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369A -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369A
KR20110090369A KR1020100010100A KR20100010100A KR20110090369A KR 20110090369 A KR20110090369 A KR 20110090369A KR 1020100010100 A KR1020100010100 A KR 1020100010100A KR 20100010100 A KR20100010100 A KR 20100010100A KR 20110090369 A KR20110090369 A KR 2011009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on
vowel
screen
input device
fro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6119B1 (en
Inventor
조현중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0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119B1/en
Priority to PCT/KR2011/000697 priority patent/WO2011096702A2/en
Priority to US13/577,202 priority patent/US9298270B2/en
Publication of KR2011009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1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is provided to input Hangul using a polyhedron shape cubic instead of buttons. CONSTITUTION: A polyhedron generating unit(110) creates a virtual polyhedron in which one or more vowels are arranged in each plane. A display control unit(120) displays the polyhedron to a scree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vowel to the front part of the polyhedron by the types of a touch. An input part(130) receives inputs by the display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lyhedron.

Description

한글 입력 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Korean input device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device for inputting Hangul.

최근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장치에서는 물리적 버튼 형태의 한글 입력 방식 대신 스크린에 직접 손가락을 터치하는 형태의 한글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단일 또는 복수의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고 손가락의 슬라이딩을 감지하는 다양한 터치 기술이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한글 입력 방식 역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Recently,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PDAs equipped with touch screens provide a Hangul input method in which a finger is directly touched on a screen instead of a physical button type Hangul input method. In particular, various touch technologies for detect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finger touches and a sliding of a finger are gradually commercialized. In addition, as various input interfaces become available, various Korean input methods have also been proposed.

그러나, 기존에는 단순히 물리적 이차원 평면 형태의 버튼을 통해 한글 입력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문자 사용이 많은 감성적인 사용자들의 흥미를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Hangul input is made through a button of a physical two-dimensional plane type, and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emotional users who use a lot of characters.

또한, 이차원 평면 형태의 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을 벗어나 터치스크린에서의 인터페이스를 보다 직관화하여 한글 입력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In addition, beyond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two-dimensional plane-type button, the ne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Hangul input by more intuitive interface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 평면 형태의 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벗어나 입체적인 형태의 다면체를 이용한 한글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device that allows the input of the Hangul using a three-dimensional polyhedron away from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using a flat butt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각 면에 하나 이상의 모음이 배치된 가상의 다면체를 생성하는 다면체 생성부와, 다면체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대한 터치유형에 따라 다면체의 일면에 배치된 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정면에 표시된 모음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polyhedr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polyhedron having one or more vowels arranged on each side, and a polyhedron on a scree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vowel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according to the touch type on the screen,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vowel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입체적인 형태의 다면체를 이용한 한글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input using a three-dimensional polyhedron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터치를 통한 단모음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터치를 통한 이중모음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조합으로 구성되는 이중모음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show examples of short vowel input through a single touc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ouble vowel input through multiple tou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ouble vowel input composed of a vowel comb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글 입력 장치(100)는 다면체 생성부(110), 표시 제어부(120), 입력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The Hangul input device 100 includes a polyhedron generating unit 110, a display control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d a storage unit 140.

다면체 생성부(110)는 각 면에 하나 이상의 모음이 배치된 다면체를 생성한다. 여기서, 다면체는 평면다각형의 면으로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포함하며, 다면체 생성부(110)는 예를 들어,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등의 가상의 입체 도형 형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면체가 입방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정육면체의 입방체뿐 아니라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polyhedron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a polyhedron having one or more vowels disposed on each surface. Here, the polyhedron includes a three-dimensional figure enclosed by a planar polygonal plane, and the polyhedron generator 110 includes, for example, a virtual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tetrahedron, a cube, an octahedron, a dodecahedron, and an icosahedron on the screen. I can display it. Hereinafter, the polyhedr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ube as well as a cube of a cube.

그리고, 모음에는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의 한글 모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단모음(‘ㅣ’, ‘ㅡ’, ‘ㅗ’, ‘ㅜ’, ‘ㅏ’, ‘ㅓ’, ‘ㅐ’, ‘ㅔ’)과 이중모음(‘ㅛ’, ‘ㅠ’, ‘ㅑ’, ‘ㅕ’, ‘ㅒ’, ‘ㅖ’, ‘ㅘ’, ‘ㅙ’, ‘ㅝ’, ‘ㅞ’, ‘ㅢ’, ‘ㅚ’, ‘ㅟ’)으로 분류될 수 있다.And, vowels include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ㅙ', 'ㅗ', 'ㅘ', 'ㅙ', 'ㅚ' It can include Korean vowels of ',' ㅛ ',' ㅜ ',' ㅝ ',' ㅞ ',' ㅟ ',' ㅠ ',' ㅡ ',', ', and' ㅣ '. And, it is a short vowel ('ㅣ', 'ㅡ', 'ㅗ', 'TT', 'ㅏ', 'ㅓ', 'ㅐ', 'ㅔ') and a double vowel ('ㅛ', 'ㅠ', ' ㅑ ',' ㅕ ',' ㅒ ',' ㅖ ',' ㅘ ',' ㅙ ',' ㅝ ',' ㅞ ',' ㅢ ',' ㅚ ',' ㅟ ').

표시 제어부(120)는 다면체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대한 터치유형에 따라 다면체의 일면에 배치된 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 팬 등의 터치 수단을 통해 화면을 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20)는 다면체의 정면에 ‘ㅡ’ 또는 ‘ㅣ’의 기준 모음을 표시하고, 다면체의 일면에 기준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를 추가시킨 모음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ler 120 displays the polyhedron on the screen, and displays a collection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in front of the polyhedron according to the touch type for the screen. For example, the user may touch the screen through a touch means such as a finger or a touch fan.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ler 120 may display a reference collection of 'ㅡ' or 'ㅣ'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and display a collection of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the reference bar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다면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한다. 또한,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once and then slides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polyhedro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ㅣ' vowel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In additi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once and then slides to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polyhedron, a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ㅡ' vowel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여기서,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은 ‘ㅏ’, ‘ㅓ’, ‘ㅐ’, 및 ‘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은 ‘ㅗ’, ‘ㅜ’, ‘ㅚ’, 및 ‘ㅟ’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collection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ㅣ' collection may include any one of 'ㅏ', 'ㅓ', ',', and 'ㅔ', and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ㅡ' collection. The vowel may include any one of 'ㅗ', 'TT', 'ㅚ', and 'ㅟ'.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 후, 다면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한다. 또한,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 후,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twice, and then sliding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polyhedro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displays a double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ㅣ' vowel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In additi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twice and then slides to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polyhedron, a double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ㅡ' vowel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다면체의 정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다면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고, 다면체의 정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을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simultaneously touches two different points o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and then slides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polyhedro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adds one or more stroke numbers to the front of the polyhedron.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different points of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and sliding to the top or bottom face of the polyhedron, a double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 vowel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여기서,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은 ‘ㅑ’, ‘ㅕ’, ‘ㅒ’, 및 ‘ㅖ’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은 ‘ㅛ’, ‘ㅠ’, ‘ㅘ’, ‘ㅝ’, ‘ㅙ’, ‘ㅞ’, 및 ‘ㅢ’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owel vowel having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the 'ㅣ' collection may include any one of 'ㅑ', 'ㅕ', 'ㅒ', and 'ㅖ', and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the 'ㅡ' collection. The collected double vowels may include any one of 'ㅛ', 'ㅠ', 'ㅘ', 'ㅝ', 'ㅙ', 'ㅞ', and 'ㅢ'.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다면체의 측면방향 슬라이딩과 다면체의 수직방향 슬라이딩을 연속적으로 조합시킨 경우, 조합 형태에 따라 다면체에 배치된 모음을 조합하여 다면체의 정면에 ‘ㅘ’, ‘ㅝ’, ‘ㅙ’, ‘ㅞ’, ‘ㅢ’, ‘ㅚ’ 및 ‘ㅟ’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and continuously combines the lateral sliding of the polyhedron and the vertical sliding of the polyhedro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combines the vowels arranged on the polyhedr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form to front the polyhedron. One of 'ㅘ', 'ㅝ', 'ㅙ', 'ㅞ', 'ㅢ', 'ㅚ' and 'ㅟ'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모음 분류 체계 또는 내부 설정 사항에 따라 다면체의 각 면에 하나 이상의 모음이 배치된 다면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음 분류 체계에는 단모음, 이중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양성모음, 음성모음, 중성모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controller 120 may display a polyhedron having one or more vowel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according to a vowel classification scheme or internal setting on the screen. Here, the vowel classification system may include a single vowel, a double vowel, a high vowel, a middle vowel, a low vowel, a round vowel, a flat vowel, a positive vowel, a vowel vowel, and a vowel.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화면 상에서 슬라이딩된 거리만큼 다면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다면체의 정면을 시간 간격을 두고 터치할 때마다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다면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면체의 정면을 계속 한 번씩 터치할 때 마다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다면체가 회전하며 다면체의 일면에 표시된 모음이 정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may rotate the polyhedron by a distance sliding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ler 120 may rotate the polyhedron in a preset direction whenever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with a time interval. For example, each time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once, the polyhedron rotates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and a vowel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polyhedron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side.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다면체 정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 하, 좌, 또는 우측 지점에 터치할 때 마다 해당 방향으로 다면체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polyhedro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henever the user touches the upper, lower, left, or right poi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그리고, 표시 제어부(120)는 모음 입력이 완료되면, 다면체를 초기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제어부(120)는 하나의 모음이 입력 완료되면 다면체가 정면으로 향하도록 정위치시킬 수 있다.When the vowel input is completed,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may position the polyhedron to an initial state. For example,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may position the polyhedron to face the front when one vowel is input.

입력부(130)는 다면체 정면에 표시된 모음을 입력한다. 예컨대, 입력부(130)는 다면체가 정면으로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하면,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inputs a vowel displayed in front of the polyhedron. For example, if the polyhedron is positioned to the front for a threshold time, the input unit 130 may input a collection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positioned for the threshold time.

또한, 입력부(130)는 슬라이딩 후, 손가락을 화면에서 떼면, 회전된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된 해당 모음을 바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may immediately input the corresponding vowel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rotated polyhedron when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screen after sliding.

또한, 입력부(130)는 슬라이딩 후, 다면체 정면을 터치한 경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된 해당 모음을 바로 입력할 수도 있다. 상술된 입력 방법뿐 아니라,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키 입력 장치(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등)를 통해 소정 버튼을 누른 경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된 모음을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may directly input the corresponding vowel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after sliding.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put method, the input unit 130 may input a vowel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through a key input device (eg, a mouse or a keyboard).

저장부(140)는 다면체의 형태, 한글의 자음과 모음, 각종 설정값, 입력된 모음 입력값, 알고리즘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모음이 배치된 다면체를 통해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a polyhedron, consonants and vowels in Korean, various setting values, input vowel input values, and algorithms.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Korean vowel through a polyhedron in which vowels are arranged through FIGS. 2 to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터치를 통한 단모음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2 and 3 show examples of short vowel input through a single touch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다면체의 정면에 ‘ㅡ’ 또는 ‘ㅣ’의 기준 모음이 표시되고, 다면체의 일면에 기준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를 추가시킨 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for example, a reference collection of 'ㅡ' or 'ㅣ' may be displayed in front of the polyhedron, and a collection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reference bar may be displayed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이때, 모음 입력은 다면체의 정면에 대한 터치로 시작될 수 있으며, 모음 입력이 완료되면 다면체가 최초 상태로 정위치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면체의 정면은 화면의 정면을 향하는 다면체의 일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wel input may be started by a touch o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lyhedron is initially positioned when the vowel input is completed. Here,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may be defined as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facing the front of the screen.

먼저, 도 2의 (a)에서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하면, 다면체의 측면에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으로서 ‘ㅏ’, ‘ㅓ’, ‘ㅐ’, 및 ‘ㅔ’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수직(또는 상하)면에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으로서 ‘ㅗ’, ‘ㅜ’, ‘ㅚ’, 및 ‘ㅟ’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with one finger in FIG. 2 (a),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ㅣ' collection on the side of the polyhedron. At least one of ',' and 'ㅔ' is disposed, and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 vowel on a vertical (or up and down) plane, and among 'ㅗ', 'TT', 'ㅚ', and 'ㅟ'. At least one may be arranged.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에 ‘ㅏ’, ‘ㅓ’, ‘ㅐ’, 및 ‘ㅔ’ 모음이 배치되되, ‘ㅐ’, 및 ‘ㅔ’ 모음은 후면에 배치되어 좌측 또는 우측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ㅐ’, 또는 ‘ㅔ’ 모음이 정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면 및 하면에 ‘ㅗ’, ‘ㅜ’ 모음이 각각 배치된 것으로 설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ㅏ', 'ㅓ', 'ㅐ', and 'ㅔ' vowels are arranged on the side, and the 'ㅐ' and 'ㅔ' vowels are arranged on the rear side, depending o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left or right side. 모음 ', or' ㅔ 'vowels are displayed in front, and' ㅗ ',' TT 'vowels are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사용자가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키면, 도 2의 (b)와 같이 다면체가 회전하면서 ‘ㅓ’모음이 정면에 점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ㅓ’모음이 정면에 위치하면 ‘ㅓ’모음이 입력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and then slides a finger in the left direction, the polyhedron is rotated as shown in FIG. As shown in (c) of FIG. 2, when the 'ㅓ' collection is located at the front, the 'ㅓ' collection is input.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좌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계속 슬라이딩해 가면, 도 3의 (a) 내지 (d) 순서로 다면체가 좌측으로 회전해가며 ‘ㅔ’모음이 점차적으로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ㅔ’모음이 정면에 위치하면 ‘ㅔ’모음이 입력된다. 3, when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to continue sliding the finger in the left direction to input the 'ㅔ' vowel, FIGS. In turn, the polyhedron is rotated to the left and the 'ㅔ' gradually is located in front. And, as shown in (e) of FIG. 3, when the 'ㅔ' collection is located in front, the 'ㅔ' collection is input.

‘ㅏ’와 ‘ㅐ’ 모음도 유사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키면, 다면체가 회전하면서 ‘ㅏ’모음이 정면에 점차적으로 위치하게 되고’ㅏ’모음이 입력된다. 그리고, ‘ㅐ’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우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계속 슬라이딩해 가면, 다면체가 우측으로 회전해가며 ‘ㅐ’모음이 점차적으로 정면에 위치하게 되고 모음이 입력된다. 이하, 도 4를 통해 이중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vowels 'ㅏ' and 'ㅐ' can be entered in a similar way.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and then slides a finger in the right direction, the polyhedron is rotated and the 'ㅏ' collection is gradually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ㅏ' collection is input. Then, in order to input the '모음' vowel, if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and then slides the finger in the right direction, the polyhedron rotates to the right and the 'ㅐ' vowel gradually moves to the front side. And the vowel is entered.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double vowel through FIG. 4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터치를 통한 이중모음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ouble vowel input through multiple tou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하거나 다면체정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면,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으로서 ‘ㅑ’, ‘ㅕ’, ‘ㅒ’, 및 ‘ㅖ’ 중 적어도 하나가 측면에 배치되고,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으로서 ‘ㅛ’, ‘ㅠ’, ‘ㅘ’, ‘ㅝ’, ‘ㅙ’, ‘ㅞ’, 및 ‘ㅢ’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면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4, whe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twice or two different points o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are simultaneously touched, '복', ' At least one of ㅕ ',' ㅒ ', and' ㅖ 'is placed on the side, and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ㅡ 'vowel, and the' ㅛ ',' ㅠ ',' ㅘ ',' ㅝ ',' At least one of V ',' V ', and' V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plane.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에 ‘ㅑ’, ‘ㅕ’, ‘ㅒ’, 및 ‘ㅖ’ 가 배치되되, ‘ㅒ’, 및 ‘ㅖ’ 는 후면에 배치되어 좌측 또는 우측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ㅒ’, 또는 ‘ㅖ’ 가 정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수직면에 ‘ㅛ’, ‘ㅠ’ 가 각각 배치된 것으로 설정한다.In this embodiment, 'ㅑ', 'ㅕ', 'ㅒ', and 'ㅖ' are arranged on the side, and 'ㅒ' and 'ㅖ' are arranged on the rear side, and 'ㅒ' depending o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left or right side. , Or 'ㅖ' is displayed in front, and 'ㅛ' and 'ㅠ' are arranged in a vertical plane.

예컨대, 사용자가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 후, 하측 방향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키면, 도 4의 (b)와 같이 다면체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ㅠ’모음이 정면에 점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ㅠ’모음이 정면에 위치하면 ‘ㅠ’모음이 입력된다. For example, if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twice and then slides a finger downward, the polyhedron is rotated downward as shown in FIG. And, as shown in (c) of Figure 4 when the 'ㅠ' collec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ㅠ' collection is input.

이때, 상면(12)에는 ‘ㅘ’, ‘ㅝ’, ‘ㅙ’, ‘ㅞ’, 및 ‘ㅢ’ 중 어느 하나가 설정값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ㅘ’, ‘ㅝ’, ‘ㅙ’, ‘ㅞ’, 및 ‘ㅢ’ 의 이중 모음 입력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any one of 'ㅘ', 'ㅝ', 'ㅙ', 'ㅞ', and 'ㅢ'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12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Such double vowel input of 'ㅘ', 'ㅝ', 'ㅙ', 'ㅞ', and 'ㅢ' may b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5 to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조합으로 구성되는 이중모음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ouble vowel input composed of a vowel comb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ㅘ’, ‘ㅝ’, ‘ㅙ’, ‘ㅞ’, 및 ‘ㅢ’ 와 같은 이중 모음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ㅘ’는 단모음 ‘ㅗ’ 와 ‘ㅏ’ 가 조합된 형태이며, ‘ㅞ’ 모음은 단모음 ‘ㅜ’ 와 ‘ㅔ’가 조합된 형태이다. 이러한 모음 조합 형태를 이용하여 ‘ㅘ’, ‘ㅝ’, ‘ㅙ’, ‘ㅞ’, 및 ‘ㅢ’ 와 같은 이중 모음이 입력될 수 있다.In the form of a double vowel such as 'ㅘ', 'ㅝ', 'ㅙ', 'ㅞ', and 'ㅢ', for example, 'ㅘ' is a combination of short vowels 'ㅗ' and 'ㅏ', 모음 'vowel is a combination of short vowel' TT 'and' ㅔ '. Using this vowel combination form, a double vowel such as 'ㅘ', 'ㅝ', 'ㅙ', 'ㅞ', and 'ㅢ' may be input.

예컨대 도 5의 (a)에서 사용자가 다면체의 정면을 손가락으로 1회 터치 후 슬라이딩하여,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를 상측 방향으로 ‘ㅗ’모음이 정면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For example, in FIG. 5 (a),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with a finger and slides it, and as shown in FIGS. 5 (b) and 5 (c), the 'ㅗ' collection is faced upward. Rotate until it is at

그리고 이어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도 5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ㅏ’모음이 정면에 위치할 때까지 다면체를 회전시키면 ‘ㅗ’ 와 ‘ㅏ’모음이 조합된 형태의 ‘ㅘ’ 모음이 입력된다. 이때, 다면체의 정면에 ‘ㅘ’모음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면(14)에는 ‘ㅚ’, 및 ‘ㅟ’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Then, again sliding to the right direction, as shown in (d) and (e) of Fig. 5, by rotating the polyhedron until the 'ㅏ' collec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ㅗ' and 'ㅏ' collection 'Vowel' collection is entered. At this time, a 'ㅘ' colle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and at least one of '' and 'ㅟ'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14.

상술된 바와 같이,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정리하자면 바람직하게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inputting the vowel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모음collection 터치 유형Touch type 슬라이딩 방향(측)Sliding direction (side) A 단일single Right 단일single Left 단일single Prize 단일single Ha 단일single 우(길게 슬라이딩)Right (long sliding) 단일single 좌(길게 슬라이딩)Left (long sliding) 복수revenge Right 복수revenge Left 복수revenge 우(길게 슬라이딩)Right (long sliding) 복수revenge 좌(길게 슬라이딩)Left (long sliding) 복수revenge Prize 복수revenge Ha 단일single 상+우Top + Right 단일single 하+좌Lower + Left 단일single 상+우(길게 슬라이딩)Up + Right (long sliding) 단일single 하+좌(길게 슬라이딩)Lower + left (long sliding) 단일single 상+1회 터치Up + 1 touch 단일single 하+1회 터치+1 touch 복수+단일Multiple + Single 없음none 단일single 최초 1회 터치First touch 복수revenge 없음none

상술된 표 1에서, 터치 유형으로서 단일 터치란, 하나의 손가락으로 다면체의 정면 또는 화면을 1회 터치한 경우이며, 복수 터치란, 하나의 손가락으로 다면체의 정면 또는 화면을 2회 터치하거나 두 손가락으로 다면체 정면 또는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경우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은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이거나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과 대응되어 구성된 터치 영역일 수 있다.In Table 1 above, a single touch is a touch type in which a single finger touches the front face or the screen of a polyhedron once, and a plurality of touches means a single finger touching the front face or screen of a polyhedron twice or two fingers. This includes the case where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r two different points of the screen are simultaneously touched. The screen may be a screen on which a polyhedron is displayed or a touch area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screen on which a polyhedron is displayed.

구체적으로 표 1에 있어서, 예컨대 ‘ㅘ’ 모음 입력에서 ‘상+우’ 의 표기는, 다면체의 상측방향 슬라이딩과 다면체의 우측방향 슬라이딩을 연속적으로 조합시킨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ㅚ’ 모음 입력에서는 단일 터치 후, 슬라이딩 방향을 ‘ㅗ’모음이 정면에 위치할 때까지 상측으로 슬라이딩 시킨 후, 이어서 정면을 한 손가락으로 다시 1회 터치할 경우 ‘ㅚ’모음이 입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Specifically, in Table 1, for example, the notation of 'up + right' in the 'ㅘ' vowel input indicates a form in which the upward sliding of the polyhedron and the sliding of the rightward of the polyhedron are continuously combined. In addition, in the 'ㅚ' vowel input, after sliding a single direction, the sliding direction is slid upward until the 'ㅗ' collection is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then the 'ㅚ' collection is inputted when the front finger is touched once again. It can be.

또한, ‘ㅢ’ 모음 입력에서는 별도의 슬라이딩이 필요없이 다면체의 정면을 복수 터치 후 이어서 단일 터치 할 경우, ‘ㅢ’ 모음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하거나, 다면체의 정면 또는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다면체의 정면 또는 화면을 1회 터치하면, ‘ㅢ’ 모음이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모음' vowel input indicates that the '복수' vowel can be automatically input when a single touch is made after a plurality of touches of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without additional sliding. Specifically, when the front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twice, or the front of the polyhedron or two different points on the screen on which the polyhedron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and then touches the front or the screen of the polyhedron once, a 'ㅢ' vowel is input. Can be.

또한, ‘ㅣ’ 모음 입력에서는 최초 정면을 1회 터치할 경우, 손가락을 화면에서 뗄 때나 자동으로 임계 시간이 지나면 ‘ㅣ’ 모음이 입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ㅣ' vowel input indicates that when the user touches the front face once, the 'ㅣ' vowel can be input when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screen or automatically after a threshold time.

그리고, ‘ㅡ’ 모음 입력에서는 별도의 슬라이딩이 필요없이 다면체의 정면을 복수 터치하되, 손가락을 화면에서 뗄 때나 임계 시간이 지나면 ‘ㅡ’ 모음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음은 나타낸다.In the vowel input of 'ㅡ', a plurality of touches of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are not required, and the 'ㅡ' vowel can be automatically input when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screen or after a threshold time.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면체의 정면을 한 손가락으로 1회 터치 후, 자동으로 임계 시간이 지나면 ‘ㅡ’모음이 입력되거나, 다면체의 정면을 한 손가락으로 1회 터치 후, 자동으로 임계 시간이 지나면 ‘ㅣ’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fter one touch o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with a single finger, when the threshold time elapses automatically, the 'ㅡ' vowel is input or after one touch o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the threshold time automatically passes. It may be implemented that a 'ㅣ' vowel is input.

상술된 표 1에 나타난 모음 입력 방법은 하나의 예로서, 다면체에 배치되는 모음의 위치, 다면체의 종류, 내부 설정값, 및 알고리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an example, the vowel input method shown in Table 1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owel disposed on the polyhedron, the type of the polyhedron, the internal setting value, and the algorithm.

한편, 상술된 한글 입력 장치(100)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gul input device 100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All types of hands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s It may include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술된 다면체는 각 면에 배치되는 모음이 모두 나타나도록 투명한 입체 도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면체는 다양한 3D 캐릭터들을 가상의 입체적인 형태로 구분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릭터들이 회전함에 따라 가상의 입체적인 형태로 구분된 캐릭터의 각 면에 배치된 모음들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olyhedron may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three-dimensional figure so that all of the vowels disposed on each side appear. In addition, the polyhedron may include a form in which various 3D characters are divided into virtual three-dimensional shapes, and as the characters rotate, collection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character divided into virtual three-dimensional shap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

또한, 다면체를 터치할 뿐 아니라,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터치되는 사용자의 터치유형에 따라 상술된 다면체의 동작 및 모음 입력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not only the polyhedron is touched, but also the operation and vowel input of the above-described polyhedr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ouch type of the user who is touched on the screen on which the polyhedron is displayed.

또한, 상술된 다면체는 복수로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된 단모음이 배치된 다면체, 및 이중모음이 배치된 다면체를 각각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다면체에 배치된 모음들이 한글 입력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어 해당 다면체에 배치된 모음들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polyhedron may be displayed on a plurality of screens and provided to a user.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polyhedron with a single vowel and the polyhedron with a double vowel can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vowels arranged in the polyhedron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Hangul input screen so that the user may recognize the vowels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polyhedron.

또한, 상술된 단모음이 조합된 형태의 이중 모음 입력에 있어서, 복수의슬라이딩 방향에 의한 모음 조합 형태 뿐 아니라, 미리 조합된 이중 모음들이 배치된 다면체가 화면에 표시되어 다면체 정면에 위치하는 이중 모음이 입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double vowel input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short vowels, not only a vowel combination form by a plurality of sliding directions, but also a polyhedron in which pre-combined double vowels are arranged on the screen,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put.

또한, 상술된 다면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은 자음 및 기타 다양한 기호, 문자 등을 입력할 때에도 활용될 수 있다. 자음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ㅆ, ㅉ, ㅃ,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과 같은 형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모음과 마찬가지로 다면체의 각 면에 배치되어 상술된 모음 입력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wel input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polyhedron may be used when inputting consonants and various other symbols and characters. Consonants include a, b, c, d,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Forms such as ㄼ, ㄽ, ㄾ, ㄿ, ㅀ, ㅄ may be included. Like vowels, the vowel input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utilized by being disposed on each side of a polyhedron.

그리고, 다면체를 직접 터치하는 형태 뿐 아니라, 터치 영역이 별도로 구성된 단말기의 경우, 해당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위치 및 유형에 따라 가상의 다면체가 움직이는 방법으로 한글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o the form of directly touching a polyhedron, a terminal having a touch area configured separately may be configured to input Korean characters in a manner in which a virtual polyhedron moves according to a touch position and type in the corresponding touch area.

이와 같이, 기존 평면 형태의 문자 입력에서 입체적인 시각 효과를 통해 한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성적인 사용자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체적인 형상을 통해 장애인이나 노약자, 외국인 또는 어린 아이들의 한글 입력의 편리성, 친밀도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angul inpu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visual effect in the existing flat text input, thereby increasing the interest of the emotional users.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intimacy, and learning effects of Hangul input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foreigners, or young children.

한편, 도 1의 저장부(14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40 of FIG. 1 may include a cache, a read only memory (ROM), a programmable ROM (P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a flash memory. The volatile memory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volatile memory device or a random access memory (RAM),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or a CD-ROM.

그리고,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mponent illustrated in FIG. 1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module'. The term 'module'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a module plays a role. However, module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cessors.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다면체 생성부
120: 표시 제어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10: polyhedron generator
120: display control unit
130: input unit
140: storage unit

Claims (14)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 면에 하나 이상의 모음이 배치된 가상의 다면체를 생성하는 다면체 생성부,
상기 다면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 대한 터치유형에 따라 상기 다면체의 일면에 배치된 모음을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정면에 표시된 모음을 입력하는 입력부
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장치.
In the Hangul input device,
Polyhedr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virtual polyhedron with one or more vowels on each side,
A display control unit which displays the polyhedron on a screen and displays a collection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in front of the polyhedron according to a touch type on the scree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vowel displayed on the front
Hangul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hedron is a cube or cuboid Hangul inpu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ㅡ’ 또는 ‘ㅣ’의 기준 모음을 표시하고,
상기 다면체의 일면에 상기 기준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를 추가시킨 모음을 표시하는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control unit,
A reference set of 'ㅡ' or 'ㅣ' in front of the polyhedron,
A Hangul input device for displaying a vowel in which at least one stroke number is added to the reference bar on one surface of the polyhedr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상기 다면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을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고,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상기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을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는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control unit,
Whe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once and then slides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polyhedron, a vowel having at least one stroke number added to the 'ㅣ' vowel is display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lyhedron,
And a vowel having one or more stroke numbers added to a '-' vowel in front of the polyhedr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yhedron is slid to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polyhedr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은 ‘ㅏ’, ‘ㅓ’, ‘ㅐ’, 및 ‘ㅔ’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모음은 ‘ㅗ’, ‘ㅜ’, ‘ㅚ’, 및 ‘ㅟ’ 중 어느 하나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llection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ㅣ' collection is any one of 'ㅏ', 'ㅓ', 'ㅐ', and 'ㅔ',
The vowel in which at least one stroke is added to the ㅡ vowel is any one of 'ㅗ', 'TT', 'ㅚ', and 'ㅟ'.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하거나, 상기 다면체의 정면 또는 상기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상기 다면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을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는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control unit,
When touching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twice, or simultaneously touching the front of the polyhedron or two different points of the screen on which the polyhedron is displayed, and sliding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polyhedron, one in the 'ㅣ' collection A Hangul input device for displaying a double vowel in which the above number of strokes is added in front of the polyhedr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ㅣ’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은 ‘ㅑ’, ‘ㅕ’, ‘ㅒ’, 및 ‘ㅖ’ 중 어느 하나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vowel vowel having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the 'ㅣ' vowel is any one of 'ㅑ', 'ㅕ', 'ㅒ', and 'ㅖ'.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하거나, 상기 다면체의 정면 또는 상기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상기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을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표시하는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control unit,
When touching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twice, or simultaneously touching the front of the polyhedron or two different points of the screen on which the polyhedron is displayed, and sliding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polyhedron, at least one in the '-' collection A Hangul input device for displaying the vowels added with the number of strokes in front of the polyhedr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ㅡ’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수가 추가된 복모음은 ‘ㅛ’, ‘ㅠ’, ‘ㅘ’, ‘ㅝ’, ‘ㅙ’, ‘ㅞ’, 및 ‘ㅢ’ 중 어느 하나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vowel vowel in which at least one stroke is added to the '-' vowel is any one of 'ㅛ', 'ㅠ', 'ㅘ', 'ㅝ', 'ㅙ', 'ㅞ', and 'ㅢ'.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상기 다면체의 측면방향 슬라이딩과 상기 다면체의 수직방향 슬라이딩을 연속적으로 조합시킨 경우, 상기 조합 형태에 따라 상기 다면체에 배치된 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ㅘ’, ‘ㅝ’, ‘ㅙ’, ‘ㅞ’, ‘ㅢ’, ‘ㅚ’ 및 ‘ㅟ’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control unit,
Whe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is touched once, and the lateral sliding of the polyhedron and the vertical sliding of the polyhedron are continuously combined, the vowels arranged on the polyhedron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form, Hangul input device that displays any one of 'ㅘ', 'ㅝ', 'ㅙ', 'ㅞ', 'ㅢ', 'ㅚ' and 'ㅟ'.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 후, 슬라이딩이 없이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거나 임계 시간이 지나면 ‘ㅣ’ 모음을 입력하는 것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unit,
After touching the front of the polyhedral once, the Hangul input device to remove the finger from the screen without sliding or to enter the 'ㅣ' vowel after a threshol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하거나, 상기 다면체의 정면 또는 상기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슬라이딩이 없이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거나 임계 시간이 지나면 ‘ㅡ’ 모음을 입력하는 것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unit,
Touch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twice or simultaneously touch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r two different points on the screen on which the polyhedron is displayed, and then remove the finger from the screen without sliding, Hangul input device that is to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2회 터치하거나, 상기 다면체의 정면 또는 상기 다면체가 표시되는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상기 다면체의 정면을 1회 터치하면, ‘ㅢ’ 모음을 입력하는 것인 한글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unit,
Touching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twice or simultaneously touching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r two different points on the screen on which the polyhedron is displayed, and then touching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once, inputting a 'ㅢ' vowel Hangul input device.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Hangul input device.
KR1020100010100A 2010-02-03 2010-02-03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KR101106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100A KR101106119B1 (en) 2010-02-03 2010-02-03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PCT/KR2011/000697 WO2011096702A2 (en) 2010-02-03 2011-02-01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US13/577,202 US9298270B2 (en) 2010-02-03 2011-02-01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100A KR101106119B1 (en) 2010-02-03 2010-02-03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369A true KR20110090369A (en) 2011-08-10
KR101106119B1 KR101106119B1 (en) 2012-01-20

Family

ID=4492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100A KR101106119B1 (en) 2010-02-03 2010-02-03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1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183A (en) * 2013-10-02 2015-04-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put device,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000A (en) 1998-02-12 1999-08-27 Sharp Corp Character input device
KR20050060379A (en) * 2003-12-16 2005-06-22 (주)모비언스 Button-type device for three dimensional rotation and translation control
KR20090005680A (en) * 2007-07-09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ui to offer a cylinderical menu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KR101561911B1 (en) * 2009-03-23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183A (en) * 2013-10-02 2015-04-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put device,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119B1 (en)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880B2 (en) Haptic device incorporating stretch characteristics
JP6321113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sensing device
US9298270B2 (en)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US102098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building virtual keyboard
WO2011137812A2 (en) Input method, input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201450199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multiple frames on a touch screen
CN101040316A (en)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2015505999A5 (en)
US20120242659A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via a virtual keyboard
JP2014032632A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4220974A (en) Directional control using a touch sensitive device
KR101106119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KR101106001B1 (en)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a touch screen
CN204028814U (en) Singlehanded sleeving-hand type mouse-keyboard
Wu et al. New chording text entry methods combining physical and virtual buttons on a mobile phone
CN205594588U (en) Ergonomic keyboard
Gil et al. ThumbAir: In-Air Typing for Head Mounted Displays
KR101062409B1 (en) Apparatu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11216691B2 (en) Inpu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JP3211484U (en) Tactile controller
KR10230735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1139131B1 (en)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Liang et al. An exploration of interaction styles in mobile devices for navigating 3D environments
KR1011095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98111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ased on hand ge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