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444A -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444A
KR20110094444A KR1020100013820A KR20100013820A KR20110094444A KR 20110094444 A KR20110094444 A KR 20110094444A KR 1020100013820 A KR1020100013820 A KR 1020100013820A KR 20100013820 A KR20100013820 A KR 20100013820A KR 20110094444 A KR20110094444 A KR 2011009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oup
act
emotional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312B1 (ko
Inventor
최이권
이승권
김경식
이재동
이석균
우진운
김승훈
박태근
김태완
Original Assignee
모젼스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젼스랩(주) filed Critical 모젼스랩(주)
Priority to KR102010001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3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와 자동으로 대화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내용을 기반으로 핵심 단어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성, 화행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합한 응답문과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본 발명은 입력된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나누어 분류하는 형태소 분석기와; 상기 형태소 분석기에서 분류된 단어 중, 응답문 생성을 위하여 유효한 단어만을 선별하는 단어선정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를 감성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판별하는 감성분석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 및 입력문의 구조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하는 화행분석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대화스크립트 생성기; 그리고 상기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온톨로지대화스크립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력 문장을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적합한 문장을 제공해 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 높일 수 있기 때문에 ARS, 상담 분야, 게시판(Q&A) 등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response using weighting }
본 발명은 사용자와 자동으로 대화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내용을 기반으로 핵심 단어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성, 화행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합한 응답문과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출된 감성정보 및 화행정보에 따라, 입력된 문장의 형태소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핵심어를 이용하여 응답문을 선정하는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사용자가 컴퓨터와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은, 양방향의 소통이 아니라 사용자가 컴퓨터에 지정된 방법으로 명령을 전달하고, 전달된 명령을 컴퓨터가 수행하는 일 방향의 의사소통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이와 같은 방법을 넘어, 컴퓨터와 사용자가 양방향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 대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여 응답을 하기 위한 기술(특허 공개 제2000-0032056호, 선행기술 1)이 개발되었고, 또한, 입력된 문장으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온톨로지 데이터 베이스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온톨로지 데이터 베이스를 컴퓨터가 스스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특허 공개 제2009-0117110호, 선행기술 2)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언급한 선행기술 1은, 정보를 전달하는 문장에 대하여는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감정이 포함된 문장에 대하여는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행기술 1에서는, 입력된 문장에 포함된 감정의 내용을 파악할 수 없고, 이를 응답문 생성에 반영할 수 없다.
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기술이 실시간 소비자 상담 게시판에 적용된다고 가정하고, 만약 사용자의 입력문이 'A/S 기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인 경우와, 'A/S 기간이 그렇게 오래 걸리나요?' 인 두 가지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두 문장에 있어서, 첫 번째 'A/S 기간이 얼마나 걸리나요?'는 A/S 기간의 구체적인 정보를 묻는 입력문이고, 두 번째인 'A/S 기간이 그렇게 오래 걸리나요?'는 A/S 기간에 대하여 불만을 나타내는 입력문이다.
이 두 경우에 있어 자연스럽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첫 번째 입력문에 대하여는 A/S 기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하고, 두 번째 입력문에 대하여는 사과 및 기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에 대한 답변 또는 A/S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 의한 방법으로 응답문을 생성할 경우, 양 입력문 모두 문형이 의문문이고, 명사구가 'A/S 기간'이며, 동사구가 '걸리나요?'이므로, 동일한 결과, 즉 A/S 기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응답문이 제공되고, 두 번째 입력문에 대하여는 자연스러운 응답문에 제공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문장의 감성정보를 파악하여 자연스러운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답문 생성장치 빛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된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나누어 분류하는 형태소 분석기와; 상기 형태소 분석기에서 분류된 단어 중, 응답문 생성을 위하여 유효한 단어만을 선별하는 단어선정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를 감성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판별하는 감성분석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 및 입력문의 구조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하는 화행분석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대화스크립트 생성기; 그리고 상기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온톨로지대화스크립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대화스크립트 생성기는,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단어에 가산치를 부여하여,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선별 단어를 이용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형태소분석기는, 입력문에 포함된 단어를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성분석기는,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평상, 심심,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으로 분류하고; 상기 감성정보 중 평상 및 심심을 감성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감성정보 중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을 감성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행분석기는, 상기 화행정보를 요청, 확인, 정보 및 일반으로 분류하고; 상기 화행정보 중 요청은 화행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화행정보 중 확인, 정보 및 일반은 화행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화스크립트생성기는,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동사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명사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며;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명사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며: 여기서, 상기 가산치 A, B 및 C는 A>B>C 또는 A≥B≥C 인 관계를 만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산치 A, B 및 C는, A+B+C=1 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선정기에서 선택된 단어들을 검색 및 비교가 용이하도록 동의어로 변환하는 동의어선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입력문에 포함된 단어들을 대표할 수 있는 동의어들이 저장되는 온톨로지 동의어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성정보, 화행정보 및 상기 대화디스크립트생성기에서 생성된 응답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추가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천정보생성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사용자가 입력문을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분류하는 형태소분석 단계와; (C) 별로 분류된 입력문의 구성 단어들 중 응답문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유효 부분만을 선택하는 핵심어 선정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선택된 단어들의 동의어를 검색하여 선정하는 동의어선정 단계와; (E) 상기 동의어 선정기에 의해 선택된 동의어를 이용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분석하는 감성분석 단계와; (F)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문에 대해서 정확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하는 단계와; (G)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의어 선정기에서 선정된 동의어에 가산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설정단계와; (H)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동의어를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통해 검색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I) 상기 응답문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문에 포함된 단어를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으로 분류하여 수행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평상, 심심,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으로 분류하고, 상기 감성정보 중 평상 및 심심을 감성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감성정보 중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을 감성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하여 수행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화행정보를 요청, 확인, 정보 및 일반으로 분류하고, 상기 화행정보 중 요청은 화행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화행정보 중 확인, 정보 및 일반은 화행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하여 수행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방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G) 단계의 가중치는,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동사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명사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며;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명사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며: 이때, 상기 가산치 A, B 및 C는 A>B>C 또는 A≥B≥C 인 관계 및 A+B+C=1 인 관계를 만족할 수도 있다.
그리고 (J) 상기 감성정보, 화행정보 및 상기 대화디스크립트생성기에서 생성된 응답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추가데이터를 검색하여 추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 장치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 문장을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적합한 문장을 제공해 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 높일 수 있기 때문에 ARS, 상담 분야, 게시판(Q&A) 등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에 있어, 형태소 구분에 사용되는 구분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에 있어, 감성정보 분류에 사용되는 구분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에 있어, 화행정보 분류에 사용되는 구분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에 있어, 가중치 부가 기준의 일 예를 도시한 테이블.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장치는, 입력부(100), 형태소분석기(210), 단어선정기(220), 동의어선정기(230), 감성분석기(240), 화행분석기(250),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 데이터베이스(300), 추천정보생성기(27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문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사용자로부터 직접 텍스트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을 받아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_텍스트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_텍스트 변환기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형태소분석기(210)는 입력된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글 맞춤법에 맞게 문장을 재구성하고,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에 따라 명사, 형용사, 조사, 동사, 대명사, 어미, 음절 등으로 나눈다.
상기 형태소분석기(210)에서 상기 입력문의 형태소를 분류하는 기준은 본 발명의 작동성을 고려하여, 단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9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 조사, 관형사 및 동사)를 명사, 대명사 및 수사를 포함하여 명사군으로 분류하고, 형용사, 부사, 감탄사, 조사 및 관형사를 포함하여 수식어군으로 분류하며, 동사를 동사군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을 품사들 중 일부(조사, 관형사 등)를 제외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어선정기(220)는 형태소 별로 분류된 입력문 중 응답문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유효 무분만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어선정기(220)는 상기 형태소분석기(210)에서 분류된 입력문 중 응답문을 생성하기 위해 유효하게 사용될 단어만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형태소분석기(210)에 의해 상기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에는 각각 다수개의 단어들이 포함될 수 있는 각 군에서 응답문 생성에 있어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는 단어들을 제외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극단적으로는, 각 군을 대표하는 하나의 단어만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의어선정기(230)는 상기 단어선정기(220)에서 선택된 단어들의 동의어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동의어는 상기 선택 단어들을 대표할 수 있는 동의어가 검색되는데,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온톨로지 동의어 데이터베이스(31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온톨로지 동의어 데이터베이스(310)에는 문장 성분들을 대표할 수 있는 단어들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감성분석기(240)는 상기 동의어선정기(230)에 의해 선택된 동의어를 이용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는 대표 동의어에 따라 문장의 감성정보를 분류한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320)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감성분석기(240)는 설정된 분류에 따라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분류하는데, 그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문을 평상, 심심,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의 7개의 분류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성정보를 감성 제1군, 감성 제2군 등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에서 상기 감성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함에 있어, 가중치 부여를 간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성정보 중 평상 및 심심을 감성 제1군 그리고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을 감성 제2군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행분석기(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문에 대해서 정확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화행이라 함은 문장의 종류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크게 요청문, 확인문, 정보문 및 일반문으로 분류한다.
상기 화행정보의 구분 분류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행정보는 크게 요청, 확인, 정보 및 일반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상기 요청은, 정보요청(ASK_REF), 응답요청(ASK_IF), 확인요청(REQUEST_CONF), 행위요청(REQUEST_ACT), 약속(PROMISE), 거절(REJECT), 수정(CORRECT), 제안(SUGGEST), 응답(RESPONSE) 및 수락(ACCEPT)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확인은, 이전 발화 확인(ASK_CONF), 확인(CONFIRM), 미확인(UNCONFIRMED)으로 구분되고, 상기 정보는, 정보 제공(INFORMATION) 및 정보(INFORMA)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일반은, 인사(GREETING), 추측(SUPPOSE), 악담(ABLUSE), 대화시작(OPENING), 대화 끝(CLOSEING) 및 강조(EMPHASIS)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화행정보 역시,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에서 상기 화행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용이하게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화행정보를 화행 제1군, 화행 제2군 등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행정보 중 요청은 화행 제1군 그리고 , 확인, 정보 빛 일반의 경우는 화행 제2군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는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의어선정기(230)에서 선정된 동의어에 가산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동의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330)를 이용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가산치 설정 기준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있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산치는 그룹화된 상기 감성정보 및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에 속하고,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에 속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동의어 중 동사군에 가산치 A를,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에 속하고,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에 속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동의어 중 명사군에 가산치 A를,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에 속하고,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에 속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동의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를,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명사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에 속하고,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에 속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동의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를,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한다.
이때, A, B 및 C는 임의로 설정되는 값이나, A>B>C 인 관계(또는 A≥B≥C) 를 만족하고, A+B+C=1 을 만족하는 0 내지 1 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천정보생성기(270)는, 상기 감성정보, 화행정보 및 상기 대화디스크립트생성기(260)에서 생성된 응답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추가데이터를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추천정보생성기(270)는 상기 동의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추천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데, 상기 검색은 인터넷의 컨텐츠 사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장장치를 검색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온톨로지 동의어 데이터 베이스(310), 감성정보 데이터 베이스(320) 및 온톨로지 대화 스크립트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에서 생성된 응답문 및 상기 추천정보생성기(270)에서 생성된 추천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따른 응답문 생성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응답문 생성방법은 사용자가 입력문을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0). 상기 입력문의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로 입력될 수도 있고, 음성으로 입력되어 텍스트로 변활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입력된 입력문을 분석하는 입력문 분석단계를 수행한다(S200).
이때, 상기 입력문 분석단계는, 형태소 분석단계, 핵심어 선정단계, 동의어 선정단계, 감성분석 단계 및 화행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를 차례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형태소분석기(210)가 입력된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분류하는 형태소분석 단계를 수행단다(S210).
상기 형태소 분석은 전술한 형태소분석기(210)의 기능과 같이,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각각 나누고, 각 성분들을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여기서, 상기 분류기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으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어선정기(220)가 형태소 별로 분류된 입력문 중 응답문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유효 무분만을 선택하는 핵심어 선정단계를 수행한다(S220).
이때, 상기 핵심어란, 상기 형태소분석기(210)에서 분류된 입력문 중 응답문을 생성하기 위해 유효하게 사용될 단어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에 포함된 단어들 중에 응답문 생성에 있어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는 단어들을 제외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각 군을 대표하는 하나의 단어만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의어선정기(230)가 상기 단어선정기(220)에서 선택된 단어들의 동의어를 검색하는 동의어선정 단계를 수행한다(S230).
이때, 상기 동의어는 상기 선택 단어들을 대표할 수 있는 동의어가 검색되는데, 이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온톨로지 동의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검색된다.
다음으로, 상기 감성분석기(240)가 상기 동의어선정기(230)에 의해 선택된 동의어를 이용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분석하는 감성분석 단계를 수행한다(S240). 이때, 상기 감성정보는 평상, 심심,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의 7개의 분류로 나누어 분류되고, 평상 및 심심을 감성 제1군 그리고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을 감성 제2군으로 그룹화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감성정보 분석은 데이터베이스(300)의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검색되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화행분석기(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문에 대해서 정확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한다(S250). 여기서 화행은 요청문, 확인문, 정보문 및 일반문으로 크게 분류되고, 세부적인 화행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상기 화행정보 역시 상기 화행정보를 화행 제1군, 화행 제2군으로 그룹화하는데, 상기 화행정보 중 요청은 화행 제1군 그리고 , 확인, 정보 빛 일반의 경우는 화행 제2군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200단계에 의해 입력문의 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응답문 생성단계가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에 의해 수행된다(S300).
구체적으로, 상기 응답문 생성단계는, 가중치분석 단계, 정보검색단계 및 대화스크립트 생성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이하에서 이를 단계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대화스크립트생성기(260)는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의어선정기(230)에서 선정된 동의어에 가산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설정단계를 수행한다(S31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산치 설정 기준은 도 6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다.
이는 그룹화된 상기 감성정보 및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데, 이를 중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를 요약하여 설명하면,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에 속하는 경우에는 명사군이나 동사군에 가중치를 많이 두도록 설정되고, 상기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에 속하는 경우, 수식어군에 가중치를 많이 두도록 설정된다.
상기 가중치를 설정된 이후에는,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동의어를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330)를 검색하여 응답문을 생성한다(S320, S330).
즉, 상기 온톨로지 대화 스크립트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연관어 들과 상기 동의어를 비교 검색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 관련 연관도에 상기 가중치를 반영한다.
이후, 상기 추천정보생성기(270)는, 상기 감성정보, 화행정보 및 상기 대화디스크립트생성기(260)에서 생성된 응답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추가데이터를 검색하여 추천정보를 생성한다(S400).
만약, 상기 추천정보의 제공이 필요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400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응답문를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한다(S500).
아울러, 상기 추천정보를 생성한 경우에는 상기 생성된 추천정보 역시 상기 출력부(400)를 이용하여 출력한다(S600).
이하에서는, 배경기술을 설명함에 있어 언급하였던 입력문을 예로 들어, 실제 입력문에 대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응답문이 생성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문으로 'A/S 기간이 얼마나 걸리나요?'가 입력된 경우, 형태소는 'A/S 기간', '얼마나' 및 걸리나요'이다.
명사군으로는 'A/S 기간'이 설정되고, 수식어군으로는 '얼마나' 그리고 동사군으로는 '걸리나요'가 된다.
동의어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동의어 선정과정은 설명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문에 대한 감성정보는 감정을 나타낼만한 형태소가 없으므로, '평상'으로 분류되어 감성 제1군에 속하게 된다.
그리고 화행정보는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으로 분류되어 화행 제1군에 속하게 된다.
이 경우, 가중치는 동사군≥명사군≥수식어군 순으로 부여된다.
따라서, 응답문은 '걸리나요'와 'A/S 기간'에 관련도가 높은 응답문이 선택되게 되어, 단순히 기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응답문이 생성된다.
반면에, 입력문으로 'A/S 기간이 그렇게 오래 걸리나요?'가 입력된 경우, 형태소는 'A/S 기간', '그렇게', '오래' 및 걸리나요'이다.
명사군으로는 'A/S 기간'이 설정되고, 수식어군으로는 '그렇게, 및 '오래' 그리고 동사군으로는 '걸리나요'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문에 대한 감성정보는 '그렇게', '오래'와 같이 감정을 나타내는 형태소가 존재하므로, '화남' 또는 '놀람'으로 분류되어 감성 제2군에 속하게 된다.
그리고 화행정보는 '확인' 또는 '강조'로 분류되어 화행 제2군에 속하게 된다(물론, 화행은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으로 분류되어 화행 제1군에 속하게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가중치는 수식어군≥명사군≥동사군 순으로 부여된다(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으로 분류되는 경우에는 수식어군≥동사군≥명사군).
그러므로 응답문은 '그렇게' 및 '오래'에 관련도가 높은 응답문이 선택되게 되어, 사과의 내용을 담은 응답문 또는 A/S 기간이 오래 걸리는 내부 사정에 대한 응답문 등이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A/S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추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이러한 내용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추천정보로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자동으로 대화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내용을 기반으로 핵심 단어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성, 화행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합한 응답문과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력 문장을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적합한 문장을 제공해 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 높일 수 있기 때문에 ARS, 상담 분야, 게시판(Q&A) 등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입력부 210 : 형태소분석기
220 : 단어선정기 230 : 동의어선정기
240 : 감성분석기 250 : 화행분석기
260 : 대화스크립트생성기 270 : 추천정보생성기
300 : 저장부 310 : 온톨로지동의어사전
320 : 감성정보데이터베이스 330 : 온톨로지대화스크립트데이터베이스
400 : 출력부

Claims (11)

  1. 입력된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나누어 분류하는 형태소 분석기와;
    상기 형태소 분석기에서 분류된 단어 중, 응답문 생성을 위하여 유효한 단어만을 선별하는 단어선정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를 감성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판별하는 감성분석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 및 입력문의 구조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하는 화행분석기와;
    상기 선별된 단어,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대화스크립트 생성기; 그리고
    상기 감성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온톨로지대화스크립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대화스크립트 생성기는,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단어에 가산치를 부여하여,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선별 단어를 이용하여 응답문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소분석기는,
    입력문에 포함된 단어를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분석기는,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평상, 심심,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으로 분류하고;
    상기 감성정보 중 평상 및 심심을 감성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감성정보 중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을 감성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행분석기는,
    상기 화행정보를 요청, 확인, 정보 및 일반으로 분류하고;
    상기 화행정보 중 요청은 화행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화행정보 중 확인, 정보 및 일반은 화행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스크립트생성기는,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동사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명사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며;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명사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를 부여하며:
    여기서, 상기 가산치 A, B 및 C는 A>B>C 또는 A≥B≥C 인 관계를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치 A, B 및 C는,
    A+B+C=1 인 관계를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선정기에서 선택된 단어들을 검색 및 비교가 용이하도록 동의어로 변환하는 동의어선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입력문에 포함된 단어들을 대표할 수 있는 동의어들이 저장되는 온톨로지 동의어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정보, 화행정보 및 상기 대화디스크립트생성기에서 생성된 응답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추가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천정보생성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9. (A) 사용자가 입력문을 입력하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문을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분류하는 형태소분석 단계와;
    (C) 별로 분류된 입력문의 구성 단어들 중 응답문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유효 부분만을 선택하는 핵심어 선정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선택된 단어들의 동의어를 검색하여 선정하는 동의어선정 단계와;
    (E) 상기 동의어 선정기에 의해 선택된 동의어를 이용하여,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분석하는 감성분석 단계와;
    (F)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문에 대해서 정확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문의 화행을 분석하는 단계와;
    (G) 상기 감성정보 및 상기 화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의어 선정기에서 선정된 동의어에 가산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설정단계와;
    (H)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동의어를 온톨로지 대화스크립트 데이터 베이스통해 검색하여 응답문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I) 상기 응답문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문에 포함된 단어를 명사군, 수식어군 및 동사군으로 분류하여 수행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를 평상, 심심,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으로 분류하고, 상기 감성정보 중 평상 및 심심을 감성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감성정보 중 기쁨, 슬픔, 화남, 긴장 및 놀람을 감성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하여 수행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화행정보를 요청, 확인, 정보 및 일반으로 분류하고, 상기 화행정보 중 요청은 화행 제1군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화행정보 중 확인, 정보 및 일반은 화행 제2군으로 그룹화하여 분류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의 가중치는,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동사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1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명사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며;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1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동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명사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고;
    상기 입력문의 감성정보가 감성 제2군이고, 상기 화행정보가 화행 제2군인 경우, 상기 선택된 단어 중 수식어군에 가산치 A, 명사군에 가산치 B 그리고 수식어군에 가산치 C가 부여되며:
    여기서, 상기 가산치 A, B 및 C는 A>B>C 또는 A≥B≥C 인 관계 및 A+B+C=1 인 관계를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J) 상기 감성정보, 화행정보 및 상기 대화디스크립트생성기에서 생성된 응답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한 추가데이터를 검색하여 추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방법.
KR1020100013820A 2010-02-16 2010-02-16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16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820A KR101168312B1 (ko) 2010-02-16 2010-02-16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820A KR101168312B1 (ko) 2010-02-16 2010-02-16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444A true KR20110094444A (ko) 2011-08-24
KR101168312B1 KR101168312B1 (ko) 2012-07-25

Family

ID=4493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820A KR101168312B1 (ko) 2010-02-16 2010-02-16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3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08A1 (en) * 2012-07-27 2014-01-30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75191A (ko) 2013-12-24 2015-07-0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채팅 데이터 학습 및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200077853A (ko) * 2018-12-21 2020-07-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격 정보를 이용한 대화 생성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532B2 (ja) 2000-10-11 2003-02-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感情情報抽出方法および感情情報抽出プログラムの計算機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23289A (ja) * 2000-10-13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対話装置
JP3738011B2 (ja) 2001-11-20 2006-01-25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08A1 (en) * 2012-07-27 2014-01-30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160848B2 (en) 2012-07-27 2015-10-1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75191A (ko) 2013-12-24 2015-07-0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채팅 데이터 학습 및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200077853A (ko) * 2018-12-21 2020-07-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격 정보를 이용한 대화 생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312B1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1533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statistical language models for interactive voice response applications
JP4485694B2 (ja) 並列する認識エンジン
Bulyko et al. Error-correction detection and response generation in a spoken dialogue system
Klaylat et al. Emotion recognition in Arabic speech
Trotzke et al. Third factors and the performance interface in language design
EP1089256A2 (en) Speech recognition models adaptation from previous results feedback
US20090210411A1 (en) Information Retrieving System
US2008005914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xt adaptation of speech-to-speech translation systems
US20080133245A1 (en) Methods for speech-to-speech translation
JP2000353161A (ja) 自然言語生成における文体制御方法及び装置
WO2008023470A1 (fr) Procédé de recherche de phrase, moteur de recherche de phrase, programme informatique, support d'enregistrement et stockage de document
White et al. Generating tailored, comparative descriptions with contextually appropriate intonation
JP2020135135A (ja) 対話コンテンツ作成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Dyriv et al.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identification based on Big Data analysis for person's electronic diary
KR101168312B1 (ko) 가중치를 이용한 응답문 생성장치 및 방법
Gaizauskas Evaluation in language and speech technology
Zee et al. Paradigmatic relations interact during the production of complex words: Evidence from variable plurals in Dutch
Di Fabbrizio et al. AT&t help desk.
KR20110100079A (ko) 대화체 앞뒤 문장정보를 이용한 다국어 음성합성 시스템 및 방법
JP2008204133A (ja) 回答検索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115721A (ko) 질의어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Trivedi Fundamental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19990047859A (ko) 도서 문헌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위한 자연언어 대화 시스템
Yoon et al. Building Korean linguistic resource for NLU data generation of banking app CS dialog system
JP2007265131A (ja) 対話情報抽出装置,対話情報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