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554A -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554A
KR20110103554A KR1020100022673A KR20100022673A KR20110103554A KR 20110103554 A KR20110103554 A KR 20110103554A KR 1020100022673 A KR1020100022673 A KR 1020100022673A KR 20100022673 A KR20100022673 A KR 20100022673A KR 20110103554 A KR20110103554 A KR 2011010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message
receiving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970B1 (ko
Inventor
이성재
이성렬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9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06Q20/325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using mobile network messaging services for payment, e.g. 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확인하고, 인터넷에 연결 가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거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DEVICE FOR TRANSMITTING MOBILE TERMINATED MESSAGE AND SYSTEM FOR MOBILE PAYMENT}
본 발명은 기업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품의 모바일 결제를 위한 분야의 기술이다. 본 발명은 수신 대상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기업용 메시지 전송 또는 상품의 모바일 결제를 달리하기 위한 기술 분야와 관련이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에 편승하여 국내 스마트 폰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 시장의 성장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보다 일반화되고 있으며 인터넷 접속 환경이 보다 용이해 지고 있다. 즉, 스마트 폰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보다 용이해지고, 상품의 모바일 결제 등 스마트 폰을 활용한 인터넷 이용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 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새로운 메시지 전송 모델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업용 메시지 전송시 수신 대상 단말의 종류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을 선택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메시지 전송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서 푸쉬 통지(Push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간의 연동 없이 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및 악성 코드로 인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결제관련 정보를 결제자에게 통지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제자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식별코드, 접속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결제의 위험을 방지하여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말기 확인부,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전송부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송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는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의의 다른 단말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된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가 방송 MO(Mobile Originated)를 위한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방송 MO 서버로 전송하는 방송 MO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는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결제를 요청받는 결제 요청 수신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부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결제 방법 또는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수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결제 수행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상기 제1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제1 결제부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상기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제2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결제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 내의 결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진행을 요청하는 푸쉬 통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결제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구매 상품 정보, 콜백 URL, 및 접속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콜백 URL에 접속하여 결제를 위한 가상 머신을 다운로드한 구매자로부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결제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수행된 결제 내역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결제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은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결제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결제 방법 또는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용 메시지 전송시 수신 대상 단말의 종류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을 선택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메시지 전송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에서 푸쉬 통지(Push Notification)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간의 연동 없이 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및 악성 코드로 인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결제관련 정보를 결제자에게 통지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자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식별코드, 접속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결제의 위험을 방지하여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대상 단말기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법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대상 단말기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법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는 다른 일례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메시지 수신부(110), 단말기 확인부(120), 제1 전송부(130), 및 제2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업용 메시지 발신 단말 등을 통해 발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스마트 폰, 피쳐폰 등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로부터 발신된 메시지일 수 있다. 메시지의 종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 확인부(120)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연결은 WIFI, 3G 등을 통한 연결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기종이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있어 현재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30)는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송부(130)는 수신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에도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인터넷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는,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인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을 판단하기 위한 일예로,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가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판단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판매할 때,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시켜놓고, 추후 애플리케이션 인증시에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명의의 다른 단말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AD, IPod 등과 같이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이나 전화기능이 없는 단말기인 경우, 단말기 명의자가 소유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이나 전화기능이 없는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소유자의 다른 전화번호를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켜놓고, 추후 애플리케이션 인증시에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전송부(140)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는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음영지역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어,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포함하므로,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대상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메시지 전송 방법을 달리하는 과정의 일예는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대상 단말기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법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업용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211)가 WIFI 망 또는 3G 망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기업용 메시지의 전송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230)는 수신부(231)를 통해 수신한 메시지를 수신 대상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대상 단말기가 피쳐 폰(221)인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업용 메시지 전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222)인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서버(232)를 통해 수신한 메시지를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업용 메시지 전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인지를 인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에 대해서만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메신저 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신저 제공부(150)는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대상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된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대상 단말기가 모두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대상 단말기 모두에 설치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발신자와 수신자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서비스는 인터넷 등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텍스트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대상 단말기가 모두 인터넷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방송 MO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MO 관리부(160)는 메시지가 방송 MO(Mobile Originated)를 위한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방송 MO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300)은 결제 요청 수신부(310), 단말기 식별부(320), 및 결제 수행부(330)를 포함한다.
결제 요청 수신부(310)는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결제를 요청받을 수 있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결제를 요청받으면, 이를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구매 및 결제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결제자)가 결제를 요청한 후에는, 구매자(결제자)의 구매 물품, 수량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 구매자(결제자)의 휴대폰 정보 등이 판매자에게 전달되고, 판매자는 상기 결제 정보, 휴대폰 정보 등을 전자 결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부(320)는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지 피쳐 폰인지 식별할 수 있다.
결제 수행부(330)는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결제 방법 또는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수행부(330)는,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상기 제1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제1 결제부(331)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상기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제2 결제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제부(331)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 내의 결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진행을 요청하는 푸쉬 통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요청 메시지는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등의 형태로 전송되며, 결제를 위해 접속해야 하는 인터넷 접속 URL, 인터넷 접속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 통지부(332)를 통해 결제 진행이 요청되면 제1 결제부(33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제부(334)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구매 상품 정보, 콜백 URL, 및 접속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 전송부(335) 및 상기 콜백 URL에 접속하여 결제를 위한 가상 머신을 다운로드한 구매자로부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결제 데이터 수신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결제부(334)가 구매자(결제자) 단말기로 구매 상품 정보, 콜백 URL, 및 접속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결제자는 URL에 접속하여 결제를 위한 가상 머신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가상 머신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300)은 수행된 결제 내역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결제 결과 전송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결제 결과 전송부(340)를 통해, 결제 결과를 판매자 및 결제자에게 즉시 전송해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구매자(결제자)가 판매자의 상점에서 구매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의 상점은 온라인 쇼핑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결제자)의 상품 구매 결정 후에, 판매자는 판매자 휴대 단말(410)을 통해 구매자(결제자) 정보, 인터넷 접속 비밀번호 등을 전자결제 서버(4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결제자) 정보는 구매자(결제자)의 결제 물품, 개수 등을 포함하는 결제정보, 휴대폰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결제 서버(430)는 구매자(결제자) 휴대 단말(420)의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결제 요청 SMS를 전송하여 푸쉬 통보(Push Notific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요청 SMS에는 결제를 위해 접속해야 하는 인터넷 접속 URL, 상기 URL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SMS를 수신한 구매자(결제자)는 상기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판매자의 결제 내역을 확인한 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단말기는 PC(45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구매자(결제자)가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전자결제 서버(430)에 결제 진행을 요청하면, 전자결제 서버(430)는 금융사(440)로 결제를 요청하고, 금융사(440)는 결제 결과를 다시 전자결제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자결제 서버(430)는 판매자 휴대단말(410) 및 결제자 휴대단말(420)로 결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푸쉬 통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간의 연동 없이 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및 악성 코드로 인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10)에서는 메시지 발신 주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는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는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530)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은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인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은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는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의의 다른 단말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는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은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된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가 방송 MO를 위한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방송 MO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방송 MO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10)에서는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결제를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620)에서는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지 피쳐 폰인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는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결제 방법 또는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630)는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상기 제1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고,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상기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제 방법을 통한 상품 결제의 수행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 내의 결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진행을 요청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제 방법을 통한 상기 상품 결제의 수행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구매 상품 정보, 콜백 URL, 및 접속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콜백 URL에 접속하여 결제를 위한 가상 머신을 다운로드한 구매자로부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결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행된 결제 내역은 상기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즉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4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업용 메시지 전송시 수신 대상 단말의 종류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을 선택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메시지 전송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결제자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식별코드, 접속 비밀번호 등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결제의 위험을 방지하여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대상 단말기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법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는 다른 일례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3과 달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주체가 기업 발송 시스템(701)인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는 EMMA(703), 서버(704), 게이트웨이(705, 706, 707)를 포함할 수 있다.
기업 발송 시스템(701)은 수신 단말의 종류는 모르는 상태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리스트(702)를 기업용 메시지 전송 클라이언트인 EMMA(703)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자 리스트(702)는 수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구분이 없는 리스트로 수신자 각각에 대한 수신 번호가 매칭되어 있다.
EMMA(703)는 수신자 리스트(702)를 서버(704)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704)는 수신 단말의 종류와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에 따라 기업 방송 시스템(701)이 발송한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이 때, 서버(704)는 수신 단말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게이트웨이(705, 706, 707)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704)는 수신자 리스트에 포함된 수신자 및 수신 번호를 식별하여 수신 단말의 종류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이 일반 휴대폰이거나 메시지 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서버(704)는 게이트웨이(705)를 통해 SMS/LMS/MMS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에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서버(704)는 게이트웨이(705)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이 방송 MO(Mobile Originated)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 서버(704)는 게이트웨이(707)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수신 단말이 방송 MO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 서버(704)는 방송 MO(Mobile Originated) 메시지를 수신번호 #8910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메시지 수신부
120: 단말기 확인부
130: 제1 전송부
140: 제2 전송부
150: 메신저 제공부
160: 방송 MO 관리부

Claims (25)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말기 확인부;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제1 전송부;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2 전송부
    를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된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는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의의 다른 단말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방송 MO(Mobile Originated)를 위한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방송 MO 서버로 전송하는 방송 MO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8.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결제를 요청받는 결제 요청 수신부;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부;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결제 방법 또는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수행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행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상기 제1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제1 결제부;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상기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제2 결제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제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 내의 결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진행을 요청하는 푸쉬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제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구매 상품 정보, 콜백 URL, 및 접속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콜백 URL에 접속하여 결제를 위한 가상 머신을 다운로드한 구매자로부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결제 데이터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수행된 결제 내역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결제 결과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1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설치된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인증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는 경우,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대상 단말기가 전화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명의의 다른 단말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방송 MO를 위한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를 인터넷을 통해 방송 MO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업용 메시지 전송 방법.
  20.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한 상품의 결제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1 결제 방법 또는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경우, 상기 제1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의 종류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상기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 내의 결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진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제 방법을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로 구매 상품 정보, 콜백 URL, 및 접속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콜백 URL에 접속하여 결제를 위한 가상 머신을 다운로드한 구매자로부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수행된 결제 내역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 결제 방법.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22673A 2010-03-15 2010-03-15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73A KR101699970B1 (ko) 2010-03-15 2010-03-15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73A KR101699970B1 (ko) 2010-03-15 2010-03-15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400A Division KR20170010043A (ko) 2017-01-18 2017-01-18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54A true KR20110103554A (ko) 2011-09-21
KR101699970B1 KR101699970B1 (ko) 2017-01-31

Family

ID=4495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73A KR101699970B1 (ko) 2010-03-15 2010-03-15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838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닥터엠에스 Rcs 메시지를 이용한 메시지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33A (ko) * 2002-03-08 2002-04-13 김규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방법
KR20100004343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시스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33A (ko) * 2002-03-08 2002-04-13 김규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방법
KR20100004343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시스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970B1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2820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transactions via mobile devices
JP5810217B2 (ja) アドホック現金支払いネットワーク
US847873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access control via mobile phones
US9037514B2 (en) Authentication for service server in wireless internet and settlement using the same
US870052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strict payment transactions
US20150142906A1 (en) Ordering system and ancillary service control through text messaging
US20100312645A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Purchases on Mobile Devices
WO201110924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e transactions via mobile devices
US20120310752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ata Entry Free electronic purchasing
JP2013528848A (ja) 支払いの処理方法
JP2005316936A (ja) 商品サーバ、購入代金決済方法、商品購入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614466B2 (en) Method for managing on-line commercial transactions
KR102214050B1 (ko) 쿠폰 소유권 기반 통합 쿠폰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6559470B (zh) 一种账号信息的推送方法和装置
KR20120082644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및 서버
KR101699970B1 (ko)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2325A (ko) 휴대폰 번호 기반 결제에서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70010043A (ko)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7370B1 (ko) 자동 응답 서비스에 기초한 결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Mandyam et al. Mobile Web Payments: Challenges and Ways Forward
KR20070000725A (ko) 이중결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이중결재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