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20A -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 Google Patents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20A
KR20110107520A KR1020100026683A KR20100026683A KR20110107520A KR 20110107520 A KR20110107520 A KR 20110107520A KR 1020100026683 A KR1020100026683 A KR 1020100026683A KR 20100026683 A KR20100026683 A KR 20100026683A KR 20110107520 A KR20110107520 A KR 2011010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uoyancy
buoyancy body
uni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열
Original Assignee
최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열 filed Critical 최승열
Priority to KR1020100026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520A/en
Publication of KR2011010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03B17/04Alleged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5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hains and sprockets; using toothed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 내부를 다수의 부력체가 승강함에 따라 발생하는 승강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중이 서로 다른 유체들이 수용되며 내부 하단면과 소정 거리 떨어져 칸막이가 배치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칸막이를 따라 상기 수조 내부를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선회 유닛과 상기 선회 유닛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비중이 다른 유체들에 의해 상기 선회 유닛을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및 상기 선회 유닛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이 선회함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동력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는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칸막이 일측이 접하는 공간을 제1 공간부와 상기 칸막이 타측이 접하는 부위를 제2 공간부로 하며, 상기 유체는 제1 유체 및 상기 제1 유체에 비해 비중이 가벼운 제2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을 따라 하강시 중력 작용에 의해 내부가 압박되어 내부 공기를 압축시키고 상승 시 내부 공기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the lifting force generated by the lifting of a plurality of buoyancy body inside the tank containing the liqui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swing unit and the swing unit which is arranged to pivot the inside of the tank along the partition and the tank containing the fluid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nd the partition is dispos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buoyant body which is elevated along the turning unit by the fluid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nd is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and includes a power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the power generated by the turning unit. The tank is a space where one side of the partition is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and a por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fluid is made of light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fluid and the first fluid. Two fluids, the buoyancy body being hollow inside and being lowered along the turning unit. Is the internal pressure by the action of gravity when the compressed air inside and is characterized by expansion of the air inside the rise.

Description

비중차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본 발명은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 내부를 다수의 부력체가 승강함에 따라 발생하는 승강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the lifting force generated by the lifting of a plurality of buoyancy body inside the tank containing the liquid. .

일반적으로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는 액체 중에서 발생된 기포가 부력체 내에 포집되면서 이들 부력체가 상승되는 힘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회전 구동이 발생되게 하고, 그 회전력을 통해 동력의 발생이나 발전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buoyancy power genera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inuous rotational drive by using the force that these buoyancy body is raised as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is trapped in the buoyancy body, the power generation or power generation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is configured to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는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수단이 지속적으로 부력체에 에어를 공급되어야 함으로서 에너지가 과도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has a problem that the energy supply is excessively consumed because the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must continuously supply air to the buoyancy body.

또한, 동력량의 상승에 따라 상기 부력체의 수 또한 많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 에는 각 부력체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에너지 소비량은 더욱 증가하게 되며, 에어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의 수 또한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설비 비용은 물론 동력 발생 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amount of power increases, the number of the buoyancy bodies also increases. In this case, the energy consumption increases to supply air to each buoyancy body, and the number of supply pipes for supplying air also increases. Facility costs, as well as maintenance costs for operating the power generat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부력체가 수조 내부를 승강할 때 부력체의 내부 공기를 압축 및 팽창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power more efficiently by compressing and expanding the air inside the buoyancy body when the buoyancy body moves up and down the tank. hav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는, 비중이 서로 다른 유체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내부 하단면과 소정 거리 떨어져 칸막이가 배치되어 있는 수조, 상기 칸막이를 따라 상기 수조 내부를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선회 유닛, 상기 선회 유닛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비중이 다른 유체들에 의해 상기 선회 유닛을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그리고 상기 선회 유닛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이 선회함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동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칸막이 일측이 접하는 공간을 제1 공간부, 상기 칸막이 타측이 접하는 부위를 제2 공간부로 하며, 상기 유체는, 제1 유체 및 상기 제1 유체에 비해 비중이 가벼운 제2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을 따라 하강시 중력 작용에 의해 내부가 압박되어 내부 공기를 압축시키고, 상승 시 내부 공기를 팽창시킬 수 있다.I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is empty to accommodate the fluid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the tank is dispos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the tank along the partition A pivoting unit arranged to pivot inside, at least one buoyant body mounted along the pivoting unit by the fluid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nd connected to the pivoting unit, the pivoting unit being connected to the pivoting unit And a power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the power generated as the unit turns, wherein the tank includes a space in which the one side of the partition contacts the first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based on the partition. The fluid may include a first fluid and a second fluid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fluid. The buoyancy body may be empty in its interior, and may be compressed inside by the gravity action when descending along the turning unit to compress the internal air, and expand the internal air when it is raised.

또한, 상기 수조의 제2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2 유체의 양은, 상기 제1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2 유체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게 함으로써,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제2 공간부에서 상승하도록 하는 유체의 비중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second fluid contain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of the water tank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amount of the second fluid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thereby allowing the buoyancy body to rise in the second space porti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luid can be used.

또한, 상기 선회 유닛은, 상기 칸막이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기어, 상기 칸막이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체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ng unit may include a first gea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a second gea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and a chain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

또한, 상기 제1 기어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발생부는, 롤러, 상기 롤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결해 주어 상기 선회 유닛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동력으로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memb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gear,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connects the roller, the roller and the rotation member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urning unit, and the roller. And, it may include a generator for producing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as a power.

또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체인 부재의 일측에 소정 거리 떨어져 다수 개가 배열되어 있는 유체의 비중을 이용할 수 있다. The buoyancy body may use specific gravity of a fluid in which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are arranged at one side of the chain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제1 유체가 수용되어 있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제1 유체 공급관, 그리고 상기 제1 유체 공급관과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가 수용되는 있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제2 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luid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first fluid is accommodated, and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econd fluid is accommodated, a first fluid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supply pipe. It may include a second fluid supply pipe in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수조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연통되어 있는 제1 유체 배출관, 그리고 상기 제1 유체 배출관과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를 배출시키기 제2 유체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luid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discharged therein and a distance from the first fluid discharge pipe, the second fluid discharge pipe discharging the second fluid.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1 유체의 높이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 사이 경계면에 떠 있는 제1 부표, 그리고 상기 제2 유체의 높이를 알려주기 위해 제2 유체 위에 떠 있는 제2 부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a first buoy floating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fluid and the second fluid to indicate the height of the first fluid, and a second buoy floating on the second fluid to indicate the height of the second fluid.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기 다른 비중을 가지는 유체들에 의해 자동으로 수조 내부를 승강하는 부력체들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의 동력 발생 장치들에 비해 부력체 작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결국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generated by buoyancy bodies which automatically lift and lower the inside of the tank by fl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This minimizes energy consumption for buoyancy oper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power generators. As a result, not only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the work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또한, 부력체가 승강할 때 중력에 의해 부력체의 내부 공기를 팽창 및 압축시켜 줌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an be more efficiently produced by expanding and compressing the internal air of the buoyancy body by gravity when the buoyancy body is eleva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generator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generator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is an operation of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a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generator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1, 이하 동력 발생 장치)는 크게 수조(10), 선회 유닛(20), 부력체(30), 그리고 동력 발생부(40)를 포함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ower generating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largely a water tank 10, a turning unit 20, a buoyancy body 30, and a power generating unit ( 40).

상기 수조(10)는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1)의 기본 몸체이다. 상기 수조(1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는 칸막이(10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1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지만, 개방되어 있지 않고 밀폐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 유닛(20)의 체인 부재(220)는, 제1 기어(200)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수조(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야 한다.The water tank 10 is a basic body of the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is empty, and a partition 10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side. 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is open, it may be sealed without opening. In this case, the chain member 220 of the turning unit 20 must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because it must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200.

상기 수조(10)는, 상기 칸막이(100)를 기준으로 상기 칸막이(100) 일측이 접하는 내부 공간 즉, 도면상에서 상기 수조(10) 왼쪽 공간을 제1 공간부(110), 상기 칸막이(100) 타측이 접하는 내부 공간 즉, 도면상 상기 수조(10) 오른쪽 공간을 제2 공간부(120)로 나누기로 한다. 이때, 상기 칸막이(100)는 상기 수조(10) 내부 하단면과 소정 거리 떨어져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 하부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The water tank 10 has an inner space in which one side of the partition 100 is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100, that is, the left space of the water tank 10 in the drawing includes a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partition 100. The inner space that the other side contacts, that is, the space on the right side of the water tank 10 is divided into the second space part 120. At this time, the partition 100 is mounted away from the lower end surface inside the water tank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the first space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0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수조(10) 내부에는, 비중이 서로 다른 유체들이 수용된다. 이때 서로 다른 유체들을 제1 유체(2) 및 상기 제1 유체(2)보다 비중이 가벼운 제2 유체(3)로 구분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유체(2)는 수은 등의 비중이 큰 유체가 될 수 있으며, 제2 유체(3)는 물 등의 수은 등에 비해 비중이 작은 유체가 될 수 있다.In the water tank 10, fl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re accommodated. In this case, different fluids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having a light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irst fluid 2. The first fluid 2 may be a fluid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such as mercury, and the second fluid 3 may be a fluid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mercury such as water and the like.

상기 수조(10) 내부에 상기 제1 유체(2) 및 상기 제2 유체(3)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제1 유체(2)는 상기 제2 유체(3)에 비해 비중이 큼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제1 유체(2)는 상기 수조(1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유체(3)는 상기 제1 유체(2) 위에 떠있게 된다.When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are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10, the first fluid 2 naturally increases as the specific gravit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fluid 3. The first fluid 2 is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10, and the second fluid 3 floats above the first fluid 2.

이때, 상기 수조(10)에는, 상기 제1 유체(2)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유체 공급관(130) 및 배출해 주기 위한 제1 유체 배출관(140)이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체(3)를 공급 및 배출시켜주기 위해 상기 수조(10)에 제2 유체 공급관(150) 및 제2 유체 배출관(160)도 연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유체 공급관(130,150) 및 상기 제1,2 유체 배출관(140,160)은 제2 공간부(120)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 유체 공급관(130,150)은 각각의 유체 상승면에 접하도록 연통되어 있으며, 제1,2 유체 배출관(140,160)은 각각의 유체 바닥면과 접하도록 연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2 유체 공급관(130,150) 및 제1,2 유체 배출관(140,160)은 하나의 관으로 통합되어 하나의 관에서 상기 제1 유체(2) 및 상기 제2 유체(3)를 공급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유체 공급관(130,150) 및 제1,2 유체 배출관(140,160)이 연통되는 위치 역시 각 유체의 상승면 및 바닥면에 접하여 연통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부위 예를 들어, 상기 수조(10) 하부나 상기 제1 공간부(110)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2 유체 공급관(130,150) 및 제1,2 유체 배출관(140,16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조(10) 상부를 개방하여 수작업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10) 내부로 유체들을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luid supply pipe 130 for supplying the first fluid 2 and the first fluid discharge pipe 140 for discharging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10. In addition, the second fluid supply pipe 150 and the second fluid discharge pipe 160 are also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10 to supply and discharge the second fluid 3. As shown, the first and second fluid supply pipes 130 and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discharge pipes 140 and 160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pace part 120.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luid supply pipes 130 and 150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fluid rising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discharge pipes 140 and 160 are in contact with each fluid bottom surfac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fluid supply pipes 130 and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discharge pipes 140 and 160 are integrated into one pipe to supply and discharge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from one pipe. You can. In addi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uid supply pipes 130 and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discharge pipes 140 and 1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not limited to being in contact with the rising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spective fluids.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or the first space 110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luid supply pipes 130 and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discharge pipes 140 and 160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water tank 10 may be opened by using an open hand or a motor by opening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Fluid may be supplied or discharged therein.

또한, 각 공급관들이 상기 수조(10)에 연통될 때는 봉 형태로 바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굴곡되어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은 등의 유체가 각 공급관을 통해 역류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배출관 역시 굴곡되어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supply pipe may be directly connected in the form of a rod when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10, it is preferable to be bent and communicated. This i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f a fluid such as mercury flows back through each supply pipe. In addition, each discharge pipe may also be bent and communicated.

유체들을 공급할 때,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수용되는 상기 제2 유체(3)의 수위는 상기 제1 공간부(110)에 수용되는 상기 제2 유체(3)의 수위에 비해 높아야 한다. 만일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상기 제2 유체(3)가 동일하게 수용되어 있으면, 상기 부력체(30)는 수위차를 이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승강하지 못한다. 즉, 상기 제2 공간부(120)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부력체(30)의 경우, 상기 제1 공간부(110)에 비해 더 많이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2 유체(3)에 의해 선회 유닛(2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 공간부(120)에서 상승된 상기 부력체(30)가 상기 제1 공간부(110)로 넘어갈 때, 상기 부력체(30)는, 상기 제2 공간부(120)의 배치된 유체들에 비해 상기 제1 공간부(110)에 배치된 유체들의 수위가 낮음으로 중력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30)는 제1 공간부(110)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When supplying fluids, the level of the second fluid 3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20 must be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second fluid 3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10. . If the second fluid 3 is equ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the buoyancy body 30 may not be elevated as the water level difference is not used. . That is, in the case of the buoyancy body 30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more than the first space portion 110. The fluid 3 rises along the turning unit 20. In this way, when the buoyancy body 30 raised from the second space part 12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pace part 110, the buoyancy body 30 is disposed of the second space part 120. Compared to the fluids, the fluid level of the fluid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part 110 is low, thereby receiving the force of gravity. Accordingly, the buoyancy body 30 is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0.

상기 선회 유닛(20)은, 상기 칸막이(100)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칸막이(100)를 따라 상기 수조(10) 내부를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 유닛(20)은 제1 기어(200), 제2 기어(210), 그리고 체인 부재(220)를 포함하고 있다.The turning unit 20 surrounds the partition 100 and is arranged to pivot inside the water tank 10 along the partition 100. The pivot unit 20 includes a first gear 200, a second gear 210, and a chain member 220.

상기 제1 기어(200)는 상기 칸막이(100) 상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어(210)는 상기 칸막이(100) 하단에 배치되어 있다. 체인 부재(220)는 상기 제1 기어(200)와 제2 기어(21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기어(200)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201)가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gear 200 is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100, and the second gear 210 is disposed below the partition 100. The chain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200 and the second gear 210. In addition, the rotation member 2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gear 200.

상기 부력체(30)는 상기 체인 부재(220) 일측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선회 유닛(20)은 상기 부력체(30)가 제1 공간부(110)와 제2 공간부(120)에 수용된 유체 비중 차이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무한 궤도 운동을 하면서 상기 수조(10) 내부를 선회한다.The buoyancy body 30 is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to one side of the chain member 220. Accordingly, the turning unit 20 performs the infinitely orbital motion as the buoyancy body 30 is lifted by the difference i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thereby inside the water tank 10. To turn.

상기 부력체(3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수조(10)에 수용된 유체들에 입수 또는 출수할 때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둥근 구 모양이며, 하강 시에는 중력의 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철 재질을 포함시켜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둥근 구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부(120)에서 보다 원활하게 상승하기 위해서 상기 부력체(30)가 가지는 독립 부력이 중성 부력(중력=부력)에 비해 커야 한다. 만일 상기 부력체(30)의 독립 부력이 중성 부력에 비해 작을 경우 상기 부력체(30)가 제2 공간부(120)에서 제대로 상승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To describe the buoyancy body 30 in more detail, it has a round sphere shape to minimize resistance when entering or exiting fluids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0, and when descending, an iron material is used to increase the action of gravity.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weight by inclus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ound spher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smoothly rise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the independent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30 should be larger than the neutral buoyancy (gravity = buoyancy). If the independent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30 is smaller than the neutral buoyancy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buoyancy body 30 is not properly rais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상기 동력 발생부(40)는, 상기 선회 유닛(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20)이 상기 부력체(30)에 의해 무한 궤도 운동을 하면서 선회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 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generating unit 40 is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20,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as the turning unit 20 turns while performing the infinitely orbital motion by the buoyancy body 30. It serves to generate.

상기 동력 발생부(40)는, 롤러(400), 연결 부재(410), 그리고 발전기(420)를 포함하고 있다.The power generator 40 includes a roller 400, a connection member 410, and a generator 420.

상기 연결 부재(410)는 상기 롤러(400)와 상기 제1 기어(200)의 회전 부재(201)를 연결시켜 준다. 또한, 상기 롤러(400)는 상기 발전기(42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400)의 일측에는 제3 기어(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기(420)와는 체인 등과 연결된다.The connection member 410 connects the roller 400 and the rotation member 201 of the first gear 200. In addition, the roller 400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420. In this case, a third gear (not show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ller 400, and the generator 420 is connected to a chain or the like.

이러한 구성을 가진 동력 발생부(40)는, 상기 선회 유닛(20)이 회전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연결 부재(410), 롤러(400), 체인에 의해 상기 발전기(420)로 전달해 줌으로서, 발전기(420)는 동력을 생산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ng unit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turning unit 20 to the generator 420 by the connecting member 410, the roller 400, and the chain. The generator 420 may produce power.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1)에 대해 정리하자면, 우선, 상기 칸막이(100)에 의해 내부가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로 나누어진 상기 수조 (10) 내부에 상기 제1 유체(2)를 상기 제1 유체 공급관(130)을 통해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2 유체(3) 역시 제2 유체 공급관(150)을 통해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1 공간부(110)에도 상기 제2 유체(3)가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칸막이(1) 하단부까지 우선 상기 제1 유체(2)와 상기 제2 유체(3)를 같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굳이 상기 제2 유체(3)가 상기 제1 공간부(110)에 수용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상기 제2 유체(3)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체(2)를 덮는 이유는 상기 제1 유체(2)가 수은 등의 유해한 물질일 경우 혹 발생 가능한 상기 제1 유체(2)의 누수나 증발을 방지해 주어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To summarize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the water tank divided into the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second space part 120 by the partition 100 ( 10) The first fluid 2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fluid supply pipe 130 therein. In addition, the second fluid 3 is also supplied through the second fluid supply pipe 150.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fluid 3 must also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10,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1 in which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irst, it is preferable to supply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together. The second fluid 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10. However, the reason for covering the first fluid 2 using the second fluid 3 is that the first fluid 2 may leak if the first fluid 2 is a harmful substance such as mercury. This is to prevent workers from evaporating and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제2 공간부(120)가 연통되어 있는 부위까지 상기 제1 유체(110)를 모두 채워지더라도 상기 칸막이(100) 타측 소정 부위까지 계속 상기 제1 유체(2)를 공급한다. 이후에 상기 제2 유체(3)를 상기 제2 공간부(120)에 공급하여 상기 제1 공간부(110)에 수용된 유체들과 상기 제2 공간부에 수용되는 유체들과의 수위차를 넓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있던 상기 제1 유체(2)는, 계속 공급되는 상기 제2 유체(3)의 비중에 의해 상기 제1 공간부(110) 쪽으로 소량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수용된 유체들이 서로 비중이 균등하게 맞추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써,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의 수용된 유체들은 서로 비중이 균등하나 맞춰지기 위한 수위차는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수용된 유체들이 휠씬 높다.Even if the first fluid 110 is filled up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space portion 110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fluid 2 continues to a predetermined portion at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100. To supply. Thereafter, the second fluid 3 is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part 120 to widen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luid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fluid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part. do. At this time, the first fluid 2 in the second space 120 moves a small amount toward the first space 110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cond fluid 3 which is continuously supplied. This phenomenon is a natural phenomenon in which the fluids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second space part 120 are equally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second space part ( Although the contained fluids of 120 are equal in specific gravity to each other, the level difference for fitting the fluid is much higher in the second space 120.

이렇게 상기 제1 공간부(110)와 상기 제2 공간부(120)에 수위차가 발생되도록 유체들의 공급을 마치게 되면, 상기 제2 공간부(120)에 배치되어 있던 상기 부력체(30)는 상기 제2 유체(3)의 비중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3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선회 유닛(20)도 움직이게 된다. 상기 선회 유닛(20)을 따라 상기 제2 공간부(120)에서 상기 제1 공간부(110)로 이동되는 상기 부력체(30)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위치 에너지가 증가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하강된 상기 부력체(30)는 다시 상기 제1 공간부(110)에서 상기 제2 공간부(120)로 이동하여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선회 유닛(20)에 다단으로 연결된 상기 부력체(30)에 의해 상기 선회 유닛(20)은 계속 무한 궤도 운동을 함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회전력은 상기 선회 유닛(20)과 연결되어 있는 동력 발생부(40)로 전달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supply of fluids is finished so that a level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second space part 120, the buoyancy body 30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part 120 may be formed. It rises gradually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2nd fluid 3. Accordingly, the turning unit 20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30 also moves. The buoyancy body 30 moved from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to the first space portion 110 along the turning unit 20 is lowered while increasing the potential energy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The lowered buoyancy body 30 again moves from the first space part 110 to the second space part 120 to rise again. Thus, the turning unit 20 generates rotational force as the turning unit 20 continuously moves indefinitely by the buoyancy body 30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20 in multiple stages, and the generated turning force is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20. It is deliver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40 is to generate power.

또한,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1)는, 상기 제1 유체(2)와 상기 제2 유체(3)의 경계면 및 상기 제2 유체(3)의 최고 수위면에 각각 제1 부표(170) 및 제2 부표(180)를 띄움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제1 유체(2) 및 상기 제2 유체(3)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first buoy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and the highest water level surface of the second fluid 3, respectively. 170) and the second buoy 180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determine the level of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generator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 유체(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체(4)는 상기 제2 유체(3)보다 비중이 작으며, 무독성인 유체가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름 종류인 식용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체(4)는 기름 종류이기 때문에 상기 제2 유체(3) 위에 떠있을 때 상기 제2 유체(3)에 비해 유막 효과가 보다 뛰어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체(2) 및 상기 제2 유체(3)가 증발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a third fluid 4 may be included. The third fluid 4 has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fluid 3, and a non-toxic fluid is mainly used. For example, cooking oil, such as oil, may be used. Since the third fluid 4 is of an oil type, an oil film effect is superior to that of the second fluid 3 when floating on the second fluid 3.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first fluid 2 and the second fluid 3 from evaporating or leaking.

또한, 상기 제2 유체(3) 보다 비중이 더 작으므로, 상기 부력체가 상승할 때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ecific gravit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fluid 3,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buoyancy body can be more smoothly raised.

상기 제3 유체(4)도 최고 수위면에 제3 부표(190)를 띄움으로써, 작업자가 수위 파악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The third fluid 4 also floats a third buoy 190 on the highest water surface,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grasp the water level.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동작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is an operation of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력체(30)가 승강할 때 상기 부력체(30)의 내부 공기를 압축 및 팽창시켜 줌에 따라 상기 부력체(30)가 보다 빠르게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3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선회 유닛(20)의 회전 속도도 빨라지게 되며, 결국 동력 발생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when the buoyancy body 30 moves up and down, the buoyancy body 30 may move up and down faster as the internal air of the buoyancy body 30 is compressed and expanded. . According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urning unit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30 is also increas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부력체(30)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부력체(30)는 제1 부력부(300) 및 제2 부력부(310), 패킹부(320), 그리고 가이드부(33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buoyancy body 30 in another embodiment, the buoyancy body 30 is the first buoyancy portion 300 and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the packing portion 320, and the guide portion 330 ) Is included.

상기 제1 부력부(300)는, 고정 부재(301)와 연결 부재(30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 부재(301)와 상기 연결 부재(302)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비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302)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제1 부력부(300)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buoyancy portion 300 includes a fixing member 301 and a connecting member 302. The fixing member 301 and the connecting member 302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inside thereof is empty.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2 is open. The first buoyancy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고정 부재(301)는, 상기 선회 유닛(20)과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선회 유닛(20)과는 연결될 때는 지지 부재(34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40)의 일측은, 상기 고정 부재(301)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선회 유닛(20)의 상기 체인 부재(2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340)가 상기 체인 부재(220)에 연결될 때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합시킬 수도 있으나 용접 등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301)가 바로 상기 체인 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301 is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20 and one side. When connected to the pivot unit 20, the support member 340 may be used.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34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30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hain member 220 of the pivot unit 20. When the support member 340 is connected to the chain member 220 may b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welding, and may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coupling.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340 may be omitted, and the fixing member 30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hain member 220.

상기 연결 부재(302)는, 상기 고정 부재(301)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력부(31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 홈(312)에 삽입 수용된다.The connection member 30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301 and is inserted into and received in a mounting groove 312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이때, 상기 고정 부재(301)의 하부 양 끝단과 상기 연결 부재(302)의 상부 양 끝단에는, 각각 제1 거치부(303)와 제2 거치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거치부(303)에는 상기 가이드 부(330)의 일측이, 상기 제2 거치부(311)에는 상기 가이드 부(303)의 타측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부력체(30)가 상승할 때, 상기 제1 부력부(300)는 상기 가이드 부(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 부력부(310)를 기준으로 상승하며, 상기 부력체(30)가 하강할 때는 상기 가이드 부(33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제1 부력부(300)가 상기 제2 부력부(310)를 기준으로 하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unting portion 30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1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301 and the upper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302,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guide part 330 is disposed in the first mounting part 303,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art 303 is disposed in the second mounting part 311. Thus, when the buoyancy body 30 rises, the first buoyancy portion 300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330 to rise based on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the buoyancy body When the 30 is lowered, the guide part 330 is guided so that the first buoyancy part 300 is lowered based on the second buoyancy part 310.

이때, 상기 안착 홈(312)에는 패킹(320)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302)가 상기 안착 홈(312)에 수용되면, 상기 연결 부재(302) 외측면이 상기 패킹(320)에 접하게 된다. 이는 패킹(320)에 의해 상기 안착 홈(312)이 밀폐되어 상기 연결 부재(302)의 내부 공기와 상기 제2 부력부(310)의 안착 홈(312) 부위에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packing 320 is mounted in the seating groove 312.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member 302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312,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302 is in contact with the packing 320. This is because the mounting groove 312 is sealed by the packing 320 so that the inner air of the connection member 302 and the mounting groove 312 of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

이에 따라 상기 제1 부력부(300) 또는 제2 부력부(310)가 승강할 때 상기 연결 부재(302)의 내부 공기와 상기 제2 부력부(310)의 안착 홈(302) 부위에 내부 공기는 압축 또는 팽창이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buoyancy portion 300 or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is raised and lowered, the internal air of the connection member 302 and the seating groove 302 of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are internal air. Is compressed or expanded.

즉, 정리하자면, 상기 부력체(30)가 상승할 때는, 상기 부력체(30)가 상기 제2 공간부(120)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제1 부력부(300)는 상기 가이드 부(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 부력부(310)를 기준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30) 내부 공기는, 상기 패킹(320)에 의해 상기 부력체(30) 외부로 방출되지 않음으로서, 상기 부력체(30) 내부에서 팽창이 되며, 이는 곧 내부 공기의 부피가 증가되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30)가 상기 제2 공간부(310)에서 부력을 받아 올라갈 때, 구 형태의 부력체에 비해 보다 빠르게 올라가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buoyancy body 30 rises, the buoyancy body 30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20. In this case, the first buoyancy portion 300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330 to rise relative to the second buoyancy portion 310. In this case, the air inside the buoyancy body 30 is not released to the buoyancy body 30 by the packing 320, thereby expanding in the buoyancy body 30, which is the volume of the internal air. Means to increase. Accordingly, when the buoyancy body 30 receives the buoyancy from the second space portion 310, the buoyancy body 30 rises faster than the spherical buoyancy body.

또한, 상기 부력체(30)가 하강할 때는, 상기 부력체(30)가 상기 제1 공간부(110)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제1 부력부(300)는 상기 가이드 부(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 부력부(310)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1 부력부(300)와 상기 제2 부력부(310)는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30)의 내부 공기는, 상기 부력체(30) 내부에서 압축이 되며, 이는 내부 공기의 부피는 감소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30)가 상기 제1 공간부(110)에서 중력에 의해 하강할 때, 구 형태의 부력체에 비해 보다 빠르게 내려간다.In addition, when the buoyancy body 30 is lowered, it is a case where the buoyancy body 3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0. In this case, the first buoyancy part 300 is guided by the guide part 330 and descends based on the second buoyancy part 310 to thereby provide the first buoyancy part 300 and the second buoyancy part 310. ) Touc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internal air of the buoyancy body 30 is compressed in the buoyancy body 30, which means that the volume of the internal air is reduced. Accordingly, when the buoyancy body 30 descends by gravity in the first space 110, the buoyancy body 30 descends faster than the spherical buoyancy body.

정리하자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는, 상기 부력체(30)가 제2 공간부(120)에서 상승될 때는, 상기 제1 부력부(300)와 상기 제2 부력부(310)가 벌어짐에 따라 상기 부력체(30)의 내부 공기를 팽창시킨다. 상기 부력체(30)가 제1 공간부(110)에서 하강할 때는, 상기 제1 부력부(300)와 상기 제2 부력부(310)가 다시 접해짐에 따라 상기 부력체(30)의 내부 공기를 압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3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선회 유닛(20)은, 보다 빠르게 선회하기 때문에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 장치에 비해 동력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summary, when the buoyancy body 30 is lifted up from the second space part 120,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rst buoyancy part 300 and the second buoyancy part 310. As it opens, the air inside the buoyancy body 30 is expanded. When the buoyancy body 30 descends from the first space part 110, the first buoyancy part 300 and the second buoyancy part 3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30 is reduced. Compress the air. Accordingly, the turning unit 20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30 has an advantage of generating power more efficiently than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ecause the turning unit 20 rotates faster.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력체(30)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선회 유닛(20)을 칸막이 일 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발생부(40)도 다수 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선회 유닛(2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력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turning unit 20 to which the buoyancy body 30 is connected may be installed along one partition. A plurality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40 is also provided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from each of the turning unit 20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power generation more efficiently.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of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공간부(110)가 상기 제2 공간부(120)를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칸막이(100) 역시 제2 공간부(120)를 감싸는 구조로 된다. 선회 유닛(20)은 칸막이(100)를 따라 제2 공간부(120)를 감싸면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동력 발생 장치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선회 유닛(20)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the first space portion 110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Accordingly, the partition 100 also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second space part 120. A plurality of pivot units 20 may be installed while surrounding the second space portion 120 along the partition 100. That is,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may arrange a plurality of turning units 20 as in the 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FIG. 3, and thus may generate a plurality of powers,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 : 동력 발생 장치 2 : 제1 유체
3 : 제2 유체 4 : 제3 액체
10 : 수조 100 : 칸막이
110 : 제1 공간부 120 : 제2 공간부
130 : 제1 유체 공급관 140 : 제1 유체 배출관
150 : 제2 유체 공급관 160 : 제2 유체 배출관
170 : 제1 부표 180 : 제2 부표
191 : 제3 부표 192 : 제3 유체 공급관
20 : 선회 유닛 200 : 제1 기어
201 : 회전 부재 210 : 제2 기어
220 : 체인 부재
30 : 부력체 300 : 제1 부력부
301 : 고정 부재 302 : 연결 부재
303 : 제1 거치부 310 : 제2 부력부
311 : 제2 거치부 312 : 안착 홈
320 : 패킹 330 : 가이드 부
340 : 지지 부재
40 : 동력 발생부 400 : 롤러
410 : 연결 부재 420 : 발전기
1: power generating device 2: first fluid
3: second fluid 4: third liquid
10: tank 100: partition
110: first space portion 120: second space portion
130: first fluid supply pipe 140: first fluid discharge pipe
150: second fluid supply pipe 160: second fluid discharge pipe
170: first buoy 180: second buoy
191: 3rd buoy 192: 3rd fluid supply pipe
20: turning unit 200: first gear
201: rotating member 210: second gear
220: chain member
30: buoyancy body 300: the first buoyancy part
301: fixing member 302: connecting member
303: first mounting portion 310: second buoyancy portion
311: second holder 312: seating groove
320: packing 330: guide part
340 support member
40: power generating unit 400: roller
410: connection member 420: generator

Claims (13)

비중이 서로 다른 유체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내부 하단면과 소정 거리 떨어져 칸막이가 배치되어 있는 수조와;
상기 칸막이를 따라 상기 수조 내부를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선회 유닛과;
상기 선회 유닛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비중이 다른 유체들에 의해 상기 선회 유닛을 따라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및
상기 선회 유닛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이 선회함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동력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는 상기 칸막이를 기준으로 상기 칸막이 일측이 접하는 공간을 제1 공간부, 상기 칸막이 타측이 접하는 부위를 제2 공간부로 하며, 상기 유체는 제1 유체 및 상기 제1 유체에 비해 비중이 가벼운 제2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그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을 따라 하강시 중력 작용에 의해 내부가 압박되어 내부 공기를 압축시키고 상승 시 내부 공기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A tank in which an interior is empty so that fl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re accommodated, and a partition is disposed away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urning unit arranged to pivot inside the tank along the partition;
At least one buoyant body mounted to the swing unit, the at least one buoyant body being elevated along the swing unit by fl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And
And a power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turning unit and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the power generated as the turning unit turns.
The tank has a space in which the one side of the partition is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buoyant body comprising two fluids, wherein the buoyancy body is empty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is compressed by the gravity action when descending along the pivoting unit to compress the internal air and expand the internal air when the air is raised. Power generator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제2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2 유체의 양은, 상기 제1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2 유체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게 함으로써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제2 공간부에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mount of the second fluid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of the water tank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amount of the second fluid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so that the buoyancy body rises in the second space portion.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to.
제 1항에서,
상기 선회 유닛은,
상기 칸막이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기어와
상기 칸막이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체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urning unit,
A first gear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A second gea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artition;
And a chain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제 3항에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체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In claim 3,
The buoyancy body,
A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in member.
제 3항에서,
상기 제1 기어의 일측에는 회전 부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발생부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상기 회전 부재를 연결해 주어 상기 선회 유닛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동력으로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In claim 3,
One side of the first gea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The power generation unit,
With roller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oller and the rotating member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turning unit;
A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is connected to the roller and comprises a generator for producing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as a power.
제 1항에서,
상기 부력체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유닛과 연결되는 제1 부력부와
안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부력부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부력부가 상기 선회 유닛을 통해 승강할 때 중력 작용에 의해 그와 반대로 승강하는 제2 부력부와
상기 안착 홈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력부와 상기 제2 부력부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해주는 패킹 및
상기 제1 부력부 또는 상기 제2 부력부가 승강할 때 상기 제1 부력부 또는 상기 제2 부력부를 가이드시켜 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body,
A first buoyancy portion which is empty inside, which has an open bottom portion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swing unit;
A second buoyancy portion which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to receive a portion of the first buoyancy portion and lifts and vice versa by gravity action when the first buoyancy portion is lifted through the pivot unit;
A packing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and preventing the internal air of the first buoyancy portion and the second buoyancy portion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first buoyancy part or the second buoyancy part when the first buoyancy part or the second buoyancy part moves up and down.
제 6항에서,
상기 제1 부력부는,
상기 선회 유닛의 일측과 연결되고, 양 끝단에 상기 가이드 부의 일측을 거치시키는 제1 거치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안착 홈에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In claim 6,
The first buoyancy unit,
A fix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volving unit and having a first mounting part configured to mount one side of the guide part at both ends;
And a connection member integrally connect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having a lower portion thereof open.
제 7항에서,
상기 제2 부력부는,
양 끝단에 상기 가이드 부의 타측을 거치시키는 제2 거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부력부 또는 상기 제2 부력부가 승강할 때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In claim 7,
The second buoyancy portion,
A second gener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when the first buoyancy portion or the second buoyancy portion is lifted.
제 7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선회 유닛의 일측을 연결해 줌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선회 유닛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In claim 7,
And a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connection member to the swing unit as th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wing unit.
제 6항에서,
상기 제2 부력부는,
양 끝단에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게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In claim 6,
The second buoyancy portion,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hole is formed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at both ends.
제 1항에서,
상기 수조는,
상기 제1 유체가 수용되어 있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제1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제1 유체 공급관과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가 수용되는 있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제2 유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nk,
A first fluid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first fluid is received;
And a second fluid supply pipe dispos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luid supply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 communication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second fluid is accommodated.
제 1항에서,
상기 수조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1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연통되어 있는 제1 유체 배출관 및
상기 제1 유체 배출관과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를 배출시키기 제2 유체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nk,
A first fluid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discharged therein for discharge;
A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a buoyancy body is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fluid discharge pipe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luid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econd fluid.
제 1항에서,
상기 제1 유체의 높이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 사이 경계면에 떠 있는 제1 부표 및
상기 제2 유체의 높이를 알려주기 위해 제2 유체 위에 떠 있는 제2 부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를 이용한 동력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buoy floating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fluid and the second fluid to indicate the height of the first fluid and
And a second buoy floating on the second fluid to indicate the height of the second fluid.
KR1020100026683A 2010-03-25 2010-03-25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KR201101075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683A KR20110107520A (en) 2010-03-25 2010-03-25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683A KR20110107520A (en) 2010-03-25 2010-03-25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20A true KR20110107520A (en) 2011-10-04

Family

ID=4502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683A KR20110107520A (en) 2010-03-25 2010-03-25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52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54A1 (en) * 2014-03-13 2015-09-17 창이테크(주)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ferrofluid
CN105114243A (en) * 2015-09-29 2015-12-02 孙其胜 Water buoyancy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554A1 (en) * 2014-03-13 2015-09-17 창이테크(주)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ferrofluid
CN105114243A (en) * 2015-09-29 2015-12-02 孙其胜 Water buoyancy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076B1 (en) Wave-power generating module, wave-power generating unit comprising the wave-power generating module, and wave-power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wave-power generating unit
KR101017303B1 (en) generator using force of wave
JP2006029277A (en) Electric generator
EP2557310A2 (en) Hydraulic generating apparatus and hydraulic generating system
KR102002892B1 (en) Generator using gravity and buoyancy
JP2010540834A (en) Available energy generator and associated method
JP2011506829A (en) Hydrodynamic energy generation system
KR20110107520A (en) A power generator using specific gravity
CN108026941B (en) Working oil tank fo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working oil in working oil tank
KR101932933B1 (en) Supply Position Adjustable Power Generator
JP2019501334A (en) Buoyancy generator
PL223920B1 (en) Buoyancy power plant
KR200478748Y1 (en) Hydroelectric power plant
CN102678436B (en) Tidal power generation module and tidal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same
CN206319988U (en) A kind of various dimensions float-typ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WO2011108383A1 (en) Pumped-storage hydroelectric generator using fluid buoyancy
JP7466630B2 (en) Generator
JP2021042718A (en) Energy transmission device
KR101185909B1 (en) Apparatus for reducing VOC and ship including the same
JP3116920U (en) Hydraulic buoyancy kinetic energy device
KR200394769Y1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gravity and buoyancy
CN106337775A (en) Multi-dimensional floating block type sea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RU46050U1 (en) HYDRAULIC ENGINE
US20130081381A1 (en) Power device using gas to drive liquid
CA2609952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