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718A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718A
KR20110105718A KR1020110023540A KR20110023540A KR20110105718A KR 20110105718 A KR20110105718 A KR 20110105718A KR 1020110023540 A KR1020110023540 A KR 1020110023540A KR 20110023540 A KR20110023540 A KR 20110023540A KR 20110105718 A KR20110105718 A KR 2011010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ouch
gesture
sensitive display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633B1 (ko
Inventor
존 종숙 리
제이슨 타일러 그리핀
마이클 저지 랑로이스
알렌 뮤즈킥
데이비드 윌리암 부쿠락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제스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과 연관될 때, 제1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스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과 연관될 때, 제2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그 제어부를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비롯한 전자 디바이스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전화기, 전자 메시지 발송 및 기타 개인 정보 관리자(PIM) 애플리케이션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단순한 셀룰러폰, 스마트 전화기, 무선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및 무선 802.11 또는 블루투스 능력을 구비한 랩톱 컴퓨터와 같은 여러 유형의 이동국을 포함한다.
PDA 또는 스마트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사용 및 용이한 휴대성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는, 휴대성을 위해서 보다 작은 디바이스가 요망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이것은 또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서도 알려져 있다)와 같은 터치 감지형 입력 디바이스는 소형이면서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한정된 공간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수행 중인 기능 및 동작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 감소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로 인해,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크기가 계속해서 작아지고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개선이 요망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제스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과 연관될 때, 제1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고, 제스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과 연관될 때, 제2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것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내부에서 구현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제스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과 연관될 때, 제1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고, 제스쳐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과 연관될 때, 제2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정보의 상이한 부분이 신속하게 표시 및/또는 편집될 수 있어, 전력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며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모드에서 스크롤하기 전 및 후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2 모드에서 스크롤하기 전 및 후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2 모드에서 스크롤하기 전 및 후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 표시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음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제스쳐가 검출되고, 제스쳐의 원점(origin) 및 방향이 결정된다. 제스쳐의 원점에 따라 정보가 소정의 모드에서 스크롤된다.
설명의 명확성 및 간략성을 위하여, 대응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 중 도면 부호가 반복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세부 설명이 제공된다. 실시예들은 이들 세부 내용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잘 알려진 방법, 절차 및 컴포넌트들은 설명된 실시예들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위를 좁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인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는 페이저, 셀룰러 폰, 셀룰러 스마트폰, 무선 전자수첩, PDA, 무선접속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또는 핸드헬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핸드헬드 전자 게임 디바이스, 디지털 사진 앨범, 디지털 카메라, 또는 기타의 디바이스와 같이 무선 통신 능력이 없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예시의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2)와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한 통신 기능이 통신 서브시스템(104)을 통하여 수행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디코더(106)에 의해 압축해제되고 암호해제된다. 통신 서브시스템(104)은 무선 네트워크(15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150)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15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데이터 무선 네트워크, 음성 무선 네트워크, 및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모두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들 또는 외부 전원 공급기에 대한 포트와 같은 전원(142)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전력을 공급해준다.
프로세서(102)는 램던 액세스 메모리(RAM; 108), 메모리(110), 전자적 컨트롤러(11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를 구비한 디스플레이(112)(이 모두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를 함께 구성한다),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120), 하나 이상의 힘 센서(122), 보조 입출력(I/O) 서브시스템(124), 데이터 포트(126), 스피커(128), 마이크로폰(13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32) 및 기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134)과 같은 기타의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호작용은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를 통해 수행된다. 프로세서(102)는 전자적 컨트롤러(116)를 통해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와 상호작용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렌더링될 수 있는 텍스트, 문자, 심볼, 이미지, 아이콘, 및 기타 아이템과 같은 정보가 프로세서(102)를 통해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로세서(102)는 중력의 방향 또는 중력에 의한 반동력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속도계(136)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네트워크(150)와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SIM/RUIM(Subcriber Identity Module/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138)를 사용한다. 대안으로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메모리(110)내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되고 메모리(110)와 같은 업데이트가능한 영구적 저장소에 통상적으로 저장되는 운영 시스템(146)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컴포넌트(148)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은 무선 네트워크(150), 보조 I/O 서브시스템(124), 데이터 포트(126),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32), 또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서브시스템(134)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 상으로 로딩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된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104)에 의해 처리되고 프로세서(102)에 입력된다. 프로세서(102)는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보조 I/O 서브시스템(124)으로의 출력을 위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가입자는 예컨대, 통신 서브시스템(104)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이메일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음성 통신의 경우,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은 이와 유사하다. 스피커(128)는 전기 신호로부터 변환된 가청 정보(audible information)를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30)은 가청 정보를 처리용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surface acoustic wave; SAW)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스트레인 게이지, 광학 이미징, 분산형 신호 기술, 음형 펄스 인식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용량성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112) 및 용량성 터치 감지형 오버레이(114)를 포함한다. 오버레이(114)는 예컨대, 기판, 접지 차폐층, 배리어층, 기판 또는 기타 배리어에 의해 분리된 하나 이상의 용량성 터치 센서 층 및 커버를 포함하는 적층된 복수층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용량성 터치 센서층들은 패터닝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터치 접촉 또는 터치 이벤트로서도 알려진, 하나 이상의 터치들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터치의 위치를 포함한 터치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위치 데이터는 접촉 영역의 중심점, 또는 중심점 근처와 같은 접촉 단일점, 또는 접촉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터치 위치는, 예컨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사용자 시점에 대해 x 및 y 성분, 예를 들어, 수평 성분 및 수직 성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 위치 성분은 한 터치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y 위치 성분은 다른 터치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터치의 검출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16)에 신호가 제공된다. 터치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특성에 따라, 손가락, 엄지손가락, 부속물, 또는 다른 아이템,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또는 기타 포인터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체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복수의 동시 터치들도 검출할 수 있다.
터치(들)(120)은 액츄에이터(120)의 작동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인가함으로써 가압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어느곳이라도 가압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는 작동될 때 프로세서(102)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20)의 작동은 촉각 피드백의 제공을 가져올 수 있다.
기계적 돔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가해진 힘으로 인해 돔이 눌려질 때 그리고 스위치의 해제 후 돔이 안정화 위치로 되돌아올 때 촉각 피드백이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액츄에이터(120)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압전 (피에조)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피에조 액츄에이터(들)의 수축은 예를 들어,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는 스프링 형태의 힘을 인가한다. 각각의 피에조 액츄에이터는 금속 기판과 같은 기판에 부착된 압전 디스크와 같은 압전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압전 디바이스에의 전하/전압의 축적으로 인해 또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에 인가된 외력과 같은 힘에 응답하여 압전 디스크가 수축할 때 기판이 굽어진다. 인가된 전압 또는 전류를 변경함으로써 전하/전압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피에조 액츄에이터들에 의해 인가된 힘을 제어할 수 있다. 피에조 액츄에이터에서의 전하/전압은 피에조 디바이스로 하여금 팽창하게끔 하여 힘을 해제시키고 이에 의해 피에조 액츄에이터에 의해 인가된 힘을 감소시키는 제어된 전류를 방전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전하/전압은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있어 바람직하게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걸쳐 제거될 수 있다. 피에조 액츄에이터에서 외력이 없고 전하/전압이 없어도, 피에조 액츄에이터는 기계적 프리로드로 인해 약간 굽어질 수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웹 브라우저, 연락처(contact), 이메일, 카렌더, 뮤직 플레이어, 스프레드시트, 워드 프로세싱, 오퍼레이팅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가상 키보드가 입력 영역에,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배향으로 디스플레이 영역 아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영숫자 문자, 구두점 또는 심볼의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또한 제스쳐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스위프(swipe)와 같은 제스쳐는 또한 플릭(flick)이라 알려진 터치의 한 유형으로서, 터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에 원점에서 시작하여 끝점으로 이어진다. 스위프는 거리 및/또는 유지 기간에 있어 길수도 또는 짧을 수도 있다. 스위프의 두 지점을 이용하여 스위프의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를 결정한다. 방향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배향, 또는 다른 레퍼런스에 대해 참조될 수 있다. 레퍼런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기에 이용된 수평방향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배향에 대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이며, 여기에 이용된 수직 방향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배향에 대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방향이다. 스위프의 원점 및 끝점은 스위프의 크기 또는 거리를 결정하는데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스위프의 유지기간은 시간에 있어서 스위프의 원점과 끝점으로부터 결정된다. 컨트롤러(116) 및/또는 프로세서(102)는 스위프의 방향, 크기, 및/또는 유지 기간을 결정한다.
스위프와 같은 제스쳐가 검출되고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연관될 때, 정보 내의 페이지 스크롤이 발생한다. 페이지 스크롤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때 정보를 전진 이동시키거나 후진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롤 모드이다. 페이지 스크롤의 방향은 스위프의 방향에 기초할 수 있다. 스위프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입력 영역과 연관될 때, 정보의 커서 스크롤이 발생한다. 커서 스크롤은 커서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렌더링되고,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사이를 스위프하는 방향에 따라 전진 이동할 수도 또는 후진 이동할 수도 있는 스크롤 모드이다. 커서는 커서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동안 정보 사이를 스크롤한다. 대안으로서, 커서 스크롤은 제스쳐가 디스플레이 영역과 연관될 때 이용될 수 있고, 페이지 스크롤은 제스쳐가 입력 영역과 연관될 때 이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18) 상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일반적으로 소형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양은 예를 들어 컴퓨터 모니터 또는 다른 더 큰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일반적으로 훨씬 작다. 스크린 상의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메모리 용량 및 스크린 크기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정보가 스크롤 기술을 이용하여 표시되는데 이용가능하다. 정보의 양은 흔히, 스크린 또는 윈도우 상에서 한번에 적응(fit)되는 것보다 더 많다.
정보는 예를 들어, 몇몇을 말하자면 웹페이지, 전자 메시징 또는 메일 텍스트, 연락처 상세 정보, 카렌더 이벤트 상세 정보,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텍스트 또는 워드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렌더 이벤트를 스케쥴링하기 위하여 카렌더 이벤트 상세 정보를 입력할 때, 카렌더 애플리케이션은 카렌더 이벤트의 필드 내에 데이터 엔트리를 위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동시에 10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카렌더 이벤트는 50줄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버튼 또는 메뉴 옵션과 같은 제어부를 이용하여 스크롤함으로써 정보를 전진 이동시키거나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메뉴의 이용 또는 버튼의 선택보다는, 제스쳐의 원점, 끝점 또는 다른 속성과 같은 제스터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크롤 모드의 이용이, 더 빠르고 끊김없는 네비게이션 및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페이지 스크롤 또는 커서 스크롤은 어떤 시간에도 즉시 적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버튼을 찾아 가압하거나 또는 메뉴를 입력할 필요 없이, 데이터를 보고, 추가하고 삭제하고 편집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프로세스는 더 빠르다.
제1 모드에서의 스크롤 전 및 후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일례가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제2 모드에서의 스크롤 전 및 후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예에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메일을 작성하고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입력된 정보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디스플레이 영역(202)에 디스플레이되며, 가상 키보드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입력 영역(204)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 영역(202)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배향에 있어 입력 영역(204)의 위에 배치된다. 가상 키보드는 문자, 숫자, 구두점, 심볼 등과 같은 문자의 입력을 위한 키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시프트, 입력 또는 삭제와 같은 기능들도 포함하며, 키들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영숫자 문자들과 연관되는 축소형 키보드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키보드는 각각의 영숫자 문자가 각각의 키와 연관되어 있는 풀 키보드일 수도 있다.
정보는 예를 들어 To 필드, Cc 필드, Subject 필드 및 본문(body) 필드와 같은 메일 헤더 필드를 포함한다. 이메일 필드 각각은 이메일의 작성 동안에 편집될 수 있고 커서(206)는 정보 내에 표현되도록 나타내어진다. 커서(206)는 예를 들어, 추가, 삭제 또는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를 정보 내에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메일의 임의의 필드를 보거나 또는 편집하도록 페이지 스크롤 모드에서 이메일 사이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원점(208)이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202)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스쳐의 방향은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화살표(210)의 끝에서의 끝점으로의 하방향이다. 제스쳐가 검출될 때,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정보를 전진 이동시켜, 이에 의해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페이지 스크롤은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해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202) 내의 제스쳐의 원점에 대해 상방향 제스쳐를 이용하여 이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역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이지 스크롤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스쳐의 길이는, 길이이든 시간 유지기간이든 간에, 어떤 부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정보를 얼마나 멀리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키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 레벨, 3 레벨 또는 더 많은 식별 레벨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레벨 시스템은 제스쳐를 단기 제스쳐와 장기 제스쳐로 분할하며, 여기서 제스쳐가 단기 또는 장기로서 고려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하나 이상의 문턱값이 이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기 제스쳐는 소정의 양만큼 정보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키며, 장기 제스쳐는 더 큰 양으로 정보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킨다.
장기 제스쳐는 정보의 시작 또는 끝으로 점프하는데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큰 양으로 정보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스크롤 양은 정보의 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 레벨 시스템은 제스쳐를 단기 제스쳐, 중기 제스쳐, 및 장기 제스쳐로 분할하며, 여기서 제스쳐가 단기, 중기 또는 장기로서 고려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둘 이상의 문턱값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단기 제스쳐는 소정의 양만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것으로서 해석될 수 있고, 중기 제스쳐는 더 큰 양만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는 것으로서 해석될 수 있고, 장기 제스쳐는 정보의 끝으로 전진 이동하거나 또는 시작으로 후진 이동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길이에 대한 문턱값은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치수에 기초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기 제스쳐는 스크린(118) 상에서 시작하여 스크린(118)의 에지부 밖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한편, 단기 제스쳐 및 중기 제스쳐는 문턱값에 의해 결정되며, 이들 제스쳐는 스크린(118) 상에서 시작하고 끝난다.
사용자는 정보 내에서 커서(206)를 이동시키는 커서 스크롤 모드에서 이메일 사이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원점(302)이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의 입력 영역(204)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스쳐의 방향은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화살표(304)의 끝에서의 끝점으로의 하방향이다. 제스쳐가 검출될 때,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는 커서(206)를 정보 내의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킨다. 커서의 이동은 바람직하게 제스쳐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있다. 따라서, 커서(206)는 정보 사이를 페이지 스크롤함이 없이 정보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206)가 디스플레이 영역(202)의 상단 근처에 위치되고 하방향 제스쳐가 입력 영역(204) 내에 원점을 갖고 검출될 때, 커서 스크롤이 개시된다. 그러나, 커서(206)가 디스플레이 영역(202)의 하단부 근처에 위치되고 하방향 제스쳐가 입력 영역(204) 내에 원점을 갖고 검출될 때,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커서 스크롤 동안 정보 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전진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방향 스위프가 입력 영역(204) 내에서 제스쳐의 원점을 갖고 검출될 때, 커서 스크롤은 또한, 정보 내에서 커서를 위로 이동시키도록 역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커서 스크롤은 정보 내에서 커서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수평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입력 영역(204) 내에 원점(402)을 갖는 제스쳐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수평 방향 제스쳐의 검출이 도 4에 도시된다.
선택적으로, 제스쳐의 길이는 길이이든 시간 유지 기간이든 간에, 정보 내에서 커서(202)를 얼마나 멀리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키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 레벨, 3 레벨 또는 더 많은 식별 레벨을 이용할 수 있다. 단기 제스쳐는 1줄의 정보 또는 한 문자만큼 커서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고, 장기 제스쳐는 한줄 보다 많은 정보 또는 하나 보다 많은 문자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장기 제스쳐는 일반적인 수직 제스쳐 용으로 정보의 시작 또는 끝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반적인 수평 제스쳐 용으로 한 줄의 시작 또는 끝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장기 제스쳐는 복수의 줄 또는 문자만큼 정보 내에서 커서를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복수의 줄의 개수는 변할 수 있다.
도 5는 검출된 제스쳐에 기초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의 코딩은 주어진 설명과 관련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방법은 도시된 및/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추가적인 프로세스 또는 이들 중 몇개만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00)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 상에 디스플레이된다(502). 도시된 예에서, 이메일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네비게이션된다. 제스쳐가 검출될 때(504),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영역과 제스쳐의 연관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원점, 끝나는 점, 영역 내에 위치된 제스쳐의 백분율, 또는 다른 특성들은 어떤 영역,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202) 또는 입력 영역(204)이 제스쳐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식별될 수 있다. 제스쳐의 방향이 또한 결정될 수 있고, 스크롤의 방향은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할 수 있다. 스크롤 모드는 연관성, 예를 들어, 원점, 끝나는 점, 영역의 백분율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506).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디스플레이 영역(202)과 제스쳐의 연관성이 있을 때, 예를 들어, 제스쳐의 원점이 디스플레이 영역(202)과 연관된 위치에 있을 때, 페이지 스크롤 모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제스쳐의 방향에 기초하여 정보가 페이지 스크롤된다(508). 페이지 스크롤 모드는 제스쳐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과, 제스쳐의 길이에 기초하여 정보의 상이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118)의 입력 영역(204)과 제스쳐의 연관성이 있을 때, 예를 들어, 제스쳐의 원점이 입력 영역(204)과 연관된 위치에 있을 때, 페이지 스크롤 모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커서가 정보 사이를 스크롤한다(510).
여기에 설명된 스크롤 방법은 예를 들어 편집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내에서의 커서 포지션의 상호작용 및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검출된 스위프는 정보를 보기 위하여 임의의 방향에서 두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스크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스크롤 모드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스쳐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임의의 추가의 버튼, 메뉴, 또는 다른 더 많은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를 필요로 함이 없이 두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스크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보의 상이한 부분이 신속하게 표시 및/또는 편집될 수 있어, 전력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며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 및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두 설명적인 것으로만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본 청구항의 의미 및 범위 내의 오는 모든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02 : 메인 프로세서
104: 통신 서브시스템
106: 디코더
110: 메모리
112: 디스플레이
114: 오버레이
116: 컨트롤러

Claims (15)

  1.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스쳐가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과 연관될 때, 제1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스쳐가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과 연관될 때, 제2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선택가능 키를 포함한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동안 가상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모드와 상기 제2 스크롤 모드는 페이지 스크롤 모드와 커서 스크롤 모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스크롤 모드는 정보의 상이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스크롤 모드는 정보 사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9.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스쳐가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과 연관될 때, 제1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스쳐가 상기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과 연관될 때, 제2 스크롤 모드에서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선택가능 키를 포함한 키보드를 렌더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사이를 스크롤하는 동안 가상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 모드와 상기 제2 스크롤 모드는 페이지 스크롤 모드와 커서 스크롤 모드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스크롤 모드는 정보의 상이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스크롤 모드는 정보 사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KR1020110023540A 2010-03-19 2011-03-16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236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7013.3A EP2367097B1 (en) 2010-03-19 2010-03-19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10157013.3 2010-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18A true KR20110105718A (ko) 2011-09-27
KR101236633B1 KR101236633B1 (ko) 2013-02-22

Family

ID=4227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540A KR101236633B1 (ko) 2010-03-19 2011-03-16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67097B1 (ko)
KR (1) KR101236633B1 (ko)
CN (1) CN102193734B (ko)
CA (1) CA2731603C (ko)
TW (1) TWI4536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4172B2 (en) 2007-01-05 2011-12-06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CN102799358B (zh) * 2012-06-20 2017-08-08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光标显示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CN102750035B (zh) * 2012-06-20 2017-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标显示位置的确定方法和装置
US20140109016A1 (en) * 2012-10-16 2014-04-17 Yu Ouyang Gesture-based cursor control
US20140188989A1 (en) * 2012-12-27 2014-07-03 Google Inc. Exchanging content across multiple devices
US9898187B2 (en) 2013-06-09 2018-02-20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CN104423672B (zh) * 2013-09-06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输入方法
US20150346998A1 (en) * 2014-05-30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Rapid text cursor placement using finger orientation
CN105224206A (zh) * 2014-06-30 2016-01-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操作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04778006B (zh) * 2015-03-31 2019-05-1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信息编辑方法和系统
DK179374B1 (en) * 2016-06-12 2018-05-28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monitors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5595B (zh) * 2004-07-30 2017-03-01 苹果公司 用于触敏输入设备的手势
US7619616B2 (en) * 2004-12-21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controls
TW200715191A (en) * 2005-10-04 2007-04-16 Elan Microelectronics Corp Multi-sectional scrolling control method for scroll bar and device thereof
US7683918B2 (en) * 2006-03-17 2010-03-23 Motorola,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WO2008025370A1 (en) * 2006-09-01 2008-03-06 Nokia Corporation Touchpad
CN101529874A (zh) * 2006-09-06 2009-09-09 苹果公司 用于具有触摸屏显示器的便携式多功能设备的电话呼入管理
US8570278B2 (en) * 2006-10-26 2013-10-29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KR101335426B1 (ko) * 2007-06-19 201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US7970438B2 (en) * 2007-06-19 2011-06-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keypad control method
US8661340B2 (en) * 2007-09-13 2014-02-25 Apple Inc. Input methods for device having multi-language environment
US20090100380A1 (en) * 2007-10-12 2009-04-16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ng through content
US8245155B2 (en) * 2007-11-29 2012-08-14 Sony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TW200925951A (en) * 2007-12-03 2009-06-16 Yu-Lu Lin Movable touch control button input metho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453914B1 (ko) * 2008-01-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TW201005599A (en) * 2008-07-18 2010-02-01 Asustek Comp Inc Touch-type mobile compu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00053111A1 (en) * 2008-09-04 2010-03-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touch control for touch sensitiv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2694A (en) 2011-12-01
EP2367097B1 (en) 2017-11-22
TWI453651B (zh) 2014-09-21
KR101236633B1 (ko) 2013-02-22
CN102193734A (zh) 2011-09-21
CN102193734B (zh) 2015-04-08
CA2731603A1 (en) 2011-09-19
EP2367097A1 (en) 2011-09-21
CA2731603C (en) 201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128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236633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44264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A2738698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6891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8766926B2 (en)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317290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이것의 제어 방법
US88630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10133450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US888708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50325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CA2768287C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CA2713796C (en)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200078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cking displayed information
US2011016396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4053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cking displayed information
CA2735040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A2756315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3002126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1301242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a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