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27A - Lamp device - Google Patents

Lamp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27A
KR20110093127A KR1020100012978A KR20100012978A KR20110093127A KR 20110093127 A KR20110093127 A KR 20110093127A KR 1020100012978 A KR1020100012978 A KR 1020100012978A KR 20100012978 A KR20100012978 A KR 20100012978A KR 20110093127 A KR20110093127 A KR 2011009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light
mounting reg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6353B1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씰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씰링테크 filed Critical (주)씰링테크
Priority to KR102010001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353B1/en
Publication of KR2011009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lighting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clean the inside of a frame by installing a zipper at a pair of stretch sheets. CONSTITUTION: A first mounting area and a second mounting area ar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ram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side of a frame(10). A pair of stretch sheets(40)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mount areas and cover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space. A finishing cover(60)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when the stretch sheet is mounted on the mount area.

Description

조명기구{Lamp Device}Lighting equipment {Lamp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device that can emit light to both sides.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란 광원이 중앙 또는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에는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된 하드커버가 구비된다.In general, a light fixture is located at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with a frame surrounding the light source, one sid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hard cov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so that light can be diffused .

그런데, 조명기구가 천장 또는 벽면에만 설치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일 방향으로 발산시키기 위해 광원의 후방면에 반사수단이 설치되어야만 했다.However, since the lighting fixture is installed only on the ceiling or the wall, reflecting means must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source in order to radiat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n one direction.

또한, 측면 광원인 경우에도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일 방향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반사수단이 조명기구 내부에 다수 구비되어야만 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side light source, a plurality of reflecting means for e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 one direction had to be provided inside the luminaire.

결과적으로,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은 조명기구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일부 소실되어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빛을 실내조명을 위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partially lost while being reflected inside the luminaire, so that all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cannot be used for indoor lighting.

이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도는 실제 실내조도와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illumin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의 손실이 감소되도록 프레임의 양면으로부터 빛이 발산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o provide a light fixture that can emit light from both sides of the frame so that the loss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duced.

또한,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트레치시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light fixtu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the stretch sheet is installed on the frame.

또한, 실내분위기의 연출을 색다르게 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lighting fixture that can make a different atmosphere of the indoor atmospher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되고 상호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광을 발산하는 내부조명;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제1장착영역 및 제2장착영역; 상기 제1장착영역 및 제2장착영역에 각각 내입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 및 하부를 덮어 마감하는 한 쌍의 스트레치시트; 상기 스트레치시트가 상기 장착영역에 내입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덮어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Internal lighting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to emit light; First and second mounting region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 outer surface of the frame; A pair of stretch sheets that are in-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to cover and cov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pace; And a finishing cover covering and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stretch sheet is in-mounted in the mounting area.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트레치시트의 가장자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영역 및 제2장착영역에 내입장착되어 상기 커버시트를 고정시키는 하푼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dges of the pair of stretch sheet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further include a harpoon that is in-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to fix the cover sheet.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groov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the closing cover may be formed with a hook port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아울러, 상기 마감커버의 말단에는 상기 제1장착영역 또는 상기 제2장착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closing cover to cover the out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또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마감커버를 통해 외부로 광이 발산되도록 외부조명이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external lighting so that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losing cover.

또한, 일 단은 천장과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ceiling, and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tring coupled to the frame to separate the frame from the ceiling.

한편, 상기 한 쌍의 스트레치 시트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가능한 지퍼가 더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y one of the pair of stretch shee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able zipper.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의 손실이 감소되도록 프레임의 양면으로부터 빛이 발산될 수 있는 조명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uminaire from which light can be emitted from both sides of the frame such that the loss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duced.

또한,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트레치시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luminair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the stretch sheet is installed in the frame.

또한, 내부조명의 교체 및 조명기구 내부 청소가 용이한 조명기구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fixture that is easy to replace the internal lighting and cleaning the inside of the lighting fixture.

아울러, 종래의 단방향성 조명기구와는 다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양방향성 조명기구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idirectional luminaire capable of producing an indoor atmosphe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unidirectional luminai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과 하푼의 결합도,
도 4는 도 1의 스트레치시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프레임과 마감커버의 결합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프레임과 마감커버의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결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3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frame and harpoon of FIG.
4 is a plan view of the stretch sheet of FIG.
5 is a coupling of the frame and the closing cover of Figure 2,
6 to 8 is a state of use of the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upling view of the frame and the closing cover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upling state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는 프레임(10), 내부조명(20), 외부조명(30), 스트레치시트(40) 하푼(50) 및 마감커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an internal light 20, an external light 30, a stretch sheet 40, a puncture 50, and a finishing cover. It consists of 60.

상기 프레임(10)은 다수 개로 마련되고 말단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공간(a)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는 프레임이 4개로 마련되어 직육면체의 내부공간을 형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The frame 10 is provided in plural and the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a). As shown in the figure, four frames are provided to form an internal spa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은 상부 즉, 상면부(11)에는 함몰형성된 걸림홈(13)과 제1장착영역(14)이 형성되고, 상면부(11)로부터 외측 하향으로 절곡된 하부 즉, 측면부(12)의 하단영역에는 함몰형성된 제2장착영역(13)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has a recessed groove 13 and a first mounting region 14 recessed therein, and the out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A recessed second mounting region 1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bent downwardly, that is, the lower region of the side portion 12.

여기서, 걸림홈(13)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되, 외측 하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후술할 마감커버(60)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groove 13 i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able coupling of the finish cover 6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formed in the outer downward.

제1, 제2장착영역(14,15)에는 후술할 하푼(40)이 내입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장착되도록 지지돌기(14a, 15a)가 각각 돌출형성된다.Support protrusions 14a and 15a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regions 14 and 15 so as to be supported and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uncture 40 to be described later is embedded.

상기 내부조명(20)은 LED 또는 소정의 조명등으로 마련되어 내부공간(a)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다수 개의 프레임(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a)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internal lighting 20 may b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a) provided with an LED or a predetermined light, preferably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rames 10 described above, the interior space (a) Can be installed to emit light.

도시된 바는 프레임(10)의 내측면에 내부조명(20)이 설치될 부분이 함몰형성된 상태에서 내부조명(20)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내부조명(20)으로 발산되어 프레임(10)의 내측면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내부공간(a)으로 발산되는 빛을 극대화할 수 있어 손실되는 빛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light 2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in which the inner light 20 is to be installed is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ight emitted by the inner light 20 to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also to maximize the light emitted into the interior space (a) to reduce the light lost You can.

상기 외부조명(30)은 내부조명(20)과 동일한 재원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프레임(10)의 외측면 중 측면부(12)의 대략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외측방향으로 빛을 발산한다.The external light 30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resources as the internal light 20, it is installed in the approximately center area of the side portion 1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described abov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rame 10 Radiates light.

도 3은 도 2의 프레임과 하푼의 결합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레치시트(40) 및 하푼(50)은 동일한 재질 및 구성인 한 쌍으로 마련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하기로 한다.3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frame and harpoon of FIG. 2 and 3, since the stretch sheet 40 and the harpoon 50 are provided in pairs of the same material and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상기 스트레치시트(40)는 연신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인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인 반투명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tretch sheet 40 may be provided with translucent polyvinyl chloride, a resin material having stretchable properties and excellent elasticity and resilience.

여기서, 스트레치시트(40)는 한 쌍이 마련되어 내부공간(a)의 상부 및 하부를 덮어 마감하도록 제1장착영역(14)과 제2장착영역(15)에 각각 소정의 접착 또는 부착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stretch sheet 40 is provided with a pair and fixed to the first mounting region 14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15 by predetermined bonding or attaching means, respectively, so as to cover and cov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pace a. Can be.

이를 통해 내부조명(20)으로부터 내부공간(a)으로 발산된 빛은 한 쌍의 스트레치시트(40)를 거쳐 상부 및 하부 외측 즉, 상하부 양측으로 발산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ternal light 20 to the internal space a may be e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outer side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through the pair of stretch sheets 40.

상기 하푼(50)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스트레치시트(40)의 가장자리가 하푼(50)의 일 측에 소정의 접착 또는 부착수단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1장착영역(14)과 제2장착영역(15)에 내입장착된다.The harpoon 5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first mounting region 14 in a state where the edge of the stretch sheet 4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arpoon 50 by a predetermined bonding or attaching means. ) And the second mounting area 15.

각 장착영역에 하푼(50)이 장착시에는 각 장착영역의 내부에 일 측이 지지되고, 타 측이 각 장착영역에 형성된 제1, 제2지지돌기(14a,15a)에 지지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lower puncture 50 is mounted in each mounting area, one side is supported inside the mounting area, and the other side is mounted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rotrusions 14a and 15a formed in each mounting area. Can be.

즉, 스트레치시트(40)는 하푼(50)을 통해 장착됨으로써 스트레치시트(40)가 이완된 상태로 장착되거나 부분적으로 주름 또는 구김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내부공간(a)으로 발산되는 빛을 왜곡없이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That is, the stretch sheet 40 is mounted through the harpoon 50 so that the stretch sheet 40 may be mounted in a relaxed state or may not partially cause wrinkles or wrinkles, and thus emit light emitted into the internal space (a). It can radiate to the outside without distortion.

또한, 하푼(50)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스트레치시트(40)의 착탈이 용이해져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eing coupled through the harpoon 50, the de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stretch sheet 40 is facilitated, and foreign matters, etc.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10 may be easily removed.

한편, 한 쌍으로 마련된 스트레치시트(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가능한 지퍼(41)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tretch sheets 40 provided as a pair may be provided with an openable and closed zipper 41 as shown in FIG. 4.

이를 통해, 하푼(50)을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지퍼(41)를 개폐만으로 내부조명(20)의 교체 또는 프레임(10) 내부의 청소 등이 용이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easy to replace the internal lighting 20 or to clean the inside of the frame 10 on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zipper 41 without removing the harpoon 50 from the frame 10.

도 5는 도 2의 프레임과 마감커버의 결합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커버(60)는 몸체부(61)와 몸체부(61)의 상부 또는 하부 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frame and the closing cover of FIG. 2 and 5, the closing cover 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body portion 61 and the upper or lower ends of the body portion 61.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말단에 각각 제1커버부(62) 및 제2커버부(63)의 한 쌍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 pair of the first cover part 62 and the second cover part 63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몸체부(61)는 프레임(10)의 외측면의 대부분을 덮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외측면에 격자모양 또는 소정의 무늬 등이 인쇄되거나 각인될 수 있다.Body portion 61 is configured to cover mos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a grid pattern or a predetermined pattern or the like can be printed or stamped on the outer surface as necessary.

제1커버부(62)와 제2커버부(63)는 몸체부(61)의 상하부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어, 프레임(10)과 결합시 제1장착영역(12)과 제2장착영역(13)을 덮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cover portion 62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63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61, and when combined with the frame 10, the first mounting region 12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 13) is formed to cover.

여기서, 제2커버부(63)는 내부공간(a)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마감커버(60) 결합상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마감커버(60)의 내측면에는 프레임(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3)에 삽입되는 후크부(64)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cover portion 63 is form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 can achieve the stability of the closing cover 60 coupled state, and the frame 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cover 60 Hook portion 6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y be formed.

즉, 마감커버(60)는 후크부(64)가 걸림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제2커버부(63)가 제2장착영역(15)을 덮으면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마감이 완료되고, 제2커버부(63)에 외측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제2커버부(63)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후크부(64)가 걸림홈(13)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결합해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orce is applied downward while the hook portion 64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3, the finishing cover 60 is elastic while the second cover portion 63 covers the second mounting region 15.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and the finish is completed,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cover portion 63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second cover portion 63 is separated from the frame 10 and the hook portion 64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13. Can be released by sepa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는 동일한 광원을 이용하였을 때, 상부 및 하부 양측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고, 조명기구 내부 반사에 의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same light source, light may be emitt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light loss due to internal reflection of the luminaire is minimized.

한편, 마감커버(60)는 외부조명(30)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도록 불투명 또는 투명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nishing cover 60 may be provided with an opaque or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e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light 30 to the outside.

이를 통해,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a)의 상부 및 하부와 프레임(10)의 외측면으로도 빛을 방출할 수 있다.Through this, light may also be e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pace (a) formed by the frame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조명기구(100)의 상부에 각 프레임에 하단이 결합되는 다수 개의 스트링(7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각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스트링(70)이 결합될 수 있는 소정의 체결수단 등이 설치될 수 있다.6 to 8 are diagram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ings 70, the low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each frame on the top of the luminaire 100.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each frame 1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string 70.

스트링(B)의 상단은 천장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은 천장에 부착된 소정의 고정수단(B)에 체결함으로써 조명기구(100)가 천장으로부터 이격설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string (B)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iling, or by fastening to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B) attached to the ceiling as shown, the luminaire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이를 통해, 조명기구(1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조명기구(100)의 하향 뿐만 아니라 천장과 프레임(1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인 상향으로도 발산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100 may be emitted not only downward of the lighting device 100 but also upward,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rame 10.

이 같은 양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기구를 사용하면, 종래 단방향성 조명기구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실내분위기를 색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By using such a lighting device that emits light in bo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ifferent indoor atmosphere than when using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lighting device.

도 8은 프레임(10)의 일 측에 소정의 체결수단 등을 이용하여 스탠드(D)를 결합하여 세워놓은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종래에는 일 방향으로만 빛을 발산시킬 수 있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조명기구가 필요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에 의해 양 방향으로 빛을 발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구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8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stand 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 by using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or the like. When installed in this way, in the prior art can emit light in only one direction, two light fixtures were required to emit light in both directions, but can be emitted in both directions by the light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reduce the user's purchasing cost.

도시된 바는 세워놓은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눕혀놓은 형태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Although the bar is shown in the upright form, it may be placed in a lying down form if necessar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프레임과 마감커버의 결합도이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9 is a coupling diagram of a frame and a finishing cover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의 형태가 일부 변경되고, 프레임에 결합되는 마감커버의 형상이 일부 변경된다.9,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rame is partially changed, and the shape of the finishing cover coupled to the frame is partially chang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프레임(10A)은 제1장착영역(14)이 함몰형성된 상면부(11)와 상면부(11)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하향절곡되며 하단영역에 제2장착영역(15)이 함몰형성된 측면부(12)로 구성된다.The frame 10A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pproximately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in which the first mounting region 14 is recessed, and the second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A. The mounting area 15 is composed of a recessed side portion 12.

여기서, 측면부(12)에는 걸림홈(13)이 형성되되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제1걸림홈(13A)은 내측 하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제2걸림홈(13B)은 내측 상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groove 13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12 may be formed in a pair. 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groove 13A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downward in the inner sid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3B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may be formed upward in the inner side.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마감커버(60A)는 몸체부(61), 제1,제2커버부(62,63), 제1,제2지지부(65,66) 및 후크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nishing cover 60A of the luminai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61, first and second cover portions 62 and 63,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65 and 66, and a hook portion 6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몸체부(61)는 프레임(10)의 외측면 중 측면부(12)를 덮도록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61 is formed to cover the side portion 1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제1,제2지지부(65,66)는 몸체부(61)의 말단에서 하향 및 상향 절곡되며, 프레임(10)과 결합시 프레임(10)의 측면부(12)와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65 and 66 are bent downward and upward at the ends of the body part 61, and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part 12 of the frame 10 when combined with the frame 10.

제1, 제2커버부(62,63)는 몸체부(61)의 상부 및 하부 말단으로부터 내부공간(도 9의 a)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프레임(10)과 결합시 제1장착영역(14) 및 제2장착영역(15)을 덮도록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cover parts 62 and 63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part 61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 in FIG. 9), and are combined with the frame 10 to form the first mounting area ( 14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15.

후크부(64)는 제1, 제2지지부(65,66)에 내부공간(a)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후크부(64A)와 제2후크부(64B)의 한 쌍이 형성되어 상술한 프레임(10)의 측면부(12)에 형성된 걸림홈(13A, 13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ook portion 64 has a pair of first hook portions 64A and second hook portions 64B protru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65 and 66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 respectively. It may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3A, 13B) formed in the side portion 12 of the frame 10.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는 프레임(10A)이 마련되고,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제1,제2장착영역(14,15)에 스트레치시트(40)가 부착된 하푼(50)이 각각 삽입된다.10 is a coupling state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tretch sheet 40 is provided with a frame 10A,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regions 14 and 15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The puncture 50 to which is attached is inserted.

이어, 마감커버(60)는 프레임(10)과 결합시 한 쌍의 후크부(66)가 각각에 대응되는 걸림홈(13)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커버부(62)와 제1지지부(65)는 상부에서 지지하고, 제2커버부(63)와 제2지지부(66)는 하부에서 지지하여 마감커버(6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 양측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losing cover 60 is coupled to the frame 10, a pair of hook portions 66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ver portion 62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65. ) Is supported at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63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66 are supported at the bottom so that the finishing cover 60 can be stably coupled to emit light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상술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용상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use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herei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10 : 프레임 11 : 상면부 12 : 측면부
13 : 걸림홈 20 : 내부조명 30 : 외부조명
40 : 스트레치시트 50 : 하푼 60 : 마감커버
61 : 몸체부 62 : 제1커버부 63 : 제2커버부
64 : 후크부 65 : 제1지지부 66 : 제2지지부
70 : 스트링
10 frame 11 upper part 12 side part
13: hanging groove 20: internal lighting 30: external lighting
40: stretch sheet 50: Harpoon 60: finish cover
61 body portion 62 first cover portion 63 second cover portion
64 hook portion 65 first support portion 66 second support portion
70: string

Claims (7)

다수 개로 마련되고 상호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광을 발산하는 내부조명;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제1장착영역 및 제2장착영역;
상기 제1장착영역 및 제2장착영역에 각각 내입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 및 하부를 덮어 마감하는 한 쌍의 스트레치시트;
상기 스트레치시트가 상기 장착영역에 내입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을 덮어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Frame provided in plurality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Internal lighting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to emit light;
First and second mounting region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 outer surface of the frame;
A pair of stretch sheets that are in-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to cover and cov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pace;
And a finishing cover covering and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stretch sheet is in-mounted in the mounting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트레치시트의 가장자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장착영역 및 제2장착영역에 내입장착되어 상기 커버시트를 고정시키는 하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n edge of the pair of stretch sheets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further includes a harpoon that is in-mounted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second mounting region to fix the cover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Fix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is formed with a recess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closing cover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의 말단에는 상기 제1장착영역 또는 상기 제2장착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end of the closing cover is a lumina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is formed to cover the out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or the second mounting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마감커버를 통해 외부로 광이 발산되도록 외부조명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the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losing cover.
제 1항에 있어서,
일 단은 천장과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is coupled to the ceiling,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tring for separating the frame from the ceiling.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트레치 시트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가능한 지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ne of the pair of stretch sheets, the lumina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zipper is further installed.
KR1020100012978A 2010-02-11 2010-02-11 Lamp Device KR101086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78A KR101086353B1 (en) 2010-02-11 2010-02-11 Lam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78A KR101086353B1 (en) 2010-02-11 2010-02-11 Lamp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27A true KR20110093127A (en) 2011-08-18
KR101086353B1 KR101086353B1 (en) 2011-11-23

Family

ID=4492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78A KR101086353B1 (en) 2010-02-11 2010-02-11 Lamp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3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889B1 (en) * 2012-07-13 2013-11-15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Ligh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13B1 (en) * 2012-05-08 2014-04-29 주식회사 필룩스 Lighting apparatus having light shade
KR101573007B1 (en) 2014-03-31 2015-11-30 (주)이노씨에스 Apparatus for Mounting Stretching Sheet Used in Illumin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803A (en) 2002-01-16 2003-07-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umina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889B1 (en) * 2012-07-13 2013-11-15 주식회사 필립인텍스 Ligh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353B1 (en)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594B1 (en) Lighting lamp with lighting cover fixing tool
KR101520224B1 (en) Device to mounting transmtting plate holder for lighting
KR101086353B1 (en) Lamp Device
KR20130134778A (en) Cover for ceiling embeding type lighting decive
KR20130003394U (en) Ceiling finish molding having indirect illumination therein
KR101478628B1 (en) Body of Light Emitting Diode Lamp
KR200420588Y1 (en) Combination structure
KR101246600B1 (en) Tunnel lamp of using in led fluorescent lamp device
KR20110123643A (en) The lamp system
KR101896469B1 (en) Flat type LED lamp
KR20120069386A (en) Led corner lamp
KR101059366B1 (en) Ceiling light fixture
KR20160099888A (en) Lighting device having deck
KR101155781B1 (en) A wall light
CN202852630U (en) LED tube lamp
CN208670742U (en) Waterproof LED panel light
CN212056881U (en) Showcase lamps and lanterns and showcase
JP2011187247A (en) Illumination fixture
RU84944U1 (en) LED LIGHTING DEVICE
JP5849213B2 (en) lighting equipment
CN209309781U (en) Novel panel lamp
KR200459862Y1 (en) LED Module Lamp Guide
KR101782220B1 (en) LED Lighting
JP2017111866A (en) Lighting fixture
KR101586400B1 (en) Planar lighting device having a side ref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