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099A -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099A
KR20110101099A KR1020110019868A KR20110019868A KR20110101099A KR 20110101099 A KR20110101099 A KR 20110101099A KR 1020110019868 A KR1020110019868 A KR 1020110019868A KR 20110019868 A KR20110019868 A KR 20110019868A KR 20110101099 A KR20110101099 A KR 2011010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service
information
transport stream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국진
이광순
서재현
박성익
이현
허남호
김흥묵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10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디지털 방송(DTV) 또는 3차원 방송(3DTV)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고화질의 3D 비디오 서비스 및 3D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된 3차원 영상을 부호화하여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생성하고,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한 후,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된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향상 계층을 통해 전송한다.

Description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METHOD AND APPATUS FOR PROVIDING 3 DIMENSION TV SERVICE RELATING PLURAL TRANSMITTING LAYER}
본 발명은 3차원 방송(3D 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기존의 디지털 방송(DTV) 또는 3차원 방송(3DTV)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고화질의 3D 비디오 서비스 및 3D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방송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전송하는 형태에서 방송 데이터를 디지털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뿐만 아니라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은 거의 일반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 이하 "MPEG" 라 함)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동일한 대역폭에 고화질(High Definition)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다수의 표준화질(Standard Definition) 프로그램을 하나의 채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은 데이터 방송, 대화형 방송 등 여러 가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전송 채널에 다수의 프로그램과 여러 가지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발생된 MPEG-2 전송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을 하나의 채널에 다중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현상에 더불어 최근 방송 또는 영화 시스템에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려면, 종래의 DTV 또는 3DTV 방송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고화질의 3D 비디오 서비스 및 3D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3차원 비디오 서비스를 종래 기술은 기존의 DTV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준영상(좌 영상)에 대해서는 MPEG-2 코덱, 3D 부가 영상(우 영상)에 대해서는 MPEG-4 Part 10 AVC(Advanced Video Coding)과 같은 임의의 코덱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기존의 DTV 전송 대역폭(예를 들어, 19.39Mbps) 내에서만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전송함으로써 3D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디지털 방송(DTV) 또는 3차원 방송(3DTV)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본계층과 향상계층의 연동을 통해 고화질의 3D 비디오 서비스 또는 3D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입력된 3차원 영상을 부호화하여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된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입력된 객체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객체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객체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객체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입력된 3차원 영상을 부호화하여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부호화수단;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자정보 생성수단; 및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다중화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입력된 객체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객체 스트림을 생성하는 3차원 객체 생성수단;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자정보 생성수단; 및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를 정의한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3차원 객체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객체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다중화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에 각각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역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 분석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복수의 복호화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각각 복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에 각각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객체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역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 분석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객체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복수의 복호화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각각 복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객체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객체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3차원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값과,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3차원 서비스 또는 2차원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부가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낸 식별자 값과,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상기 기본 계층의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DTV 또는 3DTV 방송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고화질의 3D 비디오 서비스 및 3D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ATSC 등에서 계층변조를 이용하여 전송률은 작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전송채널을 통해 기존의 기본계층과 연동되면서 고품질의 3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등의 3D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은 용량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비실시간 방송을 향상 계층을 통해 제공하고, 이를 실시간 방송중인 기본 계층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 변조에 기반한 3차원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3DTV 송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송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 변조에 기반한 3차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3DTV 송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기본계층 및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기본계층 및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3D 비디오 서비스는 좌우 영상을 토대로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의미하며, 3D 데이터 서비스는 모노 비디오 상에 이미지, 텍스트 등 특정 객체만을 3D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 변조에 기반한 3차원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3DTV 송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송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기존의 DTV 또는 3DTV 단말과 호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3D 부가 영상에 대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 전송함으로써 기존의 3DTV 방송 서비스보다 고화질의 3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DTV(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와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준 영상(좌 영상 또는 우영상)은 MPEG-2 인코더(101)를 통해 부호화하고, 3D 부가 영상에 대해서는 SVC(Scalable Video Coding) 인코더(102)를 통해 부호화한다. SVC 기술은 AVC 기술과 호환성을 제공하면서 별도의 추가 부가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VC 기술을 이용한 본 발명은 MPEG-2 인코더와 AVC 기술을 적용한 기존의 3DTV 수신기에서도 3D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고, MPEG-2 인코더와 SVC 기술을 적용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3DTV 수신기는 보다 고화질의 3DTV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MPEG-2 인코더(101)는 좌영상 또는 우영상과 같은 기준영상을 부호화하여 기준 영상 스트림을 출력한다. 오디오 인코더(103)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한다. 또한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생성부(104)는 3차원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Descriptor)를 정의하여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기준영상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및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는 기존의 DTV 수신기와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 DTV 방송 규격 기반의 부호화 스트림 및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PSI 생성부(104)는 방송 규격에 따라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SI(Service Information)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 2D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규격에서 방송 구성을 나타내는 방송 프로토콜 정보는 ATSC의 경우는 PSI와 지상파용 PSIP로 구성되어 있고, DVB-S의 경우는 PSI와 SI로 구성되어 있으며, OpenCable의 경우는 PSI와 케이블용 PSIP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방송 프로토콜 정보의 필요성에서 ATSC의 경우 PSI는 선택이고 PSIP는 필수이며, DVB-S의 경우 PSI 및 SI는 필수이며, OpenCable의 경우 PSI는 필수이고 PSIP는 선택이다.
SVC 인코더(102)는 입력된 3차원 영상 정보를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을 통해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출력한다.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은 기존의 3DTV 수신기 및 3DTV 방송 서비스와 호환성(기존의 AVC 코덱과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에 의해 출력되는 기본 계층 스트림을 나타내며,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은 기존의 3DTV 방송 서비스보다 고화질의 3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잉여 스트림을 나타낸다.
MPEG-2 다중화기(105)는 기준 영상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SI 및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은 기존 DTV 대역폭 내에서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TS: Transtort Stream)을 출력한다. 그리고, 기준 전송 스트림(TS)은 순방향 오류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부호화(106)가 수행된다. 오류 정정 부호화된 기준 전송 스트림은 기존 DTV 또는 3DTV 수신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RF 변조부(108)에 의해 RF 변조되어 전송된다.
한편, 3D 부가 영상 향상 스트림은 기본 계층과는 다른 별도의 전송 스트림(3D 향상 TS)으로 다중화된다. 그리고, 3D 향상 전송 스트림(TS)은 순방향 오류 정정(FEC) 부호화 또는 다른 오류 정정 부호화(107)가 수행되고, 오류 정정 부호화된 3D 향상 전송 스트림(TS)은 RF 변조되어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DTV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3DTV 방송 서비스와도 호환성을 가지면서 3D 부가 영상 향상 스트림을 기준 전송 스트림과 별도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고화질의 3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MPEG-2 인코더를 AVC 등 다른 코덱으로 변경될 경우에도 현재 서비스 중인 IPTV, 위성 방송과 같은 디지털 방송 플랫폼 기반의 3D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3D 영상을 SVC 인코더를 이용해 부호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D 부가 영상 향상 스트림을 향상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기본 계층과 다른 어떠한 계층을 통해 전송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 변조에 기반한 3차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3DTV 송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3D 데이터 서비스는 기존의 DTV 방송 규격을 그대로 이용하고 별도로 전송되는 3D 객체(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 등)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연동형 또는 비연동형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3D 비디오 서비스에 비하여 시스템 복잡도 및 요구되는 전송률이 낮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DTV(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와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디오는 MPEG-2 인코더(101)를 통해 부호화되고, 오디오는 오디오 인코더(102)를 부호화되며, PSI는 PSI 생성부(103)를 통해 생성되어, 기존 DTV 방송 규격 기반의 다중화 및 변조 방법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3D 객체 생성부(301)에 의해 생성된 3D 객체는 별도의 전송 스트림(3D 객체 TS)으로 전송된다. 상기 3D 객체는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도 있지만, 파일 등 별도의 전송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3DTV 수신기는 기존 DTV 방송 서비스에 비하여 3D 객체를 추가적으로 수신 재생 가능하다. 또한 3D 객체는 수신기에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모두 전송가능하며, 방송되는 프로그램과의 연동형 또는 비연동형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MPEG-2 인코더(101)는 입력된 영상을 부호화하여 기준 영상 스트림을 출력한다. 오디오 인코더(103)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출력한다. 또한 PSI 생성부(104)는 3차원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Descriptor)를 정의하여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를 출력한다. MPEG-2 다중화기(105)는 기준 영상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SI는 기존 DTV 대역폭 내에서 다중화하여 기준 전송 스트림(TS: Transtort Stream)을 출력한다. 그리고, 기준 전송 스트림(TS)은 순방향 오류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부호화(106)가 수행된다. 오류 정정 부호화된 기준 전송 스트림은 기존 DTV 또는 3DTV 수신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RF 변조부(108)에 의해 RF 변조되어 전송된다.
한편, 3D 객체 생성부(301)에 의해 생성된 3D 객체는 MPEG-2 다중화기(105)에 의해 별도의 전송 스트림(3D 객체 TS)으로 다중화된다. 그리고, 3D 객체 전송 스트림(TS)은 순방향 오류 정정(FEC) 부호화 또는 다른 오류 정정 부호화(107)가 수행되고, 오류 정정 부호화된 3D 객체 전송 스트림(TS)은 RF 변조되어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3D 향상 전송 스트림(TS) 및 3D 객체 전송 스트림(TS) 내에 별도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이 포함될 수 있다. 3D 향상 전송 스트림(TS) 및 3D 객체 전송 스트림(TS) 내에 별도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은 기준 전송 스트림(TS) 내에 포함되는 PSI 내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정보와 상호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계층을 통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내 기술자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descriptor_tag는 3D 서비스 기술자(3D service descriptor)라는 것을 알려주는 식별자 값을 갖는다. desciriptor_length은 바로 뒤에 나오는 필드들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StereoMono_service_flag는 해당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2차원 서비스인지 또는 3차원 서비스 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값이며, StereoMono_service_flag=1일 때 3D 서비스를 나타낸다. 3D 서비스의 경우, 3D_service_type의 값에 따라 서비스의 종류가 구분된다. 예를 들어, 3D_service_type이 "0000"이면 예비(reserved), "0001"이면 3D 비디오 서비스, "0010"이면 3D 오디오 서비스, "0011"이면 프로그램 연동형 3D 데이터 서비스, "0100"이면 프로그램 독립형 3D 데이터 서비스, "0101"이면 3D 비실시간 서비스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composition_type은 좌우 이중영상 또는 side-by-side 방식과 같은 3D 영상의 포맷을 나타낸다. 그리고 프로그램 상세 정보 내 기술자는 이외에 필요한 속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구문(syntax)
3D_service_descriptor() {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StereoMono_service_flag
If (StereoMono_service_flag) {
3D_service_type
composition_type
:
}
:
}
또한 하기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향상계층을 통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기술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표 2를 참조하면, descriptor_tag는 부가 서비스 기술자(Auxiliary service descriptor)라는 것을 알려주는 식별자 값을 갖는다. desciriptor_length은 바로 뒤에 나오는 필드들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auxiliary_service_type은 기본 계층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함께 부가적으로 향상 계층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형태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auxiliary_service_type이 "0x00"이면 예비(reserved), "0x01"이면 비디오 서비스, "0x02"이면 오디오 서비스, "0x03"이면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 "0x04"이면 프로그램 독립형 데이터 서비스, "0x05"이면 프로그램 연동형 3D 데이터 서비스, "0x06"이면 프로그램 독립형 3D 데이터 서비스, "0x08"이면 비실시간 서비스, "0x09"이면 비실시간 3D 서비스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구문(syntax) 비고
Auxiliary_service_descriptor() {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auxiliary_service_type
service_dependency_flag
If (service_dependency_flag) {
dependency_TSID
:
}
:
}





타 계층 서비스
위치정보
service_dependency_flag는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의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내의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서로 연계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의 전송 스트림 내 프로그램 간의 연계 관계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에 의해 정의된다.
service_dependency_flag가 1인 경우는 기본 계층과 향상 계층의 특정 프로그램이 서로 연계된 것을 나타내며, 연계된 상대 계층의 서비스 위치 정보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dependency_TSID는 상대되는 전송 스트림의 식별자(transport_stream_id)를 지시한다. 만약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의 전송 스트림의 해당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내 program_number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service_dependency_flag=1일 때 상대되는 PMT의 프로그램 번호(program_number)를 추가함으로써, 특정 프로그램을 지시한다. 하지만,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의 전송 스트림의 해당 PMT 내의 program_number가 서로 동일할 경우에는 별도의 program_number가 추가될 필요는 없다. 이외에 연계되는 서비스 위치 정보로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서 기술되는 소스 식별자(source_id) 등의 다양한 인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 A/65C 참조한다.
상기 표 2에서의 부가 서비스 기술자는 기본 계층 또는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내 프로그램 정보 길이(Program_info_length) 바로 뒤 기술자(descriptor)에 포함될 수 있다. 역방향 호환성을 완벽하게 하고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식별을 자체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는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부가 서비스 기술자를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service_dependency_flag는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기본 계층에 종속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만일 service_dependency_flag가 1인 경우는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특정 프로그램이 기본 계층의 특정 프로그램에 종속되는 것을 나타내며, dependency_TSID는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의 transport_stream_id을 지시한다. 만일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의 해당 PMT 내의 program_number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service_dependency_flag가 1일 때 기본계층 PMT의 program_number를 추가함으로써, 기본 계층의 특정 프로그램을 지시한다. 하지만,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의 해당 PMT 내의 program_number가 서로 동일할 경우에는 별도의 program_number의 추가 없이도 기본 계층의 특정 프로그램을 지시할 수 있다.
ATSC에서 채널 및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는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를 통해 전송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각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채널들의 속성들은 VCT(Virtual Channel Table)에, 시간별로의 이벤트(Event) 정보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PSIP 정보가 향상 계층의 전송 스트림에 포함될 경우에, 표 1의 3D 서비스 기술자(3D service descriptor) 및 표 2의 부가 서비스 기술자(Auxiliary service descriptor)는 각각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VCT 또는 EIT내 기술자(descriptor) 루프에 삽입될 것이다.
이때, VCT 내에는 가상 채널의 서비스 타입(service_type) 속성이 이미 정의되어 있으므로, 3D service descriptor 의 3D_service_type 및 Auxiliary service descriptor의 auxiliary_service_type은 별도로 정의할 필요 없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타입별 값을 기존 VCT의 service_type 값에 추가하면 될 것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ATSC Standard A/65C 6.3절 및 6.5절을 참조한다.
하기 표 3은 3D 부가 영상을 SVC 코덱으로 부호화 시 비디오 기본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VC 비디오 기술자(SVC_video_descriptor)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구 문
SVC_video_descriptor() {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hierarchy_type
layer_id
max_quality_id
:
}
descriptor_tag는 향상된 비디오 기술자(Enhancement_video_descriptor)라는 것을 알려주는 식별자 값을 갖는다. desciriptor_length은 바로 뒤에 나오는 필드들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scalability_type은 인코딩 시 스케일러블리티(scalablity)의 형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화질을 이용하는 SNR Scalability(scalability_type=2) 또는 다시점 비디오의 적용을 위한 다시점 프로파일(Multi-view Profile)(scalability_type=8) 등이 필요할 것이다.
layer_id는 SVC 향상 계층의 계층 식별자로서, 기본 계층은 '0'으로 지정되고, 향상 계층은 '1'부터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3D 부가 영상 향상 스트림은 '1'의 값을 가진다. 다시점 프로파일(Multi-view Profile)이 적용될 경우에 시점 수에 따라서 layer_id는 증가한다.
max_quality_id는 향상 계층 비디오의 화질의 레벨(SVC NAL unit header extension에 정의됨)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SNR scalability를 이용하므로 필요한 값이다. 이 외에 SVC와 관련된 다양한 속성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PMT 내 각각 기술되는 StereoMono_service_flag, 3D_service_type 및 auxiliary_service_type의 값에 따라 3D 비디오 서비스, 3D 데이터 서비스, 비실시간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 구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연관 관계를 나타낸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의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비디오 서비스인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 PMT 내 첫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3D_service_descriptor에는 StereoMono_service_flag =1 및 3D_service_type=0001로 설정되어 있어, 현재 프로그램이 3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연계하여, 항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내의 첫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부가 서비스 기술자(Auxiliary_service_descriptor)에는 비디오 서비스를 나타내는 auxiliary_service_type=0x01, service_dependency_flag =1 및 dependency_TSID= 0x10FE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의 transport_stream_id)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서비스가 기본 계층과 연계되어 부가적인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함을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내 stream_type= 0x1F(SVC 부가 스트림), 두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의 SVC_video_descriptor 내 layer_id =1, scalability_type =2 (SNR scalability)로 설정 되어 있고,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의 PMT 내 stream_type= 0x1B(AVC 스트림), 두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의 SVC_video_descriptor 내 layer_id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도 2에서 설명되는 3D 비디오 서비스이며, 3D 부가 영상의 화질이 향상된 서비스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연관 관계를 나타낸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의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프로그램 연동형 3D 데이터 서비스인 경우를 나타낸다.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의 PMT 내 첫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3D_service_descriptor에는 StereoMono_service_flag =0로 설정되어 있어, 현재 프로그램이 2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연계된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 PMT내 첫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Auxiliary_service_descriptor에는 auxiliary_service_type = 0x05 (프로그램 연동형 3D 데이터 서비스), service_dependency_flag =1 및 dependency_TSID= 0x10FE(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의 transport_stream_id)로 설정되어, 해당 서비스가 기본 계층과 연계되어 부가적인 프로그램 연동형 3D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을 나타낸다. 또한 두 번째 디스크립터 루프에 stream_type=0x14 (DSM-CC sections containing non-streaming, synchronized data)로 지정되고, 해당되는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등의 3D 객체를 다운로드 한다(ATSC A/92 참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만을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은 일반적인 2차원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에 반해, 계층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기본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은 2차원 영상 위에 이와 연동된 3D 객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수신방법은, 기본 계층을 통한 전송 스트림과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예를 들어 향상 계층)을 통한 전송 스트림을 전달받아,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분석한다. 그리고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그리고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을 복호화하고,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복화화하며,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수신 방법은, 기본 계층을 통한 전송 스트림과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예를 들어 향상 계층)을 통한 전송 스트림을 전달받아,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분석한다. 그리고 기본 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객체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그리고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을 복호화하고, 3D 객체 스트림을 복화화하며,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앞서 설명한 송신 장치 동작의 역순으로 동작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조부(601)는 RF 변조된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과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그리고 복조부(601)는 복조된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과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부(602)로 전달한다.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에는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과 PSI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에는 3D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역다중화부(602)는 PSI 스트림을 먼저 분리하여 PSI 분석부(603)로 전달한다.
PSI 분석부(603)는 역다중화부(602)로부터 PSI 스트림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역다중화부(602)로 전달한다.
역다중화부(602)는 PSI 분석부(603)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에 대한 분석 결과가 전달되면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영상 스트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다시 말해, 역다중화부(602)는 다중화된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TS)과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 헤더에 있는 패킷 식별자(PID) 값이 "0x0000"인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갖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을 찾아 PSI 분석부(603)로 전달한다. 이후, PSI 분석부(603)로부터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와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대한 패킷 식별자(Program_map_PID)를 전달받아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TS)으로부터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정보를 갖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찾아 PSI 분석부(603)로 전달한다. 또한 역다중화부(602)는 향상 계층의 전송 스트림과 관련된 프로그램 번호와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대한 패킷 식별자(PID)를 전달받아,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정보를 갖는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을 찾아 PSI 분석부(603)로 전달한다. 이후 PSI 분석부(603)로부터 기본계층 및 향상계층의 각 구성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과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를 각각 전달받아 각각의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기준영상 스트림, 3D부가영상 기본스트림, 3D부가영상 향상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MPEG-2 디코더(604)는 역다중화부로부터 전달된 기준영상 스트림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SVC 디코더(605)는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전달받아 복호화한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606)는 역다중화부(602)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여기서 각 디코더(604, 605, 606) 이전에 각 스트림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하고, 기본 스트림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하는 기능부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디코더(604, 605, 606)의 구체적인 동작은 기 공지된 기술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합성부(607)는 MPEG-2 디코더(604)의 2D 영상과, SVC 디코더(605)의 3D 부가영상을 입력받아 합성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만을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은 일반적인 2차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반면에, 계층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기본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은 고화질의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3D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수신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수신 장치에서 복조부(601), 역다중화부(602), PSI 분석부(603), MPEG 디코더(604), 오디오 디코더(606)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조부(601)는 RF 변조된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과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과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부(602)로 전달한다.
기본계층 전송 스트림에는 기준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과 PSI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향상계층 전송 스트림에는 3D 객체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역다중화부(602)는 PSI 스트림을 먼저 분리하여 PSI 분석부(603)로 전달한다.
PSI 분석부(603)는 역다중화부(602)로부터 PSI 스트림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역다중화부(602)로 전달한다.
역다중화부(602)는 PSI 분석부(603)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에 대한 분석 결과가 전달되면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영상 스트림, 3D 객체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MPEG-2 디코더(604)는 역다중화부로부터 전달된 기준영상 스트림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3D객체 디코더(701)는 3D 객체 스트림을 전달받아 복호화한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606)는 역다중화부(602)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여기서 각 디코더(604, 605, 606) 이전에 각 스트림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하고, 기본 스트림 패킷을 역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하는 기능부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디코더(604, 606, 701)의 구체적인 동작은 기 공지된 기술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합성부(607)는 MPEG-2 디코더(604)의 2D 영상과, 3D객체 디코더(701)의 3D 객체 데이터를 입력받아 2차원 영상 위에 연동된 3D 객체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본 계층 전송 스트림만을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은 일반적인 2차원 서비스를 제공받는 반면에, 계층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기본계층 및 향상 계층 전송 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은 2차원 영상 위에 2차원 영상과 연동되는 3차원 객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사용자 프레임 처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 MPEG-2 인코더 102: SVC 인코더
103: 오디오 인코더 104: PSI 생성부
105: MPEG-2 다중화기 106: FEC
107: 오류정정부화화 108: RF 변조부

Claims (24)

  1.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된 3차원 영상을 부호화하여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b)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부호화된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3차원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값과,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3차원 서비스 또는 2차원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부가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낸 식별자 값과,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연계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6.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된 객체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객체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b)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3차원 객체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객체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3차원 객체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3차원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값과,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3차원 서비스 또는 2차원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부가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낸 식별자 값과,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및 연계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1.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3차원 영상을 부호화하여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3차원 영상 부호화수단;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기술자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자정보 생성수단; 및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3차원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3차원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다중화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3차원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값과, 상기 3차원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3차원 서비스 또는 2차원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에 포함되는 부가 서비스 기술자는,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임을 나타낸 식별자 값과, 상기 부가 서비스 기술자의 전체 길이와,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과의 연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5.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객체 스트림을 생성하는 3차원 객체 생성수단;
    3D 방송 서비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기술자를 정의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자정보 생성수단; 및
    부호화된 2차원 기준 영상 스트림과 부호화된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기술자를 정의한 정보를 다중화하여 기본 계층을 통해 기준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3차원 객체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상기 기본 계층과 다른 계층을 통해 3차원 객체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다중화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3차원 향상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7.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에 각각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역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 분석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복수의 복호화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제2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9.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각각 복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기본 스트림과 3D 부가영상 향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제2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21.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에 각각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PSI) 분석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객체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수단;
    상기 역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상기 프로그램 상세 정보 분석수단;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객체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복수의 복호화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제2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23.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본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송 스트림과 상기 기본 계층과는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스트림을 각각 복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송 스트림 각각에 포함된 프로그램 상세 정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기준영상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상기 제2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3D 객체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역다중화된 기준영상 스트림과 3D 객체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1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상기 제2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는 제2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서로 연계되는 프로그램들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KR1020110019868A 2010-03-05 2011-03-07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 KR20110101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35 2010-03-05
KR20100020135 2010-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099A true KR20110101099A (ko) 2011-09-15

Family

ID=4454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868A KR20110101099A (ko) 2010-03-05 2011-03-07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320168A1 (ko)
KR (1) KR20110101099A (ko)
WO (1) WO201110890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4782B2 (en) 2013-01-25 2016-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image
KR20210036414A (ko) * 2012-11-27 2021-04-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깊이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영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283A1 (ko) * 2008-12-18 2010-06-24 (주)엘지전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US9693110B2 (en) 2010-06-03 2017-06-27 Cox Communications, Inc Dynamic content stream management
KR20120058702A (ko) * 2010-11-27 2012-06-08 전자부품연구원 디지털 방송에서 서비스 호환 방식 전송 방법
JP2012160813A (ja) * 2011-01-31 2012-08-23 Sony Corp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方法
US9866877B2 (en) * 2011-03-08 2018-01-09 Cox Communications, Inc. Transparent scalable video coding
CN103931200A (zh) * 2011-11-14 2014-07-16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Mvc立体视图与用于3dtv的左或右眼显示器的关联
EP2873232B1 (en) * 2012-07-12 2018-04-25 Saturn Licensing LLC Parameterized services descriptor for advanced television services
JP6571314B2 (ja) * 2013-06-18 2019-09-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
WO2016021365A1 (ja) * 2014-08-07 2016-02-1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JP6301816B2 (ja) * 2014-11-17 2018-03-28 株式会社東芝 送信装置及び送受信システム
US10469856B2 (en) 2014-11-25 2019-11-05 Electronics And Telel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3DTV broadcasting
KR102517570B1 (ko) 2015-02-11 2023-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WO2016129899A1 (ko) * 2015-02-11 2016-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JP6529299B2 (ja) * 2015-03-20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64595A1 (ko) * 2016-03-21 2017-09-28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R3070566B1 (fr) * 2017-08-30 2020-09-04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e recuperation d'un fichier cible d'un logiciel d'exploitation et dispositif d'utilisation
US11606528B2 (en) * 2018-01-03 2023-03-14 Saturn Licensing Ll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3.0 latency-free display of content attribute
US10966001B2 (en) 2018-04-05 2021-03-30 Tvu Networks Corporation Remote cloud-based video production system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etwork delay
US11463747B2 (en) * 2018-04-05 2022-10-04 Tvu Network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time control of a remote video production with multiple streams
GB2598701B (en) * 2020-05-25 2023-01-25 V Nova Int Lt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3709510A (zh) * 2021-08-06 2021-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高速率数据实时传输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7552B2 (ja) * 2005-10-19 2014-09-1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スケーラブル映像符号化を用いた多視点映像符号化
ZA200805337B (en) * 2006-01-09 2009-11-2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ced resolution update mode for multiview video coding
KR100905723B1 (ko) * 2006-12-08 2009-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실시간 기반의 디지털 실감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14A (ko) * 2012-11-27 2021-04-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깊이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영상 시스템
US9264782B2 (en) 2013-01-25 2016-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8903A2 (ko) 2011-09-09
US20120320168A1 (en) 2012-12-20
WO2011108903A3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1099A (ko) 복수 전송 계층 연동형 3d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송신 및 수신 방법, 송신 및 수신 장치
US9036700B2 (en) Simulcast of stereoviews for 3D TV
US83913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encoding data in non-real time and real time in a broadcast signal
US9210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and transmission
CN102835047B (zh) 使用关于多视点视频流的链接信息发送数字广播流的方法和设备以及接收数字广播流的方法和设备
US93922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reproduc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US20090040372A1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40002598A1 (en) Transport system and client system for hybrid 3d content service
US8953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ream
KR20120103511A (ko) 비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방송 서비스 송신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송신 및 수신 방법
EP3439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20140147088A1 (en)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playing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playing method
US201501214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US20100315486A1 (en) Stereoscopic video service providing/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ho et al. Carriage of 3D audio-visual services by T-DMB
CN103843330A (zh)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以及接收方法
KR20110068821A (ko) 송, 수신 장치 및 송, 수신 방법
Lee et al. A backward-compatible, mobile, personalized 3DTV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T-DMB
Kwon et al. Program associated 3D non-real-time service on terrestrial DTV
Lee et al. High-definition 3DTV trial service over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
Lee et al. Delivery system and receiver for service-compatible 3DTV broadcasting
KR101277267B1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102204830B1 (ko) 비-실시간 서비스 기반 지상파 3차원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250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KR20150006340A (ko) 3차원 영상 제공 방법 및 방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