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614A -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614A
KR20110101614A KR1020100020744A KR20100020744A KR20110101614A KR 20110101614 A KR20110101614 A KR 20110101614A KR 1020100020744 A KR1020100020744 A KR 1020100020744A KR 20100020744 A KR20100020744 A KR 20100020744A KR 20110101614 A KR20110101614 A KR 2011010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using
outside air
guide
sides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957B1 (ko
Inventor
허윤영
조남욱
Original Assignee
허윤영
조남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윤영, 조남욱 filed Critical 허윤영
Priority to KR102010002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9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2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휀 및 필터가 내장되는 베이스하우징과, 베이스하우징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판과, 베이스하우징에 안착되는 지폐계수부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폐 계수기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을 커버하는 상부커버(11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는 외기흡입구(112)를 갖는 흡입가이드(111)가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10) 하면으로는 상기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송풍휀(120)으로 유도하는 외기가이드판(113)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가이드판(113) 하단측으로 상기 송풍휀(12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각각 활개 되며 베이스하우징(100) 전방 양측 내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패널(150)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측면지지판(200)은 일측에 다수의 흡입공(221)이 천공되어 있는 측면지지커버판(22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상면 양측에서 각각 대향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판(200) 내부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격판(210)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공(221)측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외기유도로(211)를 통해 상기 흡입가이드(111)의 외기흡입구(112)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송풍휀(120)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일단의 필터(130)측으로 유도된 후 베이스하우징(100)의 저면 배출공(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지폐 계수기의 일 요소를 이루는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측면부재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공기 흡입력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지폐가 계수과정에서 발생 되어 비산 되는 먼지,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PAPER MONEY CALCULATING MACHIN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은행 창구 등에서 현금을 계수하는데 사용되는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폐 계수시 지폐에 묻어있는 각종 먼지나 불순물, 세균 등이 지폐 계수 과정에서 대기상으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진구조를 적용하되, 외기의 흡입이 지폐 계수기의 양 내측에서 동시에 흡입하도록 하여, 지폐계수시 외기 흡입력을 증대시켜 먼지나 오염물질, 세균 등이 효과적으로 집진하기 위한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계수기는 대량의 지폐를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 계수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로 지폐의 거래가 많은 은행이나 상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장치로, 이러한 계수기를 이용하여 지폐 뿐만 아니라 수표 등과 같은 유가 증권을 계수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폐 계수기는 그 내부에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급지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와 급지 롤러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롤러와, 공급 롤러, 급지 롤러 및 반출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이와 같은 각 롤러를 통해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 구조를 갖는 지폐 계수기를 이용하여 지폐를 계수할 경우 고속 회전에 의해 지폐가 계수되어질 때 지폐의 파열음과 함께 심하게 펄럭거리면서 바람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지폐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나 세균 또는 냄새들이 방출되어져,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실내를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지폐는 발행된 후 불특정 다수인을 거치며 유통되는 특성을 갖으므로 위생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불결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계수시 방출되는 먼지, 세균들의 위험 요소등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한 예로 집진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지폐 계수기 자체의 구조를 바꾸는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지폐 계수기의 본체와는 별도로 분리된 집진 수단을 단순 연결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사용상 및 설치상 매우 비효율적인 측면이 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 계수기의 구조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지폐 계수기를 올려 놓기만 하면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지폐 계수시 발생 되는 먼지, 부유성 세균등을 집진할 수 있도록 한 국내 특허 등록 제 0312913호인 "지폐 계수기의 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의 경우 지폐 계수기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휀을 통해 공기가 장치 외부로 다시 배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지폐 계수시 장치 주변에 바람이 일기 때문에 사용자는 물론 은행을 방문한 고객들에게도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특허의 경우 2개의 휀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끌어 들여 흡인한 후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그 크기가 상당하게 되고 높이 또한 높을 수 밖에 없어, 주사용자인 은행 창구 직원이 앉아서 업무를 처리하는 특성을 고려하였을 경우 사용상 매우 불편한 점이 지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폐 계수기의 전체 높이를 낮추고 휀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 있는데, 이럴 경우 흡입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집진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고, 높이를 낮추었을 경우 유로가 좁아지게 되어 압력 손실에 따른 소음의 증가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국내 특허등록 제 0901771 호인 지폐 계수기용 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필터가 내장된 베이스 하우징과, 베이스하우징 상면 양측에 설치된 공기토출탑 및 공기흡입탑을 구비하고, 베이스하우징에 안착된 지폐 계수기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내장된 송풍기 하나만으로 공기토출탑과 공기흡입탑을 통한 공기순환방식으로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 및 냄새가 비산 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집진하게 하여 베이스하우징의 층고를 낮춘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의 경우 본체 즉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토출탑에서 공기흡입탑 측으로 공기가 토출 된 후 흡입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송풍량 전부 흡입되지 않고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공기토출탑에서 공기가 배출된 직후와, 배출된 공기가 지폐를 통과하는 과정은 물론, 통과한 후의 공기가 전부 공기흡입탑으로 흡입되지 못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현상으로, 지폐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지폐를 통과한 후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 세균이 주변으로 확산 되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은행 창구 직원은 물론 주변 고객들의 호흡기에 심각한 위해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측면부재측으로 각각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지폐 계수시 공기가 지폐를 통과하는 방식에서 양측면에서의 공기 흡입방식으로 전환함으로서, 지폐가 계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비산 되는 먼지, 세균 등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은행 창구 직원 및 주변 고객의 호흡기 질환 유발 가능성을 원천 배제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 전면측에 음이온 발생구를 구비하여 주변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휀 및 필터가 내장되는 베이스하우징과, 베이스하우징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판과, 베이스하우징에 안착되는 지폐계수부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폐 계수기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을 커버하는 상부커버(11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는 외기흡입구(112)를 갖는 흡입가이드(111)가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10) 하면으로는 상기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송풍휀(120)으로 유도하는 외기가이드판(113)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가이드판(113) 하단측으로 상기 송풍휀(12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각각 활개 되며 베이스하우징(100) 전방 양측 내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패널(150)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측면지지판(200)은 일측에 다수의 흡입공(221)이 천공되어 있는 측면지지커버판(22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상면 양측에서 각각 대향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판(200) 내부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격판(210)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공(221)측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외기유도로(211)를 통해 상기 흡입가이드(111)의 외기흡입구(112)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송풍휀(120)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일단의 필터(130)측으로 유도된 후 베이스하우징(100)의 저면 배출공(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계수기의 일 요소를 이루는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측면부재에 해당되는 측면지지판으로 각각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지폐 계수시 양측면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공기 흡입력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써 지폐가 계수과정에서 발생 되어 비산 되는 먼지,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흡입력 증대와 본체 하우징 전면에 구비되는 음이온 발생구 등으로 인하여 은행 창구 직원 및 주변 고객의 호흡기 질환 유발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괄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이스하우징과 상부커버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상부커버만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커버에 구비되는 측면지지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부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지폐 계수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평면도로서, 측면지지판의 내측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며 좁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은행 등에서 지폐를 자동으로 세기 위한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지폐 계수기에서 지폐를 자동 계수할 때 발생되는 각종 먼지나 세균 등이 대기중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폐 계수기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를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지폐 계수기 집진장치의 구현 설명을 위해 먼저 베이스하우징(100)의 상면으로 지폐 계수기가 얹혀져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상면측을 커버하면서 동시에 지폐 계수기가 얹혀지는 상부커버(110)를 구비하고 아울러 베이스하우징(100) 내부에는 송풍휀(120)과 필터(130) 및 각 부품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가 내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상면 즉 상부커버(110)의 상면 양측으로는 각각 측면지지판(220)이 고정되어지고, 그 측면지지판(220) 내측으로 상기 지폐 계수기가 위치되어, 은행창구 직원이 지폐 다발을 지폐 계수기에 위치시키면 계수되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폐 계수기에 의해 지폐가 계수되어질 때 발생하는 각종 먼지, 세균 등은 그 주변으로 상당량이 비산되어지는데 이러한 비산먼지, 세균 등이 비산되어 주변 실내 공간으로 확산 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지폐계수시 발생되는 비산 먼지,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집진하기 위한 집진 장치로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휀(120) 및 필터(130)가 내장되는 베이스하우징(100)과, 베이스하우징(100)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판(200)과, 베이스하우징(100)에 안착되는 지폐 계수기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비산 하는 것을 차단, 집진하기 위한 지폐 계수기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을 커버하는 상부커버(11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는 외기흡입구(112)를 갖는 흡입가이드(111)가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10) 하면으로는 상기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송풍휀(120)으로 유도하는 외기가이드판(113)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가이드판(113) 하단측으로 상기 송풍휀(12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각각 활개 되며 베이스하우징(100) 전방 양측 내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패널(150)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측면지지판(200)은 일측에 다수의 흡입공(221)이 천공되어 있는 측면지지커버판(22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상면 양측에서 각각 대향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판(200) 내부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격판(210)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공(221)측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외기유도로(211)를 통해 상기 흡입가이드(111)의 외기흡입구(112)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송풍휀(120)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일단의 필터(130)측으로 유도된 후 베이스하우징(100)의 저면 배출공(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은 도 2에서 보듯이 그 상면을 커버 하는 상부커버(110)를 갖으며, 내부 중앙으로는 구동모터(도면상 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라 표현함)를 흡입하도록 하는 송풍휀(120)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휀(12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각각 활개 되며 베이스하우징(100) 전방 양측 내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패널(150)이 구성된다.
상기한 가이드패널(150)은 후술하게 되는 상부커버(110)의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상기 송풍휀(120)의 아웃렛 즉 출구방향으로는 지폐 등의 계수과정에서 포함되어 있는 각종 먼지, 세균 등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130)의 하단측으로는 베이스하우징(100)으로 유입된 후 송풍휀(120)을 거쳐 유동되는 외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140)이 베이스하우징(100) 저면에 다수 천공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하우징(100)의 전면 하단측으로는 음이온발생기(160)를 구비한다.
도면부호 300은 상기한 송풍휀(120)의 구동과 음이온발생기(160) 작동, 각 부속품의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제어부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베이스하우징(100)의 상면을 커버 하는 상기 상부커버(1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각각 일정 높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흡입가이드(11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가이드(111)에는 외기흡입구(112)가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외기흡입구(112)는 측면지지판(200)의 외기유도로(211)와 연결되어 있어, 송풍휀(120)의 구동에 의해 외기가 측면지지판(200)을 따라 외기흡입구(112)측으로 유입된 후 전술한 베이스하우징(100)의 가이드패널(150) 및 상부커버(110)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기가이드판(113)의 안내를 받으며 송풍휀(120)측으로 유도된 후 필터(130)에 의해 외기가 필터링 된 다음, 베이스하우징(100) 저면의 배출공(140)을 통해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부커버(11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는 외기흡입구(112)를 갖는 흡입가이드(111)가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10) 하면으로는 상기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송풍휀(120)으로 유도하는 외기가이드판(1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기가이드(113)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10)의 양측에 각각 전술한 측면지지판(200)이 고정된다.
이러한 측면지지판(200)은 도 1 또는 도 3에서 보듯이 지폐 계수기의 양측에 위치되어 전술한 송풍휀(120)에 의해 지폐 계수기 전면측 공기를 베이스하우징(100) 내부로 흡입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측면지지판(200)은 그 내측으로 측면지지커버판(220)이 결합되어 2개의 마주보는 측면지지판(200)에 의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그 측면지지판(200) 내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격판(2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후 그 하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부커버(110)의 흡입가이드(111)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1a)에 끼워지며 결합되도록 하고, 그 결합에 따라 구획격판(210)에 의해 측면지지판(200) 내부에 형성되는 구획공간인 외기유도로(211)와 외기흡입구(112)가 연통되어진다.
이와 같이 외기유도로(211)와 외기흡입구(112)가 연통되며 측면지지판(200)과 상부커버(110)의 흡입가이드(111)간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휀(120)의 구동에 의해 측면지지판(20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외기유도로(211)와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베이스하우징(100) 내부로 유도되고, 상부커버(110) 저면의 외기가이드판(113)의 안내를 받으며 송풍휀(120)을 거친 후 필터(130)에서 필터링 된 다음, 베이스하우징(100) 저면으로 통공처리되어 있는 배출공(140)측으로 외기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지폐 계수기에 지폐를 올려놓게 되면, 송풍휀(120)의 작동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 계수시 주변의 공기를 측면지지판(200)을 통해 베이스하우징(100) 내부로 흡입한 후,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세균, 각종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한 후 베이스하우징(100) 저면을 통해 배출토록 하게 되므로, 지폐계수시 지폐의 펄럭임에 의해 지폐에 묻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 세균, 먼지 등이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고 베이스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서,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외기의 흡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하우징(100) 상면에 결합 되는 상부커버(110)에서 상기한 흡입가이드(111)의 설치방향이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하여, 상기 흡입가이드(111)에 고정되는 측면지지판(200)이 전체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좁혀진 상태로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측면지지판(200)이 베이스하우징(100) 전면 즉, 지폐 계수기의 전면측으로 좁혀지도록 하는 것은, 지폐 계수기에서 지폐 계수시 외기의 흡입력을 더욱 증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베이스하우징(100) 전면으로는 음이온발생기(160)를 구비하여 외부로 음이온이 발생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측면지지판(200)에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센서(S)를 구비하여 은행 창구직원 등이 지폐 계수를 위해, 지폐 계수기에 지폐 다발을 얹혀놓는 동작을 인식하여, 그 인식된 값을 상기한 제어부(300)측으로 신호를 인가시켜 송풍휀(120)의 구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도록 하였다.
1; 현금계수장치
100; 베이스하우징 110; 상부커버
111; 흡입가이드 111a; 결합홈
112; 외기흡입구 113; 외기가이드판
120; 송풍휀 130; 필터
140; 배출공 150; 가이드패널
160; 음이온발생기 200; 측면지지판
210; 구획격판 211; 외기유도로
220; 측면지지커버판 221; 흡입공
300; 제어부 S; 센서

Claims (5)

  1. 송풍휀(120) 및 필터(130)가 내장되는 베이스하우징(100)과, 베이스하우징(100)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지지판(200)과, 베이스하우징(100)에 안착되는 지폐 계수기의 전면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지폐계수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비산 하는 것을 차단, 집진하기 위한 지폐 계수기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을 커버하는 상부커버(11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는 외기흡입구(112)를 갖는 흡입가이드(111)가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10) 하면으로는 상기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송풍휀(120)으로 유도하는 외기가이드판(113)이 형성되고, 상기 외기가이드판(113) 하단측으로 상기 송풍휀(120)의 외주면에서 양측으로 각각 활개 되며 베이스하우징(100) 전방 양측 내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패널(150)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측면지지판(200)은 일측에 다수의 흡입공(221)이 천공되어 있는 측면지지커버판(22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하우징(100) 상면 양측에서 각각 대향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판(200) 내부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격판(210)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공(221)측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외기유도로(211)를 통해 상기 흡입가이드(111)의 외기흡입구(112)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송풍휀(120)에 의해 유입된 외기는 일단의 필터(130)측으로 유도된 후 베이스하우징(100)의 저면 배출공(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판(210) 하단부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110)의 흡입가이드(111) 외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1a)에 끼워지며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100) 전면으로 음이온발생기(160)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가이드(111)는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좁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흡입가이드(111)에 고정되는 상기 측면지지판(200)이 전체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좁혀진 상태로 결합 되는 것을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판(200)에 센서(S)를 구비하여 지폐 계수기에 지폐 다발을 얹혀놓는 동작을 인식하여, 그 인식된 값을 상기 제어부(300)측으로 신호 인가시켜 송풍휀(120)의 구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KR1020100020744A 2010-03-09 2010-03-09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KR101110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744A KR101110957B1 (ko) 2010-03-09 2010-03-09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744A KR101110957B1 (ko) 2010-03-09 2010-03-09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614A true KR20110101614A (ko) 2011-09-16
KR101110957B1 KR101110957B1 (ko) 2012-02-20

Family

ID=4495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744A KR101110957B1 (ko) 2010-03-09 2010-03-09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869A (zh) * 2020-04-23 2020-08-28 平阳县银新金融用品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款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1954B (zh) * 2015-06-10 2018-11-27 中钞长城金融设备控股有限公司 一种有价证券检测设备中用于去污净化处理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71B1 (ko) * 2009-03-25 2009-06-11 주식회사 딘스하이텍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869A (zh) * 2020-04-23 2020-08-28 平阳县银新金融用品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款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957B1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4573B (zh)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0901771B1 (ko) 지폐계수기용 집진장치
KR101006820B1 (ko) 공기 청정기
KR101095351B1 (ko) 능동적인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용 다중 정화장치
KR101110957B1 (ko) 지폐 계수기에서의 집진구조
JP2006263492A (ja) 空気清浄機
JP2012133412A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装置用載置台
CN204204100U (zh) 一种除尘去湿点钞机
WO2013150684A1 (ja) 動物飼育用安全キャビネット
KR20190138913A (ko)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
KR102193124B1 (ko) 환기장치
KR102034793B1 (ko) 지폐계수기용 지폐 날림 및 먼지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KR101727606B1 (ko) 매체처리기의 착탈식 집진 장치
CN206833498U (zh) 钞票吸尘装置
KR100663014B1 (ko) 공기 청정기
KR100312913B1 (ko)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KR101756233B1 (ko) 지폐계수기용 캐쉬클리너
JP2003050028A (ja) 紙幣計数機用空気清浄機
KR200260052Y1 (ko) 지폐 정사기용 먼지 집진기
CN206215646U (zh) 一种吸尘装置和点钞机
KR20040051458A (ko) 집진살균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지폐계수기
KR200469620Y1 (ko) 먼지의 역류방지 장치가 구비된 지폐계수기
CN213876894U (zh) 验钞、吸尘、杀菌一体机
CN212466674U (zh) 点钞机专用除尘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