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563A - 피스톤 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피스톤 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563A
KR20110095563A KR1020100015101A KR20100015101A KR20110095563A KR 20110095563 A KR20110095563 A KR 20110095563A KR 1020100015101 A KR1020100015101 A KR 1020100015101A KR 20100015101 A KR20100015101 A KR 20100015101A KR 20110095563 A KR20110095563 A KR 2011009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iston
cylinder
heat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김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102010001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5563A/ko
Publication of KR2011009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04B17/0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 F04B17/04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the solenoid motor being separated from the fluid flow
    • F04B17/044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using solenoids the solenoid motor being separated from the fluid flow using solenoids directly actuating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Electromagnetic Pump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A)이 왕복하여, 열매체를 이송하는 순환펌프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에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가열부(30)를 연결호스(42)(43)와 연결하며, 열매체를 난방호스(41)와 열매체가열부(30) 사이에서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며, 상기 순환펌프의 피스톤(A)을 왕복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D)를 포함하며,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열매체를 저장하고 보충해주는 보조물통(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의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실린더(100) 내벽이나 피스톤 외벽에 마찰제(90-1)(90-2))를 설치하거나 피스톤 양단에 오링(90-3)을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난방대상에 난방호스(41a)(41b)를 좌우 분리 설치하고, 하나의 구동축으로 실린더(100) 양쪽에서 열매체를 동시에 이송하는 순환펌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스톤 난방시스템 {piston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A)이 왕복하는 순환펌프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A)이 왕복 운동하여 열매체를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에 강제 순환시키는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순환펌프의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시스템은,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와 건물의 바닥이나 온수매트에 매설되는 난방호스(41)와 보일러와 난방호스 사이에 설치되어 가열된 열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펌프는 소음이 적고 내구성과 효율이 좋은 펌프를 이용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기 순환펌프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이 움직여 열매체를 이송하도록 하며,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과 효율을 높인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A)을 왕복시켜 열매체를 이송하는 순환펌프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은,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와 연결된 연결호스(42),(43);상기 연결호스(42)(43)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는 실실더(100) 내부에 피스톤(A)과 체크밸브를 두고 실린더 외부에 코일(E)을 설치하고 상기 코일(E)에 전원공급부(G)에서 특정한 신호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의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마찰제(H)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에 의한 난방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와 연결된 연결호스(42)(43); 상기 연결호스(42)(43)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 가열부(30); 상기 연결호스(42)(43)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상기 난방호스(41)와 열매체가열부(30) 사이에서 강제 순환시키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A)이 왕복 운동하여 열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실린더(100) 내벽에 마찰제(90-1)를 삽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피스톤(A) 외부에 마찰제(90-2)를 감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찰제(90-1),(90-2)는 마찰력이 낮은 수지계열이나 테프론 또는 아세탈수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점프의 피스톤(A) 외부에 홈(91)을 파고 오링(90-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열매체를 보충 저장해주는 보조물통(5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가열부(30)는,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도블럭(32)에 히타(31)를 설치하고, 열매체가 유입구(34)로 들어와 흐름관(33)을 통해 유출구(35)로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10)는,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11) 및 유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실린더(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18)(19)과,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18)(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16)이 형성된 피스톤(201)과, 상기 피스톤(201)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13)와 상기 제1체크밸브(13)의 반대 측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14)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펌프(10)의 코일(18)(19)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부(60)는 제1코일(18)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제2코일(19)에 전원을 차단하며, 제1코일(18)에 전원을 차단하고 동시에 제2코일(19)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10)에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110)는,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실린더(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118)(119)과,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118)(1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116)을 가지며, 양단에 자력을 가진 자석재질의 피스톤(202)과, 상기 피스톤(202)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1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113)와 상기 제1체크밸브(113)의 반대측의 유입구(111) 또는 유출구(1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114)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펌프(110)의 코일(118)(119)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160)는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에 동시에 S극 또는 N극이 발생 되도록 하며, 반대로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 내부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110)에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210)는,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211) 및 유출구(2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218)과,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상기 코일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216)이 형성된 피스톤(203)과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03)에 상기 유출구(212)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15)과, 상기 유입구(211)의 반대측 피스톤(203)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216)을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213)와 유출구측에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2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210)의 코일(218)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260)는 코일(218)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것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2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2)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310)는, 실린더(100)양단에 설치되며, 제1체크밸브(313a),(313b)와 제2체크밸브(314a),(314b)를 포함한 두 개의 덮개(317a),(317b)에 있어서, 각각의 유입구(311a),(311b)와 유출구(312a),(312b)를 접속관(80a),(80b)을 이용하여 하나로 합친 후, 상기 접속관의 유입구(81b)와 유출구(81a)를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시키며, 상기 실린더(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두 개의 코일(318)(319)과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318)(3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이송되는 피스톤(2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310)의 코일(318)(319)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360)는 제1코일(318)에 전류를 공급하고, 동시에 제2코일(319)에 전류를 차단하며, 제1코일(318)에 전류를 차단하고 제2코일(319)에 전류를 공급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3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410)는, 실린더(100)양단에 설치되며, 제1체크밸브(413a)(413b)와 제2체크밸브(414a)(414b)를 포함한 두 개의 덮개(417a)(417b)에 있어서, 각각의 유입구(411a)(411b)와 유출구(412a)(412b)를 접속관(80a)(80b)을 이용하여 하나로 합친 후, 상기 접속관(80a)(80b)의 유입구(81b)와 유출구(81a)를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 시키며, 상기 실린더(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두 개의 코일(418)(419)과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418)(4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이송되는 내부에 관통공이 없으며, 양단에 자력을 가진 피스톤(20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410)의 코일(418)(419)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460)는, 제1코일(418) 내부에 N극이 발생 될 때, 동시에 제2코일(419) 내부에도 N극이 발생 되도록 하며, 제1코일(418) 내부에 S극이 발생 될 때, 동시에 제2코일(419) 내부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4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510)는 유입구(511)와 유출구(5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1코일(518) 및 제2코일(519)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 된 자기장을 실린더(100) 내부에 발생시키는 코아(520a),(520b)와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관통공(516)을 가지며 양단이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진 자석재질로 이루어진 피스톤(206)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206)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5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513)와 반대 측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60)는 제1코일(518)과 제2코일(519)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5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610)는 유입구(611) 및 유출구(6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618)과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60)를 포함하며, 내부에 관통공(616)를 가지며, 환형모양의 영구자석을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한 피스톤(207)을 두고 상기 피스톤(207)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6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614)와 상기 제1체크밸브의 반대측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6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660)는 상기 코일(618)에 전원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공급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6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710)는 실린더(100)양단에 격리판(716a)(7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711a)(711b)와 유출구(711a)(711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720a)(720b)과 제2실(721a)(721b)에 제1체크밸브(713a)(713b)와 제2체크밸브(714a)(714b)를 포함한 제1덮개(717a)와 제2덮개(717b)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8)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제1코일(718) 및 제2코일(719)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760)는 제1코일(718) 및 제2코일(719)에 동시에 N 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7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810)는 실린더(100)양단에 격리판(816a)(8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811a)(811b)와 유출구(812a)(812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820a)(820b)과 제2실(821a)(821b)에, 제1체크밸브(813a)(813b)와 제2체크밸브(814a)(814b)를 포함한 제1덮개(817a)와 제2덮개(817b)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9)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제1코일(818) 및 제2코일(819)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860)는 코일(818)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자석재질인 피스톤(209)을 코일(818) 쪽으로 이동시킨 후, 코일(818)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9)을 코일(419) 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9)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810)는 상기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a)(41b)를 좌우 분리설치하고 상기 한쪽이 난방호스(41a)는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유출구(312a),(412a),(712a),(812a)와 연결호스(42a)에 의하여 열매체가열부(30a)와 연결되며 , 또 다른 난방호스(41b)는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유출구(312b),(412b),(712b),(812b)와 연결호스(42b)에 의하여 열매체가열부(30b)와 연결된다. 상기 난방호스(41a)(41b)들을 돌아나온 각각의 열매체는 연결호스(43a)(43b)에 의해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유입구로 연결된다. 이때 보조물통(50)은 하나 또는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난방시스템은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를 순환하는 열매체를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여 순환 시킴으로서 그 이송하는 힘이 종래의 순환펌프 방식보다 효율이 높고 우수하며, 마찰제를 설치하여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내구성과 정숙을 필요로 하는 난방시스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난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1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110)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210)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310)의 제 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410)의 제 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510)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610)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710)의 제8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과 도 2의 순환펌프(810)의 제9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좌우 분리난방을 예시한 도면
도 13은 마찰제를 설치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14, 도 15, 도 16은 각 순환펌프의 피스톤과 전원공급부의 특성을 설명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난방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난방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난방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은,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와 연결된 연결호스(42)(43); 상기 연결호스(42)(43)와 난방호스(41)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는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A)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코일(E)과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G)를 두며, 열매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마찰제(H)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방대상(C)은 주거용 건물의 방바닥이 되거나 매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난방호스(41)는 난방대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되어 있다. 난방호스(41)의 유출입단에는 연결호스(42)(43)가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100)는 파이프형태의 재질로 구현되며, 통상적으로 형상이 곧은 비철금속이나 프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피스톤(A)은 코일(E)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구현되며, 열매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는 실린더(100) 내부나 외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펌프의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마찰제(H)는 통상적으로 실린더(100) 내벽이나, 피스톤(A) 외벽에 설치하며, 피스톤(A) 양단에 오링(90-3)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마찰제(H)는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와 연결된 연결호스(42)(43); 상기 연결호스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가열부(30): 상기 연결호스(42)(43)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상기 난방호스(41)와 열매체가열부(30) 사이에서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A)이 왕복 운동하여 열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며,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열매체를 보충 저장해주는 보조물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방대상(C)은 주거용 건물의 방바닥이 되거나 매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난방호스(41)는 난방대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되어 있다. 난방호스(41)의 유출입단에는 연결호스(42)(43)가 연결된다.
열매체가열부(30)는, 연결호스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보일러의 히터부를 이용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매체 가열부(30)는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도체(32)에 히타(31)를 설치하고, 히타(31)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체(32)에 전달되며, 열매체가 유입구(34)로 들어와 흐름관(33)을 통해 히타(31)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유출구(35)로 나가도록 한다.
상기 순환펌프는,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에 열매체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펌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순환펌프(1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10)의 제1실시예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11) 및 유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18)(19)과,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18)(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16)이 형성된 피스톤(201)과, 피스톤(201)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13)와, 제1체크밸브(13)의 반대측의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01)은 코일(18)(19)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구현되고, 제1체크밸브(13)는 피스톤(201)의 일 측에 설치되며, 제2체크밸브(14)는 실린더(100) 내부 또는 외부에서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 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두 개의 코일(18)(19)은 피스톤(201)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격된 제1코일(18)과 제2코일(19)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코일(18)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2코일(19) 쪽에는 전원이 차단될 때, 제1코일(18)로부터 발생 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피스톤(201)은 제1코일(18)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코일(18)에는 전원이 차단되고 제2코일(19)쪽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코일(19) 쪽에 자기장이 발생 되어 피스톤(201)은 제2코일(19)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펌프(10)의 구조에 의하여, 맥동전원부(60)에서 상기 코일(18)(19)에 전류를 교차 공급해 줌으로서 피스톤(201)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이송된다. 예를 들면 맥동전원부(60)에서 제1코일(18)에 전류를 인가하고 제2코일(19)에 전류를 차단하면, 피스톤(200)은 그림(가)에서와 같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체크밸브(13)는 열리게 되며, 제2체크밸브(14)는 닫히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유입구(11)로 유입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반대로, 맥동전원부(60)에서 제1코일(18)에 전류를 차단하고 제2코일(19)에 전류를 공급하면 피스톤(201)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체크밸브(13)는 닫히며, 제2체크밸브(14)는 열리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배출구(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연속적으로 맥동전원부(60)에서 전류를 교차 공급해주면 상기 순환펌프(10)는 열매체를 강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1)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상기 순환펌프(11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110)의 제2실시예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두 개의 코일(118)(119)과,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118)(1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16)이 형성된 피스톤(202)과, 피스톤(202)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1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113)와, 제1체크밸브(113)의 반대측의 유입구(111) 또는 유출구(1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111) 또는 유출구(11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02)은 코일(118)(1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반응하며 내부에 관통공(116)을 가지며, 양단에 극성이 다른 자석재질로 구현되고, 제1체크밸브(113)는 피스톤(202)의 우측에 설치되며, 제2체크밸브(114)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 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두 개의 코일(118)(119)은 피스톤(202)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격된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에 동일자력이 발생 되도록 전류를 공급하면,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 쪽에는 S극이 발생 되어 실린더(100) 내부의 자석재질인 피스톤(202)은 제1코일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쪽에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면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 쪽에는 N극이 발생 되어 피스톤(202)은 제2코일(119)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펌프(110)의 구조에 의하여, 맥동전원부(160)에서 상기 코일(118)(119)에 전류를 동시에 극성이 다르게 교차 공급해 줌으로서 피스톤(202)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 이송된다. 예를 들면 맥동전원부(160)에서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에 S극이 발생 되게 하면, 자석재질인 피스톤(202)은 그림(가)에서와 같이 자력에 의해 밀고당겨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체크밸브(113)는 열리게 되며, 제2체크밸브(114)는 닫히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유입구(111)로 유입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반대로, 맥동전원부(160)에서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 내부에 N극이 발생 되도록 하면, 피스톤(202)은 자력에 의해 밀고당겨,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체크밸브(113)는 닫히며, 제2체크밸브(114)는 열리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배출구(1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연속적으로 맥동전원부(160)에서 전류를 실린더(100) 내부에 극성이 다르게 교차공급해주면 피스톤(202)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111)로 유입 후 배출구(112)로 배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2)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1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순환펌프(210)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210)의 제3실시예는,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에 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211) 및 유출구(2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실린더(100)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218)과 코아(219)를 포함하며,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218)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216)이 형성된 피스톤(203)과, 실린더(100)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203)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15)과, 유입구(211)의 반대측 피스톤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2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213)를 포함하며, 유출구(212)측에 제2체크밸브(214)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03)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구현된다.
이러한 순환펌프(210)의 구조에 의하여, 전원공급부(260)에서 코일(218)에 전류를 인가하면 그림(가)에서와 같이 피스톤(203)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스프링(215)을 압축시키면서 코아(219) 쪽으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제1체크밸브(213)가 관통공(216)을 개방하고 제2체크밸브(214)가 닫히게 되며 그림(나)에서와 같이, 상기 코일(218)에 전류를 차단하면 압축된 스프링(215)의 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203)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체크밸브(213)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214)는 열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전원공급부(260)에서 전류를 코일(218) 에 연속적으로 차단, 공급해주면 피스톤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211)로 흡입 후, 배출구(212)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3)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2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상기 순환펌프(310)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310)의 제4실시예는, 실린더(100) 양단에 격리판(316a)(3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311a)(311b)와 유출구(312a)(312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320a)(320b)과 제2실(321a)(321b)에, 제1체크밸브(313a)(313b)와 제2체크밸브(314a)(314b)를 포함한 제1덮개(317a)와 제2덮개(317b)로 설치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자기장에 반응하며,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4)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두 개의 코일(318)(319)을 설치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의 (가)그림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360)에서 전류를 제1코일(318)에 인가하고 제2코일(319)에는 인가하지 않으면, 실린더(100) 내부에는 제1코일(318)쪽에 자기장이 발생 되며, 이때 피스톤(204)은 제1코일(318)쪽으로 이동되며, (나)그림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360)에서 제2코일(319)에 전류를 인가하고 제1코일(318)에는 전류를 차단하면, 실린더(100) 내부에는 제2코일(319)쪽에 자기장이 발생 되며, 이때 피스톤(204)은 제2코일(319)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의 그림(가)에서와 같이, 제1코일(318)쪽에 전류가 인가되고 제2코일(319)쪽에 전류가 차단되면, 피스톤(204)이 제1코일(318)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317a)쪽의 제1체크밸브(313a)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314a)는 열리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317b)쪽의 제1체크밸브(313b)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314b)는 닫히게 된다. 이때, 제1덮개(317a)쪽에는 유출구(312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의 열매체는 배출되게 되며, 제2덮개(317b)쪽의 유입구(311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제1코일(318)쪽에 전류가 차단되고 제2코일(319)쪽에 전류가 인가되면, 피스톤(203)이 제2코일(319)쪽으로 이동하며, 제1덮개(317a)의 제1체크밸브(313a)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314a)는 닫히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317b)의 제1체크밸브(313b)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314b)는 열리게 된다. 이때, 제1덮개(317a)쪽의 유입구(311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로 열매체는 유입되게 되며, 제2덮개(317b)쪽의 유출구(312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부(360)에서 제1코일(318)과 제2코일(319)에 전류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면, 피스톤(204)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311a)(311b)로 흡입 후, 배출구(312a)(312b)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순환펌프(310)는 하나의 실린더(100)와 피스톤(204)으로 양쪽에서 동시에 열매체를 이송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유입구(311a)(311b)와 유출구(312a)(312b)를 하나로 모아주기 위해 접속관(80a)(8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관(80a)은 T자모양으로 중앙에 제3연결관(81a)과 양쪽에 제1연결관(82a)과 제2연결관(83a)을 두고, 제1연결관(82a)은 순환펌프(310)의 제1유입구(311a)와 결합 되며 제2연결관(83a)은 제2유입구(311b)와 결합 되어 제1접속관(80a)의 제3연결관(81a)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310)의 제1유출구(312a)와 제2유출구(312b)도 상기 제2접속관(80b)의 제1연결관(82b)과 제2연결관(83b)으로 결합하여, 제3연결관(81b)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접속관(80a)(80b)의 제3연결관은(81a)(81b)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며, 상기 제1접속관(80a)은 두 개의 유입구(311a)(311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a)를 통해 열매체를 흡입하며, 제2접속관(80b)은 두 개의 유출구(312a)(312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b)를 통해 열매체를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4)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3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는 상기 순환펌프(410)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410)의 제5실시예는, 실린더(100) 양단에 격리판(416a)(4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412a)(412b)와 유출구(412a)(412b)를포함하며, 제1체크밸브(413a)(413b)와 제2체크밸브(414a)(414b)를 포함한 제1덮개(417a)와 제2덮개(417b)로 설치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자석재질의 피스톤(205)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두 개의 코일(418)(419)을 설치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7의 (가)그림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460)에서 제1코일(418)과 제2코일(419)에 동시에 동일전류를 공급하면, 실린더(100) 내부에는 제1코일(418)쪽과 제2코일(419)내부에는 S극이 발생 되며, 자석재질의 피스톤(205)의 N극 쪽은 제1코일(418)과 당겨지며 피스톤(205)의 반대편인 S극 쪽은 제2코일(219)과 밀쳐내며, (나)그림에서와 같이, 제1코일(218)과 제2코일(219)에 반대극성인 직류전류를 인가하면 제1코일(218) 쪽과 제2코일(219) 쪽에는 N극이 발생되며, 자석재질의 피스톤(205)의 N극 쪽은 제1코일(218)과 밀쳐내며 피스톤의 S극 쪽은 제2코일(219)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7의 그림(가)에서와 같이, 제1코일(418)과 제 2코일(419)쪽에 동일방향의 전류가 인가되어 실린더(100) 내부에 S극이 발생 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5)이 극성에 의해 밀고 당겨 제1코일(418)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417a)의 제1체크밸브(413a)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414a)는 열리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417b)의 제1체크밸브(413b)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414b)는 닫히게 된다. 이때, 제1덮개(417a)쪽에는 유출구(412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의 열매체는 배출되게 되며, 제2덮개(417b)쪽의 유입구(411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제1코일(418)과 제2코일(419)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인가되어 실린더(100) 내부에 N극이 발생 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5)이 밀고 당겨져 제2코일(419)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417a)의 제1체크밸브(413a)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414a)는 닫히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417b)의 제1체크밸브(413b)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414b)는 열리게 된다. 이때, 제1덮개(417a)쪽의 유입구(411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로 열매체는 유입되게 되며, 제2덮개(417b)쪽의 유출구(412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코일(418)과 제2코일(419)에 전원공급부(460)에서 직류전원을 연속적으로 정방향 역방향으로 교차 공급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5)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411a)(411b)로 흡입 후, 배출구(412a)(412b)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순환펌프(410)는 하나의 실린더(100)와 피스톤(204)으로 양쪽에서 동시에 열매체를 이송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유입구(411a)(411b)와 유출구(412a)(412b)를 하나로 모아주기 위해 접속관(80a)(8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관(80a)은 T자모양으로 중앙에 제3연결관(81a)을 두고, 양쪽에 제1연결관(82a)과 제2연결관(83a)을 두고,제1연결관(82a)은 순환펌프(410)의 제1유입구(411a)와 결합 되며 제2연결관(83a)은 제2유입구(411b)와 결합 되어 접속관(80a)의 제3연결관(81a)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410)의 제1유출구(412a)와 제2유출구(412b)도 상기 제2접속관(80b)의 제1연결관(82b)과 제2연결관(83b)으로 결합하여, 제3연결관(81b)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접속관(80a)(80b)의 제3연결관은(81a)(81b)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며, 상기 제1접속관(80a)은 두 개의 유입구(411a)(411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a)를 통해 열매체를 흡입하며, 제2접속관(80b)은 두 개의 유출구(412a)(412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b)를 통해열매체를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5)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4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상기 순환펌프(510)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510)의 제5실시예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511) 및 유출구(5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518)(519)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 된 자기장을 실린더(100) 내부에 전달하기 의한 내부가 관통된 코어(520a)(520b)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520a)(520b)는 T자모양의 내부가 관통된 원형모양으로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상기 코일(518)(5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516)이 형성된 양쪽에 극성이 다른 자석 재질의 피스톤(206)과, 상기 피스톤(206)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5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513)와, 제 1체크밸브(513)의 반대측의 유입구(511) 또는 유출구(5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511) 또는 유출구(51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5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06)은 코일(518)(519)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반응하는 양단에 극성이 다른 자석재질로 구현되고, 제1체크밸브(513)는 피스톤(206)의 일 측에 설치되며, 제2체크밸브(514)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유출구(512) 측에 설치된다. 한편 두 개의 코일(518)(519)은 피스톤(206)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격된 제1코일(518)과 제2코일(519)로 구현되며,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실린더(100) 내부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가 관통된 코어(520a)(520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코일(518)과 제2코일(519)에 같은 자력이 발생 되도록 전류를 공급하면, 제1코일(518)과 제2코일(519)쪽에 설치된 코어(520a)(520b)의 실린더(100) 내측에는 S극이 발생 되어 자석재질인 피스톤(206)은 극성에 의해 밀고당겨 제1코일(518)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코일(118)과 제2코일(119)쪽에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여 제1코일(518)과 제2코일(519)에 설치된 코어(520a)(520b)의 실린더(100) 안 쪽에는 N극이 발생 되어 피스톤(206)은 제2코일(519)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펌프(510)의 구조에 의하여, 맥동전원부(560)에서 상기 코일(518)(519)에 전류를 극성이 다르게 교차 공급해 줌으로서 피스톤(206)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이송된다. 상기 코어(520a)(520b)는 코일에서 발생 된 자기장을 외부로 발생하기 위한 전자석의 철심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맥동전원부(560)에서 제1코일(518)과 제2코일(119)쪽에 설치된 코어(520a)(520b)에 S극이 발생 되게 하면 자석 재질인 피스톤(206)은 그림(가)에서와 같이 자력에 의해 밀고당겨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체크밸브(513)는 열리게 되며, 제2체크밸브(514)는 닫히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유입구(511)로 유입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반대로, 맥동전원부(560)에서 제1코일(518)과 제2코일(119)쪽에 설치된 코어(520a)(520b) 내부에 N극이 발생 되도록 하면, 피스톤(206)은 자력에 의해 밀고당겨,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체크밸브(513)는 닫히며, 제2체크밸브(514)는 열리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배출구(5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연속적으로 맥동전원부(560)에서 전류를 실린더(100) 내부에 극성이 다르게 교차 공급해주면 피스톤(206)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511)로 유입 후 배출구(512)로 배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6)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5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상기 순환펌프(610)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610)의 제7실시예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유입구(611)및 유출구(6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618)과, 실린더(100) 내부에서 코일(518)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왕복 이송되는 것으로서 관통공(616)이 형성된 피스톤(207)과, 피스톤(207)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6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613)와, 제 1체크밸브(613)의 반대측의 유입구(611) 또는 유출구(6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611) 또는 유출구(61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6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207)은 코일(618)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반응하며 내부가 관통된 환형모양의 두 개의 자석을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체크밸브(613)는 피스톤(207)의 우측에 설치되며, 제2체크밸브(614)는 실린더(100) 내부에서 유출구(612) 측에 설치된다. 한편 한 개의 코일(618)은 피스톤(207)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코일(618)과 코아(617)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아(617)는 통상적으로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을 사용하며 코일(618) 외부를 ㄷ자 모양으로 감싸 실린더(100)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한다. 코일(618)에 전류를 공급하여 코아(617)에 의해 실린더(100)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 되면, 코아(617) 내부에는 S극과 N극이 발생 되어 양단에 같은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석재질인 피스톤(207)은 밀고 당겨 왼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코일(518)과 코아(617) 쪽에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면 코일(618)과 코아(617) 내부에는 N극과 S극이 발생 되어 자석재질인 피스톤(207)은 밀고 당겨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펌프(610)의 구조에 의하여, 맥동전원부(660)에서 상기 코일(618)에 전류를 극성이 다르게 교차 공급해 줌으로서 피스톤(207)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이송된다. 예를 들면 맥동전원부(660)에서 코일(618)과 코아(617)의 양단에 S극과 N극이 발생 되게 하면, 자석 재질인 피스톤(207)은 그림(가)에서와 같이 자력에 의해 밀고당겨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체크밸브(13)는 열리게 되며, 제2체크밸브(14)는 닫히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유입구(11)로 유입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반대로, 맥동전원부(660)에서 코일(618)에 설치된 코어(617)의 양단에 N극과 S극이 발생 되도록 하면, 피스톤(207)은 자력에 의해 밀고당겨,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체크밸브(613)는 닫히며, 제2체크밸브(614)는 열리게 된다. 이때 열매체는 배출구(6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연속적으로 맥동전원부(660)에서 전류를 실린더(100) 내부에 극성이 다르게 교차공급해주면 피스톤(207)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611)로 유입 후 배출구(612)로 배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7)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6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상기 순환펌프(710)의 제8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710)의 제8실시예는, 실린더(100) 양단에 격리판(716a)(7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712a)(712b)와 유출구(712a)(712b)를포함하며, 제1체크밸브(713a)(713b)와 제2체크밸브(714a)(714b)를 포함한 제1덮개(717a)와 제2덮개(717b)로 설치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자석재질의 피스톤(208)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두 개의 코일(718)(719)을 설치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0의 (가)그림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760)에서 제1코일(718)과 제2코일(719)에 같은 극성을 발생 되도록 전류를 공급하면, 실린더(100) 내부에는 제1코일(718)쪽과 제2코일(719)에 설치된 코어(720a)(720b) 내부에는 S극이 발생 되며, 자석재질의 피스톤(208)의 N극 쪽은 제1코일(718)과 당겨지며 피스톤(208)의 반대편인 S극 쪽은 제2코일(719)과 밀쳐내며, (나)그림에서와 같이, 제1코일(718)과 제2코일(719)에 반대 극성인 직류전류를 인가하면 제1코일(718) 쪽과 제2코일(719)에 설치된 코어(720a)(720b) 내부에는 N극이 발생 되며, 자석재질의 피스톤(208)의 N극 쪽은 제1코일(718)과 밀쳐내며 피스톤의 S극 쪽은 제2코일(719)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7의 그림(가)에서와 같이, 제1코일(718)과 제 2코일(719)쪽에 전류가 인가되어 실린더(100) 내부에 S극이 발생 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8)이 극성에 의해 밀고 당겨 제1코일(718)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717a)의 제1체크밸브(713a)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714a)는 열리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717b)의 제1체크밸브(713b)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714b)는 닫히게 된다. 이때, 제1덮개(717a)쪽에는 유출구(712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의 열매체는 배출되게 되며, 제2덮개(717b)쪽의 유입구(711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제1코일(718)과 제2코일(719)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인가되어 실린더(100) 내부에 N극이 발생 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8)이 밀고 당겨져 제2코일(719)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717a)의 제1체크밸브(713a)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714a)는 닫히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717b)의 제1체크밸브(713b)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714b)는 열리게 된다. 이때, 제1덮개(717a)쪽의 유입구(711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로 열매체는 유입되게 되며, 제2덮개(717b)쪽의 유출구(712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코일(718)과 제2코일(719)에 전원공급부(760)에서 직류전원을 연속적으로 정방향 역방향으로 교차 공급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8)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711a)(711b)로 흡입 후, 배출구(712a)(712b)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순환펌프(710)는 하나의 실린더(100)와 피스톤(208)으로 양쪽에서 동시에 열매체를 이송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유입구(711a)(711b)와 유출구(712a)(712b)를 하나로 모아주기 위해 접속관(80a)(8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관(80a)은 T자모양으로 중앙에 제3연결관(81a)을 두고, 양쪽에 제1연결관(82a)과 제2연결관(83a)을 두고,제1연결관(82a)은 순환펌프(710)의 제1유입구(711a)와 결합 되며 제2연결관(83a)은 제2유입구(711b)와 결합 되어 접속관(80a)의 제3연결관(81)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710)의 제1유출구(712a)와 제2유출구(712b)도 상기 제2접속관(80b)의 제1연결관(82b)과 제2연결관(83b)으로 결합하여, 제3연결관(81b)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접속관(80a)(80b)의 제3연결관은(81a)(81b)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며, 상기 제1접속관(80a)은 두 개의 유입구(711a)(711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a)를 통해 열매체를 흡입하며, 제2접속관(80b)은 두 개의 유출구(712a)(712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b)를 통해 열매체를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8)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8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상기 순환펌프(810)의 제9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810)의 제9실시예는, 실린더(100) 양단에 격리판(816a)(8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812a)(812b)와 유출구(812a)(812b)를 포함하며, 제1체크밸브(813a)(813b)와 제2체크밸브(814a)(814b)를 포함한 제1덮개(817a)와 제2덮개(817b)로 설치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환형 모양의 두 개의 자석을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한 피스톤(209)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한 개의 코일(818)과 코아(817)를 설치 고정하며 상기 코아(817)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ㄷ자 모양으로 코일(818)을 외부에서 감싸 실린더(100)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1의 (가)그림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860)에서 코일(818)에 전류를 공급하면, 실린더(100) 내부에는 코일(818)과 코아(817) 내부에는 S극과 N극이 발생 되며, 자석재질의 피스톤(209)양단의 N극은 상기 코아에서 발생된 자기장과 밀고당겨 왼쪽으로 당겨지며, (나)그림에서와 같이, 코일(818)에 반대 극성인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818)과 코아(817)쪽에 N극과 S극이 발생 되며, 자석재질의 피스톤(209)양단의 N극은 상기 코아에서 발생 된 자기장에 상기 그림(가)와 반대로 밀고당겨, 오른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11의 그림(가)에서와 같이, 제1코일(818)과 코아(817)쪽에 전류가 인가되어 실린더(100) 내부에 S극과 N극이 발생 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9)이 극성에 의해 밀고 당겨 왼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817a)의 제1체크밸브(813a)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814a)는 열리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817b)의 제1체크밸브(813b)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814b)는 닫히게 된다. 이때, 제1덮개(817a)쪽에는 유출구(812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의 열매체는 배출되게 되며, 제2덮개(817b)쪽의 유입구(811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림(나)에서와 같이, 제1코일(818)과 코아(817)내부에 상기와 반대극성이 인가되어 실린더(100) 내부에 N극과 S극이 발생 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9)이 밀고 당겨져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817a)의 제1체크밸브(813a)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814a)는 닫히게 되며, 반대편 제2덮개(817b)의 제1체크밸브(813b)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814b)는 열리게 된다. 이때, 제1덮개(817a)쪽의 유입구(811a)를 통해 실린더(100) 내부로 열매체는 유입되게 되며, 제2덮개(817b)쪽의 유출구(812b)를 통해 열매체는 실린더(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코일(818)과 코아(817) 내부에 전원공급부(860)에서 직류전원을 연속적으로 정방향 역방향으로 교차 공급하면, 자석재질의 피스톤(209)은 좌우로 왕복하여 열매체를 유입구(811a)(811b)로 흡입 후, 배출구(812a)(812b)로 배출하게 된다.이상과 같이 상기 순환펌프(810)는 하나의 실린더(100)와 피스톤(209)으로 양쪽에서 동시에 열매체를 이송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유입구(811a)(811b)와 유출구(812a)(812b)를 하나로 모아주기 위해 접속관(80a)(8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관(80a)은 T자모양으로 중앙에 제3연결관(81a)을 두고, 양쪽에 제1연결관(82a)과 제2연결관(83a)을 두고, 제1연결관(82a)은 순환펌프(310)의 제1유입구(411a)와 결합되며 제2연결관(83a)은 제2유입구(811b)와 결합 되어 제1접속관(80a)의 제3연결관(81a)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810)의 제1유출구(812a)와 제2유출구(812b)도 상기 제2접속관(80b)의 제1연결관(82b)과 제2연결관(83b)으로 결합하여, 제3연결관(81b)으로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접속관(80a)(80b)의 제3연결관은(81a)(81b)는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관(80a)은 두 개의 유입구(811a)(811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a)를 통해 열매체를 흡입하며, 접속관(80b)은 두 개의 유출구(812a)(812b)를 하나로 모아 제3연결관(81b)를 통해 열매체를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9)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상기 순환펌프(810)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중 네 개의 순환펌프(310),(410),(710),(810),를 이용하여 난방체(c)에 매설된 난방호스(41a),(41b)를 양쪽으로 나누어 매설한 뒤에,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좌우 분리 난방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우분리 난방시스템은,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a),(41b),를 양쪽으로 분리 설치하고, 상기 난방호스(41a),(41b),를 연결호스(42),(43),와 연결하며,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가열부(30a),(30b),는 두 개를 따로 설치하고, 하나의 열매체가열부(30a)는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제1덮개(317a),(417a),(717a),(817a),의 유출구(312a),(412a),(712a),(812a),에 연결호스(42)에 의하여 설치되며, 또 다른 열매체가열부(30b)는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제2덮개(317b),(417b),(717a),(817a),의 유출구(312b),(412b),(712b),(812b),에 연결호스(42)에 의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열매체가열부(30a),(30b)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70a),(70b),도 각각 따로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보조물통(50)은 하나를 설치하거나 두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난방대상(C)은 주거용 건물의 방바닥이 되거나 매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난방호스는 난방대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양쪽으로 나뉘어져 매설되어 있다.
난방호스(41a)(41b)의 유출입단에는 연결호스(42)(43)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310),(410),(710),(810),들은 하나의 실린더(100)와 피스톤(204),(205),(208),(209),을 이용한 하나의 구동축으로 양쪽에서 동시에 열매체를 이송할 수 있는 순환펌프(310),(410),(710),(810),로서, 실린더 양단(100)에 설치된 두 개의 덮개 중에 제1덮개(317a),(417a),(717a),(817a),의 유출구(312a),(412a),(712a),(812a),를 열매체가열부(30a)와 연결호스(42)를 이용하여 난방대상에 매설된 제1난방호스(41a)와 연결하며, 제2덮개(317b),(417b),(717b),(817b),의 유출구(312b),(412b),(712b),(812b),를 열매체가열부(30b)와 연결호스(42)를 이용하여 난방대상에 매설된 제2난방호스(41b)와 연결한다. 이때 열매체가열부(30a),(30b),의 온도를제어하는 온도조절부(70a),(70b),를 각각 따로 설치하며; 상기 두 개의 열매체가열부(30a),(30b),를 각각 따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양쪽으로 분리된 두 개의 난방호스(41a),(41b),의 온도를 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204),(205),(208),(209),이 좌우로 왕복 운동할 때, 제1난방호스(41a)의 열매체는 제1덮개(317a),(417a),(717a),(817a),의 유출구(312a),(412a),(712a),(812a),와 연결호스(42)에 의해 연결된 열매체가열부(30a)를 지나 난방대상에 매설된 제1난방호스(41a)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한 뒤, 연결호스(43)와 연결된 상기 제1덮개(317a),(417a),(717a),(817a),의 유입구(313a),(413a),(713a),(813a),로 유입되는 것이며 제2난방호스(41b)의 열매체는 제2덮개(317b),(417b),(717b),(817b),와 연결호스(42)에 의해 연결된 열매체가열부(30b)를 지나 난방대상에 매설된 제2난방호스(41b)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한 뒤, 연결호스(43)와 연결된 제2덮개(317b),(417b),(717b),(817b),의 유입구(313b),(413b),(713b),(813b),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보조물통(50)은 하나 또는 두 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난방대상에 매설된 난방호스(41a),(41b)와 상기 순환펌프(310),(410),(710),(810),의 유입구(313a),(413a),(713a),(813a), 사이에 연결호스(43)에 의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에서,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의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에 마찰제(90)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난방시스템은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여 열매체를 이송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며, 피스톤과 실린더(100)의 마찰에 의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피스톤과 실린더(100) 사이에 마찰력이 낮은 마찰제(90)를 설치하는데 설치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몇 가지 예시를 두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의 그림(가)에서는 실린더(100) 내부에 마찰력이 낮은 마찰제(90-1)를 삽입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제(90-1)는 마찰계수가 낮은 수지계열을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테프론수지 계열이나 아세탈수지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그 형상이 곧질 못해 마찰제(90-1) 만으로는 피스톤을 움직이질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형상이 곧은 재질의 실린더(100)를 두고,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마찰제(90-1)를 삽입고정하여 마찰제(90-1)가 곧게 펴지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100)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자기장에 반응하지 않는 알루미늄이나 비철금속 또는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의 그림(나)에서는 마찰제(90-2)를 피스톤 외부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제(90-2)는 마찰계수가 낮은 수지계열을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테프론수지 계열이나 아세탈수지를 많이 사용하며 마찰제(90-2)를 피스톤 외부에 끼워 설치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피스톤을 두고 외부에 형상이 곧질 않은 마찰제(90-2)를 피스톤 외부에 감싸 설치함으로써 마찰제(90-2)가 곧게 펴지도록 한다.
도 13의 (다)에서는 마찰제를 대신하여 피스톤 양단에 오링(90-3)을 설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양단에 오링(90-3)이 들어갈 수 있게 홈(91)을 파고, 그 곳에 오링(90-3)을 설치고정하며, 상기 오링(90-3)이 마찰제 역할을 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4, 도 15, 도 16은 본 발명의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들의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의 재질과 구조를 비교 제시하였으며. 상기 제시한 피스톤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움직여 열매체를 강제 이송하도록 전원공급부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가)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10)의 피스톤(201)을 도시한 도면으로 내부에 관통공(16)을 가지며,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두 개의 코일(18),(19)에 전류를 교대로 공급해주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 14의 (나)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210)의 피스톤(202)은 내부에 관통공(116)을 가지며, 피스톤(202)양단에 N극과 S극을 가진 자석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1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두 개의 코일(118),(119)에 동시에 같은극성이 발생 되도록 직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공급 함으로서 실린더(100) 내부에 N극과 S극이 교대로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14의 (다)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210)의 피스톤(203)은 관통공(216)을 가지며,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2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코일(218)에 전류를 순차적으로 공급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의 (가)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310)의 피스톤(204)은 내부가 막혀 관통공이 없으며,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3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두 개의 코일(318),(319)에 전류를 교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의 (나)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410)의 피스톤(205)은 내부가 막혀 관통공이 없으며 양단에 N극과 S극을 가진 자석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4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두 개의 코일(418),(419)에 동시에 같은 극성이 발생 되도록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공급함으로서 실린더(100) 내부에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15의 (다)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510)의 피스톤(206)은 내부가 막혀 관통공이 없으며 양단에 N극과 S극을 가진 자석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5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두 개의 코일(518),(519)에 동시에 같은 극성이 발생 되도록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공급함으로서 실린더(100) 내부에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16의 (가)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610)의 피스톤(207)은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616)을 가지며, 두 개의 자석을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하는 특징이 있으며, 전원공급부(6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코일(618)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의 (나)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710)의 피스톤(208)은 내부가 막힌 양단에 N극과 S극을 가진 자석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760)는 상기 실린더 외부에 설치된 두 개의 코일(718),(719)에 동시에 같은 극성이 발생 되도록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공급함으로서 실린더(100) 내부에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16의 (다)그림은 상기 제시한 순환펌프(810)의 피스톤(209)은 내부가 막혀 관통공이 없으며 두 개의 자석을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 하며, 전원 공급부(860)는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된 코일(818)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난방시스템은, 난방대상에 매설된 난방체에 열매체를 효과적으로 이송하며, 마찰제를 설치함으로서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 1)
A. 피스톤 90, 마찰제
100. 실린더 C, 난방대상
41, 난방호스 42,43, 연결호스
(도면 2)
30, 열매체 가열부 50, 보조물통
60, 전원 공급부 41, 난방호스
42, 연결호스 43, 연결호스
100, 실린더 A, 피스톤
B, 코일 D, 전원공급부
C, 난방대상 31, 히타
32, 열전도블럭 33, 흐름관
34, 유입구 35, 유출구
(도면 3)
10, 제1순환펌프, 201, 피스톤
100, 실린더, 60, 전원공급부
11, 유입구 12, 유출구
13, 제1체크밸브 14, 제2체크밸브
16, 관통공 18, 제1코일
19, 제2코일
(도면 4)
110, 제2순환펌프 202, 피스톤
100, 실린더 160, 전원공급부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13, 제1체크밸브 114, 제2체크밸브
116, 관통공 118, 제1코일
119, 제2코일
(도면 5)
210, 제 3순환펌프 203, 피스톤
100, 실린더 260, 전원공급부
211, 유입구 212, 유출구
213, 제1체크밸브 214, 제2체크밸브
218, 코일 216, 관통공
215, 스프링
(도면 6)
310, 제 4순환펌프 311a, 311b, 유입구
312a, 312b, 유출구 313a, 313b, 제1체크밸브
314a, 314b, 제2체크밸브 80a, 80b, 접속관
316a, 316b, 격리판 317a, 317b, 덮개
318, 제1코일 319, 제2코일
360, 전원공급부 100, 실린더
204, 피스톤
(도면 7)
410, 제 5순환펌프 411a, 411b, 유입구
412a, 412b, 유출구 413a, 413b, 제1체크밸브
414a, 414b, 제2체크밸브 80a, 80b, 접속관
416a, 416b, 격리판 417a, 417b, 덮개
418, 제1코일 419, 제2코일
460, 전원공급부 205, 피스톤
100, 실린더
(도면 8)
510, 제 6순환펌프 206, 피스톤
560, 전원공급부 100, 실린더
518, 제1코일 519, 제2코일
513, 제1체크밸브 514, 제2체크밸브
516, 관통공 511, 유입구
512, 유출구 520a,520b, 코아
(도면 9)
610, 제 7순환펌프 207, 피스톤
100, 실린더 660, 전원공급부
611, 유입구 612, 유출구
613, 제1체크밸브 614, 제2체크밸브
618, 코일 617, 코어
(도면 10)
710, 제 8순환펌프 208, 피스톤
100, 실린더 760, 전원공급부
711a,711b, 유입구 712a,712b, 유출구
713a,713b, 제1체크밸브 714a,714b, 제2체크밸브
716a ,716b, 격리판 717a, 제1덮개
717b, 제2덮개 720a,720b, 제1실
721a,721b, 제2실 718, 제 1코일
719, 제2코일 718a,719a, 코어
(도면 11)
810, 제 9순환펌프 209, 피스톤
860, 전원공급부 100, 실린더
818, 코일 811a,811b, 유입구
812a,812b, 유출구 813a,813b, 제1체크밸브
814a,814b, 제2체크밸브 817a, 제1덮개
817b, 제2덮개 818, 코일
(도면 12)
30a, 열매체가열부 30b, 열매체가열부
50a,50b, 보조물통 41a, 제1난방호스
41b, 제2난방호스 42a, 42b, 연결호스
43a, 43b, 연결호스 70a, 70b, 온도조절기
12a, 12b, 유출구 13a, 13b, 유입구
100, 실린더 A. 피스톤
(도면 13)
90, 마찰제 90-1, 제1마찰제
90-2, 제2마찰제 90-3, 오링
100, 실린더 91, 홈
(도면 14)
201,202,203, 피스톤 60,160,260, 전원공급부
16,116,216, 관통공 18,19, 제1코일,제2,코일
118,119, 제1코일,제2코일 218, 코일
(도면 15)
204,205,206, 피스톤 360,460,560, 전원공급부
318,319, 제1코일,제2코일 418,419, 제1코일,제2코일,
518,519, 제1코일,제2코일
(도면 16)
207,208,209, 피스톤 660,760,860, 전원공급부
618, 코일 718,719, 제1코일,제2코일
818, 코일

Claims (30)

  1. 난방대상(40)에 매설된 난방호스(41)에 열매체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강제순환시키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A)과 열매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코일(E)과 전원공급부(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와 연결된 연결호스(42)(43);
    상기 연결호스(42)(43)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가열부(30);와 상기 연결호스(42)(43)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열매체를 저장하고 보충해 주는 보조물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할 때, 소음을 줄이고 내 마모성을 증대하기 위해 마찰제를 실린더(100) 내부 또는 피스톤(A) 외부에 감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제(90-1)(90-2)는 마찰력이 낮은 수지계열이나 테프론 재질 또는 아세탈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스톤 난방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할 때, 소음을 줄이고 내 마모성을 증대하기 위해 피스톤 외부에 홈(91)을 파고 오링(90-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스톤 난방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가열부(30)는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도체(32)에 히타(31)와 흐름관(33)을 두고, 열매체가 유입구(34)로 들어와 흐름관(33)을 통해 히타(31)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유출구(35)로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10)는 유입구(11) 및 유출구(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1코일(18) 및 제2코일(19)과,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관통공(16)을 가지며,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피스톤(201)을 두고, 상기 피스톤(201)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13)와, 상기 제1체크밸브의 반대측의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8. 제 7항의 전원공급부(60)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60)는 제1코일(18)에 전원을 공급할 때는 제2코일(19)에 전원을 차단하고, 제2코일(19)에 전원을 공급할 때는 제1코일(18)에 전원을 차단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 공급하여 실린더(100) 내부의 피스톤(201)을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110)는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1코일(118) 및 제2코일(119)과, 상기 제1코일(118) 및 제2코일(119)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관통공(116)을 가지며, 양단이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진 자석 재질의 피스톤(202)을 두고, 상기 피스톤(2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1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113)와, 상기 제1체크밸브의 반대측의 유입구(111) 또는 유출구(1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0. 제9항의 전원공급부(160)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제1코일(118) 및 제2코일(119)의 실린더(100) 내부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양단에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석재질인 피스톤(202)을 상기 발생 된 자기장에 밀고 당겨 한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코일(118) 및 제2코일(119)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2)을 상기와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2)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210)는,유입구(211) 또는 유출구(2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218)과, 상기 코일(218)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서 관통공(216)을 가지며 자기장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피스톤(203)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03)이 상기 유출구(212)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15)과 상기 유입구(211)의 반대측 피스톤(203)의 일 측에 설치되어 관통공(2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213) 및 유출구(212)측에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2. 제11항의 전원공급부(260)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260)는 코일(218)에 전원을 공급할 때, 피스톤(203)이 스프링(215)을 압축시키며 이동한 뒤, 코일(218)에 전원을 차단하면 스프링(215)의 반발력에 의해 피스톤(203)이 복원되며, 이를 연속적으로 코일(218)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310)는 실린더(100)양단에 격리판(316a)(3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311a)(311b)와 유출구(312a)(312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320a)(320b)과 제2실(321a)(321b)에, 제1체크밸브(313a)(313b)와 제2체크밸브(314a)(314b)를 포함한 제1덮개(317a)와 제2덮개(317b)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자기장에 반응하며,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4)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제1코일(318) 및 제2코일(319)을 설치하고,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스톤 난방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60)는 제1코일(318)에 전원을 공급할 때는 제2코일(319)에 전원을 차단하고, 제2코일(319)에 전원을 공급할 때는 제1코일(318)에 전원을 차단하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 공급하면, 실린더(100) 내부의 피스톤(204)을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410)는 실린더(100)양단에 격리판(416a)(4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411a)(411b)와 유출구(412a)(412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420a)(420b)과 제2실(421a)(421b)에, 제1체크밸브(413a)(413b)와 제2체크밸브(414a)(414b)를 포함한 제1덮개(417a)와 제2덮개(417b)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4)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제1코일(418) 및 제2코일(419)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460)는 제1코일(418) 및 제2코일(419)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자석재질인 피스톤(204)을 제1코일(418) 또는 제2코일(419) 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코일(418) 및 제2코일(419)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4)을 제2코일(419) 또는 제1코일(418) 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4)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510)는 유입구(511) 및 유출구(5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1코일(518) 및 제2코일(519)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 된 자기장을 실린더(100) 내부에 발생시키는 코아(520a)(520b)와, 상기 제1코일(518) 및 제2코일(519)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부(56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관통공(516)을 가지며, 양단이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진 자석 재질의 피스톤(206)을 두고, 상기 피스톤(206)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5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513)와, 상기 제1체크밸브의 반대측의 유입구(511) 또는 유출구(512)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8. 제17항의 전원공급부(560)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60)는 제1코일(518) 및 제2코일(519)의 실린더(100) 내부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양단에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석재질인 피스톤(206)을 상기 발생 된 자기장에 밀고 당겨 한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코일(118) 및 제2코일(119)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6)을 상기와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6)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610)는 유입구(611) 및 유출구(612)가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618)과 상기 코일(61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60)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 관통공(616)을 가지며, 환형모양의 영구자석을 같은 극성이 마주보도록 설치한 피스톤(207)을 두고, 상기 피스톤(207)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616)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체크밸브(613)와 상기 제1체크밸브의 반대측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에 설치되어 그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체크밸브(6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0. 제19항의 전원공급부(660)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660)는 코일(618)의 실린더(100) 내부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양단에 같은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석재질인 피스톤(207)을 상기 발생 된 자기장에 밀고 당겨 한쪽으로 이동시킨 후, 코일(618)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7)을 상기와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7)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710)는 실린더(100)양단에 격리판(716a)(7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711a)(711b)와 유출구(712a)(712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720a)(720b)과 제2실(721a)(721b)에, 제1체크밸브(713a)(713b)와 제2체크밸브(714a)(714b)를 포함한 제1덮개(717a)와 제2덮개(717b)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8)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제1코일(718) 및 제2코일(719)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760)는 제1코일(718) 및 제2코일(719)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자석재질인 피스톤(208)을 제1코일(718) 또는 제2코일(719) 쪽으로 이동시킨 후, 제1코일(718) 및 제2코일(719)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8)을 제2코일(719) 또는 제1코일(718) 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8)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810)는 실린더(100)양단에 격리판(816a)(816b)으로 분리되어 유입구(811a)(811b)와 유출구(812a)(812b)를 포함하며, 격리판으로 분리된 제1실(820a)(820b)과 제2실(821a)(821b)에, 제1체크밸브(813a)(813b)와 제2체크밸브(814a)(814b)를 포함한 제1덮개(817a)와 제2덮개(817b)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00) 내부에는, 양단에 다른 극성의 자력을 가진 관통공이 없는 내부가 막힌 피스톤(209)을 두고, 상기 실린더(100) 외부에 제1코일(818) 및 제2코일(819)을 설치하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860)는 코일(818)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이 발생 되도록 하여 자석재질인 피스톤(209)을 코일(818) 쪽으로 이동시킨 후,코일(818)에 동시에 상기와 반대 극성이 발생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209)을 코일(419) 쪽으로 이동시키며; 이를 연속적으로 교차공급하여 피스톤(209)을 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5. 난방대상(C)에 매설된 난방호스(41a)(41b)를 좌우분리 설치하고, 상기 좌측의 난방호스(41a)와 연결된 연결호스(42a)(43a);와 상기 우측의 난방호스(41b)와 연결된 연결호스(42b)(43b);
    상기 연결호스(42a)(43a)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가열부(30a)와 다른 연결호스(42b)(43b)를 경유하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가열부(30b);
    상기 두 개의 열매체가열부(30a),(30b)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부(70a),(70b);와 상기 열매체를 보충 또는 저장해주는 보조물통(50a)(50b)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의 연결호스에 설치되어 열매체를 상기 난방호스(41a)(41b)와 열매체가열부(30a)(30b) 사이에서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좌측의 난방호스(41a)와 연결된 연결호스(42a)(43a)와, 상기 순환펌프의 실린더(100) 좌측에 설치되며, 체크밸브를 포함한 제1덮개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우측의 난방호스(41b)와 연결된 연결호스(42b)(43b)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실린더(100) 우측에 설치되며, 체크밸브를 포함한 제2덮개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여 하나의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좌우 분리난방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310)는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204)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두 개의 코일(318)(319)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00) 양단에 체크밸브(313a),(314a)를 포함한 제1덮개(317a)와 체크밸브(313b),(314b)를 포함한 제2덮개(317b)를 가지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410)는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205)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두 개의 코일(418)(419)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00) 양단에 체크밸브(413a),(414a)를 포함한 제1덮개(417a)와 체크밸브(413b),(414b)를 포함한 제2덮개(417b)를 가지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710)는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208)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두 개의 코일(718)(719)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00) 양단에 체크밸브(713a),(714a)를 포함한 제1덮개(717a)와 체크밸브(713b),(714b)를 포함한 제2덮개(717b)를 가지며,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810)는 실린더(100) 내부에 피스톤(209)을 두고 실린더(100) 외부에 코일(818)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00) 양단에 체크밸브 (813a),(814a)를 포함한 제1덮개(817a)와 체크밸브(813b),(814b)를 포함한 제2덮개(817b)를 가지며, 상기 코일(81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8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난방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실린더(100) 내벽이나 피스톤 외벽에 마찰제(90-1),(90-2),(90-3)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스톤 난방시스템"
KR1020100015101A 2010-02-19 2010-02-19 피스톤 난방시스템 KR20110095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101A KR20110095563A (ko) 2010-02-19 2010-02-19 피스톤 난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101A KR20110095563A (ko) 2010-02-19 2010-02-19 피스톤 난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563A true KR20110095563A (ko) 2011-08-25

Family

ID=4493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101A KR20110095563A (ko) 2010-02-19 2010-02-19 피스톤 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55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4208A (zh) * 2012-09-26 2015-11-18 奥博迪克斯股份有限公司 流体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4208A (zh) * 2012-09-26 2015-11-18 奥博迪克斯股份有限公司 流体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113B1 (ko) 동일 평면상 인터페이스 면을 지닌 2개의 펌프 디자인
CA2591345A1 (en) Reciprocating pump system
EP0672831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KR20110095563A (ko) 피스톤 난방시스템
CN107076127B (zh) 用于冷却螺线管泵的螺线管线圈的方法和设备
CN208190459U (zh) 一种自冷却油泵电机
CN206785581U (zh) 一种单缸双作用磁力泵
KR20150064376A (ko) 피스톤 유체펌프
CN110112888B (zh) 一种磁流体泵
KR20120106197A (ko) 피스톤펌프 온수보일러
KR20140040999A (ko) 고효율 유체펌프
JP5800629B2 (ja) 電磁往復動流体装置
KR101766010B1 (ko) 고효율 왕복동식 피스톤 전자펌프
KR101382087B1 (ko) 피스톤 유체펌프 난방시스템
KR20120073079A (ko) 피스톤펌프 온수보일러
CN110159507A (zh) 包括单件式结构元件的振荡活塞泵
SU1608358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оршневой насос
US20070217930A1 (en) Reciprocating electromagnetic pump
KR20110100782A (ko) 피스톤 보일러
CN203286843U (zh) 冰箱
KR20110099879A (ko) 고효율 보일러
KR20130129810A (ko) 온수바닥 난방시스템
US20220389920A1 (en) High Volume, Low Pressure Oilless Pump
KR20110008247U (ko) 피스톤 유체펌프 난방시스템
WO2005090786A1 (ja) 電磁式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