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737A -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 Google Patents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737A
KR20110095737A KR1020100015372A KR20100015372A KR20110095737A KR 20110095737 A KR20110095737 A KR 20110095737A KR 1020100015372 A KR1020100015372 A KR 1020100015372A KR 20100015372 A KR20100015372 A KR 20100015372A KR 20110095737 A KR20110095737 A KR 2011009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otational force
bar
oi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4365B1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100015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65B1/en
Publication of KR2011009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nd to maximize an exercise effect of a user. CONSTITUTION: A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comprises: a main body(110) which is expanded upward and downward; a handle(120) which is expanded to the left and right; a pendulum bar which is combined with the main body; and a torque control unit which is combined with the main body and controls the torque of the pendulum bar by controlling damping force.

Description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Rol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한 후 하반신을 좌우로 굴신시키는 롤링 웨이스트에서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감쇠시키며 그 감쇠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p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capable of attenuating the rotational force required for rotation in a rolling waist for rolling dow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to the left and right after boarding by a user. It is about a mechanism.

근래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파트 단지나 야외의 공원 등에 다양한 체육시설이 설치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many sports facilities are being installed in apartment complexes and outdoor parks.

이러한 체육시설은 성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These sports facilities can be used not only by adults but also by children or the elderly, so safety should be guaranteed.

상기와 같은 체육시설은 롤링 웨이스트나 크로스 컨트리 등의 운동기구가 있다.Such sports facilities include a rolling waist or cross country sports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rol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사용자가 상기 롤링 웨이스트(10)의 발판(20)에 올라선 뒤에 손잡이(30)를 잡고 발판(20) 및 발판(20)을 지지하며 본체(12)에 힌지결합된 팬들럼 바아(pendulum bar: 22)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운동기구로서 심폐기능강화 및 옆구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After the user climbs on the footrest 20 of the rolling waist 10, the handle 30 is supported, and the pendulum bar hinged to the main body 12 supports the footrest 20 and the footrest 20. ) Rotate left / right as an exercise device can strengthe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the side muscles.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기능의 운동기구가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부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운용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of exercise equipment are manufactured and operated to reinforce the user's desired body parts.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는 팬들럼 바아(22)가 본체(12)에 단순히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의 특성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어 최고점에 도달한 후에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가 미숙하다거나 또는 어린이 및 노약자등이 탑승하게 될 경우 하강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 발판(20)에서 떨어져 부상을 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is simply a hinge coupled to the body 12, the paddle bar 22 is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is lowered after reaching the highest point At this time, if the user is immature or if the child and the elderly are to board the falling speed is too fast there is a risk of falling off the footrest 20 to be injured.

또한, 야외에 노출된 운동기구의 특성상 어린이들이 아무런 제한 없이 접근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아이들이 상기 팬들럼 바아(22)를 높이 들었다가 내려놓는 경우 상기 팬들럼 바아(22)가 아무런 저항없이 자유낙하 하였다가 반대편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이 수회 반복되므로, 아이들이 다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exercise equipment exposed to the outdoors there is a case that children are approached without any limitation, when the children lift the fan rum bar 22 and put it down, the fan rum bar 22 fell free without any resistance. Rises to the other side, and this oper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causing children to be injured.

또한, 성인이라고 하더라도 각 개인마다 체력 및 근력이 다른데 중력 이외의 부하를 제공할 수 없을뿐더러, 각 사용자에게 맞는 부하를 제공할 수도 없어 운동효과가 극대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though adults have different physical strength and strength for each individual, not only can not provide a load other than gravit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load for each user can not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의 팬들럼 바아가 회전되는데 부하를 작용시켜, 상기 팬들럼 바아의 회전력을 감쇠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팬들럼 바아를 회전시키는데 보다 많은 힘이 들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load to the rotation of the fan rumbar bar of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attenua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endula bar and to rotate the fan rum b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equipped with a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that can maximize the user's exercise effect by making more for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타단에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팬들럼 바아 및 어느 한측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측이 상기 팬들럼 바아와 결합되어 상기 팬들럼 바아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어느 한측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다른측이 상기 팬들럼 바아와 결합되어 상기 팬들럼 바아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팬들럼 바아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감쇠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s to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caught by the user Handle is provided, one e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fan rumbar bar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main body,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fan rum bar Rotatably couples the pendulum bar with respect to the body, one side is coupled to the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with the pendulum bar to rotatably engage the pandulum bar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attenu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ndulum bar Generating a damping force,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damping force; Luer the rolling waste type exercise device provided with a rotation force control unit is provided which.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 또는 팬들럼 바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내부에 원통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된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힌지커버, 상기 본체 또는 팬들럼 바아 중 상기 힌지바디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바디와 힌지커버의 중앙부위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수용공간과의 사이에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챔버를 형성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벽을 향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오일 챔버내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오일 챔버내의 오일을 밀어내는 베인, 상기 베인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유동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힌지 일 수 있다.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or the pandle bar, and forms a receiving space of a cylindrical shape therein, the hinge body of one side is opened, coupled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hinge body to close the receiving space An oil chamber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of the hinge cover, the main body or the paddle bar that is not coupled to the hinge body, rotatably penetrates the center portion of the hinge body and the hinge cover and is filled with oil between the receiving space. A hinge shaft which is formed along the hinge shaft from the hinge shaft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and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in the oil cha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the oil in the oil chamber A vane for pushing the vane, a bypass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il pushed by the vane flows, the bar It may be an oil hinge including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 path.

상기 오일힌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힌지 샤프트를 향해 상기 수용공간 내측벽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인에 의해 밀려지는 상기 오일 챔버 내의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베인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차단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차단블록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il hinge is formed along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toward the hinge shaft, and blocks the movement of oil in the oil chamber pushed by the vane and the rotation range of the vane Blocking blocks for limiting the further provided, the bypass flow path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lock.

또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힌지바디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ypass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hinge body.

그리고,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인스톨 홈,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통된 부분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바디, 상기 인스톨 홈의 개구된 부분에 치합되어 상기 인스톨 홈을 폐쇄하면서, 회전량에 따라 상기 인스톨 홈 내부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바디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편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valve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e bypass flow passage, a spring locat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n inner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The valve body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bypass flow passage, and is engaged with the opene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to close the installation groove, while moving in or out of the installation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It may comprise a control screw for supporting the valve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또한, 상기 밸브바디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스톨 홈 내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valve body may include an upper ring and a lower flange, and may include an O-ring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본 발명의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팬들럼 바아가 하강할 때 회전력 조절유닛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하여 비교적 천천히 하강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rotational force is reduced by the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when the fan lumber bar descends to lower relatively slowly, there is less fear of a safety accident.

둘째, 팬들럼 바아를 회전시킬 때 회전력 조절유닛에 의해 부하가 작용됨으로써 사용자가 팬들럼 바아를 회전시키기 위해 부하량 이상의 힘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운동효과가 향상된다.Second, since the load is applied by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when rotating the pendulum bar, the user must exert a force greater than the load to rotate the pendulum bar, thereby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

셋째, 회전력 조절유닛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팬들럼 바아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해져야 하는 힘을 사용자의 체력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ird, since the damping force of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can be adjusted, the force to be applied to rotate the pendulum ba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strength, thereby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넷째, 팬들럼 바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자체에서 감쇠력이 발생되므로, 감쇠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damp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hinge itself to rotatably couple the pendulum bar,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damping forc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다섯째, 오일의 점성에 따른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힌지의 회전 감쇠력을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작동횟수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절력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조절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Fifth, since the rotation damping force of the hinge is controlled by using the flow resistance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oil, the control force does not deteriorate with the number of operation times or the time, so the adjustment force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maintenance is easy. hav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롤링 웨이스트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롤링 웨이스트의 팬들럼 바아가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오일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힌지바디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오일힌지의 힌지바디를 삭제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바이패스 유로 및 조절밸브가 위치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4의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조절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따른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A-A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B-B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C-C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2의 마찰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8은 도 12에 가압부의 구성이 부가된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조절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rolling waist exercise equip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ing waist equipp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how the pandlum bar of the rolling waist of FIG. 2 is rotat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il hinge applied to this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hinge body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 body of the oil hinge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8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where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control valve of FIG. 4 are locate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valve of FIG.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ing waist equipp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with a friction pad applied to this embodiment;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A section of FIG. 12;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B section of FIG. 12; FIG.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12;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iction pad of FIG. 12;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having a friction pad to which the pressing unit is configured in FIG. 12.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이하, '롤링 웨이스트'라 칭하기로 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손잡이(120) 및 팬들럼(pendulum) 바아(130)와 회전력 조절유닛(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rolling waste type exercis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olling waste') having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main body 110, a handle 120, and a pendulum. ) May include a bar 130 and a rotation force adjusting unit 140.

상기 본체(1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바닥면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의 하중이 더해진 작동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바닥면에 깊숙히 박힌다던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main body 11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e main body 110 is firmly fixed by being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so as not to shake even when the user's load is added to the operating shock.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본체(11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된 후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연장되어 사용자가 양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손잡이(120)는 사용자의 어깨보다 다소 넓은 너비를 가지며, 사용자의 어깨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12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the left and right side and then bent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both hands. At this time, the handle 120 has a slightly wider width than the shoulder of the user, it is preferably provided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shoulder of the user.

상기 팬들럼 바아(130)는 일단이 상기 본체(110)의 손잡이가 형성된 면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하측 끝단에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132)이 마련된다. 이 때,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일단은 후술하는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an rum bar 130 has one end coupled to a surface on which the handle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and extends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fan rum bar 130 is provided with a footrest 132 so that the user can rise. At this time,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of the pendulum bar 130 is coupled to the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따라서, 상기 팬들럼 바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발판(132)에 올라선 후 손잡이(120)를 잡고 하체를 좌/우측으로 흔들면 상기 팬들럼 바아(130) 또한 진자처럼 좌/우측으로 스윙되면서 허리 및 옆구리 근육을 굴신시켜 근력 및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pandlum bar 130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user climbs on the footrest 132 of the pandulum bar 130 and grabs the handle 120 and shakes the lower body to the left / right side, the pandulum bar 130 also swings to the left / right side like a pendulum while the waist and side By stretching the muscles will improve muscle strength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은 상기 팬들럼 바아(130)를 상기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회전력을 조절하며, 상기 감쇠력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rotatably couples the pandulum bar 130 to the main body 110, thereby applying a damping force to attenu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ndulum bar 130, thereby rotating the pandulum bar 130. Adjusting, the damping force is provided to enable adjustm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으로서 오일힌지(200)가 구비되는 것을 제시한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sented that the oil hinge 200 is provided as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상기 오일힌지(20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바디(210)와 힌지커버(220) 및 힌지 샤프트(230)와 베인(240), 바이패스 유로(260)와 조절밸브(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7, the oil hinge 200 includes a hinge body 210, a hinge cover 220, a hinge shaft 230, a vane 240, a bypass flow path 260, and a control valve. And 270.

상기 힌지 바디(21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힌지(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수용공간(212)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힌지 바디(210)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힌지 샤프트(230)가 관통되는 구멍(215)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바디(210)는 본체(110) 또는 팬들럼 바아(130)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5 and 7, the hinge body 210 forms an overall appearance of the oil hinge 200, and a receiving space 212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herein so that one side is opened. In addition, a hole 215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23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hinge body 210. The hinge body 210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110 or the pendulum bar 130, and in this embodiment, the hinge body 210 is fixed to the main body 110.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바디(210)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212)을 폐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힌지커버(220)의 중앙부에도 후술하는 힌지 샤프트(23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hinge cover 220 is coupled to an open portion of the hinge body 210 to close the receiving space 212. A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s also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hinge cover 220.

상기 힌지 샤프트(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바디(210)와 힌지커버(220)의 중앙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힌지 바디(210)의 수용공간(212) 내측벽과 상기 힌지 샤프트(230)와의 사이에는 오일이 봉입되는 오일챔버(214)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230)는 상기 본체(110) 또느 팬들럼 바아(130)중 상기 힌지 커버(220)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측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들럼 바아(13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6, the hinge shaft 230 rotatably penetrates the central portions of the hinge body 210 and the hinge cover 220, and within the receiving space 212 of the hinge body 210. An oil chamber 214 in which oil is enclosed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hinge shaft 230. The hinge shaft 2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or the pendulum bar 130, which is not coupled to the hinge cover 220, in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pendulum bar 130, for example. Will be explained.

또한, 상기 힌지 샤프트(230)의 상기 힌지 바디(210) 및 힌지커버(22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폐하는 베어링(232)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hinge shaft 230 coupled with the hinge body 210 and the hinge cover 220 is provided with a bearing 232 for rotatably coupling the hinge shaft 230 so as not to leak oil. Can be.

그리고, 베인(2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샤프트(23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 샤프트(230)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2)의 내측벽을 향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베인(240)은 상기 힌지 샤프트(230)의 회전을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베인(240)은 상기 수용공간(212)의 내측벽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오일챔버(214) 내부의 오일을 밀어내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vane 2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inge shaft 230,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hinge from the hinge shaft 230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212 It extends along the shaft 230. Accordingly, the vane 240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230 along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230, the vane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212, the oil It is made to push the oil inside the chamber 214.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상기 오일챔버(214)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베인(240)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상기 오일챔버(214) 외측으로 우회하여 유동되는 통로이다.7 and 8,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ypass passage 260 communicate with the oil chamber 214 so that the oil pushed by the vane 240 is the oil chamber ( 214) A passage that bypasses and flows outward.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2) 내벽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차단블록(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록(250)은 상기 베인(240)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계속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인(240)의 회전범위 또한 상기 차단블록(250)의 위치 및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a blocking block 250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2 toward the hinge shaft 23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blocking block 250 is made to block the oil that is pushed by the vane 240 continues to move. In addi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vane 240 is also limited by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blocking block 250.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는 상기 힌지 바디(2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블록(250)이 형성된 지점의 오일챔버(214)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ypass flow path 260 is formed inside the hinge body 210, it may be made to communic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il chamber 214 of the point where the blocking block 25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는 상기 힌지 바디(2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단블록(250)을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ypass flow path 26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med inside the hinge body 2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blocking block 250. have.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인(240)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했을 때, 상기 베인(240)의 전측과 차단블록(250) 사이의 공간을 제1오일챔버(216)라 칭하고, 상기 베인(240)의 후측과 차단블록(250) 사이의 공간을 제2오일챔버(218)라 칭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vane 24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space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vane 240 and the blocking block 250 is defined by the first oil chamber. A space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vane 240 and the blocking block 250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oil chamber 218.

즉, 상기 베인(2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제1오일챔버(216)내의 오일은 상기 베인(240)에 의해 밀리는데, 상기 차단블록(250)으로 인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통해 제2오일챔버(218)로 유동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베인(2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통해 제2오일챔버(218)의 오일이 제1오일챔버(216)로 유동된다.That is, if the vane 24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oil in the first oil chamber 216 is pushed by the vane 240, and the bypass flow path 260 due to the blocking block 250. It is to flow to the second oil chamber 218 through). Of course, even when the vane 24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oil of the second oil chamber 218 flows to the first oil chamber 216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60.

도 7 및 도 9의 도면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힌지 바디(210)의 외부까지 연통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형성할 때 제작상 편의의 이유로 외측으로부터 뚫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제작 후에는 별도의 재료로 폐쇄되어 바이패스 유로(260)를 지나는 오일이 새지 않도록 이루어진다.7 and 9 illustrate that the bypass flow path 26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hinge body 210. However, when the bypass flow path 260 is formed, the bypass flow path 260 is drilled from the outside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It is formed because it is easy, and after the bypass flow path 260 is made of a separate material is made so that the oil pass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60 does not leak.

한편, 상기 조절밸브(27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내에 유동되는 오일의 유동저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valve 270 is made to control the flow resistance of the oil flowing in the bypass flow path 260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path 260, as shown in FIGS. .

즉,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가 최대로 되면, 상기 오일의 유동저항이 최소가 되므로 감쇠력은 최소가 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가 최소가 되면 상기 오일의 유동저항이 최대가 되므로 감쇠력이 최대가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path 260 is maximized, the damping force is minimized becau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oil is minimum, and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path 260 is minimum, the flow resistance of the oil is reduced. Since the maximum, the damping force is the maximum.

상기와 같은 조절밸브(270)는 인스톨 홈(272)과, 스프링(274) 및 밸브바디(275)와 조절나사(2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valve 27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roove 272, a spring 274, a valve body 275, and an adjustment screw 279.

상기 인스톨 홈(272)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상기 힌지 바디(210)에 형성되었으므로, 상기 인스톨 홈(272) 또한 상기 힌지 바디(210)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The installation groove 27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260. Since the bypass flow path 260 is formed in the hinge body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groove 272 is also formed in the hinge body 210.

그리고,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부에 끝단에는 상기 인스톨 홈(272)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274)이 구비된다.The end of the installation groove 272 is provided with a spring 274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272.

그리고, 상기 밸브바디(275)는 상기 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valve body 275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272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274.

상기 조절나사(279)는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주면과 치합되어 상기 인스톨 홈(272)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279)는 상기 밸브바디(275)가 상기 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편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바디(275)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adjusting screw 279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272 and is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272 to seal the installation groove 272. In addition, the adjustment screw 279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alve body 275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274 to support the valve body 275.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279)는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274)에 의해 지지되는 밸브바디(275)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adjustment screw 279 moves inward or outward of the installation groove 272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valve body 275 supported by the spring 274. .

또한, 상기 밸브바디(275)는 상부 플랜지(276)와 하부 플랜지(277) 및 상기 상부 플랜지(276)와 하부 플랜지(277)의 사이에 구비되는 오링(2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ve body 275 may include an upper flange 276 and a lower flange 277 and an O-ring 278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276 and the lower flange 277.

여기서, 상기 오링(278)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밀폐하기 충분한 두께 또는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ring 278 is preferably made of a thickness or height sufficient to seal the bypass passage 260.

즉, 상기 오링(278)이 구비된 밸브바디(275)가 조절나사(279) 및 스프링(274)에 의해 상기 인스톨 홈(272)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이다.That is, the valve body 275 provided with the O-ring 278 is mov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272 by the adjustment screw 279 and the spring 274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path 260. will be.

즉, 상기 오링(278)이 구비된 밸브바디(275)가 상기 인스톨 홈(272) 내부의 바이패스 유로(260)와 연통된 부분을 완전히 막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완전히 막힘으로써 오일의 유동이 불가능해져 감쇠력이 최대가 되며, 상기 밸브바디(275)가 상기 인스톨 홈(272)의 바이패스 유로(260)와 연통된 부분을 완전히 벗어난 곳에 위치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완전히 개방되게 되어 감쇠력이 최소가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valve body 275 provided with the O-ring 278 completely blocks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bypass flow path 260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272, the bypass flow path 260 is completely blocked, thereby preventing oil. Of the valve body 275 is located at a position completely out of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bypass flow path 260 of the installation groove 272, so that the bypass flow path 260 is completely It is opened so that the damping force is minimal.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이 조절되는 오일힌지(200)가 운동기구등의 힌지부분에 결합된다면 상기 조절나사(279)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회전운동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력 및 근력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가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oil hinge 200 is adjusted to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such as by adjusting the adjusting screw 279 can adjust the damping force of the rotational movement to the user's physical strength and muscle strengt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exercise load to the user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또한, 회전력의 감쇠 수단으로서 점성을 가진 오일의 유동저항을 이용하므로, 사용횟수 및 기간이 늘어나도 일정한 감쇠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롤링 웨이스트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oil having viscosity as the damping means of the rotational for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amping force even if the number of times and the period of us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smoothly rotate the rolling waist.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로서 오일힌지(200)를 사용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로서 마찰힌지(300)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oil hinge 200 was used as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hinge 300 is used as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Can b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100)는 본체(110), 손잡이(120) 팬들럼 바아(130), 발판(132) 및 회전력 조절유닛(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lling wais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wai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main body 110, the handle 120, the pandulum bar 130, the footrest 132, and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and this configuration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로서 오일힌지(200)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힌지를 사용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il hinge 200 is used as the rotation force adjusting unit 140, but 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hinge may be used.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와 하우징(320) 및 샤프트(330)와 피봇암(340) 및 마찰패드(352, 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2 and 13, the friction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310, a housing 320, a shaft 330, a pivot arm 340, and friction pads 352 and 354. Can be done.

상기 베이스(310)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밑판(312)의 중심에서 소정높이 돌출된 서포트부(314)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314)는 대략 원기둥의 형태를 이루며, 끝단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10)는 본체(110) 또는 팬들럼 바아(130)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13 and 15, the base 3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part 314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substantially circular base plate 312 is formed. The support portion 31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end surface is made of a flat surface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base 310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110 or the pendulum bar 130, and in this embodiment, the base 310 is fixed to the main body 110 as an example.

그리고,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베이스(310)의 서포트부(314) 외주면에 치합되며, 치합된 후 회전되면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314)의 돌출된 길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320 is engag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4 of the base 310, and is rotated after being engaged and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 the protruding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314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It is provided to be.

또한, 상기 하우징(320)은 그 내부에 상기 서포트부(314)와의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326)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ousing 320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326 between the support portion 314 therein.

그리고, 상기 하우징(320)의 상기 원통형태의 서포트부(314)의 지름방향을 향하는 측면에는 개구부(328)가 서로 바라보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다.The openings 328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32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upport part 314 facing each other.

이 때, 상기 하우징은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22)과 제2하우징(324)으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may be divided into a first housing 322 and a second housing 324, as shown in Figure 13 and 15 to 16.

상기 제2하우징(324)은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속이 빈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부(314)의 외주면에 치합되도록 상기 베이스(310)의 밑판(312)을 향하는 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부(314)와 나사 결합된다. The second housing 324 may be formed in a hollow hollow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opened, and the side facing the bottom plate 312 of the base 310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14.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14.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324)은 회전방향에 따라 의해 상기 서포트부(314)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된다.Therefore, the second housing 324 is mov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4 by the rotation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322)은 상기 제2하우징(324)의 서포트부(314)와 치합된 맞은편에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322)은 상기 서포트부(314)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하우징(322)의 제2하우징(324)과 결합하는 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324)과 결합했을 때 개구부(328)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322 is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engaged with the support portion 314 of the second housing 324. The first housing 322 is recessed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with the support part 314. At this time,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322 to engage with the second housing 324 is formed to be concave to face each other to form an opening 328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housing 324.

상기 샤프트(330)는 상기 베이스(310)와 상기 하우징(3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샤프트(330)와 하우징(320)의 사이에는 베어링(302)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3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The shaft 330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base 310 and the housing 320. At this time, a bearing 302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330 and the housing 320 to rotatably support the shaft 330.

상기 피봇암(340)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20)과 서포트부(31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326)에서 상기 샤프트(330)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32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328)를 통해 상기 하우징(320)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서포트부(314)의 윗면과 대략 평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암(340)의 양 끝단에는 결합공(34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42)는 상기 본체(110) 또는 팬들럼 바아(130)중 상기 힌지 커버(220)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측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들럼 바아(13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13 and 15, the pivot arm 340 is coupled to the shaft 330 in the inner space 326 formed between the housing 320 and the support part 314 and the housing. It is provid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20 through the opening 32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320). At this time, the pivot arm 340 is formed to have a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14. In addition, coupling holes 34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vot arm 340, and the coupling hole 342 is not connected to the hinge cover 220 of the main body 110 or the pandle bar 13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example that is coupled to the pendulum bar 130.

상기 샤프트(330)가 상기 하우징(3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므로, 상기 피봇암(340) 또한 상기 하우징(320) 및 베이스(3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하우징(320)의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3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범위(304)는 실질적으로 상기 개구부(328)가 형성된 각도 범위만큼으로 제한된다.Since the shaft 33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20, the pivot arm 340 is also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20 and the base 310. However, as shown in FIG. 4, since the pivot arm 340 extends outside the housing 320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320, the rotation range 304 of the pivot arm 340 is substantially reduced. As a result, the opening 328 is limited to the formed angle range.

따라서, 상기 피봇암(340)과 결합된 팬들럼 바아(130)도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andlum bar 130 coupled to the pivot arm 340 is also rotated along the rotation of the pivot arm 340.

그리고,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되어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구성요소이다.13 and 14,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friction components with the pivot arm 340 to attenu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vot arm 340.

상기와 같은 마찰패드(352, 354)는 상기 하우징(32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부(31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하우징(320)의 내측벽면에 의해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되도록 이루어진다.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320 to the pivot arm 340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320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314. It is made to be rubbed with the pivot arm 340 by being pressed.

이 때,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상기 피봇암(340)의 샤프트(330)와 직각을 이루는 면, 즉, 상기 서포트부(314)의 윗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과 마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preferably made to rub against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haft 330 of the pivot arm 340, that is, a surfac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4. Do.

한편, 상기 샤프트(330)와 피봇암(340)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332)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332)는 상기 샤프트(330)가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샤프트(330)와 키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3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샤프트(330)와 압착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샤프트(330)와 반드시 압착고정될 필요는 없으며 자유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a spacer 332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330 and the pivot arm 340. The spacer 332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haft 330 and is key-coupled with the shaft 33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330. In addition, the pivot arm 340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and fixed to the shaft 330. Of course, the pivot arm 34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ixed to the shaft 330 and may be made to rotate freely.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찰패드(352)와 제2마찰패드(354)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15 to 16,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may include a first friction pad 352 and a second friction pad 354.

상기 제1마찰패드(352)와 제2마찰패드(35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상기 샤프트(330) 및 스페이서(332)가 관통되는 홀(35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마찰패드(352)와 제2마찰패드(354)의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되는 부분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주면까지 연장된 홈(358)이 소정간격 형성되어 마찰패드(352, 354)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분진 등이 마찰면에 잔류하지 않고 홈(358)에 모인 후 외부로 배출 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first friction pad 352 and the second friction pad 354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have a hole 356 through which the shaft 330 and the spacer 332 pass through a central portion thereof. ) Is formed.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friction pad 352 and the second friction pad 354 that is rubbed with the pivot arm 340 is provided with grooves 358 exte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rad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by providing a friction pad 352. , 354 may be provided to collect dust in the groove 358 without remaining on the friction surface an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improve the friction force.

상기와 같은 마찰패드(352, 354)는 석면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근 석면에 대한 인체의 유해성이 대두되고 있어 유리섬유나 암면 세라믹 섬유나 철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케블러 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n asbestos-based material, but recently, the harmfulness of the human body to asbestos has emerged,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rock wool ceramic fiber, iron fiber, polypropylene fiber, or Kevlar fiber This may be made,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마찰패드(352)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32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322)과 피봇암(340)의 사이에 구비된다.15 and 16, the first friction pad 352 i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322,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322 and the pivot arm 340.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2마찰패드(354)는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340)과 베이스(310)의 서포트부(314) 사이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riction pad 354 is provided between the pivot arm 340 and the support part 314 of the base 310 as shown in FIGS. 15 to 16.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서포트부(314)의 외주면에 치합되어 상기 서포트부(314)의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마찰패드(352) 및 제2마찰패드(354)가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달라진다.Therefore, as the housing 320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14 and moves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4, the first friction pad 352 and the second friction pad The force that the 354 is pressed toward the pivot arm 340 is different.

즉,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베이스(310)의 밑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제1마찰패드(352)를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제2마찰패드(354)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마찰패드(352, 354)와 피봇암(340)간에 마찰력이 증대되어 회전에 대한 감쇠력이 강해지며, 반대로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베이스(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마찰패드(352) 및 제2마찰패드(354)가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약해지므로 마찰력 또한 약해져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에 대한 감쇠력이 약해지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housing 320 is moved to the bottom side of the base 310, the housing 320 presses the first friction pad 352 toward the pivot arm 340 and accordingly the pivot arm 340. ) Is pressed toward the second friction pad 354,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nd the pivot arm 340 is increased, so that the damping force against rotation is increased, and the housing 320 is connected to the base ( When the first friction pad 352 and the second friction pad 354 are moved to a direction away from the 310, the force applied to the pivot arm 340 is weakened,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is weakened, and thus the rotation of the pivot arm 340 is reduced. Damping force is weakened.

또한,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 전범위(304)에 걸쳐 상기 마찰패드(352, 354)와 접촉하게 되므로 균일한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over the entire rotation range 304 of the pivot arm 340, thereby providing uniform damping force. It works.

한편,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함으로써 피봇암(340)의 회전력을 감쇠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마찰횟수가 증가할수록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될수록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패드(352, 354)간의 간격이 발생하거나 벌어지게 되어 마찰패드(352, 354)가 피봇암(340)에 눌려지는 압력이 줄어들어 감쇠력이 줄어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ttenu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vot arm 340 by rubbing with the pivot arm 340, wear may occur as the number of repeated frictions increases. As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wear, a gap between the pivot arm 340 and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occurs or opens, so that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pressed by the pivot arm 340. This reduction can reduce the damping force.

따라서,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된 만큼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상기 피봇암(3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360)가 더 구비될 수 도 있다.Therefore, the pressing unit 360 may move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toward the pivot arm 340 as much as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worn out.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iction hi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는 베이스(310) 및 하우징(320), 샤프트(330), 피봇암(340), 마찰패드(352, 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riction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310 and a housing 320, a shaft 330, a pivot arm 340, and friction pads 352 and 354, and the above components are described above.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는 전술한 실시예의 마찰힌지에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riction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ressing unit in the friction hi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가압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된 만큼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상기 피봇암(3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피봇암(340)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unit is a component for moving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toward the pivot arm 340 as much as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worn out. It is shown that the friction pad 352, 354 includes a spring 36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vot arm 340 side.

즉,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상기 스프링(360)에 의해 상기 마찰패드(352, 354)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되어도 마모된 만큼 피봇암(340)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피봇암(340)과의 접촉을 항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are elastically pressed by the springs 360 toward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the pivot arms 340 wear as much as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wear. Move to the side) to maintain contact with the pivot arm 340 at all times.

물론, 상기 하우징(3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360) 또한 신축하여 변위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피봇암(340) 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감쇠력 또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spring 360 is also stretched and contracted by the movement of the housing 320, so that the force for pressing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toward the pivot arm 340 can be adjusted. It is adjustab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360)이 제2마찰패드(354)와 서포트부(314)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개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하우징(322)과 제1마찰패드(352)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360 is disclosed as an exampl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riction pad 354 and the support portion 3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housing 322 and the first One friction pad 352 may be provided between o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따라서,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패드(352, 354)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회전에 감쇠력이 작용됨으로써 상기 팬들럼 바아(130)의 회전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damping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ion of the pandulum bar 130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ivot arm 340 and the friction pads 352 and 354 to adjus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ndulum bar 13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롤링 웨이스트 110: 본체
120: 손잡이 130: 팬들럼 바아
200: 오일힌지 210: 힌지바디
212: 수용공간 214: 오일챔버
215: 구멍 216: 제1오일챔버
218: 제2오일챔버 220: 힌지커버
230: 힌지 샤프트 232: 베어링
240: 베인 250: 차단블록
260: 바이패스 유로 270: 조절밸브
272: 인스톨 홈 274: 스프링
275: 밸브바디 276: 상부 플랜지
277: 하부 플랜지 278: 오링
300: 마찰 조절유닛 302: 베어링
304: 회전범위 310: 베이스
312: 밑판 314: 서포트부
320: 하우징 322: 제1하우징
324: 제2하우징 326: 내부공간
328: 개구부 330: 샤프트
332: 스페이서 340: 피봇암
342: 결합공 352: 제1마찰패드
354: 제2마찰패드 356: 홀
358: 홈 360: 스프링
100: rolling waist 110: main body
120: handle 130: pendulum bar
200: oil hinge 210: hinge body
212: accommodation space 214: oil chamber
215: hole 216: first oil chamber
218: second oil chamber 220: hinge cover
230: hinge shaft 232: bearing
240: vane 250: blocking block
260: bypass flow path 270: control valve
272: installation home 274: spring
275: valve body 276: upper flange
277: lower flange 278: O-ring
300: friction control unit 302: bearing
304: rotation range 310: base
312: base 314: support part
320: housing 322: first housing
324: second housing 326: internal space
328: opening 330: shaft
332: spacer 340: pivot arm
342: coupling hole 352: first friction pad
354: second friction pad 356: hole
358: groove 360: spring

Claims (6)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타단에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된 팬들럼 바아; 및
어느 한측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다른측이 상기 팬들럼 바아와 결합되어 상기 팬들럼 바아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팬들럼 바아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감쇠력의 조절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팬들럼 바아의 회전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A main bod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ing to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andle provided at the main body, the handle being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held by the user;
A fan lumbar bar having one foot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footrest on which the user can climb on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other side;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body, the other side is coupled with the pandlum bar to rotatably couple the pandlum bar with respect to the body, generating a damping force to damp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ndlum bar, and adjusting the adjustment of the damping force. By rotating the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endulum bar;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ment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 또는 팬들럼 바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내부에 원통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된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힌지커버;
상기 본체 또는 팬들럼 바아 중 상기 힌지바디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바디와 힌지커버의 중앙부위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수용공간과의 사이에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챔버를 형성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벽을 향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오일 챔버내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오일 챔버내의 오일을 밀어내는 베인;
상기 베인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유동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A hinge body coupl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or the pendulum bar, forming a cylindrical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one side opened;
A hinge cover coupled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hinge body to close the receiving space;
The hinge body is coupl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or the pandle bar which is not coupled, and rotatably penetrat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hinge body and the hinge cover, and forms an oil chamber filled with oil between the receiving space. Hinge shaft;
A vane formed along the hinge shaft from the hinge shaft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rotate the hinge shaft in the oil chamber as a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to push oil in the oil chamber;
A bypass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il pushed by the vane flows;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flow path;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il hinge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힌지 샤프트를 향해 상기 수용공간 내측벽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인에 의해 밀려지는 상기 오일 챔버 내의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베인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차단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차단블록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Blocking block is formed along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toward the hinge shaft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ing space, blocking the movement of oil in the oil chamber pushed by the vane and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vane Is further provided,
The bypass flow path,
Rolling waste typ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힌지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bypass flow path,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hing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인스톨 홈;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통된 부분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바디;
상기 인스톨 홈의 개구된 부분에 치합되어 상기 인스톨 홈을 폐쇄하면서, 회전량에 따라 상기 인스톨 홈 내부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바디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편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는 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valve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e bypass flow path;
A spring locat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A valve body position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nd adjusting an opening degree of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bypass flow path according to a position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 adjustment screw which is engaged with the opene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closes the installation groove, and moves in or out of the installation groove according to a rotation amount to support the valve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스톨 홈 내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5,
The valve body,
It is formed includ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Rolling waste typ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adjust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ring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KR1020100015372A 2010-02-19 2010-02-19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KR101174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72A KR101174365B1 (en) 2010-02-19 2010-02-19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72A KR101174365B1 (en) 2010-02-19 2010-02-19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37A true KR20110095737A (en) 2011-08-25
KR101174365B1 KR101174365B1 (en) 2012-08-16

Family

ID=4493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372A KR101174365B1 (en) 2010-02-19 2010-02-19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58B1 (en) * 2010-09-17 2013-01-22 천창호 Rotation exercise equipment
KR101404053B1 (en) * 2013-06-24 2014-06-27 김국진 Rolling exercis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41Y1 (en) 2005-06-02 2005-08-18 정길균 A Public exercising machine like a surf board
JP2007050194A (en) 2005-07-20 2007-03-01 Minoura:Kk Resisting device for exercise machine
KR100882246B1 (en) * 2008-05-28 2009-02-10 (주)디자인파크개발 Rolling waist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58B1 (en) * 2010-09-17 2013-01-22 천창호 Rotation exercise equipment
KR101404053B1 (en) * 2013-06-24 2014-06-27 김국진 Rolling exercis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365B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867B2 (en) Dishwasher door with counterbalance assembly
JP5103471B2 (en) Hinged structures for self-closing doors and other glass doors and the like, and assemblies with such structures
US20030032535A1 (en) Magnetic control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KR101174365B1 (en) Roo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US20110031863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a height-adjustable storage device
KR20120029853A (en) Washing machine
KR101174364B1 (en) Cross-Country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WO2019148883A1 (en) High-rise escape backpack
KR101174366B1 (en) Exercise Apparatus Having Rotating Force Adjusting Unit For Pulling Way With Both Arms
KR20000049739A (en) Elasticity-controllable trampoline using plate spring
KR101962746B1 (en) Stand type speening plaything
KR101475373B1 (en) Barbell type outdoor exercise device
KR200399555Y1 (en) An apparatus for governing opening angle of door
CN209346427U (en) Rocking chair driving device
CN217794286U (en) Hula hoop
JPH03267029A (en) Setting up device of toilet seat and cover
JPH11230229A (en) Damper
KR102396397B1 (en) Waist rotation exercise equipment
CN109457445B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102534584B1 (en) A device for supporting curved door of a toilet booth
CN208982494U (en) A kind of bearing adjusters
JP6473945B1 (en) Balance exercise equipment
JP4695455B2 (en) Fluid friction resistance type braking device
KR20050019230A (en) Chair foot support
TW202136664A (en) Shock-absorbing twis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