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581A - 평판평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평판평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581A
KR20110095581A KR1020100015129A KR20100015129A KR20110095581A KR 20110095581 A KR20110095581 A KR 20110095581A KR 1020100015129 A KR1020100015129 A KR 1020100015129A KR 20100015129 A KR20100015129 A KR 20100015129A KR 20110095581 A KR20110095581 A KR 2011009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and assembly
panel
main bod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126B1 (ko
Inventor
류재용
송홍성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1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평판형 액정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액정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가 내장되며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를 상기 본체부에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패널부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측과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이동 수단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어 제3 및 제4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평판평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The stand assembly for flat video display appliance}
본 발명은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시 또는 벽에 걸어 사용할 때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평판형 영상표시장치는 데스크 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다.
이들 평판형 영상표시장치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영상크기의 CRT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최근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젼 등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스탠드 어셈블리(stand assembly)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는 시스템 보드가 내장된 본체부와, 지지대 및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부를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사용할 경우, 시스템 보드가 본체부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벽걸이 시에 상기 본체부를 제거할 수가 없다. 또한, 벽걸이 시에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영역이 증가할 뿐아니라 포장시에도 포장 부피가 커져 운반 및 관리에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를 여러 각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지지대와 체결되는 패널부에 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가 상기 레일을 통해 상하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가 내장된 본체부에 상기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함으로써, 벽걸이시에 상기 지지대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 어셈블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가 내장되며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를 상기 본체부에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패널부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측과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이동 수단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어 제3 및 제4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시스템 보드가 내장된 본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벽걸이 및 포장시에 상기 지지대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지지대의 상하단부에 상기 패널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종래의 힌지 어셈블리를 대체함으로써 힌지 어셈블리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패널부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1의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지지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100)와, 상기 패널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가 내장된 본체부(130)와, 상기 패널부(100)를 상기 본체부(130)에 지지하는 지지대(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부(100)는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다수의 데이터라인이 배열된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상기 표시패널과 광원 유닛을 수납하고 고정시키는 조립 기구물 및 상기 조립 기구물과 체결되는 시스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30)는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100)의 하중을 지탱해준다. 이때, 상기 본체부(130)는 상기 패널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일정 이상의 강도와 무게가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30)는 상기 패널부(100)가 외력 도는 자중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로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바닥면과 접하는 면적이 충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널부(100)에서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배면부에는 상기 지지대(120)의 양측과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120)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이동 수단(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 수단(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시 또는 포장할 때에 상기 지지대(120)의 양측 상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100)은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에 상기 지지대(120)의 양측 상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대(12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115)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 공간(115)으로 상기 지지대(120)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에 벽에서 돌출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공간(115)으로 상기 지지대(120)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포장될 때에 포장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부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수단(100)의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120a, 1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부(130)와 체결되어 상기 패널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3 및 제4 고정부(120c, 120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대(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120a ~ 120d)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수단(140)은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되는지 또는 스탠드 형으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120a ~120d)를 상기 지지대(1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20a, 120b)는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에 상기 제어 수단(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대(1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 수단(110)의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20a, 120b)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20a, 120b)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의 홈을 따라 상기 사각형 모양의 형태로 패널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20a, 120b)가 상기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이동 수단(110)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 벽에서 돌출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20a, 120b)를 구비한 지지대(120)는 상기 패널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종래의 힌지 어셈블리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고정부(120c, 120d)는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스탠드 형으로 사용될 때에 상기 제어 수단(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대(1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130)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고정부(120c, 120d)는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30)와 체결될 때 상기 다각형 형태의 각도로 상기 본체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지지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의 내부는 제어 수단(140)의 제어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지지 구조물(121a, 121b)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 구조물(121a, 121b)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제어 수단(140)에 따라 제어되는데, 상기 스프링(15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구조물(121a, 121b)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 상단부는 상기 이동 수단(110)의 제1 및 제2 레일(110a, 110b)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본체부(130)와 체결된다.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30)는 상기 패널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시스템 보드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60a, 160b)에 각각 실장된다. 상기 본체부(130)는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본체부(130) 내부로 슬라이드 되는 내부 공간(17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공간(170)은 상기 본체부(130)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60a, 16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내부 공간(170)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본체부(130)에 상기 지지대(120)가 수납되기 때문에 벽에서 돌출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부(100)와 상기 본체부(130)의 시스템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성 회로 필름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패널부(100)의 이동수단(110) 및 상기 본체부(1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해야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시스템 보드가 내장된 본체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벽걸이 및 포장시에 상기 지지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지지대의 상하단부에 상기 패널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종래의 힌지 어셈블리를 대체함으로써 힌지 어셈블리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0:패널부 110:이동 수단
110a, 110b:제1 및 제2 레일 115:수납 공간
120:지지부 120a ~ 120d:제1 내지 제4 고정부
121a, 121b:제1 및 제2 지지 구조물 130:본체부
140:제어 수단 150:스프링
160a, 160b: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170:내부 공간

Claims (6)

  1.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가 내장되며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의 하중을 지탱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를 상기 본체부에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패널부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측과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이동 수단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어 제3 및 제4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에 상기 지지대의 제1 및 제2 고정부와 체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1 제2 레일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대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되지는 또는 스탠드 형으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고정부를 상기 지지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고정부는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벽걸이로 사용될 때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부 내부로 슬라이드 되어 수납되게 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20100015129A 2010-02-19 2010-02-19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1633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129A KR101633126B1 (ko) 2010-02-19 2010-02-19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129A KR101633126B1 (ko) 2010-02-19 2010-02-19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581A true KR20110095581A (ko) 2011-08-25
KR101633126B1 KR101633126B1 (ko) 2016-06-24

Family

ID=4493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129A KR101633126B1 (ko) 2010-02-19 2010-02-19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1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84A (ko) * 1998-03-06 1999-10-0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방향조절장치
KR19990075312A (ko) * 1998-03-19 1999-10-1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20060017218A (ko) * 2004-08-20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의 높이고정장치
KR20070072074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84A (ko) * 1998-03-06 1999-10-0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방향조절장치
KR19990075312A (ko) * 1998-03-19 1999-10-1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20060017218A (ko) * 2004-08-20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의 높이고정장치
KR20070072074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126B1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789B (zh) 显示装置
US11287702B2 (en) Display unit having a curved display panel
CN109074766B (zh) 显示装置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KR102374643B1 (ko)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1092833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CN104077967B (zh) 显示设备
CN201956006U (zh) 平板显示装置
KR20120073618A (ko) 액정모듈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655778B2 (en) Display apparatus
EP2693858A2 (en) Display apparatus
KR201300404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부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U2013204014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20157B2 (en) Display device
US9298214B2 (en) Display apparatus
KR20110095581A (ko) 평판평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US20230408025A1 (en) Mobile terminal
KR10230380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300384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45B1 (ko) 슬림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28282A1 (en) Display device
KR20120011295A (ko) 인쇄회로기판용 포장 트레이
KR10125078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40026263A (ko) Pdp 세트의 스탠드 장치
KR100672593B1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