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88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88A
KR20110093188A KR1020100013075A KR20100013075A KR20110093188A KR 20110093188 A KR20110093188 A KR 20110093188A KR 1020100013075 A KR1020100013075 A KR 1020100013075A KR 20100013075 A KR20100013075 A KR 20100013075A KR 20110093188 A KR20110093188 A KR 20110093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tence
emotional
keyword
phr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신철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형
신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신철호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10001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3188A/en
Publication of KR2011009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ensitivity keyword and system for recording medium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recognize other users having similar sensitivity with the user using a sensitivity keyword including in a specific sentence, a phrases, or a word. CONSTITUTION: An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115) extracts one or more sensibility keywords included in registered sentence from a user terminal. A verifying information method(125) determines a sentence including the same sensibility keyword is registered in the extracted sensibility keyword of a user.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130) provides one or more sentences including the sensibility keyword which is matched in order to be similar with the sensibility keyword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in case of being registered the sentence.

Description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특정 문장이나 문구, 단어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인식하여,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이 인지된 다른 제2, 제3, ..., 제n의 사용자가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이 인지된 다른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나 또는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emotion keywords included in a specific sentence, phrase, or word registered from a user terminal, and is registered by another second, third, ..., n-th user who is recognized the same (or similar) emotion. Checking a sentence (or phrase), and the other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or sentence (or phrase) recognized the same (or similar) sentiment to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정보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휴대폰, 메신저, 인터넷 전화, 카페, 블로그 등 매우 다양해져 왔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users has become very diverse such as mobile phones, messengers, Internet phones, cafes, blogs, and the like.

전술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사용자들은 상호간의 의사 표현을 수행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이기종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통신도 가능하게 되었다.
Using the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described above, users on-line or off-line have performed mutual expressions. In recent years, communication of heterogeneous communication means has also become possible.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대부분은 친구나 지인들이 대다수 이며, 감성과 같은 사용자만의 특이성과 연관있는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In general, a user selects a communication partner for a specific purpose. Most of these communication friends are friends or acquaintances, and it is not easy to find a communication partner associated with a user's specificity such as emo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문장이나 문구, 단어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사용자를 인지하고, 동일한 감성이 인지된 다른 제2, 제3, ..., 제n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상기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나 상기 제2, 제3, ..., 제n의 사용자가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users of the same (or similar) emotions by using emotional keywords included in specific sentences, phrases, and words, and to identify other second, third, ..., third, to provide the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or a sentence (or phrase) registered by the second, third, ..., n-th user for communication with n-user.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제공된 문장(또는 문구)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채널 연결을 원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선택(또는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선택(또는 입력)된 문장(또는 문구)을 등록한 연결 대상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연결 대상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통신채널 연결 요청을 통지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채널 연결 요청에 대한 승낙 확인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emotion keyword, including extracting (or confirming) one or more emotion keywords included in a registered sentence (or phrase) from a user terminal in a server, and extracting ( Or confirming that a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matching to be identical (or similar)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is registered, and if registered, the server is identical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Or similar) providing one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including the emotional keyword match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sentence to which a communication channel is conn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rovided sentences (or phrases) at the server ( Or phrases) is selected (or input) and sent, register the selected (or input) sentence (or phrase) Identifying a connection target user; notifying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to a terminal to which the connection target user is connected; and confirming acceptance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from a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at a server; And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문장(또는 문구)이 둘 이상인 경우, 문장(또는 문구)별 상기 감성 키워드의 매칭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산정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one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including the emotional keywords that match the same (or similar) to the user's emotional keywords, the sentence (or phrases) is two or more In this cas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a matching ratio of the emotional keywords for each sentence (or phrase),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 list of the calculated matching ratios in order of increasing ord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에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제공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emotional keyword may include grouping one or more users who have provided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 in a server, and perform a text conversation between the grouped users in the ser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chat channe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에서 사용자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지인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감성 키워드 내역, 감성 키워드의 동일(또는 유사) 매칭 비율에 따른 통신채널 연결 내역을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 영역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emotional keyword includes a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of the user, a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detail of an acquaintance designated by the user, an emotional keyword history, an emotional keyword And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details according to the same (or similar) matching ratio in the unique area assigned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성 키워드는, 사용자 감성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otion keywor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to express user emotion.

한편, 본 발명은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의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하여 디지탈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탈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ctions executable in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re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 method of claim 1 or 2 or 3 or 4, and a program which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Recorded recording mediu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정보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user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emotional key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or confirming) one or more emotional keywords contained in the registered sentence (or phras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extraction ( Or information checking means for checking whether a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matching the same (or similar)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is registered, and, if registered,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in the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one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including emotional keywords that are matched equally (or similarly).

본 발명에 따르면,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채널 연결을 원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선택(또는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선택(또는 입력)된 문장(또는 문구)을 등록한 연결 대상 사용자를 확인하여, 상기 연결 대상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통신채널 연결 요청을 통지하는 연결 확인수단 및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채널 연결 요청에 대한 승낙 확인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연결 처리수단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ntence (or phrase) that a user wants to connect to a communication channel is selected (or input) and is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the selected sentence (or phrase) is transmitted. Connection confirm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connection target user who has registered), and notify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to the terminal to which the connection target user is connected, and confirming the acceptance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Connection processing means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수단은,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둘 이상인 경우, 문장(또는 문구)별 상기 감성 키워드의 매칭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ans, if there is more than one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the emotional keyword that matches the same (or similar)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matching the emotional keyword by sentence (or phrase) A ratio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matching ratio is provided in order of high order,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제공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그루핑 수단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emotional keyword groups a group of one or more users who provided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 and provides a chat channel for text conversation between the grouped users. It further comprises a group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지인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감성 키워드 내역, 감성 키워드의 동일(또는 유사) 매칭 비율에 따른 통신채널 연결 내역을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 영역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정보 등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emotion keyword includes a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of a user, a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of an acquaintance designated by the user, an emotion keyword history, and an emotion keyword. (Or similar)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details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io in the unique area assigned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가진 다른 사용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ans can easily search for another us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 as that of the user.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사용자들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연계 사업 수익을 발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ervice that connects users with the same (or similar) emotions can generate new communication-related business profi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동일(또는 유사)한 사용자를 연결하기 위한 감성연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감성 매칭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동일(또는 유사) 감성 사용자간 통신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 데이터를 도시한 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otional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the same (or similar)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emotional matc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entence (or phrase) data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of a user stored in 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감성이 동일(또는 유사)한 사용자를 연결하기 위한 감성연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otional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a user who has the same (or similar) emotion using an emotional keyw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감성연결 시스템은, 감성연결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저장매체(150)로 구성되어 있다. 감성연결 서버(100)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서버(별도 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통신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이동통신번호, IP주소, 회원ID, 메신저 주소, 메일주소, 블로그 주소 등)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motional connection system is composed of the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the storage medium 150.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is connected to a variety of communication means providing server (not shown separately) is the user'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phon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number, IP address, member ID, messenger address, mail address, blog Address, etc.)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감성 매칭을 위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을 등록하는 사용자와 등록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의 검색을 통해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가진 사용자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모두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searches for a user who registers a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for emotional matching with a user who has the same (or similar) emotion by searching for a registered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Includes all the terminals used.

감성연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간 감성 매칭을 위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과 사용자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150)에 저장한다. The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receives a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for emotional matching between users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the received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s) and the user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medium 150.

여기서 상기 저장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은 검색어 또는 댓글 또는 게시판 제목 또는 한줄토크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감성 매칭 검색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50)로부터 추출(또는 확인)되어 상기 감성 매칭 검색을 하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다.
Here, the stored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may include a search word, a comment, a bulletin board title, a one-line talk or a text message, and the like, when it corresponds to an emotional matching search of another user, extracted from the storage medium 150. (Or confirm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or the emotional matching search.

감성연결 서버(100)는 감성 매칭 검색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감성을 인지하기 위하여, 감성 인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150)와 연결된다.
The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is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the like for emotion recogni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emotion of the user from a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transmitted from the emotional matching search user terminal 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medium 150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combination.

일반적으로 감성은 인간의 인식능력으로써, 복잡한 표현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감성적이다.”라고 하면, 그 사람의 감성이 어떤지 표현하기 어렵지만, “그 사람은 비가 오면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을 읽는다.”라고 하면, 그 사람의 감성을 일부 느끼거나 인지할 수 있다.
In general, emotion is a human cognitive ability, which can involve complex expressions. For example, if you say "that person is emotional," it is difficult to express what that person's emotion is, but if you say "that person goes to a quiet cafe and reads a novel when it rains," some of the person's emotions are felt. Can be recognized.

따라서, 저장매체(150)는, 사람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예컨대, 감성인지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Therefore, the storage medium 150 stores information (eg, e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that can express human emotion.

예를 들어, 사람의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나 문자, 문구, 이모티콘 들이 어떤 문장에 포함되어 있다면, 그 문장을 작성한 사람의 감성을 어느 정도는 인지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f a sentence contains words, letters, phrases, and emoticons that represent a person's feelings, the emotion of the person who wrote the sentence can be perceived to some extent.

사용자 단말은 TCP/IP 기반 통신망에 연결된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Notebook), 또는 상기 TCP/IP 기반 통신망에 연결된 가전단말(예컨대, 셋탑박스(Set-Top-Box) 등), 또는 TCP/IP 기반 통신망에 연결된 키오스크(KIOS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ay be a desktop computer or notebook connected to a TCP /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home appliance terminal (eg, a set-top box) connected to the TCP / IP 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TCP / IP. It may include a kiosk connected to an IP-based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사용자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IEEE 802.16x 기반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 또는 Motorola사의 DataTAC 방식 또는 Erricson사의 Mobitex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CDMA 기반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또는 상기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에 연결된 휴대 인터넷 단말, 또는 상기 DataTAC/ Mobitex 기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may be any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CDMA 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y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Internet based on IEEE 802.16x, or a Motorola DataTAC or Erricson Mobitex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generic term for all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terminal or a personal digital cellular terminal (PDC) or PHS connected to the CDMA-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ersonal Handyphone System) terminal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smartphone (Smart Phone) or Telematics, or a portable Internet terminal connected to the IEEE 802.16x based mobile Internet, or the DataTAC / Mobitex based Write down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lso it may include one or more.

도 1에 따르면, 감성연결 서버(100)는,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 정보 추출수단(115), 정보 수신수단(110), 정보 확인수단(125), 정보 검색수단, 정보 제공수단(130), 연결 확인수단(135), 연결 처리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Figure 1, the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the interface providing means 105,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15, information receiving means 110,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information searching means,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30 ), The connection check means 135, and the connection processing means 140 is configured.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은,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을 선택(또는 입력)하여 전송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감성과 유사(또는 동일)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감성과 유사(또는 동일)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사용자가 등록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을 검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The interface providing means 105 selects (or inputs) and transmits a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capable of expressing the user's emotion to the user terminal, or transmits a similar sentence (or the same) to the user's emotion. The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of an emotion or a specific sentence registered by the second, third, ..., n-th user of an emotion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user's emotion (or Phrases or words) are generated (or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 또는 통신 프로그램으로 제공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또는 추출)하고,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Here, whe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face provider generates (or extracts) a user interface that can be provided by a browser program or a communication program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 the generated (or extracted) user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에 대한 검색이나 등록을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위젯 등이 구비된 경우, 상기 위젯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을 대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widget or the like having a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or registering the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the widget provides interface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105 Can be used instead.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또는 문구)을 입력(또는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특정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specific question for inputting (or selecting) a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the user's emotional keyword.

예컨대, 상기 특정 질문은, “지금 당신의 느낌을 말하세요” 등이며, 이런 특정 질문은 사용자로부터 감성적인 문구나 문장이 입력(또는 선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ecific question may be “tell me how you feel now.” The specific question may induce an emotional phrase or sentence to be input (or selected) from the user.

정보 수신수단(11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또는 입력)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사용자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을 정보 추출수단(115)으로 전달한다.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specific sentence (or word) selected (o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and there is a search request for a user who is the same (or similar) as the user, The received specific sentence (or word)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15.

또한, 정보 수신수단(11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또는 입력)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이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문장(또는 단어)의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을 상기 정보 등록수단(120)으로 전달한다.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means 110 receives a specific sentence (or word) selected (or input) through the interf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specific sentence (or word), The received specific sentence (or word)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120.

정보 등록수단(12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매체(150)에 저장한다.
The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120 processes the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medium 1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정보 등록수단(120)은, 하기의 정보 추출수단(115)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가 확인되면, 상기 특정 문장(또는 문구 또는 단어)을 상기 확인된 감성 키워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120,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15, if the emotional keyword included in the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word)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emotional keyword.

정보 추출수단(115)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또는 등록)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한다.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15 extracts (or confirms) one or more emotional keywords included in a sentence (or phrase) received (or registered) from the user terminal.

정보 추출수단(115)은 정보 수신수단(110)을 통해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포함된 사용자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한다.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15 may include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the like for extracting an emotional keyword corresponding to a user's emotion included in a specific sentence (or word)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e combination is checked, and an emotion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emotion is extracted.

여기서, 정보 추출수단(115)이 추출(또는 확인)하는 사용자 감성 키워드는 우울함, 외로움 등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표현일 수 있다. Here, the user's emotion keyword extracted (or confirm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15 may be a specific expression representing depression, loneliness, and the like.

또는 문장(또는 단어)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 등의 사용개수, 반복여부 등을 토대로 지수(또는 지표)로 산출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index may be calculated as an index (or an index) based on the number of uses, repetition, or the like of the emotional keyword included in the sentence (or wor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특정 문장(또는 단어)으로부터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써, 그 첫 번째는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포함된 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반복횟수 등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일반적인 감정이나 기분의 표현을 확인하거나 그러한 감성 키워드를 확인하는 것과, 두 번째, 특정 문장(또는 단어) 자체를 그 사람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키워드로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extracting an emotional keyword representing a user's emotion from a specific sentence (or wo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f which is a word included in a specific sentence (or word) or a combination or repetition number thereof. It may include identifying expressions of general emotions or moods that can be recognized or identifying such emotional keywords, and second, recognizing specific sentences (or words) as emotional keywords representing the emotions of the person.

첫 번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비(RAIN)”라는 감성 키워드를 통해 인식되는 일반적인 감성은, 우울함, 외로움, 시원함, 깨끗함 등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비가 오니 왠지 기분이 우울하여,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책이나 읽고 싶다.”라는 문장을 입력했다면, 정보 추출수단(115)은 상기 문장에서 “비”, “기분”, “우울”, “조용한”, “소설책”, “읽고” 등의 사용자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를 먼저 감성 키워드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metho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general emotion recognized through the emotional keyword “RAIN” can be depressed, loneliness, cool, clean, etc. If you are feeling depressed and want to go to a quiet cafe and read a novel book. The words or phrases that can express the user's emotions such as "books" and "read" can be identified first as emotional keywords.

그리고, 확인된 감성 키워드가 지닌 일반적인 또는 객관적인 의미를 통합하여 상기 문장을 입력한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우울”로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corporating general or objective meanings of the identified emotion keywords, the current emotion of the user who inputs the sentence may be recognized as “depressed”.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정보 추출수단(115)은 저장매체(150)에 저장된 특정 감성에 대응하는 감성 키워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객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115 may be able to objectify the user's emotion using the emotion key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emo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50.

반면,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정보 추출수단(115)은 사용자가 “비가 오니 왠지 기분이 우울하여, 조용한 카페에 가서 소설책이나 읽고 싶다.”라는 문장을 입력했다면, 입력된 문장에 포함된 사용자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를 따로 해석함 없이 문장 그대로를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로 인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15, if the user inputs the sentence, "It rains for some reason, I want to go to a quiet cafe and read a novel book.", The user included in the input senten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sentence as a user's emotion keyword without separately interpreting a word or phrase that can express emotion.

이 경우, 정보 확인수단(125)은 다른 사용자가 입력(또는 등록)한 문장과 동일한 단어나 어구, 말투 등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사용자들을 구분해 낼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compares the similarity of the same word, phrase, or tone with the sentence input (or registered) by another us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user's emotion and the user of the same (or similar) emotion. It becomes possible.

정보 확인수단(125)은, 상기 특정 문장(또는 문구)으로부터 추출된 감성 키워드를 근거로 사용자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이 인지된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또는 사용자들이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를 확인한다.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in which the same (or similar) emotion as the user is recognized based on the emotional keyword extracted from the specific sentence (or phrase). (Or the sentences (or phrases) that users have registered).

앞서 기술한 첫 번째 사용자 감성 인지 방법에 따르면, 정보 확인수단(125)은 “우울함”이라는 감성 키워드를 가진 제2, 제3, ..., 제n의 사용자나 상기 사용자들이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을 확인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user emotion recogni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is the second, third, ..., n-th user having an emotional keyword of "depressed" or a sentence (or phrase) registered by the users ).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이 “비가 오는데, 차도 밀려 지각도 하고 상사한테 혼도 나서 꿀꿀하다.”이라면, 상기 정보 추출수단(115)에 의해 제2 사용자가 입력(또는 등록)한 문장도 “우울함”이란 감성 키워드로 인식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entence (or phrase) input or registered by the second user is "rainy, the car is pushed up and late and confused by the boss.", The second user inputs the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15. (Or registered) a sentence may also be recognized as an emotional keyword "depression".

그러면, 정보 확인수단(125)은 상기 제2 사용자도 상기 사용자와 같이 “우울”이라는 감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을 검색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Then,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determines that the second user has the same emotion as "depressed" as the user,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or phrase) registered by the second user or the second user as a search result. Can be.

반면에, 전술한 두 번째 사용자 감성 인지 방법에 따르면, 정보 확인수단(125)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 포함된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나 문구가 유사하게 포함되어 있는 문장(또는 문구)을 입력(또는 등록)한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2, 제3, ..., 제n의 사용자가 입력(또는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을 확인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emotion recogni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is a sentence (or phrase) that contains similar words or phrases that can express the emotions included in the sentence input by the user. Confirm the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entered (or registered) or the sentences (or phrases) entered (or registered) by the second, third, ..., n-th user Done.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비가 오는 날은 집에서 소설책을 읽고 싶다.”라는 문장을 입력(또는 등록)하였고, 제3 사용자가 “우울할 때 카페에서 책이나 읽자.”라는 문장을 입력(또는 등록)하였다면, 정보 확인수단(125)은 상기 제2, 제3 사용자들이 입력(또는 등록)한 문장에 포함된 단어나 문구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것과 유사(또는 동일)한 것으로 인지하여, 제2, 제3 사용자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가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 second user enters (or registers) the sentence “I want to read a novel at home on a rainy day,” and a third user enters the sentence “Let's read a book at a cafe when depressed.” (Or registered),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is similar to the words or phrases included in the sentences entered (or registered) by the second and third users are similar to those included in the sentences (or phrases) entered by the user. The second and third users may be identifi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

정보 제공수단(130)은 정보 확인수단(125)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사용자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상기 사용자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의 감성 키워드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2, 제3, .., 제n 사용자의 문장(또는 문구)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When the second, third, ..., n-th user who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user's emotion is searched through the information checking means 125, the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30 is the same as the searched user's emotion ( Or similar) providing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or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that is the same (or similar) as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sentence (or phrase) registered by the user. Sentences (or phrases) of the second, third, ..., n-th user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는, 회원 ID,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otion of the user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member ID, a nickname, and the like.

또한, 정보 제공수단(130)은, 상기 정보 검색수단을 통해 검색된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감성에 부합되는 순위별로 배열한 후, 상기 검색된 제2, 제3, ..., 제n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배열된 사용자 감성 부합되는 순위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arranges the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trieval means by the rank corresponding to the user emotion, and then the retrieved second, third 3, ..., n-th use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user sentiment is aligned.

예를 들어, 정보 제공수단(130)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특정 단어 등이 사용된 비율(%) 또는 매칭되는 비율(%)을 산정하여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may select a ranking by calculating a percentage (%) or a matching percentage (%) in which a specific word or the like included in the sentence (or phrase) input by the user is used.

또한, 상기 정보 제공수단(130)은 상기 사용자 감성 부합 순위 및 매칭 비율을 포함하는 메뉴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3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y configuring a menu including the user emotional matching ranking and matching ratio.

한편, 인터페이스 제공수단(105)은, 상기 정보 제공수단(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감성과 유사(또는 동일)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가 제공된 후, 상기 제공된 유사(또는 동일)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중, 상기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특정 사용자 정보를 선택(또는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providing means 105,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30, the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of the emotion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user's emotion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After being provided, provide an interface for selecting (or inputting) specific user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connect from among the provided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of the similar (or the same) emotion. Can be.

연결 확인수단(135)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특정 사용자 정보가 선택(또는 입력)되어 전송되면, 선택(또는 입력)된 특정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연결 요청을 알리고, 상기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If the specific user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connect to is selected (or input)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nection confirmation means 135 notifies the selected (or input) specific user of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and specifies the specific user. Receive a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응답이 수신되면, 연결 확인수단(135)은 수신된 연결 요청 응답을 상기 연결 처리수단(140)으로 전달한다.
When a response is received, the connection confirming means 135 transmits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response to the connection processing means 140.

연결 처리수단(140)은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채널 연결 요청에 대한 승낙 확인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간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40 connects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when confirming acceptance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말간 통신 채널은 문자통화 채널, 음성통화 채널, 영상통화 채널, 웹채널을 포함한다.
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erminals includes a text call channel, a voice call channel, a video call channel, a web channel.

한편, 도 1에 따르면, 감성연결 서버(100)는,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제공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그루핑 수단(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FIG. 1, the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may group one or more users who provided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s, and grouping means for providing a chat channel for text conversation between the grouped users ( 140 may be further included.

그루핑 수단(140)은 상기 정보 추출수단(115)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등록한 문장(또는 문구)로부터 추출된 감성 키워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감성 키워드가 추출되는 사용자들을 그룹핑하여, 그루핑된 사용자 정보들을 각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The grouping means 140 groups the users who have the same emotional keywords extracted by using the emotional keywords extracted from the sentences (or phrases) registered by the one or more users through the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115, thereby grouping the grouped user information. Provided to each user terminal.

또한, 그루핑 수단(140)은 상기 그루핑된 사용자들간 문자대화 또는 채팅이 가능한 채널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rouping means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to create and provide a channel capable of text chat or chat between the grouped users.

한편, 감성연결 서버(100)는, 사용자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지인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감성 키워드 내역, 감성 키워드의 동일(또는 유사) 매칭 비율에 따른 통신채널 연결 내역을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 영역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정보 등록수단(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of the user, the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of the acquaintance specified by the user, the emotional keyword details, the emotional (or similar) matching ratio of the keyword according to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120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details in the unique area assigned to the user may be configur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감성 매칭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emotional matc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감성을 인식하고,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사용자를 검색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2 is a method for recognizing a user's emotion from a specific sentence (or word)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searching for a second, third, ..., n-th user of the same (or similar) emotion. This is a flow chart.

도 2에 따르면, 서버에서 사용자들의 감성을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매칭 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한다(S200). 여기서 감성 매칭 정보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검색어, 댓글, 게시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2, the server stores emotion matching information on the storage medium to match the emotions of the users (S200). The emotional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search word, a comment, a post, and the like including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검색하기 위한 특정 문장(또는 단어)이 수신되면(S210),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포함된 사용자 감성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확인한다(S220).
When the server receives a specific sentence (or word) for searching for the same (or similar) emotion from the user terminal (S210), one or more words for recognizing the user's emo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pecific sentence (or word), Letters, numb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are checked (S220).

만약, 상기 수신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사용자 감성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확인되면(S230), 서버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성 인지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문장(또는 단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감성을 인지한다(S240).
If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recognizing the user's emotion is identified in the received specific sentence (or word) (S230), the server refers to the e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operation S240, the user emo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ntence (or word) may be recognized.

그리고, 서버는 인지된 사용자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사용자를 검색한다(S250).
In operation S250, the server searches for the second, third, ..., n-th us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 as the recognized user emotion.

만약, 사용자 감성과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사용자가 검색되면(S260), 서버는 사용자 감성에 부합되는 순위별로 배열한다(S270).
If the second, third, ..., n-th us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 as the user's emotion is searched for (S260), the server arranges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user's emotion (S270).

여기서,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특정 단어 등이 사용된 비율(%) 또는 매칭되는 비율(%)을 확인하여 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Here, the server may select a rank by checking a percentage (%) or a matching percentage (%) in which a specific word or the like included in the sentence (or phrase) input by the user is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동일(또는 유사) 감성 사용자간 통신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특정 문장(또는 단어)을 판독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인식하고,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의 제2, 제3, ..., 제n 사용자가 검색된 후,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동일(또는 유사) 감성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3 reads a specific sentence (or wor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FIG. 2 to recognize the emotion of the user, and the second, third, ..., n-th user of the same (or similar) emotion. After is searched,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the searched one or more identical (or similar) emotional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도 3에 따르면, 서버에서 사용자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거나, 상기 사용자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갖는 문장(또는 문구)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2, 제3, ..., 제n 사용자 정보중 연결을 원하는 특정 사용자를 선택(또는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갖는 문장(또는 문구)에 대한 댓글을 남기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300).
According to FIG. 3, a sentence in which a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 as that of the user is confirmed at the server, or has an emotional keyword that is the same (or similar) as the user. (Or a phrase) is checked, selects (or inputs) a specific user who wants to be connected among the identified second, third, ..., n-th user information, or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 as the user. The user interface for leaving a comment on a sentence (or phrase) having 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300).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대상 사용자 정보가 선택(또는 입력)되면(S310),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또는 입력)된 연결 대상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320).
When connection target user information is selected (or input) through the transmitted user interface in the user terminal (S310), the connection target user information selected (or input) in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3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갖는 문장(또는 문구)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된 댓글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comment for a sentence (or phrase)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 as that of the user is input through the transmitted user interface, the user terminal inputs the comment. You can send comments to the server.

이후,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연결 대상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및 확인하고(S330), 확인된 연결 대상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로 연결 요청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Thereafter, the server receives and confirms connection target user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connect from the user terminal (S330), and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confirm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to which the identified connection target user is connected (S340).

상기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연결 수락 정보가 수신되면(S350),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간 통신 채널을 연결한다(S360).
When connection acceptance information for the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S350), the server connects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s (S360).

여기서, 상기 단말간 통신 채널은 문자통화 채널, 음성통화 채널, 영상통화 채널, 웹채널을 포함한다.
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erminals includes a text call channel, a voice call channel, a video call channel, a web channe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entence (or phrase) data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of a user stored in 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감성 연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이 등록하는 문장(또는 문구)과 상기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감성 키워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 4 illustrates that a sentence (or phrase) registered by users through the emotional connection system shown in FIG. 1 and emotional keywor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tence (or phrase)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각 문장(또는 문구)로부터 추출되는 감성 키워드는 동일 감성의 사용자들을 매칭하여 연결해주거나, 또는 동일한 감성의 문장(또는 문구)을 제공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The emotional keyword extracted from each sentence (or phrase) is a basis for matching and connecting users of the same emotion or providing a sentence (or phrase) of the same emotion.

도 4에 따르면, 사용자 A와 사용자 E의 감성 키워드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A의 단말로 사용자 E의 정보(또는 사용자 E가 등록한 문장이나 문구)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E의 단말로 사용자 A의 정보(또는 사용자 A가 등록한 문장이나 문구)를 제공하여,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을 갖는 사용자를 매칭하게 된다.
Accord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emotional keywords of the user A and the user E are similar, and thus, the user A's information (or a sentence or phrase registered by the user E) is provided to the user A's terminal, or the user is the user's terminal. By providing information of A (or a sentence or phrase registered by user A), a us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 is matched.

100 : 감성연결 서버 105 : 인터페이스 제공수단
110 : 정보 수신수단 115 : 정보 추출수단
120 : 정보 등록수단 125 : 정보 확인수단
130 : 정보 제공수단 135 : 연결 확인수단
140 : 연결 처리수단 145 : 그루핑 수단
100: emotional connection server 105: interface providing means
110: information receiving means 115: information extraction means
120: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125: information confirmation means
130: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35: connection confirmation means
140: connection processing means 145: grouping means

Claims (11)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제공된 문장(또는 문구)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채널 연결을 원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선택(또는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선택(또는 입력)된 문장(또는 문구)을 등록한 연결 대상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연결 대상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통신채널 연결 요청을 통지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채널 연결 요청에 대한 승낙 확인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Extracting (or confirming) one or more emotional keywords included in a registered sentence (or phrase) from a user terminal in a server;
Confirming, by the server, whether a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matching the same (or similar) with the extracted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is registered;
If registere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one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matching the same (or similar) with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If a sentence (or phrase)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channel is selected (o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rovided sentences (or phrases) at the server and is transmitted, the connection target that registered the selected (or input) sentence (or phrase) Identifying a user;
Notifying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to a terminal to which the connection target user is connected; And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when confirming the acceptance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in the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문장(또는 문구)이 둘 이상인 경우, 문장(또는 문구)별 상기 감성 키워드의 매칭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산정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one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that matches the same (or similar)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Calculating a matching ratio of the emotional keywords for each sentence (or phrase) when there are two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 list of the calculated matching ratios in order of high order.
제 1항에 있어서,
서버에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제공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rouping one or more users that provided the same (or similar) sentiment keyword at the server;
Providing a chat channel for text conversation between the grouped users in the server; Method of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emotion keyword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서버에서 사용자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지인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감성 키워드 내역, 감성 키워드의 동일(또는 유사) 매칭 비율에 따른 통신채널 연결 내역을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 영역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erver, the user's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details, the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details of the acquaintances specified by the user, the emotional keyword details,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details according to the same (or similar) matching ratio of the emotional keywords to the user Automatically registering in the assigned unique area; Method of providing a user-to-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emotional key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키워드는,
사용자 감성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motional keyword,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user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emotional keyword, comprising one or more words, letters, numbers, symbols, or a combination thereof expressing user emotion.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의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하여 디지탈 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탈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which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he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by any one of the methods of claim 1 or 2 or 3 or 4.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된 문장(또는 문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성 키워드를 추출(또는 확인)하는 정보 추출수단;
상기 추출(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또는 문구)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formation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or confirming) one or more emotional keywords included in a registered sentence (or phrase) from a user terminal;
Information checking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a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an emotion keyword matching the same (or similar) with the extracted (or confirmed) emotion keyword of the user is registered;
If registered, information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to the user terminal one or more sentences (or phrases) including the emotional keyword matching the same (or similar)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Inter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채널 연결을 원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선택(또는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선택(또는 입력)된 문장(또는 문구)을 등록한 연결 대상 사용자를 확인하여, 상기 연결 대상 사용자가 접속한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통신채널 연결 요청을 통지하는 연결 확인수단; 및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채널 연결 요청에 대한 승낙 확인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 대상 사용자 단말간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연결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a sentence (or phrase) desired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selected (o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is transmitted, the connection target user is connected by checking the connection target user who registered the selected sentence (or phrase). Connection confirmation means for notifying a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to one terminal; And
And connection processing means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when confirming acceptance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onnection target user termi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수단은,
사용자의 감성 키워드에 동일(또는 유사)하도록 매칭되는 감성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또는 문구)이 둘 이상인 경우, 문장(또는 문구)별 상기 감성 키워드의 매칭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매칭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ans,
When there is more than one sentence (or phrase) including an emotional keyword matching the same (or similar) to the emotional keyword of the user, a matching ratio of the emotional keyword for each sentence (or phrase)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matching ratio is A syste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users using emotional keywords, which is provided in a high order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제 7항에 있어서,
동일(또는 유사)한 감성 키워드를 제공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을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사용자들간 문자대화를 위한 대화채널을 제공하는 그루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Grouping means for grouping one or more users who provided the same (or similar) emotional keyword, and providing a chat channel for the text conversation between the grouped user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using the emotional keyword further comprising Service delivery system.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지인의 문장(또는 문구) 등록 내역, 감성 키워드 내역, 감성 키워드의 동일(또는 유사) 매칭 비율에 따른 통신채널 연결 내역을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 영역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정보 등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er's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the sentence (or phrase) registration history of the acquaintance specified by the user, the emotional keyword details, the communication channel connection details according to the same (or similar) matching ratio of the emotional keywords are assigned to the user And information registration means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in a unique area.
KR1020100013075A 2010-02-11 2010-02-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KR201100931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5A KR20110093188A (en) 2010-02-11 2010-02-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5A KR20110093188A (en) 2010-02-11 2010-02-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88A true KR20110093188A (en) 2011-08-18

Family

ID=4492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75A KR20110093188A (en) 2010-02-11 2010-02-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31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10A (en)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링커 Method for controlling keyword search by topics and whisper message service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erform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10A (en)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링커 Method for controlling keyword search by topics and whisper message service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er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0927B (en) Automatic route using Search Results
US20170090595A1 (en) Intent-aware keyboard
US20170344224A1 (en) Suggesting emojis to users for insertion into text-based messages
US8238528B2 (en) Automatic analysis of voice mail content
US116758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tity extraction and disambiguation
US10885529B2 (en) Automated upsells in customer conversations
US2017009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CN101595447A (en) The input prediction
CN103562847A (en) Function presentation system,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program and function presentation method
CN102782751A (en) Digital media voice tags in social networks
US20140223572A1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92584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by conversation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conversation recognition during meeting
US11232522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blending online content from multiple disparate content sources including a personal content source or a semi-personal content source
CN109640142B (en)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60012965A (en) Method for editing tex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583011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utcomes of on-line conversations and similar discourses through analysis of expressions of sentiment during the conversations
KR101695348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ased messenger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54930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nections to contacts based on associations with content
CN107465797B (en) Incoming cal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equipment
CN111125305A (en) Hot topic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1610727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labeling user information
US201503587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est- and location-based conversation matching
CN109814730A (en) Input method and device, the device for input
JP6152333B2 (en) Apparatus, server, program, and method for specifying summary word corresponding to media content
KR2011009318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using sensibility keyword, program record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