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412A - Touch panel - Google Patents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412A
KR20110104412A KR1020100069470A KR20100069470A KR20110104412A KR 20110104412 A KR20110104412 A KR 20110104412A KR 1020100069470 A KR1020100069470 A KR 1020100069470A KR 20100069470 A KR20100069470 A KR 20100069470A KR 20110104412 A KR20110104412 A KR 2011010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touch panel
transparent substrate
transpar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일
오용수
이종영
김운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4412A/en
Publication of KR2011010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4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투명전극(120), 제2 투명기판(130)의 일면에 형성된 제2 투명전극(140),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마주보도록 제1 투명기판(110)의 테두리와 제2 투명기판(130)의 테두리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150), 접착층(150)의 내측면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 사이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층(160)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건조층(160)을 채용함으로써, 터치패널(1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터치패널(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투명전극(120, 140)의 면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wherein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a second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Th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edg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so that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face each other ( 150, a drying layer 160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to form a closed loop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50 to absorb moisture, By employing the dry layer 160, the moistur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touch panel 100, and by absorbing the moisture present in the inside of the touch panel 100, the transparent electrode 120 may be exposed to mois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sheet resistance of the 140 to change.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Touch Panel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As computers using digital technology are developed, auxiliary devices of computers are being developed together. Personal computers, portable transmission devices, and other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use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To perform text and graphics processing.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However, as the use of computer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operate a product by using only a keyboard and a mouse which are currently playing an input device.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device that is simple and less error-prone, and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input information.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input device is shifting to high reliability, durability, innovation, design and processing related technology beyond the level that meets the general function,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formation input such as text, graphics, etc. Touch panel has been developed as a possible input device.

이러한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The touch panel is a display surface of an electronic organize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Is a tool used to allow a user to select desired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터치패널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이다.
The types of touch panel are resistive type, capacitive type, electro-magnetic type, 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and infrared type. Separated by. These various touch panels are adopted in electronic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of signal amplification, difference in resolution, difficulty of design and processing technology, optical characteristics,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chanic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put characteristics, durability, and economics. Currently, resistive touch panels and capacitive touch panels are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터치패널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변화된다.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변화되면,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감도가 떨어져 최종적으로는 터치패널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resistive touch panel and the capacitiv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 not have any means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refore, in a place where the humidity is high,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touch panel and the sheet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changes. When the sheet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changed, the touch panel has a problem that the sensitivity of the user's touch is lower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panel is final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층을 채용하여 터치패널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터치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a dry layer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interior of the touch panel as well as by absorbing the moisture present in the interior of the touch panel To provide a touch panel that can prevent the sheet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from chang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제1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투명전극, 제2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과 상기 제2 투명전극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테두리와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테두리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측면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ace each other. Th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an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to form a closed loop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to absorb moistur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ry layer for absorbing.

여기서, 상기 건조층는 MgSo4, Na2So4 또는 실리카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ry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MgSo 4 , Na 2 So 4 or silica gel.

또한, 상기 제1 투명전극 또는 상기 제2 투명전극은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r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olymer.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polym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 (PEDOT / PSS), polyaniline, polyacetylene or polyphenylenevinylene.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투명전극, 상기 제2 투명전극 및 건조층으로 정의된 에어갭(air-ga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ir gap (gap) defined as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dry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상기 제1 투명전극의 노출면 또는 상기 제2 투명전극의 노출면에는 도트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ot spacer may be provided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r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투명전극과 상기 제2 투명전극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ulating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to insulat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또한, 상기 건조층은 상기 접착층의 내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y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접착층과 상기 건조층을 가리는 불투명 인쇄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aque printed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and the dry layer is provid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층의 내측면에 폐루프를 이루도록 건조층을 형성함으로써, 터치패널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터치패널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투명전극의 면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막아 터치패널의 성능을 유지할 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dry layer to form a closed loo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interior of the touch panel, by absorbing the moisture present in the interior of the touch panel, even in a humid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sheet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from changing,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panel can be maintained.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1 to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1; An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1 to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투명전극(120), 제2 투명기판(130)의 일면에 형성된 제2 투명전극(140),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마주보도록 제1 투명기판(110)의 테두리와 제2 투명기판(130)의 테두리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150), 접착층(150)의 내측면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 사이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층(16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formed in the facing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edg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is provided A dry layer 160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to form a closed loop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50 and the adhesive layer 150 to absorb moisture. Configuration.

상기 제1 투명기판(110) 및 제2 투명기판(130)은 각각 액티브영역(A)과 베젤영역(B)으로 구획되는데, 액티브영역(A)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전극(120, 14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투명기판(110, 130)의 중심에 구비되고, 베젤영역(B)은 접착층(150), 건조층(160), 전극배선(145) 등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액티브영역(A)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터치패널(100)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불투명 인쇄층(190)으로 가려진다. 여기서,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은 투명전극(120, 140)을 지지할 수 있는 내구력과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내구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투명기판(110, 13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투명기판(110)의 경우 입력수단(125)이 터치패널(100)을 터치하면, 타면(제1 투명전극(120)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이 가압되어 제2 투명기판(130) 방향으로 휘어져야 하므로(도 2 참조), 유연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are divided into an active region A and a bezel region B, respectively, where the active region A can recognize a user's touch. 120, 140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0, 130), the bezel area (B) is a portion where the adhesive layer 150, the drying layer 160, the electrode wiring 145 is formed. It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active area A and is covered by the opaque printed layer 190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touch panel 100. In this case,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must be transparen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durability provided to support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0 and 140 and the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the durability and transparency described above, the material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s 110 and 130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ether. Sulfone (PES), cyclic olefin polymer (COC), TAC (Triacetylcellulose) film, polyvinyl alcohol (PVA) film, polyimide (PI) film, polystyrene (PS), biaxially oriented polystyrene ( K resin-containing biaxially oriented PS (BOPS), glass or tempered glass or the like is preferab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when the input means 125 touches the touch panel 100, the other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is formed) is pressed to form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 130) should be bent in the direction (see FIG. 2), it is desirable to have flexibility.

한편,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의 일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의 일면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투명기판(110, 130)과 투명전극(120, 14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activate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high frequency treatment or a primer treatment. By activa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the adhesion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s 110 and 130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0 and 140 can be improved.

상기 제1 투명전극(120) 및 상기 제2 투명전극(140)은 사용자가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각각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과 제2 투명기판(130)의 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ITO(Indium Thin Oxide)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이하, 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serve to generate a signal when a user touches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touch coordinates, and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respectively.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may be formed using a conductive polymer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simple coating process as well as indium thin oxide (ITO) that is commonly used. In this case, the conductive polymer include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DOT / PSS), polyaniline, polyacetylene or polyphenylenevinylene, and the like.

또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의 건식 공정,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의 습식 공정 또는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의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하여 투명기판(110, 130)에 접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re dry processes such as sputtering and evaporation, dip coating, spin coating, and roll coating. It can be formed using a wet process such as coating, spray coating, or a direct patterning process such as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inkjet print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may be formed in a film form and adher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s 110 and 130 using an optical clear adhesive (OCA).

이하,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저항막방식이므로 입력수단(125)이 터치패널(100)을 터치하면, 제1 투명기판(110)이 휘어지고, 그에 따라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접촉함으로써(도 2 참조)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의 전위가 변화한다. 이때, 컨트롤러에서는 제1 투명전극(120)의 전위와 제2 투명전극(140)의 전위 변화량을 측정하여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것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resistive film type, when the input unit 125 touches the touch panel 100,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is bent, and accordingly,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is formed. The potential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changes by contacting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recognizes touch coordinates by measuring a potential change amount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a potential change amount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한편,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입력수단(125)의 터치가 종료하면 제1 투명기판(1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1 투명전극(120)의 노출면 또는 제2 투명전극(140)의 노출면에 도트 스페이서(1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트 스페이서(170)는 탄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패널에서 출력하는 화상이 도트 스페이서(170)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트 스페이서(170)는 에폭시(epoxy) 아크릴 수지 등의 절연성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상 도트 스페이서(170)는 제1 투명전극(120)의 노출면과 제2 투명전극(140)의 노출면 모두에 구비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트 스페이서(170)는 제1 투명전극(120)의 노출면에만 구비되거나, 제2 투명전극(140)의 노출면에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nd when the touch of the input means 125 is finished,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In order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dot spacer 170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or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Here, the dot spacer 170 preferably has elasticity, and the dot spacer 17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is not blocked by the dot spacer 170. Therefore, the dot spacer 170 is preferably formed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such as epoxy acrylic resin. Meanwhile, although the dot spacer 170 is provided on both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in the drawing,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dot spacer 170 is the first transparent. It may be provided only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electrode 120, or may be provided only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또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의 테두리에는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극배선(145)이 인쇄된다. 여기서, 전극배선(145)은 실크 스크린법,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전극배선(145)의 재료로는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고분자, 카본블랙(CNT포함), ITO와 같은 금속산화물이나 금속류 등 저저항(低抵抗)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 전극배선(145)은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의 양단에 연결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터치패널(100)의 구동방식에 따라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의 일단에만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n electrode wiring 145 that receives electrical signals from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is printed on the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Here, the electrode wiring 145 may be printed using a silk screen method, a gravure printing method, an inkjet printing method,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wiring 145 is preferably a silver paste (Ag paste) or a material composed of organic silver excellent in electrical conductivity,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ductive polymer, carbon black (including CNT), ITO Low-resistance metals, such as metal oxides and metals, can be used. Meanwhile, although the electrode wiring 145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in the drawing,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panel 100,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 Of course, only one end of th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may be connected.

상기 접착층(150)은 제1 투명기판(110)의 테두리와 제2 투명기판(130)의 테두리를 접착시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마주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접착층(150)의 두께로 인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투명전극(120), 제2 투명전극(140) 및 건조층(160)으로 정의된 에어갭(165; air-gap)이 형성된다. 따라서, 입력수단(125)의 터치가 없는 경우(도 1 참조)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에어갭(16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입력수단(125)이 터치하는 경우(도 2 참조) 제1 투명기판(110)이 휘어지면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은 에어갭(165)을 통해서 접촉된다. 한편, 접착층(15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면접착테이프(Double Adhesive Tape; DAT)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layer 150 bonds the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edg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so tha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face each other. do. At this tim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ue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50,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nd the dry layer ( An air gap 165 defined by 160 is formed. Therefore, when there is no touch of the input means 125 (see FIG. 1),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air gap 165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input means 125 is provided. ) Touches (see FIG. 2) while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is ben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re contacted through the air gap 165.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adhesive layer 1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double adhesive tape (DAT).

상기 건조층(160)은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터치패널(1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건조층(160)은 접착층(150)의 내측면을 따라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므로(도 3 참조), 터치패널(100)의 내부를 완전히 밀봉하여 터치패널(1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층(160)은 수분을 흡수하는 MgSo4, Na2So4 또는 실리카겔 등으로 형성되므로, 외부 온도의 변화로 인하여 터치패널(100) 내부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수분에 노출되어 면저항이 변화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특히, PEDOT/PSS를 이용하여 투명전극(120, 140)을 형성한 경우 다양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PEDOT/PSS가 수용성이라서 수분에 취약하여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건조층(160)을 채용하여 터치패널(100)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PEDOT/PSS를 이용하여 투명전극(120, 140)을 형성하더라도 터치패널(10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ry layer 16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touch panel 100, as well as the touch panel 100. It serves to absorb the moisture present in the interior. Here, the dry layer 160 forms a closed loop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50 (see FIG. 3), so that the inside of the touch panel 100 is completely sealed by sealing the inside of the touch panel 100. This can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 addition, since the dry layer 160 is formed of MgSo 4 , Na 2 So 4, or silica gel, which absorbs moisture, the dry layer 160 may absorb moisture due to condensation of water vapor inside the touch panel 100 due to a change in external temperature. Can be. Therefo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may be exposed to moisture to block the possibility that the sheet resistance changes. In particular, when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0 and 140 are formed using PEDOT / PSS, despite the various advantages, PEDOT / PSS is water soluble and thus vulnerable to mois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However, since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dopts a dry layer 160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touch panel 100, the transparent electrode 120 may be formed using PEDOT / PSS. Even if the 140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panel 100.

한편, 건조층(160)을 접착층(150)의 내측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건조층(160)의 삼면(三面)을 제1 투명기판(110), 제2 투명기판(130) 및 접착층(150)에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건조층(16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y layer 160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50 to form three surfaces of the dry layer 160,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and the adhesive layer ( By contacting each of the 150,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ry layer (160).

또한, 접착층(150), 건조층(160), 전극배선(145) 등이 형성되는 투명기판(110, 130)의 베젤영역(B)을 가리기 위하여 제1 투명기판(110)의 타면에는 불투명 인쇄층(19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불투명 인쇄층(190)은 베젤영역(B)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태로 윈도우판(195)의 하면에 형성하고, 불투명 인쇄층(190)이 형성된 윈도우판(195)은 광학투명접착제(197; 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하여 제1 투명기판(110)의 타면에 부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ver the bezel area B of the transparent substrates 110 and 130 on which the adhesive layer 150, the drying layer 160, and the electrode wiring 145 are formed, opaqu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It is desirable to have layer 190. Here, the opaque print layer 19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ow plate 195 in the form of a frame surrounding the bezel area B, and the window plate 195 on which the opaque print layer 190 is formed is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197. Optical Clear Adhesive (OCA)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저항막방식뿐만 아니라 정전용량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과 구성요소는 동일하지만,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이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30) 사이에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을 절연시키는 절연층(180)을 구비하여 에어갭(165)이 사라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수단(125)이 터치패널(200)을 터치하면 제1 투명전극(120)과 제2 투명전극(140)의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이를 컨트롤러에서는 측정하여 터치 좌표를 인식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not only by a resistive film but also by a capacitive method. The tou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are directly Since there is no need to make contact, an air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30 by an insulating layer 180 that insulates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165) disappear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put unit 125 touches the touch panel 200, the capacitan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0 is changed, and the controller measures the capacitance to recognize the touch coordinates. will b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과 마찬가지로 건조층(160)을 채용하여 터치패널(2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투명전극(120, 140)의 면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막아 터치패널(200)의 성능을 유지할 수 효과가 있다.
Meanwhile, the touch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employs the dry layer 160 like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touch panel 200. Not only can it do, but it can also absorb moisture present in the touch panel 200. Therefore, even in a humid environment, the sheet resistan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0 and 14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thereby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panel 200.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eneral knowledge of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m. 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0, 200: 터치패널 110: 제1 투명기판
120: 제1 투명전극 125: 입력수단
130: 제2 투명기판 140: 제2 투명전극
145: 전극배선 150: 접착층
160: 건조층 165: 에어갭
170: 도트 스페이서 180: 절연층
190: 불투명 인쇄층 195: 윈도우판
197: 광학투명접착제 A: 액티브영역
B: 베젤영역
100 and 200: touch panel 110: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20: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5: input means
130: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40: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45: electrode wiring 150: adhesive layer
160: dry layer 165: air gap
170: dot spacer 180: insulating layer
190: opaque printed layer 195: window version
197: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A: active area
B: Bezel Area

Claims (9)

제1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투명전극;
제2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과 상기 제2 투명전극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테두리와 상기 제2 투명기판의 테두리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측면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An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an edg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an edg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so tha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ace each other; And
A drying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so as to form a closed loop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to absorb moisture;
Touch panel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는 MgSo4, Na2So4 또는 실리카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y layer is a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MgSo 4 , Na 2 So 4 or silica g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극 또는 상기 제2 투명전극은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r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is a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polym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nductive polymer is a touch panel comprising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 (PEDOT / PSS), polyaniline, polyacetylene or polyphenylenevinyle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투명전극, 상기 제2 투명전극 및 건조층으로 정의된 에어갭(air-ga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gap defined by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dry layer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극의 노출면 또는 상기 제2 투명전극의 노출면에는 도트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a dot spacer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r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투명전극과 상기 제2 투명전극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to insulat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은 상기 접착층의 내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y layer is a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접착층과 상기 건조층을 가리는 불투명 인쇄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uch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is provided with an opaque printing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and the dry layer.
KR1020100069470A 2010-07-19 2010-07-19 Touch panel KR201101044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70A KR20110104412A (en) 2010-07-19 2010-07-19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70A KR20110104412A (en) 2010-07-19 2010-07-19 Touch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412A true KR20110104412A (en) 2011-09-22

Family

ID=4495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70A KR20110104412A (en) 2010-07-19 2010-07-19 Touch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441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382B1 (en) touch panel
KR101156782B1 (en) Touch Panel
KR101119355B1 (en) Touch panel
KR101119269B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140047936A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081329A1 (en) Digital resistive type touch panel
KR20110121662A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130119763A (en) Touch panel
KR101109312B1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120066272A (en) Touch screen
KR20130074489A (en) Sensing electrode patten
KR20110133359A (e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120089108A (en) Touch panel
KR101077424B1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1167418B1 (en) Touch Screen
KR20110121661A (en) Touch panel
KR101131227B1 (en) touch panel having solar cell
JP2011175612A (en) Touch panel
KR20120010485A (e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120089133A (e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55367A (en) Touch panel
KR101095125B1 (en) Resistive touch screen
KR20120056464A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39854A (en) Touch panel
KR20110104412A (en)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