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054A -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 Google Patents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054A
KR20110105054A KR1020100024084A KR20100024084A KR20110105054A KR 20110105054 A KR20110105054 A KR 20110105054A KR 1020100024084 A KR1020100024084 A KR 1020100024084A KR 20100024084 A KR20100024084 A KR 20100024084A KR 20110105054 A KR20110105054 A KR 2011010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pressure
furnace
plate
doghou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헌
김동원
김병철
이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2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054A/ko
Publication of KR2011010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05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100/00Exhaus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전로에서 발생된 배가스를 외부와 격리하기 위해 전로의 노구 상부에 설치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가 소개된다. 이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는 전로(400)의 배가스가 배출되는 후드(510)와 전로(400)의 노구(410) 상부에 사이에 설치되는 도그하우징(100)과, 노구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압력조절판(220)을 구비하여 도그하우징(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유닛(200)과, 전로(400)가 설치된 바닥부(520)와 상기 도그하우징(10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게이트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DOG HOUSE DEVICE OF CONVERTER}
본 발명은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에 연결되어 전로 상부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하도록 밀폐시키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로 정련과정의 경우, 출선된 용선이 탈황 및 탈린 등의 용선예비 처리 단계를 거쳐 전로에 장입되며, 전로에 장입된 용선은 산소랜스를 통해 취입된 산소와 정련을 위해 투입되는 생석회, 백운석 등에 의한 산화반응에 의해 실리콘, 카본, 망간, 인 등이 제거되면서 용강으로 변화된다.
이때, 전로에서는 높은 열과 많은 량의 분진 및 고농도의 일산화탄소 가스가 함유된 배가스가 발생되는 바, 이 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강작업 공정에서는 전로(10)에서 용강을 정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가스를 후드(30)와 덕트(40)를 통해 팬(70)으로 강제 유인시켜 굴뚝(90)으로 방산하거나, 가스저장 탱크(80)로 보내서 열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배가스 제어장치(50)는 전로에서 조업중 발생되는 노내압의 변동과 배가스 발생량의 변화를 제어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의 노구 상부에는 후드(30)가 설치되고, 이 후드(30)에는 전로 노구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반 밀폐구조의 도그하우스(20)가 설치된다. 도그하우스(20)는 전로에서 발생된 분진, 가스 및 화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노구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노내압의 변동과 배가스 발생량의 변화를 제어하는 배가스 제어장치(50)가 설비구조상 전로 노구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압력과 유량의 변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배가스 제어장치가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워 제어기술상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특히, 노구 압력이 음압일 경우 외부공기가 급속히 노구내로 흡입되고, 반대로 노구 압력이 양압일 경우 노구측의 가스 및 분진이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바, 결국, 분진유출에 의한 환경오염, 유독가스 유출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 외부공기의 유입에 의한 노구에서의 2차 연소 촉진으로 초래되는 설비부하 과중, 배가스중 가연성가스의 열량 저하, 그리고 압력 변동으로 발생된 진동에 의한 도그하우스의 변형 및 파손 등이 유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도그하우스의 실링게이트 부분이 조업중 발생된 진동으로 인해 탈락되거나, 해당 조립 부분에 변형이 발생되어 밀폐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로 조업시 발생되는 노구 압력의 미세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로에서 발생된 배가스를 외부와 격리하기 위해 전로의 노구 상부에 설치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로서, 도그하우징, 압력조절유닛, 및 실링게이트유닛을 포함하고, 도그하우징은 전로의 배가스가 배출되는 후드와 상기 전로의 노구 상부에 사이에 설치되고, 압력조절유닛은 노구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압력조절판을 구비하여 상기 도그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링게이트유닛은 전로가 설치된 바닥부와 상기 도그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도그하우징과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하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압력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도그하우징의 상측에 장착되는 본체와, 가장자리부가 상기 압력케이스에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압력케이스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조절판과, 상기 압력조절판과 압력케이스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부 탄성부재와, 상기 압력조절판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하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하부 탄성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주연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보강링이 구비된 보강 벨로우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압력조절판의 상방향 이동을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상기 압력케이스에 설치되는 상부 스토퍼; 및 상기 압력조절판의 하방향 이동을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하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실링게이트유닛은 상부가 개방되는 제1걸림홈부가 마련되어 상기 도그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클램프와, 상부가 개방되는 제2걸림홈부가 마련되어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2클램프와, 양단부에 상기 제1걸림홈부에 체결되는 제1체결봉과 제2걸림홈부에 체결되는 제2체결봉이 구비되어 절곡 형성되는 실링 플레이트; 일단부가 상기 도그하우징의 측벽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링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제1걸림홈부 및 제2걸림홈부에 충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기밀성 유지를 위해 상기 제1걸림홈부와 제1체결봉 사이의 틈새와 상기 제2걸림홈부 및 제2체결봉 사이의 틈새에 투입되는 모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압력조절유닛을 통해 전로 조업중 발생되는 노구 압력의 미세 변화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유독가스 및 분진의 외부 유출로 인한 환경 오염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외부공기가 도그하우스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에 의한 설비부하를 감소시켜 조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도그하우스의 압력조절유닛이 종래 배가스 제어장치의 보조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가스 제어장치의 동작부하를 경감시키고 도그하우스의 변형 및 파손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실링게이트유닛을 통해 도그하우스의 우수한 유동성 및 밀봉성을 구현함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도그하우스의 변형 및 탈락사고를 예방하고, 설비수명을 향상시켜 제품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도그하우스의 정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의 압력조절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의 압력조절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의 실링게이트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의 실링게이트유닛을 도시한 결합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로 실링게이트유닛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종래 전로 작업공정에서의 배가스설비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로 도그하우스를 도시한 구성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는, 전로 조업시 발생되는 노구 압력의 미세 변화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도그하우스의 밀폐기능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는 도그하우징(100), 압력조절유닛(200), 및 실링게이트유닛(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도그하우징(100)은 전로(400) 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로(400) 측을 향해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하우징 구조로, 전로(400)의 노구(410) 상측에 위치된다. 이 도그하우징(100)은 해당 상부에 후드(510)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해당 측부에 실링을 위한 실링게이트유닛(300)이 장착된다.
특히, 도그하우징(100)에는 전로 노구(410) 측의 반복적인 노구 압력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압력조절유닛(20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그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압력조절유닛(200)은 도그하우징(100)의 상부는 물론, 도그하우징(100)의 측부에도 설치 가능하며, 해당 크기, 수량 등은 노구 압력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제반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압력조절유닛(200)은 후드(510)와 전로(400)의 노구(410)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로, 본체(210), 압력조절판(220), 상부 탄성부재(230), 및 하부 탄성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10)는 하부가 개방되는 압력케이스(212)와, 압력케이스(212)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1)로 구성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211)는 원반 형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이 베이스플레이트(211)에는 후술하는 조절샤프트(270)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공(211b)과, 도그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관통되는 관통공(211a)과, 체결볼트(210b)를 통해 본체(210)에 결합되는 볼트공(211c)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력케이스(212)는 해당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211)가 장착되는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해당 상부에 통기관(212b)이 장착되는 통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통기관(212b)은 하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구조로, 해당 원주면에 공기의 입출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공(212c)이 형성된다. 아울러, 압력케이스(212)의 내부에는 해당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조절판(220)이 마련된다.
압력조절판(220)은 압력케이스(212)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어, 해당 가장자리부가 압력케이스(212)의 내경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압력조절판(220)이 노구 압력의 변화에 따라 압력케이스(21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면, 노구(410)측 공간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므로, 전로 조업시 발생되는 노구 압력의 미세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조절판(220)의 중앙부는 조절샤프트(270)가 관통되고 압력조절판(220)의 상부 및 하부는 상부 탄성부재(230) 및 하부 탄성부재(260)에 의해 지지되는 바, 노구 압력의 변화에 의해 압력조절판(220)이 조절샤프트(270)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 하부 탄성부재(260)가 신장되면서 상부 탄성부재(230)가 수축되고, 노구 압력의 변화에 의해 압력조절판(220)이 조절샤프트(270)를 따라 하강하게 되면, 하부 탄성부재(260)가 수축되면서 상부 탄성부재(230)는 신장된다.
상부 탄성부재(230) 및 하부 탄성부재(26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스프링(231) 및 이 탄성스프링(231)을 감싸는 탄성벨로우즈(2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탄성부재(230)의 하단은 압력조절판(220)의 상면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부 탄성부재(230)의 상단은 조절샤프트(270)에 나사결합된 조절너트(210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조절너트(210a)를 회전시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탄성부재(230)는 조절너트(210a)의 가압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탄성부재(260)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면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하부 탄성부재(260)의 상단은 조절샤프트(270)에 나사결합된 조절너트(210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조절너트(210a)를 회전시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탄성부재(260)는 조절너트(210a)의 가압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특히, 압력케이스(212)의 내부에는 하부 탄성부재(260)를 감싸는 보강 벨로우즈(2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강 벨로우즈(240)는 하부 탄성부재(26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주연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보강링(241)이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게이트유닛(300)은 전로(400)가 설치된 바닥부(520)와 도그하우징(100) 간의 사이 공간을 실링하는 역할과 함께, 바닥부(520)로부터 도그하우징(100)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한다.
이를 위해, 실링게이트유닛(300)은 제1클램프(310), 제2클램프(320), 실링플레이트(330), 승강실린더(340), 및 실링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클램프(310) 및 제2클램프(320)는 상부가 개방되는 "U"자 형태의 탄성부재로, 모래와 같은 실링부재(350)가 충진되는 제1걸림홈부(311) 및 제2걸림홈부(321)를 각각 갖는 바, 보다 바람직하게 제1클램프(310) 및 제2클램프(320)는 굴곡부(312)를 갖는 호리병 형태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제1체결봉(331) 및 제2체결봉(332)의 삽입시 굴곡부(312)를 통해 일정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1클램프(310)는 도그하우징(100)의 측벽에서 해당 폭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제2클램프(320)는 바닥부(520)에 설치된다. 이때, 제1클램프(310)가 설치되는 도그하우징(100)의 측벽에는 내화물(101)이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플레이트(330)는 'Π'자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해당 양단부에 제1클램프(310)에 체결이 가능한 제1체결봉(331)과 제2클램프(320)에 체결이 가능한 제2체결봉(332)이 마련된다. 그리고 실링플레이트(330)의 상부에는 승강 이동을 위한 승강실린더(340)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클램프(310) 및 제2클램프(320)가 서로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40)의 작동을 통해 실링플레이트(3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실링플레이트(330)의 제1체결봉(331) 및 제2체결봉(332)이 제1클램프(310) 및 제2클램프(320)에 각각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구성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의 틈새는 실링부재(350)를 통해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구 압력이 대기압과 같은 압력일 경우에는, 상, 하부에서 작용하는 상부 탄성부재(230) 및 하부 탄성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조절판(220)이 압력케이스(212)의 중간지점에서 위치되어 균형을 유지한다.
그런데 도 3a에서 보듯이, 전로 조업 중 노구 압력이 양압으로 변경되는 경우, 노구(410) 측의 배가스는 베이스플레이트(211)의 관통공(211a)을 통해 유입되어, 압력조절판(220)을 상방향으로 가압하고, 압력조절판(220)이 배가스가 작용하는 양압력 만큼의 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압력케이스(212)내의 유효체적(압력케이스 내 압력조절판의 하부공간)이 증가되므로, 배가스의 체류공간이 넓어져 순간적인 양압 변화가 해소될 수 있다.
반면에, 전로 조업 중 노구 압력이 음압으로 변경되는 경우, 압력케이스(212) 내부의 공기는 배가스가 작용하는 음압력 만큼의 힘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211)의 관통공(211a)을 통해 노구(410) 측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압력조절판(220)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외부공기가 배기관의 통공(212c)을 통해 압력케이스(212) 내부의 상부공간에 유입된다. 이로써, 압력케이스(212)의 유효체적(압력케이스 내 압력조절판의 하부공간)이 감소되므로, 배가스의 체류공간이 좁아져 순간적인 음압 변화가 해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순간적으로 급변하는 노구 압력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스토퍼(250a) 및 하부 스토퍼(250b)는 압력조절판(220)의 과다한 운동거리를 제한하므로 압력조절판(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강 벨로우즈(240)의 보강링(241)은 과다한 음압이 작용시 보강 벨로우즈(2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절너트(210a)의 조작을 통해 탄성스프링(231)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압력조절판(220)은 노구 압력에 대응하는 힘의 강도에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그하우스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은 실링게이트유닛(300)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즉, 노구 압력의 변화로 인해 진동이 발생되면, 도그하우스의 제1클램프(310)와 바닥부(520)의 제2클램프(320)는 제1체결봉(331) 및 제2체결봉(332)을 매개로 서로 조립되고, 이들 클램프와 체결봉 사이의 틈새는 실링부재(350)인 모래를 통해 기밀성 있게 밀봉된다. 결국, 본 발명은 도그하우징(100) 또는 실링플레이트(330)의 변형이나 탈락 없이, 진동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필요시 승강실린더(340)를 작동함으로써, 도그하우스의 탈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도그하우징 200 :압력조절유닛
300 :실링게이트 400 :전로

Claims (6)

  1. 전로에서 발생된 배가스를 외부와 격리하기 위해 전로의 노구 상부에 설치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로서,
    전로(400)의 배가스가 배출되는 후드(510)와 상기 전로(400)의 노구(410) 상부에 사이에 설치되는 도그하우징(100);
    노구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압력조절판(220)을 구비하여 상기 도그하우징(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유닛(200); 및
    전로(400)가 설치된 바닥부(520)와 상기 도그하우징(10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게이트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도그하우징(100)과 관통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11)와, 하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1)가 장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압력케이스(212)로 구성되어, 상기 도그하우징(100)의 상측에 장착되는 본체(210); 가장자리부가 상기 압력케이스(212)에 내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압력케이스(21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조절판(220); 상기 압력조절판(220)과 압력케이스(212)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부 탄성부재(230); 및 상기 압력조절판(220)과 베이스플레이트(211)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하부 탄성부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하부 탄성부재(26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주연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보강링(241)이 구비된 보강 벨로우즈(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압력조절판(220)의 상방향 이동을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상기 압력케이스(212)에 설치되는 상부 스토퍼(250a); 및 상기 압력조절판(220)의 하방향 이동을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1)에 설치되는 하부 스토퍼(25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게이트유닛(300)은 상부가 개방되는 제1걸림홈부(311)가 마련되어 상기 도그하우징(100)의 측벽에 설치되는 제1클램프(310); 상부가 개방되는 제2걸림홈부(321)가 마련되어 바닥부(520)에 설치되는 제2클램프(320); 양단부에 상기 제1걸림홈부(311)에 체결되는 제1체결봉(331)과 제2걸림홈부(321)에 체결되는 제2체결봉(332)이 구비되어 절곡 형성되는 실링플레이트(330); 일단부가 상기 도그하우징(100)의 측벽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링플레이트(330)에 연결되는 승강실린더(340); 상기 제1걸림홈부(311) 및 제2걸림홈부(321)에 충진되는 실링부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50)는 기밀성 유지를 위해 상기 제1걸림홈부(311)와 제1체결봉(331) 사이의 틈새와 상기 제2걸림홈부(321) 및 제2체결봉(332) 사이의 틈새에 투입되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KR1020100024084A 2010-03-18 2010-03-18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Ceased KR20110105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84A KR20110105054A (ko) 2010-03-18 2010-03-18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84A KR20110105054A (ko) 2010-03-18 2010-03-18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054A true KR20110105054A (ko) 2011-09-26

Family

ID=4495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084A Ceased KR20110105054A (ko) 2010-03-18 2010-03-18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567A (ko)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포스코 도그하우스 도어용 흄 유출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567A (ko)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포스코 도그하우스 도어용 흄 유출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3157A1 (en) Lift thimble system, reaction chamber,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KR20110105054A (ko) 전로 도그하우스 장치
KR101609854B1 (ko) 공압식 컨트롤 밸브장치
CN101657773A (zh) 服务调节器的排气口
US8101022B2 (en) Crystal-growing furnace system with emergent pressure-release arrangement
KR101453665B1 (ko) 피더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101860618B1 (ko) 서스펜션 제련로 및 정광 버너
CN214095590U (zh) 一种防爆地漏生产用不锈钢冶炼防爆装置
CN111336342B (zh) 自动吹氩接头
CN105840581B (zh) 压力反馈式气缸缓冲装置
CN210340965U (zh) 一种防止含镐纤维密封垫偏离的工具
CN106048250B (zh) 一种快速调节烟气流速和降低烟尘率的闪速炉及使用方法
CN210033930U (zh) 风机及油烟机
CN110005655B (zh) 油缸烟气密封装置
US3333839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unburned gases issued from metal refining furnaces
US4596382A (en) Telescopic sealing hood between converter and stack while refining iron
KR200497384Y1 (ko) 파워 레귤레이터
KR200198247Y1 (ko) 전로 배가스덕트의 안전변 유지장치
KR100765059B1 (ko) 미니 상승관 화염 발생 차단장치
CN208362392U (zh) 改进的转炉炼钢氧枪氮封环密封装置
KR200382962Y1 (ko) 배가스덕트의 안전변장치
KR102740305B1 (ko) 용융로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장치
CN216964080U (zh) 调节型流场均流筛板
US2903956A (en) Stack top
CN221695264U (zh) 一种钢包底吹氩的稳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