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262A -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262A
KR20110105262A KR1020100024413A KR20100024413A KR20110105262A KR 20110105262 A KR20110105262 A KR 20110105262A KR 1020100024413 A KR1020100024413 A KR 1020100024413A KR 20100024413 A KR20100024413 A KR 20100024413A KR 20110105262 A KR20110105262 A KR 20110105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unit
push
push butt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의진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to KR102010002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262A/en
Publication of KR20110105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2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하고, 누름 동작시 의도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여 입력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누름부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고, 슬라이딩 동작시 의도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여 입력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가 결합되어 있어, 누름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is possible,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to prevent the input error by preventing the deviation and rotation that can occur unintentionally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and the sliding part to prevent the input error by preventing the deviation and rotation that can occur unintentionally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is combined,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Directional input device.

Figure P1020100024413
Figure P1020100024413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장치{MULTI_DIRECTIONAL INPUT DEVICE}Multi-Directional Inputs {MULTI_DIRECTIO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게임용 컨트롤러나 리모트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키보드, 마우스 및 일반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등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기능을 갖고 신뢰성 높은 다방향 누름과 다방향 슬라이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input functions that can replace not only an electronic game controller or a remote controller but also a keyboard, a mouse, and a keypad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and can perform reliable multi-directional pressing and multi-directional sliding simultaneously,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that can be performed.

근래 정보처리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휴대폰, 컴퓨터 등 각종 정보기기가 고성능, 다기능 및 소형화되고 있다. 각종 정보기기의 다기능, 고성능 및 소형화에 따라 입력장치 또한 고성능, 다기능 및 소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입력장치는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정확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기 어려워 정확한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또한, 현재의 소형화된 입력장치는 1동작-1음소로 입력 가능한 데이터의 수가 제한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various inform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computers are becoming high performance, multifunctional and miniaturized. In accordance with the multifunction, high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of various information equipment, input devices are also becoming high performance, multifunction and miniaturization. However, as the current input device is miniaturized, when the user performs an input operation, an accurate input signal is difficult to be performed, and thus an accurate input signal cannot be detected. In addition, the current miniaturized input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various functions can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number of data that can be input in one operation to one phoneme is limit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입력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가 결합되어 다방향 누름 동작과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단순 동작으로도 다양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누름 동작 또는 슬라이딩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입력오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신뢰성 높은 누름 동작신호 또는 슬라이딩 동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ing portion capable of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is combined,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ince it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various input functions can be performed with a simple operation, and a reliable pressing operation signal or sliding operation signal can be detected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input error that may occur during a pressing operation or a sliding oper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irection input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누름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한 다방향 입력장치는,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누름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며, 상기 누름 동작에 대응되는 누름 신호를 검출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와 결합되어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신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누름부의 누름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고, 상기 누름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an perform a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prevents an error that may occu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 pressing unit detecting a pres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A slide unit coupled to the pressing unit to perform a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and detecting a slid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control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and a slid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e unit, and in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and data corresponding 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가 결합되어 있어, 누름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다양한 데이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pressing portion capable of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e portion capable of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each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A variety of data input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방향 누름이 가능한 누름부와 다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슬라이드부가 결합되어 있어서, 다방향 누름 동작과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다단입력이 가능하여 종래 방식의 입력장치에서는 실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다양한 데이터를 1동작 1문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시 발생하는 이탈, 회전 및 입력오류를 방지하여 신뢰성 높은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ing portion capable of multi-directional pressing and the sliding portion capable of sliding in multiple directions are combined,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is way, a large amount of various data can be input by one operation and one character input method which cannot be realized by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gnal can be detected with high reliability by preventing the deviation, rotation and input errors occurring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 슬라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exploded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slid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C illustrate a device equipped with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term 'comprising' any configuration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stead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 범위에서 '~을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로 이루어진다.', '~를 갖는다.', '~를 구비한다.'의 의미는 열거한 요소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더 존재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meanings of 'comprises', 'consists of', 'consists of', 'have' and 'comprises' are enumerated. It does not exclude that there may be more than one el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80)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가 결합되어, 누름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누름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시 발생되는 의도치 않은 회전, 이탈 및 입력오류를 방지하여 신뢰성 높은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unit 80 capable of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the sliding unit 90 capable of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are combined, and the pressing and sliding operation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t can be carried out independently, each can be input a variety of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detect a reliable signal by preventing unintentional rotation, deviation and input error genera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nd sliding operatio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크게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80)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로 구분되고, 아래에서는 누름부(8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과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ressing unit 80 capable of a larg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a slide unit 90 capable of a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pressing below The components and coupling methods of the unit 80 and the components and coupling methods of the slide unit 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of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방향 누름이 가능한 누름부(80)에는 중앙 누름 버튼부(1), 중심축 유닛(3), 누름 버튼부(6), 러버 돔 유닛(RUBBER DOME UNIT)(9),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1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3), 제2누름 감지 센서(16),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 제2FPCB(18) 및 누름부 지지판(19)이 포함된다.The push unit 80 capable of multi-directional push includes a center push button unit 1, a central axis unit 3, a push button unit 6, a rubber dome unit 9, and a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the first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 the second press sensor 16,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the second FPCB 18 And a pressing support plate 19.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는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개구부(4)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는 중앙 누름 버튼부(1)의 형상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원형인 경우,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는 원형의 중앙 누름 버튼부(1)와 맞물리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른 일례로, 중앙 누름 버튼부(1)가 다각형 형상인 경우,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는 다각형 형상의 중앙 누름 버튼부(1)와 맞물리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의 형상은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의 형상 역시 중앙 누름 버튼부(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누름 버튼부(1)는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주위에 돌기(2)가 형성된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 아래로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 아래로 결합되는 경우, 중앙 누름 버튼부(1)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2)는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으로부터 이탈 및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일례로, 중앙 누름 버튼부(1)는 도 3과 같이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의 위쪽에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중앙 누름 버튼부(1)를 누르는 경우, 중앙 누름 버튼부(1)는 제1FPCB(13)에 형성되어 있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어 중앙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unit 3.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formed in a shape that meshes with the shape of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central push button part 1 is circular,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engaged with the circular center push button part 1. do.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polygonal in shape,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at meshes with the polygonal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The shape of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 rectangle, and ellipse. The shape of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having the protrusion 2 formed therein is coupled under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When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below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protrusion 2 formed in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prevented from moving away from the central axis unit 3 and rotating. As another example,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may be coupled above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er push button unit 1, the center push button unit 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enter push detection sensor 12 formed in the first FPCB 13 to generate a center push signal. To perform.

중심축 유닛(3)에는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와 결합되어 누름부(80)의 누름 동작시 발생하는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입력오류를 방지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형성된다. 누름 오류 방지부(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누름 오류 방지부(5)는 도 1과 같이 중심축 유닛(3)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중심축 유닛(3)의 옆측면에 돌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의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형태라면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with a slide unit 90 capable of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and prevents an input error by preventing rotation and separation that occu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80 to prevent an input error. Is formed.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is formed in various shapes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may be formed under the central axis unit 3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axis unit 3 as shown in FIG. 3. It may be. In addition,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square, an ellipse, a polygon, a rhombus, a trapezoid, and the like as long as the shape can function as intended.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심축 유닛(3)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0과 같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어 누름부(80)의 누름 동작시 발생하는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여 입력오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중심축 유닛(3)과 일체로 형성되는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될 수도 있고, 중심축 유닛(3)과 누름 버튼부(6)가 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도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entral axis unit 3 as described above, or is formed in the pressing button part 6 as shown in FIG. 10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art 80. Input errors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deviation and rotation occurring.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may be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ral axis unit 3, and the central axis unit 3 and the push button part 6 are separately formed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ush button unit 6 may be formed.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은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를 통해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의 형상은 중심축 유닛(3)의 형상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중심축 유닛(3)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의 형상은 원형의 중심축 유닛(3)과 맞물리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다른 일례로 중심축 유닛(3)의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의 형상은 삼각형의 중심축 유닛(3)과 맞물리도록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른 일례로 도 3과 같이 중심축 유닛(3)의 옆측면에 누름 오류 방지부(5)가 돌기되어 형성되는 경우,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옆측면에 돌기된 중심축 유닛(3)의 형상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옆측면에 돌기되어 형성된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에 결합되는 경우, 누름 버튼부(6)가 중심축 유닛(3)과 맞물려 고정되므로 누름 동작시 의도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회전 및 이탈이 방지되고, 입력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중심축 유닛(3)과 누름 버튼부(6)는 도 1과 같이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도 10과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central shaft unit 3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via an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shape of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meshes with the shape of the central axis unit 3. For example, when the central axis unit 3 has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the shape of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engage with the circular central axis unit 3. do.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central axis unit 3 is a triangle, the shape of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formed in a triangle so as to engage with the central axis unit 3 of the triangl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axis unit 3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a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 5) is formed into a shape that meshes with the shape of the central axis unit 3 protruding on the side surface. In the case that the central axis unit 3 formed by protruding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the push button part 6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unit 3. ) And fixed to prevent the rotation and separation that can be inadvertently genera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nd can prevent the input error. The central shaft unit 3 and the push button unit 6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upled as shown in FIG. 1, or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10.

누름 버튼부(6)의 상부에 누름 표시부(8)가 형성될 수 있다. 누름 표시부(8)는 누름부(80)의 누름 가능한 방향을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누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누름 표시부(8)는 다양한 형상 및 방법으로 형성된다. 누름 표시부(80)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누름 표시부(8)는 누름 버튼부(6)의 상부에 오목한 형상,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림이나 색깔 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재질의 코팅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방향 누름이 가능한 누름부(80)의 누름 가능한 방향이 8방향일 경우, 누름 버튼부(6)의 상부에 8개의 누름 표시부(8)가 형성되어 8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누름 버튼부(6)의 상부에 4개의 누름 표시부(8)가 형성되어 8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누름 표시부(8)와 4개의 누름 표시부(8) 사이를 이용하여 8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는 누름 가능한 방향이 8방향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누름 가능한 방향은 8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누름 가능한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The push display unit 8 may be formed on the push button unit 6. The pressing display unit 8 displays a possible direction of pressing the pressing unit 80 to perform a function that helps the user to perform the pressing operation easily and quickly. The push indicator 8 is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methods. The shape of the push display unit 8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nd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hape. The push display unit 8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or a convex shape on the push button part 6, or may be formed of a coating film of a material having a picture, color, or anti-slip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pushable direction 80 of the multi-directional push unit 80 is 8 directions, eight push display units 8 may be formed on the push button unit 6 to display 8 directions. As another example, four push display units 8 may be formed on the push button unit 6 to display eight directions. In this case, eight directions may be displayed by using the four push display units 8 and the four push display units 8. In the above, the case in which the pushable direction is 8 directions has been described, but the pushable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8 direction, and the pushable direction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designation.

누름 버튼부(6)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누름 버튼부(6)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부(80)의 누름이 가능한 방향이 8방향일 경우, 누름 버튼부(6)는 누름이 가능한 방향의 개수와 같은 8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누름 버튼부(6)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누름부(80)의 누름 가능한 방향의 개수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ush button part 6 may be formed integrally or separately. The push button part 6 may be formed separately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art 80 can be pressed is 8 directions, the push button part 6 may be divided into eight pieces equal to the number of directions in which the pressing part 80 can be pressed. The method in which the push button part 6 is formed separately is not limited to a method in which the push button part 6 is formed by separating the number of pushable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러버 돔 유닛(9)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러버 돔 유닛(9)에 형성된 개구부(1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러버 돔 유닛(9)은 구부러져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접촉되어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러버 돔 유닛(9)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러버 돔 유닛(9)과 누름 버튼부(6)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러버 돔 유닛(9)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클릭감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을 누르는 경우, 클릭감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누름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러버 돔 유닛(9)은 도 1과 같이 누름부(80)의 누름이 가능한 방향에만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rubber dome unit 9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10 formed in the rubber dome unit 9.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rubber dome unit 9 is ben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ush sensor 11 to generate a push signal, and the force of the user pushing the push button part 6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rubber dome unit 9 and the push button part 6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ubber dome unit 9 itself.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rubber dome unit 9, a feeling of click may be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unit 6, if a feeling of click occurs,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push operation has been made. The rubber dome unit 9 may be separately formed on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art 80 can be pressed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in an integrated form (not shown).

러버 돔 유닛(9)과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가 형성된 제1FPCB(13)사이에 위치되도록, 메탈 돔 유닛(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메탈 돔 유닛(미도시)은 러버 돔 유닛(9)에 눌려 제1FPCB(13)에 형성되는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고, 메탈 돔 유닛(미도시)이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 또는 중앙 누름 신호를 발생된다. 메탈 돔 유닛(미도시)이 구부러지면서 탄성력과 클릭감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입력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메탈 돔 유닛(미도시)과 러버 돔 유닛(9)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누름 버튼부(6)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 메탈 돔 유닛(미도시)과 러버 돔 유닛(9)에서 발생되는 클릭감에 의해 사용자는 누름 동작이 수행되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rubber dome unit 9, the first press sensor 11, and the first FPCB 13 in which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is form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is pressed by the rubber dome unit 9 to form the first press detection sensor 11 or the first central press formed on the first FPCB 13. The sensor 12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first push sensor 11 or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to generate a push signal or a center push signal. As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is bent, elastic force and a feeling of click are generated to provide feedback to the input operation to the user.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and the rubber dome unit 9 causes the push button part 6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and the rubber dome unit 9 The generated click feeling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s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위에서 설명한 러버 돔 유닛(9)은 반드시 러버 재질이 아니라 탄성 복원력을 갖고 누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메탈 돔 유닛(미도시) 역시 반드시 메탈 재질이 아니라 탄성 복원력을 갖고 누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러버 돔 유닛(9)은 도 1과 같이 중앙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러버 돔과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러버 돔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러버 돔과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러버 돔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탈 돔 유닛(미도시) 역시 중앙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메탈 돔과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메탈 돔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메탈 돔과 누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메탈 돔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ubber dome unit 9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a rubber material, but may be any material that can serve as a switch capable of generating a push signal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In addition,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is not necessarily a metal material, but any material that can act as a switch capable of generating a push signal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is possible. In addition, the rubber dome unit 9 may be formed of one rubber dome for performing the center press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rubber domes for performing the press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1, and one rubber for performing the center pressing operation. It may be formed of one rubber dome for performing the pressing operation with the dome.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may also be formed of one metal dome for performing the center press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metal domes for performing the pressing operation, and one metal dome and pressing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central pressing operation. It may be formed of one metal dome to perform the.

러버 돔 유닛(9) 또는 메탈 돔 유닛(미도시)과 제1누름 감지 센서(11) 및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가 형성된 제1FPCB(13)사이에 위치되도록 비도전성 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는 중심축 유닛(3)과 결합될 수도 있고,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누름 오류 방지부(5)와 결합될 수도 있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는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러버 돔 유닛(9) 또는 메탈 돔 유닛(미도시)이 제1FPCB(13)에 형성된 제1누름 감지 센서(11) 및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도치 않은 입력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에도, 비도전성 부재(미도시)가 제1누름 감지 센서(11)의 사이를 막고 있어, 러버 돔 유닛(9)이 인접한 다른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와 접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A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rubber dome unit 9 or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and the first FPCB 13 on which the first push sensor 11 and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re formed. ) Are combined.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combined with the central axis unit 3, or may be combined with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When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is not pressed, the rubber dome unit 9 or the metal dome unit (not shown) is formed on the first FPCB 13 and the first press detection sensor 11 and the first center. It prevents the touch detection sensor 12 from contacting the touch sensor 12 to prevent an unintentional input.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is blocking the 1st press detection sensor 11, and the rubber dome unit 9 detects another 1st press adjacently. It does not contact with the sensor 11 and performs contact with the first press sensor 11 or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positioned in the correct direction. Non-conductive members (not shown)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1누름 감지 센서(11) 및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가 형성되어 있는 제1FPCB(13)에 결합된다.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제1FPCB(13)에 형성되는 개구부(14)를 통해 결합된다. 제1FPCB(13)에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가 형성된다.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중 하나 이상은 제1FPCB(1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누름 감지 센서(11)는 도 1과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FPCB(13)의 뒷면에는 다단입력을 위한 접점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FPCB(13)의 뒷면에는 제2FPCB(18)에 형성되는 제2누름 감지 센서(16)와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접점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FPCB(13)의 뒷면에 형성되는 접점패턴(미도시) 중 제2누름 감지 센서(16)와 접촉되는 접점패턴(미도시)은 누름이 가능한 방향 또는 제2누름 감지 센서(16)가 위치하는 부분에만 따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FPCB(13)의 뒷면에 형성되는 접점패턴(미도시)은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접점패턴(미도시)이라는 용어로 통일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접촉체, 전극, 전극패턴 등의 의미임을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first FPCB 13 in which the first pressing sensor 11 and the first central pressing sensor 12 are formed.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5 is coupled through the opening 14 formed in the first FPCB 13. The first press sensor 11 and the first central press sensor 12 are formed in the first FPCB 13.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ing sensor 11 and the first central pressing sensor 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PCB 13,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The first push sensor 11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1,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s shown in FIG. 3. A contact pattern (not shown) for multi-stage input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PCB 13. A contact pattern (not show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PCB 1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ess sensor 16 and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formed in the second FPCB 18. Among the contact patterns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PCB 13, the contact pattern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second push sensor 16 is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ush is possible or the second push sensor 16 is positioned. It may be separately formed only to the portion, or may be formed integrally. Contact patterns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PCB 13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example, the term "contact pattern" (not shown) is uniformly used, but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eaning of a contact, an electrode, an electrode pattern, and the like.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2누름 감지 센서(16) 및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가 형성되어 있는 제2FPCB(18)에 결합된다.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제2FPCB(18)에 형성되는 개구부(59)를 통해 결합된다. 제2FPCB(18)에 제2누름 감지 센서(16)와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가 형성된다 제2누름 감지 센서(16)와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 중 하나 이상은 제2FPCB(18)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제2누름 감지 센서(16)는 도 1과 같이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누름 감지 센서(16),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 및 제2FPCB(18)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2FPCB(18)에 결합되기 전에 탄성력 또는 클릭감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러버 돔(미도시) 또는 메탈 돔(미도시)이 결합되어 누름 동작시 사용자가 제2누름 입력이 수행되었는지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second FPCB 18 in which the second pressing sensor 16 and the second central pressing sensor 17 are formed.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is coupled through an opening 59 formed in the second FPCB 18. A second press sensor 16 and a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are formed in the second FPCB 18. At least one of the second press sensor 16 and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may be formed of a second press sensor 16.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2FPCB 18,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The second push detection sensor 16 may be form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in one piece (not shown). The second press sensor 16,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and the second FPCB 18 may be omitted or intentionall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Rubber dome (not shown) or metal dome (not shown)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an elastic force or a click feeling before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ortion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second FPCB 18. This combina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grasp whether a second push input has been performed during the push operation.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힘에 따라 다단입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범위보다 작은 힘을 이용하여 누름 버튼부(6) 또는 중앙 누름 버튼부(1)를 누르는 경우, 러버 돔 유닛(9)이 구부러져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고, 러버 돔 유닛(9)과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의 접촉에 의해 제1누름 신호 또는 제1중앙 누름 신호가 발생된다. 사용자가 일정 범위보다 큰 힘을 이용하여 누름 버튼부(6) 또는 중앙 누름 버튼부(1)를 누르는 경우, 러버 돔 유닛(9)이 구부러져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고,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가 형성되는 제1FPCB(13) 뒷면에 형성되는 접점패턴(미도시)이 제2누름 감지 센서(16) 또는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에 접촉되어 제2누름 신호 또는 제2중앙 누름 신호가 발생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 또는 중앙 누름 버튼부(1)를 누르는 힘에 따라 제1FPCB(13)의 뒷면에 형성되는 접점패턴(미도시)이 제2PCB(18)에 형성되는 제2누름 감지 센서(16) 또는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에 접촉되어 다단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Multi-stage inpu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rce of the user pressing the push button unit 6.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ortion 6 or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using a force smaller than a certain range, the rubber dome unit 9 is bent to form the first push sensor 11 or the first press. The first press signal or the first center press sign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enter press sensor 12 and is contacted by the rubber dome unit 9 and the first press sensor 11 or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Is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section 6 or the center push button section 1 using a force greater than a certain range, the rubber dome unit 9 is bent to detect the first push sensor 11 or the first center push. A contact pattern (not shown)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first FPCB 13 in contact with the sensor 12 and having the first push sensor 11 and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formed thereon is the second push sensor. The second press signal or the second center press signal is generated by contacting the 16 or the second center press detection sensor 17. As described above, a contact pattern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PCB 13 is formed on the second PCB 18 according to a force of the user pressing the push button portion 6 or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The multi-stage input may be performed by contacting the second press sensor 16 or the second central press sensor 17.

제1누름 감지 센서(11) 및 제2누름 감지 센서(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러버 돔 유닛(9)이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또는 제1FPCB(13)가 제2누름 감지 센서(18)에 접촉하는 경우 발생되는 저항값 또는 전류값에 따라 다양한 누름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누름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저항값 또는 전류값의 범위는 설계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When the first press detection sensor 11 and the second press detection sensor 16 are integrally formed, the rubber dome unit 9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press detection sensor 11 or the first FPCB 13 presses the second press. Various push input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resistance value or a current value generated when contacting the sensing sensor 18. The range of resistance values or current values into which data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can be input may be specified by the design.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2누름 감지 센서(16) 및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는 홀센서, 광센서, 접촉센서, 압력센서, 터치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일례 외에도 누름부(80)의 누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무엇이든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2누름 감지 센서(16) 및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로 사용될 수 있다.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2누름 감지 센서(16) 및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종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rst press sensor 11,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the second press sensor 16, and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are hall sensors, light sensors, contact sensors, pressure sensors, It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of the touch sens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80 may include the first pressing sensor 11, the first central pressing sensor 12, the second pressing detecting sensor 16, and the like. It may be used as the second central push sensor 17. The first press sensor 11,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the second press sensor 16, and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may be made of the same type of sensor, or one or more types. It may be made of.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누름부 지지판(19)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는 누름부 지지판(19)에 형성되는 개구부(20)를 통해 결합된다. 누름부 지지판(19)은 누름부(80)의 누름 동작시 누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신뢰성 높은 누름 신호가 검출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hrough the opening 20 formed in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The pressing unit support plate 19 performs a function of assist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80 in a pressing operation so that a reliable pressing signal can be detected.

슬라이드부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부(90)의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를 통해 결합된 뒤,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되므로 다방향 누름이 가능한 누름부(80)가 형성된다. 또한, 중심축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와 결합되므로 누름부(80)와 슬라이드부(90)가 결합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24 of the slide part 90 so that the slide part case 21 is located therebetween.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hrough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and then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 Since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the pressing part 80 capable of multi-directional pressing is formed.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shaft unit 3 is coupled with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the pressing part 80 and the slide part 90 are coupled.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와 러버 돔 유닛(9), 제1FPCB(13), 제2FPCB(18), 누름부 지지판(19), 슬라이드 케이스(21) 및 슬라이드판(24)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누름 오류 방지부(5) 하부에 나사와 결합되는 개구(미도시)이 형성되고, 누름 오류 방지부(5)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미도시)와 러버 돔 유닛(9), 제1FPCB(13), 제2FPCB(18), 누름부 지지판(19), 슬라이드 케이스(21) 및 슬라이드판(24)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10,14,59,20,22,25)에 나사가 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억지끼움 방법이 이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누름 오류 방지부(5) 하부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경우, 누름 오류 방지부(5)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미도시)가 러버 돔 유닛(9), 제1FPCB(13), 제2FPCB(18), 누름부 지지판(19), 슬라이드 케이스(21) 및 슬라이드판(24) 각각에 형성되는 개구부(10,14,59,20,22,25)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일례 외에도 볼트, 너트, 융착, 후크체결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결합방법에 대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ress error preventing part 5 formed in central axis unit 3, rubber dome unit 9, first FPCB 13, second FPCB 18,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slide case 21 and slide The plate 24 is jo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can be coupled via a screw. An opening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error preventing portion 5, and an opening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error preventing portion 5, the rubber dome unit 9, and the first FPCB 13. Screw is coupled to the openings 10, 14, 59, 20, 22, and 25 formed in the second FPCB 18,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plate 24, respectively. Can be. In another example, an interference fit method may be used and combined. When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below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5, the protrusions (not shown) formed below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5 may include the rubber dome unit 9, the first FPCB 13, and the first protrusion. The 2FPCB 18,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plate 2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ormed in the openings 10, 14, 59, 20, 22, and 25.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bolts, nuts, fusions, hook fastenings, and the like may b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a coupling method.

중심축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와 러버 돔 유닛(9), 제1FPCB(13), 제2FPCB(18), 누름부 지지판(19), 슬라이드 케이스(21) 및 슬라이드판(24) 각각에 형성되는 개구부(10,14,59,20,22,25)가 결합되므로 누름부(80)가 고정되어 의도치 않는 회전 및 이탈이 방지되어 입력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er axis unit 3, the rubber dome unit 9, the 1st FPCB 13, the 2nd FPCB 18, the press part support plate 19,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Since the openings 10, 14, 59, 20, 22, and 25 formed in each of the plates 24 are coupled, the pressing portion 80 is fixed to prevent inadvertent rotation and separation, thereby preventing an input error.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 및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Components and coupling methods of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various methods and order Can be combined.

아래에서는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slide unit 90 and the coupl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슬라이드부(90)는 슬라이드부 케이스(21), 슬라이드판(24), 피검체(28), 리턴 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 PCB(printed circuit board)(32) 및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slide unit 90 includes a slide unit case 21, a slide plate 24, a test object 28, a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a printed circuit board 32, and a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슬라이드판(24)의 하부에 피검체(28)가 결합된다. 피검체(28)는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가 자성을 검출하는 홀센서일 경우 피검체(28)는 홀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자성부재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다른 일례로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일 경우 피검체(28)는 광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빛을 반사하는 플레이트와 같은 물체로 이루어진다. 피검체(28)는 위에서 설명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다양한 피검체(28)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 및 피검체(28)에 대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ubject 2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 plate 24. The object 28 may be used in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a Hall sensor that detects magnetism, the object under test 28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magnetic member that can b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light, the object 28 is formed of an object such as a plate reflecting light that can be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The subject 28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and various subjects 28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a sliding sensor (not shown) and the subject 28 which can be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된다. 중심축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는 슬라이드판(24)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해 주고, 슬라이드판(24)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플러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방향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의 형상은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판(24)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해주고, 슬라이드판(24)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판(24)에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와 결합되도록 돌기(26)가 형성된다.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돌기(26)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돌기(26)는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와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4)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가 도 1과 같이 원형인 경우 슬라이드판(24)에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 형상의 돌기(26)가 형성되고,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돌기(26)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4)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일례로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22)가 도 4와 같이 플러스(+) 형상인 경우, 슬라이드판(24)에 플러스(+) 형상의 돌기(26)가 형성되고,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플러스(+) 형상의 돌기(26)가 슬라이드 케이스(24)에 형성되는 플러스(+) 형상의 개구부(2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lide case 21 is located therebetween. Since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shaft unit 3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24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designates the range in which the slide plate 24 can move, and prevents the slide plate 24 from moving out of the range.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may be formed in a plus (+) shape as shown in FIG. 4, or may be formed in a multi-directional radial shape. The shape of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but designates a range in which the slide plate 24 can move, and leaves the range in which the slide plate 24 can move. Any shape can be formed as long as the shape can be prevented. The protrusion 26 is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to be coupled to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Although the shape of the projection 26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is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opening part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s 26 formed on the slide plate 24 are combined with the openings 22 formed on the slide case 21 to prevent the slide plate 24 from moving away from the moving range.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has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the protrusion having the same circular shape as that of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on the slide plate 24 ( 26 is formed, and the projections 26 formed on the slide plate 24 are coupled to the openings 22 formed on the slide case 21 to prevent the slide plate 24 from moving out of the range.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ening 22 formed in the slide case 21 has a positive (+) shape as shown in FIG. 4, a positive (+) shaped protrusion 26 is formed on the slide plate 24, and the slide plate A positive (+) shaped protrusion 26 formed at 24 is coupled to a positive (+) shaped opening 22 formed at the slide case 24 to prevent the slide plate 24 from being separated.

슬라이드 케이스(21)와 슬라이드판(24)이 슬라이딩 동작에 대한 힘이 해제되는 경우 슬라이드판(24)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결합된다.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는 실로콘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케이스(21)와 슬라이드판(24)은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슬라이드 케이스(21)와 슬라이드판(24)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있는 돌기(34,27)가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케이스(21)와 슬라이드판(24)이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슬라이드판(24)은 실리콘 리턴부재(29)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plate 24 are coupled to a silicon return member 29 that performs a return function to return the slide plate 24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 for the sliding operation is released.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that performs the return function may be formed of only a xylocon,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s a main component.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plate 24 may be coupled to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ojections 34 and 27 form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plate 24 are coupled to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respectively. 21 and the slide plate 24 may be coupled to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to perform the return func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force for sliding the slide plate 24, the slide plate 24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슬라이드판(24)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슬라이드 케이스(21) 및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리턴부재 고정판(49)이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된다. 리턴부재 고정판(49)에 형성되는 돌기(50)가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형성되는 개구부(48)과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47)에 억지끼움 방법으로 결합되어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와 슬라이드판(24)이 결합된다. 리턴부재 고정판(49)이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억지끼움 외에도 나사, 볼트, 너트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for returning the slide plate 24 to its original position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slide case 21 and the slide plate 24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method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return member fixing plate 49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24 such that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is locat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3. The projection 50 formed on the return member fixing plate 49 is forced into the opening 48 formed in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and the opening 47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and the slide plate 24 which are combined to perform a return function are combined. The return member fixing plate 49 may be coupled to the slide plate 24 by various methods such as screws, bolts, nuts, etc. in addition to the interference fit described above.

슬라이드 케이스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34)가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결합된다. The protrusion 3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lide case is coupled to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경우,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는 슬라이드 케이스(21)에 고정되어 있어 슬라이드판(24)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슬라이드판(24)은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When the user slides the slide plate 24,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is fixed to the slide case 21 so that the slide plate 24 does not slide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e plate 24. In addition, when the sliding force of the slide plate 24 is released, the slide plate 2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PCB(32)에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가 결합된다.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는 슬라이드판(24)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피검체(28)의 슬라이딩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는 홀센서, 광센서, 적외선센서, 압력센서 등과 같이 피검체(28)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무엇이든 사용 가능하다.A sliding senso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PCB 32. The sliding sensor (not shown) detects a sliding signal of the subject 28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 plate 24 and transmits the sliding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used as long as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ubject 28, such as a hall sensor, an optical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ressure sensor, or the like.

PCB(32)에 제어부(미도시)가 결합 또는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는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2누름 감지 센서(16),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 및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한 누름 신호 및 슬라이딩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누름 신호 및 슬라이딩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처리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controll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or connected to the PCB 32.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es a first press sensor 11, a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a second press sensor 16, a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and a sliding sensor (not shown). The push signal and the sliding signal sensed in the input) are input, and a function of in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push signal and the sliding signal is performed.

슬라이드 케이스(21)가 PCB(32)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결합수단(23)이 PCB(32)에 형성되는 개구부(33)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케이스(21)와 PCB(32)에 형성되는 개구부(33)는 나사, 너트, 볼트, 융착, 억지끼움, 후크체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케이스(21)를 PCB(32)에 형성되는 개구부(33)에 결합하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드 케이스(21)가 PCB(3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부(90)가 형성된다.The slide case 21 is coupled to the PCB 32. Coupling means 23 formed in the slide case 21 is coupled to the opening 33 formed in the PCB (32). The opening 33 formed in the slide case 21 and the PCB 32 may be coupl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crews, nuts, bolts, fusion, interference fit, hook fastening, and the like. Since the method for coupling the slide case 21 to the opening 33 formed in the PCB 32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lide case 21 is coupled to the PCB 32 to form a slide unit 90.

사용자가 슬라이드부(90)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슬라이드부(9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리턴부재는 위에서 설명한 실리콘 리턴부재(29)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된 리턴부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force for sliding the slide unit 90, the return member for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for returning the slide unit 90 to the original position is not only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described above, but also various materials. It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return member.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자성 리턴부재(35,37)를 통해 리턴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자성 리턴부재(35,37)를 통해 리턴기능이 수행되는 슬라이드부(9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For example, the return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as shown in FIGS. 4 to 5. Hereinafter, the slide unit 90 in which the return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 및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36)에 각각 4개의 자성 리턴부재(35,37)가 결합된다.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에 결합되는 자성 리턴부재(35)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36)에 결합되는 자성 리턴부재(37)는 자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무엇이든 사용될 수 있다.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에 결합되는 4개의 자성 리턴부재(35)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36)에 결합되는 4개의 자성 리턴부재(37)는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자성 리턴부재이다. 또한,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에 결합되는 4개의 자성 리턴부재(35)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36)에 결합되는 4개의 자성 리턴부재(37)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누름부 지지판(19)에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5)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7)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경우, 누름부 지지판(19)에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5)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7)에서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슬라이드판(24)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자성 리턴부재(35,37)의 자력은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하도록 당업자가 얼마든지 용이하게 선택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Four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are coupled to the opening 36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19 and the slide case 21, respectively. The magnetic return member 35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and the magnetic return member 37 coupled to the opening 36 formed in the slide case 21 may be used as long as the material has magnetic properties. . The four magnetic return members 35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19 and the four magnetic return members 37 coupled to the opening 36 formed in the slide case 21 are magnetically having different poles. Return member. In addition, the four magnetic return member 35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and the four magnetic return members 37 coupled to the opening 36 formed in the slide case 21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do. Since the magnetic return member 35 coupled to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and the magnetic return member 37 coupled to the slide case 21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user slides the slide plate 24, the user presses the slide plate 24. The slide plate 2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attr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return member 35 coupled to the sub-support plate 19 and the magnetic return member 37 coupled to the slide case 21. 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may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sui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슬라이드판(24)의 하부에 피검체(28)가 결합된다.The subject 2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 plate 24.

PCB(32)에는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 또는 PCB 중 하나 이상이 결합 또는 연결되어 형성된다.The PCB 32 is formed by coupling or connecting one or more of a sliding sensor (not shown) or the PCB.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 또는 PCB 중 하나 이상이 결합 또는 연결되어 형성된 PCB(32)에 결합된다.The slide case 21 is coupled to the PCB 32 formed by coupling or connecting one or more of a sliding sensor (not shown) or the PCB.

사용자가 누름부(80)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것에 따라 누름부(80)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부(90)의 슬라이드판(24)이 슬라이딩 동작되고,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는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되어 있는 피검체(28)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하여 슬라이딩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이 해제되면 누름부 지지판(19)과 슬라이드 케이스(21)에 각각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5,37)에서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슬라이드판(24)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As the user slides the pressing unit 80, the slide plate 24 of the slide unit 90 coupled with the pressing unit 80 slides, and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moves the slide plate 24. ) Detects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ubject 28 coupled to the sliding signal and transmits the sliding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motion of the slide plate 24, the slide plate 24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return member (35, 37)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support plate 19 and the slide case 21, respectively It will return to this original position.

위에서는 자성 리턴부재(35,37)가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와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되는 개구부(36)에 결합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자성 리턴부재(35,37)가 결합되는 위치는 누름부 지지판(19)과 슬라이드 케이스(21)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로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구성요소를 삭제할 수도 있고,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부(90)가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자성리턴부재(35,37), PCB(32) 및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로 구성되는 경우,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에 자성 리턴부재(35)가 결합되고, PCB(32)에 자성 리턴부재(37)가 결합되어 리턴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부(80)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누름부 지지판(19)의 하부에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5)와 PCB(32)에 결합된 자성 리턴부재(37)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었던 누름부(8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ar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19 and the opening 36 formed in the slide case 21, but the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sing support plate 19 and the slide case 21, it can be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slide unit 9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but may be deleted or add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when the slide unit 90 is composed of magnetic return members 35 and 37, a PCB 32, and a sliding sensor (not shown) that perform a return function, the magnetic part of the lower part supporting plate 19 is magnetic. The return member 35 is coupled and the magnetic return member 37 is coupled to the PCB 32 to perform a return func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80, between the magnetic return member 35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support plate 19 and the magnetic return member 37 coupled to the PCB 32. The pressing portion 80 which has been slid by the generated attrac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다른 일례로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스프링 리턴부재(42)를 통해 리턴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스프링 리턴부재(42)를 통해 리턴기능이 수행되는 슬라이드부(9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As another example, a return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pring return member 42 as shown in FIGS. 6 to 7. 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lide unit 90, the return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pring return member 42.

슬라이드 케이스판(38)이 슬라이드 케이스(40)에 형성되는 개구부 아래로 결합된다. 슬라이드 케이스(40)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상하측 넓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슬라이드 케이스(40)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하부에는 슬라이드 케이스판(38)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슬라이드 케이스판(38)보다 좁게 형성된다. 슬라이드 케이스(38)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상부가 슬라이드 케이스판(38)보다 좁게 형성되어 슬라이드 케이스판(38)이 슬라이드 케이스(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슬라이드 케이스판(38)과 슬라이드 케이스(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lide case plate 38 is coupled under the opening formed in the slide case 40. The openings formed in the slide case 40 have different upper and lower widths. The opening formed in the slide case 40 is formed wider than the slide case plate 38 in the lower portion, and narrower than the slide case plate 38 in the upper portion. An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slide case 38 is formed narrower than the slide case plate 38 to prevent the slide case plate 38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e case 40. The slide case plate 38 and the slide case 40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integrally formed.

슬라이드 케이스판(38) 및 슬라이드 케이스(40)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ortion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lide case plate 38 and the slide case 40 are located therebetween. .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 리턴부재(42)가 슬라이드 케이스(40)에 결합된다. A spring return member 42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is coupled to the slide case 40.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 리턴부재(42)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 케이스(40)가 슬라이드 지지판(43)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지지판(43)에 형성된 돌기(44)는 슬라이드 케이스(40)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리턴부재(42)를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경우, 슬라이드 지지판(43)에 형성되는 돌기(44)에 스프링 리턴부재(42)가 고정되므로 스프링 리턴부재(42)는 슬라이드판(24)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고,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슬라이드판(24)은 스프링 리턴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The slide case 40 to which the spring return member 42 which performs the return function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slide support plate 43. The protrusion 44 formed on the slide support plate 43 performs a function of fixing the spring return member 42 coupled to the slide case 40. When the user slides the slide plate 24, the spring return member 42 is fixed to the protrusion 44 formed on the slide support plate 43, so that the spring return member 42 slides the slide plate 24. In this case, the slide plate 2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return member 42 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force of the slide plate 24 without sliding.

슬라이드 케이스(40)에 형성되는 결합수단(41)이 PCB(32)에 결합된다.Coupling means 41 formed in the slide case 40 is coupled to the PCB (32).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슬라이드부(90)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슬라이드부(9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90)의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리턴부재는 위에서 설명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슬라이드부(90)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슬라이드부(9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탄성 리턴부재라면 무엇이든 리턴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Components of the slide unit 90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slide unit 90 having various structures may be formed using various components.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return member for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of the slide unit 9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force for sliding the slide unit 90, the slide unit 90 to the original position Any returning elastic member can be used as the return member.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와 같이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80)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로 구성된다.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with the pressing unit 80 capable of a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like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consists of the slide part 90.

아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ide unit 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는 중앙 누름 버튼부(1), 중심축 유닛(3), 누름 버튼부(6), 도전성 고무부재(45), 스프링부재(46),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1FPCB(13) 및 누름부 지지판(19)을 포함한다.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enter push button unit 1, a central shaft unit 3, a push button unit 6, a conductive rubber member 45, and a spring. The member 46 includes a first press sensor 11, a first press sensor 12, a first FPCB 13, and a press support plate 19.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의 특징, 중심축 유닛(3) 및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의 특징,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결합되는 방법 등은 제1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Features of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features of the central axis unit 3 and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Since the method and the like coupled to the opening 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도전성 고무부재(45)가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도전성 고무부재(45)는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누름 버튼부(11)에 결합되는 재질은 도전성 고무로 한정되지 않고,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도전성 재질이라면 무엇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전성 고무부재(45)와 누름 버튼부(6)는 이중 사출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되는 도전성 고무부재(45)의 하부에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고무부재(45)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미도시)는 누름이 가능한 방향에만 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전성 고무부재(45)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미도시)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ush sensor 11 to generate a push signal. The material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11 is not limited to the conductive rubber,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contacting the first push sensor 11 and generating a push signal.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and the push button part 6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double injection molding process,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6 so as to smoothly make contact with the first push sensor 11. The protrusions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may be separately formed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can be pressed or may be integrally formed. Projections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에 결합된다. 누름 버튼부(6) 및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의 특징,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에 결합되는 방법은 위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method in which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is described above. Since it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누름 버튼부(6)와 결합된 중심축 유닛(3)에 스프링부재(46)가 결합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스프링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버튼부(6) 및 도전성 고무부재(45)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스프링부재(46)와 도전성 고무부재(45)의 재질 또는 형상에 따라 누름부(80)의 누름 동작시 클릭감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누름부(80)의 누름 동작시 발생되는 클릭감에 의해 사용자는 누름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The spring member 46 is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unit 3 coupled with the push button portion 6.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force is released,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46. According to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spring member 46 and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a feeling of click may be generated when the pressing part 80 is press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lick feeling genera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80.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1FPCB(13)가 결합된다.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1FPCB(13) 각각의 특징과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first FPCB 13 are combined. Since the method of combining the features of each of the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first FPCB 13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for convenience.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는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may be coupled to a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1FPCB(13), 누름부 지지판(19) 각각에 형성되는 개구부(14,20)에 결합된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s 14 and 20 formed in each of the first FPCB 13 and the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19.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lide case 21 is located therebetween.

누름부(90)는 다단입력을 위한 제2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및 제2FPCB(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pressing unit 9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essing sensor (not shown), a second central pressing sensor (not shown), and a second FPCB (not shown) for the multi-stage inpu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슬라이드부(9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슬라이드부(90)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lide unit 9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one of the various slide units 9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9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제1,2실시예와 같이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80)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로 구분된다.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ressing unit 80 capable of a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and a slide unit 90 capable of a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o.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는 중앙 누름 버튼부(1), 중심축 유닛(3), 누름 버튼부(6), 도전성 부재(미도시), 비도전성 부재(51),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1FPCB(13) 및 누름부 지지판(19)을 포함한다. 9,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push button unit 1, a central axis unit 3, a push button unit 6, A conductive member (not shown), a non-conductive member 51, a first press sensor 11, a first central press sensor 12, a first FPCB 13, and a press support plate 19 are included.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의 특징, 중심축 유닛(3) 및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의 특징,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1~2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Features of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features of the central axis unit 3 and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Since the method of coupling to the opening 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for convenience.

도전성 부재(미도시)가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 도전성 부재(미도시)가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누름 버튼부(6)와 도전성 부재(미도시)는 누름 버튼부(6)와 도전성 부재(미도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누름 버튼부(6)가 도전성 재질일 경우, 도전성 부재(미도시)가 결합되지 않고 누름 버튼부(6)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부재(미도시)의 하부에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원활한 접촉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conductive memb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a conductive member (not shown)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6 contacts the first push detection sensor 11 to generate a push signal, and the user pushes the push button part. When the force for pressing (6) is released,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conductive member (not shown)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conductive member (not shown) itself. . When the push button part 6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formed by the push button part 6 alone. A protrusion for smooth contact with the first push sensor 11 may be formed under the conductive member (not shown).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에 결합된다. 누름 버튼부(6) 및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의 특징,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1~2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Features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method in which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is the first Since the description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중심축 유닛(3)이 비도전성 부재(51)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이 비도전성 부재(51)에 형성되는 개구부(52)에 결합된다. 비도전성 부재(51)에 형성되는 개구부(52)는 도 9와 같이 중심축 유닛(3)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비도전성 부재(51)에 의해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 도전성 부재(미도시)와 제1누름 감지 센서(11) 또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비도전성 부재(51)는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 도전성 부재(미도시)가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비도전성 부재(51)에 의해 도전성 부재(미도시)가 다른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접촉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 방향 위치의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정확하게 접촉하게 된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nonconductive member 51.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52 formed in the nonconductive member 51. The opening 52 formed in the non-conductive member 51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axis unit 3 as shown in FIG. 9, and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52. It may be formed to. When the push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 conductive member (not shown)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6 and the first press sensor 11 or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are contacted by the non-conductive member 51. Is prevented. Howe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non-conductive member 51 helps the conductive member (not shown)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6 to accurately contact the first push sensor 11. Perform the fun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first non-conductive member 51 does not contact the other first press detection sensor 11 with the non-conductive member 51, and the first press of the user's desired input direction position is performe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tection sensor 11.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1FPCB(13) 및 누름부 지지판(19) 각각에 형성되는 개구부(14,20)에 결합된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s 14 and 20 formed in each of the first FPCB 13 and the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19.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lide case 21 is located therebetween.

누름부(80)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다단입력을 위한 제2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및 제2FPCB(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ing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sh detection sensor (not shown), a second central push detection sensor (not shown), and a second FPCB (not shown) for multi-stage input as described above. .

또한, 슬라이드부(90)는 제1~2실시예에서 상술한 다양한 구성의 슬라이드부(90)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unit 90 may be one of the slide unit 90 of various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제1~3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와 같이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80)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로 구성된다.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pressing unit 80 and the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capable of the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It is composed of a slide unit 90 capable of this.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과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nd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ide unit 9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는 중앙 누름 버튼부(1), 누름 버튼부(3), 도전성 부재(53),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1FPCB(13) 및 누름부 지지판(19)이 포함된다.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push button unit 1, a push button unit 3, a conductive member 53, and a first push detection sensor ( 11), the first central push sensor 12, the first FPCB 13 and the pressing support plate 19 is included.

도전성 부재(5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도전성 부재(53)와 누름 버튼부(6)는 이중 사출 제조공법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을 누르는 경우, 도전성 부재(53)가 구부러져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접촉된다. 또한,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도전성 부재(53)와 누름 버튼부(6) 자체의 탄성력으로 누름 버튼부(6)와 도전성 부재(53)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The conductive member 5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6. The conductive member 53 and the push button part 6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or the like,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conductive member 53 is bent to contact the first push sensor 11. 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conductive member 53 are in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ductive member 53 and the push button portion 6 itself. Go back to.

중앙 누름 버튼부(1)가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도 10과 같이 돌기(2)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 누름 버튼부(1)가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7) 아래로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가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의 아래로 결합되는 경우, 중앙 누름 버튼부(1)에 형성되는 돌기(2)에 의해 중앙 누름 버튼부(1)가 누름 버튼부(6)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As shown in FIG. 10, the central push button part 1 having the protrusion 2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When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formed by the projection 2 formed in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 Is prevented from leaving the push button part 6.

누름 버튼부(6)에 누름 오류 방지부(5)가 형성된다. 누름 오류 방지부(5)는 누름부(80)와 슬라이드부(9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누름부(80)의 의도치 않는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입력오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ush error prevention part 5 is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5 performs a function of combining the pressing unit 80 and the slide unit 90, and prevents an inadvertent rotation and separation of the pressing unit 80 to prevent an input error. do.

누름 버튼부(6)와 비도전성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은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The push button part 6 and a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combined.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1FPCB(13)가 결합된다.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1FPCB(13) 각각의 특징 및 결합방법은 제1~3실시예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first FPCB 13 are combined. Features and coupling methods of each of the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first FPCB 13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1FPCB(13)와 누름부 지지판(19)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14,20)에 결합된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coupled to the openings 14 and 20 formed in the 1st FPCB 13 and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respectively.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6)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The press error prevention part 6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lide case 21 may be located therebetween.

누름부(80)는 상술한 예들에서와 같이 다단입력의 수행을 위해 제2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및 제2FPCB(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essing sensor (not shown), a second central pressing sensor (not shown), and a second FPCB (not shown) for performing the multi-stage input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have.

또한, 슬라이드부(90)는 제1~3실시예에서 상술한 다양한 슬라이드부(90)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e unit 90 may be composed of one of the various slide unit 90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누름부 분해도이다.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제1~4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와 같이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한 누름부(80)와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부(90)로 구성된다.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with the pressing unit 80 capable of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s like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t is composed of a slide unit 90 capable of this.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과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nd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ide unit 9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는 중앙 누름 버튼부(1), 중심축 유닛(3), 누름 버튼부(6), 링 돔(RING DOME)(56),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1FPCB(13) 및 누름부 지지판(19)을 포함한다.The pressing unit 80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enter push button unit 1, the central axis unit 3, the push button unit 6, the ring dome (RING DOME) 56), the first push detection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detection sensor 12, the first FPCB 13 and the pressing support plate 19.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부(1)의 형상,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의 형상,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개구부(4)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1~4실시예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shape of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the shape of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Since the method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의 특징, 누름 버튼부(6) 및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의 특징,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되는 개구부(7)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1~4실시예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Features of the central axis unit 3, features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openings in which the central axis unit 3 is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 7)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 중심축 유닛(3)을 둘러싸도록 링 돔(56)이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이 링 돔(56)에 형성되는 개구부(57)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링 돔(56)이 구부러져 제1누름 감지 센서(11)에 접촉되고, 링 돔(56)과 제1누름 감지 센서(11)의 접촉에 의해 누름 신호가 발생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링 돔(56)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버튼부(6)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부(6)를 누르는 경우, 링 돔(56)이 구부러져 클릭감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링 돔(56)이 구부러지면서 발생하는 클릭감에 의해 누름 입력이 수행되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The ring dome 56 is coupled to surround the central axis unit 3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57 formed in the ring dome 56.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ring dome 56 is bent to contact the first press sensor 11, and the touch is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ring dome 56 and the first press sensor 11.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push button portion 6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ing dome 56.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part 6, the ring dome 56 is bent and a click feeling is generated.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push input has been performed by the click feeling generated when the ring dome 56 is bent.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는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에 결합될수 있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은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may be coupled to a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1FPCB(13)가 결합된다.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1FPCB(13)의 특징과 결합방법은 제1~4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first FPCB 13 are combined. Features and coupling methods of the first push sensor 1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first FPCB 1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1FPCB(13)와 누름부 지지판(19)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14,20)에 결합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s 14 and 20 formed in the first FPCB 13 and the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19, respectively.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되는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되는 개구부(25)에 결합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lide case 21 is located therebetween.

누름부(80)에는 위에서 상술한 예들과 같이 다단입력을 위한 제2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미도시) 및 제2FPCB(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sh sensor (not shown), a second central push sensor (not shown), and a second FPCB (not shown) for multi-stage input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또한, 슬라이드부(90)는 제1~4실시예에서 상술한 다양한 구성의 슬라이드부(90)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unit 90 may be formed as one of the slide unit 90 of various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누름부(80)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과 슬라이드부(90)의 구성요소, 결합방법 및 결합순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순서로 결합할 수 있다.Components of the pressing unit 80 and the coupling method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nents, the coupling method and the coupling order of the slide unit 90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Do not.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as requi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be combined in various known methods and orders.

<변형 실시예>Modified Exampl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변형 실시예이다.12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의 구성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삭제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Components of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but may be formed by further including or deleting various component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도 12와 같이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 고정 가이드(65), 이동 가이드(66), 제1결합수단(62), 제2결합수단(67)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on part 61, the fixing guide 65, the movement guide 66,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are provided. 62, the second coupling means 67 may be further included.

아래에서는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 고정 가이드(65), 이동 가이드(66), 제1결합수단(62), 제2결합수단(67)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다방향 입력장치(100)의 형성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Below,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on part 61, a fixing guide 65, a movement guide 66, a first coupling means 62, and a second coupling means 67 ( The formation method of 100) is demonstrated in detail.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가 중심축(3)에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는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개구부(4)를 통해 결합된다.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와 중심축 유닛(3)은 이중 사출 방식 등의 소정의 제조공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는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개구부(4)에 결합되는 중앙 누름 버튼부(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on portion 61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3). 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ng portion 61 is coupled through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on part 61 and the central axis unit 3 may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manufacturing method such as a double injection method,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mbined. 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ng portion 61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from being separated. 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on part 61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개구부(4)에 중앙 누름 버튼부(1)가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개구부(4)에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와 중앙 누름 버튼부(1)가 결합되어 중앙 누름부가 형성된다. 중앙 누름부는 중앙 누름 버튼 이탈 방지부(61)의 형성이 생략되고,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개구부(4)에 중앙 누름 버튼부(1)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 누름부는 제1FPCB(13)에 형성되는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에 접촉되어 중앙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enter push button portion 1 is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center push button release prevention part 61 and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are combined with the opening part 4 formed in the center shaft unit 3, and the center push part is formed. The center push part may be omitted from the formation of the center push button detachment preventing part 61, and the center push button part 1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4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The center pressing portion contacts the first center pressing detection sensor 12 formed in the first FPCB 13 to generate a center pressing signal.

도전성 고무부재(45)가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된다. 도전성 고무부재(45)의 특징, 누름 버튼부(6)의 특징 및 도전성 고무부재(45)가 누름 버튼부(6)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The features of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the features of the push button portion 6, and the method of coupling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45 to the push button portion 6 have bee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에 결합된다. 중심축 유닛(3)의 특징,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의 특징, 중심축 유닛(3)이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The features of the central axis unit 3, the features of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and the method in which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art 6 is the second.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누름 버튼부(6)에 형성된 개구부(7)에 결합된 중심축 유닛(3)에 스프링부재(46)가 결합된다. 스프링부재(46)의 특징 및 중심축 유닛(3)에 스프링부재(46)가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ring member 46 is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unit 3 coupled to the opening 7 formed in the push button portion 6. Features of the spring member 46 and how the spring member 46 is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unit 3 have bee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제1누름 감지 센서(11)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가 형성된 제1FPCB(13)에 결합된다. 누름 오류 방지부(5)의 특징, 제1누름 감지 센서(11)의 특징,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의 특징, 제1FPCB(13)의 특징 및 제1누름 감지 센서(1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제1FPCB(13)와 누름 오류 방지부(5)가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first FPCB 13 in which the first pressing sensor 11 and the first central pressing sensor 12 are formed. Features of the press error prevention unit 5, features of the first press sensor 11, features of the first central press sensor 12, features of the first FPCB 13 and press 1 sensor 11, Since the method of combining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the first FPCB 13, and the press error prevention unit 5 has bee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중심축 유닛(3)이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의 특징 및 중심축(3)이 비도전성 부재(미도시)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도전성 부재(미도시)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The central axis unit 3 can be coupled to a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The features of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and the way in which the central axis 3 is coupled to the non-conductive member (not shown) have bee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Non-conductive members (not shown)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e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중심축 유닛(3)에 형성된 누름 오류 방지부(5)가 누름부 지지판(19)에 형성된 개구부(20)에 결합된다. 누름 부지지판(19)의 특징 및 누름 오류 방지부(5)가 누름부 지지판(19)에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unit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0 formed in the pressing part support plate 19. Since the feature of the pressing support plate 19 and the method of coupling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to the pressing support plate 19 have bee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슬라이드 케이스(2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3)에 형성된 누름 오류 방지부(5)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된 개구부(25)에 결합된다. 중심축(3)에 형성된 누름 오류 방지부(5)는 제1결합수단(62)을 통해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된 개구부(25)에 결합된다. 제1결합수단(62)은 나사, 너트, 볼트, 억지끼움, 후크체결, 융착 등과 같이 누름오류 방지부(5)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된 개구부(25)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사용가능하다.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er axis | shaft 3 so that the slide case 21 is located in between is couple | bonded with the opening part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As shown in FIG.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formed in the central axis 3 is coupled to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through the first coupling means 62. The first coupling means 62 is anything that can couple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part 5 and the opening 25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uch as screws, nuts, bolts, interference fit, hook fastening, fusion, etc. Can be used.

슬라이드판(24)의 하부에 피검체(28)가 결합된다. 슬라이드판(24)의 특징, 피검체(28)의 특징 및 슬라이드판(24)에 피검체(28)가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ubject 2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 plate 24. The features of the slide plate 24, the features of the subject 28, and the method of coupling the subject 28 to the slide plate 24 have bee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실리콘 리턴부재(29)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리턴부재 고정판(49)이 슬라이드판(24)에 결합된다. 제1리턴부재 고정판(49)에 형성된 돌기(50)가 실리콘 리턴부재(29)에 형성된 개구부(48)와 슬라이드판(24)에 형성된 개구부(47)에 결합되어 실리콘 리턴부재(29)가 슬라이드판(24)에 고정된다.The first return member fixing plate 49 is coupled to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performing the return function is positioned therebetween. The projection 50 formed on the first return member fixing plate 49 is coupled to the opening 48 formed in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and the opening 47 formed in the slide plate 24 so that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slides. It is fixed to the plate 24.

제2리턴부재 고정판(63)에 형성된 돌기(64)가 실리콘 리턴부재(29)에 형성된 개구부(68)에 결합된다. 실리콘 리턴부재(29)가 제2리턴부재 고정판(63)에 결합되는 경우, 실리콘 리턴부재(29)를 미리 신장시켜 결합할 수도 있다. 실리콘 리턴부재(29)가 미리 신장되어 제2리턴부재 고정판(63)에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슬라이드판(24)은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제2리턴부재 고정판(63)은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따라 또는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The projection 64 formed on the second return member fixing plate 63 is coupled to the opening 68 formed on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When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is coupled to the second return member fixing plate 63, the silicon return member 29 may be elongated and coupled in advance. Since the silicone return member 29 is pre-expanded and coupled to the second return member fixing plate 63, when the user releases the sliding force of the slide plate 24, the slide plate 24 is more accurate and faster than the original. Go back to the location. The second return member fixing plate 63 may be omitted intentionally or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고정가이드(65) 및 이동 가이드(66)가 PCB(32)에 결합된다. 이동 가이드(66)는 고정 가이드(65)의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드판(24)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경우, 의도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회전 및 이탈을 방지되어 입력오류가 방지된다.The fixing guide 65 and the movement guide 66 are coupled to the PCB 32. Since the movement guide 66 is movable in the range of the fixing guide 65, when the user slides the slide plate 24, an input error is prevented by preventing the rotation and separation that may occur inadvertently.

PCB(32)에 제어부(미도시) 또는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가 결합된다. PCB(32)의 특징, 제어부(미도시)의 특징,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의 특징 및PCB(32)에 제어부(미도시) 또는 슬라이딩 감지 센서(미도시)가 결합되는 방법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control unit (not shown) or a sliding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PCB 32. The features of the PCB 32, the features of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features of the sliding sensor (not shown), and the method of coupling the controller (not shown) or the sliding sensors (not shown) to the PCB 32 may include a second method.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슬라이드 케이스(21)는 제2결합수단(67)을 통해 PCB(32)와 결합된다. PCB(32)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된 결합수단(23)과 제2결합수단(67)이 결합된다.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된 결합수단(23)과 PCB(32)가 제2결합수단(67)을 통해 결합되므로 슬라이드부(90)가 형성된다. 제2결합수단(67)은 나사, 볼트, 너트, 융착, 억지끼움 등과 같이 슬라이드 케이스(21)에 형성된 결합수단(23)과 PCB(32)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은 무엇이든 사용가능하다. The slide case 21 is coupled to the PCB 32 through the second coupling means 67. The coupling means 23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67 formed on the slide case 21 are coupled so that the PCB 32 is positioned therebetween. Since the coupling means 23 and the PCB 32 formed on the slide case 21 are coupl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means 67, the slide part 90 is formed. The second coupling means 67 may use any coupling means capable of coupling the PCB 32 and the coupling means 23 formed on the slide case 21 such as screws, bolts, nuts, fusions, interference fits, and the like. .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다단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제2누름 감지 센서,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 및 제2FPCB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sh sensor, a second central push sensor, and a second FPCB for performing the multi-stage input described above.

상술한 본 발명의 제1~5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서는 중앙 누름 버튼부(1)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가 구비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보다 단순한 기능의 구성을 위해 중앙 누름 버튼부(1),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12) 및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17)가 구비되지 않고 누름부(80)를 설계하는 것도 당업자라면 쉽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irst to fifth and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center push button unit 1, the first center push sensor 12, and the second center push sensor 17 are described is provide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press unit 80 without the center push button unit 1, the first center press sensor 12, and the second center press sensor 17 to provide a simpler function. It will be easy to do.

위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연속입력조작과 조합입력조작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더 많은 문자나 데이터 입력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input operation and the combination input operation is possible, so that more characters or data input is possible.

또한, 위에서 상술한 의도치 않은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여 입력오류를 방지한다는 의미는 이탈이나 회전을 하지 않아 입력오류가 방지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오류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intention to prevent the input error by preventing the inadvertent departure and rotation does not mean that the input error is not prevented by the departure or rotation, but does not go beyond the range that the input error does not occur. It means to prevent deviation and rotation to the extent.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13A to 13C illustrate a device equipped with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는 종래의 입력장치에서는 실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어 도 13a 내지 도 13c와 같이 다기능 컨트롤러, 핸드폰, 휴대용 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입력장치는 위에서 상술한 일례 외에도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가 필요한 장비나 기기라면 어떠한 것에도 사용될 수 있다.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variety of data that can not be realized in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can be used in a multi-function controller, a mobile phone, a portable computer as shown in Figs. 13a to 13c.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ny device or device that require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data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Claims (25)

다방향 누름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누름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며, 상기 누름 동작에 대응되는 누름 신호를 검출하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와 결합되어 다방향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신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누름부의 누름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하고, 상기 누름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A pressing unit capable of a multi-directional pressing operation, preventing an error that may occu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nd detecting a pres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A slide unit coupled to the pressing unit to perform a multi-directional sliding operation and detecting a slid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control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and a slid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e unit, and in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and data corresponding 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사용자로부터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누름 버튼부;
상기 누름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는 누름 오류 방지부;
상기 누름 동작시 발생하는 누름 신호를 검출하는 제1누름 감지 센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에서 검출한 누름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1FPCB; 및
상기 누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FPCB를 지지해주는 누름부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A push button unit which performs a push operation from a user;
A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an error that may occu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A first push sensor for detecting a push signal generated during the push operation;
A first FPCB transmitting a push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push detection sensor to a controller; And
And a pressing part supporting plate supporting the first FPCB so that the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부의 오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입력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중심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central axis unit which prevents mis-rotation and detachment of the pressing unit so that an input error does not occu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중앙 누름 버튼부와 제1중앙 누름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중앙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center push portion having a center push button portion and a first center push detection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 동작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가 발생되게하는 탄성력을 가진 러버 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rubber dome unit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ush detection sensor to generate a push signal during the push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돔 유닛은,
상기 누름부의 누름이 가능한 방향의 부위에만 따로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ubber dome unit,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eparately or integrally formed only in the por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 동작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가 발생되게하는 탄성을 가진 도전성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부재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rubber member or a spring member having elasticity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sensor and generates a pressing signal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무부재는,
상기 누름 동작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와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facilitate the contact with the first pressing senso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무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는,
상기 누름부의 누름 가능한 방향의 부위에만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rubber member,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eparately or formed integrally only in the portion of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비도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non-conductive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an error that may occur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 버튼부와 결합되고, 누름 동작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며,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누름 버튼부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도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conductive member coupled to the push button part and generating a push signal by contacting the first push sensor during a push operation, and returning the push button part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elastic forc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 동작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에 접촉되어 누름 신호를 발생시키고, 탄성력 또는 클릭감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링 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ring dome contacting the first push detection sensor to generate a push signal and generating at least one of an elastic force and a click feeling during the push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다단 입력을 위한 제2누름 감지 센서, 제2중앙 누름 감지 센서 및 제2F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portion,
And a second push sensor, a second central push sensor, and a second FPCB for multi-stage inpu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누름 감지 센서는,
상기 누름 동작시 누름 신호가 발생되는 부위에만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push detection sensor,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eparately or formed integrally only on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signal is genera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제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오류 방지부는,
상기 누름 버튼 또는 상기 중심축 유닛 중 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error prevention unit,
Is formed in one of the push button or the central axis unit,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upling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slid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누름부의 누름 가능한 방향을 표시해주는 누름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ush button,
And a push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ushable direction of the push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표시부는,
상기 누름 버튼부의 상부에 오목한 형상, 볼록한 형상, 그림, 색깔 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코팅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push display unit,
And a coating film having a concave shape, a convex shape, a picture, a color, or an anti-slip function on the push button pa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표시부는,
상기 누름 버튼부에 전자 회로와 표시부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의 누름 가능한 방향의 개수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개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push display unit,
The push button unit is formed of an electronic circuit and a display unit, th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displaye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number of the pushable direction of the push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 감지 센서는,
상기 누름 동작시 누름 신호가 발생되는 부위에만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ush detection sensor,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eparately or formed integrally only on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signal is generat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FPCB는,
뒷면에 상기 다단입력을 위한 접촉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PCB,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for the multi-stage input is formed on the 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딩 동작 범위를 지정하고, 슬라이딩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케이스;
상기 슬라이드판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동작되는 피검체;
상기 피검체의 슬라이딩 동작을 검출하는 슬라이딩 감지 센서; 및
상기 슬라이드부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는 리턴기능을 수행하는 리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unit,
A slide case for designating a sliding operation range of the slide unit and preventing a devi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A test subject coupled to the slide plate to be slid;
A sliding sensor for detecting a sliding motion of the subject; And
And a return member for performing a return function for returning the slide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리턴부재를 고정시키는 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The slide unit,
And a PCB coupled to the slide case to fix the return memb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은,
상기 슬라이딩 감지 센서 및 상기 제어부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PCB substrate,
And at least one of the sliding detecti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케이스는,
상기 리턴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가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The slide case,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for fixing the return member is formed at the bottom.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는,
실리콘 리턴부재, 자성 리턴부재, 스프링 리턴부재 또는 탄성 리턴부재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The return member,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one of a silicon return member, a magnetic return member, a spring return member or an elastic return member.
KR1020100024413A 2010-03-18 2010-03-18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KR201101052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13A KR20110105262A (en) 2010-03-18 2010-03-18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13A KR20110105262A (en) 2010-03-18 2010-03-18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262A true KR20110105262A (en) 2011-09-26

Family

ID=4495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413A KR20110105262A (en) 2010-03-18 2010-03-18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26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814A (en)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20130034799A (en)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101452743B1 (en) * 2013-01-17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Mobi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electric conductive rub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814A (en)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20130034799A (en)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101452743B1 (en) * 2013-01-17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Mobi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electric conductive rub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3233B1 (en) Input device
US8022944B2 (en) Inputt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7978175B2 (en) Magnetic re-centering mechanism for a capacitive input device
KR20120049630A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JP4605474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N105049570A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spin button
JP4660697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10105262A (en) Multi directional input device
US20110134025A1 (en) Input device
KR101156937B1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JP4729991B2 (en) Electronics
JP4276493B2 (en) Input device
JP2001255996A (en) Input device and detection device
KR101694281B1 (en)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100945439B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4937994B2 (en)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US20090309829A1 (en) Simple multidirectional key for cursor control
CN113921321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with switch and multi-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switch
KR100857173B1 (en) Rotational inputting apparatus
KR20130034799A (en) Multi direction input device
KR100857168B1 (en) Rotational inputting apparatus
JP2011237847A (en) Input device
WO2015104764A1 (en) Input apparatus and input method of input apparatus
JP2004055188A (en) Key switch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