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248A -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 Google Patents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248A
KR20110091248A KR1020100010988A KR20100010988A KR20110091248A KR 20110091248 A KR20110091248 A KR 20110091248A KR 1020100010988 A KR1020100010988 A KR 1020100010988A KR 20100010988 A KR20100010988 A KR 20100010988A KR 20110091248 A KR20110091248 A KR 2011009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upling
cup
cup body
bip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084B1 (ko
Inventor
이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0001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0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고관절 내에 대퇴골을 대신하는 대퇴스템을 시술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성비구컵의 컵본체와 그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인서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의 경부와 탈구방지링의 간섭 및 그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하고, 탈구방지링의 인서트 내 견고한 안착으로 인한 볼헤드의 탈구를 방지하는 지지력향상과 탈구방지링과 볼헤드 간의 간섭 최소화 및 탈구방지링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An Bipo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본 발명은 신체의 고관절 내에 대퇴골을 대신하는 대퇴스템을 시술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성비구컵의 컵본체와 그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인서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의 경부와 탈구방지링의 간섭 및 그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하고, 탈구방지링의 인서트 내 견고한 안착으로 인한 볼헤드의 탈구를 방지하는 지지력향상과 탈구방지링과 볼헤드 간의 간섭 최소화 및 탈구방지링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체를 이루는 무수한 관절 중 엉덩이뼈인 골반골(a)과 엉덩이 아래의 다리뼈인 대퇴골(b) 사이에는 마찰접촉하는 연골부위인 고관절(a1)가 형성되어 고관절(a1) 내에 대퇴골(b)의 대퇴골두가 삽입되어 대퇴골(b)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체에서 상기 고관절(a1)의 연골에는 문제가 없으나 고관절(a1) 내에 삽입되는 대퇴골(b)이나 대퇴골(b)의 대퇴골두가 노화나 사고로 인하여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직립보행의 원인에 기인하여 자연적으로 소멸하거나 혹은, 유전적 원인, 무리한 운동 및 안전사고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손상된 대퇴골을 대체하여 원초적 상태의 상대회전 및 회동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공 고관절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인공 고관절 장치에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으며 생체적합성을 높인 코발트크롬(CoCr alloy)이나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이나 폴리에틸렌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고관절(a1)의 연골에는 문제가 없으나 고관절(a1) 내에 삽입되는 대퇴골(b)이나 대퇴골의 대퇴골두가 손상되어 인공 고관절장치로 대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골(a)의 고관절(a1)에 삽입결합되는 양극성비구컵(bipolar cup, A) 부분과 대퇴골(b)에 결합고정되는 대퇴스템(femur stem, B)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양극성비구컵(A) 부분은 양극성비구컵(A)의 외형을 이루는 컵본체에 인서트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 내에 상기 대퇴스템(B)의 볼헤드(B1)가 삽입되어 회동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대퇴스템(B) 부분은 주로 금속 합금을 사용하며 양극성비구컵(A) 부분은 폴리에틸렌이나 코발트크롬(CoCr alloy)이나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인공 고관절 장치에서 상기 양극성비구컵(A)의 경우 컵본체는 상기 고관절(a1) 내에서 유동하고 컵본체에 삽입된 인서트는 그 내부에서 회동운동하는 대퇴스템(B)의 볼헤드(B1)와 항상 접촉함은 물론 경부(B2)와도 잦은 접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인서트가 컵본체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회전하는 등의 유동을 하거나 아예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인서트가 컵본체 내에서 유동을 하게 되면 그로 인해 인서트가 마모되고 이때 발생한 잔해가 연골인 고관절(a1) 부분에 들어가게 되면 그 부분의 연골이 빨리 닳아 없어지게 되거나 또는 염증을 일으키고 주위 골조직을 용해시켜 결국 양극성비구컵(A)이 시술된 고관절(a1)이 손상되거나 재시술을 해야되는 상태까지 가게 된다.
또한, 기존의 양극성비구컵(A)에서는 컵본체와 인서트가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거나 밀접하게 접촉하는 면적이 크지 않고 이로 인해 인서트의 유동과 그로 인한 마모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양극성비구컵(A)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볼헤드(B1)와 동일한 중심을 갖게 되기 때문에 양극성비구컵(A)에 인체하중이 가해져 양극성비구컵(A)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양극성비구컵(A)이 다시 대퇴스템(B)의 경부(B2)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복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이로 인해 양극성비구컵(A) 내부의 탈구방지링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양극성비구컵(A)에서 볼헤드(B1)의 탈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탈구방지링의 경우 탈구방지링 자체가 볼헤드(B1)와 자주 간섭되어 마모되는 문제나 탈구방지링이 인서트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지 못해 볼헤드(B1)의 탈구를 방지하는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 단극성비구컵(Unipolar Cup)의 경우에는 양극성비구컵(A)과 달리 인서트와 볼헤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서트와 볼헤드 사이에서의 회전운동 없이 오직 비구(a1)의 연골과 컵본체 사이에서의 회전운동만이 있게 되어 그만큼 비구(a1)의 연골에 부담이 되어 연골의 마모로 연골이 빨리 닳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성비구컵의 컵본체와 그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인서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와 컵본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본체와 인서트 사이에 결합링을 삽입하여 컵본체와 인서트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의 경부와 탈구방지링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탈구방지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구방지링의 외경이 삽입되는 인서트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외면에 돌출형성된 단턱이 인서트의 내면에 합입형성된 탈구방지링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어 탈구방지링이 인서트 내에 유격 없이 견고하게 안착되어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구방지링의 내경이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구방지링과 볼헤드의 간섭을 최소화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본체 내에 함입형성되는 함입수용부와 인서트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의 상호결합에 의해 컵본체 내에 삽입결합되는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본체와 인서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함입수용부와 그에 상응하는 돌출결합부의 하단에 각각 단턱과 함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과 함입홈의 결합에 의해 인서트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은 골반골의 고관절 내에 삽입되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 내에 결합되며 대퇴스템의 볼헤드를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탈구를 방지하는 탈구방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컵본체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내면에 상기 인서트가 유동 및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고정시키는 결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컵본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상기 결합수용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컵본체와 인서트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결합수용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락킹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락킹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와 테이퍼락킹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인서트와 컵본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인서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는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방향에 대해 16도~21도의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는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방향에 대해 15.5도~21.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의 하단 직경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를 상기 컵본체에 삽입결합시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의 하단이 수축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결합수용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함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함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함입홈을 포함하고, 컵본체와 인서트의 결합시 상기 제1함입홈과 제2함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결합링이 삽입되어, 컵본체와 인서트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결합수용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함입수용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입수용부가 함입되는 길이와 상기 돌출결합부가 돌출되는 길이는 각각 0.05~1㎜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의 삽입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함입수용부와 돌출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은 상기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상기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의 경부와 상기 탈구방지링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탈구방지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상기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0.5~5㎜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탈구방지링은 일정 간격 컷팅된 컷팅부를 포함하여 탈구방지링의 삽입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탈구방지링의 외경이 상기 인서트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외면에 돌출형성된 단턱이 상기 인서트의 내면에 합입형성된 탈구방지링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어 탈구방지링이 상기 인서트 내에 유격 없이 견고하게 안착되어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에 있어 상기 탈구방지링은 탈구방지링의 내경이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구방지링과 볼헤드의 간섭을 최소화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양극성비구컵의 컵본체와 그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인서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인서트와 컵본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컵본체와 인서트 사이에 결합링을 삽입하여 컵본체와 인서트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의 경부와 탈구방지링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탈구방지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탈구방지링의 외경이 삽입되는 인서트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외면에 돌출형성된 단턱이 인서트의 내면에 합입형성된 탈구방지링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어 탈구방지링이 인서트 내에 유격 없이 견고하게 안착되어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탈구방지링의 내경이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구방지링과 볼헤드의 간섭을 최소화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컵본체 내에 함입형성되는 함입수용부와 인서트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부의 상호결합에 의해 컵본체 내에 삽입결합되는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컵본체와 인서트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함입수용부와 그에 상응하는 돌출결합부의 하단에 각각 단턱과 함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과 함입홈의 결합에 의해 인서트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신체에서 대퇴골과 골반골이 접촉하는 골반부위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인공고관절용 대퇴스템과 양극성비구컵이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컵본체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인서트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탈구방지링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도 7에 볼헤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하중부과시 양극성비구컵의 유동관계를 평면에서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컵본체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인서트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에서 인서트가 컵본체에 삽입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컵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인서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탈구방지링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볼헤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하중부과시 양극성비구컵의 유동관계를 평면에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3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A)은 골반골(a)의 고관절(a1) 내에 삽입되는 컵본체(10);와 상기 컵본체(10) 내에 결합되며 대퇴스템(B)의 볼헤드(B1)를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인서트(50);와 상기 인서트(50) 내에 수용된 볼헤드(B1)의 탈구를 방지하는 탈구방지링(70);을 포함하며, 상기 컵본체(10)는 상기 인서트(50)와 접촉하는 내면에 상기 인서트(50)가 유동 및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고정시키는 결합수용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50)는 상기 컵본체(10)와 접촉하는 외면에 상기 결합수용부(110)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510)를 포함하여, 컵본체(10)와 인서트(50)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50)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본체(10)는 골반골(a)의 고관절(a1) 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외부는 돌출되고 내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며 외면은 고관절(a1) 내의 연골과 접촉하여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함입된 내면에는 하기 인서트(50)가 내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상기 컵본체(10)는 통상 크롬코발트합금(CoCr alloy)이나 스테인리스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컵본체(10)의 하단은 컵본체(10)의 수평중심축(Y축)으로부터 2~15㎜ 내외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도 4 참조)되는데 이는 대퇴스템의 관절운동범위를 넓힘은 물론 후술하게 될 탈구방지링(7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서트(50)는 상기 컵본체(10) 내에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50)의 내부에는 대퇴스템(B)의 볼헤드(B1)가 수용되어 회전운동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컵본체(1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외부는 돌출되고 내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며 인서트(50)의 외면은 상기 컵본체(10)의 내면에 결합하고 인서트(50)의 내면에는 대퇴스템(B)의 볼헤드(B1)가 수용되어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기 인서트(50)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서트(50)를 특히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은 마모에도 강하고 취성도 작은 특징이 있는바 인서트(30)로 활용되기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상기 결합수용부(110)와 결합부(510)는 각각 상기 컵본체(10)의 내면과 인서트(50)의 외면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자가 상호 결합함으로써 인서트(50)가 컵본체(10)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인서트(50)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들로, 상기 결합수용부(110)와 결합부(510)에 추가로 포함되는 구성들 역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들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수용부(110)와 결합부(510)에 각각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짝을 이루는 구성들 별로 묶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50) 내에 수용된 볼헤드(B1)의 탈구를 방지하는 탈구방지링(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로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용부(110)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락킹수용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에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락킹결합부(511)를 포함하여,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와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인서트(50)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인서트(50)와 컵본체(1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인서트(5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는 상기 컵본체(10)의 내면, 바람직하게는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컵본체(10)의 내면에서 함입이 시작되는 내면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테이퍼경사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서트(5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에 쐐기형태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도 4와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와 테이퍼락킹결합부(511)는 각각 인서트(5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경사지는 테이퍼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50)가 컵본체(10)에 삽입결합되는 경우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는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에 쐐기 형태로 끼움결합되게 되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압박에 의해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가 단단히 압박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 결합한 이후에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기울어지거나 미세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특히 도 4와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가 테이퍼경사면을 이루는 경사각도(θ1)는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X축)방향으로부터 16°~21°를 이루고,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가 테이퍼경사면을 이루는 경사각도(θ2)는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X축)방향으로부터 15.5°~21.5°를 이루어,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보다 ±0.5°내외의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상기 쐐기 형태의 결합고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하단 직경(D2)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하단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에 쐐기 형태로 끼움결합될 시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하단이 수축되면서 쐐기 형태의 결합고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하단 직경(D2)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하단 직경(D1)보다 0.01~1㎜ 크게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이 경우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하단이 수축됨에 따라 인서트(50) 내경 역시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미리 인서트(50) 내경을 0.01~1㎜ 크게 형성하여 수축 시 정확한 내경을 갖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축 전후의 인서트(50)의 내경과 조도는 모두 ISO 7206-2와 ASTM F2033의 표준규격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는 상기 인서트(50)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서트(50)의 외면에서 돌출이 시작되는 외면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테이퍼경사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에 쐐기형태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테이퍼락킹수용부(111)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이루어졌으므로 여기서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와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쐐기 형태의 견고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 결합한 이후에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특히 미세하게 유동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어 인서트(50)의 유동으로 인해 인서트(50)와 컵본체(10)의 접촉면에서 발생하게 되는 인서트(50)의 미세한 마모(이를 백-사이드웨어(back-side wear)라 함)와 마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분쇄물(debris)이 체내로 흘러나와 염증을 일으켜 종국에는 주변 골조직의 골용해를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용부(110)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함입홈(112)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제1함입홈(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함입홈(512)을 포함하여, 컵본체(10)와 인서트(50)의 결합시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결합링(30)이 삽입되어, 컵본체(10)와 인서트(50)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50)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함입홈(112)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용부(110) 즉, 컵본체(10)의 내면에서 일정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 내에 삽입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함입홈(112)은 후술할 상기 제2함입홈(51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에는 일정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공간에는 후술할 결합링(30)이 삽입되어 상기 컵본체(10)와 인서트(50) 사이에 끼이기 때문에 상기 컵본체(10)와 인서트(50) 상호 간에 서로 압박되어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므로 상기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 결합한 이후에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물론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특히 미세하게 유동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어 앞서 설명한 백-사이드웨어(back-side wear)나 이로 인한 분쇄물(debris)이 체내로 흘러나와 염증을 일으켜 종국에는 주변 골조직의 골용해를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함입홈(512)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510) 즉, 인서트(50)의 외면에서 일정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 내에 삽입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함입홈(512)은 상기 제1함입홈(112)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에 형성된 일정공간에 후술할 결합링(30)이 삽입되어 컵본체(10)와 인서트(50)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제1함입홈(112)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이루어졌으므로 여기서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링(30)은 컵본체(10)와 인서트(50)의 결합시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의 공간에 끼이게 됨으로써 상기 결합링(30)이 상기 컵본체(10)와 인서트(50) 상호 간을 압박하여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 결합한 이후에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물론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특히 미세하게 유동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링(30)은 상기 제1함입홈(112)과 제2함입홈(5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내구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2함입홈(112,512)과 그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링(30)의 압박에 의해 상기 컵본체(10)와 인서트(50) 상호 간을 견고하게 결합고정시키게 되면 이후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서트(50)의 이탈은 물론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특히 미세하게 유동하는 것까지 방지할 수 있어 앞서 설명한 백-사이드웨어(back-side wear)나 이로 인한 주변 골조직의 골용해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구방지링(70)은 일정 간격 컷팅된 컷팅부(710)를 포함하여 탈구방지링(70)의 삽입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탈구방지링(70)의 외경이 상기 인서트(5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탈구방지링(70)의 외면에 돌출형성된 단턱(720)이 상기 인서트(50)의 내면에 합입형성된 탈구방지링결합홈(520)에 결합될 수 있어 탈구방지링(70)이 상기 인서트(50) 내에 유격 없이 견고하게 안착되어 상기 인서트(50) 내에 수용된 볼헤드(B1)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구방지링(70)은 상기 인서트(50) 내에 수용결합되어 상기 인서트(50) 내에 수용된 볼헤드(B1)의 탈구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50) 내에 대퇴스템(B)의 볼헤드(B1)가 수용된 이후에 상기 탈구방지링(70)이 상기 인서트(50) 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탈구방지링(70)이 볼헤드(B1)의 뒷부분을 지지하게 되어 볼헤드(B1)가 탈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탈구방지링(70)은 링의 일부를 일정 간격 컷팅한 컷팅부(710, 도3에 도시됨)를 형성하여 탈구방지링(70)의 인서트(50) 내 삽입시에는 상기 컷팅부(710)의 컷팅길이만큼 탈구방지링(70)을 오므려 삽입할 수 있어 삽입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탈구방지링(70)이 인서트(50)에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탈구방지링(70)이 원래의 형태로 팽창복구되어 상기 인서트(50) 내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탈구방지링(70)의 인서트(50) 내 견고한 안착 즉, 탈구방지링(70)이 인서트(50) 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탈구방지링(70)의 외경(D3, 도 6에 도시됨)이 상기 인서트(50)의 내경(보다 구체적으로는 탈구방지링(70)이 결합하게 되는 하단부분의 내경(D4, 도 5에 도시됨))보다 크게 형성(보다 적합하게는 0.1~0.3㎜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탈구방지링(70)의 외경이 상기 인서트(5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탈구방지링(70)이 인서트(50)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원래의 형태보다는 오므려진 상태로 인서트(50) 내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되므로 탈구방지링(70)이 인서트(50) 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구방지링(70)과 인서트(50)가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인서트(50)의 내면에 0.2~1㎜ 내외로 합입형성되는 탈구방지링결합홈(520)과 탈구방지링(70)의 외면에 상기 탈구방지링결합홈(520)에 대응되어 0.2~1㎜ 내외로 돌출형성되는 단턱(72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구방지링(70)이 결합하게 되는 인서트(50)의 내면에 함입형성되는 탈구방지링결합홈(520)과 그에 대응되어 탈구방지링(7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단턱(720)이 형성됨으로 인해 탈구방지링(70)의 인서트(50) 내 결합시 상기 탈구방지링결합홈(520)에 단턱(720)이 삽착됨으로써 탈구방지링(70)이 인서트(50) 내 정확한 위치에 결합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탈구방지링(70)이 하향이동되는 것을 지지해 주는 지지력 역시 증대되어 탈구방지링(70)이 볼헤드(B1)의 탈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탈구방지링(70)의 내경은 상기 인서트(50) 내에 수용된 볼헤드(B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구방지링(70)과 볼헤드(B1)의 간섭을 최소화함은 물론 탈구방지링(70)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탈구방지링(70)은 인서트(50)와 같이 볼헤드(B1)와 접촉하여 볼헤드(B1)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아니라 인서트(50)에 삽입된 볼헤드(B1)가 인서트(50)로부터 탈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볼헤드(B1)와 접촉되어 마모되지 않도록 볼헤드(B1)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탈구방지링(70)의 내경(R3, 도 8에 도시됨)을 인서트(50) 내에 수용된 볼헤드(B1)의 외경(보다 구체적으로는 볼헤드(B1)의 하부측 외경(R4, 도 8에 도시됨))보다 크게 형성하여 볼헤드(B1)가 탈구되는 것이 아닌 한 양자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구방지링(70)의 내경이 볼헤드(B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탈구방지링(70)의 해체시술시 상기 탈구방지링(70)을 오므려 상기 탈구방지링결합홈(520)에서 상기 단턱(720)을 빼낼 수 있게 되어 탈구방지링(70)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구방지링(70)은 폴리에틸렌(PE) 특히,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금속으로 형성된 경부(B2)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줄이면서도 탄성을 이용 볼헤드(B1)의 탈구방지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본체(10)의 외경(R1)의 중심(C1)이 상기 인서트(50)의 내경(R2)의 중심(C2)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A)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B)의 경부(B2)와 상기 탈구방지링(70)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탈구방지링(7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컵본체(10)의 외경(R1)의 중심(C1) 즉, 양극성비구컵(A)의 전체중심이 상기 인서트(50)의 내경(R2)의 중심(C2) 즉, 인서트(50)에 삽입접촉되는 대퇴스템(B) 볼헤드(B1)의 중심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양극성비구컵(A)이 볼헤드(B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양극성비구컵(A)이 시술된 상태에서 인체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양극성비구컵(A)이 중립위치(이는 양극성비구컵(A)이 볼헤드(B1)의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따라서 양극성비구컵(A)의 하부가 대퇴스템(B)의 경부(B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를 의미함)를 찾아 유동하기가 어렵게 되고 따라서 양극성비구컵(A)의 하부 즉, 탈구방지링(70)이 대퇴스템(B)의 경부(B2)와 자주 간섭되어 마모가 쉽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볼헤드(B1)가 탈구되는 문제가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본체(10)의 외경(R1)의 중심(C1) 즉, 양극성비구컵(A)의 전체중심을 상기 인서트(50)의 내경(R2)의 중심(C2) 즉, 인서트(50)에 삽입접촉되는 대퇴스템(B) 볼헤드(B1)의 중심보다 0.5~5㎜ 정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양극성비구컵(A)이 볼헤드(B1)를 감싸면서 상호간에 일치하는 중심을 찾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9(도 9는 양극성비구컵의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상태의 도면임)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성비구컵(A)이 시술된 상태에서 인체하중이 양극성비구컵(A)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도 9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양극성비구컵(A)이 중립위치를 찾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어 양극성비구컵(A)의 하부 즉, 탈구방지링(70)과 대퇴스템(B)의 경부(B2)와의 간섭과 그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종국적으로는 볼헤드(B1)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컵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인서트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인서트의 컵본체에의 삽입시술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극성비구컵(A)은 상기 결합수용부(110)가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수용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510)가 상기 함입수용부(113)에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513)를 포함하며, 상기 함입수용부(113)는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제1경사면(1131)과, 상기 제1경사면(1131)의 상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1131)보다 양극성비구컵(A)의 중심축(X축)방향에 대해 더 큰 각도로 경사지는 제2경사면(113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513)는 상기 제1경사면(1131)과 제2경사면(1132)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되는 제3경사면(5131)과 제4경사면(5132)을 포함하여, 상기 인서트(50)의 삽입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함입수용부(113)와 돌출결합부(513)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인서트(50)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입수용부(113)는 상기 컵본체(10)의 내면, 바람직하게는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중간 또는 그 이하에서 일정 깊이로 함입되는 홈을 이루는 부분으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서트(5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결합부(513)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에 결합된 후 이탈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과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입수용부(113)와 돌출결합부(513)는 각각 컵본체(10)의 내면과 인서트(50)의 외면에 서로 상응하는 형태로 함입 또는 돌출형성되어 인서트(50)가 컵본체(10)에 삽입결합될 시 상기 돌출결합부(513)가 상기 함입수용부(113)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 결합한 이후에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유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특히 도 11과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입수용부(113)는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경사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제1경사면(1131)과, 상기 제1경사면(1131)의 상부에서 상기 제1경사면(1131)보다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X축)방향에 대해 더 큰 각도로 경사지는 제2경사면(113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513)는 상기 제1경사면(1131)과 제2경사면(1132)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되는 제3경사면(5131)과 제4경사면(513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인서트(50)를 컵본체(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결합부(513)의 제4경사면(5132)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3경사면(5131)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에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3경사면(5131)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와 접촉하여 테이퍼락킹수용부(111) 경사면의 안내를 받아 상기 함입수용부(113)까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만약 상기 돌출결합부(513)(및 함입수용부(113)) 전체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면 인서트(5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돌출결합부(513)와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간섭면적이 커지면서 마찰저항 역시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돌출결합부(513)(및 함입수용부(113)) 전체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경사각보다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X축)방향에 대해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되면 인서트(50)의 삽입은 용이하나 삽입 후 인서트(5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돌출결합부(513)에 제3 및 4경사면(및 함입수용부(113)에 제1 및 2경사면)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인서트(50) 삽입의 용이성과 인서트(50) 이탈방지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1132)과 제4경사면(5132)은 각각 상기 제1경사면(1131)과 제3경사면(5131)의 경사각보다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X축)방향에 대해 5°~50°더 큰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경사면(5131)이 형성되는 높이(h1, 상기 제1경사면(1131)이 형성되는 높이도 동일)는 0.5~3㎜, 상기 제4경사면(5132)이 형성되는 높이(h2, 상기 제2경사면(1132)이 형성되는 높이도 동일)는 0.5~3㎜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돌출결합부(513)(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3경사면(5131))는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경사면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0.05~1㎜ 돌출(h3, 그에 상응하여 상기 함입수용부(113),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경사면(1131)은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111)의 경사면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0.05~1㎜ 함입)되는 것이 인서트(50)의 유동 및 이탈방지 효과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11과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입수용부(113)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턱(1133)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513)의 하단에는 상기 돌출턱(1133)에 상응하게 함입되는 제3함입홈(51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함입수용부(113)와 돌출결합부(513)의 하단에 각각 돌출턱(1133)과 제3함입홈(5133)이 추가로 형성되게 되면 상기 인서트(50)의 컵본체(10)에의 결합고정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턱(1133)이 상기 제3함입홈(5133)에 수용결합되어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과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즉, 상기 함입수용부(113)와 돌출결합부(513)의 결합과 함께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결합부(513)는 상기 인서트(50)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511)의 중간 또는 그 이하의 부분에서 일정 높이(이는 상기 함입수용부(113)의 일정 깊이에 대응됨)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컵본체(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함입수용부(113)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에 결합된 후 이탈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함입수용부(113)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이루어졌으므로 여기서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함입수용부(113)와 돌출결합부(513)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면, 상기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 결합한 이후에 외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인서트(50)가 상기 컵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50)가 컵본체(10) 내에서 기울어지는 등 유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앞서 설명한 백-사이드웨어(back-side wear)와 그로 인한 주변 골조직의 골용해 문제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양극성비구컵 B: 대퇴스템 B1: 볼헤드 B2: 경부
a: 골반골 b: 대퇴골 b1: 고관절
10: 컵본체 30: 결합링 50: 인서트 70: 탈구방지링
110: 결합수용부 111: 테이퍼락킹수용부 112: 제1함입홈
113: 함입수용부 1131: 제1경사면 1132: 제2경사면 1133: 돌출턱
510: 결합부 511: 테이퍼락킹결합부 512: 제2함입홈
513: 돌출결합부 5131: 제3경사면 5132: 제4경사면 5133: 제3함입홈
520: 탈구방지링결합홈
710: 컷팅부 720: 단턱

Claims (10)

  1. 골반골의 고관절 내에 삽입되는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 내에 결합되며 대퇴스템의 볼헤드를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탈구를 방지하는 탈구방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컵본체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내면에 상기 인서트가 유동 및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고정시키는 결합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컵본체와 접촉하는 외면에 상기 결합수용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컵본체와 인서트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용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락킹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락킹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와 테이퍼락킹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인서트와 컵본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인서트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는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방향에 대해 16도~21도의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는 양극성비구컵의 중심축방향에 대해 15.5도~21.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의 하단 직경이 상기 테이퍼락킹수용부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를 상기 컵본체에 삽입결합시 상기 테이퍼락킹결합부의 하단이 수축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용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함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함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함입홈을 포함하고, 컵본체와 인서트의 결합시 상기 제1함입홈과 제2함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결합링이 삽입되어,
    컵본체와 인서트의 견고한 결합고정으로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 및 그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용부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함입수용부에 상응하여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입수용부가 함입되는 길이와 상기 돌출결합부가 돌출되는 길이는 각각 0.05~1㎜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의 삽입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함입수용부와 돌출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인서트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은
    상기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상기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 양극성비구컵이 중립위치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대퇴스템의 경부와 상기 탈구방지링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탈구방지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의 외경의 중심이 상기 인서트의 내경의 중심보다 0.5~5㎜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구방지링은
    일정 간격 컷팅된 컷팅부를 포함하여 탈구방지링의 삽입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탈구방지링의 외경이 상기 인서트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외면에 돌출형성된 단턱이 상기 인서트의 내면에 합입형성된 탈구방지링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어 탈구방지링이 상기 인서트 내에 유격 없이 견고하게 안착되어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탈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탈구방지링은
    탈구방지링의 내경이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된 볼헤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구방지링과 볼헤드의 간섭을 최소화함은 물론 탈구방지링의 해체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KR1020100010988A 2010-02-05 2010-02-05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KR10110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88A KR101109084B1 (ko) 2010-02-05 2010-02-05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88A KR101109084B1 (ko) 2010-02-05 2010-02-05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48A true KR20110091248A (ko) 2011-08-11
KR101109084B1 KR101109084B1 (ko) 2012-01-31

Family

ID=4492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88A KR101109084B1 (ko) 2010-02-05 2010-02-05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09B1 (ko) 2019-12-18 2021-10-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5145B2 (en) * 2003-07-03 2006-10-03 Zimmer, Inc. Acetabular component
US20060190089A1 (en) * 2005-02-18 2006-08-24 Howmedica Osteonics Corp. Internal adaptor for hip acetabular cage
US20070239283A1 (en) * 2006-04-11 2007-10-11 Berger Richard A Acetabular cup conversion ring
US8004038B2 (en) * 2006-05-22 2011-08-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uppression of hot-carrier effects using double well for thin gate oxide LDMOS embedded in HV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084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3346B2 (en) Wear-reducing geometry of articulations in total joint replacements
US9439769B2 (en) Mobile bearing glenoid prosthesis
AU2004202926B2 (en) Constrained acetabular liner
EP1212013B1 (en) Combination of material for joint prosthesis
US20040117021A1 (en) Invertebral disk prosthesis
EP0137040A1 (en) BALLPANE BEARINGS FOR ARTIFICIAL JOINT.
AU2016387348B2 (en) Constrained dual mobility hip prosthesis
WO2008087415A2 (en) Reverse shoulder prosthesis
EP2763627A1 (en) Multiple bearing humeral prosthesis
US20050033442A1 (en) Combination of material for joint prothesis
US20220096241A1 (en) Hybrid inlay/onlay articular surface implants and methods
EP2598084A2 (en) Acetabular cup prosthesis
US9655725B2 (en) Wear-reducing ring for articulations in total joint replacements
CN104080424A (zh) 假体组件
KR101109084B1 (ko)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US20070032878A1 (en) Acetabular liner
KR101109083B1 (ko) 인공고관절용 비구컵시스템
US10828166B2 (en) Acetabular components for artificial hips and method of use
CN104822345B (zh) 膝关节置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