈페이지, 검색일 2007.12.29)에서 몇 가지만 옮겨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Here, we will present an example of using the verb basic form, which is an artificial word form, in the sentence as well as the headword. Some examples of this are as follows: 'Standard Korean Dictionar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bsite, search date 2007.12.29) and 'Yonsei Korean Dictionary' (Yonsei Korean dictionary website, search date 2007.12.29).

아래 표 3은 한국어사전에서 사용되는 동사 기본형의 양상에 관한 것이다.Table 3 below is about the basic forms of verbs used in the Korean dictionary.

구분division 표제어entry 뜻풀이(본문)의 기본형 사용 양상Basic Forms of Use 표준국어 대사전Standard Korean Dictionary {먹다}{eat} 뜻풀이 :
1. 음식 따위를 입을 통하여 배 속에 들여보내다.
Meaning:
To bring food into the stomach
예문 : 밥을 먹다 /술을 먹다 /약을 먹다 /물을 먹다 /음식을 배불리 먹다 /닭이 모이를 먹다 /몸이 약해진 누나는 보약을 몇 차례나 먹어도 늘 골골 거렸다. Example: the rice eat / drink eat / eat about / water eat satisfied with / eat foods / Lisa weakened eat chicken / Rana a body is to eat a restorative and stumbled a few times always golgol. 연세한국어 사전Yonsei Korean Dictionary {먹다}{eat} 뜻풀이 :
1. 음식물을 입을 통하여 넘기다 .
ㄱ. 씹어서 음식을 뱃속에 들여 보내다 .
ㄴ. 액체로 된 것을 마시다 .
ㄷ. 약을 씹거나 마시다 .
Meaning:
To pass food through the mouth .
A. Chew gaily take the food to the stomach.
N. Drink liquids.
C. Chew or drink medicine .
ㄱ의 예문 : 아이들이 과자를 잘 먹는다.
ㄴ의 예문 : 아이가 온종일 우유도 먹지 않고 울기만 한다.
ㄷ의 예문 : 그는 약을 한 달이나 먹었다.
Example of a: Children eat sweets well .
ㄴ Example: The child does not eat milk all day, but only crying.
Example of c: He took medicine for a month .

상기 표 3에 따르면, 밑줄로 표시한 낱말은 모두 동사 기본형이다. {먹다}라는 동사 기본형에 대하여,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뜻풀이 문장에서도 {들여보내다}라는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였고, 예문에서도 {먹다}라는 동사 기본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According to Table 3, the underlined words are all verb basic forms. For verb primitive {to eat},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used the verb primitive {to send in} in the meaning sentence, and also used the verb primitive {to eat] in the example sentences.

또한 연세한국어사전에서도 뜻풀이 문장에서 {넘기다, 보내다, 마시다}등의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인위적 낱말형이다. 자연적 낱말형이 되려면 {넘긴다, 보낸다, 마신다}등과 같아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뜻풀이 부분만은 {먹는다, 먹지, 먹었다}등과 같은 동사 활용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에 비하여, 좀더 실용성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lso, the Yonsei Korean Dictionary uses verb basic forms such as {turn, send, drink} in the meaning sentence, which is an artificial word form. To be a natural word type, you have to be like {turn over, send, drink}. However, only the part of the meaning used verbs such as {eat, eat, eat}. Therefore, compared to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t can be seen as having more practical.

그러나 표제어와 뜻풀이에서 동사 기본형을 사용한 점은 두 사전이 똑같다. 뜻풀이는 온전한 문장의 형식으로 제시된 것인데, 자연적 낱말형을 사용하지 않고 인위적 낱말형을 사용하면, 실제로 어법에 맞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However, the two dictionaries are identical in that they use the verbal form in the heading and the meaning. The meaning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n intact sentence. It is obvious that if an artificial word type is used without using a natural word type, it does not really fit the word.

표제어가 {값}과 같은 명사인 경우에도, 예문에서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는 것도 볼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경우를 보면, '값이 오르다/값이 내리다/값을 매기다/물건값을 깎다'등과 같다. 이보다 적지만, 연세한국어사전에서도 '값을 부르다. 값이 얼마라고 말하다. 내야하는 값을 말하다.' 등과 같은 예문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두 사전의 풀이말에서 전체적으로 동사 기본형이 두루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ven if the headword is a noun such as {value}, we can also use verb primitives in our examples. In the case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t is equivalent to 'raise the price / raise the price / put the price / cut the price'. Less than this, but the Yonsei Korean Dictionary calls' value. Say how much it costs Tell the price to pay. ' You can see examples like this.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basic forms of verbs are used throughout the two dictionaries.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는 예를 보기가 어렵다. 가끔 신문의 기사 제목 같은 데에서 '무엇을 하다'와 같은 말을 볼 수는 있는데, 이것은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사용된 특수 용법일 뿐이다. 이것은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한국어 어법에서 보면 맞지 않는 문장이다. In actual language life, it is difficult to see examples of using verbal forms. Occasionally, something like "what to do" can be found in the title of an article in a newspaper, which is only a special use with special intentions. This is a bad sentence in natural and normal Korean grammar.

동사 기본형은 사전의 표제어와 뜻풀이, 예문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현행 한글 맞춤법에서도 예시한 낱말에서 동사 기본형이 사용되고 있다.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한글학회 홈페이지의 '한글 맞춤법' 검색 2008. 1. 3)에서도 예시한 낱말의 동사 기본형을 많이 볼 수 있다. 물론 한국어 문법 이론 연구에서도 동사 기본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Verb primitives are commonly used in dictionary headings, meaning pools, and example sentences. Verb primitives are also used in words illustrated in the current Hangul spelling. You can see a lot of basic forms of verbs as illustrated in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which was enacted in 1933 (search for 'Hangul Spelling' o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homepage, January 3, 2008). Of course, Korean grammar theory research also uses a lot of verb forms.

그런데 한글 맞춤법이나 표준어 규정 등에는 동사 기본형을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고, 다만 예시된 낱말에 동사 기본형이 있을 뿐이다. 이것은 동사 기본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암시적 규정으로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따르면 사전에서도 동사 기본형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Hangul spelling and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do not require the use of verb base forms, but only the basic words in the illustrated words. This seems to work as an implicit provision that the verb basic form can be used. According to this, the basic form of the verb can be used in the dictionary.

그러나 사전은 본질적으로, 실제로 사용되는 말을 싣고 풀이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표제어와 뜻풀이 등에서 한결같이 인위적인 낱말형인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는 것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말을 싣고 풀이해 놓은 것이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모순이고, 사전의 실용성을 보는 관점에서는 문제점이 될 수 있다. But dictionaries can be seen as intrinsically carrying and interpreting the words actually used. However, the use of the verb basic form, which is an artificial word form in the headword and the meaning solution, is an interpretation of words that are not actually used. This is inherently contradictory and can be problematic in view of the practicality of dictionaries.

특히 초등학교 학생들이나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들은 사전을 보면서, 표제어에 있는 동사 기본형이나 뜻풀이의 문장을 실제로 사용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면 실제 사용되지 않는 인위적 낱말형인 동사 기본형으로 문장을 만들게 해 주는 것이니, 학습과정에서 혼란을 더해 준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의 측면에서 이것은 개선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those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uld look at the dictionary and actually try to use the verb basic form or the sentence in the heading. This will allow you to make sentences with verb basic forms, which are artificial word forms that are not actually used, which adds confusion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hould be improved.

또한 한국어 문법으로 보거나 화용론이나 의미론으로 볼 때도 {먹다}라는 기본형을 정상적인 문장의 종결형으로는 사용하기는 어렵다. 영어는 동사 원형을 써야하는 문법이 분명하게 있고, 일본어에도 동사 기본형을 사용해야 하는 문법이 확실하게 있지만, 한국어에는 동사 기본형을 써야 하는 문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한국어학의 문법이다. 영어나 일본어에서 동사의 원형이나 기본형과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고 해서, 한국어에서도 실재하지 않는 동사 기본형을 인공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한국어의 본질을 벗어나는 생각이라고 볼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Korean grammar or in pragmatics or semantics, it is difficult to use the basic form of {eat} as the ending form of a normal sentence. This is because English has a clear grammar for verb prototyping, and Japanese has a clear grammar for using verb primitives, but Korean has no grammar for verb primitives. This is the grammar of Korean studies. Even if we use forms such as prototypes or basic forms of verbs in English or Japanese, it is out of the essence of Korean to use artificial forms of verbs that do not exist in Korean.

특히 실제로 사용되는 자연적인 낱말을 사용해야 할 한국어사전에서, 인위적 낱말형인 동사 기본형으로 종결하는 문장을 예문이나 뜻풀이로 사용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것은 한국어 구조를 다시 만드는 일이라고 볼 수도 있다.Especially in the Korean dictionary, which should use natural words actually use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 sentence ending with an artificial word verb basic form as an example sentence or a meaning solution. This can be seen as rebuilding Korean structures.

동사 기본형을 바꾸어 설정하는 일은 학술적인 토론이 더 필요한 부분이고, 이것은 국어학계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언제까지 토론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것은 한국어 교육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고 특히 사전의 표제어와 그 풀이말로 사용됨으로써, 사용량도 많고 교육이나 연구 등에도 큰 영향력을 갖기 때문이다. Changing the basic form of the verb requires further academic discussion, which remains a challenge for the Korean language community. But you can't just discuss forever. This is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the terminology of the dictionary and its language are used as words, and thus the amount of usage is high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education and research.

이상에서 살펴본 동사 기본형의 문제점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blems of the verb basic form discussed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아래 표 4는 사전에서 사용하는 동사 기본형의 문제점에 관한 것이다.Table 4 below relates to problems of verb basic forms used in dictionaries.

사전에서 사용하는 동사 기본형의 문제점Problems with verb primitives in dictionaries 대안Alternatives (1) 동사 기본형은 자연적 낱말 형태가 아니라, 인위적으로 조직한 낱말 형태이다. (1) Verb primitives are not natural word forms, but artificially organized word forms. 동사의 활용형 사용Conjugation of verbs (2) 동사 기본형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지 않는 낱말이다. (2) The verb basic form is a word that is not used in actual language life. (3) 실제로 사용되는 낱말을 사용해야 할 사전에서, 실제 언어 생활에서 사용되지 않는 동사 기본형을 표제어나 풀이말로 사용하는 것은 모순이다.  (3) It is contradictory to use verb base forms as headwords or pool words that are not used in real language life in dictionaries where actual words are to be used. (4) 문해 교육을 받는 사람이나 초등학교 학생, 또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은 사전의 표제어나 그 풀이말로 사용된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면서 혼란을 겪게 된다. (4) A person receiving literacy education,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or a perso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ill be confused by using the headings of dictionaries or verbal forms used as their translations.

상기 표 4에 따르면, 사전의 표제어와 풀이말 등에서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는 일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 4,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the verb basic form in the headword and the solution word of the dictionary needs improvement.

특히 학생들의 학습에 혼란을 주는 일을 없애야 하기 때문에, 사전의 표제어와 풀이말과 예문에서는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동사 기본형을 사전의 표제어와 풀이말에서라도 사용하지 말도록 하는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것이다.In particular, we should not use verb primitives in dictionary headings, solution words, and example sentences, as we must avoid confusion in student learning.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21st century, it is necessary to take educational measures to prevent the use of verbal forms in the dictionary's headings and lexicons.

다음에는 종래의 한국어사전이 갖는 셋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발음이나 음성언어의 모든 낱말 활용형으로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에 필요한 형태론적 이론의 정리가 미흡하여, 발음이나 음성을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방법이 제대로 개발되지 못한 문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Next, we will look at the third research problem of the conventional Korean dictionary. In other words, due to insufficient theorem of the morphological theory necessary to find a way to search for all words using forms of pronunciation or phonetic language, the method of searching by all forms of words using pronunciation or voice was not properly developed. I will explain.

기존의 전자사전에서 맞춤법에 맞춘 기본형에 한하여 낱말의 여러 가지 용언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것이 상용화되어 있다. 여기에는 맞춤법에 맞춘 표기형태만 사용하고 용언으로 한정한 조건적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모든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데에서 발음형이나 음성형을 검색어로 사용할 수 없고, 또한 체언의 활용형은 대상에서 제외되는 한계를 갖는다. In the existing electronic dictionary, only the basic type that is spelled is searched by using various words of the word. There is a conditional restriction, using only spelling forms and limiting the terminology. Therefore, the pronunciation type or the phonetic type cannot be used as a search word in the search using all types of words, and the utilization type of the word has a limitation that is excluded from the object.

모든 활용형을 있는 그대로 사전의 표제어로 삼는다는 것은 방대한 낱말 형태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기본적인 의미가 같은 활용형을 모두 올려놓을 필요도 없다. 다만 모든 낱말의 활용형을 가지고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Having all the conjugations as they are in the dictionary is not feasible due to the problem of dealing with a large number of word forms, nor is it necessary to put all conjugations with the same basic meaning. You just need to find a way to search with all words.

기존의 사전은 일반적으로 표기법에 따른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고, 발음사전이라고 하더라도 역시 기본형의 발음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발음사전 중에서, 한국방송공사 편저, 『표준 한국어발음대사전』(어문각, 1993)의 경우를 보면, 이 사전은 낱말의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고 그 발음정보만 기술하였고, 부록에는 기본형의 발음을 표기형으로 바꾸어 볼 수 있게 해 주었으며, 뜻풀이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Existing dictionaries generally use the basic form according to the notation as the heading, and even the pronunciation dictionary only targets the pronunciation of the basic form. Among the pronunciation dictionaries, in the Korean Broadcasting Corporation's book, Standard Korean Phonetic Dictionary (Eummungak, 1993), this dictionary uses the basic form of a word as its heading and describes only its pronunciation information. It does not provide a solution.

다만, 일부 전자사전에서는 용언의 경우에 한하여, 표기법에 맞춘 낱말 활용형을 입력하면, 그 활용형의 기본형을 검색하여 뜻풀이를 제공해 주는 방법이 상용화되어 있다. '네이버'나 '다음' 등의 사전 검색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전은 반드시 용언을 표기법에 맞춘 활용형태로 입력시켜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However, in some electronic dictionaries, a method of searching for the basic type of the utilization type and providing a solution is provided when the word utilization type is written according to the notation. You can check in the dictionary search such as 'Naver' or 'Next'. These dictionaries are limited in that they must be input in the form of usages in accordance with the notation.

용언을 표기법에 맞춘 활용형은 언제나 어간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그 어간의 형태만 이용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형 {맑다}의 활용형 {맑고, 맑으니, 맑았는데, 맑지만} 등으로 입력되므로, 어간 {맑-}을 대표형태로 갖고 있으므로, {맑-}을 검색형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Conjugated forms with terminology notation always maintain the shape of the stem, so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stem form should be used. For example, the basic type {clear} is used as the {{clear, clear, clear, but clear}, etc., and since the stem {clear-} is re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type, {clear-} can be used as a search type. will be.

이러한 사전의 단점은 모든 용언의 활용형을 맞춤법에 맞춘 문자로만 입력해야 한다는 한계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체언이나 수식언 등의 활용형은 검색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또한 발음형태로는 검색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으며, 더 나가서는 음성으로 입력하면 검색이 되지 않는 문제 등이 있는 것이다.The disadvantage of these dictionaries is that they must be entered only in spelling characters of all forms of verb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earched in the form of a verb or formula,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be searched in the pronunciation form,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earched if you enter the voice mor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사전 표제어에서 받침소리가 연음하는 활용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사전 표제어인 기본형은 7종성법의 발음 제약으로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dictionary headword basic form is not pronounced and pronunciation is not matched by the pronunciation constraints of the seven kinds of methods by using the conjugation type that the sound is consonant in the dictionary headword It is aimed to provide a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conjugation of a word.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사전에서 표제어와 풀이말, 예문 등에서 인위적인 낱말형인 동사 기본형을 사용하는 것을 동사 활용형으로 대치함으로써 실용성이 향상된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utilizing the improved form of the word by replacing the use of the verb basic form, which is an artificial word form in the existing dictionary with a verb conjugation form in the existing dictionary.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사용되는 문자와 발음 및 음성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이 가능한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dictionary for searching by utilizing the type of word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actual use of the letters and pronunciation and voice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국어사전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orean dictionary,

사전의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서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을 검색어로 더하여 사용하거나 표제어 자체로 삼는 구성 방법과, In the composition of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use of consonant words as a search term or as the heading itself,

사전의 표제어 부분과 뜻풀이 부분 전체에서 동사의 기본형을 배제하고 활용형을 사용하는 구성 방법과, How to construct a conjugation form without using the basic form of the verb in the heading part and the meaning part of the dictionary,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 표제어와 부속 활용형 표제어 및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하여 낱말의 표기형이나 음성언어형의 모든 활용형을 검색하는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 사전을 제공한다.To search by the utilization type of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method for searching all utilization forms of word notation or phonetic language type by setting the representative utilization heading and sub-utilization heading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and the basic and real words. Provide Korean dictionary.

특히, 상기 한국어사전은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체언이나 용언 등의 활용형을 표제어인 기본형의 앞에 위치시켜서 기본형을 찾아가는 검색어로 사용하거나, 체언이나 용언 등의 활용형을 표제어 자체로 사용하거나, 표기형의 표제어를 주체로 삼고 발음형의 표제어는 표기형 표제어로 찾아가는 역할만 담당하거나, 표제어 부분에서 연음 활용형의 뒤에 기본형을 놓고 각각 발음형을 병기하여 다중적 검색어로 삼거나, 표기형의 기본어간, 활용형의 실음어간 및 음소 공통음형 및 어간 근원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Korean dictionary places a conjugation type such as a suffix or a verb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in front of the basic type as a heading, and uses it as a search term for a basic type, or uses a conjugation type such as a suffix or a verb as the heading itself, The main subject of the pronunciation type is to find only the heading of the pronunciation type, or put the basic type after the consonant type in the heading part and put the pronunciation type in multiple search terms, or use it as a multiple search term, The concept of any one selected from between the real phoneme and the phoneme common phoneme and the stem source sound can be used.

또한 상기 한국어사전은 종이사전, 전자사전 또는 인터넷사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Korean dictionary may be a paper dictionary, electronic dictionary or Internet dictionary.

본 발명의 첫째 효과는 사전의 표제어에서 사용되는 기본형이 7종성 발음제한으로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못하여 생기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 문제는 받침소리가 연음하는 활용형, 즉 모음의 어미나 조사로 활용하는 낱말 활용형을 응용함으로써 해결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사전의 표제어에서 27가지 받침소리의 정보가 제대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asic form used in the headword of the dictionary is caused by a mismatch in pronunciation and notation due to the restriction of 7 kinds of pronunciation. This problem is solved by applying the conjugation type that the bass sounds are used for, that is, the word utilization type that is used as a vowel or survey of vowels. According to this method, information of 27 buzzing sounds can be correctly displayed in the heading of the dictionary.

다시 말하면, 용언과 체언의 활용형에서 표기가 발음의 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는 낱말 활용형을 제시함으로써, 사전의 검색에 사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용언의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를 결합하여 연음하는 활용형으로 어간의 받침소리 정보를 정확히 표시해 주게 되고, 체언도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를 붙여서 연음하는 활용형으로 받침 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usage form of the word and the verb, the notation suggests a word utilization form that properly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pronuncia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the search of the dictionary. In other words, the stems of verbs are combined with the endings that begin with vowels to accurately display the stem support information of stems.

둘째 효과는 인위적 낱말형인 동사 기본형이 사전의 표제어와 뜻풀이나 예문 등에서 사용됨으로써,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낱말이나 문장을 사전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 문제는 동사의 기본형을 대신하여 동사의 활용형으로 대치함으로써 해결된다.The second effec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verb basic form, which is an artificial word type, is used in the dictionary's heading, the meaning pool, and the example sentence, and thus uses the word or sentence that is not actually used in the dictionary. This problem is solved by substituting the verb form for the verb form.

셋째 효과는 표기형의 기본어간에 더하여, 음성언어의 낱말 활용형에서 실음어간의 개념을 만들고, 실음어간 형태 분석 방법을 창안함으로써, 문자와 음성을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전자사전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The third effect is that in addition to the basic words of the notation type, the concept of the real word is made from the word usage type of the phonetic language, an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form between the real words can be created to create an electronic dictionary that searches all the utilization types of the word through text and voice. It is.

이와 같은 효과를 통하여, 한국어 맞춤법 수준이 낮은 사람이나, 초등학교 수준의 학생들, 특히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 중 기본형을 만들지 못해서 사전을 검색하지 못하던 문제가 해결하여 사전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인위적으로 조직한 동사 기본형을 표제어와 풀이말에서 사용하던 불합리한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문자뿐만 아니라 음성언어를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자유롭게 검색할 수 있어 전자사전이나 인터넷사전에도 적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eff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the dictionary by solving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search the dictionary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make a basic type among people who have low level of Korean spelling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foreig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he unreasonable problem of using the basic verbs in organized words in the headword and the solution has been solved, and it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dictionaries or Internet dictionaries as it can be searched freely using all types of words through not only letters but also voice languages.

도 1은 낱말 기본형과 연음하는 활용형의 비교 예시도이다.
도 2는 낱말 받침소리의 조음작용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은 연음하는 활용형의 받침소리 변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연음법과 7종성법의 관계 및 받침의 표기 근거 정리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음하는 활용형의 검색어 사용 모형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음하는 활용형을 표제어를 삼는 모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와 음성으로 검색하는 표제어 부분 모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든 활용형으로 찾는 사전의 표제어 부분 모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든 활용형으로 찾는 전자사전의 일 실시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전의 실음어간 분석기의 구성과 작업 모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전의 출력어 처리부의 작업 모형도이다.
Figure 1 i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basic form of words and conjugation type consonants.
Figure 2 is an exemplary structure of the articulation of the word standoff.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converting audible sound of conjugation typ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in and jong 7 method and the notation basis of the suppor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term using a consonant conjuga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model diagram using the terminology of the consonant conjuga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heading partial model diagram for searching by text and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heading partial model diagram of a dictionary found with all utilization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ictionary to look for all utilization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working model diagram of an audio-negative analyzer of an electronic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working model diagram of an output word processing unit of an electronic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제어'란 용어는 사전의 '올림말'로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올려놓은 낱말의 항목을 가리킨다. 또한 사전의 낱말의 항목을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할 때, 표제어에 딸린 정보를 주는 부분을 '표제어 부분'이라고 말하고, 뜻풀이나 예문 등의 정보를 주는 부분을 '뜻풀이 부분'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동사나 형용사 등은 '용언'이라고 말하고, 명사나 대명사 및 수사 등은 '체언', 부사나 관형사 등은 '수식언'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erm 'table control' is a 'spelling word' of a dictionary, and refers to a word item placed in a certain order. In addition, when dividing the items of the word of the dictionary into two parts, the part that gives information attached to the headword is called the 'table control part', and the part that gives information such as the meaning pool or example sentence is called 'the part of the word'. In addition, verbs and adjectives are referred to as 'words', and nouns, pronouns, and rhetoric words are referred to as 'subjects' and adverbs and adjectives are 'formal words'.

그리고 용언의 어간에 어미가 첨가된 형태나 체언에 조사가 첨가되는 형태를 가리켜 모두 '활용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또한 낱말의 형태는 '먹다'와 같이 나타내고, 어미나 조사는 '-다'나 '-이/가'와 같이 나타내며, 어간은 '먹-'과 같이 표시하고, 발음(소리)을 적을 때는 '[먹따]'와 같이 나타내기로 한다. In addition, I would say that both the form of the mother's stem and the form of the survey's stem are added to the stem of the word. Also, the form of the word is represented as 'eat', the word or survey is represented as '-da' or '-i / ga', the stem is represented as 'eat-', and when the pronunciation (sound) is written, Let's express it like this.

본 발명자는 문자나 음성을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될 수 있는 사전이 가장 이상적인 한국어사전으로 보고,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과 부속 활용형을 몇 가지씩 제시하고 이에 따른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함으로써 문자나 음성언어를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되는 한국어사전을 개발하고자 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regard the dictionary as the most ideal Korean dictionary, which can be searched with all types of words through texts or voices, presenting some representative and sub-use types in the heading section, and setting the basic and real words between them. I tried to develop a Korean dictionary which is searched with all the forms of words through the phonetic languag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7종성의 발음제약을 받는 기본형의 맞춤법 정보 취약점의 보완을 위하여,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조사의 활용형인 연음활용형을 사용함으로써, 어간이나 체언의 받침소리 정보가 연음이나 연철 방법을 통하여 맞춤법이 제대로 표시되게 하는 방법, 표제어 부분에서 표기형 표제어를 주체로 삼고 발음형의 표제어는 표기형의 표제어를 찾아가는 역할로 사용하는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나 풀이말의 문장 및 예문 등에서 동사의 기본형을 대신하여 동사의 활용형을 사용하는 방법, 용언이나 체언 등에 모든 낱말 활용형의 표기형 기본어간과 활용형 실음어간 및 음소 공통음형, 어간 근원음 등의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 등을 복합적이거나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종이사전이나 전자사전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eakness of the basic type spelling information that is subject to seven kinds of pronunciation constraints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by using the soft-phone type, which is the form of the ending or investigation that begins with the vowel, How information is spelled correctly by means of soft or soft iron, how to use the title heading in the heading section, and the phonetic heading to find the title heading, and the dictionary heading or the sentence And how to use verb conjugations instead of basic verbs in example sentences, and how to apply notions of basic words and conjugations between real words and phonemic common phonemes, stem roots, etc. Specializing in making paper or electronic dictionary by applying complex or selective It is to create a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the conjugation of the word.

이에 따라 만들어지는 사전이 유형으로 보면,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체언이나 용언 등의 활용형을 표제어인 기본형의 앞에 위치시켜서 기본형을 찾아가는 검색어로 사용하는 사전, 체언이나 용언 등의 활용형을 표제어 자체로 사용하는 사전과, 표기형의 표제어를 주체로 삼고 발음형의 표제어는 표기형 표제어로 찾아가는 역할만 담당하는 사전, 표제어나 풀이말 및 예문 등에서 동사 기본형을 대신하여 동사 활용형을 사용하는 사전, 표제어 부분에서 연음 활용형의 뒤에 기본형을 놓고 각각 발음형을 병기하여 다중적 검색어로 삼는 사전, 이러한 사전의 구성적 특징을 복합적이거나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종이사전이나 전자사전 등이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ype of dictionaries that are created according to this type,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the conjugation type such as suffix or idiom is placed before the base type, which is the headword, and the conjugation type such as dictionary, suffix or verb is used as the heading itself. Dictionaries and dictionaries that use verb conjugations in place of verb bases in dictionaries, headings, suffixes, and example sentences, which are mainly used for dictionaries, headings in the notational form, and pronunciation headings in the notational heading There is a dictionary that puts the basic type behind and puts the pronunciation type as a multiple search word, and applies the compositional features of these dictionaries in combination or in part to paper dictionary or electronic dictionary.

문자와 음성을 통하여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되는 이상적인 한국어 전자사전을 만들기 위하여,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의 표제어와 부속 활용형의 표제어 및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구성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모든 낱말의 표기형과 발음형을 문자로 검색하거나 음성언어의 모든 낱말 활용형을 음성으로 검색하는 전자사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을 만들 수 있다.In order to create an ideal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that is searched by all types of texts and voices, we apply the composition method of searching for all types of words by setting the headings of representative types, the headings of sub-use types, and the basic and real words between heading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reate a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utilizing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dictionary to search for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type of all words by text or by searching all the word utilization type of the voice language.

한 마디로 정리하면, 사전 표제어에서 낱말 기본형을 사용함으로써, 7종성법의 발음 제한을 받아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못하는 문제는 받침소리가 연음(연철)하는 활용형으로 해결하고, 인위적 형태인 동사 기본형의 사용 문제는 동사의 활용형으로 대치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첫째 주안점이라고 말할 수 있고, 그 다음에는 문자와 음성을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할 수 있는 이상적인 한국어 전자사전을 창안하는 것이 둘째 주안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In short, by using the basic form of the word in the dictionary heading, the problem of inconsistency with the pronunciation due to the pronunciation restriction of the seven-jong method is solved by the conjugation type that the bass sound is soft (soft iron). The problem of the use of is that the first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by replacing with the use of verbs, and then, the second is to create an ideal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that can be searched for all the utilization forms of words through text and voice. I can say the point.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한국어사전은 규범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면, 본 발명의 한국어사전은 실용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용화의 단계로는 다음의 3단계가 알맞다고 여겨진다.In addition, if the existing general Korean dictionary has a normative character, the Korean dictiona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o have a practical character. The following three steps are considered suitable for the stage of practical use.

제 1단계는 초등교육이나 문해 교육 등의 교육용 한국어사전을 만드는 단계로 표제어가 3,000개 정도의 소사전이 필요하다. 이 사전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배워서 말은 잘할 수 있지만, 한글과 맞춤법에 미숙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The first stage is to create an educational Korean dictionary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It requires about 3,000 headed dictionaries. This dictionary is for people who are not good at Hangul and spelling by learning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제 2단계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들을 위한 사전으로, 외국인 교육용 한국어사전을 표제어 3,000개 정도 되는 소사전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 사전은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위한 사전이라는 조건에 맞도록 쉽고 편리하게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할 수 있는 사전을 구성하는 것이다. 사전을 찾는 교육은 연음과 연철의 원리에 따라서 받침소리의 정체를 알 수 있게 하면 효과적일 것이다.The second stage is a dictionary for people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Korean dictionary for foreign education is made into a small dictionary with about 3,000 headings. This dictionary constitutes a dictionary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ed using words to meet the condition of a dictionary for people who learn Korean. Education to find dictionaries would be effective if you could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sound of prop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oft and soft iron.

제 3단계는 일반적인 한국어사전을 소형과 대형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학술적인 사전도 포함된다. 영어나 일본어는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는 문법이 있으므로, 사전의 표제어도 동사의 기본형이 자연스럽게 올려지지만, 한국어는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는 어법이 없으므로 이 사전에서는 동사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지도 않고, 뜻풀이의 문자이나 예문에서도 동사의 활용형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사전에서 본격적인 전자사전의 구성도 실현된다. The third step is to construct a general Korean dictionary in small and large size. Of course, academic dictionaries are included. Since English and Japanese have a grammar using the basic form of the verb, the basic form of the verb is also naturally raised in the heading of the dictionary.However, in Korean, since the verb uses the basic form of the verb, the basic form of the verb is not used in this dictionary. Verbal conjugations are also used in the literary and example sentences. In this dictionary, the construction of a full-fledged electronic dictionary is also realized.

이러한 3단계에서 초기에는 일단 기본형으로 구성된 기존의 사전 체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표제어인 기본형 앞에 검색어로 활용형을 더하여 놓음으로써, 검색하는 단계에서만 활용형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점차로 표제어 자체를 낱말 활용형으로 삼고, 사전 전체에서 동사 기본형을 배제하고 동사 활용형을 사용하는 사전을 구성하는 것이 무리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In these three stages, the existing dictionary system composed of basic forms is used as it is, and the utilization form is used only in the searching stage by adding the utilization form to the search term before the basic form. Increasingly, it is not unreasonable to make a dictionary using the headword itself, to exclude the basic verb form from the dictionary, and to construct a dictionary using the verb conjugation form.

본 발명의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되는 한국어사전은, 사전의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서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을 검색어로 더하여 사용하거나 표제어 자체로 삼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과 뜻풀이 부분 전체에서 동사의 기본형을 배제하고 활용형을 사용하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 표제어와 부속 활용형 표제어 및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하여 낱말의 표기형이나 음성언어형의 모든 활용형을 검색하는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orean dictionary searched by the conjugation form of the wo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tion method of using the word conjugation us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as a search term or using it as the heading itself, and the whole of the heading part and the meaning part of the dictionary How to exclude basic form and use conjugation form, and configure constitution method to search all utilization forms of word form or phonetic form by setting representative utilization heading and subconjugation heading and basic and real words in heading part of dictionar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제1단계에서는 기존의 사전 표제어로 사용되는 기본형의 문제에 대안으로 제시되는 연음 활용형의 구조와 특징을 이론과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고, 음성언어 활용형의 형태분석 방법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며, 제2단계에서는 한국어사전의 구성 문제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stage,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the consonant utilisation, which are presented as alternatives to the basic problem used as the dictionary heading, are explained through theory and example, and the method of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vocal language utilization is theoretically established. In this article, we will explain the composition problem of Korean dictionary.

(제1단계)(Step 1)

1. 연음 활용형의 구조와 특징 및 활용형의 형태 분석 방법1. Structure and Features of Yin-Yang and Its Form Analysis Method

제1단계에서는 사전에서 응용할 낱말 활용형 중에서 연음하는 활용형의 특성을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발음 활용형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first step, the conjugation type that is consonant among words Explain the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the example and discuss the theory on how to analyze pronunciation Explain.

그 순서로는 첫째,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의 특성을 설명하고, 둘째, 7종성법과 연음법을 비교하여 설명하며, 셋째, 사전 표제어와 뜻풀이 부분에 적용할 용언의 활용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넷째, 사전의 표제어와 뜻풀이 부분에 적용할 체언의 활용형에 대하여 설명하며, 다섯째, 낱말 활용형에서 음성형을 포함한 발음 활용형의 형태 분석 방법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In that order, first, i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conjugated word conjugation, secondly, it compares seven species and consonant method, and third, explains the conjugation type of dictionary to be applied to the heading and the meaning of the dictionary. Explain the usage forms of the statement to be applied to the headword and the meaning of the dictionary. Fifth, the concept of the form analysis method of the pronunciation utilization type including the phonetic form in the word utilization form will be established.

아래의 제목에 붙인 번호 '1.1.'은 제1단계에서 제1항의 설명이라는 의미로 붙인 것이며, 이하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자 한다.The number '1.1.', Which is attached to the title below, is attached to mean the explanation of paragraph 1 in the first step, and the following method is used.

1.1.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의 특성1.1. Characteristics of Conjugated Word Conjugation

용언의 활용형에서 연음하는 활용형은 표기로 보면 연철과 같다. 도 3에 따르면, 활용형 {맑아요}(301)는 연음으로 [말가요](302)가 되므로 실제에 있어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된다. 즉 {맑아요}의 연음 발음인 [말가요]는 연철 표기로도 {말가요}가 되므로, 연음과 연철은 결과적으로 같은 것이다. 따라서 {-아요/어요}의 활용형인 {맑아요}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음하는 활용형에서는 표기가 연철과 연음으로 발음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onjugation in conjugation of verbs is like wrought iron. According to FIG. 3, the utilization type {clear} 301 becomes [singing] 302 in the middle tone, so that the representation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correspond in practice. In other words,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Yin-Yeong, which is pronounced as {Yeam}, becomes {Mal-Yo-Yo} in wrought iron notation. Thus, {clearer}, the conjugation of {-no / er}, is a coincidence between the notation and the pronunciation. In the conjugation type used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notation coincides with the pronunciation in soft iron and soft sound.

'연철'이란 어간의 받침이 어미의 모음과 결합하는 철자법을 가리킨 것이며, 이와 대조적으로 받침을 내려 적지 않는 것을 '분철'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연음 발음이 연철 표기와 일치하는 것은(302) 연음 발음 형태를 글자로 표기한 것이 연철 표기이기 때문이다.'Wrought iron' refers to the spelling method in which stems of a stem are combined with the vowels of the mother. The soft pronunciation is consistent with soft iron notation (302) because the soft sound notation is written in soft letters.

표기와 발음이 일치되는 현상은 받침이 하나인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활용형 {먹어요}는 표기하는 연철로 {머거요}이고 발음하는 연음은 [머거요]가 되므로 표기와 발음이 일치한다. {먹어요}에서 맞춤법의 표기로는 어간을 {먹-}으로 밝혀서 적었지만, 연철 표기로 적으면 {머거-}가 되고, 연음으로 발음하면 [머거-]가 된다. 따라서 연철 표기나 연음 발음에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henomenon of coincidence with the notation is the same when there is only one base. For example, the conjugation type {eat} is a wrought iron that is written {mergeryo} and the pronounced yin becomes [mergeryo]. In {eating}, the spelling of the stem is written as {mum-}, but written in wrought iron notation is {merg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coincide in the wrought iron notation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yin.

용언의 활용형 {맑아요}나 {먹어요} 등에서,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이유는 {-아요/어요}라는 어미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아]나 [어]와 같이 후음 [ㅇ]으로 시작되는 어미 활용형에서는 표기형과 발음형이 대부분 일치하는 것이다. 본 설명에서는, [아]나 [어]와 같이 후음 [ㅇ]으로 시작되는 음절을 관행적으로 사용해 온 바에 따라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라고 말하고 있다.In the usage of idioms {clear} and {eat},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re coincident because they are used as the ending of {-oh / er}. In the case of endings that begin with the suffix [ㅇ], such as [a] or [word], most of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re identical. In this explanation, it is said that 'syllable starts with vowel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using syllables that begin with the latter [o], such as [a] or [er].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라는 것은 정확하게 말하면 '후음 [ㅇ]으로 시작되는 음절'이다. 그런데 후음 [ㅇ]은 목구멍에서 거침없이 나오는 소리이므로 음가가 없는 소리라고 하여, [아]와 같은 음절은 모음만 있는 [ㅏ]의 음가로 본다. 그래서 글자로는 [아]나 [어]와 같이 후음 [ㅇ]을 표시하면서도,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라고 지칭하는 것이다.A syllable that begins with a vowel is precisely a syllable that begins with a posterior [ㅇ]. By the way, the last sound [ㅇ] is a sound that comes out of the throat without sound, so the syllables such as [a] are regarded as the sound value of [ㅏ] with only vowels. Thus, the letter "a" or "uh", such as [?], While showing the post, "syllables begin with the vowels" is called.

후음 [ㅇ]의 개념은 연음에서 중요한 개념이므로, 좀더 부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음 [ㅇ]은 훈민정음(한글) 창제에서 언어학적인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에 대하여, 최종민의 글 "우리말과 음악의 소리 울림틀(8)-후음 [ㅇ]의 발명과 3·2성틀 오행선율-,『한국어의 역사와 문화』(박이정, 2007), 316-322쪽에서는 '후음 [ㅇ]은 언어학의 0소리(zero sound) 발명'이라고 정리하였다. 즉 수학의 0과 같은 개념으로서, 언어학적인 '0소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가를 0이라고 볼 때, 수에서 '01'이라고 표기해도 수의 값은 1인 것처럼 음절에서 [아]라고 표기해도 소리의 값은 모음인 [ㅏ]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concept of the latter [ㅇ]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middle tone, so I will explain it further. The latter [ㅇ] has a special linguistic meaning in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Korean). On the other hand, in the writings of Choi Jong-min, "The Sounds of Korean and Music Sounds (8) -The Sounds of the Throne [O] and the Three-Twoth-Period Five-Tinged Songs",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Language" (Park Yi-jung, 2007), pp. 316-322 Summed up as 'the zero sound invention of linguistics', that is, the same concept as the zero of mathematics, which is called linguistic 'zero sound'. Even if it is written as 01 ', the value of the number is 1, and even if it is written as [a] in the syllable, the value of sound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모음].

이런 의미에서 보면, [아]나 [어]와 같은 음절은 '0소리로 시작되는 음절'이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관행적으로 사용되어 온 바에 따라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따라서 {-아요/어요}와 같은 어미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또는 줄여서 '모음 어미'라고 말하고, 이를 사용한 {맑아요}와 같은 활용형은 '모음 어미 활용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이 용어에는 후음 [ㅇ]으로 시작된다는 의미가 포함되고, 또한 모음이 어간의 받침소리를 내려받는 연음 발음이 생긴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따라서 '모음 어미 활용형'은 '연음 활용형'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In this sense, syllables like [ah] and [uh] should be said to be 'syllables starting with zero sound'. But as practice has been used, I would say 'syllables that begin with vowels'. Therefore, I would like to say that endings such as {-no / uh} are 'mothers that begin with vowels', or 'collecting mothers' for short. The term includes the meaning that it begins with a suffix [o], and also means that a vowel occurs in the vowel sound of the stem.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vowel mother use type is the yeonum utilization type.

연음 활용형이 갖는 받침소리 내려받기 현상에는 후음 [ㅇ]의 소리성질과 관련된 구조적 시스템의 원리가 작동되고 있다. 도 3에 따르면, 분철 표기형 {맑아요}(301)의 어간 받침 [ㄱ]과 [ㅇ]의 합은 [말가요](302)에서 연음의 [ㄱ]으로 실현된다. 어미 [아]가 어간의 받침을 내려받는 연음에서, '[ㄱ]+[ㅇ]=[ㄱ]'과 같은 소리의 등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이것은 수학의 등식 '1 + 0 = 1'과 같은 맥락을 갖는다(304). The principle of structural system related to the sound quality of the rear sound [ㅇ] is working on the support sound download phenomenon of the soft-phone utilization type. According to FIG. 3, the sum of the stem bases [a] and [o] of the iron-type notation {clear} 301 is realized as [a] of the consonants in [laughs] 302. In the groin that the mother [A] downloads from the stem of the stem, an equation of sound such as '[a] + [ㅇ] = [ㄱ]' is established. This has the same context as the mathematical equation '1 + 0 = 1' (304).

등식은 좌우 두 항이 같음의 의미를 가지므로, 좌우 두 항은 서로 변환되는 관계를 갖다. 그러므로 분철 표기의 [ㄱ,ㅇ]은 연음 발음의 [ㄱ]이 되고, 다시 연음 발음의 [ㄱ]은 분철 표기의 [ㄱ,ㅇ]이 될 수 있는 상호 변환의 구조적 시스템(303)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모음 어미 활용형에서는 발음과 표기가 상호 변환의 원리를 가지고 일치하는 구조적 시스템이 작용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The equations have the meaning of two terms equal to left and right, so the two terms are transformed into each other. Therefore, [a, o] of 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s becomes a [a] of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s, and again [a] of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s has a structural system of interconversion (303), which can be [a, o] of 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s. can see. Thus, in the vowel ending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pronunciation and the notation coincides with the principle of mutual conversion.

이러한 모음 어미 활용형의 구조적 변환 시스템은 한국어의 구조적 특성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한국어 교육에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표기가 발음을 제대로 표시해 주지 못하는 낱말 기본형'을 외워야 하고, 또한 그 기본형으로 사전을 검색해야 하는 데에 있다. Such a structural transformation system using vowel endings is a structural feature of Korean. If such a feature is available in the heading of the dictionary, it is expected to improve efficien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e of the reasons why I think Korean spelling is difficult is to memorize the 'word basic form that the notation can't display the pronunciation properly' and also to search the dictionary by the basic form.

모음 어미 활용형 {덮어요}를 예를 들어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he vowel ending, {overla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아래 표 5는 모음 어미 활용형 {덮어요}의 모음 어미 활용형 - 표기와 발음 일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Table 5 below shows the structure of vowel endings-notation and pronunciation matching of vowel endings {cover}.

구분division 낱말 활용형Word conjugation 표기와 발음의
상호 변환 등식
Of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terconversion Equation
비고Remarks
분철 표기형Grinding iron notation {덮어요}{Cover}
[ㅍ]+[ㅇ]=[ㅍ]

[Ct] + [o] = [ct]
분철 표기의 [ㅍ]과
[ㅇ]의 합이 발음의
[ㅍ]로 실현됨
[ㅍ] of the iron notation
The sum of [ㅇ] is pronounced
Realized with [
연철 표기
연음 발음
Wrought iron notation
Pronunciation
[더퍼요][Duffer]
등식 성립 : 후음 [ㅇ]의 0소리(zero sound) 성질에 의한 작용
정리 : 등식의 좌항 [ㅍ]+[ㅇ]과 우항 [ㅍ] 사이는 상호 변환 관계가 있음
Equation Establishment: Action by Zero Sound Properties of Skeleton [ㅇ]
Theorem: There is a mutual transformation between the left term [ㅍ] + [ㅇ] and the right term [[] of the equation

상기 표 5에 따르면, 모음 어미 활용의 조건에 맞는 용언은 분철 표기와 연음 발음 사이에 상호 변환되는 구조적 시스템이 작동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음 어미 활용형의 조건은 어간의 받침이 있는 낱말과 모음 어미가 만나는 것이다. According to Table 5, it can be seen that the verb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of the vowel ending utilization is a structural system that is interconverted between the pronunciation of the iron and the pronunciation. The condition of the vowel ending utilization form is that the word with the stem support meets the vowel ending.

이러한 연음 발음의 상호 변환 구조는 용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체언에도 있다. 즉 체언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붙어서 활용되는 경우에, 연음 발음의 상호 변환 구조가 실현되는 것이다. The interconversion structure of the phonetic pronunciation is not only in the verb but also in the verb. In other words, when a survey starts with vowels and is utilized, the interconversion structure of the phonetic pronunciation is realized.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란 {-이/가}나 {-을/를}형 등의 {-이}나 {-을}과 같은 것으로서, 체언의 받침소리를 내려받을 수 있는 형태를 가리킨다. 조사 {-이/가, -을/를, -은/는} 등은 체언 끝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이, -을, -은}을, 받침이 없으면 {-가, -를, -는}을 붙여서 구별하는데, {-이, -을, -은} 등을 '모음 조사'라고 말하고자 한다. 이를 활용한 형태를 '모음 조사 활용형' 또는 '연음 활용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A survey that begins with a vowel is a form of {-i} or {-}, such as {-yi / ga} or {-/}, that is, a form in which a supportive sound of a message can be downloaded. Investigations {-, /,-,-, etc. are {-,-,--} if there is a support at the end of the statement, {-,-,-if there is no support. }, And I would like to say that {-i,-, -eun}, etc., is a collection investigation.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form using this is called 'vowel investigation type' or 'yeonum utilization type'.

체언에서 모음 조사 활용형의 예를 들면, {삶}이라는 체언이 조사 {-이/가}로 활용되어서 {삶이}(107)가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모음 조사 활용형인 {삶이}는 연음으로 [살미](108)가 된다. 받침이 하나인 경우에도 같은 데, 예를 들면 {꽃}이라는 명사는 모음 조사 활용형이 {꽃이}이고 연음으로 [꼬치]가 되므로, 표기와 발음이 일치되는 형태이다. An example of the use of vowel surveys in a statement is that the statement {life} becomes {life} (107) by being used as a survey {-//}. {Life}, a vowel survey application, becomes [Salmi] (108) by the tone. The same is true even when there is only one base, for example, the noun {flower} is a form where the vowel survey utilization type is {flowers} and the string is [skewer].

따라서 용언의 모음 어미 활용형이나 체언의 모음 조사 활용형은 연음으로 받침소리의 정보를 제대로 표시해 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vowel ending usage of the word and the vowel survey usage of the dictation can be summed up by properly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sound of the basal sound.

1.2. 1.2. 7종성법과7 species 연음법 비교 Grammar comparison

연음 발음은 받침소리의 음가를 살리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도 3에서 보면, 음절 첫소리(305)는 자음의 일차적인 자리이므로 자음의 본질적 속성을 실현하지만, 받침소리는 버금가는 자리로서 자음의 이차적인 속성을 실현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의 자음은 연음이 가능한 조건에서는 항상 그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이동하려는 지향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306). 이를 가리켜 '본디 자리(원위치) 지향성-외파화 지향성'이라고 말하였다(306). 다시 말하면, 자음은 음절의 첫소리로 실현되려는 성질이 있다는 것이다. 연음 발음은 이러한 자음의 성질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Yeonyeon pronunciation can be seen as a natural phenomenon to revitalize the sound of the sound. Referring to FIG. 3, the syllable first sound 305 realizes the essential property of the consonant because it is the primary place of the consonant, but the supporting sound may be described as realizing the secondary property of the consonant as a second plac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consonant of the bearing is directed to move to the first sound of the next syllable at all times when the consonant is possible (306). This is referred to as 'the original position (in-situ) orientation-foreignization orientation' (306). In other words, consonants tend to be realized as the first sound of a syllable. Yeonye pronunci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nature of these consonants.

파열음 [ㅂ]를 예로 들어 보면, [밥]이라는 발음에서 첫소리의 [ㅂ]과 받침소리의 [ㅂ]의 조음작용과 소리 모양은 다르다. 첫소리 [ㅂ]은 온전한 파열을 하는데, 받침소리 [ㅂ]은 모음 소리울림을 입술자리에서 막는 작용을 할 뿐이므로 온전하게 파열하지 못한다. 즉 첫소리는 파열작용의 3단계 '닫음-지님-파열'이 모두 실현되는데, 받침소리는 '닫음'만 실현된 것이다. For example, the ruptured sound [발음] is different from the articulation and sound shape of [첫] of the first sound and [ㅂ] of the basal sound in the pronunciation of [bap]. The first sound [ㅂ] is intact rupture, but the standoff sound [뿐] only prevents the sound of vowels in the seat of the lips can not rupture completely. That is, the first sound is all three stages of the bursting action 'close-jim-bursting', but the support sound is only 'close'.

이렇게 조음된 소리를 '외파음'과 '외파음'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정영찬, 『한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1997, 34쪽 참조), 본 설명에서는 '미파음'과 '파열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미파열 상태인 받침소리 [ㅂ](307)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의 첫소리로 가서 온전한 파열을 실현하려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리가 실현되는 과정을 나타낸 '{밥} : [ㅂㅏㅂㅇl] : [바비]'(308)에서 보면, 시간적 진행 과정에서 받침소리 [ㅂ]은 모음 어미인 [이]의 [ㅇ]과 합하여 음절의 첫소리로 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While these articulated sound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overtones' and 'overtones' (see Chung Young-chan, 『Korean Phonology,』 Korean Culture History, 1997, p. 34), in this description, we can say “mipa sound” and “rupture sound”. have. This is because the unbroken buzzing sound [ㅂ] (307) goes to the first sound of a syllable beginning with vowels and can be seen to have the property of realizing complete rupture. In '{Bob}: [ㅂㅏ ㅂㅇ l]: [Barbie]' (308), which shows how the sound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time, the support sound [ㅂ] is combined with the [ㅇ] of the vowel ending [Yi]. You can see the process of becoming the first sound of syllable.

본질적으로 자음은 모음 앞(음절 첫소리)에서 자기 정체성을 모두 드러낼 수 있지만, 모음 뒤(받침소리)에서는 조음작용이 제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받침소리의 위치에 있던 자음들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을 만나면, 어김없이 모음 음절의 첫소리로 이동하는 연음 작용을 하는 것이다. In essence, consonants can reveal all of their identities before the vowel (the first syllable), but after the vowel (the backing) the articulation is limited. Therefore, the consonants in the position of the basal sound, if they meet the syllables that begin with vowels, it is a softening effect that moves to the first sound of the vowel syllables.

한국어의 받침소리 연음에서 또 한 가지 특성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겹받침에 있는 현상이다. 겹받침은 7종성법의 제약을 받을 때는 겹받침 중에 하나만 발음되지만, 연음이 되면 두 가지 자음이 모두 발음된다는 점이다.Another characteristic can be seen in the bass sound in Korean, which is a phenomenon in the layered support. Overlap is limited to the seventh juxtaposition, but only one of the overlaps is pronounced, but if it is a consonant, both consonants are pronounced.

겹받침은 [ㄱ]계통으로 [ㄱㅅ], [ㄴ]계통으로 [ㄴㅈ, ㄴㅎ], [ㄹ]계통으로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ㅂ]계통으로 [ㅂㅅ]가 있으므로, 모두 10가지가 있다. 이들은 모두 연음 작용을 통하여 각자 자기 소리를 드러낸다. Overlapping consists of [a] line, [a] line, [b] line, [b], bh, and [r] line, Therefore, there are ten in all. All of them reveal their own sounds through softening.

이것이 연음 방식이 갖는 장점이며, 받침소리가 발음 제약을 받는 7종성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원리이며 문법이다. 이러한 연음 발음법 '연음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음법으로 발음된 활용형을 '연음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This is the advantage of the consonant method, and it is the principle and grammar that the bass sound is free from the seven-jong method, which is restricted in pronunciation. Such a pronunciation method is called 'yeonmyeon'. And we will say that the conjugation type pronounced by the consonant method is 'yeonmyeon type'.

한국어 표기법의 받침소리 27가지가 자기 음대로 실현되는 구조는 연음법에 근거를 두고 설명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기법의 기본형이 갖고 있는 27가지 받침의 근거가 연음법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407). 예를 들면 {꽃}(403)이라는 체언의 받침소리가 {ㅊ}이라는 것은 기본형의 발음형인 [꼬ㄷ](403)에서는 알 수가 없다. 그것은 연음하는 활용형 {꽃이}의 연음 발음 [꼬치](405)를 통해서 받침소리가 [ㅊ]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twenty-seven consonants of Korean notation can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consonant method. 4 shows that the basis of 27 bearings of the basic form of the notation is in the consonant method (407). For example, the sound of the support of the word {flower} (403) is {cr} is not known in [ko] (40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und of support is [vo] through the phonetic pronunciation [skewer] (405) of consonant conjugation {flowers}.

따라서 표기법에 다른 기본형의 받침소리 27가지는 연음하는 활용형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고(407), 연음하는 활용형은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특징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연음법이 성립되지 않으면, 7종성법의 발음 제약 문제도 설명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Thus, 27 kinds of basal sounds of different basic forms in the notation can be said to be based on conjugated conjugations (407), and consonant conjugations have a feature that is consistent with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roblem of pronunciation constraints in the seven-jong method unless the consonant method is established.

따라서 한국어 받침소리는 연음법과 7종성법의 상보적 관계(401)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7종성법이 적용되는 조건에는 연음법이 적용되지 못하고, 연음법이 적용되는 조건에는 7종성법이 적용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Korean standoff sound is operated by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401 between the consonant method and the seven-jong method. This is because the consonant method does not apply to the condition that the seventh law is applied, and the seventh law is not applicable to the condition where the consonant method is applied.

또한 받침의 종류로 보면, 7종성법은 7가지로 한정되지만, 연음법은 변칙활용의 경우를 제외하면 27가지 전체를 실현한다. 따라서 7종성법은 연음법의 한 부분집합이 되는 셈이므로, 7종성법은 연음법에 내포(포함)되는 관계(402)에 있는 것이다. In terms of the type of support, the seven-jong method is limited to seven, but the soft-sound method realizes all 27 except for the use of anomalies. Therefore, since the seven-jong method is a subset of the consonant method, the seven-jong method is in a relationship 402 that is included (included) in the consonant method.

그렇다면, 어느 법이 더 한국어 낱말 형태를 설명하는 데에 근원적인 법인지, 어느 법을 우선으로 하여 낱말 형태를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If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ich law is the primary legal entity for explaining the Korean word form, and which law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word form first.

기본형은 7종성법의 제약을 받는 표기법으로서, 그 받침소리가 모두 연음법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407). 따라서 7종성법의 제약을 받는 낱말의 기본형보다도 오히려 연음법으로 받침소리가 보존되는 낱말의 연음형이 근원적인 형태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basic form is a notation restricted by the seven species method, and it can be explained that all of the support sounds are based on the consonant method (407). Therefore, rather than the basic form of the word that is restricted by the seven species law, the consonant form of the word preserved by the consonant method can be considered as the fundamental form.

도 4에서 {맑다}[막따](404)의 받침소리가 [ㄹㄱ]이라는 근거는 [막따]라는 발음에서 찾을 수 없고, 다만 연음형의 발음 [말가-](406)에서 찾을 수 있다. 연음법으로 [말가-]라는 발음이 있기 때문에, 발음으로 [막따]인데도 불구하고 [ㄹ]받침을 넣어서 {맑다}라는 기본형의 받침 구조를 밝힐 수 있다. 즉 [말가-]라는 두 음절 소리를 한 음절로 압축(축약)시킨 결과가 {맑-}이라는 어간이라고 설명한다면, 기본형보다 연음형에 원형성이 더 있는 것으로 보인다. In FIG. 4, the ground of the sound of {clear} [Makta] (404) is [ㄹㄱ] can not be found in the pronunciation of [Makta], but can only be found in the pronunciation [malga-] (406). Since there is a pronunciation of [Malga-] in the yin-yum method,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basic structure of {clear} by inserting the [ㄹ] support despite the [makta]. In other words, if the result of compressing (abbreviating) two syllables called [malga-] into one syllable is {kum-}, it seems that the soft form has more circularity than the basic form.

이와 같이, 연음형인 '{맑아)[말가]'가 기본형인 '{맑다}[막따]'보다 더 근원적인 형태로서 한국어 낱말의 형태를 설명하는 데에 적합하다고 본다면, 사전의 표제어로 알맞은 것은 기본형이 아니라 오히려 연음형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에서 중요하게 본 관점이다. Thus, if the soft-phone type '{clear' [malga] 'is more basic than the basic type' {clear} [makta] ', it is suitable for explaining the form of Korean words. Rather, it can be seen that it is soft. This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형 '{맑다}[막따]'의 받침소리가 '{맑아}[말가]'라는 연음형에 근원을 두고 있다고 본다면, 연음형 {맑아}는 기본형 {맑다}의 근원이 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어간에 {-다}를 붙인 활용형은 '기본형'이고, 어간에 {-아/어}를 붙인 연음 활용형은 '근원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문제는 학술적인 연구 과제로 넘기고, 다만 연음하는 활용형도 기본형만큼 중요한 낱말 형태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연음형을 사용하는 것도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보고자 한다.If the bass sound of the primitive '{clear} [Makta]' is rooted in the 'm' clear '[Maga]', the consonant's {clear} is the source of the primitive {clear}. Therefore, the utilization type with {-da} attached to the stem is the basic type, and the use of the Yon-myeon with {-a / word} attached to the stem can be said to be 'source type'. This problem is passed on to the academic research task, but it is emphasized that the consonant use form is as important as the basic form. Therefore, the use of the consonant type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is meaningful.

만약에 기본형보다 연음형이 한국어 낱말의 표기와 발음의 특성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면, 현재 용언의 기본형인 '어간+{-다}형'을 대신하여, 연음형인 '어간+{-아/어}형'이나 '어간+{-아요/어요}형'을 기본형으로 다시 설정하던지, 아니면 '대표 활용형'이라는 것을 새로 만들어 사용해야 할 것이다. If the consonant can better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ord's notation and pronunciation than the basic form, it replaces the basic term 'stem + {-da}'. Either the "type" or "stem + {-no / er} type" to the default form, or you need to create a new type called "representative utilization type".

이러한 문제는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 형태론에서 토론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만, 현재 7종성법의 발음제약을 받는 기본형보다 표기법의 모든 받침 27가지를 발음으로 실현할 수 있는 연음법으로 활용되는 연음형을 사전의 표제어로 삼는 것이 더 낫다는 것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This problem is not only limited to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but is a matter to be discussed in Korean morphology.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better to use a consonant type that is used as a consonant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ll 27 types of notation as pronunciation rather than a basic type that is currently subject to the pronunciation restriction of the seven species method.

1.3. 표제어와 뜻풀이 부분에 적용할 용언과 체언의 활용형 설명1.3. Explain the usage of words and phrases to apply to headings and their meanings

용언의 활용형에서 표기와 발음이 연음(연철)으로 일치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기 위하여, 기본형과 연음 활용형의 예를 들어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받침소리별로 낱말을 하나씩 예를 들어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ee in detail how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coincide with yeonmyeon (wrought iron) in the usage form of the verb, I will compare the example of the basic form and the yeonmyeon utilization form. For example, if you compare words by buzzing sound as follows.

아래 표 6은 용언의 기본형과 연음형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Table 6 below sh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basic form and the consonant form.

받침
소리
support
sound
{-다}형
기본형
{-Many}
Basic type
{-아요/어요}의
활용형
{-No / I'm}
Utilization
{-(으)니}의
활용형
Of {-
Utilization
비고  Remarks
[ㄱ] [ㄱ] 먹다 [먹따]Eat [eat] ^먹어요 [^ Eat [ 머거요What ]] ^먹으니 [^ Ate [ 머그니Mug ]] [ㄲ] [ㄲ] 묶다 [묵따]Bind [mook] ^묶어요 [^ Bundle [ 무꺼요What ]] ^묶으니 [^^ 무끄니Mute ]] [ㄴ] [N] ^알다 [알다]^ Know [know] ^알아요 [^ I know [ 아라요Ara yo ]] ^아니 [아니]^ No [No] [ㄴㅈ] [ㄴㅈ] 앉다 [안따]Sit down ^앉아요 [^ Sit down [ 안자요Do not sleep ]] ^앉으니 [^ I sat down 안즈니Anzni ]] [ㄴㅎ] [ㄴㅎ] 않다 [안타]No [hits] 않아요 [아나요]No [No] 않으니 [아느니][No] [ㅎ]의 잠재성[ㅎ] potential [ㄷ] [C] 듣다 [듣따]Hear [hear] ^들어요 [^ Hear [ 드러요Reveal ]] ^들으니 [^ Heard [ 드르니Drnie ]] [ㄹ] [ㄹ] ^불다 [불다]^ Blow [Blow] ^불어요 [^ Blow [ 부러요I break ]] 부니 [부니]Bunny Bunny [ㄹㄱ] [ㄹㄱ] 맑다 [막따]Clear [Makta] ^맑아요 [말가요]^ It's sunny. ^맑으니 [^ It's sunny [ 말그니Malgn ]] [ㄹㅁ] [ㄹㅁ] 닮다 [담따]Resemble [dam] ^닮아요 [달마요]^ Resembles [dalma] ^닮으니 [ 달므니] ^ Resembling [ sweet ] [ㄹㅂ] [ㄹㅂ] 밟다 [밥따]Tread on [tapping] ^밟아요 [^ Tread on [ 발바요Balbayo ]] ^밟으니 [^^ I stepped on 발브니Valvny ]] [ㄹㅌ] [ㄹㅌ] 핥다 [할따]Lick ^핥아요 [^ Lick [ 할타요Haltayo ]] ^핥으니 [^ I licked [ 할트니Haltney ]] [ㄹㅍ] [ㄹㄷ] 읊다 [읍따][Euptata] ^읊어요 [^^ [ 을퍼요It's fun ]] ^읊으니 [^^ 을프니Elfney ]] [ㄹㅎ] [ㄹㅎ] 잃다 [일타]Lose [else] 잃어요 [이러요]I lose [This] 잃으니 [이르니]I'm lost. [ㅎ]의 잠재성[ㅎ] potential [ㅁ] [ㅁ] 담다 [담따]Put [dam] ^담아요 [^ ^ [ 다마요Tadayo ]] ^담으니 [^^ 다므니Dame ]] [ㅂ] [ㅂ] 집다 [집따]Pick up ^집어요 [^ Pick up [ 지버요Governor ]] ^집으니 [^^ 지브니Gibnie ]] [ㅂㅅ] [ㅂㅅ] 없다 [업따]None [Upta] ^없어요 [업써요]^ No [write it] ^없으니 [업쓰니]^ No [up] [ㅄ]에서 [ㅅ]의 경음화Homicide of [ㅅ] in [ㅄ] [ㅅ] [ㅅ] 웃다 [우ㄷ따]Laugh [Uta] ^웃어요 [우서요]^ L laugh [Usser] ^웃으니 [^ L laugh [ 우스니Funny ]] [ㅅㅅ] [ㅅㅅ] 있다 [이ㄷ따]There is [tata] ^있어요 [^ ^ [ 이써요This ]] ^있으니 [^^ [ 이쓰니Itsni ]] [ㅈ] [ㅈ] 찾다 [차ㄷ따]Look for [Chatta] ^찾아요 [차자요]^ Find [Tea] ^찾으니 [^ Found [ 차즈니Chazni ]] [ㅌ] [ㅌ] 맡다 [맏따]Take [elderly] ^맡아요 [^ Take it [ 마타요Matayo ]] ^맡으니 [ 마트니] ^^ I'm taking it [ Martney ] [ㅍ] [T] 깊다 [깁따]Deep [Gibta] ^깊어요 [^ Deep [ 기퍼요Gipper ]] ^깊으니 [^^ 기프니Gifney ]] [ㅎ] [ㅎ] 놓다 [노타]Put [nota] 놓아요 [노아요]Let go [No] 놓으니 [노으니]Let go [no] [ㅎ]의 잠재성[ㅎ] potential

상기 표 6에서 [ ]표 안은 발음형태이고, ^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형태이다.In Table 6, the [] mark is a pronunciation form, the ^ mark is a form in which the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match.

상기 표 6에 따르면, 기본형인 {-다}형은 다만 [ㄴ,ㄹ]받침소리에서만 표기와 발음이 일치할 뿐이다. 그런데, 연음형인 {-아요/어요}형이나 {-(으)니}형은 다만 {없어요}의 경우나 {않아요, 잃어요, 놓아요}와 같은 자리에서만 [ㅎ]이 연음하지 않을 뿐, 다른 모든 낱말에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6, the basic type {-da} type only coincides with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only in the sound of [b, r]. However, the consonant type {-no / uh} or {-(ee)} is not only in the case of {no} or in the same place as {no, lose, let go}. In every word you can see that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match.

{없어요}의 경우에 [ㅅ]을 [ㅆ]으로 연음하는 것은 [업+서]와 같은 소리 연결에서 생기는 경음화 현상으로서, [ㅂ](폐쇄음)의 다음에 오는 [ㅅ]은 된소리가 되는 이른바 '경음화 규칙'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어느 정도 연음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리가 경음화 환경에 놓여서 경음화 되어 연음하는 것을 가리켜 '경음화 연음' 또는 '된소리 연음'이라고 말하고자 한다.In the case of {no}, the consonant of [ㅅ] to [ㅆ] is a phenomena caused by a sound connection such as [up + book], where [s] after [ㅂ] (closed sound) becomes an old sound. It's based on the "honoring rules." Therefore, this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the sound to some extent. In this way, the sound is placed in the homonic environment, and the humonic and the groin is referred to as `` homonic groin '' or `` honed sound groin ''.

또한 [ㅎ]받침의 경우에 [ㅎ]받침이 활용된 형태라는 것을 구조를 통하여 보여 준다. 예를 들면 {좋아요}의 [ㅎ]이 연음되지 않는다고 해서 [조요]라고 발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좋아요}의 발음은 [조요]가 아니라 [조아요]인 것이다. [ㅎ]이 [-아요]의 [ㅇ]과 합쳐진 것과 같다. 따라서 [ㅎ]이 비록 연음하여 소리로 발음은 되지 않아도 [-아]속에 잠재적으로 담겨 있다는 것을 구조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본 설명에서는 '[ㅎ]의 잠재적 연음'현상이라고 말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shows that the [he] support is used in the case of the support. For example, {like} 's [ㅎ] is not pronounced because it is not consonant. The pronunciation of {like} is [zoa], not [joyo]. [ㅎ] is the same as [ㅇ] in [-No]. Thus, it is structurally indicating that [ㅎ] is potentially contained in [-ah] even though it is consonant and not pronounced as a sound. In this description, I will refer to it as a "potential salary of [he]."

이와 같은 [ㅅ]의 경음화 연음 현상이나 [ㅎ]의 잠재적 연음 현상이라는 특수한 두 가지 연음현상을 제외하면 모든 낱말 활용형에서 발음 표기 일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Except for the two special symptom phenomena, such as the symptom consonant phenomena of [ㅅ] or the potential consonant phenomena of [ㅎ], it can be seen that all words have a phonetic notation matching structure.

정리하면, 연음형인 모음 어미 활용형은 받침소리 정보를 제대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전 검색 방법으로 이 활용형을 사용하면, 기본형에서 얻지 못하던 받침소리 정보를 제대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것을 맞춤법의 학습과정에 있는 사람들에게 학습용 사전으로 제공해 준다면,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국어에는 지혜로운 구조가 있어서, 7종성법의 발음 제약에만 묶여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표기법 받침소리 27가지가 모두 자연스럽게 자기 음가를 실현할 수 있는 기제가 마련되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연음법이다.  In summary, since the consonant vowel mother utilizing type can correctly display the supporting sound information, using this utilizing type as a dictionary search method, it is possible to properly receive the supporting sound information which was not obtained from the basic type. If you provide it as a learning dictionary for people in the spelling process, you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your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has a wise structure, which shows that it is not tied to the pronunciation constraints of the Seven Species Act. All 27 kinds of notation standoffs have a mechanism to realize their own sounds naturally.

모음 어미 활용형은 {-(으)니}형과 같은 비종결형과 {-아/어}나 {-아요/어요}형과 같은 종결형이 있다. 모음 어미 활용형에 사용될 만한 것 몇 가지만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The vowel ending conjugations are nonterminal, such as the {-, or}, and terminating, such as the {-a / uh} or the {-oh / uh}. Here are some of the things that can be used for vowel endings:

아래 표 7은 모음 어미 활용형의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Table 7 below shows the types of vowel endings.

종결형             Termination 비종결형Unterminated 해체
(반말)
Dismantling
(Half-end)
하오체
(예사 높임)
Haoche
(Excite the ordinary)
해요체
(예사 높임)
Body
(Excite the ordinary)
{-아/어}{-Ah oh} {-오}{-Five} {-아요/어요}{-No / I don't} {-(으)니}
{-(으)면} 등
{-
{-If}
{아/어}
{-아서/어서} 등
{Ah oh}
{-Arthur / go} etc

상기 표 7에 따르면, 종결형으로 세 가지와 비종결형으로 두 가지를 예시하였다. 종결형에는 반말로서 '해체'와 예사 높임으로써 '하오체, 해요체'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7, three examples of the termination type and two of the non-termination type are illustrated. In the final form, there are 'dissolution' as half-word and 'haoche' and 'hazeche' by raising the ordinary.

존대어 등급은 학자에 따라서 다른데, '해체, 하오체, 해요체'로 제시한 것은 남기심·고영근 선생님의 『표준 국어문법론』(탑출판사,1996), 157쪽에 제시된 상대높임법에 따른 것이며, 괄호 안의 '반말, 예사 높임'이라는 용어는 최현배 선생님의 『우리말본』(정음문화사,1929/1991), 266쪽에서는 '아주 낮춤(해라), 예사 낮춤(하게), 예사 높임(하오), 아주 놓임(합쇼), 반말(등외)'로 제시된 바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종결형 {-아/어}는 반말로 해체에 들어가고, {-오}와 {-아요/어요}는 하오체와 해요체로서 예사 높임에 해당된다. John D. grades vary from scholar to scholar, and the expressions of dissolution, Haoche, and Hajache are based on Relative Elevation, a standard Korean grammar of Korean writing by Nam Ki-sim and Ko Young-geun (top publisher, 1996). The term `` examination of exorcism '' refers to Choi Hyun-bae's Korean Letter (Jeongum Culture History, 1929/1991), on page 266, `` Very low (low), executive lower (high), ordinary high (hao), very missing (haphop), It is according to the 'proposition'. According to this, the final {-a / uh} is dismantled in half, and {-o} and {-a / uh} are Haoche and Hajache, which is equivalent to ordinary exaltation.

연음하는 활용형 중에서 대표적인 활용형을 '대표 활용형'이라고 말하고, 종결형과 비종결형에서 한 가지씩 선정해 보고자 한다. 대표 활용형으로 종결형에서는 {-아/어}형이 알맞아 보이지만, 일상생활에서 존댓말로 {-아요/어요}형이 많이 사용된다. 반말체로 {-아/어}를 꼽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비종결형으로는 {-(으)니}형이 있다. 연음형으로 사용되는 모음 어미는 종결형의 {-아/어}계통과 연결형의 {-으}계통이 있으므로, 종결형으로는 {-아/어}가 꼽힐 수밖에 없다. Among the conjugated forms, the representative ones will be called 'representative use' and we will select one from the final type and the non-end type. In the final form, the {-A / er} form seems to be appropriate in the closing form, but the {-No / er} form is used a lot in everyday life. It may be more convenient to use {-a / uh} as half-words. Unterminated forms include {-(e) ni}. The vowel endings used as the soft-phone type have a {-a / word} line of the ending type and a {-E} line of the connection type, so {-a / word} is the final type.

연음하는 활용형에서 잠정적으로 대표 활용형을 선정해 본다면 {-아/어}형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인 존대법을 대표 활용형에 반영한다면 {-아요/어요}가 알맞은 것으로 보인다. 존댓말이 못마땅하다면, 자연스럽게 {-요}를 제외한 형태인 반말체로 {-아/어}형으로 종결형을 만들면 결과적으로 {-아/어}형이 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볼 때 비종결형의 대표 활용형은 {-(으)니}가 알맞다.If you select the representative application form from the consonant application form, you can use the {-A / English} form. However, if one reflects the Korean law,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the representative application form, {-no / uh} seems appropriate. If you don't like it, you can end up with {-a / uh} in half-phrases, naturally except for {-yo}. In the same vein, {-(g)} is appropriate for the non-terminating representative use type.

물론 이와 같은 대표 활용형의 선정은 재론의 여지가 있는 것이고, 필요한 경우 더 많은 논의가 요구되는 부분이므로, 다만 잠정적으로 선정해 놓은 것으로 여기고자 한다. Of course, the selection of such a representative utilization type is a matter of reconsideration, and further discussion is required if necessary, so it is considered as a provisional selection.

다음에는 체언의 활용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체언에 조사가 붙지 않은 상태를 '체언 기본형'(이하 '기본형'이라 함)이라고 말하고, 체언에 조사가 결합한 형태를 '체언 활용형'(이하 '활용형'이라 함)이라고 하며, 사전에 표제어로 올리는 체언을 '체언 표제어'라고 말하고자 한다. Next, I will explain the usage of the statement. The state where no investigation is attached to the statement is referred to as 'base 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ic form'), and the form in which the investigation is combined with the statement is referred to as 'convention 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ntional form'), I would like to refer to a statement as a 'heading of the word'.

체언 표제어의 문제점도 용언 표제어의 경우와 같이,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엌}의 발음은 [부억]이고, {삶}의 발음은 [삼]이므로, 기본형은 표기와 발음이 다르다. {삶, 옷, 꽃} 등과 같은 일상적인 말도 표기와 발음이 다른 것이다. The problem with the word heading is that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re often inconsistent with the word heading. For example, the pronunciation of {kitchen} is [fugeum] and the pronunciation of {life} is [sam], so the basic form is different from the pronunciation. Ordinary words like {life, clothes, flowers} are also different in notation and pronunciation.

체언에 사용되는 받침소리를 중심으로 체언 기본형과 연음형을 표로 예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table illustrates the basic form of the meditation and the tympanum based on the sound of the support used for the narration.

아래 표 8은 체언 기본형과 연음형의 형태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Table 8 below sh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basic form and the consonant form.

받침
소리
support
sound
기본형
(조사 없음)
Basic type
(No investigation)
{-이/가}형
활용
{-This / ga}
uses
{-을/를}형
활용
{-/}
uses
비고  Remarks
  A ^{복} [복]^ {Happy} [happy] ^{복이} [보기}^ {Happy} [View} ^{복을} [^ {Happy}} 보글Square ]]   ㄲ {밖} [박]{Out} [night] ^{밖이} [^ {Out}} 바끼Baki ]] ^{밖을} [^ {Out} [ 바끌Busy ]] ㄱㅅ  ㄱㅅ {몫} [목]{Share} [Thursday] {몫이} [목씨]{Share} [Thursday] {몫을} [목쓸]{Share} [throat] [ㄳ]에서 ㅅ경음화 연음 Homonic chords in [ㄳ]   N ^{안} [안]^ {Not} [not] ^{안이} [아니]^ {Inside} [no] ^{안을} [^ {Inside} [ 아늘Today ]]   D ^{불} [불]^ {Fire} [fire] ^{불이} [부리]^ {Fire} [beak] ^{불을} [부를]^ {Light} ㄹㄱ  ㄹㄱ {닭} [닥]{Chicken} ^{닭이} [달기]^ {Chicken} [dang] ^{닭을} [^ {Chicken} [ 달글Calligraphy ]] ㄹㅁ  ㄹㅁ {삶} [삼]{Life} [3] ^{삶이} [^ {Life} [ 살미salmi ]] ^{삶을} [^ {Life} [ 살믈Salme ]]   M ^{담} [담]^ {Dam} [dam] ^{담이} [^ {History} [ 다미Dami ]] ^{담을} [^ {Talk}} 다믈Damm ]]   ㅂ ^{집} [집]^ {Home} [home] ^{집이} [^ {House}} 지비Zivi ]] ^{집을} [^ {House} [ 지블Jibble ]] ㅂㅅ  ㅂㅅ {값} [갑]{Value} [A] {값이} [갑씨]{Value} [Gap] {값을} [갑슬]{Value} [parse] [ㅄ]에서 ㅅ의 경음화 연음Homonic chords of s in [ㅄ]   S {옷} [오ㄷ]{Clothes} [o] ^{옷이} [오시]^ {Clothes} [come] ^{옷을} [^ {Clothes} [ 오슬Oslo ]]   ㅇ ^{종} [종]^ {Bell} [bell] ^{종이} [조이]^ {Paper} [Joy] ^{종을} [^ {Bells} [ 조을Tighten ]]   ㅈ {낮} [낟]{Day} [낟] ^{낮이} [나지]^ {Lower} [naji] ^{낮을} [^ {Lower} [ 나즐Nazle ]]   H {꽃} [꼬ㄷ]{Flower} [Tsu] ^{꽃이} [꼬치]^ {Flowers} [skewers] ^{꽃을} [^ {Flowers} [ 꼬츨Kotzl ]]   Lol {부엌} [부억]{Kitchen} [Kitchen] ^{부엌이} [^ {Kitchen} [ 부어키Swollen ]] ^{부엌을} [^ {Kitchen} [ 부어클Buckle ]]   ㅌ {팥} [파ㄷ]{Red bean} [Pad] {팥이} [파치]{Red bean} [pachi] ^{팥을} [^ {Red beans} [ 파틀Fattle ]] [ㅌ]구개음화 연음[ㅌ] palatalization   ㅍ {숲} [숩]{Forest} [숩] ^{숲이} [수피]^ {Forest}} [bark] ^{숲을} [^ {Forests} [ 수플Souffle ]]

상기 표 8에서 ^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형태이고, []안은 연음형이다.In Table 8, the ^ mark is a form in which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match, and the [] is a soft-sound type.

상기 표 8에 따르면, {옷}과 {꽃}의 발음 형태로 적어 놓은 [오ㄷ]과 [꼬ㄷ]은 'ㄷ'받침이 잘못 적힌 것인데, 이것은 '특허청 전자문서 작성기'의 기능이 좋지 않아서 [오]에 [ㄷ]받침이 붙지 않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리고 {종이}의 발음형태인 [조이]의 [이]는 비음(콧소리)으로서의 이응이다. According to Table 8, [o] and [ko] written in the pronunciation form of {cloth} and {flower} are incorrectly written in the 'c' support, which is because the function of the 'Patent Office Electronic Document Composer' is not good. It is because [c] is not attached to [o]. And [Joy] 's [yi], the pronunciation form of {paper}, is a response to nasal noise.

또한,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언 기본형은 [ㄱ, ㄴ, ㄹ, ㅁ, ㅂ, ㅇ](6개)를 제외한 모든 낱말에서 표기와 발음이 일치되지 못한다. [ㄷ]까지 넣으면, 받침소리의 7종성법만 표기와 발음이 일치할 뿐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8, the basic form of the telegram does not match the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in all words except [a, b, d, ㅁ, ㅂ, ㅇ] (6). If you put up to [ㄷ], only the seven-jong method of goblin sound matches the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이에 비하여, 연음형은 [ㅂㅅ]과 [ㅌ]받침소리를 제외하고 모든 낱말에서 표기와 발음의 일치 구조를 갖는다. [ㅅ]을 [ㅆ]으로 연음하는 경음화 연음이다. 이것은 상기 표 6의 용언의 기본형과 연음형 비교의 설에서 살펴 본 바 있다. 그리고 [ㅌ]받침소리로서 {팥이}가 [파치]로 연음되는 경우는 [이] 앞에서 [ㅌ,ㄷ]이 구개음화된 것이므로 '구개음화 연음'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In contrast, the yin-myeon type has the coincidence structure of notation and pronunciation in all words except for [ㅂㅅ] and [ㅌ] buzzing sound. It is a consonant consonant with [ㅅ] as [ㅆ]. This has been discus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asic form and the soft form of the word of Table 6. In the case of [팥] as the sound of [ㅌ] as the sound of [papa], [ㅌ, c] is palatalized in front of [I], so I want to say that it is palatalized.

따라서, 체언의 {-이/-을}에 의한 연음 활용형에서는 경음화 연음과 구개음화 연음을 제외하면 모든 체언의 연음 활용형이 표기와 발음 일치 구조를 갖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sonant conjugation type of {-i /-} of the conjecture, the consonant conjugation type of all the consonants has a notation and pronunciation matching structure except for the consonant consonant and palate consonant consonants.

이상과 같이, 표 7과 표 8에서 용언과 체언의 연음 활용형의 예시를 통하여 어미 {-아/어, -(으)니}와 조사 {-이/을} 등의 활용 구조를 살펴본 바에 따라서 연음 활용형의 구조를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xamples of the consonant utilization type of verbs and utterances in Tables 7 and 8, the consonants such as the ending {-a / er,-)} and the survey {-/} are examined. We will briefly summarize the structure of the utilization type.

아래 표 9는 연음 활용형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Table 9 below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sonant utilization type.

연음의 종류Kind of note 연음 활용형의 예Example of soft use 연음 작용 Softening 연음 대상A sound target (1) 일반적 연음법(1) general penis 특수 연음 방법 3가지를 제외한 27가지 받침소리 전체
예: {꽃이}[꼬치]
27 kinds of standoffs except 3 special methods
Example: {Flower} [Skewers]
받침소리(종성)가 다음 음절의 첫자음(초성)으로 연음함Bass sound (jongseong) consonants as the first consonant (secondary) of the next syllable 받침소리
27가지
전체
Buzz
27 kinds
all
(2)특수한
연음법
(2) special
Penis
ㄱ) 경음화
연음
A) homization
liaison
폐쇄음 다음의 [ㅅ]받침:{없어} [업써]Closed sound following [ㅅ]: {none} [write it] [ㅂ]다음에 오는 [ㅅ]을 [ㅆ]으로 연음함[ㅂ] followed by [ㅂ] as [ㅆ]
ㄴ) 구개음화
연음
B) palatalization
liaison
[이]앞의 [ㅌ]받침.
예: {밭이} [바치]
[ㅌ] support before [this].
Example: {field}}
[ㅌ]을 [ㅊ]으로 연음함Consonant with [ㅌ] as [ㅊ]
ㄷ) 잠재적
연음
C) potential
liaison
[ㅎ]의 [ㅇ]소리 되기: {좋아요}[조아요]Being a [ㅇ] sound of [ㅎ]: {like} [Joah] [ㅎ]을 [ㅇ]으로 연음함Conquered [ㅎ] as [ㅇ]

상기 표 9에 따르면, 맞춤법으로 규정된 받침소리 27가지 전체가 연음하는 활용형의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낱말 형태에서 연음 활용형의 구조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면 기본형보다 연음 활용형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연음법의 교육은 모음 어미와 모음 조사가 연결될 때 연철과 연음이 되는 방식으로 몇 시간 안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특수한 연음법은 근본적으로 소리의 성질이 반영된 것이므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배운 사람들은 발음을 해보면 소리의 느낌에서 어느 정도 특수한 연음의 감을 잡을 수 있게 되기도 한다. 또한 소리가 놓인 환경에 따라서 소리 성질을 반영한 것으로 한정된 조건에서만 실현되는 것이므로 이해하기 쉬운 교육으로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문법으로도 연결되어 해결될 수 있다. 사전을 검색하는 데에서는 사전의 안내말에서 특수한 연음법을 제시해 줄 수도 있으므로, 지나치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9, it can be seen that all 27 kinds of support sounds defined by spelling have a conjugation type structure. Therefore, if the educ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consonant utilization type in the Korean word form is strengthened, the practicality of the consonant utilization type can be improved. In general, the teaching of consonants can easily be accomplished in a few hours, in the form of wrought iron and consonants when vowel endings and vowel surveys are connected. And because the special choonmyeon method is a reflection of the nature of the sound fundamentally, people who have learned Korean as a native language may be able to grab some sense of the special choon in the feeling of sound. In addition, since the sound properties are refle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ound is placed, they can be solved by easy-to-understand education because they are realized only in limited conditions. And this can also be solved by linking to the grammar. Searching the dictionary may suggest a special symptom in the dictionary's instructions, so don't worry too much about it.

조사는 연음형을 만드는 기제가 잘 마련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조사 {-이/가, -을/를, -은/는}형 등은 체언의 끝음절에 받침이 있으면 {-이, -을, -은}을 붙이고, 받침이 없으면 {-가, -를, -는}을 붙여서 구별한다. 예를 들면, 받침이 있는 {꽃}은 {꽃이, 꽃을, 꽃은}과 같이 활용되고, 받침이 없는 {나무}는 {나무가, 나무를, 나무는}과 같이 활용된다. 조사 {-이, -을, -은} 등은 모음형 조사라고 말하고, {-가, -를, -는} 등은 자음형 조사라고 말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조사의 특별한 구조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체언이 연음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모음형 조사가 잘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The survey intends to emphasize the well established mechanisms for making soft sounds. That is, the survey {-, /,-, /-, etc., type {-,-,--} if the end syllable has a support, {-, -Is separated by-. For example, the {flower} with the base is used as {flower, the flower, the flower}, and the {tree} without the base is used as {tree, the tree, the tree}. The survey {-i,-, -eun} and the like are referred to as vowel surveys, and the {-ga,-,-and} are called consonant surveys. Here you can see the special structure of the survey. In other words, vowel surveys are well-equipped to make the statement more convenient.

한 가지 고려할 점은 체언에 조사를 붙인 상태를 낱말형으로 보는 관점이다. 학교문법에서는 조사를 자립형태소로 보므로 체언도 자립형태소이고 조사도 자립형태소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조사는 의존성도 있는 것이므로 학교문법과 달리 학술적으로는 아직도 논란이 있다. One thing to consider is the way in which words are examined in word form. In the school grammar, investigation is regarded as an independence form, so the statement becomes an independence form and the investigation becomes an independence form. However, research is also dependent and academically controversial, unlike school grammar.

이 설명에서는 {삶이}와 같은 활용형을 낱말의 활용형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용언의 경우와 맥락을 같이 해보려는 것이다. 즉 어간에 어미가 붙어서 활용형의 낱말이 되는 것처럼, 체언도 조사가 붙은 상태를 활용형의 낱말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낱말의 개념에 대하여 아직도 학술적인 논란이 있지만, 체언에 조사가 붙은 활용 형태를 '활용형 낱말'로 보는 데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In this explanation, we see the use of the word {life} as the use of the word. This is intended to be in the same context as the case of words. In other words, as the ending is attached to the stem to become the word of the conjugation type, the statement is to see the state of the investigation as the conjugation type word. In essence, there is still academic controversy about the concept of words, but it seems reasonable to view the forms of use in which the message is investigated as 'use words'.

특히, 모든 체언도 서술격조사라고 말하는 {-이다}를 붙이면 모두 용언이 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꽃}에 {-이다}를 붙인 활용형은 {꽃이다}이므로 이것은 용언처럼 활용된 낱말이 된다. 또한 명사에 따라서 {-하다}나 {-한다}를 붙여서 형용사나 동사로 활용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예를 들면, {행복}은 {행복하다}라는 형용사가 되고, {공부}는 {공부한다}라는 동사가 된다. 이렇게 체언이 용언으로도 활용되므로 체언에 조사를 붙이는 활용형도 같은 맥락에서 활용형 낱말이라고 보고자 한다. In particular, all the words also have the feature of being a verb if you add {-to}, which is called a descriptive check. For example, the conjugation type of {flower} to {flower} is {flower}, so it is a word used as a verb. Also, there are too many cases of using adjectives or verbs by adding {-to} or {-hand} depending on nouns. For example, {happy} becomes the adjective {happy}, and {study} becomes the verb {study}. Since the statement is also used as a verb, I would like to see the conjugation form attached to the investigation as a conjugation word in the same context.

체언 활용형인 {꽃이다}는 {꽃이-니, 꽃이-고, 꽃이-면} 등과 같이 활용되므로, 여기서는 {꽃이-}라는 형태를 어간의 구성으로 볼 수가 있게 된다. 체언도 활용형에 따라서는 어간의 일부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체언의 활용형은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안에 조사의 활용형 낱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expression {flower is} is used as {flower-nee, flower-go, flower-cotton}, so the form of {flower-} can be seen here as a stem of the stem. The statement can also be part of the stem,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utilization forms of the statement are diverse and complicated, and the utilization forms of the surve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체언 활용형은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에서는 표제어 부분에서, 대표형 표제어나 부속형으로 올려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문자나 음성으로 검색하는 질의어로 사용될 수도 있는 낱말 활용형이라고 볼 수 있게 된다. In the Korean dictionary, which is used to search by all utilization forms, the word usage form can be considered as a word utilization form that can be uploaded as a representative heading or appendix in the heading section, or can be used as a query word searched by the user freely by text or voice.

1.4. 활용형의 1.4. Conjugation 실음어간과Real fish liver 어간  interval 근원음의Source 개념 정립과 응용 방법 Concept formulation and application method

연음법의 활용형뿐만 아니라 7종성법의 발음 제한을 받는 활용형까지 포함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될 수 있는 한국어사전이 되면 가장 이상적인 사전이 될 것이다. The Korean dictionary, which can be searched for all conjugations of words, including conjugations of the consonants and pronunciations of the seven kinds of consonants, will be the most ideal dictionary.

다양하고 섬세한 낱말의 활용을 갖는 한국어의 특징을 사전에 반영하려면 모든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사전의 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용언과 체언 등의 모든 낱말의 활용형을 표제어로 올려놓으려면 종이사전은 물론 전자사전이라고 하더라도 그 분량을 감당할 수 없다. 또한 기본적인 의미가 같고 활용의 형태만 많이 달라지는 활용형을 모두 올려놓을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다만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을 할 수 있는 방법(기능)만 갖추고 있으면 되는 것이다.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use of various and delicate words in the dictionar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dictionary to search by utilizing all words. However, if you want to put all the words, such as verbs and verses in the headings as a heading, even a paper dictionary as well as an electronic dictionary can not afford the amount.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ut up all the use forms that have the same basic meaning and vary greatly in the form of application. Therefore, you only need to have a way to search by all the forms of the word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표기형을 포함하여 발음형과 음성형(음성언어)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창안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nd present a method that can be searched in all the utilization forms of pronunciation and phonetic (speech language), including notation.

기존의 사전은 일반적으로 표기법에 따른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고, 발음사전이라고 하더라도 활용형은 배제하고 역시 기본형의 발음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발음사전 중에서 예를 들면, 한국방송공사 편저, 『표준 한국어발음대사전』(어문각, 1993)의 경우에 낱말의 기본형을 표제어로 삼아서 발음정보를 제공하고, 부록에서도 역시 기본형의 발음을 표기형으로 바꾸어 볼 수 있게 해 주었으며, 뜻풀이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Existing dictionaries generally use the basic form according to the notation as the heading, and even if it is a pronunciation dictionary, only the pronunciation of the basic form is excluded. Among the pronunciation dictionaries, for example, in the Korean Broadcasting Corporation, `` Standard Korean Phonetic Dictionary '' (Engmungak, 1993), the basic form of a word is used as a heading and pronunci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made visible and does not provide an explan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표제어 부분과 뜻풀이 부분을 갖는 일반적 한국어사전에서 표기형과 함께 발음형 및 음성언어로 입력하여 검색하는 방법까지 합하여 모든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실현하려면 기존의 표기법에 따른 형태분석의 방법과 다른 발음형의 형태분리 방법이 필요하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Korean dictionary having a heading part and a meaning pool part is to find a method of searching by utilizing all words by adding a search method by inputting a phonetic type and a phonetic language together with a notation type. In order to realize such a method, a method of morphological analysis based on a conventional notation and a method of morphological separation of a pronunciation type a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형태소분석 방법과 같이 어미와 조사를 분리하는 형태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낱말 활용형의 실제 발음 형태로 어간을 분리하는 새로운 형태분리 방법을 창안하였다. 이것은 발음형과 표기형의 모든 낱말 활용형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공통음형'을 설정하고, 이것을 사전의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 설정하는 방법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ised a new morphological separation method that separates stems into actual pronunciation forms of word-utilized forms, without using the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that separates the mother and the investigation as in the conventional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This is a method of classifying all the word utilization forms of pronunciation and notation into several types to set up 'common phonetic forms' and setting them in the composition of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공통음형'이란 여러 활용형이 공동으로 갖는 음형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발음형에서 [말가요, 말가코, 말가니, 말간데] 등은 [말가-]라는 음형을 공통으로 갖는다. 따라서 [말가-]라는 공통음형을 표제어 부분에 설정해 놓고, [말가요, 말가코, 말가니, 말간데] 등과 같은 낱말 활용형으로 질의어(검색어)가 입력되면 그 표제어 부분을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공통음형 [말가-]는 [말가요, 말가코, 말가니, 말간데] 등과 같은 활용형들을 모두 수렴한다는 것이다.'Common Sound' refers to the sound form that several utilization forms have in common. For example, in the pronunciation form [singers, horses, horses, horses, etc.] have a common phonetic form of [horses]. Therefore, the common phonetic form [malga-] is set in the heading part, and when a query (search word) is entered in a word utilization type such as [gasga, malgaco, horsegage, horse, etc.], the heading part can be found. . In other words, the common phonetic [marga-] converges all of the conjugations such as [gaga, malgako, malagai, magane].

표기형에서는 기존의 '기본형의 어간 형태'(이하 '기본어간'이라 함)가 곧 공통음형이 되는 셈이다. 예를 들면, {맑아, 맑다, 맑고, 맑으니, 맑지만} 등과 같은 표기형의 모든 활용형은 단순하게 {맑-}이라는 기본어간을 한 가지만 갖기 때문이다. In the notation form, the existing 'base stem 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ic stem') becomes a common phonetic form. For example, all utilization forms of the notation {{clear, clear, clear, clear, clear}, etc., simply have one basic stem, {clear-}).

이러한 공통 음형은 실제의 소리로 실현되므로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사전에서는 낱말 활용의 발음형과 표기형이 갖는 공통 음형을 설정하고, 이것을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사용한다는 것이 핵심적 구상이다. 여기서는 낱말 활용 현상에 나타나는 '발음형의 공통음형'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여 이론적 근거로 삼고자 한다. '발음형의 공통음형'은 어간과 같은 맥락을 갖는 개념으로서 활용형이 갖는 발음형 어간의 이형태들의 집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음형은 실제 소리로 실현되므로 '활용형의 실음어간'(이하 '실음어간'이라 함)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이는 발명에서 활용형에 나타나는 실제의 발음형 어간이라는 개념을 찾게 된 것이다. Since the common phonetic forms are realized with real sounds, the key idea is to set common phonetic forms of the phonetic and phonetic forms of words in the dictionary searched by all utilization forms, and use them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Here, I would like to put it as a theoretical basis by arranging with the concept of 'common phonetic form of phonetic form' appearing in word utilization phenomenon. The common phonetic form of the phonetic form is a concept that has the same context as the stem, and can be said to be a set of heteromorphic forms of the phonetic stem of the conjugation type. Since this common sound form is realized with real sounds, it is intended to say that it is a 'utilized real sound 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l sound stem'). This is to find the concept of the actual phonetic stem appearing in the utilization form in the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어간을 표기법에 따른 기존의 기본어간과 활용형에 따른 발음형의 실음어간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실음어간이란 낱말의 활용형에서 음형이 불변하는 부분이다. '불변하는 부분'이라는 것은 '어간'의 개념에서 빌려온 의미이다. 어간 개념은 불변하는 형태로서, 어미나 조사처럼 변하는 부분이 제외된 어휘의 중심적 형태를 가리킨 것이기 때문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is to be divided into the conventional basic stem according to the notation and the pronunciation between the pronunciation type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type. Real word stem is the part where the phonetic form is immutable in the utilization form of a word. 'Invariant part' is the meaning borrowed from the concept of stem. The concept of the stem is an immutable form, which refers to the central form of the vocabulary that excludes parts that change, such as affinity or survey.

기존의 기본어간은 7종성법의 발음 제한을 받아 실제 발음의 음형을 표시하지 못한다. 기존의 기본어간 개념은 {먹-}과 같이 불변하는 실질적 형태를 가리키는데, 이것이 발음될 때는 음형이 다르게 실현된다. 예를 들면, 표기형으로 {먹어, 먹었고, 먹는, 먹을, 먹고} 등은 항상 {먹-}이라는 형태를 밝혀서 적기 때문에, {먹-}이 불변하는 공통형태가 되어 어간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발음형에서는 [머거, 머거요, 머걷꼬, 머거도]등과 같은 활용형에서 불변하는 음형은 [머거-]가 되고, [멍느냐, 멍는다, 멍느라고, 멍는다면] 등과 같은 활용형에서 불변하는 음형은 [멍느-]가 된다. Existing basic stemming is restricted from pronunciation of 7 kinds and cannot show the sound type of actual pronunciation. The existing basic stemming concept refers to an immutable practical form, such as {Mok-}, when it is pronounced differently. For example, {eating, eaten, eaten, eaten, eaten}, etc., in the notation form {eat-} is always identified by the form of {eat-}, so {muck-} becomes an unchanged common form and can be defined as stem. However, in phonetic forms, the unchanging sound form in conjugations such as [Muger, Mugger, Murco, Murugdo, etc.] becomes [Murger-], and in conjugation such as [Joy, bruise, bruise, bruise], etc. The sound type is [snooze].

그러므로 실음어간은 맞춤법에 맞춘 표기형으로 규정한 기존의 기본어간과 다른 것으로서 발음형태로 활용되는 낱말의 발음형 어간이고, 낱말의 활용형이 실제 발음되는 소리형태로서 어휘적 의미를 담당한 실제의 음형어간이다. 전자사전을 비롯한 음성처리 분야에서는 발음형만 가지고 형태를 분석할 필요할 때가 있게 된다. 이때는 이러한 실음어간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Therefore, the real words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asic words defined by the spelling notation and are pronunciation type words of words used in pronunciation form, and the actual sound forms that are responsible for lexical meaning as sound forms in which the utilization type of words is actually pronounced. It is a stem. In the field of speech processing, including electronic dictionaries, there are times whe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 form using only a pronunciation type.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o use such a real ear stem.

또한, 실음어간은 발음 형태를 학술적으로 연구하는 데에 필요하게 될 것이다. 전통적으로 국어학의 형태론 연구는 표기법의 문자를 중심으로 하여 맞춤법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으므로 기존의 표기형 기본어간으로 언어 현상을 설명해 왔다. 그러나 소리의 저장과 재생이 쉬워지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향상으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한 발음의 음형에 대한 형태적 연구가 새롭게 요청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기존의 표기형 기본어간 하나만으로 다양하고 섬세하게 변화는 활용형의 실제 음형을 모두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In addition, real Chinese will be needed to study the pronunciation form academically. Traditionally, morphology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have been used to describe spelling phenomena with the basic notation of conventional notation, since spelling has been the main object of writing. However, as the storage and reproduction of sounds become easier, and the technology that can be freely used through various media is improved,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sound form of pronunciation based on the speech language is newly requested.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cover all of the actual sound forms of the utilized form, which are varied and delicately changed with only one of the conventional notation basic words.

이에 본 발명에서는 어간의 개념을 표기형의 기본어간과 발음형의 활용형 실음어간으로 구분하여 개념을 정리한 것이다. 이 방법은 표기형의 기본형에서 불변부분을 어간이라고 보는 것처럼 발음형의 활용형에서도 불변부분을 활용형 실음 어간으로 규정한 것이다. 발음형의 활용형에서 불변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좀 복잡하지만, 활용하는 양상을 음절단위로 보면 쉽게 불변부분을 찾아낼 수 있다. 다만, 음절 단위보다 더 작은 자음과 모음을 단위로 하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멍느-]는 [멍ㄴ-]로 더 넓혀서 규정할 수 있고 [말그-]는 [말ㄱ-]로 규정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the fish stem is divided into the basic stem of the notation type and the practical verb between the pronunciation type. This method defines the invariant part as the utilization type real sound stem in the usage type of the pronunciation type as the invariant part is regarded as the stem in the basic type of the notation type. Finding the invariant part of the phonetic form is a bit complicated, but if you use the syllables in syllables, you can easily find the invariant part. However, if the consonants and vowels smaller than the syllable units are used as the units, they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or example, [munch-] can be further defined as [munch-] and [malg-] can be defined as [mal-].

예를 들어, {먹어, 먹었다, 먹어라}의 발음형 [머거, 머걷따, 머거라]에서는 [머거-]가 불변하는 음형이다. 또한 {먹으니, 먹을, 먹은}의 발음형 [머그니, 머글, 머근]에서는 [머그-]가 불변하는 음형이다. 또한 {먹고, 먹지만, 먹다가}의 발음형 [먹꼬, 먹찌, 먹따가]에서는 [먹-]이 불변하는 음형이다. 그리고 {먹는다, 먹느라고, 먹느냐}의 발음형 [멍는다, 멍느라고, 멍느냐]에서는 [멍느-]가 불변하는 음형이다. 따라서 활용어간은 [머거- / 머그- / 먹- / 멍느-]와 같이 4가지 이형태로 볼 수 있다. 여기에는 기존의 표기형 어간 {먹-}도 포함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phonetic form of {eat, eat, eat}, [mugger-] is an immutable phonetic form. In addition, in the phonetic form of {eat, eat, eat}, [mug, mug, and root], [mug-] is an immutable sound form. Also, in the pronounced form of {eating, eating, but eating}, [eating-] is an immutable sound type. And in the phonetic form of [eat, eat, eat], [yoke-] is an immutable phoneme. Thus, the stem of stem can be seen in four forms such as [Muger / mug-/ ink-/ yoke-]. This includes the traditional notation stem {Mock-}.

체언에 {-이다}가 붙어서 활용되고 조사가 붙어서 활용되므로, 실음어간과 같은 개념을 적용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삶이, 삶인데, 삶이라면}의 발음형은 [살미, 살민데, 살미라면]이므로 실음어간은 [살미-]로 설정할 수 있다. {삶은, 삶을, 삶으로}의 발음형은 [살믄, 살믈, 살므로]이므로, 실음어간은 [살므-]라고 볼 수 있다. {삶도, 삶만}의 발음형은 [삼도, 삼만]이므로, 실음어간은 [삼-]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는 3가지 실음어간이 있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기존의 표기형 어간 {삶}을 포함시켜서 활용어간은 모두 [삶-/ 살미-/ 살므-/ 삼-]과 같이 4가지 형태로 말할 수 있다.  Since the statement is used with {-ida} attached to it and with investigation, it is intended to apply the same concept as the real word stem. For example, {life is life, if life} is pronounced [salmi, salmin, salmi ramen], so the real stem can be set to [salmi-]. The pronunciation of {life, life, life} is [salty, thin, live], so it can be regarded as "salm-". Since {life, life only} is pronounced [samdo, samman], the real word stem can be seen as [sa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real stems. Including the existing notation stem {life}, all the stems can be said in four forms, such as [life- / salmi- / salme- / sam-].

다음에는 또 한 가지 개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음어간 이형태 [머거- / 머그- / 먹- / 멍느-] 등에는 [머-]라는 공통음형이 있고, [삶- / 살미- / 살므- / 삼-] 등에는 [사-]라는 공통음형이 있다. 이와 같은 공통음형은 실음어간의 근원이 되는 음형이므로 '실음어간 근원음형'(이하 '어간 근원음'이라함)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기존의 표기형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의 이형태 등 모든 어간은 어간 근원음을 갖다. Next we can come up with another concept. For example, the actual form of mutant [merger- / mug- / ink- / bruise-] has a common phonetic form of [mer-], and [life- / salmi- / salme- / sam-] etc. [sa-] There is a common sound type. Since the common phonetic forms are the sound forms that are the roots between the real words, we will say 'the source between the real w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em root sound'). All stems, such as this form of conventional notation basic stem and real verb, have stem roots.

어간의 근원이 되는 음형은 불규칙 활용에서도 변하지 않는 음형이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규칙 활용형으로 표기형인 {듣는다, 들어요}이나 발음형인 [드르니, 드러라, 든는다] 등에서 어간 근원음은 {드-}라는 형태를 일정하게 갖는 것이다. The sound form that is the root of the stem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sound form does not change even in irregular utilization, so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oncept. For example, the stem root sound in the form of {listening, listen} or phonetic form [drun, reveal, lift] in irregular utilization forms has a form of {de-}.

따라서, 모든 활용형은 어간 근원음의 음형을 근원으로 성립된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어간 근원음의 범주 안에서만 활용이 성립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간 근원음은 모든 활용형의 검색 범위를 한정해 주는 역할도 갖는다. 전자사전의 표제어 검색에서 어간 근원음을 먼저 찾은 다음에 실음어간을 검색한다면 어간 근원음의 범위 안으로 검색의 범위를 좁혀 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ll the conjugations are characterized as being based on the sound form of the stem source sound. In other words, utilization can be established only within the scope of the stem. Thus, stem roots also play a role in limiting the search range of all applications. If the root source is found first in the headword search of the electronic dictionary, and then the stem stem is searched, the scope of the search can be narrowed within the range of the stem root.

모든 낱말의 활용형을 분석하고 분류할 수 있는 실음어간과 어간 근원음의 개념을 예시를 통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cept of real word stem and stem root sound that can analyze and classify all types of wor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아래 표 10은 실음어간과 어간 근원음 개념 정립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0 below shows an example of establishing a concept of real stem and stem root.

구분division 활용형 예시Application example 실음어간
(변음어간)
공통음형
Real
(Between variable words)
Common sound
어간수Stem 어간 근원음Stem source
용언Word 표기형Notation {맑아요, 맑으니, 맑고, 맑는다,
맑지, 맑다, 맑다가, 맑지만}
{It's sunny, it's sunny, it's sunny, it's sunny,
It's sunny, sunny, sunny, sunny}
{맑-} {Sunny-} 1가지1 branch [마][hemp]
발음형
(음성언어)
Phonetic
(Speech language)
[말가요, 말가, 말가서, 말가타] [Go, go, go, go to Malgata] [말가-] [Not sure]
5가지



5 kinds


[말그니,말그면, 말근데][Laughs, speak, speak] [말그-] [Mag-] [말꼬, 말끼도, 말끼만][Speech word, word, word only] [말-] [Words-] [막따, 막따니, 막찌, 막찌만][Makta, Maktani, Makchi, Makchiman] [막-] [membrane-] [망는다, 망는데, 망느라고][Mucks, ruined, ruined] [망-] [Net-] 체언Statement 표기형Notation {삶이, 삶은, 삶에, 삶도, 삶만,
삶을, 삶에도, 삶일찌라도, 삶}
{Life, life, life, life, life only,
Life, life, even life, life}
{삶-} {Life-} 1가지1 branch [사][four]
발음형
(음성언어)
Phonetic
(Speech language)
[살미, 살미니, 살미요][Salmi, Salmini, Salmi] [살미-] [salmi-]
4가지


4 kinds

[살믄, 살므로, 살믈] [Fine, live, live] [살므-] [Salme-] [살메, 살메는, 살메도][Salme, salme, salmedo] [살메-] [Salme] [삼도, 삼만][Three, three thousand] [삼-] [three-]

상기 표 10에 따르면, 용언과 체언별로 모든 활용형에서 기존의 표기형 기본어간은 {맑-}이나 {삶-}처럼 한 가지이지만, 실음어간은 5가지 정도의 이형태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표기형이나 발음형을 포괄하는 어근 근원음은 각각 [마]와 [사]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According to the above Table 10, the conventional notation basic stem is one such as {clear-} or {life-} in all utilization forms by verbs and verbs, but the actual stem has five forms. And root root sounds encompassing notation and pronunciation were analyzed as having [E] and [E], respectively.

이와 같이 실음어간의 형태분리로 모든 활용형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대표 활용형 {맑아}(맑다)의 모든 활용형은 [맑- / 말가- / 말그- / 말- / 막- / 망-] 등 6가지 실음어간 중에서 한 가지 형태를 가지고 활용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표 활용형 {맑아}를 갖는 낱말 활용형을 6가지로 분류한 것이므로, 이 6가지 실음어간으로 모든 활용형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망는다면]이라는 활용형은 실음어간 [망느-]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는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lassify all utilization forms by separating the forms between the actual words. For example, all the usage forms of the representative utilization form {clear} (clear) are used with one form among six real speech stems such as [clear-/ malga-/ malg-/ mal- / mak-/ net-]. Since it is classified into six types of word utilization having the representative utilization type {clear}, all the utilization forms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se six real words. For example, the conjugation type [if messed up] is analyzed to have [manne-] between actual words.

실음어간의 음형은 음절을 단위로 규정하였다. 즉, 자음 하나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망ㄴ-]이나 [살ㅁ-}의 [ㄴ-]이나 [ㅁ-]처럼 자음을 음절 밖에서 독립적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자음은 홀로 소리(음절)를 이룰 수 없어서 실음어간에는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장치의 기계적인 음성 처리에서도 이것이 편리할 것이라는 생각을 감안한 것이다. 자음이나 모음은 홀로 음절이 될 수 없다는 이론은 한글 창제를 해설한 문헌인 『훈민정음』원본의 '제자해'의 이론에 있다. 그러나 받아쓰기를 하고 자음과 모음을 단위로 어간을 나열하여 좀 더 포괄적으로 어간형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The sound form between real words is defined in syllable units. That is, one consonant is not marked separately. For example, consonants do not appear independently of syllables, such as [b-] or [b-] or [ㅁ-] of [salm-]. Consonants can not achieve the sound alone (syllables) because it does not match between real words. It also takes into account the idea that this would be convenient for the mechanical voice processing of electronic devices. The theory that consonants or vowels cannot be syllables alone lies in the theory of 'disciplinary' in the original text of Hunminjeongeum, a commentary on Hangeul creation. However, by using dictation and arranging stems by consonants and vowels, the stem form can be used more comprehensively.

실음어간은 한 가지 형태만 갖는 표기법의 기본어간에 비하여 여러 가지 이형태를 가지므로 복잡해 보이지만, 이것이 오히려 특징이 될 수 있다. 한국어 낱말은 불규칙으로 활용되는 낱말이 많은데, 이런 경우에도 실음어간은 모든 낱말이 발음되는 대로 활용되는 실제 발음의 소리를 어간으로 설정하는 것이므로, 오히려 실음어간으로 모든 낱말이 갖는 정확한 활용형을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전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모든 낱말을 정확하게 검색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용언과 체언 및 수식언 등 사전에 올린 모든 낱말 활용형을 실음어간으로 모두 분석함으로써 100% 완전하게 분석하는 형태분석기를 사용한 것과 같은 결과를 갖는 것이다. Real stems seem complicated because they have many different forms compared to the basic stem of a notation with only one form, but this can be rather characteristic. Many Korean words are irregularly used words. Even in this case, the real word is set to the stem of the actual pronunciation that is used as all words are pronounced, so you can search the exact utilization type of all words among the real word. It is. Therefore, when used in the dictionary has the feature that all words can be searched correctly. All words used in the dictionary, such as verbs, spoken words, and formulas, are analyzed in real words and have the same result as using a morph analyzer that analyzes 100% completely.

또한 사소한 문제점으로는 '동음이의어'와 비슷한 맥락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실음어간의 음형이 다른 실음어간과 중복되는 일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삼}(명사)을 검색할 때, [삼-]('삶도'의 '삼')형이 검색되어 중복되는 점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가려서 볼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낱말에서 '동음이의어'가 많이 있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보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is a problem similar to that of the 'homonym'. The sound form between real words may overlap with other real words. For example, when searching for {sam} (noun), [sam-] ('sam' of 'life') is searched for and overlapped. This is not a problem because it is so large that the user can hide it. In other words, it does not matter much in the same context that there are many 'homonym' in words.

실음어간에서 대표형을 정한다면, 용언은 이형태들 중에서 종결형이 될 수 있는 형태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체언은 {-이}로 활용되는 음형을 선정하는 것이 알맞은데, 이것은 서술격조사 {-이다}로 활용되는 모든 음형을 내포하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삶이], {부엌이} 등과 같다. If a representative form is defined among real words, the verb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se forms as a final form. It is also appropriate that the statement selects the phenotypes that are used as {-i} because it includes all the phenotypes that are used as descriptive search {-is}. For example, [life] and {kitchen}.

실음어간을 이용한 전자사전 구성과 실음어간의 분석기 및 어간 근원음의 분석에 관한 설명은 다음의 제2단계의 뒷부분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nic dictionary using the real sound stem, the analysis of the real sound fish, and the analysis of the root sound of the 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e second step.

(제2단계)(Step 2)

2.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 사전의 구성 2. Korean Dictionary Dictionary

제2단계는 사전을 만드는 실제에 관한 것으로, 낱말 활용형을 사전에서 응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활용형으로 표제어인 기본형을 검색하는 사전과 표제어 자체를 활용형으로 설정하는 사전, 그리고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사전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The second step is about the practice of making a dictionary, and I will explain how to apply a word-using form in a dictionary. Therefore, the dictionary to search for the basic type as the utilization type, the dictionary to set the heading itself as the utilization type, and the dictionary to search for all the utilization types of words will be described.

2.1. 연음 활용형으로 기본형 표제어를 검색하는 한국어사전2.1.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asic headings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연음 활용형을 검색어로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것은 연음 활용형을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응용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존의 한국어사전 체계를 그대로 유지한 가운데, 다만 표제어 앞에 연음 활용형을 위치시킴으로써 표제어인 기본형을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종이사전과 전자사전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In the heading of the dictionary, we will explain how to use the consonant type as a search term. This is the simplest way to apply the consonant application to the heading of a dictionary. This method keeps the existing Korean dictionary system, but finds the basic form of the heading by placing the consonant form in front of the heading. It can be used in both paper and electronic dictionaries.

이것은 예를 들면, 기본형의 발음형 [막따]나 [말가요]는 아는데, {맑다}와 같은 기본형의 맞춤법 정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방법이다. {맑다}의 연음 활용형인 {맑아요}를 검색어로 사용하면, 즉 [말가요]라고 발음을 해 보면 받침소리가 [ㄹ,ㄱ]이라는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 '마-ㄹ-ㄱ'의 구조이다. 따라서 사전을 찾을 때 {마}를 찾은 다음에 'ㄹ'과 'ㄱ'을 차례로 찾아 나가면, {맑}이라는 글자를 찾게 되는 것이므로, {맑아요}라는 낱말을 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This is a way for people who do not know the spelling information of the basic form, for example, knowing the pronunciation of the basic form [Makta] or [Let's Say], but {clear}. If you use {clear}, which is a conjugation type of {clear}, as a search word, you can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that the support sound is [ㄹ, ㄱ]. It is the structure of Ma-d-a. Therefore, when searching for the dictionary {ma} and then searching for 'ㄹ' and 'ㄱ' in turn, the word {clear} is found, so the word {clear} can be easily searched.

연음 활용형의 표기와 발음의 받침소리 구조는 연철과 분철의 훈련을 조금만 하면 쉽게 알 수 있는 구조이다. 표제어가 용언이면 모음 어미 {-아/어}나 {-아요/어요}형으로, 체언이면 모음 조사 {-이/가}나 {-을/를}형을 사용할 수 있다.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a little training of soft iron and iron iron. If the term is a verb, you can use the vowel endings {-h / a} or {-h / h}, or if you use the vowel check {-i / a} or {-/}.

도 5의 예시를 보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음하는 활용형의 검색어 사용 모형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음하는 활용형인 {맑아요}(501)는 검색어로 제일 앞에 올려놓고, 화살표(502)는 검색어로 찾은 표제어 쪽을 안내한 것이며, {맑다}(503)는 기본형으로 올려진 표제어이다. 그 다음은 품사(504)를 적어 놓은 것이고, (1)과 같은 번호(505)는 의미 부분을 가리킨 것이다. 표제어인 {맑다}(503) 이하는 기존의 사전 틀을 그대로 사용한 방법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term using a consonant conjuga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s shown in FIG. 5, the {conjugation} 501, which is a consonant conjugation type, is placed first in the search word, the arrow 502 guides the heading term found in the search word, and the {clear} 503 is a basic type. It is a raised term. Next, the part-of-speech 504 is written down, and the number 505 such as (1) indicates a meaning part. The term {clear} (503) or less is a method of using an existing dictionary framework.

그 아래 항목인 [말가요](506)는 발음형으로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검색어 항목은 다만 {맑아요}(501)을 찾아갈 수 있게 화살표 다음에 {맑아요}(507)을 안내해 준 것이다. 이것은 검색어인 {맑아요}의 맞춤법을 잘 몰라서 발음되는 대로 [말가요]로도 검색어를 찾아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래서 발음형이라는 표시로 기호를 '[ ]'와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제로 사전 구성에서는 검색어 {맑아요}(501)가 발음형 [말가요](506)보다 아래에 놓이게 된다. The lower item [Song] 506 is configured to be searchable by pronunciation. The search term just guides {clear} (507) after the arrow to get to {clear} (501). This is because it doesn't know the spelling of the word 'clear' so it can be searched by the word as it is pronounced. Thus, the symbol '[]' is used as a sign of pronunciation. In fact, in the dictionary configuration, the search term {clear} 501 is placed below the pronunciation type [singer] 506.

검색어 {맑아요}(501)에는 별도로 발음 표시를 해 줄 필요는 없다. 사전 안내에서 연음 발음이나 연철 방식을 안내해 줌으로써, 검색어의 발음을 별도로 표시해 주는 일은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표제어 {맑다}(503)에는 [막따]라는 발음 표시를 해 줄 수도 있다.The search word {clear} 501 need not be separately pronounced. By guiding the phonetic pronunciation or the soft iron method in the dictionary guid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display the pronunciation of the search word. However, the heading {clear} (503) can also be pronounced [makta].

동사 검색어인 {밟아요}(508)의 경우에 찾아가는 표제어가 {밟는다}(509)로 제시되었다. 기존의 동사 기본형 {밟다}는 실제 사용되지 않는 인위적인 낱말이므로, 이를 대신하여 {밟는다}(509)를 올린 것이다. 따라서 예문에도 "우리는 매일 땅을 밟는다."처럼 되어, 동사가 {밟는다}(510)를 사용하였다. 만약에 기존의 동사 기본형 {밟다}를 표제어로 올린다면, 예문이 "우리는 매일 땅을 밟다."라는 말이 되어야 하므로,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예문을 만들어 놓게 되어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In the case of the verb search {Tread} (508), the heading to search is presented as {Tread} (509). The conventional verb basic form {to step on} is an artificial word that is not actually used, so instead of the {verb} (509) is added. Thus, in the example, "we step on the ground every day," and the verb uses {steps on} (510). If the original verb {tread} is used as a heading, the sentence should say, "We tread on the ground every day," because it is unreasonable to make a sentence that is not actually used.

또한 별도로 올리는 검색어 항목인 [발바요](511)는 {밟아요}(508)를 찾아가도록 화살표 다음에 {밟아요}(512)만 적어 놓은 것이다.In addition, a separate search word item [balbayo] (511) is written {step only} (512) after the arrow to go to {step} 508.

도 5의 {빨리}(513)의 경우에, 검색어와 화살표가 없는 것은 이 낱말의 품사가 부사이기 때문이다. 체언과 용언만 연음하는 활용형으로 검색어를 올리게 되므로 부사에는 검색어가 따로 없다. 이러한 뜻에서 표제어인 {빨리}의 뒤에 '/'와 같은 표(514)를 적어 놓은 것이다. In the case of {quick} 513 in FIG. 5, the absence of a search word and an arrow is because parts of speech of this word are absent. There are no search terms in adverbs, because the search terms are posted in conjugation styles that use only verbs and verbs. In this sense, a table (514) such as '/' is written after the heading {quick}.

{삶이}(515}는 체언까지 연음하는 활용형으로 검색어를 사용한 예시인데, 그 아래 부분은 용언의 예와 같다. 그런데 용언에만 연음 활용형으로 검색어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체언은 기존의 사전처럼 명사 형태만 표제어로 올리면 된다.{Life is} (515} is an example of using a search term as a conjugation type to a verb, but the lower part is the same as an example of a prognosis. Post it as a heading.

이와 같이 연음 활용형의 검색어 {맑아요}(501)를 사용하는 사전에서도 직접 기본형 {맑다}(503)를 찾아갈 수 있다. 검색어와 표제의 어간이 {맑-}으로 같기 때문에, 거의 같은 곳에서 {맑아요}와 {맑다}를 함께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표제어 {맑다}(503)가 검색어 {맑아요}(501)의 뒤에 있다는 점만 감안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전 안내말에서 사전을 찾는 방법으로 제시해 놓으면 된다. In this way, even in the dictionary using the search term {clear} (501) of the consonant utilization type, the basic type {clear} (503) can be found directly. Since the stem of the search term and the heading is the same as {clear-}, you can find {clear} and {clear} together in almost the same place. Just consider that the heading {clear} (503) is after the search term {clear} (501). Such a method can be presented as a method of finding a dictionary in a dictionary guide.

2.2. 낱말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는 한국어사전2.2. Korean Dictionary with word conjugation

사전의 표제어로 낱말의 기본형을 사용하는 방법을 버리고, 표제어 자체를 연음 활용형으로 삼는 한국어사전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것은 새로운 사전의 틀을 만드는 것으로서, 종이사전과 전자사전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I would like to explain how to abandon the use of the basic forms of words as the headings of dictionaries, and how to create Korean dictionaries using the headings themselves as consonants. This creates a new dictionary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both paper and electronic dictionaries.

도 6을 예시를 보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음하는 활용형을 표제어를 삼는 모형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기형(601)과 함께 발음형(615)으로도 찾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뜻풀이 정보는 표기형에 제시하고, 발음형은 다만 표기형을 안내해 주는 역할만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6 is a model diagram using the terminology of the consonant conjuga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t is configured to be found as a pronunciation type 615 together with the notation type 601. The information on the meaning is presented in the notation, and the pronunciation is only configured to guide the notation.

도 6에서는 기존의 낱말 기본형을 배제하고, 연음하는 활용형 {맑아요}(601)를 표제어 자체로 사용하였다. 이것은 존댓말 형태이므로 좀 어색하지만, 한국어의 존댓말 특징을 드러내는 장점을 생각한 것이다. 특히, 이 사전 구성은 한국어를 배우는 데에 사용할 교육용 사전으로 사용될 것을 구상한 것이다. 존댓말을 표제어로 삼는 것이 낯설고 마땅하지 않다면 유보할 수도 있다. 그래서 그 아래 동사 활용형 {밟아}(608)에서는 반말로 예시해 놓았다. In FIG. 6, the conventional word basic form is excluded and the consonant conjugation type {clear} 601 is used as the headword itself. This is a bit awkward because it is a form of honor, but I think of the merits of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 In particular, this dictionary structure is envisioned to be used as an educational dictionary for learning Korean. If it is unfamiliar and not appropriate to use honorific words as headings, they may be reserved. Therefore, the verb conjugation type {tread} (608) below is illustrated in half.

표제어 부분에서 ( )안에는 활용형 {맑아}(602)와 기존의 기본형 {맑다}(603)를 참고로 볼 수 있게 예시한 것이다. 품사 안내로 <형용사>(604)와 같이 표시하였고, 뜻풀이 번호(605)로 '(1)'을 사용한 것이다. In the heading section, () is an example that can be used to refer to the utilization type {clear} (602) and the existing basic type {clear} (603) for reference. The part-of-speech guide is indicated as <adjective> (604), using '(1)' as the meaning number (605).

표제어가 활용형이므로 뜻풀이 부분(607)의 문장에서도 기본형을 배제하고 '깨끗해요'와 같이 활용형으로 진술하였다. 즉 뜻풀이에서도 표제어와 같은 어형을 사용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것이다. 이것을 어울리게 하는 일이 연구 문제가 되겠지만, 예문에서도 '물이 맑아요'(606)와 같이 제시해 보았다. 이것은 존댓말의 종결형이다. Since the headword is conjugation, the sentence of the meaning part (607) excludes the basic form and states it as conjugation, such as 'clean'. In other words, there is a burden to use the same word as the headword in the meaning. It would be a research problem to make this fit, but the example also suggested 'the water is clear' (606). This is the ending of honor.

그런데 표제어의 부속형으로 괄호 안에 올려놓은 '(맑아, 맑다)'(602, 603)에 대한 어형을 맞추기 위하여, 뜻풀이 끝에서 각각 '(깨끗해, 깨끗하다)'(607)와 같이 문장 종결형을 ( )안에 덧붙여 놓았다. 즉 문장의 종결형에서, '{맑아요}에 대하여는 {깨끗해요}로, {맑아}에 대하여는 {깨끗해}로, {맑다}에 대하여 {깨끗하다}로 뜻풀이의 말투를 일치시킨 것이다. However, in order to fit the word for '(clear, clear)' (602, 603), which are placed in parentheses as an appendix of the heading, at the end of the meaning, each sentence ends, such as '(clean, clean)' (607). It is added in (). That is, at the conclusion of the sentence, 'I am agreeing with the meaning of the phrase: {clean} for {clear}, {clean} for {clear}, and {clean} for {clear}.

따라서 뜻풀이에서 3중의 종결형을 보여준 것이다. 즉 '{맑아요}(맑아, 맑다)'에 대한 뜻풀이의 맺음말은 '{깨끗해요}(깨끗해, 깨끗하다)'로 대응시킨 것이다. 이것을 읽는 방법을 사전 안내말에서 잘 안내해주면 어려움은 없겠지만, 본문이 다소 복잡해 보이는 단점이 있다. 이 뜻풀이를 세 문장으로 읽을 수 있는데 그 양상은 아래 표와 같다.Thus, in the solution to the meaning of the three termination forms. In other words, the concluding word for '{clear} (clear, clear)' is the response to '{clean} (clean, clean)'. There is no difficulty if you can tell how to read it well in the dictionary, but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text looks a bit complicated. This semantic can be read in three sentences, shown in the table below.

아래 표 11은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은 사전에서 용언의 뜻풀이 모형(도 6)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1 below shows a model of the meaning of verbs in the dictionary that uses conjugation as the heading (Fig. 6).

구분division 뜻풀이의 맺음형Conclusion type 표제어(대표 활용형): 맑아요Headword (Typical): Clear "어떤 이물질이나 더러운 것이 섞이지 않아 깨끗해요." " I do not mix any foreign objects or dirty, clean." 제1부속 활용형: 맑아Accessory 1: clear "어떤 이물질이나 더러운 것이 섞이지 않아 깨끗해." "There is no foreign matter or dirty things are clean." 제2부속 활용형: 맑다(기본형)Part 2: Utilization Type: Clear (Basic) "어떤 이물질이나 더러운 것이 섞이지 않아 깨끗하다". "There is no foreign matter or dirty things are clean".

상기 표 11에 따르면, 표제어 {맑아요}에 따른 두 가지 부속 활용형이 있다. 표제어 {맑아요}는 존댓말 종결형이라고 한다면, 제1부속 낱말 {맑아}는 반말의 종결형이고, 제2부속의 기본형 {맑다}는 문어체(격식형)의 종결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표대로 뜻풀이를 적어 주는 것은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전자사전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는 전제 아래서 검토해 볼 만한 것이다. 제1부속 활용형 {맑아}는 {맑아-서}나 {맑아-도}와 같이 활용되는 형태에서 어간의 기능을 담당하면서도 반말의 종결형도 겸하고 있으므로 참고로 제시한 것이고, 제2부속으로 사용된 기본형 {맑다}는 기본형으로서의 중요성과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표제어로서의 중요성도 있고 그 뜻풀이도 알고 싶어할 수 있으므로 부차적으로 제시한 것이다.According to Table 11 above, there are two adjunct forms according to the heading {clear}. If the heading {clear} is the ending of the grand finalism, the first part of the word {clear} is the ending of the ending, and the basic type {clear} of the second part is the ending of the written form (formal). Writing the meanings according to this table is worth considering under the premise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electronic dictionaries that can process a lot of information. The first part of the application form {Clear}, which is used in the form of {clear-west} or {clear-do}, is also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form because it also serves as the ending form of the end of the fish. {Clear} is presented as a secondary type because it has the importance as a basic form and the terminology used traditionally, and its meaning may want to know.

한마디로 말해서 활용형 {맑아요}나 {맑아} 중에 하나만 표제어로 올려놓지 않고, 제1과 제2 부속 활용형을 올려놓은 것은 활용형의 정보를 주면서, 기존의 사전 표제어인 기본형에 익숙한 이용자들에게 낯설지 않게 하려는 배려이다. 이와 같이 부속 활용형을 사용하는 방법은 전자사전에서 더 유리할 것이라는 점이 감안된 것이다. In a word, instead of placing only one of the clear {{clear}} or {clear} as the heading, and putting the first and the second sub-conjugated forms give the information of the conjugation type, it is not unfamiliar to users familiar with the existing dictionary heading basic form. It is conside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accessory utilization type will be more advantageous in the electronic dictionary.

제1, 제2 부속 활용형을 올리지 말고, 다만 표제어로 {맑아요} 하나만 올려놓는 것이 더 낫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은 사전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다음에, 표제어 부분에 {맑아}나 {맑아요}와 같이 연음의 활용형을 하나만 올려놓아도 될 것이다. Rather than uploading the first and second subtypes, it may be better to put just {clear} as the heading. Also, after getting acquainted with the dictionary using the conjugation form as a heading, you may place only one conjugation form of the consonant, such as {clear} or {clear}.

다음에는 동사 표제어 {밟아}(608)의 경우를 보고자 한다. 그 위의 표제어 {맑아요}(601)와 달리 반말의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은 예시를 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부속 활용형은 존댓말로 {밟아요}를 올리고, 제2 부속 활용형은 현재형 {밟는다}를 올리었다. 기존의 동사 기본형으로는 {밟다}인데, 이것을 제외하고 {밟는다}로 올린 것은 동사 기본형이 인위적으로 조직된 인공적 낱말이기 때문이다. 뜻풀이와 예문을 3중적으로 제시한 것(609, 610)은 형용사의 경우(606, 607)와 같은 방식이므로 설명은 줄인다.Next, we will look at the case of the verb heading {Tread} (608). Unlike the heading {Clear} (601) above, it is an example of using the half-word conjugation as the heading. And the first subsidiary conjugation type raised {step} with respect, and the second subconjugated conjugation type posted {tread} the present type. The conventional verb basic form is {tread}, except that it is uploaded as {tread} because the verb basic form is an artificial word organized artificially. The three-part presentation of the meaning and example sentences (609, 610) is the same as the adjective (606, 607), so the explanation is reduced.

또한 동사의 발음형 [발바](616)에서 화살표로 {밟아}(608)를 가리킨 것은 발음형으로 찾게 된 경우에 표제어 {밟아}(608)로 이동해 보라는 것이다. 그리고 부사형인 {빨리}(513, 514)는 도 5에서 설명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더할 필요가 없다.Also, in the verbal form [balba] 616, the arrow points to {tread} 608 when the arrow is found in the phonetic form, to move on to the heading {tread} 608. In addition, since the adverbs {fast} 513 and 514 use wha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re is no need to add explanation.

그리고 체언 활용형을 표제어로 올린 {삶이}(611)의 경우도 형용사나 동사의 경우와 구조적인 흐름은 같다. 다만 어미 활용 대신에 조사 활용을 한 것이 다르다. 표제어 {삶이}는 주격조사라고 말하는 {-이/가}의 활용형이다. 제1, 제2부속 활용형 {삶을, 삶}(612)은 목적격 조사 {-을/를}과 조사 활용이 없는 기본형 {삶}을 올린 것이다. In the case of {life} (611), which uses the term of the verb, the structural flow is the same as that of the adjective or verb.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survey was used instead of the mother. The headline {life is} is a use of {-yi / ga}, which is called the main subject. The first and second subsidiary types {life, life} (612) are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and the basic type {life} without the use of research.

그런데 {삶이}의 뜻풀이 부분(613, 614)이 자연스럽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조사 활용형은 도 5의 {삶이}(515)처럼 기본형을 찾아가는 검색어 방식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볼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용언은 활용형이 표제어가 되고, 체언은 활용형이 표제어를 찾아가는 검색어가 되므로, 일관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체언의 활용형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무난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 However, there is an unnatural aspect of the meaning part (613, 614) of {Life}. 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survey utilization type is only used as a search word method for searching the basic type, as in {life} 515 of FIG. 5. In this case, the terminology becomes the headword of the conjugation, and the statement becomes the search term for the terminology of the conjugation, so it is inconsistent, but it can be a practical way for users who are not used to the conjugation of the word.

다음에는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으면서, 표기형과 발음형을 함께 검색어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전자사전에서 문자와 발음으로 검색하는 사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 예시를 도 7에 제시하였다.Next, I will suggest how to us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s search terms while using conjugation. This is to explain the dictionary search by letter and pronunciation in the electronic dictionary. An example is shown in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와 음성으로 검색하는 표제어 부분 모형도이다. 도 7은 용언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은 것으로서, 표제어 {맑아요}(701)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 표제어의 발음형 [말가요](702)를 붙여 놓았는데, 이것은 발음으로 검색할 때 찾기 위한 것이다. 종이사전에서는 발음의 정보를 보충해 주는 것으로 사용된다. 그 다음의 기호 '/'(703)은 활용형과 기본형을 구분한 표시이다. 즉 기본형 {맑다}(704)와 그 발음형 [막따](705)는 표제어와 구분하여 그 뒤에 부속형으로 올려놓은 것이다. 여기서 [막따]는 음성으로 검색할 때 사용하기 위한 발음형이지만, 종이사전에서는 발음 정보를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다음의 기호 ';'(706)은 표제어 부분의 끝맺음을 표시한 것이며, 이것은 전자사전에서 이 기호의 앞 부분에서만 검색하라는 표시로 사용된다.7 is a heading partial model diagram for searching by text and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the term {clear} (701) with the term verb conjugation. Then we attached the pronunciation of the heading [singing] (702), which is to find when searching by pronunciation. In paper dictionaries, it is used to supplement pronunciation information. The next symbol '/' 703 is a mark distinguishing the utilization form and the basic form. That is, the basic type {clear} (704) and the pronunciation type [makta] (705) are distinguished from the headings and placed as an appended form. Here, [makta] is a pronunciation type for use when searching by voice, but in a paper dictionary is to play the role of giving pronunciation information. The next symbol ';' (706) denotes the end of the heading, which is used only in the electronic dictionary to search only before the symbol.

여기에서 표제어 부분에 활용형과 기본형을 함께 사용한 것은 전자사전에서는 두 형태가 모두 검색어로 사용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발음형까지 구분하면, 4가지 형태가 되는 셈이다. 기본형의 뜻풀이는 '참고'(708)라는 영역을 만들어 놓고 간단하게 뜻풀이와 예문을 한 가지씩만 적어 놓았다. The use of the conjugation type and the basic type in the heading part here is intended to allow both forms to be used as search terms in the electronic dictionary. If you divide the pronunciation type, it is four types. The basic form of the meaning solver made the area of 'Reference' (708) and simply write down the meaning and example sentences one by one.

또한 동사 기본형은 문제점이 있어서 사용하지 않고, {밟다}를 대신하여 {밟는다}[밤는다](709, 710)를 사용하였다.Also, the verb basic form is not used because it has a problem, and instead of {tread}, {tread} [tuck] (709, 710) is used.

그리고 체언은 활용형을 검색어로 삼아 기본형을 찾는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활용형인 {삶이}[살미](711, 712)로 검색할 수도 있고, 기본형인 {삶}[삼] (713, 714)으로도 직접 검색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체언의 뜻풀이 정보는 기본형만 제시하였는데(715), 이것은 도 5에서 활용형으로 기본형을 찾는 모형에 제시되었던 것이다. 이 방식은 결국 기존의 사전에 있는 체언의 체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만 활용형으로 표제어를 찾아갈 수 있게 한 것과 같다.In addition, Cheon suggested the use of the form as a search term to find the basic form. Therefore, it can be searched by the use type {life} [salmi] (711, 712), and also by the basic type {life} [sam] (713, 714).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 meaning of the statement is presented only the basic type (715), which was presented in the model for finding the basic type as the utilization type in FIG. This method is equivalent to using the system of predicates in the existing dictionary, but finding the headings in a conjugation form.

도 7의 용언은 활용형을 표제어로 삼은 것이고, 체언은 활용형을 검색어로만 사용하여 기존 사전 체계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변화를 줄이면서도, 맞춤법이 어려운 체언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동사 기본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709, 710), 용언 활용형의 적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The terminology of FIG. 7 is used as a term for the conjugation type, and the conviction uses the existing dictionary system as it is using only the conjugation type as a search word. Thus, while reducing the change, solved the problem of difficult spelling. In addition, the problems with the basic forms of verbs were improved (709, 710), and the application of verbal forms was mad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방법을 전자사전에 적용할 경우에는 문자로만 검색하는 방법과 문자와 음성으로 검색하는 사전을 만들 수 있다. When applying the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to the electronic dictionary, it is possible to create a search method by text only and a dictionary search by text and voice.

전자사전의 구성에서는 도 9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감하여 구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말소리(음성) 받아쓰기 같은 것이 필요 없을 경우는 구성에서 제외하면 되는 것이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ictionary,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9 is used as the basic configuration. For example, if you don't need a speech dictation, you can exclude it from the configuration.

2.3. 문자와 음성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 전자사전 2.3.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to search by all types of text and voice

이상적인 한국어사전은 문자와 음성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할 수 있는 사전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낱말의 기본형으로만 검색되는 것이 아니라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말하듯이 음성언어로 검색될 수 있는 한국어사전을 만드는 것이다. 질문은 음성으로 해도 좋고 문자로 해도 좋은 것이므로, 이러한 사전이야말로 가장 사용하기 편리한 한국어사전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사전을 만드는 방법을 창안하여 제시하고자 한다.The ideal Korean dictionary can be seen as a dictionary that can be searched by all forms of text and voice. In other words, the Korean dictionary is not only searched by the basic form of the word, but also by the phonetic language. Questions can be spoken or written, so these dictionaries are the most convenient Korean dictionaries. In this section, we will present how to create such a dictionary.

한국어의 낱말 활용형은 다양하고 섬세하므로 그 수가 상당히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그만큼 사전을 만드는 데에도 어려운 점이 많다. 그런데 모든 낱말 활용형을 맞춤법에 맞도록 문자로 입력하면, 낱말의 기본형인 표제어가 검색되는 방법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이것은 반드시 발음형이 아니라 표기법에 맞도록 정확하게 문자로 입력해야 한다는 조건에서만 성립되는 것이다.Korean word utilization forms are diverse and delicate, so the number and complexity of them is very difficult to make a dictionary. However, if all the word utilization forms are spelled out to be spelled, the method of searching for the headword, which is the basic form of the word, is already commercialized. This is true only if the letter must be typed correctly to match the notation.

이러한 사전의 구성은 여러 가지 활용형이 갖는 공통형태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맑다}의 활용형은 {맑으니, 맑으면, 맑고, 맑지만, 맑은데, 맑았다} 등과 같이 아주 다양하지만, 이들 활용형은 모두 어간이 {맑-}을 공통형태로 갖고 있다. 따라서, {맑으니, 맑으면, 맑고, 맑지만} 등 어떠한 것으로 질의를 하더라도 어간 {맑-}을 가진 기본형 {맑다}를 찾아가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Such a dictionary can be constructed by using a search method using a common form of various utilization forms. For example, the utilization forms of {clear} are very diverse, such as {clear, clear, sunny, but sunny, clear}, but all of these utilization forms have a common form of {clear-}. Therefore, no matter what you ask, such as {clear, clear, clear}, you only need to find the basic type {clear} with the {clear-} stem.

또한 체언의 활용도 마찬가지이다. {값}이라는 명사로 활용되는 형태가 {값이, 값이면, 값으로, 값이니, 값만, 값도, 값이지만} 등과 같이 많지만, 모두 {값}이라는 공통형태가 있다. 이 공통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활용형이 표제어 {값}을 찾아갈 수 있는 것이다.  The same applies to the use of a statement. {Value} is used as a noun {value}, if {value is a value, a value, a value, only a value, a value is a value,} and the like, but there are many common forms of {value}. Based on this common form, various utilization forms can find the heading {value}.

이러한 방법은 어간이나 체언의 표기형을 맞춤법에 맞도록 정확하게 문자로 입력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즉, 이러한 기존 전자사전의 단점은 '[망는데]'처럼 발음형태의 문자로 입력하거나 음성언어의 소리로 입력하여 검색할 수 없다는 것이다. This method has the limitation that the notation of stem or body must be typed in letters correctly for spelling. In other words, the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electronic dictionary is that it cannot be searched by inputting a phonetic form of a phonetic form or inputting it as a sound of a voice language.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이 되면서, 동시에 표기형의 문자는 물론이고 발음형태의 문자나 음성언어로 입력하여도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arch for all types of utilization of the word, at the same time to propose a method that can be searched by inputting not only the letters of the notation type, but also the letters of the phonetic or phonetic language.

발음형태의 문자로 입력되는 낱말을 '발음형문자', 또는 '발음형'이라고 말하고, 음성언어로 입력되는 낱말은 '음성언어형', 그리고 맞춤법에 맞도록 표기형 문자로 입력되는 낱말을 '표기형문자' 또는 '표기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Words entered as phonetic letters are called 'pronounced letters' or' pronounced words', and words entered as phonetic words are 'phonetic words' and words entered as spelling letters to match the spelling' I would say 'notation type' or 'notation type'.

낱말의 발음형문자 표기는 음성언어를 받아서 문자로 쓰는 것이고, 반대로 음성언어의 출력은 발음형문자의 표기를 음성언어로 읽는 것이다. 음성인식 장치에 의하여 음성언어를 발음형문자로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음성언어를 소리나는 대로만 받아쓰는 것이므로, 음성언어를 표기형문자로 변환시키는 것보다 쉽다. 음성언어를 표기형문자로 변환시키려면 표기법이라는 까다로운 규칙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더 어렵다. Phonetic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word is to receive the phonetic language and write it as a character, on the contrary, the output of the phonetic language is to read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the phonetic language. The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can convert the phonetic language into phonetic characters, which is easier to dictate the phonetic language than the phonetic language because it only dictates the phonetic language. It is more difficult to convert phonetic languages to notational characters because they must meet the difficult rules of notation.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사전에서는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하는 낱말의 활용형(이하 '질의어'라 함)으로 질문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활용형이 질의어로 입력될 것인지 전혀 예상되지 않는 상황이다. 특히 문자나 음성언어로 입력되는 조건이 또 전제되어야 한다.In the dictionary that searches for all utilization forms of words, the user asks questions with the utilization forms of the w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estions') that the user decides at will. Therefore, it is not expected at all which type of input will be entered as a query. In particular, the conditions for entering text or phonetic language must also be premised.

그러므로, 어떤 낱말의 활용형이 문자나 음성의 질의어로 입력될 때 그 낱말 활용형의 형태분석은 어미와 조사를 분리하는 기존의 형태분석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왜냐하면 맞춤법을 따르는 문자 표기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기존의 형태분석기도 불완전한 면이 있지만, 특히 음성으로 입력되는 낱말 활용형의 발음형태를 가지고 어미와 조사를 분석하는 형태분석기까지 개발하려면 실효성이 더 떨어지기 때문이다. Therefore, when the utilization form of a word is input into a query of a character or a voice, it is difficult to apply a conventional form analysis method that separates a mother and a survey. Because there is an imperfect aspect of existing morph analyzers that analyzes spelling-type letters, however, it is less effective to develop a morph analyzer that analyzes endings and investigations, especially with the pronunciation of words used by voice. Becaus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어미나 조사 형태소 분석방법(형태소 분석기)을 사용하지 않고, 실제로 발음되는 낱말의 활용형에서 불변하는 부분을 고정시켜 활용의 어간이나 어기(어근)의 부분을 분석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것은 앞의 '제1단계'의 '1.4.항'에서 설명한 '실음어간'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어간의 개념을 표기법의 기본어간과 발음법의 실음어간으로 구분하여 개념을 정리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기본어간 개념과 달리 발음의 활용형에서도 불변부분을 '실음어간(활용형의 실음어간)'으로 규정하고 이형태로 규정한 것이다. 실음어간의 구체적인 예시와 설명은 상기 표 10의 앞뒤에 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affinity or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morphological analyzer), by fixing the invariable part of the actual use of the word pronunciation pronunciation to analyze and separate the stem or root (base) of the utilization We want to use the method. This uses the concept of 'real sound stem' described in section 1.4.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stemming is divided into basic stemming of notation and real pronunciation of pronunciation. Unlike the existing basic stemming concept, the invariant part is defined as 'real sound word (utilized sound sound word)' in this form. Specific examples and explanations between the real words are given before and after Table 10 above.

여기에서 몇 가지 낱말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서 사전의 표제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먹는다}라는 낱말은 표기형의 기본어간으로 {먹-}을 갖고 있고, {먹어, 먹어서, 먹어라} 등으로 활용되는 발음형은 [머거, 머거서, 머거라]로 발음되므로 [머거-]라는 실음어간이 있고, 또한 {먹으니, 먹으면, 먹은}의 발음형은 [머그니, 머그면, 머근]이 되어 [머그-]라는 실음어간이 있다. 또한 {먹고, 먹지, 먹다가}의 발음형 [먹꼬, 먹찌, 먹따가]에서는 [먹-]이 실음어간이고, {먹는다, 먹느냐, 먹느라고}의 발음형 [멍는다, 멍느냐, 멍느라고]에서는 [멍느-]가 실음용어간이다. 따라서 {먹는다}의 실음어간은 [머거- / 머그- / 먹- / 멍느-]와 같이 4가지이다. Here we will present a dictionary model of headings, with some words as examples. The word {eat} has a {muck-} as the basic stem of the notation, and the pronunciation type used as {eat, eat, eat} is pronounced as [merger, merger, mergerra], so [merger-] There is also a real word stem, and the pronunciation type of {eat, eat, eat} becomes [mug, mug, root], and there is a real word stem, [mug-]. Also, in {eating, eating, eating}, the pronunciation type of [eating, eating, eating] is [eum-] being a real stem, and the {eating, eating, eating} pronunciation type of [eating, eating, eating] Esau is an actual term. Therefore, there are four kinds of actual stems of {eat} like [Muger / mug-/ eat-/ yoke-].

따라서, {먹는다}라는 낱말로 활용되는 모든 활용형태는 이 4가지 실음어간 중에 하나를 반드시 갖게 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멍느라고]라는 활용형은 [멍느-]라는 실음어간을 갖고 있고, [머거씀니다마는]이라는 활용형은 [머거-]라는 실음어간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4가지 실음어간을 표제어 항목에 설정해 놓으면 어떠한 활용형으로 질의어가 들어와도 표제어 항목으로 찾아갈 수 있게 할 수 있다.Thus, all forms of use of the word {eat} must have one of these four real words. For example, the conjugation type [yoke] has a gamma stem of [joong-], and the conjugation of [dwelling] has a gamma stem of [merger-]. Therefore, if four real words are set in the heading item, it can be searched in the heading item even if the query comes in by any usage.

그런데, 이 4가지 활용어간 중에서 [먹-]과 [머거-]와 [머그-]는 [ㅁㅓㄱ]을 순서대로 3개씩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음소 공통음형 [ㅁㅓ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를 가리켜 '음소의 공통음형'(이하 '음소 공통음형'이라함)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이것은 공통음소를 중심으로 축약시킨 결과와 같아진 것이다. 나머지 하나인 [멍느-]를 음소 공통음형처럼 나열시켜서 표시하면 [ㅁㅓㅇㄴ]와 같아진다. 그러므로 4가지 실음어간 [먹-, 머거-, 머그-,멍느-]는 2가지 음소 공통음형인 [ㅁㅓㄱ, ㅁㅓㅇㄴ]로 축약된다. 이를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체언의 경우에도 맥락은 같은데, {삶이}라는 낱말의 예를 여기에 함께 예시한다. However, among these four utilization stems, [Muk-], [Muger], and [Mug-] share three [ㅁ ㅓㄱ] in order. Therefore, they have a phoneme common type [ㅁ ㅓㄱ]. This will be referred to as 'common phoneme of phone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honeme common phoneme'). This is equivalent to the result of abbreviation around common phonemes. If the other one is listed as phoneme common phoneme, it is the same as [ㅁㅓ ㅇㄴ]. Therefore, the four real words [muk-, mugger-, mug-, and munch-] are abbreviated to the two phoneme common types [ㅁ [ㄱ, ㅁㅓ ㅇㄴ].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xt is the same in the case of a statement, with the example of the word {life} here.

아래 표 12는 실음어간과 음소 공통음형을 비교한 것이다.Table 12 below compares the common phoneme and the phoneme.

구분      division 활용형 예시       Application example 실음어간 Real 음소 공통음형Phoneme 비고 Remarks 용언Word 표기형Notation {먹어요, 먹는다, 먹고}{Eat, eat, eat} [먹-]

[먹-]
[Indian ink-]

[Indian ink-]

[ㅁㅓㄱ]

[ㅁ ㅓㄱ]

발음형
(음성언어)

Phonetic
(Speech language)
[먹꼬, 먹찌, 먹따가][Suck it, get it, get it]
[머거, 머거서, 머거라] [Merger, mercer, merger] [머거-] [Merger-] [머그니, 머그면, 머근][Mug, Mug, Root] [머그-] [Mug] [멍는다,멍느냐,멍느라고][Bruises, bruises, bruises] [멍느-] [Joke-] [ㅁㅓㅇㄴ][ㅁㅓ ㅇㄴ] 체언Statement 표기형Notation {삶이, 삶은, 삶도, 삶만}{Life, life, life, life only} {삶-} {Life-}

[ㅅㅏㄹㅁ]


[ㅅㅏㄹㅁ]

발음형
(음성언어)

Phonetic
(Speech language)
[살미, 살미니, 살미요][Salmi, Salmini, Salmi] [살미-] [salmi-]
[살믄, 살므로, 살믈] [Fine, live, live] [살므-] [Salme-] [살메, 살메는, 살메도][Salme, salme, salmedo] [살메-] [Salme] [삼도, 삼만][Three, three thousand] [삼-] [three-] [ㅅㅏㅁ][ㅅ ㅏㅁ]

상기 표 12에 따르면, 실음어간에 비하여 음소 공통음형은 형태가 단순하다. 따라서, 각각 특징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능력과 필요에 따라서 음소 공통음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able 12, the phoneme common phoneme type is simpler than the real phoneme. Therefore, each of the features may be used differently as needed. You will be able to use the phoneme common phoneme type according to your needs and ability to process the data by recognizing and analyzing the input voice.

그러나, 음소 공통음형은 실음어간에 비하여 자음이나 모음이 하나 이상이 줄어드는 셈이 되는 경우가 생겨서 검색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생긴다. 예를 들면, 실음어간 [머거-]를 대리한 음소 공통음형 [ ㅁㅓㄱ]에서는 모음 [ㅓ]가 생략된 것이다. 그러므로 검색의 정확도가 낮아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복잡하더라도 정확도를 높이려면 실음어간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However, the phoneme common phoneme type has a disadvantage in that one or more consonants or vowels ar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real phoneme, thus reducing the accuracy of the search. For example, the vowel [ㅓ] is omitted from the phoneme common phonetic form [ㅁ ㅓㄱ] for [Muger-] between actual phonemes.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search should be viewed as low. Therefore, even if it is complicated, it is necessary to use the real 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다음에는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사전에서 실음어간이 사용되는 양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것은 하기 표 13의 표제어 설정 구조의 예시와 도 8의 표제어 부분 모형의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In the following, we will explain how the real word stem is used in the dictionary to search by all types of words. This will be explained through an example of a heading setting structure of Table 13 and an example of a heading submodel of FIG. 8.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에서 실음어간의 구체적인 사용은 주로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데, {맑아}와 {값이}와 같은 낱말을 예로 들어 보면, 표제어 부분의 구조는 하기 표 13의 실음어간과 두 가지 표제어 항목과 같다. 여기에서 입력어(질의어)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게 되는 낱말의 활용형이므로, 입력어를 대신하여 간단한 활용형을 예시하였다. 질의어가 어떠한 활용형이더라도 이에 대한 실음어간은 항상 일정하다. 그리고 '부속형의 표제어'와 '대표형의 표제어'는 실음어간 설정의 근거가 될 활용형을 제시해 놓은 것이다. The specific use of real words in Korean dictionaries that search by all utilization forms is mainly made up of the composition of the headword part. For example, words such as {clear} and {value}, the structure of the headword part is shown in Table 13 below. And two headings. Here, since the input word (query) is a utilization type of a word that is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a simple utilization type is illustrated instead of the input word. No matter what utilization the query language is, the real word is always constant. In addition, the subheadings and subheadings are conjugation types that will be the basis for establishing real words.

아래 표 13은 표제어 부분의 실음어간과 표제어 설정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Table 13 below illustrates the structure between the real word and the heading setting of the heading part.

구분division 입력어 예시 (용형의 예)Example of input word (example of appearance) 실음어간Real 부속 표제어Subheading 대표 표제어A representative heading 용언Word {맑아, 맑아요, 맑아서}{It's sunny, it's sunny, it's sunny} {맑-}
(표기형 어간)
{Sunny-}
(Notation stem)
{맑-아요}{Sunny-no} {맑아}{Sunny}
{맑으니, 맑은, 맑으면}{Be clear, be clear, be clear} {맑다, 맑지, 맑다가}{Sunny, sunny, sunny} [말가요, 말간데, 말가면][Sure, say, say] [말가-][Not sure] [말가-요][Laughs] [말그니, 말근, 말글][Magni, horse root, horse] [말그-][Mag-] [말그-니][Mag-ni] [말꼬, 말꼬서, 말꼬는][Horse, horse, horse] [말-][Words-] [말^꼬][Horse ^ ko] [막따, 막따가, 막찌][Makta, makta, makchi] [막-][membrane-] [막^따][Mak ^ ta] 체언Statement {값이, 값이요, 값이면}{Value is value, if value} {값-}
(표기형 명사)
{value-}
(Notational noun)
{값-이요}{Value-} {값이}{Value}
{값도, 값진}{Value, value} {값만}{Value only} [갑씨, 갑쓸]
[갑쎄, 갑쓴]
[Gap, Gap]
[Suddenly]
[갑씨, 갑쓸]
[갑쎄, 갑쓴]
[Gap, Gap]
[Suddenly]
{값-이}{Value-this}
[갑또][Gapto] [갑-][naze-] [갑^또][^^] [감만][Gamman] [감-][feeling-] [감^만][Gaming ^ only]

상기 표 13에 따르면, { }표는 표기형을 나타내고, [ ]표는 발음형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표는 어간이나 체언의 형태가 확실하게 구분될 때 사용한 것이고, '^'표는 발음 현상에서 어간이나 체언의 중심 부분만을 표시해 놓은 것이다. 검색의 작업 과정에서 이 표가 있는 앞의 형태를 찾으라는 작업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 13, the {} mark indicates the notation type, and the [] mark is used to indicate the pronunciation type. The '-' mark is used when the form of stem or spoke is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 mark shows only the central part of the stem or stem in pronunciation. In the course of the search, you can perform a work order to find the previous form with this table.

어떤 질의어가 입력되면, 실음어간을 분리한 다음에, 표제어 부분을 검색하여 찾아가게 되고, 검색된 표제어 부분의 뜻풀이 정보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When a query is entered, the actual words are separated, followed by searching for the heading part, and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meaning of the searched heading part.

낱말의 활용형에 따라서 실음어간이 8가지가 되기도 하지만, 적은 것은 4가지 정도가 되기도 한다. 용량의 부담 문제보다도 어간형태를 쉽게 잘 분리하여 검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Depending on the type of word used, there may be eight kinds of real words, but fewer may be four types. More important than the burden of capacity, it is important to separate the stem form easily so that the accuracy of the search can be improved.

다음에는 도 8에 예시한 표제어 부분 모형을 가지고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든 활용형으로 찾는 사전의 표제어 부분 모형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제어 부분은 대표형 표제어(801)와 부속형 표제어(802, 804, 805, 806 등)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표기형(801, 802, 803)과 발음-음성형(804, 805, 806 등)의 구조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실음어간이 << >>표의 안에 '-'표와 함께 설정되어 있다(808). 맑다(809)는 기존의 기본형으로서 뜻풀이(810)에서 사용한 것인데, 관습적으로 기본형에 대한 뜻풀이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일단 기본형의 뜻풀이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Next, the heading partial model illustrated in FIG. 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8 is a heading partial model diagram of a dictionary found with all utilization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heading portion is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a representative heading 801 and a subsidiary heading 802, 804, 805, 806,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the structures of the notation type (801, 802, 803) and pronunciation-voice type (804, 805, 806, etc.). Then, the real stem is set with the '-' in the << >> table (808). Clear (809) is the existing basic type used in the solution of the meaning (810),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to solve the meaning of the basic type, so that the basic solution is used.

체언의 경우에 {값이}(811)는 표기형으로서 대표형 표제어로 제시되었고, [갑시](812)에서부터 발음형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실음어간 부분(813)에는 표기형의 기본형 {값}과 발음형의 활용형들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값}이라는 낱말로 활용되는 어떠한 낱말을 음성언어로 입력하더라도 표제어 부분에 설정된 공통음형을 찾아서 검색이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a statement, {value} (811) is 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heading as a notation, and from [Gap] 812, a phonetic form is presented. In the real word between words 813, the basic type {value} of the notation type and the utilization type of the pronunciation type are set. Therefore, even if the user inputs any word utilized as the word {value} into the phonetic language, the user may search for the common phonetic type set in the heading part.

부사어의 경우에도 활용형으로 검색이 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빨리}(814)는 부사어의 표제어 부분을 간단히 예시한 것이다. [빨리 빨리](815)와 같이 반복되는 형태도 많이 있는데, 이런 경우도 [빨리]가 공통음형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adverbs, the same applies to search. {Quickly} 814 simply illustrates the heading portion of the adverbs. There are many forms that are repeated, such as [fast] 815, in which case [fast] is set to a common sound type.

이와 같은 표제어 부분의 구성은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mposition of the heading part may be used in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다음에는 자음과 모음의 공통음형을 사용하여 실음어간보다 공통음형을 좀더 줄이는 방법 중에서 '음소 공통음형'을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형태를 분석하고 분리하는 작업 수행에서 자음과 모음을 좀더 분석적으로 분리하여 음소단위로 사용하면, 표제어 부분에 설정하는 부속형의 분량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In the following, we will briefly explain how to use 'phoneme common phoneme' among the methods to reduce common phoneme more than real phoneme using consonant and vowel common phoneme. In analyzing and separating the form, if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separated more analytically and used as phonemes, the amount of subtypes set in the heading part can be reduced.

이것은 상기 표 12에 나타낸 '음소 공통음형'의 개념을 가지고 상기 표 13의 실음어간 형태 중에서 일부를 공통음소로 묶으면 아래 표 14와 같이 좀더 단순한 '음소 공통음형'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is has a concept of the 'phoneme common phoneme type' shown in Table 12, and if a part of the actual phonetic forms shown in Table 13 is grouped into common phonemes, a simpler phoneme common phoneme type can be created and used as shown in Table 14 below.

아래 표 14는 표제어 부분의 실음어간과 음소 공통음형 구조를 비교한 것이다.Table 14 below compares the phoneme structure between phoneme words and phoneme common phoneme.

구분division 입력어 예시 (활용형의 예)Example of input word (example of utilization type) 실음어간Real 음소 공통음형Phoneme 부속형의 표제어Subheading 대표형의 표제어Headword 용언Word {맑아, 맑아요, 맑아서}{It's sunny, it's sunny, it's sunny} {맑-}{Sunny-} {맑-}{Sunny-} {맑-아요}{Sunny-no} {맑아}{Sunny} {맑으니,맑은, 맑으면}{Now, sunny, sunny} {맑다, 맑지, 맑다가}{Sunny, sunny, sunny} [말가요, 말간데,말가면]
[말그니,말근,말글]
[Sure, say, say it]
[Magni, horse root, horse]
[말가-]
[말그-]
[Not sure]
[Mag-]
[말ㄱ-][Speaking a-] [말가-요]
[말그-니]
[Laughs]
[Mag-ni]
[말꼬, 말꼬서, 말꼬는][Horse, horse, horse] [말-][Words-] [말-][Words-] {말^꼬}{Horse ^ ko} [막따, 막따가, 막찌][Makta, makta, makchi] [막-][membrane-] [막-][membrane-] [막^따][Mak ^ ta] 체언Statement {값이, 값이요,값이면}{Value is a value and a value} {값-}{value-} {값-}{value-} {값-이}{Value-this} {값이}{Value} {값도, 값진}{Value, value} [값만][Value only] [갑시, 갑슬
[갑세 갑슨]
[Suddenly, shoulder
[Gapson Gapson]
[갑시,갑슬, 갑세, 갑슨][Gap, Gap, Gap, Gapson] {갑ㅅ}{Gap} [갑시,갑슬,
갑세,갑슨]
[Suddenly,
Gap, Gapson]
[갑또][Gapto] [갑-][naze-] [갑-][naze-] [갑^또][^^] [감만][Gamman] [감-][feeling-] [감-][feeling-] [감^만][Gaming ^ only]

상기 표 14에 따르면, 용언과 체언의 활용형을 핵심적인 공통형태로 분리하였다. 따라서 공통형태와 부속형 설정 형태가 좀더 단순하게 되었다. According to Table 14, the usage forms of the word and the verb were separated into a core common form. Therefore, the common form and the subordinate setting form become simpler.

특히, 체언의 경우 조사 {-이/가, -을/를, -은/는, -에} 등이 공통형태 {갑ㅅ}으로 설정되므로 그 수가 많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다시 표제어 부분에 제시해 보면, <<{값},[갑시,갑슬,갑세,갑슨,갑-,감-]>>(813)과 같이 7개 항이던 실음어간 정보가 <<{값},[갑ㅅ,갑-,갑-]>>(816)과 같이 4개 항으로 축약된 것이다. 이와 같이 음소 공통음형을 사용하면 검색의 공통음형 항목 수를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검색이 정확도는 다소 낮아질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rrespondence, the number of surveys is reduced since the survey {-, /,-, /,-, /, etc. is set to the common form {Gap}. If you present it again in the heading, you can se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real word between 7 terms such as << {value}, [Gap, Gap, Gapson, Gapson, Gap-, Gam-] >> (813) is << {value}, It is abbreviated in four terms as [Gap, Gap-, Gap-] >> (816). In this way, the phoneme common phonetic type reduces the number of common phonetic items in the search. However, the search has a disadvantage that the accuracy may be somewhat lower.

도 8의 표제어 부분 구성은 전자사전이 아닌 종이사전의 표제어 구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종이사전에서도 표제어 부분을 폭넓게 구성함으로써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표제어 검색에서 받침소리의 정보를 정확히 주기 위하여 연음되는 활용형으로 대표형 표제어를 설정한다. 그 다음에 실음어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활용형태를 부속형 표제어로 삼아서 표기형과 발음형으로 설정하고, 이어서 실음어간을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The heading partial configuration of FIG. 8 may be used in the heading configuration of the paper dictionary rather than the electronic dictionar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earch by constructing the heading part in the paper dictionary. First, the representative heading is set as the conjugation type used to give accurate information of the supporting sound in the headword search. Then, the usage form that can be used as the basis of the actual verbs can be set as notation and pronunciation using sub-headings, and then the actual verbs are set.

도8의 표제어 부분 구성을 사용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전자사전에서는 입력어의 실음어간이나 음소 공통음형을 분리하여, 도8과 같이 표제어 부분에 설정된 공통음형을 찾아가는 검색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어의 처리에는 문자언어나 음성언어를 모두 담당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In the electronic dictionary of searching by all utilization types of words using the heading part configuration of FIG. 8, the phonetic dictionary or phoneme common phonemes of the input words are separated, and a search process is performed to find common phonemes set in the heading part as shown in FIG. 8. . Therefore, a device that handles both text and voice languages is required for the processing of input words.

이러한 전자사전의 구성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n electronic dictionar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든 활용형으로 찾는 전자사전의 일 실시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전의 실음어간 분석기의 구성과 작업 모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전의 출력어 처리부의 작업 모형도이다.Figure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ictionary to look for all utilization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working model diagram of an audio-negative analyzer of an electronic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working model diagram of an output word processing unit of an electronic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어를 마이크나 키보드 등을 통하여 음성이나 문자로 입력하는 입력부(901, 902)와, 음성으로 입력되는 질의어를 받아쓰고 문자로 입력된 질의어는 그대로 받아서 질의어를 정리하는 입력어 처리부(903)와, 실음어간이나 공통음형, 기본어간, 품사 등의 표제어 부분 정보와 뜻풀이 등의 낱말 관련 제반 자료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부(904)와, 입력어 처리부에서 정리된 질의어를 받아서 실음어간 분석을 실행하여 질의어의 실음어간을 확정한 다음에 뜻풀이나 발음 및 표기 등의 제반 목표 정보를 찾아내는 데이터 검색부(905)와, 검색된 정보를 문자나 음성으로 정리하여 출력하는 출력어 처리부(906)와,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여 검색된 자료를 출력되게 하는 작동 제어부(907)와, 입력 자료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부(908)와, 자료 정보를 음성이나 문자로 출력하는 출력부(909, 910)와, 자료 정보를 외부 기기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의 송수신 장치를 한 송수신부(911)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input units 901 and 902 for inputting an input word by voice or text through a microphone or a keyboard, and the query word input by voice are received, and the query word input by the letter is received as it is and the query word is arranged. An input word processing unit 903, a data memory unit 904 for storing information on headword parts such as real phonetic words, common phonetic forms, basic words, and parts of speech, and word-related data such as meanings; After receiving the summarized query words and performing the analysis between the real words, the data retrieval unit 905 finds all target information such as the meaning pool, pronunciation, and notation, and then organizes the retrieved information by text or voice. An output word processing unit 906, an operation control unit 90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o output the retrieved data,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A ray unit 908, output units 909 and 910 for outputting data information as voice or tex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911 including a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사전은 데이터를 외부에서 받아서 사용할 수도 있고, 자체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종 전자기기에서 크고 작은 한국어 전자사전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낱말의 활용형을 검색어로 응용하는 방법은 전자사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n electronic dictionar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receive data from outside and use it, or may use its own dat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large and small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on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the method of applying the word utilization type as a search word may be usefully used in an electronic dictionary.

도 9를 문자로만 검색하는 전자사전에 적용할 경우에는 음성입력(902)과 음성출력(910) 부분을 제외하면 된다. 도 9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문자와 음성으로 입력하는 사전의 구성을 제시한 것이다. When the electronic dictionary of FIG. 9 is searched by text only, the voice input 902 and the voice output 910 may be excluded. In the description of FIG. 9, a configuration of a dictionary for input by text and voice is presented for convenience.

문자나 음성을 통하여 낱말의 모든 활용형으로 검색되게 하려면, 입력어 처리부(903)에서는 음성으로 입력된 질의어에 대하여 발음형 문자로 받아쓰기를 해야 한다. 음성처리 기술의 발달로 음성-문자의 변환이나 문자-음성의 변환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음성언어를 맞춤법에 맞추는 표기법으로 받아쓰기를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워서 오류가 많이 생기므로 아직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In order to be searched for all the utilization types of words through text or voice, the input word processing unit 903 needs to dictate the phonetic words input by voice as phonetic letters. With the development of speech processing technology, the conversion of voice-to-text and the conversion of text-to-speech can be improved. Dictation of the phonetic language to spelling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error-prone, so avoid using it yet.

입력어 처리부(903)에서는 첫째로 표기형의 문자로 입력된 표기형태의 질의어는 그대로 데이터 검색부(905)에 넘겨주면 되고, 둘째로 음성언어로 입력된 질의어는 발음형의 문자로 받아쓰기를 한 다음에 데이터 검색부(905)에 넘겨주게 된다. In the input word processing unit 903, the query form of the notation type input as the first notation type character may be passed to the data search unit 905 as it is, and the second query term input as the phonetic language is dictated by the pronunciation type character. Next, the data is passed to the data retrieval unit 905.

데이터 검색부(905)에서는 표기형의 문자나 음성 언어의 문자로 질의어를 받아서 실음어간을 분석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 작업 과정은 아래 표 15와 같다.The data retrieval unit 905 receives a query using a notation type character or a character of a voice language, and analyzes and separates between real words. The working process is shown in Table 15 below.

아래 표 15는 실음어간 형태분석 작업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Table 15 below illustrates the process of morphological analysis between real words.

실음어간 가설형 설정 구조Hypothetical setting structure between real words 질의어 [머그면]의 가설형 예시Hypothetical example of the query word [mug face] 표제어 부분 의 실음어간 데이터 검색 결과Data search results between real words in the heading part 작업 과정Work process 가설형-1:질의어 끝음절의 폐음절형(받침있는 형태) Hypothesis-1: Pulmonary syllable type of question ending syllable [머그면][Mug surface] 없음none 가설형-1에서 끝음절의 받침을 삭제하여 가설형-2를 설정함 Set hypothesis type-2 by removing the support of the end syllable from hypothesis type-1 가설형-2: 질의어 끝음절의 개음절형(받침 없는 형태-받침 삭제 형태)Hypothesis-2: Open syllable type of query end syllable (no support-delete form) [머그며][Muggling] 없음none 가설형-2에서 끝음절을 삭제하여 가설형-3을 설정함 Set hypothetical type-3 by deleting the end syllable from hypothetical type-2 가설형-3: 질의어의 끝에서 뚤째 음절이 폐음절형일 경우
Hypothesis-3: When the syllables at the end of the query are closed syllables
[ / ] 없는 형태임 Without [/] 없음none 가설형-3에서 끝음절의 받침이 삭제된 형태
Form of end syllable removed from Hypothesis-3
가설형-4: 질의어 끝음절을 삭제된 형태 Hypothesis-4: Deleted form of query syllables [머그][Mug] 표제어 {먹어}항에서 실음어간을 찾음 Found the real stem in the heading {eat} 실음어간이 있는 표제어 항목의 의미 정보 처리
(검색 작업종료)
Processing semantic information of heading entries with real words
(End search job)
여기 예시된 것처럼 가설형-4에서 실음어간을 찾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가설형-5이하로 끝음절을 삭제해 내려가면서 실음어간의 형태를 찾아가는 방식임 As shown here, if hypothetical stemming is not found in hypothetical type-4, it is a method of finding the form of the actual speech while deleting the end syllables under hypothetical type-5 or less.

상기 표 15에 따르면, 실음어간 가설형이 있다. 질의어의 실음어간을 모르는 상태이므로, 질의어의 전체 형태부터 실음어간이라는 가설형태를 세워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가설형-1은 질의어 전체 형태로 설정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음절은 개음절(받음이 없는 음절)과 폐음절(받침이 있는 음절)이 있으므로, 가설형-2는 첫음절에서 폐음절이 있는 경우에만 설정된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음절을 단위로 하여 실음어간을 가설형으로 설정해 나가는 것이다. According to Table 15 above, there is a hypothetical type between real words. Since we don't know the real words between the query words, we build up the hypothesis form of the real words from the whole form of the query words. Therefore, Hypothesis-1 was set up as the entire form of query. However, since Korean syllables have open syllables (syllables without reception) and closed syllables (syllables with support), Hypothesis-2 is set only when there are closed syllables in the first syllable. In this way, the syllables are set as hypotheses based on syllables.

편의상 가설형은 폐음절은 1, 3, 5형 등으로 짝수로 개음절은 2, 4, 6형 등 홀수로 고정시켜 놓았다. 예시한 질의어가 [머그면-]으로 3음절이고 폐음절로 되어 있어서, 가설형-1은 폐음절로 [머그면]으로 설정되었다. 질의어의 끝음절에 받침이 없다면 가설형-2부터 시작이 될 것이다.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hypothetical type is fixed evenly with the closed syllables 1, 3, 5, etc. and the odd syllables with the open syllables 2, 4, 6, etc. The example query is [Mug-Side] with three syllables and closed syllables, so Hypothesis-1 is set to [Mug-Side] with closed syllables. If there is no support for the end syllable of the query, it will start from hypothesis type-2.

가설형-4인 [머그]로 데이터 메모리부(903)에 내장된 표제어 부분의 실음어간 형태 정보를 검색한 결과에서 실음어간으로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질의어 [머그면-]의 실음어간은 [머그-]로 확인되면서, 이 검색형이 찾은 표제어 {먹어} 항의 뜻풀이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Mug], which is hypothetical type-4, is confirmed as a real word from a result of searching form information between real words of a heading part embedded in the data memory unit 903. Therefore, the real word stem of the query [Mug-face] is identified as [Mug-], and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meaning of the term {eat} which is found by this search type.

이와 같이 질의어의 표기형이나 발음형을 실음어간의 가설형으로 만들면서 분석하여 실음어간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갖는 것을 실음어간 형태분석기(이하 '실음어간분석기'라 함)라고 말하고자 한다. 실음어간분석기의 작업과정을 도면으로 예시하면 도 10의 '실음어간 작업모형'과 같다. 도 10은 데이타 검색부(905)의 작업 과정 중에서 실음어간분석기의 작업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실음어간의 가설형-1(1001)은 질의어에서 음절의 형태를 삭제해 나가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쉽게 말하면, 낱말 활용형에서 어미나 조사로 사용된 음절의 형태를 삭제해 나감으로써 실음어간의 형태만 남겨 놓는 방식으로 실음어간을 분석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질의어로 예를 든 것은 [말그면](1003)이다. 전체형태인 [말그면]을 실음어간의 가설형-1로 설정하고 이것을 데이터 메모리부(904)에서 찾아 확인(1005)해 본 결과, 이러한 실음어간은 없어서 데이터 없음(1006)으로 표시하면서 반환(1007)조치 한다는 것이다. 다음에 가설형-2와 가설형-3도 같은 방식으로 확인하여 반환되고, 가설형-4인 [말그]는 확인해 본 결과 데이터를 찾음으로써 실음어간으로 확정(1008)된 것이다. 질의어의 길이에 따라서 실음어간의 가설형태가 가설형-5(1002) 이상으로 더 늘어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 of finding the real words by analyzing them while making the notation or pronunciation forms of the query words as hypothetical forms between the real words is called the morphological analysis between real w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l word between words'). If the working process of the real speech liver analyzer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t is the same as the 'working model between real sounds' of FIG. 10. FIG. 10 shows a working model of the real-mean liver analyzer during the working process of the data retrieval unit 905. Here, hypothetical type-1 (1001) between real words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deletes the syllable form from a query word. In simple terms, it can be said to analyze real words between words by removing the types of syllables used in words or surveys from words. An example of a query is [spoken] (1003). As a result of setting [spoken face] as the overall form to hypothetical type-1 between real words and finding them in the data memory unit 904 (1005), there was no such real words and returned with no data (1006). 1007) to take action. Then, hypothetical type-2 and hypothetical type-3 are also confirmed and returned in the same manner, and hypothetical type-4 [Malg] is determined as 1001 by finding real data.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query, the hypothesis form between the actual words may be extended beyond the hypothesis type-5 (1002).

질의어 [말그면](1003)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가설형-4인 [말그]가 '데이터 찾음'으로 확인되고 실음어간으로 확정(1008)됨으로써 실음어간의 형태분석이 성립되는 것이다. 이 작업 과정은 데이타 검색부(905)에서 담당한 것인데, 실음어간 확정(1008)의 과정까지만 따로 놓고 보면 이것이 곧 실음어간 분석기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실음어간 분석기라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려면, 실음어간 확정 단계에서 확정된 실음어간 [말그](1008)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장치를 해놓으면 되는 것이다. 즉 찾아낸 실음어간을 볼 수 있게 장치를 해 놓으면 그것이 곧 사전을 겸한 실음어간 분석기가 된다는 것이다. 확정된 실음어간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해 주지 않더라도, 실음어간의 형태분석기의 작업과정은 실제로 데이터 검색부(905)의 앞 부분에서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query [spoken face] 1003, the hypothetical type-4 [Malg] is confirmed as 'data found' and is confirmed as a real word (1008), thereby forming a morphological analysis between the real words. This work process is in charge of the data retrieval unit 905. If you look only at the process of deciding between verbal sounds (1008), it becomes an analyzer between actual speeches. In order to clearly show that this is a real speech analyzer, a device for displaying a visible real word between words [marg] 1008 can be visually displayed. In other words, if you set up the device so that you can see the found real sound stem, it becomes a dictionary of real sound stem. Even if the actual real words are not displayed visually, the process of the shape analyzer between the real words is actually an important function in charge of the front part of the data retrieval unit 905.

그 다음에 데이타 검색부(905)에서 하는 일은 확정된 실음어간(1008)이 포함된 표제어 항목 검색을 실행(1010)하여 표제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What the data retrieval unit 905 then does is execute 1010 a heading item search that includes the confirmed real word 1008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heading.

출력어 처리부(906)에서는 데이타 검색부(905)에서 실음어간으로 검색한 표제어 항목의 낱말 정보를 받아서 질의어의 입력 당시 상태에 맞춘 출력어로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질의어의 입력 당시 상태라는 것은 질의어가 입력될 때 문자나 음성으로 입력된 상태를 구별하는 것이다. 입력 당시 상태를 문자와 음성으로 구분하여 출력어도 이에 맞추어 주는 것이다. 음성언어로 입력된 것은 다시 음성언어로 읽어 주는 것이고, 문자로 입력된 것은 문자로 정보를 준다. 아니면 사용자가 두 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The output word processing unit 906 receives the word information of the headword item searched by the real word in the data retrieval unit 905 and processes the output word according to the state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query word. The state at the time of input of the query is to distinguish the state input by text or voice when the query is input. The status at the time of input is divided into text and voice, and the output word is matched accordingly. What is input in the phonetic language is read again in the phonetic language, and what is input in the text gives information in the text. Or you can give the user two choices.

그런데, 출력어 처리부(906)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의 양적인 문제를 결정해야 한다. 도 11에는 표제어 항목 전체 정보 표시형(1101)과 대표 표제어와 부속 표제어 표시형(1102), 그리고 간단한 형태로서 기본형과 뜻풀이 표시형(1103) 등으로 예시하였다. 이것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볼 수 있게 할 수 있고, 문자와 음성으로도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장치를 하면 좋을 것이다. However, the output word processing unit 906 has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problem of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 FIG. 11, the heading item full information display form 1101, the representative heading and the appended heading display form 1102, and the basic form and the meaning pool display form 1103 are illustrated as simple forms. This may allow the user to view selectively, and the device may be selectively used for text and voice.

한편 음소 공통음형을 분석할 때도 실음어간분석의 방식과 과정을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다만 이것은 가설형을 만들 때 음절을 중심으로 설정하지 않고 음소 즉 자음과 모음을 계속 삭제해 나가면 되는 것인데, 그러면 가설형의 수가 실음어간의 가설형보다 많아지는데, 이것이 '음소 공통음형 분석기'가 되는 것이다. 실음어간분석기의 구성과 과정은 같으므로 별도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음소 공통음형은 자음과 모음이 어두에 집결되는 경향이 많아서 실음어간과 대조적으로 질의어의 첫 음절 형태부터 자음과 모음을 하나씩 첨가해 들어가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다. 첨가해 들어가면서 가설형을 만들어 나가서 질의어의 음절 끝까지 가설형을 다 만들어서 검색을 한 다음에 찾아진 가설형의 실음어간들 중에서 가장 긴 것을 질의어의 실음어간으로 확정하면 되는 것이다. Meanwhile, when analyzing common phoneme types, the method and process of real word stem analysis can be applied as it is. However, when creating a hypothesis, the phoneme,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deleted without setting the syllables centered. Then, the number of hypotheses becomes larger than the hypothesis between real words, which becomes the 'phoneme common phoneme analyzer'. will be. Since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the real speech analyzer are the same,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owever, the phoneme common phoneme type has a tendency to congregat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dark, so it may be better to use consonant and vowels from the first syllable form of the query in contrast to real words. After adding the hypothesis to the end of the syllable's syllables, the hypothesis form is searched. Then, the longest of the hypothetical stems of the found hypothesis is determined as the real speech of the que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Claims (6)

한국어사전에 있어서,
사전의 표제어 부분의 구성에서 연음하는 낱말 활용형을 검색어로 더하여 사용하거나 표제어 자체로 삼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과 뜻풀이 부분 전체에서 동사의 기본형을 배제하고 활용형을 사용하는 구성 방법과,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 대표 활용형 표제어와 부속 활용형 표제어 및 기본어간과 실음어간을 설정하여 낱말의 표기형이나 음성언어형의 모든 활용형을 검색하는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 사전.
In the Korean dictionary,
In the composition of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use of consonant words as a search term or as the heading itself,
How to construct a conjugation form without using the basic form of the verb in the heading part and the meaning part of the dictionary,
To search by the utilization type of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method for searching all utilization forms of word notation or phonetic language type by setting the representative utilization heading and sub-utilization heading and basic and real words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Korean dictiona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은,
사전의 표제어 부분에서 체언이나 용언 등의 활용형을 표제어인 기본형의 앞에 위치시켜서 기본형을 찾아가는 검색어로 사용하거나,
체언이나 용언 등의 활용형을 표제어 자체로 사용하거나,
표기형의 표제어를 주체로 삼고 발음형의 표제어는 표기형 표제어로 찾아가는 역할만 담당하거나,
표제어 부분에서 연음 활용형의 뒤에 기본형을 놓고 각각 발음형을 병기하여 다중적 검색어로 삼거나,
표기형의 기본어간, 활용형의 실음어간 및 음소 공통음형 및 어간 근원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The method of claim 1,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utilizing the word,
In the heading part of the dictionary, put the conjugation type, such as quoting or verb, in front of the basic type as the heading, and use it as a search term for the basic type.
Use conjugations such as statements or verbs as headings,
The headings of the notational form are mainly subject, and the pronunciation headings only take the role of searching for the notational heading,
Put the basic form after the consonant conjugation in the heading section, and make the pronunciation form a multiple search term.
Korean dictionary for searching by utilizing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concept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basic language of the notation, the actual phonetic between the conjugation type and the phoneme common phoneme and stem ro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은 종이사전, 전자사전 또는 인터넷사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The method of claim 1,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the conjugation of the word is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the conjugation of the wor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aper dictionary, electronic dictionary or Internet dictionar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은 모든 낱말의 표기형과 발음형을 문자로 검색하거나 음성언어의 모든 낱말 활용형을 음성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nic dictionary is a Korean dictionary for searching by using the type of words, characterized in that by searching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type of all words by letter or by searching all the words utilizing type of the voice langu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전은 입력어를 마이크나 키보드 등을 통하여 음성이나 문자로 입력하는 입력부(901, 902)와, 음성으로 입력되는 질의어를 받아쓰고 문자로 입력된 질의어는 그대로 받아서 질의어를 정리하는 입력어 처리부(903)와, 실음어간이나 공통음형, 기본어간, 품사 등의 표제어 부분 정보와 뜻풀이 등의 낱말 관련 제반 자료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부(904)와, 입력어 처리부에서 정리된 질의어를 받아서 실음어간 분석을 실행하여 질의어의 실음어간을 확정한 다음에 뜻풀이나 발음 및 표기 등의 제반 목표 정보를 찾아내는 데이터 검색부(905)와, 검색된 정보를 문자나 음성으로 정리하여 출력하는 출력어 처리부(906)와,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여 검색된 자료를 출력되게 하는 작동 제어부(907)와, 입력 자료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부(908)와, 자료 정보를 음성이나 문자로 출력하는 출력부(909, 910)와, 자료 정보를 외부 기기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의 송수신 장치를 한 송수신부(9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onic dictionary includes input units 901 and 902 for inputting an input word as a voice or a text through a microphone or a keyboard, and an input word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query word input by voice and receiving a query word input as a character as it is. (903), a data memory unit 904 for storing word heading information such as real phonetic words, common phonetic forms, basic words, parts of speech, and word-related data such as meanings; and a query word arranged by an input word processing unit. A data retrieval unit 905 for retrieving the target words, such as the meaning pool, pronunciation, and notation, and performing output analysis between real words, and outputting the retrieved information by text or voice. 906, an operation control unit 90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o output the retrieved dat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908, and output units 909 and 910 for outputting data information as voice or tex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911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Korean dictionary to search by word lever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부(905)에서 실음어간 분석을 실행하여 질의어의 실음어간을 확정한 다음에 뜻풀이나 발음 및 표기 등의 제반 목표 정보를 찾아내는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질의어의 실음어간 가설형 구성 구조(1001)와, 실음어간을 검색하는 데이터 처리과정(1004)의 구성과, 실음어간 확정(1008) 구조로 구성되는 실음어간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낱말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data retrieval unit 905 analyzes the real words to determine the real words of the query, and then finds the target information such as the meaning pool, pronunciation, and notation. And a real word to speech analysis comprising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process (1004) for searching between real words and a real word between words (1008) structure.
KR1020100026730A 2010-03-25 2010-03-25 The korean dictionary KR101139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30A KR101139469B1 (en) 2010-03-25 2010-03-25 The korean diction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30A KR101139469B1 (en) 2010-03-25 2010-03-25 The korean diction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48A true KR20110107548A (en) 2011-10-04
KR101139469B1 KR101139469B1 (en) 2012-04-30

Family

ID=4502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730A KR101139469B1 (en) 2010-03-25 2010-03-25 The korean dictiona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4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865A1 (en) * 2019-08-16 2021-02-25 정현욱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written kore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065B1 (en) 2018-04-10 2020-01-08 정진철 Korean Hangeul 3000 Syllable Stereo Learning Machine and Its Lear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187A (en) * 1995-02-24 1996-09-13 Fujitsu Ltd Dictionary retrieval system
KR100401466B1 (en) 2000-09-22 2003-10-11 이효숙 Korean language stemmer for natural language searching system and stemming method thereof
KR100484493B1 (en) * 2002-12-12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pontaneous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utiple pronunication dictionary
KR100486733B1 (en) 2003-02-24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 connection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865A1 (en) * 2019-08-16 2021-02-25 정현욱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written kore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469B1 (en)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rtmann English linguistics: essentials
Winder et al. Introduction to Modern Arabic
Gussenhoven et al. Understanding phonology
Bieswanger et al. Introduction to English linguistics
Fagyal et al. French: A linguistic introduction
Crowley et al.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linguistics
Coffin et al. A reference grammar of Modern Hebrew
Lepschy History of linguistics Volume II: Classical and medieval linguistics
Ryding Arabic: A linguistic introduction
Bynon Historical linguistics
Gregersen et al. Language in Africa: an introductory survey
Romaine et al.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Kubozono Handbook of Japanese phonetics and phonology
Van Pelt Basics of Biblical Aramaic: complete grammar, lexicon, and annotated text
Kortmann English Linguistics
Kharbe English language and literary criticism
Clivio et al. The sounds, forms, and uses of Italian: An introduction to Italian linguistics
Ashrafova Phonetic and lexical features of words borrowed from French into English
Georgiou An Introduction to Issues in General Linguistics
Bialek A textbook in Classical Tibetan
Riddle Complexity in isolating languages: Lexical elaboration versus grammatical economy
KR101139469B1 (en) The korean dictionary
Akindele Duration as a determining factor in educated Edo English rhythm description
Miller Juba Arabic as a written language
Dohlus The role of phonology and phonetics in loanword adaptation: German and French front rounded vowels in Japan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