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581A - Abdominal training belt - Google Patents

Abdominal training b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581A
KR20110102581A KR1020100021663A KR20100021663A KR20110102581A KR 20110102581 A KR20110102581 A KR 20110102581A KR 1020100021663 A KR1020100021663 A KR 1020100021663A KR 20100021663 A KR20100021663 A KR 20100021663A KR 20110102581 A KR20110102581 A KR 2011010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body
signal generator
wearer
abdo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2100B1 (en
Inventor
오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코웰
Priority to KR102010002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100B1/en
Publication of KR2011010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벨트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전극패드가 내부에 금속판을 갖춘 도전성 탄소패드로 구성됨과 더불어, 벨트본체는 탄소패드를 부착하기 위한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여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됨은 물론, 교환할 필요가 없어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lt body that is mounted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of the wearer, a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body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genera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attached to the belt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In the abdominal reinforcement belt having two or more electrode pads, the electrode pad is composed of a conductive carbon pad having a metal plate therein, and the belt body is provided with a magnetic connecting device for attaching the carbon pad. It is convenient, of cours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semi-permanent and can increase the effec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thereby improving the merchandise of the product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Description

복부강화벨트 {Abdominal training belt}Abdominal training bel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기 자극에 의해 복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된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접촉하는 전극패드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함은 물론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복부강화벨트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 belt adapted to strengthen abdominal muscles by electrical stimul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that is improved in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pad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is not only convenient to use but also semipermanent and enhances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일반적으로 사람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을 통해 필요한 영양분을 얻고, 이를 분해하여 열량으로 변환시켜 필요한 일을 하게 되고 나머지 영양분은 체내에 축적하게 된다. 체내에 축적된 지방은 운동을 통해 열량으로 변환되어 소멸되지만, 활동성이 거의 없는 현대인의 경우 음식물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는 열량이 항상 일정한 반면, 열량의 소비가 점차 줄어듦에 따라 비만이 증가하게 되었다. In general, a person obtains necessary nutrients from food supplied from the outside, decomposes them, converts them into calories, and performs the necessary work, and the remaining nutrients accumulate in the body. Fat accumulated in the body is converted into calories through exercise and disappeared, but in modern people with little activity, the amount of heat entering the body through food is always constant, while the consumption of calories gradually decreases obesity.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과 같은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비만은 복부 비만으로부터 시작된다. 사람의 복부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복근으로 이루어지는데,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하여 복근이 약해지게 되면 위장과 소장 및 대장이 확장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되면 사람이 음식을 다량 섭취하더라도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과도한 복부 비만이 초래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만 상태는 복부로부터 전신으로 확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람이 비만상태로 되게 된다.Obesity is known to cause adult disea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eart disease. Usually, obesity begins with abdominal obesity. The abdomen of a person consists of a certain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s, the abdominal muscles weakened due to lack of exercise, such as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is a problem occurs. This condition leads to a vicious cycle in which excessive abdominal obesity occurs because a person does not feel satiety even when a large amount of food is ingested. And this state of obesity extends from the abdomen to the whole body, the entire person becomes obese.

또한, 비만 문제 이외에도 복근이 약화되면 복벽의 지탱력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복부 안쪽에 위치하는 내장기관이 하부로 처지게 되고, 이로써 소장과 대장, 방광, 자궁 등이 내장기관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혈액의 흐름이 불량하게 되며 그에 따른 각종 질병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obesity, the weakness of the abdominal muscles weaken the abdominal wall, the internal organs located inside the abdomen sag down, thereby causing the small intestine, large intestine, bladder, uterus is pressed by the internal organs blood The flow of the poor will be caused a problem that causes a variety of diseases.

따라서 사람의 복부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권장되고 있는데, 이러한 운동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는 윗몸 일으키기가 있다. 하지만, 운동을 통한 복부 강화에는 많은 육체적, 시간적인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운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Therefore, various forms of exercise are recommended to strengthen the abdomen of the human, a typical example of such exercise is sit-ups. However, the abdominal strengthening through exercise requires a lot of physical and time effort, so many people give up exercise halfway is happening.

이에 따라 힘들게 운동을 안 해도 복부의 비만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복부 강화 기구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기구(1)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25), 이 벨트본체(25)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28), 및 이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25)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26, 27)를 포함하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mechanisms have been proposed that can solve the obesity of the abdomen even without a hard exercise, an example of such an abdominal strengthening mechanism is shown in FIG. The mechanism 1 shown here includes a belt body 25 mounted around a body part of a wearer, a signal generator 28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body 25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his signal. At least two electrode pads 26 and 2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or 28 and attached to the belt body 25 to be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벨트본체(25)의 양단에는 벨크로(Velcro) 테이프(38, 39)가 부착되어 있다. 또, 벨트본체(25)의 앞쪽에 장착된 수용부(29)에는 신호발생기(28)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편, 벨트본체(25)의 뒤쪽에는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되고 신호발생기(28)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받아 출력하는 전극패드(26, 27)가 부착되게 된다. Velcro tapes 38 and 39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elt body 25. In addition, the signal generator 28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9 mounted at the front of the belt main body 25, while the signal generator 28 is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wearer at the rear of the belt main body 25. Electrode pads (26, 27)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is attached.

여기서 전극패드(26, 27)는 2 이상의 도전성 접착형 패드로 구성되는데, 이들 전극패드(26, 27)는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박판(65), 이 박판(65)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 제1겔코팅부(67) 및 박판(65)의 타면에 형성된 도전성 제2겔코팅부(68)를 포함하고 있다. 제1겔코팅부(67)는 전극패드(26, 27)를 벨트본체(25)에 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박판(65)을 벨트본체(25)에 갖춰진 접점(46, 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제2겔코팅부(68)는 전극패드(26, 27)를 착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박판(65)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도전성 겔코팅부는 전기 신호의 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통상 제1겔코팅부(67)의 접착강도가 제2겔코팅부(68)의 접착강도보다 더 강하다. Here,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are composed of two or more conductive adhesive pads, and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are formed on the conductive thin plate 65 and one surface of the thin plate 65 as shown in FIG. 2, respectively. The formed conductive first gel coating portion 67 and the conductive second gel coating portion 68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n plate 65 are included. The first gel coating part 67 attaches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to the belt body 25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connects the thin plate 65 to the contacts 46 and 47 provided on the belt body 25. To be. The second gel coating portion 68 allows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wearer's skin an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thin plate 65 and the wearer's skin. The conductive gel coating part is for increa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usually,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rst gel coating part 67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gel coating part 68.

전술한 복부강화기구는 전극패드(26, 27)를 통해 펄스(Pulse) 신호가 주기적으로 복부 근육에 전달되게 하고, 이러한 전기 신호는 운동신경이 밀집된 부위를 자극하며 옆구리, 상복부, 하복부를 포함한 복부 전체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렇게 복부 전체에 전달된 주기적인 전기 신호는 복부 근육이 자동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하는데, 이때 복부 근육에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와 유사한 운동 효과를 얻게 된다. The above-mentioned abdominal strengthening mechanism causes pulse signals to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abdominal muscles through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and these electrical signals stimulate the areas where the motor nerves are concentrated, and the abdomen including the flanks, the upper abdomen, and the lower abdomen. It spreads all over. This periodic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out the abdomen causes the abdominal muscles to automatically contract and relax, with similar motor effects as when doing sit ups on the abdominal muscles.

이러한 복부강화기구의 장점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허리에 착용하고 신호발생기(28)를 작동시키기만 하면 복부 강화를 위한 운동이 된다는 점과, 예컨대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이 신체 일부에 무리를 줄 수 있는 것과 달리 힘들이지 않고 꾸준히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advantages of these abdominal strengthening mechanisms are that they can be exercised to strengthen the abdomen by simply putting them on the waist and operating the signal generator 28 wherever they are, regardless of the location, and for example, exercise such as sit-ups on the body part. Unlike what you can give, it is easy to use without any effort.

그러나, 도전성 접착형인 전극패드(26, 27)를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에 제2겔코팅부(68)에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접착강도 및 전기전도도가 약하게 됨과 더불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전극패드(26, 27)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of the conductive adhesive type are used for a long time, dust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adhere to the second gel coating part 68, resulting in weak adhesive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re not preferable in terms of hygien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should be replaced frequently.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결국 전극패드(26, 27)가 소모성 부품이 되어 버려서, 전극패드(26, 27)를 구입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Moreover, these problems have resulted in the problem that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become consumable parts, and therefore, a huge cost is additionally required to purchase the electrode pads 26 and 27.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체에 접촉하는 전극패드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함은 물론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복부강화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that is improv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pad in contact with the body, as well as easy to use, semi-permanent and can increase the effec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전극패드는 도전성 탄소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elt body mounted surrounding the body part of the wearer, a signal generat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body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signal In the abdominal reinforcement belt having two or more electrode pads attached to the belt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wearer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enerator, the electrode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ductive carbon pa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는, 탄소패드가 금속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서, 금속판 및 자석식 접속장치를 매개로 하여 탄소패드가 벨트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pad is further provided with a metal plate, the belt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gnetic connecting device, the carbon pad is belted through the metal plate and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2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고, 전극패드가 자력에 의해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dominal reinforcement bel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body that is mounted surrounding the body part of the wearer, th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body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he signal generator, and the wearer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having two or more electrode pads attached to the belt body so as to contact the body of the body, wherein the belt body has a magnetic connecting device, and the electrode pads are attached to the belt body by magnetic for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겔코팅부로 인한 불편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됨은 물론, 전극패드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 반영구적이고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conductive gel coating portion is very convenient to us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electrode pad semi-permanent and can increase the effec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s a result, the merchandi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부 강화 기구의 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극패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에 장착되는 신호발생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소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석식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bdominal strengthen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electrode pad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ignal generator mounted on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bon pad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magnetic connector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여기서, 아래의 방향성을 정의하는 용어가 사용된다. 배면 또는 뒤쪽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착용자의 몸통에 착용한 상태일 때 착용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면 또는 몸통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정면 또는 앞쪽은 전술한 배면 또는 뒤쪽의 반대측, 즉 본 발명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착용자의 몸통에 착용한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 또는 몸통으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또한, 위(상)와 아래(하)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착용자의 몸통에 착용하고 직립한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먼 곳과 가까운 곳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한 것임을 밝혀둔다. Here, the term defining the directionality below is used. The back or the back means the side close to the surface or the body contacting the wearer's body when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wearer's body, and the front or the fron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back or the back, that is, When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wearer's torso, it means a side that is far from the surface or torso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pper (upper) and lower (lower) respectively means a place far from the ground when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wearer's torso. These ter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but rather to aid 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에 장착되는 신호발생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탄소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석식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ignal generator mounted on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rbon pad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gnetic connector shown in FIG. 3 in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25), 이 벨트본체(25)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28), 및 이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벨트본체(25)에 부착되되 금속판(21: 도 5 참조)을 갖춘 2 이상의 도전성 탄소패드(20)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lt main body 25 mounted to surround a body part of the wearer, and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main body 25. A signal generator 28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t least two conductive elements attached to the belt body 25 to be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28 and having a metal plate 21 (see FIG. 5). The carbon pad 20 is included.

벨트본체(25)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아서 장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2 이상의 탄소패드(20)를 설치하고 보유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벨트본체(25)에는 「VELCRO」라는 상표명으로 통상 시판되고 있으며 다수의 훅(hook)과 아이(eye)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8, 39)가 각 단부(35, 36)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훅과 아이 중 훅을 갖춘 벨크로 테이프(38)는 단부(35)의 뒤쪽에 설치되고, 훅과 아이 중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는 단부(36)에서 앞쪽에 마련되어 있다. The belt main body 25 is a member for mounting and holding two or more carbon pads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unted on a body part of the wearer. The belt main body 25 is usually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 VELCRO ", and Velcro tapes 38 and 39 having a large number of hooks and eyes are provided at each end 35 or 36. Velcro tape 38 with a hook among these hooks and eyes is provided at the back of the end 35, and velcro tape 39 with a hook among the eyes is provided in front of the end 36. As shown in FIG.

다른 예로,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를 복수로 구비하면서 이격되게 설치하여서, 착용자의 허리 치수 또는 허리 이외의 여러 가지 치수를 갖는 다른 신체에도 벨트본체(25)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Velcro tapes 39 having a child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elt main body 25 may be easily mounted on another body having various dimensions other than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or the waist. .

물론, 훅을 갖춘 벨크로 테이프(38)와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의 배치를 반대로 해도 무방하다.Of course, you may reverse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velcro tape 38 with a hook, and the velcro tape 39 with an ey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는 착용자의 신체 중 몸통에 장착될 때 벨트본체(25)를 몸통의 주위에 단단히 감고서 벨크로 테이프(38, 39)를 체결하여 탄소패드(20)가 착용자의 피부와 비교적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Abdominal strengthening bel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lt body 25 is wrapped around the body tightly around the body when mounted on the body of the wearer fastening the Velcro tapes (38, 39) carbon pad ( 20) should be installed in relatively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벨트본체(25)가 착용자에게 견고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신체의 크기 즉 치수가 변화해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벨트본체(25)는 신장 가능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벨트본체(25)는 신장할 수 있는 직물 재료로 된 한 쌍의 외피(49)와, 신장할 수 있는 발포 재료의 안감(미도시)을 구비하고, 벨트본체(25)의 양측으로 늘어나면서 외피(49)와 안감에 봉합되는 편조부(51)에 의해 합체되게 된다. In order for the belt body 25 to be firmly mounted to the wearer and to be usable even when the body size or dimension changes, the belt body 25 is made of a stretchable elastic material. The belt body 25 includes a pair of outer shells 49 made of a stretchable fabric material, and a lining (not shown) of expandable foam material, which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belt body 25. It is incorporated by the braiding portion 51 which is sutured to the outer shell 49 and the lining.

또, 벨트본체(25)에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된 브래킷(bracket) 형태의 수용부(29)가 그 정면에 설치되어, 도 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신호발생기(28)를 벨트본체(25)에 상하로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부(29)의 안내궤도(55)는 신호발생기(28)의 대응하는 안내홈(56)과 결합하여, 수용부(29) 내에 신호발생기(28)를 확실하게 보유지지한다. 수용부(29) 내에 위치하는 잭플러그(jack plug: 57)는 신호발생기(28)의 대응하는 잭소켓(jack socket: 58)과 결합하여, 신호발생기(28)를 탄소패드(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잭플러그(57)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미도시)은 후술하는 접속장치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케이블은 벨트본체(25)의 외피(49)들 사이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belt main body 25 is provided with a bracket 29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in front of the belt main body 25 so that the signal generator 28 shown in more detail in FIG. Detachable up and down is possible. The guide trajectory 55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9 engages with the corresponding guide groove 56 of the signal generator 28 to securely hold the signal generator 28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9. A jack plug 57 located within the receiver 29 engages with a corresponding jack socket 58 of the signal generator 28 to electrically couple the signal generator 28 to the carbon pad 20. To be connected. A cabl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jack plug 57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device described lat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hells 49 of the belt body 25.

신호발생기(28)에는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버튼(6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신호발생기(28)는 그 작동을 나타내거나, 레벨(level) 또는 모드(mode)를 표시하는 발광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발생기(28)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미도시)는 제어버튼(61)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신호발생기(28) 내의 펄스발생기를 제어하여 펄스 신호를 송출한다. 신호발생기(28)는 수납부(59)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The signal generator 28 is provided with various control buttons 61 for controlling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s. In addition, the signal generator 28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62 that indicates its operation or indicates a level or a mode. A microprocessor (not shown) of the signal generator 28 transmits a pulse signal by controlling a pulse generator in the signal generator 28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the control button 61. The signal generator 28 may be configured such that power is applied by a battery (not shown) built in the accommodating part 59.

신호발생기(28)가 생성하는 펄스의 진폭, 간격 및 시간 등의 제어에 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데, 이와 같은 펄스 신호의 발생과 제어는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Control of the amplitude, interval and time of the pulses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8 is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as such generation and control of such pulse signal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벨트본체(25)에 설치되는 신호발생기(28)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를 착용자의 피부에 가하기 위한 전극패드로서 둘 이상의 도전성 탄소패드(20)를 구비하는데, 이들 탄소패드(20)를 벨트본체(25)에 각각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벨트본체(25)의 배면에는 표시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표시부(37)의 영역 내에는 탄소패드(20)의 부착 및 전기적 접속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한 자석식 접속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for applying a puls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8 installed on the belt body 25 detachably as described above to the wearer's skin Two or more conductive carbon pads 20 are provided as pads, and the display unit 37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belt main body 25 so that the carbon pads 20 ar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belt main body 25, respectively. In the region of the display portion 37, a magnetic connecting device 30 for further attach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rbon pad 20 is provided.

탄소패드(20)는 실리콘고무에 작은 탄소분자를 채워서 만든 판형상 부재로서, 종래와 같은 겔코팅부 없이도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용이하게 휘어질 정도로 유연하며, 피부자극이 적은 특성이 있다. 탄소패드(2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22)의 벽면에 슬릿(23)이 있고, 이 슬릿(23)에 금속판(21)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금속판(21) 및 후술하는 자석식 접속장치(30)를 매개로 하여 탄소패드(20)가 벨트본체(25)에 부착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The carbon pad 20 is a plate-shaped member made of silicon rubber filled with small carbon molecules, and has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flexible enough to bend easily, and less skin irritation without a gel coating part as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5, the carbon pad 20 has a slit 23 on the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metal plate 21 is fitted into the slit 23. Accordingly, the carbon pad 20 can be attached to the belt main body 25 via the metal plate 21 and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30 described later,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28. .

도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식 접속장치(30)는 환형상의 영구자석(31), 이 영구자석(31)을 둘러싸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한 쌍의 체결편(33)을 갖춘 커버(32), 및 이 커버(32)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금속단자(3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금속단자(3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관통구멍에 나사결합하기 편하게 되어 있다. 금속단자(34)는 전술한 케이블에 연결되어, 잭플러그(57) 및 잭소켓(58)을 통해 신호발생기(28)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자석식 접속장치(30)는 벨트본체(25)에서 표시부(37) 내 중심에 위치하여 탄소패드(2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자석식 접속장치(30)는 표시부(37) 내 영역 중 일부에 가늘고 긴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커버(32)의 얇고 긴 체결편(33)을 끼워 관통시킨 후 반대쪽에서 체결편(33)을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벌려 구부림으로써 벨트본체(25) 상에 설치되게 된다.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6, the magnetic connector 30 has an annular permanent magnet 31, a through hole formed surrounding the permanent magnet 31, and a pair of fastening pieces 33 on one side. The cover 32 is provided, and the metal terminal 34 which penetrates and penetrates the through-hole of this cover 32 is comprise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terminal 34 so that it is easy to screw into the through hole. The metal terminal 34 is connected to the cable described abov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28 through the jack plug 57 and the jack socket 58.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3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37 in the belt body 25 so that the carbon pad 20 is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magnetic connector 30 drills a long thin hole in a part of the region of the display portion 37 and inserts the thin long fastener 33 of the cover 32 into the hol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astener 33 from each other. It is installed on the belt main body 25 by opening and bending away.

또한, 자석식 접속장치(30)는 도 3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본체(25)의 배면에 있는 표시부(37)의 영역 내에 설치되되,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정렬되어서, 궁극적으로 탄소패드(20)가 수직이나 수평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Further,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30 is installed in the area of the display portion 37 on the back of the belt body 25 as shown in FIG. 3 and described above, and is alig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reby ultimately providing a carbon pad ( 20) can be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자석식 접속장치(30)는 신호발생기(28)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신호를 탄소패드(20)에 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벨트본체(25) 상에 설치된 자석식 접속장치(30)의 영구자석(31)은 탄소패드(20)의 금속판(21)과 자력으로 접착되게 된다. 또, 자석식 접속장치(30)의 금속단자(34)는 탄소패드(20)의 금속판(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고, 이 금속단자(34)가 케이블에 연결되어 잭플러그(57) 및 잭소켓(58)을 통해 신호발생기(28)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결국 탄소패드(20)가 신호발생기(28)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magnetic connector 30 applies a puls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8 to the carbon pad 20. In other words, the permanent magnet 31 of the magnetic connector 30 installed on the belt body 25 is magnetically bonded to the metal plate 21 of the carbon pad 20. In addition, the metal terminal 34 of the magnetic connecto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21 of the carbon pad 20, and the metal terminal 34 is connected to the cable, the jack plug 57 and the jack Sinc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28 through the socket 58, the carbon pad 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28 after all.

탄소패드(20)는 종래의 도전성 겔코팅부(67, 68: 도 2 참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속될 수 있다. The carbon pad 20 can be electrically well connect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wearer's skin without having the conventional conductive gel coating portions 67 and 68 (see FIG. 2).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의 사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되,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부강화벨트(10)가 착용자의 신체 중 몸통에 장착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use of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re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body of the wearer's body. It will be explained on the assumption.

먼저, 벨트본체(25)의 표시부(37) 내에 탄소패드(20)를 자석식 접속장치(30)에 의해 자력으로 접착 설치한다. 종래와 같은 도전성 겔코팅부(67, 68)를 없앴기 때문에, 전극패드로 작용하는 탄소패드(20)의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First, the carbon pad 20 is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portion 37 of the belt body 25 by the magnetic connector 30. Since the conductive gel coating portions 67 and 68 as in the prior art are eliminated, the installation of the carbon pad 20 serving as the electrode pad is very simple and convenient.

이어서, 탄소패드(20)들이 배꼽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로 배열되도록 벨트본체(25)를 착용자의 몸통에 맞춘다. 그리고, 아이를 갖춘 벨크로 테이프(39)에 훅을 갖춘 벨크로 테이프(38)를 맞물리게 하여 벨트본체(25)를 착용자의 몸통 치수에 맞춰 적절히 몸통에 설치한다.Then, the belt body 25 is fitted to the wearer's torso so that the carbon pads 20 are arranged around the navel. Then, the Velcro tape 38 with a hook is engaged with the Velcro tape 39 with a child, and the belt main body 25 is appropriately installed in the trunk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wearer.

그 후에 신호발생기(28)를 작동시키고, 희망하는 펄스신호를 선택한다. 원하는 레벨 또는 모드로 조정해도 좋고, 펄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해도 좋다. The signal generator 28 is then operated to select the desired pulse signal. You may adjust to a desired level or mode, and may adjust the space | interval between pulses.

탄소패드(20)가 착용자의 배꼽 근처에 위치하면 탄소패드(20)는 복부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놓이게 되고, 옆구리 또는 허리 부분에 있는 신경 구역을 충분히 덮어씌워 복부의 근육 및 핏줄에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If the carbon pad 20 is located near the wearer's navel, the carbon pad 20 will be placed across most of the abdomen, and may cover the nerve zones in the flanks or lower back to stimulate the muscles and strains of the abdomen. Will b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패드인 탄소패드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극패드를 추가로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들지 않게 되며, 전기 자극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carbon pad, which is an electrode pad. Therefore, there is no cost for additionally purchasing the electrode pad, and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ec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obtained. .

본 명세서에서는 복부의 근육을 자극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등의 근육, 발의 근육, 팔의 근육, 그 밖의 근육처럼 착용자의 다른 근육군을 자극하도록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Although mainly described herein for stimulating the abdominal muscles, one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present invention to stimulate other muscle groups of the wearer, such as, for example, the muscles of the back, the muscles of the feet, the muscles of the arms, and other muscles. It is clear to

또한, 펄스 신호의 기타 요소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착용자의 피하(皮下)로 흐르는 전기 신호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신호발생기(28)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절히 프로그래밍하여 순서와 선택사항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도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other elements of the pulse signal, an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flowing subcutaneously of the wearer. Proper programming of the microprocessor of the signal generator 28 can also vary the order and option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상기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둘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는 도전성 탄소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A belt body mounted around the body part of the wearer, a signal generat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body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attached to the belt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In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having two or more electrode pads,
The electrode pad is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ductive carbon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패드는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의 벽면에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에 금속판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pad has a slit on a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a metal plate is fitted to the sl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금속판 및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탄소패드가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According to claim 2, The belt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gnetic connecting device,
And said carbon pad is attached to said belt body via said metal plate and said magnetic connec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환형상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을 둘러싸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한 쌍의 체결편을 갖춘 커버, 및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금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단자는 상기 벨트본체 내에 구비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을 통해 상기 탄소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magnetic connection device includes an annular permanent magnet, a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round the permanent magnet, and having a pair of fastening pieces on one side, and a through hole of the cover. Including a metal terminal to make,
And the metal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cable provided in the belt body,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rbon pad through the metal plate.
착용자의 신체 일부를 둘러싸서 장착되는 벨트본체, 상기 벨트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둘 이상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복부강화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본체는 자석식 접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패드가 자력에 의해 상기 벨트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A belt body mounted around the body part of the wearer, a signal generato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lt body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attached to the belt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In an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having two or more electrode pads,
The belt body is provided with a magnetic connecting devic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pad is attached to the belt body by a magnetic for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환형상의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을 둘러싸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한 쌍의 체결편을 갖춘 커버, 및 상기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금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단자는 상기 벨트본체 내에 구비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magnetic connector includes an annular permanent magnet, a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round the permanent magnet, and having a pair of fastening pieces on one side, and a through hole of the cover. Including a metal terminal to make,
And the metal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through a cable provided in the belt body,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상기 벨트본체에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정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claim 3 or 5, wherein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is installed to be alig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the belt body.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구멍에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7.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the metal terminal is threa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crewed into a through hole.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접속장치는, 상기 체결편이 상기 벨트본체를 관통한 후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벨트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강화벨트.
The abdominal strengthening belt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the magnetic connec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belt body by bending the fastening piece after passing through the belt body.
KR1020100021663A 2010-03-11 2010-03-11 Abdominal training belt KR101152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63A KR101152100B1 (en) 2010-03-11 2010-03-11 Abdominal training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63A KR101152100B1 (en) 2010-03-11 2010-03-11 Abdominal training be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81A true KR20110102581A (en) 2011-09-19
KR101152100B1 KR101152100B1 (en) 2012-06-01

Family

ID=449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63A KR101152100B1 (en) 2010-03-11 2010-03-11 Abdominal training be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10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0578A4 (en) * 2014-06-25 2018-03-14 M.I.Tech Co., Lt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WO2020204591A1 (en) * 2019-04-02 2020-10-08 김진길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KR20210034931A (en) * 2019-09-23 2021-03-31 (주)닥터서플라이 Blood flow restriction and multidire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herapy and muscle strengthe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67B1 (en) 2017-11-01 2019-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 abdominal drawing-in belt
KR20220058298A (en) 2020-10-30 2022-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development of waist brace with smart fiber fusion selective electric stimulation
KR102554976B1 (en) 2021-03-10 2023-07-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Heating belt for balancing the body
KR102654987B1 (en) * 2021-07-07 2024-04-04 주식회사 엠이지 knee microcurrent stimu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59903C (en) * 1999-01-11 2013-03-12 Bm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n electrotherapy device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0578A4 (en) * 2014-06-25 2018-03-14 M.I.Tech Co., Lt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WO2020204591A1 (en) * 2019-04-02 2020-10-08 김진길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KR20210034931A (en) * 2019-09-23 2021-03-31 (주)닥터서플라이 Blood flow restriction and multidire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herapy and muscle strength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100B1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100B1 (en) Abdominal training belt
KR101775512B1 (en) Health improvement apparatus for muscle training and diet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JP2016533254A (en) Systems, devices, and clothes for deliver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KR101995170B1 (en) Wearable apparatus
CN109414369A (en) Stimulating apparatus
KR20180015998A (en) Low frequency stimulator for underwater healthcare
TW201944920A (en) Fitness wear for electrostimulation device
KR20190132298A (en) Wearable apparatus
JP6489367B2 (en) Electrical stimulator
CN211561017U (en) A supplementary utensil for rehabilitation and nursing
WO2005072820A1 (en) Electrode for treatment, and treatment device
KR102134959B1 (en) Abdominal 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Stimulation Method with Breathing Rhythm
KR100870912B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he act of swallowing
CN219331680U (en) Brain electrical head ring
KR20200063532A (en) Low Frequency Muscle Stimulation Device
TW201722390A (en) Wearable electronic pelvic belt for electric stimulation on pelvic floor muscle and uterus in non-invasive manner to effectively treat pelvic problems
JP2023012462A (en) Fitness wear for electrostimulator
KR20190008005A (en) Exercise equipment of the low frequency stimulation
TWI624256B (en) Core muscle training electrode clothing
KR101396310B1 (en) Knee massage electrical stimulus apparatus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JP2004275750A (en) Implement for medical treatment
KR101192108B1 (en) Low frequency electrotherapeutic device
CN109200462B (e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athletic performance
KR102319227B1 (en) Exercise training assistant belt
KR102649216B1 (en) Multifunctional electric stimulator using highly elastic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