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92A -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92A
KR20110093192A KR1020100013085A KR20100013085A KR20110093192A KR 20110093192 A KR20110093192 A KR 20110093192A KR 1020100013085 A KR1020100013085 A KR 1020100013085A KR 20100013085 A KR20100013085 A KR 20100013085A KR 20110093192 A KR20110093192 A KR 2011009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power mode
power
stat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우
김재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3192A/en
Publication of KR2011009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 using camera is provided to reduce total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de of a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nalyzed result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user using the camera. CONSTITUTION: A replaying status is determined by a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S10). After the camera takes a photograph of the front side of the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 an image is analyzed(20). An power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an image analyzed result(S30). The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 converted into a play off status is determined(S40). The power mode is changed to a normal power mode(S50).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 모드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nd in particular, by analyzing a state of a user using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nd adjusting a power supply mode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capable of reducing overall power consumption.

핸드폰, PDA, 스마트폰 등의 소형 컴퓨팅 기기들이 발달하면서, 동영상,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를 재생시키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역할도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재생 시간이 길어지면서 배터리의 전력문제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small computing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smart phones, the role of multimedia playback devices for playing multimedia such as video and music is also increasing. As the playing time of the multimedia player increases, the power problem of the battery becomes more important.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것은 점점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전력과 성능은 트레이드 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대체로 현재 사용되지 않거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은 부분을 찾아내서 줄이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multimedia playback devices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problem. However, in most cases, power and performance are trade-off, so effort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re usually not used, or to find and reduce parts that do not affect performance. do.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기존의 대부분의 기술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의 상호작용보다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자체 부품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연결된 장치들의 사용 정도에 초점을 맞추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기술들이다.Most existing technologie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multimedia playback devices focus on the usage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tself or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rather than the user's interaction with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Reduction techniques.

상기와 같은 방법의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상태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재생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를 시청하지 않는 상태에서 필요 없는 부분들의 전력이 계속해서 소모될 수 있다는 점이다. A representative problem of the prior art of the above method is that the power of unnecessary parts may continue to be consumed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away or does not watch the multimedia while playing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재생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멀티미디어 시청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와 사용자의 상호 작용 상태를 통한 컴퓨터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새로운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Since the user may not continuously watch the multimedia while playing the multimedia player, there is a need to find a new way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uter through the user's interaction with the multimedia playe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 모드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nalyzing the state of the user using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using a camera, and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mode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that can redu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또한,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이탈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구비된 컴퓨팅 장치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e power supply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completely cut off, thereby maintaining the security of th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력 모드 변경 단계, 상기 전력 모드를 변경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판단하여,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상 전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및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수행하는 영상 분석 및 전력 모드 재변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is in a playback stat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in a playback state, driving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of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er and analyzing the image, and changing a power mod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Changing the power mode, and after changing the power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play-off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 device is switched to the play-off state, converting to the normal power mode. If not, the camera drive / analysis step and power mode change. That comprising an image analysis and a power mode changing step of re-performing the steps characteriz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 후,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액티브 상태 유지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 전력 모드를 유지하고, 그렇치 않은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력 모드 변경 단계, 상기 전력 모드를 변경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판단하여,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상 전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및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수행하는 영상 분석 및 전력 모드 재변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is in a playback state,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 the playback state, after switching to the active state, the active state maintenanc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redetermined time for which the active state is set in advance If not maintained during the normal power mode, otherwise, the camera driving /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image after shooting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by driving the camera, change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Changing the power mode, after changing the power mode, the remote Determining whether the media playback device is switched to the playback off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a playback device is switched to the playback off state, converting to the normal power mode; otherwise, performing the camera driving / analysis step and changing the power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hanging the image analysis and power mode to perform the.

여기서, 상기 전력 모드 변경 단계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기준 전력 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아닌 다른 부분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power mode changing step may include changing to a reference power mode when the front face of the user is obtained as an image and setting in advance when a portion other than the front of the face of the user is obtained as the image. The low level power mode is changed to the low level, and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hanging to a high level low power mode set in advance.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대신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instead of changing to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o a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또한, 상기 액티브 상태 유지 판단 단계는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재생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termining of the active stat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play off signal is input to the multimedia player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 모드를 조정하기 때문에, 전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olving means, by analyzing the state of the user using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mo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또한, 사용 중의 배터리 유지 문제가 있는 휴대용 배터리를 장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사용 가능 시간을 대폭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usable time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equipped with a portable battery having a battery maintenance problem during use.

또한,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이탈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구비된 컴퓨팅 장치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e power supply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completely cut off, thereby maintaining the security of th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
1 is a procedure of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solving means and effects.

먼저,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First,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figur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도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각 종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데스크 탑, 노트북, PDA, 핸드폰, 스마트폰 등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단말기이면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력을 관리하기 때문에, 상기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각 종 컴퓨팅 장치(단말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a device having a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as an independent device, and includes various computing devices equipped with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e, any independent multimedia player or a computing terminal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er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a PDA, a mobile phone, and a smartphone is included. In addition, since power is managed using a camera, various types of computing devices (terminals) equipped with the independent multimedia player or the multimedia player are equipped with a camera.

상기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각 종 컴퓨팅 장치는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영상 분석 수단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공급 모드를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 공급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도 포함하고 있다.Each of the independent multimedia player or th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multimedia player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camera and includes means for analyzing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Since the power supply mod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 by the image analyzing mean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de is also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1 is a procedure of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한다(S10). 상기와 같이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미도시)가 멀티미디어 재생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재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재생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되는 데이터이다.As shown in FIG. 1,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an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device or a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in a playback state (S10).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player is in the playback stat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not shown) included in the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multimedia playback data is input, and is in a playback state when the playback data is input. To judge. The playback data is data generated when a playback button is input by a user.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만을 갖는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일 수도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즉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도 포함된다.Here,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may be an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only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or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an th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that is, a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한 결과, 재생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재생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0을 반복 수행),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를 수행한다(S20).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in the play state as described above, if it is not in the play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 the play state continuously (repeat step 1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in the play state. If the camera is driven to perform a camera driving /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image afte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S20).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고, 사용자는 상기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시청할 것이다. 그런데, 이 후, 사용자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하여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시청을 집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in the playback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plays the multimedia, and the user will watch the played multimedia. However, after this, the user may not concentrate on watching the multimedia being played through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for various reasons.

만약, 멀티미디어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지만, 사용자가 시청을 집중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만을 소비하는 결과를 낳고, 결과적으로 전력 공급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 공급을 감소시킬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전방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If the multimedia device is in the playback state, but the user does not concentrate on viewing, it results in consuming only unnecessary power, and as a result, adjustment of the power supply is required.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o reduce the power supply in detail, driving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nd then analyzing the captured images.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만을 갖는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갖는 컴퓨팅 장치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전방이란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액정 화면, OLED 화면, 소형 모니터 등을 의미)의 전방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lso includes an independent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only a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and a comput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ther than the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means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not shown, means a liquid crystal screen, OLED screen, small monitor, etc.).

상기와 같이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을 차등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수행한다(S30). 상기 전력 모드는 기준 전력 모드,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대신에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대체할 수도 있다.A power mode change step of analyz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described above and changing the power mode to differentially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s performed (S30). The power mode may be classified into a reference power mode, a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and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In some cases, it may be replaced by a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instead of the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상기 기준 전력 모드는 상기 정상 전력 모드와 동일한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 또는 상기 정상 전력 모드 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물론, 상기 기준 전력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사전에 세팅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되어 세팅될 수도 있다.The reference power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the multimedia player with the same power as the normal power mode, or a mode for supplying the multimedia player with a power slightly lower than the normal power mode. Of course, the power supplied in the reference power mode may be set in advance or may be changed and set by the user.

상기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는 상기 기준 전력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높은 수준의 저전력 모드는 상기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및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사전에 세팅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되어 세팅될 수도 있다.The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relatively low power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an the reference power mode, and the high level low power mode is relatively low power than the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The mode to supply to.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power supplied in the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and the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may be set in advance or may be changed and set by the user.

한편, 상기 높은 수순의 저전력 모드 대신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대체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보안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high power low power mode may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revent security problems,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media player is cut off.

상기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S30)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데,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가 변경되어 결정된다.The step of changing the power mode (S3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which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기준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를 집중하여 시청하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청을 유지할 개연성이 크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절전 모드(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및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환하지 않고, 정상 전력 모드와 동일 또는 약간 낮은 전력을 공급하는 기준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획득된 경우로 볼 수 있느냐의 기준은 사전에 알고리즘을 통하여 정해질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when the front face of the user is obtained as an image, the user changes to the reference power mode. In this case, since the user is watch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player and is intensively watching the multimedia being played back, a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continuing to watch it in the future, the power saving mode (low level) Without switching to a low power power mode and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but to a reference power mode that supplies the same or slightly lower power than the normal power mode. Here, the criterion of whether the front face of the user is obtained may be determined through an algorithm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모습이 영상으로 획득되었지만,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아닌 다른 부분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을 일정 시간 동안 바라보지 않을 개연성이 크고, 일정시간 동안 멀티미디어를 집중하여 시청하지 않을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절전 모드인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When the image of the user is acquired as an image, but a portion other tha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is obtained as the image, the user changes to a low power mode set in advance. In this cas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user does not look at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for a certain tim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does not concentrate on the multimedia for a certain time. Chang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이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앞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다시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고, 일정 시간 동안 멀티미디어 시청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며, 멀티미디어 재생 상태에서 어떠한 이유로 멀티미디어 시청을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해석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절전 모드 중에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the user changes to a preset high level low power mod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user in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t is very likely that the user will not use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gai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is reas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unable to concentrate on multimedia viewing is quite large, and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by changing to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재생 상태로 두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조작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고, 더욱이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스마트폰과 같은 소형의 컴퓨팅 장치)인 경우에는 중요한 내용(파일, 문자, 통화 내역 등)이 다른 사람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puts the multimedia player to the play state and is in a state far from the multimedia play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may be operated by another person, and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a small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ncluding other functions than th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mportant contents (file Security problems may arise because other people may be accessed by others.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높은 수준의 저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것 대신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전원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 높은 수준의 저전력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 또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는 처음부터 세팅해 놓을 수도 있고(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조시 세팅),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조하여 세팅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instead of changing to the high level low power mo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hange to the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s shape is not obtained at all, whether to change to a high level low power mode or a power supply cutoff mode may be set from the beginning (setting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nd set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so that it can be selected.

상기와 같이,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모드를 변경한 후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S40).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멀티미디어 재생 상태가 오프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하여 다른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만을 갖는 장치일지라도, 재생 오프 상태로 변환되면, 일단 정상 전력 공급 모드로 전환되며, 그 후 사용자는 다른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도 있고, 키 조작에 의하여 전원을 스스로 오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changing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s such, after changing the power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S40). When the multimedia playback state of the multimedia player is turned off, it is for supplying normal power so that other functions can be normally used by the user. Even if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a device having only a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once it is switched to the reproducing off state,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once switched to the normal power supply mode, after which the user may play another multimedia or turn off the power by himself by a key operation. have.

상기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한 결과,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정상 전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the step of converting to the normal power mod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S50).

반면,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0(카메라를 구동시켜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단계 S30(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영상 분석 및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layback is switched off, the step S20 (drive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front and analyze the image) and step S30 (change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Image analysis and power mode change step are performed repeatedly.

이는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이고, 사용자의 상태(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지만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앞에 존재하는 상태, 화면 상에 벗어난 상태)가 이전 촬영한 때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계 S20 및 단계 S30을 반복수행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등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This means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continuously in the play state when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layer is in the play off state, and the user's state (the front view of the multimedia play device is not viewed from the front, but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 device is in front). Since the present state and the off state on the screen may be changed from when they were previously taken, the steps S20 and S30 are repeatedly performed to differentially supply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detailed embodiment of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한다(S10). 상기와 같이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미도시)가 멀티미디어 재생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재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재생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되는 데이터이다.As shown in FIG. 2,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an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device or a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in a playback state (S10).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player is in the playback stat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not shown) included in the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multimedia playback data is input, and is in a playback state when the playback data is input. To judge. The playback data is data generated when a playback button is input by a user.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만을 갖는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일 수도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즉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탑재된 컴퓨팅 장치도 포함된다.Here,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may be an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only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or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an th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that is, a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한 결과, 재생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재생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0을 반복 수행),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한 후, 이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액티브 상태 유지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S13, S15).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in the play state as described above, if it is not in the play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 the play state continuously (repeat step 1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in the play state. In the case of switching to the active state, an active state maintaining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performed (S13 and S15).

상기 액티브 상태란 절전 모드가 필요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유지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절전 모드를 고려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전 모드를 고려하지 않는다.The active state may be defined as a state requiring a power saving mode. Therefore, it is judged whether this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and finally the power saving mode is considered if it is maintained, otherwise the power saving mode is not considered.

상기 액티브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액티브 유지 상태 판단 단계는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재생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재생 오프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 시간 동안 액티브 상태가 유지된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시간 동안 액티브 상태가 유지되지 않은 것이다.The active sustain stat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lay off signal is input to the multimedia player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ther words, when the play-off signal is not input to the multimedia play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therwise, the active state is not maintain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이와 같이 액티브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유지된 경우에만 절전 모드를 고려하는 이유는 단계 S10에서 판단한 결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일지라도, 판단 후 바로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 오프 신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wa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power saving mode only when it is maintained is that eve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 that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s in the playback state, it is played by the user immediately after the determination. This is because an off signal may occur.

즉, 단계 S10에 의하여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곧바로 절전 모드로 변경하고, 그 후, 곧 바로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시 정상 전력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전력 모드의 변경이 빈번하여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되고, 후술할 카메라 구동을 불필요하게 구동하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액티브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ayer is in the regeneration state by the step S10, and immediately changes to the power saving mode, after that, when the reproducing off signal is input by the user immediately, the mode should be changed back to the normal power mode. Since the mode is frequently changed,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the result of unnecessarily driving the camera to be described later occurs. Therefore, it is additionally determined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와 같이 단계 S15에서 액티브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 결과,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재생 오프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 해당되기 때문에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부터 다시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상기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된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카메라 구동부(미도시)는 카메라을 구동시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 전방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tive state is not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plays of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Since it corresponds to the case of inputting the signal, the method is performed again from the step S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in the playback state. If not (if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The camera driver (not shown)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drives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nd then analyzes the captured image (S20).

상기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액티브 상태가 유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포함된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전력 모드(정상 전력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 사용 중에 유지되는 전력 공급 모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단계 S10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active state is not maintain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e user can use other functions included in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erefore, the current power mode (normal power mod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ndependent multimedia playback device) In addition, it refers to a device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other functions besides th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e., the power supply mode maintained during use).

반면, 상기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액티브 상태가 유지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재생 오프 신호를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력 공급 감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을 감소시킬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 전방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를 수행한다(S20).On the other hand, when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since the user does not generate a play off sign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duction in power supply. According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o reduce the power supply in detail, the camera is driven to analyze the captured image afte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by driving the camera (S20).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고, 일정 시간 동안 액티브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고, 사용자는 상기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시청할 것이다. 그런데, 이 후, 사용자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하여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시청을 집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in the play state and remains active for a predetermined time as described above, the multimedia player plays the multimedia, and the user will watch the played multimedia. However, after this, the user may not concentrate on watching the multimedia being played through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for various reasons.

만약, 멀티미디어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지만, 사용자가 시청을 집중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만을 소비하는 결과를 낳고, 결과적으로 전력 공급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 공급을 감소시킬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전방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If the multimedia device is in the playback state, but the user does not concentrate on viewing, it results in consuming only unnecessary power, and as a result, adjustment of the power supply is required.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o reduce the power supply in detail, driving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nd then analyzing the captured images.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만을 갖는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갖는 컴퓨팅 장치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전방이란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액정 화면, OLED 화면, 소형 모니터 등을 의미)의 전방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lso includes an independent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only a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and a comput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ther than the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means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not shown, means a liquid crystal screen, OLED screen, small monitor, etc.).

상기와 같이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을 차등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수행한다(S30). 상기 전력 모드는 기준 전력 모드,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대신에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대체할 수도 있다.A power mode change step of analyz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described above and changing the power mode to differentially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s performed (S30). The power mode may be classified into a reference power mode, a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and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In some cases, it may be replaced by a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instead of the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상기 기준 전력 모드는 상기 정상 전력 모드와 동일한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 또는 상기 정상 전력 모드 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물론, 상기 기준 전력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사전에 세팅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되어 세팅될 수도 있다.The reference power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the multimedia player with the same power as the normal power mode, or a mode for supplying the multimedia player with a power slightly lower than the normal power mode. Of course, the power supplied in the reference power mode may be set in advance or may be changed and set by the user.

상기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는 상기 기준 전력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이고, 상기 높은 수준의 저전력 모드는 상기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및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사전에 세팅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되어 세팅될 수도 있다.The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is a mode for supplying relatively low power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than the reference power mode, and the high level low power mode is relatively low power than the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The mode to supply to.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power supplied in the low level low power power mode and the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may be set in advance or may be changed and set by the user.

한편, 상기 높은 수순의 저전력 모드 대신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대체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보안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high power low power mode may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revent security problems,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media player is cut off.

상기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S30)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데,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가 변경되어 결정된다.The step of changing the power mode (S3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which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기준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를 집중하여 시청하고 있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청을 유지할 개연성이 크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절전 모드(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 및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환하지 않고, 정상 전력 모드와 동일 또는 약간 낮은 전력을 공급하는 기준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획득된 경우로 볼 수 있느냐의 기준은 사전에 알고리즘을 통하여 정해질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when the front face of the user is obtained as an image, the user changes to the reference power mode. In this case, since the user is watching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player and is intensively watching the multimedia being played back, a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continuing to watch it in the future, the power saving mode (low level) Without switching to a low power power mode and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but to a reference power mode that supplies the same or slightly lower power than the normal power mode. Here, the criterion of whether the front face of the user is obtained may be determined through an algorithm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모습이 영상으로 획득되었지만,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아닌 다른 부분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을 일정 시간 동안 바라보지 않을 개연성이 크고, 일정시간 동안 멀티미디어를 집중하여 시청하지 않을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절전 모드인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When the image of the user is acquired as an image, but a portion other tha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is obtained as the image, the user changes to a low power mode set in advance. In this cas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user does not look at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for a certain tim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does not concentrate on the multimedia for a certain time. Chang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 이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앞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다시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고, 일정 시간 동안 멀티미디어 시청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며, 멀티미디어 재생 상태에서 어떠한 이유로 멀티미디어 시청을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해석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절전 모드 중에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the user changes to a preset high level low power mod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user in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it is very likely that the user will not use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gai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is reas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unable to concentrate on multimedia viewing is quite large, and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by changing to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재생 상태로 두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조작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고, 더욱이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스마트폰과 같은 소형의 컴퓨팅 장치)인 경우에는 중요한 내용(파일, 문자, 통화 내역 등)이 다른 사람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puts the multimedia player to the play state and is in a state far from the multimedia play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may be operated by another person, and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a small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ncluding other functions than th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mportant contents (file Security problems may arise because other people may be accessed by others.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높은 수준의 저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것 대신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전원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 높은 수준의 저전력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 또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는 처음부터 세팅해 놓을 수도 있고(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조시 세팅),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조하여 세팅할 수도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instead of changing to the high level low power mo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hange to the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s shape is not obtained at all, whether to change to a high level low power mode or a power supply cutoff mode may be set from the beginning (setting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nd set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so that it can be selected.

상기와 같이,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모드를 변경한 후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S40).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멀티미디어 재생 상태가 오프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하여 다른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만을 갖는 장치일지라도, 재생 오프 상태로 변환되면, 일단 정상 전력 공급 모드로 전환되며, 그 후 사용자는 다른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도 있고, 키 조작에 의하여 전원을 스스로 오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changing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s such, after changing the power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S40). When the multimedia playback state of the multimedia player is turned off, it is for supplying normal power so that other functions can be normally used by the user. Even if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a device having only a multimedia reproducing function, once it is switched to the reproducing off state,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once switched to the normal power supply mode, after which the user may play other multimedia or turn off the power by himself by key operation. have.

상기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한 결과,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정상 전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the step of converting to the normal power mod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S50).

반면,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0(카메라를 구동시켜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단계 S30(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영상 분석 및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layback is switched off, the step S20 (drive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front and analyze the image) and step S30 (change the power mod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Image analysis and power mode change step are performed repeatedly.

이는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이고, 사용자의 상태(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화면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지만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앞에 존재하는 상태, 화면 상에 벗어난 상태)가 이전 촬영한 때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계 S20 및 단계 S30을 반복수행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등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continuously in the play state when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layer is in the play off state, and the user's state (the front view of the multimedia play device is not seen from the front, but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 device is in front of the multimedia play device). Since the present state and the off state on the screen may be changed from when they were previously taken, the steps S20 and S30 are repeatedly performed to differentially supply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user's state.

Claims (5)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력 모드 변경 단계;
상기 전력 모드를 변경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판단하여,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상 전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및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수행하는 영상 분석 및 전력 모드 재변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in a playback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er is in a playback state, driving / camera to take a picture of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er and analyze an image;
A power mode changing step of changing a power mod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After changing the power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the operation is performed to switch to the normal power mod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driving / analysis step and a power mode changing step.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 후,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액티브 상태 유지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액티브 상태가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 전력 모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방을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상기 영상 분석 결과에 따라 전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력 모드 변경 단계;
상기 전력 모드를 변경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판단하여, 재생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상 전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구동/분석 단계 및 전력 모드 변경 단계를 수행하는 영상 분석 및 전력 모드 재변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Determining whether the multimedia player is in a playback state;
An active state maintenanc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ctive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switching to the active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eneration state is in the reproduction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active state is not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normal power mode is maintained. Otherwise, the camera is driven to analyze the image afte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by driving the camera. Analysis step;
A power mode changing step of changing a power mod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After changing the power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media play apparatus is switched to the play off state, the operation is performed to switch to the normal power mode.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driving / analysis step and a power mode changing step.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드 변경 단계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기준 전력 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얼굴 정면이 아닌 다른 부분이 영상으로 획득된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낮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전에 세팅된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wer mode change step,
As a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whe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is obtained as an image, it is changed to the reference power mode, and when a portion other than the front of the user's face is obtained as the image, the low power mode is set to a preset low level power. And when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changing to a preset high level low power mod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형체가 전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 높은 수준의 저전력 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대신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공급 차단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If the shape of the user is not obtained at all, 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us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o a power supply cut-off mode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instead of changing to a high level low power power mo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상태 유지 판단 단계는 사전에 세팅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 재생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active state determination step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lay off signal is input to the multimedia playback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the power management method of a multimedia playback device using a camera.
KR1020100013085A 2010-02-12 2010-02-12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KR201100931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85A KR20110093192A (en) 2010-02-12 2010-02-12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85A KR20110093192A (en) 2010-02-12 2010-02-12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92A true KR20110093192A (en) 2011-08-18

Family

ID=4492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85A KR20110093192A (en) 2010-02-12 2010-02-12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31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8161B2 (en) 2012-04-18 2016-10-25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8161B2 (en) 2012-04-18 2016-10-25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7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KR101920020B1 (en) Status Chang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891786B1 (en) Operation Method For User Function based on a Eye-Tracking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404508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20080016544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65918A1 (en) Power saving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the electronic apparatus
US20100048139A1 (en) Battery power consumption control
KR20100050180A (e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trolling display unit thereof
CN106454413A (en) Live broadcast coding switching method and device, and live broadcast terminal equipment
WO2014048326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2463237A (en) Screen burning preven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9134665A1 (en) Screen switching method and dual-screen terminal
WO2023169171A1 (en) Process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5204323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U2618908C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mages and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images
US11314313B2 (en) Screen casting
CN110989816B (en)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10093192A (en)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player power using camera
WO2023169367A1 (en) Audi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79300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ellular phone
WO2016149928A1 (en) Video playing mode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083473B1 (en) method for managing computer power using web camera
JP2012124621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N112527088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714038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