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745A -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 Google Patents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745A
KR20110089745A KR1020100009278A KR20100009278A KR20110089745A KR 20110089745 A KR20110089745 A KR 20110089745A KR 1020100009278 A KR1020100009278 A KR 1020100009278A KR 20100009278 A KR20100009278 A KR 20100009278A KR 20110089745 A KR20110089745 A KR 2011008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stator
rotor
tooth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9745A/ko
Publication of KR2011008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02K1/165Shape, form or location of the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02K1/243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specially adapted for damping motor oscillations, e.g. for reducing h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고, 고정자는, 복수의 슬롯 및 티스를 구비한 고정자코어와 슬롯을 경유하여 권회되는 고정자코일과 티스의 자속이 분산될 수 있게 티스에 관통 형성되는 자속분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운전시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MOT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시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주지된 바와 같이, 그 사용 전원에 따라 직류모터와 교류 모터로 구별될 수 있다. 직류 모터는 정류자와 브러시를 구비하여 정류자와 브러시의 기계적 접촉에 기인하여 신뢰성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계적 접촉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자 스위칭 방식의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DC Motor: 비엘디시(BLDC) 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브러시리스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의 배치 구조에 따라 내전형(interior rotor type)과 외전형(exterior rotor type)으로 구별될 수 있다.
내전형 모터에는 원통형의 영구자석의 중심에 회전축을 삽입한 회전자가 이용되거나, 전기강판을 적층한 회전자 코어의 중심에 회전축을 삽입하고 회전자 코어에 복수의 영구자석을 매입(삽입)한 소위 아이피엠 타입(interior permanent magnet type)이라고 하는 영구자석 매입식 회전자가 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비엘디시 모터에 있어서는, 구동시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고정자의 티스의 단부, 특히 티스의 단부 중앙 영역에 자속 집중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자의 반경방향을 따른 자기력은 회전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티스의 단부의 중앙영역이 강하고, 티스의 끝단의 양 측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공극의 내부에서 회전자의 원주방향을 따른 자기력의 변화(차)가 증대되어 회전자의 회전시 진동이 증가되고, 이에 기인하여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시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복수의 슬롯 및 티스를 구비한 고정자코어; 상기 슬롯을 경유하여 권회되는 고정자코일; 및 상기 티스의 자속이 분산될 수 있게 상기 티스에 관통 형성되는 자속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속분산부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는 상기 티스의 단부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의 폭은 상기 티스의 폭의 절반 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의 폭은 상기 티스의 폭의 20 내지 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의 폭은 상기 티스의 단부측으로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코일은 집중권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코어; 및 상기 회전자코어에 삽입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코어와 상기 고정자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자속분산부에 삽입되게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모터;를 포함하는 압축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시 고정자의 티스의 단부에 자속이 분산되게 하여 자속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시 자속 집중에 따른 자기력의 차(변화)의 증대에 기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코어와 고정자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에 자속분산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제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모터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1의 고정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고정자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정자코어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인슐레이터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모터의 고정자 및 회전자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티스의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의 자속분산부의 변형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20)와, 상기 압축부(12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부(1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120) 및 모터(130)는 밀폐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용기(110)는 상,하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120)는, 내부에 냉매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블록(121)과, 상기 실린더블록(121)의 내부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123)과, 상기 피스톤(123)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1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120)의 하측에는 상기 압축부(120)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130)는 상기 압축부(120)의 상측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130)는, 고정자(140)와, 상기 고정자(140)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롯(146) 및 티스(147)를 구비한 고정자코어(141)와, 상기 슬롯(146)을 경유하여 권회되는 고정자코일(161) 및 상기 티스(147)의 자속이 분산될 수 있게 상기 티스(147)에 관통 형성되는 자속분산부(15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30)는 지지부재(1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5)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예를 들면 스프링)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140)는 상기 고정자(1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위 내전형 회전자(140) 또는 상기 고정자(140)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전형 회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회전자(140)는 상기 고정자(140)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내전형 회전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자(140)는, 회전자코어(171)와, 상기 회전자코어(171)에 결합되는 회전축(18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140)는 회전자코어(171)의 내부에 복수의 도체바를 구비한 스퀴럴 케이지(squirrel cage)타입 회전자나, 회전자코어(171)에 복수의 플럭스 배리어(flux barrier)가 형성되는 플럭스 배리어 타입 회전자, 또는 회전자코어(171)에 영구자석(181)이 구비되는 영구자석형 회전자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자코어(171)의 내부에 복수의 영구자석(181)이 구비되는 영구자석형 회전자가 구비된 비엘디시(BLDC) 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회전자(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코어(171)와, 상기 회전자코어(171)에 삽입되는 복수의 영구자석(181)과, 상기 회전자코어(171)의 중앙에 결합되는 회전축(18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85)의 상단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25)가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코어(171)는, 중앙에 상기 회전축(185)이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축공(173)과, 영구자석(181)이 삽입될 수 있게 관통 형성된 영구자석삽입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코어(171)는 상기 축공(173), 영구자석삽입부(175)들이 구비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전기강판(시트)들을 절연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81)은 복수의 극(예를 들면 6극)을 구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영구자석(181)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 형상을 가지는 영구자석(181)은 양 단부가 상기 회전자코어(171)의 원주에 근접되고 볼록한 중앙부가 상기 축공(173)을 향하도록 배치되게 상기 회전자코어(17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코어(171)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7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77)에는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면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77)은 상기 영구자석삽입부(175)의 사이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77)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자(14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자(140)가 수용되는 회전자수용공(142)과, 복수의 슬롯(146) 및 티스(147)가 형성된 고정자코어(141)와; 상기 고정자코어(141)에 권회되는 고정자코일(16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롯(146) 및 티스(147)는 각각 9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140)는 상기 고정자코어(141)와 상기 고정자코일(161)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 또는 인슐레이터(190)(insulator)(이하, '인슐레이터'로 표기함)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자코어(141)와 상기 고정자코일(161)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절연)되게 하여 단락(short circuit)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코일(161)은 상기 각 티스(147)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소위 집중권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코어(141)는, 중앙에 회전자수용공(142)이 형성되는 요크부(145)와, 상기 회전자수용공(142)의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티스(147) 및 슬롯(14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티스(147)는 상기 회전자수용공(142)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티스(147)는, 바디(148)와, 상기 바디(148)의 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확장단부(149)(폴 슈(pole shoe)라고도 함)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바디(148)를 경유한 자속이 분산되어 상기 확장단부(149)의 끝단에서의 자속밀도는 상기 바디(148)의 자속밀도보다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티스(147)에는 상기 바디(148)를 경유한 자속이 분산될 수 있게 자속분산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스(147)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15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는 원형의 관통공(1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51)의 내부는 상기 티스(147)에 비해 자기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자속은 티스(147)의 금속부분(상기 관통공(151)의 둘레)을 통해 이동되므로 자속이 넓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바디(148)를 경유한 자속이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양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티스(147)의 확장단부(149)의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됨으로써 상기 티스(147)의 끝단 중앙부로 자속이 집중(또는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자(140)의 회전시 코깅토크(cogging torque)를 줄일 수 있고, 이에 기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개수는 적어도 상기 영구자석(181)의 극수의 절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자(140)가 6극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자속분산부(151)는 3개의 티스(147)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속분산부(151)가 티스(147) 전부(9개)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는 상기 확장단부(149)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예를 들면 0.5㎜) 이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가 상기 확장단부(149)의 끝단에 너무 근접하게 되면 제조시 변형 및 터짐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운전도중 자기력에 의해 변형 및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폭(본 실시예에서는 직경(D))은 상기 티스(147)의 폭(W),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148)의 폭의 절반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폭(직경(D))이 상기 티스(147)의 바디(148)의 폭(W)의 절반이상이 될 경우 자속밀도가 증가하여 자속의 흐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폭(직경)은 상기 티스(147)(바디(148))의 폭의 20 내지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속분산부(151,152)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관통공(151,15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바디(148)를 경유한 자속이 상기 복수의 관통공(151,152)의 둘레로 이동되어 상기 확장단부(149)에서 더욱 넓게 분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확장단부(149)와 상기 회전자(140)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차를 더욱 줄일 수 있어 진동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속분산부(153)는 상기 바디(148)측에서 상기 확장부단부(149)측으로 향할수록 내폭이 증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속분산부(153)는 거의 삼각형 형태의 관통공(153)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티스(147)의 바디(148)를 경유한 자속이 상기 자속분산부(153)의 양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확장단부(149)에서 넓게 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속분산부(153)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자속분산부는 원형 또는 삼각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190)는 상기 고정자코어(141)의 상측 및 하측에서 결합되게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90)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코어(141)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인슐레이터(190a)와, 상기 고정자코어(141)의 저면에 배치되는 하부인슐레이터(19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 및 하부인슐레이터(190b)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코어(141)의 각 티스(147)의 상면 및 저면을 차단하여 절연할 수 있게 복수의 티스절연부(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 및 하부인슐레이터(190b)에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티스절연부(191)의 외면에 권회되는 고정자코일(16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19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93)는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티스절연부(191)의 양 측, 즉 내측 및 외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93)는 상기 티스절연부(191)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상기 티스절연부(191)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 또는 하부인슐레이터(190b)에는 상기 고정자코일(161)이 전원과 연결될 수 있게 전원연결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에 전원연결부(195)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19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 및 하부인슐레이터(190b)에는 상기 자속분산부(151)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된 돌출부(19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 및 하부인슐레이터(190b)가 상기 고정자코어(141)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96)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부를 형성하지 아니하므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6)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96)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개수에 대응되게 9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96)는 단면이 상기 자속분산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96)는 원형 단면의 자속분산부(151)에 대응되게 원형 단면을 가지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96)는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돌출부(196)는 상기 인슐레이터(190)의 상면 또는 저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부(197)와, 상기 지지부(197)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19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돌출부(196)는 2개의 삽입부(198)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98)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98)의 삽입전 최대 외경(외폭)은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내경(내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삽입부(198)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삽입 후 상기 삽입부(198)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부(198)의 외면이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코어(141)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상부인슐레이터(190a) 및 하부인슐레이터(190b)를 배치하고, 각 돌출부(196)가 자속분산부(151)에 삽입되게 가압한다. 상기 각 삽입부(198)는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코어(14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부인슐레이터(190a) 및 하부인슐레이터(190b)가 결합되면, 상기 티스절연부(191)의 외면에 고정자코일(161)이 권회된다.
한편, 운전시, 상기 고정자코일(16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요크부(145) 및 티스(147)에는 자속이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티스(171)의 자속분산부(151)는 상기 각 티스(147)의 바디(148)를 경유한 자속이 상기 자속분산부(151)의 양 측으로 분산 이동되어 상기 각 티스(147)의 확장단부(149)로 유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각 티스(147)의 확장단부(149)는 자속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상기 회전자수용공(142)의 원주방향을 따른 공극 내의 자기력의 차(변화)가 적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자(140)의 회전(운전)시 진동 및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밀폐용기 120 : 압축부
130 : 모터 140 : 고정자
141 : 고정자코어 146 : 슬롯
147 : 티스 151 : 자속분산부
170 : 회전자 171 : 회전자코어
185 : 회전축 190 : 인슐레이터
190a : 상부인슐레이터 191 : 티스절연부
193 : 이탈방지리브 196 : 돌출부
197 : 지지부 198 : 삽입부

Claims (11)

  1.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복수의 슬롯 및 티스를 구비한 고정자코어;
    상기 슬롯을 경유하여 권회되는 고정자코일; 및
    상기 티스의 자속이 분산될 수 있게 상기 티스에 관통 형성되는 자속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산부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산부는 상기 티스의 단부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산부의 폭은 상기 티스의 폭의 절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산부의 폭은 상기 티스의 폭의 20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분산부의 폭은 상기 티스의 단부측으로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코일은 집중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코어; 및
    상기 회전자코어에 삽입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코어와 상기 고정자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자속분산부에 삽입되게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항의 모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0100009278A 2010-02-01 2010-02-01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2011008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78A KR20110089745A (ko) 2010-02-01 2010-02-01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78A KR20110089745A (ko) 2010-02-01 2010-02-01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45A true KR20110089745A (ko) 2011-08-09

Family

ID=4492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278A KR20110089745A (ko) 2010-02-01 2010-02-01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97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836A (ko) * 2016-09-30 2018-04-10 전자부품연구원 슬릿을 갖는 착자 요크 및 그를 포함하는 착자 장치
CN108386339A (zh) * 2018-01-19 2018-08-10 广州万固压缩机有限公司 一种车载冰箱高抗震软性碰撞压缩机结构
WO2018202369A1 (en) * 2017-05-03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compressor
US10374479B2 (en) 2016-02-03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or
CN112803627A (zh) * 2019-11-13 2021-05-14 思科普有限公司 气密密封制冷压缩机的电动马达的定子的端部元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4479B2 (en) 2016-02-03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or
KR20180036836A (ko) * 2016-09-30 2018-04-10 전자부품연구원 슬릿을 갖는 착자 요크 및 그를 포함하는 착자 장치
WO2018202369A1 (en) * 2017-05-03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compressor
CN108386339A (zh) * 2018-01-19 2018-08-10 广州万固压缩机有限公司 一种车载冰箱高抗震软性碰撞压缩机结构
CN112803627A (zh) * 2019-11-13 2021-05-14 思科普有限公司 气密密封制冷压缩机的电动马达的定子的端部元件
EP3822486A1 (en) * 2019-11-13 2021-05-19 Secop GmbH End element for the stator of an electric motor of a hermetically sealed refrigerant compressor
US11644038B2 (en) 2019-11-13 2023-05-09 Secop Gmbh End element for the stator of an electric motor of a hermetically sealed refrigerant compressor
CN112803627B (zh) * 2019-11-13 2023-11-28 思科普有限公司 气密密封制冷压缩机的电动马达的定子的端部元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3115B2 (en) Rotor including specific magnet structure and motor provided with same
JP4728765B2 (ja) 回転機
KR20140136597A (ko) 구동모터의 회전자
WO2022019074A1 (ja) 電動機
KR20110089745A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20100068971A (ko) 영구자석 매입식 비엘디시 모터
JP6956338B2 (ja) 2極ブラシ整流dc電気モータ
JPWO2022019074A5 (ko)
BRPI0104545B1 (pt) motor alternado com vibração reduzida
US20170133894A1 (en) Stator and BLDC Motor Having the Same
US20060125345A1 (en) Direct current motor
KR101533228B1 (ko)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KR100706193B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KR20190074467A (ko) 분할 고정자를 갖는 모터
US11552513B2 (en) Rotor and rotating machine
KR102189243B1 (ko)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정자 및 그를 포함하는 bldc 모터
KR101172448B1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펌프
JP2013132149A (ja) 回転電機
KR20150068102A (ko) 모터
JP2019062649A (ja) ステータ及びモータ
KR102019127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13726059B (zh) 一种永磁电机
JP2013132150A (ja) 回転電機
KR102238353B1 (ko) 분할코어를 구비한 전동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13099Y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