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86A - Disinfection kit - Google Patents

Disinfection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586A
KR20110106586A KR1020100025704A KR20100025704A KR20110106586A KR 20110106586 A KR20110106586 A KR 20110106586A KR 1020100025704 A KR1020100025704 A KR 1020100025704A KR 20100025704 A KR20100025704 A KR 20100025704A KR 20110106586 A KR20110106586 A KR 2011010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main body
cartridge
disinfection kit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10002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586A/en
Publication of KR2011010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장소 또는 장치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소독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에 세정액이 담겨져 있는 형태로 이용될 수 있는, 소독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표면으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는 본체; 세정액이 담겨지는 세정액통과, 상기 세정액통 중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주입구와, 상기 세정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과 상기 세정액이 배출되는 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는 주입구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입구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밀폐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on kit used in a place or apparatus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infection kit, which can be used in a form in which a cleaning liquid is contain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will b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that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surface; A cartridge including a cleaning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cleaning liquid, an inlet opening for injecting a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a button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sealer for sealing the inlet. ; And a cartridge cover form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inserted, and an injection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and an airtight groove in which the injection hole is insert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Description

소독키트{DISINFECTION KIT}Disinfection Kit {DISINFECTION KIT}

본 발명은 소독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장소 또는 장치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소독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on k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infection kit for use in a place or apparatus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최근, 신종인플루엔자와 각은 각종 세균에 의한 오염의 피해가 증가하면서, 손세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세균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간편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손세척이 주목되면서, 손세척을 위한 각종 제품(이하, 간단히 '소독키트'라 함)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influenza A and S. influenza have increased the damage of various bacteria, interest in hand washing h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s the simplest and most efficient way to reduce the damage of these bacteria, as hand washing is noticed, various products for hand washing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disinfection kit') are widely used.

따라서, 각 사용자들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손세척 등을 위한 소독키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회용 또는 휴대용 소독키트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Therefore, each user is provided with a disinfection kit for hand washing or the like in the home or office, it is possible to keep the hands clean anytime, anywhere using a disposable or portable disinfection kit.

한편, 마트와 같이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장소 및 다양한 공공 시설 등에도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독키트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마트 또는 공공 시설을 방문하는 사용자들도 언제나 손세척을 할 수 있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disinfection kits are commonly use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in places where many unspecified people and various public facilities, such as marts, are provided so that users who visit the mart or public facilities can always wash their hands. It became.

그러나, 마트 또는 공공 시설에 구비되어 있는 소독키트는 마트 내부의 넓은 공간 중 특정 위치에만 놓여져 있기 때문에, 마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항상 소독키트를 이용하여 손을 세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마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더러워진 손을 다시 세척하기도 쉽지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disinfection kit provided in a mart or a public facility is placed only at a specific location among the large spaces inside the mart, the user who uses the mart cannot always wash the hand using the disinfection kit, and also uses the mar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not easy to wash dirty hands again.

또한, 종래의 소독키트는 세정액이 부족해 지면, 사용자가 간단하게 소독키트의 뚜껑 등을 열고 세정액을 보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누구라도 세정액의 보충이 가능한 구조이며, 따라서,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불량 세정액 또는 기타 유해물이 보충되어 사용자들에게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sinfection k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enish the cleaning liquid by opening the lid of the disinfection kit when the cleaning liquid is insufficient, so that anyone can replenish the cleaning liquid. As a result, a problem arises in that a poor cleaning solution or other harmful substances may be replenished to harm us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에 세정액이 담겨져 있는 형태로 이용될 수 있는, 소독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isinfection kit, which can be used in a form in which a cleaning solution is contain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면으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는 본체; 세정액이 담겨지는 세정액통과, 상기 세정액통 중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주입구와, 상기 세정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과 상기 세정액이 배출되는 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는 주입구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입구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밀폐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to which the advertisement can be exposed to the surface; A cartridge including a cleaning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cleaning liquid, an inlet opening for injecting a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a button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sealer for sealing the inlet. ; And a cartridge cover form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inserted, and an injection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and an airtight groove in which the injection hole is insert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본 발명은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에 세정액이 담겨져 있는 형태로 이용됨으로써, 간편하게 세정액을 보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replenish the cleaning liquid simply by being used in the form that the cleaning liquid is contained in the replaceable cartridge.

또한, 본 발명은 세정액 주입을 위한 카트리지의 개방이 특정 장치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어 세정액 이외의 물질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opening of the cartridge for the injection of the cleaning liquid is possible only by a specific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injection of substances other than the cleaning liquid by opening by the general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일실시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에 적용되는 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리 사시도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커버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트리지와 커버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가 카트의 손잡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side view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rtridge applied to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4.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shown in Figure 4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cover.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and the cover portion shown in Figure 4 is fastened.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used mounted to the handle of the c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일실시예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부피를 가지며 표면으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는 본체(110),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커버(120), 카트리지커버로 삽입된 카트리지의 노즐을 커버하여 카트리지 내부의 세정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버부(130), 카트의 손잡이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150) 및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체결부와 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volume, the main body 110, which can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surface, the cartridge cov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inserted 120, the cover 130 for covering the nozzle of the cartridg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cover to allow the cleaning liquid in the cartridge to be discharged, the fastening portion 150 that can be fastened to the handle of the cart and the bottom of the body Is forme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140 for connecting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과 배면이 곡면으로 구성되고 좌우측면이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의 표면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 표시부(111a, 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는 마트, 은행, 우체국, 식당 등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한 업무를 위하여 방문하는 장소(이하, 간단히 '영업점'이라 함)에 구비되어 사용자들이 간편하게 손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업점의 테이블, 식탁, 창구, 카운터 등에 놓여진 상태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카트의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세척하면서 본체를 주시하게 되는바, 본체의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광고 표시부로 노출되는 광고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LED, LCD 등으로 구성되어, 동영상 또는 다양한 정지화면 또는 다양한 문자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고 표시부에 대하여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설명된다. The main body 11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s shown in FIG. 1 are curv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lat,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Here, advertisement display units 111a and 111b for advertisemen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In other words,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pla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tore')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visit for a specific task, such as a mart, a bank, a post office, and a restaurant, so that users can easily wash their hands. In order to be used, it may be us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table, dining table, counter, counter, etc. of a shop, or may be used while mounted on a handle of a cart. Therefore, the user looks at the main body while washing their hands, and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expose various kinds of advertisements. The form of the advertisement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may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it may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film, it may be composed of LED, LCD, etc., may represent a video or various still images or various characters. Such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is described together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in body.

카트리지커버(120)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카트리지커버에는 세정액이 담겨져 있는 카트리지(16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커버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많은 세정액이 담겨질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까지 삽입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의 형상과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커버로 삽입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The cartridge cover 1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artridge 160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may b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cover. Here, the cartridg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cartridge cover, but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inser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more cleaning liquid can be contained. The shape of the cartridge and the method of inserting the cartridge into the cartridge co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커버부(130)는 카트리지커버로 삽입된 카트리지의 상단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부를 누르면 카트리지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이 눌려져, 카트리지 내부의 세정액이 카트리지의 노즐로 배출된 후, 커버부의 배출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부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The cover unit 130 is for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cartridg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cover. When the cover unit is pressed, a butt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artridge is pressed, and the cleaning liquid inside the cartridge is discharged to the nozzle of the cartridge, and then through the ejector of the cover uni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연결부(140)는 카트의 손잡이에 장착되는 체결부(150)와 본체(11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의 저면The connection part 140 is for connecting the fastening part 150 mounted on the handle of the cart and the main body 110,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에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에 체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는 본체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은 상태에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레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의 상단면은 연결부의 두 개의 레일을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or fastened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ir of rails that are formed side by side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top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inserted along the two rails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체결부(150)는 카트의 손잡이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된 원기둥 형상의 손잡이덮개(151), 손잡이덮개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1체결기(152), 손잡이 덮개의 개방된 양쪽 끝단에서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체결기(153) 및 제2체결기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제3체결기(1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체결부의 손잡이덮개가 카트의 손잡이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제3체결기를 이용하여 제2체결기가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부를 손잡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체결부 상단에 형성된 제1체결기에 연결부를 연결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를 카트의 손잡이에 장착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150 is an open cylindrical handle cover 151 configured to wrap the handle of the cart, a first fastener 152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andle cover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handle cover is opened. The second fastener 153 is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and the third fastener 154 for fixing so as not to open the second fastener. That is, the user may fix the fastening part to the handle by allowing the second fastener to be tightly fixed using the third fastener while the handle cover of the fastening part is arranged to surround the handle of the cart. Thereafter, the user can attach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andle of the cart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to the first fastene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part.

한편, 체결부와 연결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장치가 없다면, 누구라도 쉽게 체결부와 연결부를 분리하여 본체를 영업점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부(170)를 본체와 체결부 사이에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중간부는 체결부의 제4체결기(155)에 형성되어 있는 홈(156)에, 전체 높이의 1/2 정도가 삽입되는 한편, 본체의 저면에서 본체(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체의 저면만이 도시되어 있음)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기(112)에 전체 높이의 나머지 1/2 정도가 삽입되는 중간볼(171) 및 중간볼이 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기(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와 체결부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의 저면 및 제4체결기의 상단면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간볼이 제4체결기의 홈과 본체의 함몰기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연결부와 체결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하고자 하더라도, 연결부와 체결부는 분리될 수 없다. 한편, 소독키트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연결부와 체결부를 분리시켜야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 관리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고리(20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분리고리를 제4체결기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분리고리의 끝단을 이용하여 중간볼을 상단으로 밀면, 중간볼이 본체의 함몰기(11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4체결기의 홈(15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연결부를 체결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in a sliding manner, if there is no separate device, anyone can easily remove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to carry out the main body outside the sales offi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portion 170 between the body and the fastening portion. That is, about half of the overall heigh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56 formed in the fourth fastener 155 of the fastening part, while the middle part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3,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nly the middle ball 171 into which the remaining half of the entire height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112 that is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at and a seating device for allowing the middle ball to be seated in the groove ( 172). That is, since the connect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are coupled by the sliding metho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ourth fasten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termediate ball spans the groove of the fourth fastener and the depression of the main body. Even i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are to be separated by a sliding method, the connect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cannot be separated. On the other hand, the manager managing the disinfection kit needs to separate the connection and the fastening part, for this purpose, the administrator can use the separation ring 200, as shown in FIG. That is, after inserting the separating ring into the fourth fastener, and pushing the middle ball to the upper end using the end of the separating ring, the middle ball is moved toward the depression 112 of the main body, the groove of the fourth fastener. 156 may be released. In this case, the manager may separate the connecting portion from the fastening part in a sliding mann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에 적용되는 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리 사시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카트리지를 카트리지커버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카트리지와 커버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rtridge applied to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separation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cover shown in Figure 4 cartridge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rtridge and the cover unit shown in FIG. 4 are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카트리지커버(120)를 통해 삽입되는 카트리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이 담겨지는 세정액통(161), 세정액통 중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주입구(162) 및 세정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166)과 세정액이 배출되는 노즐로 구성되며 주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기(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artridge 160 is inserted through the cartridge cover 120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161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contained, which is open to inject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The injection port 162 and a button 166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re configured to include a sealer 164 for closing the injection hole.

세정액통(161)은 세정액을 담기 위한 것으로서, 카트리지커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한 번에 충전될 수 있는 세정액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세정액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정액통은 카트리지커버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세정액통의 크기가 카트리지커버보다 큰 경우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커버의 일측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커버와 본체의 경계면에는 개방구(121)가 형성되어 있어서, 관리자는 세정액통을 카트리지커버의 일측면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161 is to contain the cleaning liquid,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rtridge cov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leaning liquid that can be filled at one time,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can be made into a long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Figure 4, in this case,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through the cartridge cov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n be inserted. That is, for the case where the size of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is larger than the cartridge cover, as shown in FIG. 6, one side of the cartridge cover may be opened, and an opening 121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artridge cover and the main body. The manager may insert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into the main body through one side of the cartridge cover.

주입구(162)는 세정액통 중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입구에 밀폐기(164)가 체결됨으로써, 세정액통이 밀봉될 수 있다. The injection hole 162 refers to a part of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that is open for injecting the cleaning liquid, and the sealing liquid container 164 is fastened to the injection hole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can be sealed.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트리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마트, 은행, 음식점 등의 영업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반 사용자들의 부주의 등에 의해 세정액통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 그 피해가 극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자 외에는 밀폐기를 주입구로부터 분리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주입구에는 주입구돌기(163)을 형성시키고, 밀폐기에는 밀폐기홈(165)을 형성시키고 있다. 여기서, 주입구돌기(163)는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외주면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외주면의 내부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세정액을 세정액통에 충전시킨 후, 밀폐기를 이용하여 주입구를 막게 되면, 밀폐기홈으로 주입구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 그 이후에는 밀폐기가 강제로 분리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cartridge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be used in a mart, banks, restaurants, etc. to be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when foreign matter enters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due to carelessness of ordinary users, etc. The damage can be sever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port projections 163 are formed in the injection port, and the closure device grooves 165 are formed in the injection port, in order to prevent the sealing devi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ort by the manager. Here, the injection hole projection 16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and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injection hole protrusion 163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move finely in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fore, when the administrator fills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and then closes the injection port by using the sealer, the injection hole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aler groove, and after that, the sealer cannot be forcibly separated.

그러나, 카트리지에 세정액를 재충전시키고자 하는 관리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장치(300)를 이용하여 밀폐기를 주입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However, a manager who wants to refill the cleaning liquid in the cartridge may use the opening device 300 as shown in FIGS. 4 and 5 to separate the closure from the inlet.

즉, 개방장치에는 밀폐기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기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기가 밀폐기홈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관리자가 개방장치의 삽입기를 각각의 밀폐기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삽입기를 누르게 되면, 삽입기가 주입구돌기를 밀폐기홈으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이처럼, 주입구돌기가 밀폐기홈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관리자는 밀폐기를 주입구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device is formed so that the inserter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sealer groove formed in the sealer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ealer groove, so that the administrator presses the inserter while the inserter of the opening device is inserted into each sealer groove. The inserter can then push the inlet projections out of the closure groove. In this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projection is separated from the closure groove,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closure from the injection open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트리지는 개방장치에 의해서만 주입구와 밀폐기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영업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허가되지 않은 세정액을 주입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불량 세정액 또는 이물질들에 의한 피해가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rtridg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ort and the airtight seal only by the opening device, so that the user using the sales office can not arbitrarily inject an unauthorized cleaning liquid, and therefore, the defective cleaning liquid or foreign substances The damage caused can be prevented.

한편, 주입구와 밀폐기가 체결된 상태의 카트리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커버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0)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rtridge in the state in which the inlet and the seal is fastened as shown in Figure 6,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artridge cover,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end of the nozzle of the cartridge is formed, The cover 130 is coupled.

커버부가 카트리지의 상단에 결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노즐(167)이 커버부의 배출기(131)와 연속선상에 놓여지며, 버튼(166)의 상단에는 커버부의 누름판(132)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부의 누름판을 누르면 버튼이 눌려지며, 이로인해, 세정액통 내부에 담겨져 있던 세정액이 노즐과 배출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artridge, as shown in FIG. 7, the nozzle 167 of the cartridge is placed in a continuous line with the ejector 131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pressing plate 132 of the cover portion on the top of the button 166. Is placed.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of the cover part, the button is pressed, whereby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and the discharger.

여기서,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노즐을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는 원리 및 구조는, 현재, 스프레이, 샴프,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에서 이용되고 있는 원리 및 구조를 이용한 것인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Here,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as the button is pressed, using the principle and structure currently us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spray, shampoo, cosmetic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가 카트의 손잡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it is shown the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variety of function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andle of the cart used.

즉, 본 발명에 따른 소독키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업점에 장착되어 있는 무선통신용 액세스포인트(미도시)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181), 본체의 표면을 통해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광고 출력부(184), 소독키트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83),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85)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at is, the disinfec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point (not shown) mounted to the branch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81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advertisement through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dvertising output unit 184 for outputting, a storage unit 183 for sto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disinfection kit, a sensing unit 185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user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82 for.

송수신부(18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액세스포인트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통신정보는 상기 영업점을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된다. 송수신부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수신부는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RF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통신을 이용한 송수신부의 구성은 공지된 것임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The transceiver 18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is transmitted to a management system (not shown) that manages the branch office. The transceiver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the transceiver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infrared rays,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Zigbee, or perform RF communic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using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is well know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저장부(183)는 제어부의 기능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방송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83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may store commercial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광고 출력부(184)는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고의 종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LED, LCD 등을 이용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필름형태의 광고가 적용되는 경우, 광고필름은 도 1에서 설명된 광고표시부(111a, 111b)에 삽입되며, 광고 출력부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광고 출력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원(램프, LED 등)을 구동시켜, 광고표시부에 삽입된 광고필름을 환하게 비춰 줌으로, 사용자는 광고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출력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LED, L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를 상기 LED 또는 LCD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의 내용은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송수신부를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184 is for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nd the type of advertisement may be a film form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 video or a still image using an LED, an LCD, or the like. In this case, when an advertisement in the form of a film is applied, the advertisement film is inserted into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s 111a and 111b described in FIG. 1, and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kinds of light sources. That is,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drives a light source (a lamp, an LED,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illuminate the advertisement film inserted in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dvertisement contents.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as an LED, an LCD, and the like, and the controller may output an advertise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LED or the LCD. In this case,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output through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by the administrator, but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감지부(185)는 소독키트가 장착되어 있는 카트를 사용자가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미세전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전류감지센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독키트가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를 잡은 경우에, 카트의 손잡이를 통해 사용자의 양쪽 손을 통해 사용자의 몸으로 흐르는 미세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즉, 손잡이를 통해 흐르는 미세전류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감지부(185)의 미세전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미세전류가 감지되면, 제어부가 구동되어 광고 출력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출력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185 is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uses a cart equipped with a disinfection kit, and may use an infrared sensor, a motion sensor, a human body sensor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a human body, and the like. It can be configured using a fine current sensor. Here, as shown in FIG. 9, the microcurrent sensor may detect the microcurrent flowing to the user's body through both hands of the user through the handle of the cart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in which the disinfection kit is mounted. It can be a sensor. That is, the micro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ndle may be detected by the micro current sensor of the sensing unit 185 provided in the main body. When the micro current is detected, the controller is driven to drive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The advertisement of may be output.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소독키트의 각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소독키트에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공급부는 충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충전기로 구성되거나, 건전지와 같은 밧데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햇빛 또는 형광등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솔라(Solar)셀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drive each component of the disinfection kit as described above, the disinfection kit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may be configured as a charger configured in a rechargeable form, may be configured to use a battery such as a battery, or may be configured as a solar cell that generates electricity using sunlight or fluorescent light.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소독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In the following, a method of using the disinfection kit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첫 번째 방법으로서, 소독키트는 은행창구, 각종 식당 등의 테이블 등과 같이 고정된 장소에 구비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독키트에는 연결부(140)와 체결부(150)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As a first method, the disinfection kit may be provided and used at a fixed place such as a bank window or a table of various restaurants. In this case, the disinfection kit needs to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140 and a fastening part 150. none.

즉, 은행창구를 방문한 사용자 또는 식당을 방문한 사용자는 자신의 순서 등을 기다리는 동안 소독키트를 이용하여 손을 세척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광고출력부를 구동시켜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영업점의 관리자는 각 영업점의 특성에 맞게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의 경우, 저축통장의 종류, 이자율, 적금의 종류 등을 광고 출력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식당의 경우에는 각종 메뉴의 종류 및 비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고는 저장부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That is, a user who visits a bank teller or a user who visits a restaurant may wash his or her hands using a disinfection kit while waiting for his or her orde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output various kinds of advertisements by driving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 The manager of a branch can select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ch.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nk, the type of savings account, the interest rate, the type of savings, etc. may be provided through an advertisement output unit, and in the case of a restaurant, various types of menus and costs may be provided. Such advertisement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or may be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되는 소독키트의 제어부는 항상 구동상태로 유지되어야 함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감지부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감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독키트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만 제어부 또는 광고출력부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Since the control unit of the disinfection kit used as described above should always be kept in a driving state, it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as described above. However, by providing a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or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may be driven only when the user is adjacent to the disinfection kit.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using various kinds of sensors as described above.

두 번째 방법으로서, 소독키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트에서 사용되는 카트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독키트는 상기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As a second method, the disinfection kit may be mounted and used in a cart used in a mart as described above, in which case the disinfection ki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described in FIGS. 1 to 8 above.

즉, 소독키트가 장착된 카트가 아직 이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감지부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광고 출력부를 구동하지 않는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art equipped with the disinfection kit is not yet used, the controller does not drive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because the detector does not detect the user.

사용자가 카트를 이용하기 위하여, 카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광고 출력부를 구동시켜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he cart in order to use the cart, the controller may drive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to output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s.

사용자는 카트를 이동시키면서 각종 물건을 구매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커버부를 눌러 배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액을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purchase various items while moving the cart, and if necessary, press the cover to use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r.

카트가 이동되는 동안,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액세스포인트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이때,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고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수신되는 광고는 예를 들어, 마트에서 판매되는 물건에 대한 정보이거나, 특별히 할인되는 물건에 대한 정보이거나, 또는 반짝 세일 등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광고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일 수도 있으나, 음성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소독키트가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된 음성정보를 음성출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 시부터 몇 시까지 특정 물건에 대한 반짝 세일을 한다는 메시지는 문자 뿐만 아니라 음성을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While the cart is moved, the controller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transceiver, an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receive and store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d advertisement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n item sold in a mart, information about an item specially discounted, or information about a shiny sale.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may be a video or a still image, or may be voice information.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8, when the disinfection kit further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the received voice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voice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Therefore, the message of a shiny sale for a certain object from what time to what tim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not only by text but also by voice.

한편, 관리 시스템은 액세스포인트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마트의 어느 지역에 사용자들이 집중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각 카트에 장착되어 있는 소독키트는 각각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고, 액세스포인트와의 통신시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각 액세스포인트 또한 각각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관리 시스템은, 어떤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얼마만큼의 소독키트 식별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마트의 전체 매장 중 어느 지역에 사용자들이 얼마나 분포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관리자가 매장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ystem can use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ccess poin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concentrated in which area of the mart. That is, the disinfection kit mounted on each cart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and each access point also has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system can determine how many users are distributed in which areas of all stores of the mart by determining how much disinfection k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access point installed in a certain area. This information can help managers manage their stores.

예를 들어, 마트가 1층, 2층, 3층으로 구성된 경우, 1층에 장착되어 있는 액세스포인트로부터 가장 많은 정보가 수신된다면, 현재 1층에 사용자들이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함으로, 마트의 관리자는 마트의 직원들을 1층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the mart consists of 1st floor, 2nd floor, and 3rd floor, if the mo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mounted on the 1st floor, it means that the users are concentrated on the 1st floor, By moving the employees of the mart to the ground floor,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beneficial services to users.

또한, 영업점의 관리자는, 영업점의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 또는 영업점의 외부(이하, 간단히 '영업점 외부'라 함)에 액세스포인트를 장착함으로써, 영업점 내부에서만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 액세스포인트가 장착되어 있는 카트 등의 무단반출을 차단할 수 있으며, 소독키트만의 무단반출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of the branch stores a cart equipped with an access point so that it can be used only inside the branch by installing the access point in an aisl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ranch or outside the branch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outside the branch'). It is possible to block unauthorized removal of the back, and also to prevent unauthorized removal of the disinfection kit.

즉, 관리자는 영업점 외부의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소독키트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카트 또는 액세스포인트를 영업점 외부로 무단반출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종업원을 상기 액세스포인트 지역으로 호출함으로써, 무단반출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anag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infection kit from the access point outside the branch, the manager determines that the user unloads the cart or the access point outside the branch, and calls the employee to the access point area, thereby preventing the unauthorized release. can do.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10 : 본체 120 : 카트리지커버
130 : 커버부 140 : 연결부
150 : 체결부 160 : 카트리지
110: main body 120: cartridge cover
130: cover portion 140: connection portion
150: fastener 160: cartridge

Claims (8)

표면으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는 본체;
세정액이 담겨지는 세정액통과, 상기 세정액통 중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주입구와, 상기 세정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버튼과 상기 세정액이 배출되는 노즐로 구성되어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는 주입구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입구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밀폐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키트.
A body to which advertisements may be exposed to the surface;
A cartridge including a cleaning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cleaning liquid, an inlet opening for injecting a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a button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sealer for sealing the inlet. ; And
It includes a cartridge cover which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inserted,
Disinfec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hol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the sealing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injector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무선통신용 액세스포인트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본체의 표면을 통해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광고 출력부;
상기 송수신부, 상기 광고 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송수신부를 통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액세스포인트와 연결되어 있는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 transceiver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ccess poi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 advertisemen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dvertisement through a surface of the main bod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transceiver,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controller;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omponents,
The control unit transmit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system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광고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광고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of claim 2,
Disinfec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store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through the advertisement output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광고 출력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user,
Disinfec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advertising output unit, only when the det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가 연결되어 있는 카트의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양쪽 손을 흐르는 미세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Disinfec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micro-current flowing in both hands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of the c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의 손잡이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와 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of claim 1,
Fastening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to the handle of the cart; And
Disinfection ki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함몰기와 상기 체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부를 더 포함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infection kit further comprises an intermediate part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and a groove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fasten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커버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tridge is disinfection kit,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cartridge cover.
KR1020100025704A 2010-03-23 2010-03-23 Disinfection kit KR20110106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04A KR20110106586A (en) 2010-03-23 2010-03-23 Disinfection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04A KR20110106586A (en) 2010-03-23 2010-03-23 Disinfection k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86A true KR20110106586A (en) 2011-09-29

Family

ID=4495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704A KR20110106586A (en) 2010-03-23 2010-03-23 Disinfection 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58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235A (en) * 2021-03-12 2022-09-20 울산과학기술원 Sanitizer dispenser that can be mounted on a stick and us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235A (en) * 2021-03-12 2022-09-20 울산과학기술원 Sanitizer dispenser that can be mounted on a stick and u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34096T3 (en) Dispenser with optical key system
US7782214B1 (en) Entertaining or advertising hygiene apparatus
AU2006264220B2 (en) Drink dispensing system
US7178693B1 (en) Pack and method for dispensing toiletries
JP2015518409A (en) Fluid dispenser with adjustable dose
US9412263B2 (en) Interactive portable carrying case for hand sanitizer
US20140172523A1 (en) Hand/Surface-Sanitizing Kiosk with Ad Space
US11195189B1 (en) Generating insights based on signals from measuring device
US20210121024A1 (en) Dispenser for use with refill cartridge
KR20110106586A (en) Disinfection kit
CN211375695U (en) Self-service shared treasured all-in-one that charges that sells goods with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of touch-control
US9514662B2 (en) System for selectively revealing indicia
US11666163B2 (en) Contactless condiment dispenser
US8870031B2 (en) Dispenser
KR20090039469A (en) Gargle water dispenser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US20240023762A1 (en) Automated Disposable Dispenser
NL2015629B1 (en) Fluid dispenser.
CA2878653A1 (en) System for selectively revealing indicia
CN2163145Y (en) Disposable plastic bottle
CN201046797Y (en) Storing apparatus matched with scuttlebutt
DK29895A (en) Dispenser for storage and collection of goods, and use of the dispenser
MX2012003574A (en) Solar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old purified water in exact servings of 500 millilitres with the inner function of washing and disinfecting pet bottles using ozone.
KR20170128890A (en) bag having multi-layered cabinet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